KR101013651B1 - 금고 - Google Patents

금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651B1
KR101013651B1 KR1020100103816A KR20100103816A KR101013651B1 KR 101013651 B1 KR101013651 B1 KR 101013651B1 KR 1020100103816 A KR1020100103816 A KR 1020100103816A KR 20100103816 A KR20100103816 A KR 20100103816A KR 101013651 B1 KR101013651 B1 KR 101013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pressing
pressure
pressure rotat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홍식
김은영
김태은
Original Assignee
김태은
김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은, 김은영 filed Critical 김태은
Priority to KR1020100103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651B1/ko
Priority to PCT/KR2011/001387 priority patent/WO201205741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0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 E05C9/14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with pins engaging slo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84Means to prevent forced opening by attack, tampering or jimmying
    • E05B17/2088Means to prevent disengagement of lock and keep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6Clutches, couplings or braking arrangements
    • E05B2047/0031Clutches, couplings or braking arrangements of the elastic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6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hree or more sliding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26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금고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금고는 함체; 함체의 내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및 함체의 내부를 닫는 닫힘위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함체에 결합되는 도어; 닫힘위치에서 각각 도어를 록킹하는 록킹위치 및 도어의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도어에 결합되되, 적어도 한 쌍의 이동방향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잠금쇠;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회전체; 및 가압회전체의 도어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복수의 잠금쇠가 이동하도록 복수의 잠금쇠 및 가압회전체를 연결하되, 복수의 잠금쇠가 시간차를 두면서 구동되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며, 연결수단은, 복수의 잠금쇠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의 홈부; 및 잠금쇠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가압회전체에 형성되며, 복수의 홈부에 각각 삽입되며, 가압회전체의 회전시 복수의 홈부의 내측면을 각각 가압하여 잠금쇠를 구동하는 복수의 삽입부;를 구비하며, 가압회전체의 회전시 복수의 삽입부 중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는 나머지 삽입부와 시간차를 두면서 홈부의 내측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금고{Safe}
본 발명은 금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돈, 귀중한 서류 및 귀중품 등을 내부에 보관하여 화재나 도난으로부터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금고에 관한 것이다.
금고는 돈이나 보안이 요구되는 문서 또는 귀중품을 보관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된다. 그리고 보안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증가함에 따라, 금고를 구매하는 구매층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최근에는 금고가 설치된 가정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금고는 일반적으로 함체와, 함체의 내부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작동하되 함체에 힌지방식으로 결합된 도어와,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잠금쇠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어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잠금쇠는 도어의 상측면, 바닥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게 복수 설치된다. 각 잠금쇠가 함체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 및 이탈하며, 이에 따라 도어는 록킹 및 록킹해제된다. 그리고 잠금쇠는 모터의 작동에 의해 구동되는데, 이러한 모터의 작동은 도어의 실외측면에서 구비된 키패드에 소정의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사용자를 인증함으로서 이루어진다.
한편 잠금쇠는 도어의 강제적인 록킹해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외력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잠금쇠의 두께 및 자중이 매우 크게 구성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 잠금쇠는 금속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잠금쇠의 사이즈 및 자중은 증가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잠금쇠의 사이즈 및 자중의 증가는 필연적으로 모터의 출력 및 소비전력을 증가시키므로, 내구성 저하 및 에너지의 과다 소비라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모터의 출력이 동일하더라도 모터의 감속비를 더욱 증가시켜야 하므로, 감속비가 높은 감속기어가 사용되어야 하는 한계도 있다.
특히 도어의 상측면, 바닥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설치된 4개의 잠금쇠는 하나의 모터에 의해 동시에 작동하도록 구성되므로, 모터에는 과부하가 빈번하게 인가되었으며, 특히 잠금쇠를 정지상태에서 구동하는 경우에는 모터에 더욱 커다란 부하가 인가되어 모터의 내구성을 현저히 떨어뜨리며 나아가 모터의 빈번한 고장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전력을 줄이며 모터나 솔레노이드에 인가되는 부하를 줄임으로써 내구성 및 사용수명이 향상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구조가 개선된 금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 및 함체 사이의 틈새를 통한 물리적 해킹시에 잠금쇠의 변형을 최대로 억제함으로써 보안성이 향상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금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금고는 내부가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및 상기 함체의 내부를 닫는 닫힘위치 사이에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함체에 결합되는 도어; 상기 닫힘위치에서 각각 상기 함체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를 록킹하는 록킹위치 및 상기 삽입공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도어의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되, 적어도 한 쌍의 이동방향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잠금쇠;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회전체; 및 상기 가압회전체의 상기 도어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복수의 잠금쇠가 이동하도록 상기 복수의 잠금쇠 및 가압회전체를 연결하되, 상기 복수의 잠금쇠가 시간차를 두면서 구동되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복수의 잠금쇠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의 홈부; 및 상기 잠금쇠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상기 가압회전체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홈부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가압회전체의 회전시 상기 복수의 홈부의 내측면을 각각 가압하여 상기 잠금쇠를 구동하는 복수의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회전체의 회전시 상기 복수의 삽입부 중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는 나머지 삽입부와 시간차를 두면서 상기 홈부의 내측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금고는 내부가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및 상기 함체의 내부를 닫는 닫힘위치 사이에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함체에 결합되는 도어; 상기 닫힘위치에서 각각 상기 함체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를 록킹하는 록킹위치 및 상기 삽입공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도어의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되, 적어도 한 쌍의 이동방향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잠금쇠;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회전체; 및 상기 가압회전체의 상기 도어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복수의 잠금쇠가 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복수의 잠금쇠 및 가압회전체를 연결하되, 상기 복수의 잠금쇠가 시간차를 두면서 구동되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잠금쇠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상기 가압회전체에 형성된 복수의 홈부; 및 상기 복수의 잠금쇠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홈부 각각 삽입되며, 상기 가압회전체의 회전시 상기 복수의 홈부의 내측면에 의해 각각 가압되어 상기 잠금쇠가 구동되도록 하는 복수의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회전체의 회전시 상기 복수의 홈부의 내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은 나머지 내측면과 시간차를 두면서 상기 삽입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잠금쇠가 시간차를 두면서 작동하게 되므로, 소비전력이 줄어들며, 모터나 솔레노이드에 인가되는 부하도 감소되므로, 내구성 및 사용수명이 향상된다.
또한 도어 및 함체 사이의 틈새를 통한 물리적 해킹에 대한 보안성이 크게 개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고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금고의 잠금구조의 요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압회전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고의 잠금구조의 요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금고의 잠금쇠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a-Ⅷa선 및 Ⅷb-Ⅷb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도 7의 잠금쇠에 있어서 빠루를 이용한 물리적 해킹과정 및 물리적 해킹시 잠금쇠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2의 가압회전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구조를 서로 다른 방향에 바라본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구동구조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가압회전체가 이격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가압회전체의 직선이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ⅩⅣ-ⅩⅣ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1에 도시된 가압회전체가 이격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고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금고의 잠금구조의 요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압회전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고의 잠금구조의 요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금고(100)는 함체(10)와, 도어(20)와, 잠금쇠(30)와, 가압회전체(40)와, 연결수단을 구비한다.
함체(10)는 전체적으로 사각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된다. 함체(10)의 내부는 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함체(10)의 내측면에는 삽입공(11)이 복수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함체(10)의 내측면은 상측 내측면, 하측 내측면, 좌측 내측면 및 우측 내측면을 포함하며, 이러한 각각의 내측면에는 3개의 삽입공(11)이 각각 형성된다.
도어(20)는 함체(10)의 내측면과 대응되게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어(20)에는 상측면, 하측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어(20)는 함체(10)에 힌지결합된다. 도어(20)는 도 1의 (a)에 도시된 닫힘위치 및 도 1의 (b)에 도시된 개방위치 사이에서 회전한다. 닫힘위치에서는, 함체(10)의 내부가 도어(20)에 의해 막혀서 함체(10)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닫히게 된다. 개방위치에서는, 함체(10)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열리게 된다.
잠금쇠(30)는 도어(20)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20)에 결합된 하우징(25)에 4개가 설치된다. 즉, 하우징(25)은 도어(20)와 마찬가지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측면, 하측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가지며, 4개의 잠금쇠(30)는 하우징(25)의 상측면, 하측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대해 각각 왕복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각 측면에 대해 출몰한다. 그리고 하우징(25)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설치된 잠금쇠(30)는 상하방향으로 왕복 직선 이동 가능하며, 하우징(25)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설치된 잠금쇠(30)는 좌우방향으로 왕복 직선 이동 가능하다. 이와 같이 4개의 잠금쇠(30) 중 2개의 잠금쇠의 이동방향은 나머지 2개의 잠금쇠의 이동방향과 직교한다. 각 잠금쇠(30)는 3개의 잠금부재(31)와, 3개의 잠금부재가 각각 고정되는 매개부재(32)와, 매개부재에 고정된 피가압부재(33)를 포함하되, 3개의 잠금부재(31), 매개부재(32) 및 피가압부재(33)는 한 몸체로 형성되어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왕복 직선 이동한다. 각 잠금부재(31)는 원형 단면 또는 사각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각 잠금부재(31)는 하우징(25)에 형성된 출입공(미도시)을 통해 왕복 직선 이동한다. 그리고 매개부재(32) 및 피가압부재(33)는 하우징(25)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도어(20)가 닫힘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각 잠금쇠(30)는 록킹위치 및 록킹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직선 이동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록킹위치에서는, 각 잠금쇠(30)에 포함된 3개의 잠금부재(31)가 각각 함체(10)에 형성된 3개의 삽입공(11)에 각각 삽입되어 도어(20)가 록킹된다. 그리고 록킹해제위치에서는, 각 잠금쇠의 잠금부재(31)들이 각각 삽입공(11)들로부터 이탈되어 도어(20)의 록킹이 해제된다. 그리고 각 잠금쇠(30)의 직선이동은 하우징(25)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부(251)에 의해 가이드된다.
가압회전체(40)는 4개의 잠금쇠(30)를 직선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25)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압회전체(40)가 상호 동축적으로 결합되는 제1가압회전부재(41) 및 제2가압회전부재(42)로 구성된다. 제1가압회전부재(41)는 원형의 본체부(411)와, 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412,413)를 포함한다. 제2가압회전부재(42)는 원형의 본체부(421)와, 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422,423)를 포함한다. 본체부(411) 및 본체부(421)는 동일한 크기이며, 각 본체에는 같은 크기의 삽입공(414;424)이 관통 형성된다. 본체부(421)에는 결합홈부(425)가 한 쌍 형성되며, 본체부(411)의 한 쌍의 결합홈부(425)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415)가 형성된다. 다만 제1가압회전부재 및 제2가압회전부재의 결합방식은 결합홈부 및 결합돌기 이외에도 기어맞물림 구조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제1가압회전부재 및 제2가압회전부재가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되지 않고 하나의 몸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체부(411) 및 본체부(421)는 동일 크기로서 서로 접촉하게 배치되며, 이에 따라 본체부에 형성된 돌출부(412,413)와 본체부에 형성된 돌출부(422,423)는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지 않고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1가압회전부재(41) 및 제2가압회전부재(42)에 형성된 돌출부들은 편의상 본체부 및 본체부에 대해 돌출된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상측 돌출부(412), 하측 돌출부(413), 좌측 돌출부(422) 및 우측 돌출부(423)로 지시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측 돌출부(412) 및 하측 돌출부(413)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나, 그 길이는 좌측 돌출부(422) 및 우측 돌출부(423)의 길이보다 길다. 또한 좌측 돌출부(422) 및 우측 돌출부(423)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다.
가압회전체(40)는 가압회전체의 회전중심축을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기준위치 및 도 16에 도시된 이격위치 사이에서 왕복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러한 가압회전체(40)의 직선 이동 및 회전 구동 구성은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서 후술하기로 한다.
연결수단은 가압회전체(40)의 회전시 복수의 잠금쇠(30)가 모두 록킹위치 또는 록킹해제위치로 직선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연결수단은 복수의 잠금쇠(30)가 시간차를 두면서 구동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하우징(25)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각각 설치된 잠금쇠(30)가 먼저 작동한 후에, 하우징(25)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설치된 잠금쇠(30)도 함께 작동하여 시간차가 발생하게 된다. 연결수단은 복수의 홈부(51,52,53,54) 및 복수의 삽입부(61,62,63,64)를 포함한다.
복수의 홈부(51,52,53,54)는 각 잠금쇠의 피가압부재(33)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각 홈부(51,52,53,54)는 가압회전체쪽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각 홈부(51,52,53,54)는 그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다. 즉 각 홈부(51,52,53,54)의 폭, 즉 서로 마주하며 그 사이에 삽입부(61,62,63,64)가 삽입되는 한 쌍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는 모두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홈부(51,52,53,54)는 4개 형성되며, 가압회전체(40)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의 위치를 기준으로 각각 상측 홈부(51), 하측 홈부(52), 좌측 홈부(53) 및 우측 홈부(54)라 지시한다.
복수의 삽입부(61,62,63,64)는 복수의 홈부(51,52,53,54)에 각각 대응되게 4개 형성된다. 4개의 삽입부(61,62,63,64)는 상측 돌출부(412), 하측 돌출부(413), 좌측 돌출부(422) 및 우측 돌출부(423)의 일부분, 즉 상측 부분으로 구성되며, 편의상 상측 삽입부(61), 하측 삽입부(62), 좌측 삽입부(63) 및 우측 삽입부(64)로 지시한다. 각 삽입부(61,62,63,64)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홈부(51,52,53,54)에 삽입된다. 따라서 가압회전체(40)의 회전시 각 삽입부(61,62,63,64)는 각 홈부(51,52,53,54)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각 잠금쇠(30)는 직선 구동된다. 각 삽입부(61,62,63,64)의 경계는 편의상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삽입부의 거리는 가압회전체(4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삽입부의 단부까지의 거리로 정의되며, 각 삽입부(61,62,63,64)의 길이는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상측 삽입부(61) 및 하측 삽입부(62)의 거리는 동일하나, 그 거리는 좌측 삽입부(63) 및 우측 삽입부(64)의 거리보다 크다. 물론 좌측 삽입부(63) 및 우측 삽입부(64)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다. 그리고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각 홈부(51,52,53,54)의 폭은 동일하다. 따라서 가압회전체(40)의 회전시 상측 삽입부(61) 및 하측 삽입부(62)는 상측 홈부(51)의 내측면 및 하측 홈부(52)의 내측면에 각각 접촉하여 가압하며, 이에 따라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된 잠금쇠(30)들은 직선 구동된다. 그리고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된 잠금쇠(30)들이 구동된 후에, 비로서 좌측 삽입부(63) 및 우측 삽입부(64)는 좌측 홈부(53)의 내측면 및 우측 홈부(54)의 내측면을 각각 접촉 가압하게 되어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잠금쇠(30)들이 직선 구동된다. 이와 같이 상측 잠금쇠 및 하측 잠금쇠의 구동과 좌측 잠금쇠 및 우측 잠금쇠의 구동 사이에는 시간차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좌측 삽입부(63) 및 우측 삽입부(64)는 상측 삽입부(61) 및 하측 삽입부(62)와 다른 높이에 배치되며, 이와 동일하게 좌측 잠금쇠 및 우측 잠금쇠도 상측 잠금쇠 및 하측 잠금쇠와는 다른 높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좌측 잠금쇠 및 우측 잠금쇠의 이동경로는 상측 잠금쇠 및 하측 잠금쇠의 이동경로와 겹치지 않는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가압회전체(40)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구조를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금고(100)에 있어서, 가압회전체(40)의 직선 이동 및 회전 구동구조는 제1회전구동체(70)와, 제2회전구동체(80)가 더 구비된다.
제1회전구동체(70)는 고정플레이트(2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회전구동체(70)는 함께 회전하도록 맞물리는 제1회전구동부재(71) 및 제2회전구동부재(72)를 포함한다. 제1회전구동부재(71) 및 제2회전구동부재(72)는 각각의 피봇부(711,721)에 결합되는 볼트(미도시)에 의해 상호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고정플레이트(26)는 하우징(25)과 한 몸체로 형성되거나 하우징과 별도로 형성된 후에 하우징에 고정되게 구성된다.
제1회전구동부재(71)는 실린더 형상의 피봇부(711)와, 피봇부의 직경보다 더 큰 원형의 판상부(712)를 포함한다. 피봇부(711)에는 한 쌍의 가압부(71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 쌍의 가압부(713)는 피봇부(711)의 원주방향으로 180°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제2회전구동부재(72)는 제1회전구동부재의 피봇부(711)에 삽입되는 피봇부(721)와, 피봇부의 직경보다 더 큰 원형의 판상부(722)를 포함한다. 제2회전구동부재의 피봇부(721) 외주면 전체에는 요철모양이 형성되며, 제1회전구동부재의 피봇부에는 피봇부의 요철모양과 대응되는 모양의 요철모양이 내주면에 형성된 구멍이 형성된다. 제2회전구동부재의 판상부(722)는 고정플레이트(26)에 밀착된다.
그리고 제1회전구동부재 및 제2회전구동부재의 피봇부들(711,721)은 제1가압회전부재 및 제2가압회전부재의 삽입공(414,424)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제1회전구동체(70)는 가압회전체(40)와 동축적으로 연결된다.
제2회전구동체(80)는 실린더 형상의 본체부(81)와, 본체부의 직경보다 더 작으며 제2회전구동부재의 피봇부(721)가 삽입되는 피봇부(82)를 포함한다. 본체부(81)는 고정플레이트(26)에 밀착되며, 이에 따라 제2회전구동체(80)의 직선이동은 구속된다. 본체부(81)에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복수의 치를 포함하는 기어부(811)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부의 내부에는 제1가압회전부재의 본체부(411)가 삽입되며, 이에 따라 제2회전구동체(80) 및 가압회전체(40)는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본체부(81)에는 제1회전구동부재의 판상부(712)와 마주하는 가이드면(812)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부(81)에는 가이드면(812)에 대해 오목한 제1가이드홈부(813) 및 제2가이드홈부(814)가 형성된다. 제1가이드홈부(813)는 양측으로, 즉 제1가압회전부재 및 제2가압회전부재쪽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제1가이드홈부(813)의 본체부(81)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내측면(8131)은 제2회전구동체(80)의 회전중심축방향에 대해 경사진 평면으로 구성되되, 한 쌍의 내측면(8131)의 경사진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제2가이드홈부(814)는 한쪽으로만, 즉 제1가압회전부재쪽으로만 개방되게 형성된다. 제2가이드홈부(814)에도 제1가이드홈부(813)와 마찬가지도 경사진 내측면(8141)이 한 쌍 마주하게 형성된다. 제1가이드홈부의 경사진 내측면(8131) 및 제2가이드홈부의 경사진 내측면(8141)은 각각 제2회전구동체(80)의 회전시 가압회전체(40)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성한다.
한편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1가압회전부재의 본체부(411)에는 삽입공(414)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공(414)의 내주면에는 한 쌍의 가압홈부(416)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각 가압홈부(416)의 내측면에는 한 쌍의 가압경사부(417) 및 한 쌍의 가압평면부(418)가 형성된다. 한 쌍의 가압경사부(417)는 서로 마주하되 한 쌍의 가압경사부(417) 사이에는 가압부(713)가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가압평면부(418)도 서로 마주한다.
가압경사부(417)는 제1회전구동체(70)의 회전시 가압부(713)와 접촉하여 가압되는 부분이다. 가압경사부(417)는 가압회전체(40)의 직선이동방향, 즉 가압회전체(40)의 회전중심방향에 대해 경사진 평면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가압부(713)가 가압경사부(417)를 가압할 때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가압회전체(40)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력뿐만 아니라 가압회전체(40)를 직선이동시키는 직선구동력도 동시에 발생시킨다. 그리고 제1회전구동체(70)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라면, 직선구동력만이 발휘되어 가압회전체(40)는 기준위치에서 이격위치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가압경사부(417)가 경사진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압부(713)에 의한 가압시 회전구동력 및 직선구동력을 동시에 발휘할 수만 있다면 그 형상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압경사부는 본 실시예의 경사진 평면에 대해 볼록하거나 오목한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볼록하거나 오목한 곡면 및 경사진 평면을 조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15에는 가압경사부(417)로서 볼록한 곡면이 도시되어 있다.
가압평면부(418)는 가압경사부(417)의 단부와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가압평면부(418)는 가압회전체(40)의 직선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법선벡터로 가지는 평면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가압부(713)가 가압평면부(418)를 가압할 때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가압회전체(40)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력만이 발생하고 가압회전체(40)를 직선이동시키는 직선구동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1가압회전부재의 상측 돌출부(412) 및 하측 돌출부(413)는 제1가이드홈부(813) 및 제2가이드홈부(814)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2회전구동체(80)의 회전시 제1가이드홈부 및 제2가이드홈부의 내측면(8131,8141)은 각각 상측 돌출부(412) 및 하측 돌출부(413)을 가압하게되므로 가압회전체도 제2회전구동체와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된다.
가압회전체(40)는 가압회전체의 회전중심축을 따라서 기준위치 및 이격위치 사이에서 직선이동 가능하다. 가압회전체(40)가 도 13에 도시된 기준위치에 배치되면, 가압부(713)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압경사부(417) 사이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제1회전구동체(70)를 회전시키면, 제1회전구동체의 가압부(713)는 가압경사부(417)를 가압한다. 그러나 제1가압회전부재의 상측 돌출부(412) 및 하측 돌출부(413)는 제2회전구동체의 제1가이드홈부(813) 및 제2가이드홈부(814)에 배치되며, 가압회전체(4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터에 연결되어 있어 회전하지 않는다. 결국 가압회전체(40)는 상측 돌출부(412) 및 하측 돌출부(413)가 제1가이드홈부(813) 및 제2가이드홈부(814)의 내측면과 각각 접촉할 때까지는 회전도 하게 되나 그 이후에는 가압회전체(40)의 회전이 방지되어 가압회전체(40)는 도 15에 도시된 이격위치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이격위치에서는 가압회전체의 상측 돌출부(412) 및 하측 돌출부(413)가 제2회전구동체의 제1가이드홈부(813) 및 제2가이드홈부(814)로부터 완전히 이탈한다. 그 후도, 제1회전구동체(70)가 계속 회전하면, 제1회전구동체의 가압부(713)가 가압회전체의 가압평면부(418)를 가압하게 되므로, 제1회전구동체(70) 및 가압회전체(40)는 함께 회전한다. 이 때 가압회전체(40)의 회전경로와 제2회전구동체(80)의 회전경로는 전혀 중첩되지 않게 되므로, 제2회전구동체(80)는 회전하지 않는다. 그리고 가압회전체는 후술하는 탄성부재(90)에 의해 탄성바이어스되므로, 회전시에도 상측 돌출부(412) 및 하측 돌출부(413)는 제2회전구동체의 가이드면(812)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측 돌출부(412) 및 하측 돌출부(413)는 가압회전체(40)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되, 특히 상측 돌출부(412) 및 하측 돌출부(413)의 하측 부분, 즉 본체부(411) 및 본체부(421)와 연결되는 부분이 가압회전체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므로, 상측 돌출부(412) 및 하측 돌출부(413)의 하측 부분이 각각 상측 가이드돌출부(65) 및 하측 가이드돌출부(66)가 된다. 다만 본 실시예와는 달리, 제1가압회전부재의 본체부의 외주면에 한 쌍의 가이드돌출부가 별도로 형성하고, 이 가이드돌출부들이 각각 제1가이드홈부 및 제2가이드홈부에 각각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가압회전체(40)가 도 13에 도시된 기준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회전구동체(80)를 회전시키면, 제2회전구동체의 제1가이드홈부(813) 및 제2가이드홈부(814)의 경사진 내측면들(8131,8141)이 각각 제1가압회전부재의 상측 가이드돌출부(412) 및 하측 가이드돌출부(413)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제1회전구동체에는 외력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제1회전구동체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제2회전구동체(80)에 의한 가압회전체(40)의 회전시 가압회전체의 가압경사부(417)가 제1회전구동체의 가압부(713)를 가압하게 되므로, 결국 제2회전구동체(80), 가압회전체(40) 및 제1회전구동체(70)는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가압회전체(40)는 탄성부재(90)에 의해 이격위치로부터 기준위치쪽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킨다. 탄성부재(90)는 인장코일스프링, 압축코일스프링 및 고무 등 압축이나 인장시 복원력을 발휘하는 것이라면 그 종류에 무관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압축코일스프링(90)의 양단부는 각각 제1회전구동부재의 판상부(712) 및 가압회전체(40)의 제2가압회전부재의 본체부(421)에 접촉지지된다.
이와 같이 제1회전구동체(70)는 가압회전체(40)가 기준위치로부터 이격위치로 직선이동할 때에는 가압회전체(40)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게 되며, 가압회전체(40)가 이격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가압회전체에 대해 상대회전 하지 않는다. 여기서 제1회전구동체(70)의 상대 회전각도 범위는 가압경사부(417)의 경사정도, 상측 삽입부(61) 및 하측 삽입부(62)와 상측 홈부(51) 및 하측 홈부(52) 사이의 유격 등 다양한 인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2회전구동체(80)도 가압회전체(40)의 위치에 따라 가압회전체(4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다. 즉 가압회전체(40)가 이격위치에 배치되면, 제2회전구동체(80)는 가압회전체(40)에 대해 상대 회전하나, 가압회전체(40)가 기준위치에 배치되면, 제2회전구동체(80)는 가압회전체(40)와 함께 회전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금고(100)는 제1회전구동체(70) 및 제2회전구동체(8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열쇠뭉치(21)와, 모터와, 사용자인증부(22)를 구비한다.
열쇠뭉치(21)는 도어(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열쇠뭉치(21)의 외측면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의 실외측으로 노출된 열쇠공(211)이 형성되며, 열쇠공(211)에 그 열쇠공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열쇠를 넣고 열쇠를 회전시키면, 열쇠뭉치(21)는 열쇠와 함께 회전한다. 열쇠뭉치(21)는 제1회전구동체(70)와 연동하도록 결합되며, 이러한 연동은 제2회전구동부재의 판상부(722)에 형성된 결합공(723) 및 결합공에 일단부가 삽입되며 타단부는 열쇠뭉치(21)에 연결되는 샤프트(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열쇠뭉치(21)의 회전시 샤프트도 함께 회전하며, 이에 따라 샤프트에 의해 가압되는 제2회전구동부재(72)도 회전하게 된다. 열쇠를 이용한 제1회전구동체(70)의 구동은 사용자인증부나 모터가 고장나는 등 비상시에 이루어진다.
모터(미도시)는 전원에 의해 작동하며, 모터의 출력축에는 제2회전구동체의 기어부(811)와 기어결합되는 랙기어 및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하는 감속기어가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의 작동시 제2회전구동체(80)는 구동된다. 한편 모터 대신에 솔레노이드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솔레노이드의 직선구동력을 제2회전구동체의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동력전달수단이 필요하며, 이러한 동력전달수단은 기어나 링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나, 이러한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지나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사용자인증부(22)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숫자나 문자 또는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나 지문이나 홍채 등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생체정보인식기 등으로 구성된다. 사용자인증부(22)를 통해 사용자가 인증되면, 모터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모터가 작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금고(100)에 있어서, 평상시에 사용자인증부(22)를 이용하여 모터를 작동시키면, 제2회전구동체(80)가 회전하므로, 제1회전구동체(70) 및 가압회전체(40)를 모두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가압회전체(40)가 회전하면, 제1가압회전부재의 상측 삽입부(61) 및 하측 삽입부(62)가 각각 상측 홈부(51) 및 하측 홈부(52)의 내측면을 가압하게 되므로, 상측 잠금쇠 및 하측 잠금쇠가 먼저 구동된다. 그리고 조금 뒤에, 제2가압회전부재의 좌측 삽입부(63) 및 우측 삽입부(64)는 각각 좌측 홈부(53) 및 우측 홈부(54)의 내측면을 가압하게 되어, 좌측 잠금쇠 및 우측 잠금쇠가 구동된다. 즉, 최초에는 상측 잠금쇠 및 하측 잠금쇠가 구동되다 일정 시간 뒤에는 좌측 잠금쇠 및 우측 잠금쇠도 상측 잠금쇠 및 하측 잠금쇠와 함께 구동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잠금쇠가 한꺼번에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2개의 잠금쇠가 먼저 작동한 후에 4개의 잠금쇠가 모두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모터의 출력 및 소비전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내구성이 향상되며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특히 4개의 잠금쇠가 한꺼번에 작동하지 않고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작동하게 되므로, 시작 부하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시작 부하의 감소로 인해, 종래에 비해 감속비가 낮은 감속기어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모터를 작동시키는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사용자인증부가 파손되거나 비밀번호를 잊은 경우 등의 비상시에는, 소정의 열쇠를 열쇠공(211)에 넣고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열쇠를 회전시키면, 열쇠 회전에 연동되어 제1회전구동체(7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1회전구동체의 한 쌍의 가압부(713)는 제1가압회전부재의 가압경사부(417)를 가압하게 되므로, 가압회전체(40)는 도 13에 도시된 기준위치로부터 도 15에 도시된 이격위치로 직선이동한다. 그리고 그 이후, 가압회전체(40)는 상측 가이드돌출부(65) 및 하측 가이드돌출부(66)가 제2회전구동체의 가이드면(812)과 접촉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2회전구동체(80)는 회전하지 않고 제1회전구동체(70) 및 가압회전체(40)만이 회전하여 4개의 잠금쇠가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시간차를 두면서 구동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도면들에 있어서, 상측 돌출부 및 상측 가압부 사이의 경계를 표시한 선 그리고 상측 돌출부 및 상측 가이드돌출부 사이의 경계를 표시한 선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부의 길이가 상이하며 홈부의 폭이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삽입구의 길이는 모두 동일하며, 홈부의 폭이 상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금고에 있어서, 제1가압회전체(40a)의 상측 돌출부(412a), 하측 돌출부(413a), 좌측 돌출부(422a) 및 우측 돌출부(423a)의 길이는 모두 동일하다. 그리고 상측 삽입부(61a), 하측 삽입부(62a), 좌측 삽입부(63a) 및 우측 삽입부(64a)의 거리도 모두 동일하다. 그리고 상측 홈부(51a) 및 하측 홈부(52a)의 폭은 좌측 홈부(53a) 및 우측 홈부(54a)의 폭보다 작다. 따라서 가압회전체(40a)의 회전시 상측 삽입부(61a) 및 하측 삽입부(62a)가 상측 홈부(51a)의 내측면 및 하측 홈부(52a)의 내측면을 각각 접촉 가압한 후, 비로서 좌측 삽입부(63a) 및 우측 삽입부(64a)는 좌측 홈부(53a)의 내측면 및 우측 홈부(54a)의 내측면을 각각 접촉 가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측 잠금쇠 및 하측 잠금쇠의 직선이동과 좌측 잠금쇠 및 우측 잠금쇠의 직선이동 사이에는 시간차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홈부 및 삽입부가 각각 잠금쇠의 피가압부재 및 가압회전체에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홈부 및 삽입부가 각각 가압회전체 및 잠금쇠의 피가압부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금고에 있어서, 제1가압회전부재의 상측 돌출부(412b)에는 제1가압회전부재의 중심쪽으로 오목하게 상측 홈부(51b)가 형성되되 상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측에 배치된 잠금쇠의 피가압부재(33b)에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측 홈부가 형성되지 않고, 대신 가압회전체쪽으로 돌출되게 상측 삽입부(61b)가 형성된다. 상측 삽입부(61b)는 상측 홈부(51b)의 내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가압회전체를 회전시키면, 상측 홈부(51b)의 내측면은 상측 삽입부(61b)를 가압하게 되어 상측 잠금쇠를 직선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물론 각 잠금쇠가 시간차를 두고 구동되며, 이는 이미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그리고 제1가압회전부재에는 상측 삽입부가 형성되지 않고 상측 홈부가 제1가압회전부재의 본체부에 직접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잠금쇠의 시간차 작동구조는 앞선 실시예들과 달리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제1가압회전부재의 상측 돌출부(412), 하측 돌출부(413) 및 제2가압회전부재의 좌측 돌출부(422c) 및 우측 돌출부(423c)는 그 길이가 모두 동일하다. 상측 돌출부(412) 및 하측 돌출부(413)에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측 가압부(61) 및 하측 가압부(62)가 형성된다. 또한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된 피가압부재(33)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마찬가지로 상측 홈부(51) 및 하측 홈부(52)가 상측 가압부 및 하측 가압부쪽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측 삽입부(61) 및 하측 삽입부(62)는 상측 홈부(51) 및 하측 홈부(52)에 각각 삽입되되, 상측 홈부(51) 및 하측 홈부(52)의 내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가압회전체(40c)의 회전시 가압회전체(40c)의 회전시점과 상측 삽입부(61) 및 하측 삽입부(62)가 상측 홈부(51) 및 하측 홈부(52)의 내측면과 접촉시점 사이에 시간차가 발생하게 된다.
좌측 돌출부(422c) 및 우측 돌출부(423c)에는 각각 좌측 홈부(53c) 및 우측 홈부(54c)가 형성되되, 특히 앞선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각 돌출부(422c,423c)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장공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피가압부재(33)에는 각각 좌측 삽입부(63c) 및 우측 삽입부(64c)가 돌출 형성된다. 각 삽입부(63c,64c)는 도어(20)의 두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그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좌측 삽입부(63) 및 우측 삽입부(64)는 좌측 장공(53c) 및 우측 장공(54c)에 각각 삽입된다. 그리고 좌측 삽입부(63c)는 좌측 장공(53c)의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내측면에 접촉하게 삽입되여 가압회전체(40c)의 회전과 동시에 잠금쇠가 직선이동하여 가압회전체(40c) 및 잠금쇠의 작동 사이에 시간차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우측 삽입부(63c)도 좌측 삽입부와 마찬가지로 우측 장공(54c)의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내측면에 접촉하게 삽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금고에 있어서, 가압회전체의 회전(40c)과 동시에 좌측 장공(53c) 및 우측 장공(54c)의 내측면이 각각 좌측 삽입부(63c) 및 우측 삽입부(64c)를 가압하게 되나, 상측 삽입부(61) 및 하측 삽입부(62)는 상측 홈부(51) 및 하측 홈부(52)의 내측면을 가압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가압회전체(40c)의 회전시 좌측 잠금쇠 및 우측 잠금쇠가 먼저 작동하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비로서 상측 잠금쇠 및 하측 잠금쇠가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에에서도, 상측 잠금쇠 및 하측 잠금쇠는 좌측 잠금쇠 및 우측 잠금쇠와 시간차를 두면서 작동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금고에 있어서는 충격이나 소음이 방지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즉 도 2의 금고에서는 예를 들어 좌측 홈부의 내부에 좌측 삽입부가 배치되어 유격이 존재하므로, 그 작동과정에서 중력에 의해 좌측 홈부의 내측면이 좌측 삽입부를 타격하여 소음이나 충격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좌측 장공 및 우측 장공에 좌측 삽입부 및 우측 삽입부가 완전히 끼이도록 구성되면, 유격이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충격이나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 내지 도 10에는 빠루와 같은 해킹도구를 이용한 물리적 해킹에 대하여 보안성이 보다 향상된 금고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금고에 있어서 잠금쇠의 시간차 작동구조는 앞선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금고에 있어서, 좌측 잠금쇠에는 걸림홈부(311)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좌측 잠금쇠에 포함된 3개의 잠금부재 중 2개의 잠금부재(31d)에는 걸림홈부(311)가 형성되며, 나머지 한 개의 잠금부재(31)에는 걸림홈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편의상 걸림홈부가 형성된 한 쌍의 잠금부재를 상측 잠금부재 및 하측 잠금부재라 지시하며, 걸림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잠금부재는 중간 잠금부재라 지시한다. 또한 상측 잠금부재(31d), 하측 잠금부재(31d)및 중간 잠금부재(31)는 그 단면이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걸림홈부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면 그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다.
각 걸림홈부(31)는 각 잠금부재(31d)의 표면 중 도어의 실외를 향하는 표면, 즉 실외측 표면에 복수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 형성된다. 각 걸림홈부(31)는 실외측 표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각 잠금부재(31d)의 상하측 단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측 잠금부재(31d) 및 하측 잠금부재(31d)가 삽입되는 삽입공(11d)에는 각각 걸림돌출부(111)가 형성된다. 각 걸림돌출부(111)는 각 삽입공(11d)의 내측면에 대해 돌출되게 형성되며, 물리적 해킹이 발생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각 잠금부재(31d)의 직선 이동경로로부터 이격되어 각 잠금쇠의 직선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다만 중간 잠금부재(31) 및 중간잠금부재가 삽입되는 삽입공(11)에는 도 8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걸림홈부 및 걸림돌출부가 각각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도 7 내지 도 10에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서 좌측 잠금쇠에 포함된 잠금부재 및 이에 대응되는 삽입공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만이 위에 기재되어 있으나, 상측 잠금쇠, 하측 잠금쇠 및 우측 잠금쇠도 좌측 잠금쇠와 마찬가지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이에 대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잠금부재(31,31d)가 삽입공(11,11d)에 삽입되는 록킹위치에서는 잠금쇠가 더욱 삽입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이는 별도의 스토퍼수단에 의해 구현된다. 스토퍼수단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금고에 있어서, 물리적 해킹시도시에 금고의 보안성이 향상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로 한다.
물리적 해킹은 소위 '빠루'라 불리우는 도구를 도어(20)와 함체(10) 사이의 틈에 삽입한 후에 도어(20)를 젖힘으로써 금고를 파괴하는 물리적 해킹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참고로, '빠루'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단부에 못을 제거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도구를 말한다.
해킹자는 먼저 도 9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 및 함체 사이의 틈에 삽입한 후에, 빠루(1)를 화살표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젖힌다. 이와 같이 빠루(1)가 젖혀지면, 도어(20)가 빠루(1)에 의해 함체(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가압되어 도어(20)가 함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20)와 함체(10) 사이의 틈은 더욱 벌어지게 되므로, 도 9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20)에 고정된 하우징(25)도 이동하게 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도어가 찌그러질 수도 있다. 이 때, 도어(20)는 도 9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정 정도 회전도 하게 된다. 참고로, 물리적 해킹은 빠루를 한번 젖힘으로써 완성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여러 번 젖혀 도어(20) 및 함체(10) 사이의 틈을 크게 벌림으로써 완성된다.
이와 같이 물리적 해킹에 의해 하우징(25)이 도어(20)와 함께 이동하면, 하우징(25)도 도어(20)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의 이동 과정에서,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걸림돌출부(111)가 걸림홈부(311)에 걸리게 되므로, 잠금쇠는 후퇴방향, 즉 상측 잠금부재(31d) 및 하측 잠금부재(31d)가 삽입공(11d)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저항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좌측 잠금쇠가 저항하면, 도어(20)가 강제적으로 록킹 해제되면서 개방되지 않게 되므로, 금고의 물리적 해킹에 대한 보안성이 크게 개선된다. 아울러 잠금부재의 변형 및 이에 따른 금고의 파손이 효과적으로 차단되고 금고의 내구성도 크게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측 잠금부재 및 하측 잠금부재 및 그에 대응되는 삽입공에만 각각 걸림홈부 및 걸림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 잠금부재 및 그에 대응되는 삽입공에는 걸림홈부 및 걸림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물리적 해킹이 없는 평상시에 걸림돌출부가 걸림홈부에 걸려서 잠금부재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효과는 중간 잠금부재의 두께를 크게 하거나 중간 잠금부재가 삽입되는 삽입공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예를 들어, 잠금쇠는 제조공차나 사용에 따른 마모 등으로 원래의 작동위치에서 조금 벗어나서 작동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라도 걸림돌출부가 걸림홈부에 삽입되기 이전에 중간 잠금부재의 표면이 삽입공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걸림돌출부 및 걸림홈부의 걸림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걸림홈부 및 걸림돌출부가 각각 잠금부재 및 삽입공에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반대로 걸림홈부는 삽입공의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걸림돌출부는 잠금부재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돌출부는 중간 잠금부재에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중간 잠금부재에도 걸림돌출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 앞선 각 실시예에서는 잠금쇠가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잠금쇠가 회전하여 삽입공에 삽입 및 이탈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잠금쇠가 직선 이동 및 회전이동을 모두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1...함체 11,11d...삽입공
20...도어 21...열쇠뭉치
22...사용자인증부 25...하우징
26...고정플레이트 30...잠금쇠
31,31d...잠금부재 32...매개부재
33...피가압부재 40,40a,40c...가압회전체
41...제1가압회전부재 42...제2가압회전부재
51,52,53,54...홈부 61,62,63,64...삽입부
65,66...가이드돌출부 70...제1회전구동체
71...제1회전구동부재 72...제2회전구동부재
80...제2회전구동체 81,411,421...본체부
82,711,721...피봇부 90...탄성부재
100...금고 111...걸림돌출부
211...열쇠공 311...걸림홈부
412,413,422,423...돌출부 414,424...삽입공
416...가압홈부 417...가압경사부
418...가압평면부 713...가압부
723...결합공 811...기어부
812...가이드면 813,814...가이드홈부

Claims (17)

  1. 내부가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및 상기 함체의 내부를 닫는 닫힘위치 사이에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함체에 결합되는 도어;
    상기 닫힘위치에서 각각 상기 함체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를 록킹하는 록킹위치 및 상기 삽입공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도어의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되, 적어도 한 쌍의 이동방향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잠금쇠;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회전체; 및
    상기 가압회전체의 상기 도어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복수의 잠금쇠가 이동하도록 상기 복수의 잠금쇠 및 가압회전체를 연결하되, 상기 복수의 잠금쇠가 시간차를 두면서 구동되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복수의 잠금쇠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의 홈부; 및
    상기 잠금쇠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상기 가압회전체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홈부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가압회전체의 회전시 상기 복수의 홈부의 내측면을 각각 가압하여 상기 잠금쇠를 구동하는 복수의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회전체의 회전시 상기 복수의 삽입부 중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는 나머지 삽입부와 시간차를 두면서 상기 홈부의 내측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2. 내부가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및 상기 함체의 내부를 닫는 닫힘위치 사이에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함체에 결합되는 도어;
    상기 닫힘위치에서 각각 상기 함체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를 록킹하는 록킹위치 및 상기 삽입공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도어의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되, 적어도 한 쌍의 이동방향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잠금쇠;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회전체; 및
    상기 가압회전체의 상기 도어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복수의 잠금쇠가 이동하도록 상기 복수의 잠금쇠 및 가압회전체를 연결하되, 상기 복수의 잠금쇠가 시간차를 두면서 구동되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잠금쇠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상기 가압회전체에 형성된 복수의 홈부; 및
    상기 복수의 잠금쇠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홈부 각각 삽입되며, 상기 가압회전체의 회전시 상기 복수의 홈부의 내측면에 의해 각각 가압되어 상기 잠금쇠가 구동되도록 하는 복수의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회전체의 회전시 상기 복수의 홈부의 내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은 나머지 내측면과 시간차를 두면서 상기 삽입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홈부의 내측면 중 상기 삽입부에 의해 가압되며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의 상기 가압회전체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단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나머지 삽입부의 상기 가압회전체의 회전중심으로부터의 단부까지의 거리와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삽입부의 상기 가압회전체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단부까지의 거리는 동일하며,
    상기 복수의 홈부 중 적어도 하나의 홈부는 그 홈부의 내측면 중 상기 삽입부에 의해 가압되며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 사이의 거리는, 나머지 홈부의 내측면 중 상기 삽입부에 의해 가압되며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 사이의 거리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부 중 적어도 하나의 홈부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삽입부 중 상기 장공에 삽입되는 삽입부는 상기 가압회전체의 회전과 상기 잠금쇠의 이동 사이에 시간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장공의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내측면과 접촉하며,
    상기 복수의 삽입부 중 상기 장공에 삽입되지 않는 나머지 삽입부는 상기 복수의 홈부 중 상기 장공이 아닌 홈부에 삽입되되, 상기 삽입부는 상기 홈부의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내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잠금쇠는 상호 고정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복수의 잠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공은 상기 각 잠금쇠에 포함된 복수의 잠금부재의 개수에 대응되게 복수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잠금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잠금부재에는, 상기 도어의 실외를 향하는 표면에 상기 표면에 대해 오목한 걸림홈부 또는 상기 표면에 대해 돌출된 걸림돌출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부 또는 걸림돌출부가 형성된 잠금부재가 삽입되는 삽입공에는, 상기 잠금부재의 이동경로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외부에서의 물리적 해킹에 의한 상기 잠금부재의 변형시 상기 걸림홈부의 내측면 또는 걸림돌출부가 걸리는 걸림돌출부 또는 걸림홈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잠금쇠의 복수의 잠금부재 중 하나의 잠금부재에는 상기 걸림홈부 및 걸림돌출부가 형성되지 않고, 나머지 잠금부재에는 상기 걸림홈부 또는 걸림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회전체는 상기 가압회전체의 회전중심축을 따라서 기준위치 및 이격위치 사이에서 왕복 직선 이동 가능하며,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압회전체와 동축적으로 연결되며, 미리 설정된 상대 회전각도 범위 내에서의 회전시 상기 가압회전체에 대해 상대 회전하고 상기 가압회전체는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이격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상대 회전각도 범위를 벗어난 회전각도 범위 내에서의 회전시 상기 가압회전체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가압회전체를 가압하는 제1회전구동체; 및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압회전체와 동축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도어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가압회전체가 회전하도록 상기 가압회전체를 가압하는 제2회전구동체;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가압회전체는 상기 기준위치에서 상기 제2회전구동체의 회전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회전구동체의 회전시 상기 가압회전체 및 제1회전구동체는 함께 회전하며,
    상기 가압회전체는 상기 이격위치에서 상기 제2회전구동체의 회전경로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회전구동체의 회전시 상기 제2회전구동체는 회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구동체 및 가압회전체 중 어느 하나의 요소에는 가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구동체 및 가압회전체 중 다른 하나의 요소에는, 상기 가압회전체의 직선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진 평면이거나 상기 평면에 대해 볼록하거나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된 가압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구동체의 회전시 상기 가압부 및 가압경사부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의해 접촉 가압되어 상기 가압회전체를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이격위치로 직선이동시키는 직선구동력 및 상기 가압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구동체 및 가압회전체 중 상기 가압경사부가 형성된 요소에는 상기 가압경사부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가압회전체의 직선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가압평면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가압회전체가 상기 이격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회전구동체의 회전시 상기 가압평면부는 및 가압부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의해 접촉 가압되어 상기 가압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력만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구동체 및 가압회전체 중 상기 가압경사부가 형성된 요소에는, 가압홈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가압홈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압경사부 및 가압평면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한 쌍씩 형성되되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한 쌍의 가압경사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회전체를 상기 이격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쪽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회전구동체 및 가압회전체에 지지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회전체 및 제2회전구동체 중 어느 하나의 요소에는 가이드면 및 상기 가이드면에 대해 오목한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회전체 및 제2회전구동체 중 다른 하나의 요소에는 상기 기준위치에서 상기 가이드홈부에 삽입되며 상기 이격위치에서 상기 가이드홈부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가압회전체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격위치에 배치된 가압회전체 및 제2회전구동체의 상대 회전시, 상기 가이드돌출부는 상기 가이드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2회전구동체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홈부의 내측면 및 상기 가이드돌출부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의해 접촉 가압되어 상기 가압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출부는 상기 가압회전체에 복수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면 및 가이드홈부는 상기 제2회전구동체에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부는 상기 가이드돌출부의 개수에 대응되게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구동체에는 가압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회전체에는 가압홈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가압홈부의 내측면에는 가압경사부 및 가압평면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한 쌍씩 형성되되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한 쌍의 가압경사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각 가압경사부는 상기 가압회전체의 직선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진 평면이거나 상기 평면에 대해 볼록하거나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가압평면부는 상기 각 가압경사부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가압회전체의 직선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하게 형성되며,
    상기 가압회전체를 상기 이격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쪽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것으로서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회전구동체 및 가압회전체에 지지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회전구동체의 회전시 상기 가압부가 상기 가압경사부를 접촉 가압하여 상기 가압회전체를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이격위치로 직선이동시키는 직선구동력이 발생하고, 상기 가압회전체가 상기 이격위치에 배치된 후 상기 제1회전구동체의 회전시 상기 가압부가 상기 가압평면부를 접촉 가압하여 상기 가압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력이 발생하며,
    상기 제2회전구동체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홈부의 내측면은 상기 삽입부를 접촉 가압하여 상기 가압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17.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회전구동체와 연동하도록 상기 제1회전구동체에 연결되며, 상기 도어의 실외측으로 노출된 열쇠공이 형성되며, 상기 열쇠공에 소정의 열쇠를 넣고 회전시킴으로써 회전구동되는 열쇠뭉치;
    전원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제2회전구동체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 및
    사용자를 인증하며, 상기 사용자의 인증시 상기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인증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KR1020100103816A 2010-10-25 2010-10-25 금고 KR101013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816A KR101013651B1 (ko) 2010-10-25 2010-10-25 금고
PCT/KR2011/001387 WO2012057412A1 (ko) 2010-10-25 2011-02-28 금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816A KR101013651B1 (ko) 2010-10-25 2010-10-25 금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3651B1 true KR101013651B1 (ko) 2011-02-10

Family

ID=43777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816A KR101013651B1 (ko) 2010-10-25 2010-10-25 금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13651B1 (ko)
WO (1) WO20120574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979B1 (ko) * 2017-09-07 2017-12-20 주식회사 카시모 여닫이문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22180B (zh) * 2016-06-06 2018-03-27 栗栋磊 一种组合式防盗结构保险箱
CN106703541A (zh) * 2016-12-23 2017-05-24 宁波安规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控制箱体开闭的集成模块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3538A (ko) * 1997-11-29 1999-06-15 윤종용 냉장고의 잠금장치
KR100625898B1 (ko) 1999-08-06 2006-09-20 주식회사 유니패스 도어용 로크 장치
KR20100075104A (ko) * 2008-12-24 2010-07-02 주식회사 세화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도어개폐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113U (ko) * 1996-12-10 1998-09-15 박병태 금고도어 개,폐장치
KR19990052437A (ko) * 1997-12-22 1999-07-05 정몽규 자동차 도어의 잠금장치
JP2006312816A (ja) * 2005-05-06 2006-11-16 Itoki Corp 収納キャビネ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3538A (ko) * 1997-11-29 1999-06-15 윤종용 냉장고의 잠금장치
KR100625898B1 (ko) 1999-08-06 2006-09-20 주식회사 유니패스 도어용 로크 장치
KR20100075104A (ko) * 2008-12-24 2010-07-02 주식회사 세화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도어개폐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979B1 (ko) * 2017-09-07 2017-12-20 주식회사 카시모 여닫이문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57412A1 (ko)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7889B2 (ja) 移動可能な鍵組み合わせ部材を持つ鍵装置および錠アセンブリー
US9238929B2 (en) Door locking apparatus and an enclosure having the same
WO2001066885A1 (en) Cylinder lock
EP1728944A2 (en) Cylinder lock and associated key
KR101013651B1 (ko) 금고
CN110397351B (zh) 锁芯、锁具及解锁钥匙
US6125674A (en) System consisting of a noncopyable key and a closed cylinder for same
US6397646B1 (en) Door lock
CN113445823B (zh) 锁芯
KR101629188B1 (ko) 도어용 잠금장치
CN111535675B (zh) 具有集成的拨动件的锁
JP6737876B2 (ja) 安全スイッチ
KR101013719B1 (ko) 도어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US7793528B2 (en) Key-operated mechanical lock
CN112796590B (zh) 一种防暴力开启的锁具
CN214786714U (zh) 一种防暴力开启的锁具
KR102588288B1 (ko)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KR20080113628A (ko) 전자식 도어록
KR102318846B1 (ko) 도어락의 멀티 모션 핸들
JP4341750B2 (ja) 携帯型機器の盗難防止用施錠具
KR20110048400A (ko) 도어록 장치
CN211818739U (zh) 指纹锁
KR102261424B1 (ko) 안전도어
CN209990259U (zh) 一种开锁装置
TWI663318B (zh) 滾動式之鎖栓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