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135B1 -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135B1
KR101196135B1 KR1020100045162A KR20100045162A KR101196135B1 KR 101196135 B1 KR101196135 B1 KR 101196135B1 KR 1020100045162 A KR1020100045162 A KR 1020100045162A KR 20100045162 A KR20100045162 A KR 20100045162A KR 101196135 B1 KR101196135 B1 KR 101196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member
lock device
handle housing
door lock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5563A (ko
Inventor
박지순
Original Assignee
박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순 filed Critical 박지순
Priority to KR1020100045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135B1/ko
Publication of KR20110125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도어록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은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잠금쇠와 연결되어 잠금쇠를 구동하는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에 있어서, 도어의 실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하우징; 핸들하우징에 핸들하우징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핸들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는 것에 연동되어 잠금쇠가 구동되도록 잠금쇠에 연결되는 제1클러치부재; 제1클러치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연동위치 및 제1클러치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연동해제위치 사이에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핸들하우징에 결합되며, 연동해제위치쪽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제2클러치부재; 핸들하우징에 고정되며, 제2클러치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제2클러치부재에 연결되는 고정부재; 상기 핸들하우징에 대해 제1방향 및 제1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며, 제1방향으로의 직선이동시 제2클러치부재가 연동위치에 위치하도록 제2클러치부재를 가압하며, 제2클러치부재가 연동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방향에 교차하는 제2방향 및 제2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되 제2클러치부재의 연동위치에의 위치는 유지되며, 제2방향으로의 직선 이동은 고정부재에 걸려 위치가 유지되는 걸림위치까지 가능한 버튼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도어록 장치{Door lock device}
본 발명은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 장치는 일반 가정주택이나 공공건물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관의 출입문이나 은행의 금고, 특정 지역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장치에 도어록 장치가 사용된다.
한편, 최근에는 전기, 전자기술의 발달에 따라 전자태그(RFID), 카드입력, 지문인식, 번호입력 등의 방법으로 모터나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널리 사용되어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도어에 결합되는 모티스와, 도어의 실내측 및 실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실내측부 및 실외측부를 포함한다. 모티스는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구동되며 문설주의 잠금쇠 삽입공에 삽입 및 이탈되어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잠금쇠와, 잠금쇠를 구동하는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한다. 실외측부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모터나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키패드 및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실외측 핸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실내측부는 모터나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 및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실내측 핸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실내에서 나가기 위해서는, 버튼을 누른 후에 실내측 핸들을 회전시켜야만 한다.
한편 화재 등 비상시에는 사람들이 정신적으로 패닉상태에 빠져 있게 되어 버튼을 누른 후에 실내측 핸들을 회전시키지 못하고 계속해서 실내측 핸들만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인명사고가 많이 발생 하였다. 이러한 인명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실내에서는 실내측 핸들만을 회전시키더라도 잠금쇠를 작동시켜 도어를 열고 나갈 수 있는 안티패닉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안티패닉 기능은 실내측 핸들의 회전력을 바로 잠금쇠의 직선 구동력으로 전달하는 구조에 의해 달성되며, 현재 많은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안티패닉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는, 실내측 핸들을 회전시키기만 하면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되므로, 외부 침입자가 드릴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도어에 구멍을 형성한 후에 형성된 구멍에 와이어를 삽입하여 실내측 핸들을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도어가 개방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단지 하나의 부품만을 작동시킴으로써 실내측 핸들 및 잠금쇠를 클러칭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측 핸들 및 잠금쇠가 항상 연동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은 도어의 실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잠금쇠와 연결되어 상기 잠금쇠를 구동하는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실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하우징; 상기 핸들하우징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핸들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는 것에 연동되어 상기 잠금쇠가 구동되도록 상기 잠금쇠에 연결되는 제1클러치부재; 상기 제1클러치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연동위치 및 상기 제1클러치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연동해제위치 사이에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연동해제위치쪽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제2클러치부재; 상기 핸들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제2클러치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2클러치부재에 연결되는 고정부재; 상기 핸들하우징에 대해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방향으로의 직선이동시 상기 제2클러치부재가 상기 연동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클러치부재를 가압하며, 상기 제2클러치부재가 상기 연동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방향에 교차하는 제2방향 및 상기 제2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되 상기 제2클러치부재의 상기 연동위치에의 위치는 유지되며, 상기 제2방향으로의 직선 이동은 상기 고정부재에 걸려 위치가 유지되는 걸림위치까지 가능한 버튼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클러치부재 및 제2클러치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가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클러치부재 및 제2클러치부재 중 다른 하나에는 피가압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동위치에서 상기 핸들하우징의 회전시 상기 가압부의 회전경로는 상기 피가압부의 회전경로와 중첩되며, 상기 연동해제위치에서 상기 가압부의 회전경로는 상기 피가압부의 회전경로와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클러치부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일측면에 대해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클러치부재의 상기 제1클러치부재의 일측면과 대향하는 대향면에는 상기 대향면에 대해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동위치에서 상기 제1클러치부재의 돌출부 및 제2클러치부재의 돌출부는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가압부 및 피가압부는 각각 상기 제2클러치부재의 돌출부 및 제1클러치부재의 돌출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버튼부재 및 고정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재 또는 고정부재에는 상기 버튼부재의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버튼부재의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걸림부가 끼워지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에는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2클러치부재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며 상기 버튼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피가압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단지 버튼부재만을 제1방향 또는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기만 하면 실내측 핸들 및 잠금쇠를 클러칭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측 핸들 및 잠금쇠가 항상 연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어록 장치의 보안성이 향상되며 나아가 안티 패닉 기능도 함께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요부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의 요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누름부재를 누른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각각 누름부재가 제1방향으로 직선이동한 상태 및 제2방향으로 직선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요부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의 요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누름부재를 누른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며, 도 5의 (a) 및 (b)는 각각 누름부재가 제1방향으로 직선이동한 상태 및 제2방향으로 직선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도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잠금쇠를 가지는 모티스와, 도어의 실내측 및 실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실내측부 및 실외측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점은 종래의 도어록 장치와 다를 바 없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실내측 핸들 및 잠금쇠를 클러칭시키거나 실내측 핸들 및 잠금쇠가 항상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실내측 핸들유닛을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종래의 도어록 장치와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의 실내측 핸들유닛은 핸들하우징(10)과, 제1클러치부재(20)과, 제2클러치부재(30)와, 고정부재(40)와, 버튼부재(50)를 구비한다.
핸들하우징(10)은 도어의 실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핸들하우징(10)은 실린더부(11)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실린더부(11)와 연결되는 핸들부(12)와, 핸들부(12)에 결합되는 커버부(13)를 포함한다.
실린더부(11)의 내부에는 제2클러치부재(30) 및 고정부재(40) 등 각종 구성요소가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실린더부(11)는 양측으로 개방된다. 핸들부(12) 및 커버부(13)는 사용자가 잡고 핸들하우징(10)을 회전시키는 부분이다. 또한, 커버부(13)에는 삽입공(131)이 관통 형성된다.
제1클러치부재(20)는 핸들하우징의 실린더부(11)에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즉, 제1클러치부재(20)는 핸들하우징(10)에 대해 상대 회전하기도 하며, 사용자의 조작시에는 핸들하우징(10)과 함께 회전한다. 제1클러치부재(20)는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클러치부재(20)의 일측면에는 샤프트(25)가 삽입되는 삽입공(21)이 형성된다. 삽입공(21)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샤프트(25)는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삽입공(21)에 삽입되는 샤프트(25)의 단부는 삽입공(21)에 맞물리게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샤프트(25)는 실린더부(11)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샤프트(25)는 제1클러치부재(20)와 함께 회전하며, 샤프트(25)의 회전시 잠금쇠(미도시)가 작동하도록 잠금쇠에 연결된다. 이러한 샤프트 및 잠금쇠의 연동구조는 이미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널리 공지된 구조에 해당하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삽입공(21)의 내부에는 압축코일스프링(26)이 삽입되며, 압축코일스프링(26)의 양단부는 각각 삽입공(21)의 내측면 및 샤프트(25)에 접촉 지지된다.
제1클러치부재(20)의 타측면에는 샤프트부(22) 및 4개의 돌출부(23)가 돌출 형성된다. 4개의 돌출부(23)는 샤프트부(22)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샤프트부(22)는 제1클러치부재(20)의 타측면 중앙에 배치되며, 샤프트부(22)는 원형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각 돌출부(23)의 단면은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circle)의 1/4 만큼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돌출부(23)가 타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바, 한 쌍의 돌출부(23) 사이에는 폭이 일정한 홈부(24)이 형성된다.
제2클러치부재(30)는 핸들하우징의 실린더부(11)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2클러치부재(30)에는 제1클러치부재의 샤프트부(22)가 삽입되는 삽입공(31)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제2클러치부재(30)의 일측면, 즉 제1클러치부재(20)와 마주하는 면에는 4개의 돌출부(32)가 삽입공(31)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각 돌출부(32)는 제1클러치부재(20)에 형성된 홈부(2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2클러치부재(30)의 위치에 따라서 제1클러치부재에 형성된 홈부(24)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2클러치부재(30)의 타측면에는 한 쌍의 피가압부(3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 쌍의 피가압부(33) 사이에는 삽입공(31)이 배치된다.
제2클러치부재(30)는 도 3에 도시된 연동해제위치 및 도 4에 도시된 연동위치 사이에서 직선 이동 가능하다.
제2클러치부재(30)가 연동해제위치에 배치되면, 제2클러치부재의 돌출부(32)는 제1클러치부재의 돌출부(23)와 이격되므로, 제2클러치부재의 돌출부(32)의 회전경로와 제1클러치부재의 돌출부(23)의 회전경로는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클러치부재(30)가 회전하더라도 제1클러치부재(20)는 정지한 상태를 유지한다.
제2클러치부재(30)가 연동위치에 배치되면, 제2클러치부재의 돌출부(32)가 제1클러치부재의 홈부(24)에 삽입되므로, 제2클러치부재의 돌출부(32)의 회전경로는 제1클러치부재의 돌출부(23)의 회전경로와 서로 중첩된다. 따라서 제2클러치부재(30)의 돌출부(32)는 그 회전시 제1클러치부재의 돌출부(23)를 가압하며 이에 따라 제1클러치부재(20) 및 제2클러치부재(30)는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제2클러치부재(30)는 압축코일스프링(35)에 의해 연동해제위치쪽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압축코일스프링(35)은 제1클러치부재의 돌출부(23)들 및 제2클러치부재의 돌출부(32)들에 끼워진다. 제1클러치부재(20)는 핸들하우징(10)에 대해 직선이동하지 않게 설치되므로, 압축코일스프링(35)의 탄성력은 항상 제2클러치부재(30)를 제1클러치부재(2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즉 제2클러치부재의 돌출부(32)가 제1클러치부재의 홈부(24)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고정부재(40)는 핸들하우징(10)에 고정되어, 핸들하우징에 대해서는 상대 직선운동뿐만 아니라 상대 회전운동도 하지 않는다. 따라서 핸들하우징(10)의 회전시 고정부재(40)는 핸들하우징(10)과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한다. 고정부재의 평판부(41)에는 제2클러치부재의 한 쌍의 피가압부(33)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공(411)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평판부(41)의 타측면, 즉 제2클러치부재(30)와 마주하지 않는 면에는 한 쌍의 후크부(42)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각 후크부(42)는 평판부(41)의 타측면에 연결되는 연결부(421) 및 연결부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부(422)를 포함한다.
버튼부재(50)는 커버부(13)와 핸들부(12) 사이에 배치되는 평판부(51)와, 커버부의 삽입공(131)에 삽입되는 버튼부(52)를 포함한다. 평판부(51)의 양측에는 각각 홈부(511)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버튼부재(50)는 제1방향 및 제1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왕복 직선 이동 가능하다. 여기서, 제1방향은 도어의 두께방향, 특히 도어의 실내측면에 접근하는 방향을 말한다. 버튼부재(50)를 제1방향으로 누르면, 버튼부재의 평판부(51)는 제2클러치부재의 피가압부(33)를 가압하게 되므로, 제2클러치부재(30)는 연동위치에 배치된다. 이 때, 고정부재의 후크부(42)는 평판부의 홈부(511) 내부에 배치되어 평판부(51)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버튼부재(50)의 연동위치로의 이동에 제한을 가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2클러치부재(30)가 연동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핸들하우징의 핸들부(12)를 잡고 핸들하우징(10)을 회전시키면, 핸들하우징과 함께 제1클러치부재(2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클러치부재(20)에 연결된 샤프트(25)도 함께 회전한다.
한편, 버튼부재(50)는, 버튼부재(50)가 눌려진 때, 즉 버튼부재(50)가 도 5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눌려져 제2클러치부재(30)가 연동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방향 및 제2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다. 여기서, 제2방향은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특히 하방을 의미한다. 버튼부재(50)가 제2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더라도, 버튼부재의 평판부(51)는 계속해서 제2클러치부재의 피가압부(33)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2클러치부재(30)는 계속해서 연동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버튼부재(50)를 제2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면, 도 5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버튼부재의 평판부(51) 일부는 제2클러치부재의 후크부(42)에 끼워지게 되어 사용자가 버튼부재의 버튼부(51)를 누르지 않더라도 버튼부재(50)는 압축코일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후퇴하지 않게 된다. 즉, 버튼부재의 평판부(51) 중 홈부(511)의 위쪽 부분, 즉 걸림부(512)가 후크부(42)의 연장부(422) 및 고정부재의 평판부(41) 사이의 홈부(423)에 끼워지게 되므로, 압축코일스프링(35)의 탄성력이 작용하더라도 버튼부재(50)는 후크부의 연장부(422)에 걸리게 되어 후퇴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제2클러치부재(30)에 대한 가압도 계속 유지되어 제2클러치부재(30)는 연동위치에 계속해서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는, 버튼부재(50)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아무리 핸들하우징(10)을 회전시키더라도 잠금쇠를 작동시킬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버튼부재(50)를 제1방향으로 눌러서 연동위치에 배치시킨 후에 핸들하우징(10)을 회전시키면, 제1클러치부재(20) 및 제2클러치부재(30)가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결국 제1클러치부재(20)에 결합된 샤프트(25)를 회전시킴으로써 잠금쇠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핸들하우징(10)을 회전시키기만 하면 잠금쇠를 작동시킬 수 있는 안티패닉모드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버튼부재(50)를 제1방향으로 눌러 연동위치에 배치시킨 후에 버튼부재(50)를 제2방향으로 직선이동시켜 버튼부재의 걸림부가 고정부재의 후크부에 의해 형성된 홈부에 끼우기만 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안티 패닉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안티 패닉 기능이 구현된 도어록 장치가 가지는 취약성, 즉 도어에 구멍을 형성한 후에 와이어 등을 이용한 해킹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어록 장치의 보아선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10...핸들하우징 11...실린더부
12...핸들부 13...커버부
20...제1클러치부재 21,31,411...삽입공
22...샤프트부 23,32...돌출부
24,423,511...홈부 25...샤프트
30...제2클러치부재 33...피가압부
35...압축코일스프링 40...버튼부재
41,51...평판부 4...후크부
50...버튼부재 52..버튼부
131...삽입공 421...연결부
422...연장부 512...걸림부

Claims (6)

  1. 도어의 실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잠금쇠와 연결되어 상기 잠금쇠를 구동하는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실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하우징;
    상기 핸들하우징에 대해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핸들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는 것에 연동되어 상기 잠금쇠가 구동되도록 상기 잠금쇠에 연결되는 제1클러치부재;
    상기 제1클러치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연동위치 및 상기 제1클러치부재에 대해 회전하는 연동해제위치 사이에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연동해제위치쪽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제2클러치부재;
    상기 핸들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제2클러치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2클러치부재에 연결되는 고정부재;
    상기 핸들하우징에 대해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방향으로의 직선이동시 상기 제2클러치부재가 상기 연동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클러치부재를 가압하며, 상기 제2클러치부재가 상기 연동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방향에 교차하는 제2방향 및 상기 제2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되 상기 제2클러치부재의 상기 연동위치에서의 위치는 유지되며, 상기 제2방향으로의 직선 이동은 상기 고정부재에 걸려 위치가 유지되는 걸림위치까지 가능한 버튼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부재 및 제2클러치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가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클러치부재 및 제2클러치부재 중 다른 하나에는 피가압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동위치에서 상기 핸들하우징의 회전시 상기 가압부의 회전경로는 상기 피가압부의 회전경로와 중첩되며,
    상기 연동해제위치에서 상기 가압부의 회전경로는 상기 피가압부의 회전경로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부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일측면에 대해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클러치부재의 상기 제1클러치부재의 일측면과 대향하는 대향면에는 상기 대향면에 대해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동위치에서 상기 제1클러치부재의 돌출부 및 제2클러치부재의 돌출부는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가압부 및 피가압부는 각각 상기 제2클러치부재의 돌출부 및 제1클러치부재의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 및 고정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재 또는 고정부재에는 상기 버튼부재의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버튼부재의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걸림부가 끼워지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2클러치부재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며 상기 버튼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피가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실내측 핸들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KR1020100045162A 2010-05-13 2010-05-13 도어록 장치 KR101196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162A KR101196135B1 (ko) 2010-05-13 2010-05-13 도어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162A KR101196135B1 (ko) 2010-05-13 2010-05-13 도어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563A KR20110125563A (ko) 2011-11-21
KR101196135B1 true KR101196135B1 (ko) 2012-10-30

Family

ID=45394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162A KR101196135B1 (ko) 2010-05-13 2010-05-13 도어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1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4711B1 (ko) 2016-10-28 2017-09-05 박제상 증속기를 이용한 자가 발전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용이한 도어 핸들형 디지털 도어락
KR101962783B1 (ko) * 2018-04-02 2019-03-27 (주)혜강씨큐리티 디지털 도어록의 다기능 내측 핸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4224A2 (en) * 2012-01-09 2013-08-08 Elbee Pty Ltd. Lever door handle lock
CN106437296B (zh) * 2016-11-03 2018-08-24 广东汇泰龙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反锁的双联动把手锁
CN108457524A (zh) * 2018-05-30 2018-08-28 广东汇泰龙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猫眼开锁功能的门锁
CN111021829A (zh) * 2019-12-09 2020-04-17 中航沈飞民用飞机有限责任公司 一种民机舱门手柄离合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215B1 (ko) 2006-09-05 2008-01-14 주식회사 정화테크 실린더형 레버록의 클러치장치
KR200447937Y1 (ko) 2008-11-06 2010-03-03 주식회사 아이레보 강제해정 방지수단이 마련된 내측 손잡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215B1 (ko) 2006-09-05 2008-01-14 주식회사 정화테크 실린더형 레버록의 클러치장치
KR200447937Y1 (ko) 2008-11-06 2010-03-03 주식회사 아이레보 강제해정 방지수단이 마련된 내측 손잡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4711B1 (ko) 2016-10-28 2017-09-05 박제상 증속기를 이용한 자가 발전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용이한 도어 핸들형 디지털 도어락
WO2018079991A1 (ko) * 2016-10-28 2018-05-03 박제상 증속기를 이용한 자가 발전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용이한 도어 핸들형 디지털 도어락
KR101962783B1 (ko) * 2018-04-02 2019-03-27 (주)혜강씨큐리티 디지털 도어록의 다기능 내측 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563A (ko) 2011-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135B1 (ko) 도어록 장치
KR100679176B1 (ko) 원터치형 도어록
KR101196054B1 (ko)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록 장치
KR101968278B1 (ko)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KR0137881B1 (ko) 카드키를 이용한 시건장치
KR101142425B1 (ko) 도어록 해정장치
KR101833414B1 (ko) 안전래치볼트가 구비된 도어락 모티스
KR100961878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도어록
CA2121583C (en) Mechanical card lock
AU2017383096B2 (en) An electric strike
WO2015090164A1 (zh) 组合锁具
KR200393226Y1 (ko) 모티스 록 장치
KR101164584B1 (ko) 디지털 도어락용 클러치 장치
KR100799932B1 (ko) 도어록 장치
KR20100067217A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KR102318846B1 (ko) 도어락의 멀티 모션 핸들
KR20100008265A (ko) 도어록 장치
KR20110048400A (ko) 도어록 장치
KR102584674B1 (ko) 디지털 도어락 수동 열림 및 해정 기능 상실 장치
KR101105562B1 (ko) 디지털 도어록 장치
TWI663318B (zh) 滾動式之鎖栓結構
KR101127548B1 (ko) 도어록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JPH0752908Y2 (ja) ドア用電気錠
KR20100106012A (ko) 도어록 장치
KR20100005741U (ko) 도어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