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7217A -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7217A
KR20100067217A KR1020080125686A KR20080125686A KR20100067217A KR 20100067217 A KR20100067217 A KR 20100067217A KR 1020080125686 A KR1020080125686 A KR 1020080125686A KR 20080125686 A KR20080125686 A KR 20080125686A KR 20100067217 A KR20100067217 A KR 20100067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haft
handle
slide member
doo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5853B1 (ko
Inventor
윤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1020080125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853B1/ko
Publication of KR20100067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 내측 손잡이를 회전시킴에 따라 문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문 내측 손잡이와 연결되는 제1손잡이 축; 문 외측 손잡이와 연결되고, 상기 제1손잡이 축과 분리된 제2손잡이 축; 상기 제1손잡이 축 또는 제2손잡이 축 상에 설치되고, 손잡이 축을 따라 왕복 이동하며 상기 제1손잡이 축과 상기 제2손잡이 축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드 부재;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 및 인증신호에 의한 모터구동 또는 열쇠동작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이동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문 잠금장치, 클러치

Description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Door Lock Device Having Clutch Structure}
본 발명은 화재 등의 긴급대피 상황에 대비하여 실내에 있는 거주자가 신속하게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문 내측 손잡이의 회전동작으로 문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문 잠금장치의 잠금설정 및 잠금해제 구조를 간소화시킨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출입문에는 제3자의 침입에 대한 주거공간의 안전 또는 사무공간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기계식 또는 전자식 문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실내에서 발생한) 화재 등의 재해나 강도침입 등의 위기상황으로부터 거주자가 신속하게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문 잠금장치의 걸쇠가 문 내측 손잡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안티패닉형(anti-panic type) 잠금장치가 많이 사용된다.
종래 전자식 문 잠금장치(안티패닉형 잠금장치를 포함한다)는 대개 모터를 이용하여 걸쇠를 작동시키는 구조이다. 즉, 종래 전자식 문 잠금장치는 내부에 모터와 걸쇠를 연결하는 복수의 기어와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모터의 회전력을 복수 의 기어와 링크부재를 통해 걸쇠에 전달하여 걸쇠에 의한 잠금동작과 잠금해제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구조는 걸쇠가 문틀에 끼이거나 또는 기어들 간의 맞물림이 불일치한 경우, 모터에 의한 걸쇠가 원활하게 작동되지 않아 외부에서 문을 열고 들어오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문이 자중에 의해 문틀에서 조금 삐뚤어졌거나, 출입문에 충격이 가해져 걸쇠의 위치가 다소 변경된 경우, 모터의 회전력이 걸쇠를 강제 작동시키기에 충분하지 못하면 문 잠금장치의 작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종래 구조는 모터의 회전력을 걸쇠의 직선 왕복 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다수의 감소기어들과 링크부재들을 필요로 하므로, 문 잠금장치의 구조를 복잡하게 만들뿐만 아니라 문 잠금장치의 소형화를 방해한다.
한편, 최근에는 앞에서 잠시 언급한 바와 같이 안티패닉형 잠금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안티패닉형 잠금장치는 문 내측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걸쇠가 작동하는 구조이므로, 인증신호 또는 열쇠동작에 따라 문 외측 손잡이와 문 내측 손잡이의 축을 선택적으로 단단히 결속시킬 수 있다면, 걸쇠가 문틀에 끼인 경우에도 비교적 수월하게 걸쇠를 작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인증신호 또는 열쇠동작에 따라 문 내측 손잡이와 문 외측 손잡이의 축을 선택적으로 결속시킬 수 있는 문 잠금장치의 개발이 적실히 요청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요청에 의한 것으로서, 오작동이 발생하기 쉬운 기어의 사용을 대폭 줄임과 동시에, 출입문이 부정확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출입문이 다소 삐뚤어진 경우에도 걸쇠의 작동을 비교적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는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예에 따르면, 문 내측 손잡이를 회전시킴에 따라 문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에 있어서, 문 내측 손잡이와 연결되는 제1손잡이 축; 문 외측 손잡이와 연결되고, 상기 제1손잡이 축과 분리된 제2손잡이 축; 상기 제1손잡이 축 또는 제2손잡이 축 상에 설치되고, 손잡이 축을 따라 왕복 이동하며 상기 제1손잡이 축과 상기 제2손잡이 축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드 부재;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 및 인증신호에 의한 모터구동 또는 열쇠동작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이동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링크;를 포함하는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본 발명의 한 예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축들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하고, 내부에 상기 손잡이 축들 중 다른 하나의 끝 부분과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수용하며, 둘레에 내부와 소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링크에 의해 밀 려 상기 손잡이 축들 중 다른 하나와 결합할 때 상기 손잡이 축들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결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길게 펼쳐진 곡면형태의 단부를 갖는 제1링크;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상기 제1링크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선택적으로 미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손잡이 축과 상기 제2손잡이 축은 서로 마주하는 끝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원판 형상의 기초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제1손잡이 축 또는 상기 제2손잡이 축에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구멍을 관통하는 복수의 돌기를 갖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문 외측에서의 걸쇠의 작동이 문 외측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므로, 걸쇠가 문틀(정확하게는 스트라이크)에서 벗어난 위치로 돌출되어 걸쇠의 움직이 어려운 경우에도 사용자가 문 외측 손잡이를 강제로 회전시켜 걸쇠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걸쇠를 움직이기 위한 기어구조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기어의 마모 또는 기어들 간의 부정확한 맞물림으로 인한 걸쇠의 오작동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제작 비용이 비싼 기어구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문 잠금장치의 전체적인 제작비용을 낮추고 제작편의를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문 잠금장치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문 내측 손잡이의 회전 시 걸쇠가 작동(잠금 해제 작동)하는 안티 패닉형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문 내측 손잡이에 의해 걸쇠를 작동시키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실시예)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의 주요부분에 대한 정면 및 배면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문 잠금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부재와 하우징과 제2손잡이 축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문 잠금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문 잠금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문 잠금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손잡이 축(10), 제2손잡이축(20), 슬라이드 부재(30), 탄성부재(40, 도 3 참조), 복수의 링크(52, 54), 및 하우징(60)을 포함한다.
제1손잡이 축(10)은 문 내측 손잡이(102)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문(도시되지 않음) 또는 문 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손잡이 축(10)은 문 내측 손잡이(102)와의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 부분이 다각형태의 단면을 갖는 것이 좋다.
제2손잡이 축(20)은 문 외측 손잡이(도시되지 않음)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제1손잡이 축(10)과 마찬가지로 문 또는 문 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다만, 제2손잡이 축(20)은 제1손잡이 축(10)과 분리되어 제1손잡이 축(10)의 회전과 관계없이 독자적으로 회전된다.
하우징(60)은 제1손잡이 축(10)과 제2손잡이 축(20)의 사이에 위치되며, 문 또는 문 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우징(60)은 대체로 양 끝이 개방된 원통 형상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60)의 둘레면에는 제2링크(54)의 한쪽 끝이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개방된 열린 부분(62)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열린 부분(62)의 좌우 양측으로는 링크들(52, 54)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편(6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60)은 볼트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제1손잡이 축(10)과 결합한다. 한편, 하우징(60) 내부의 안쪽 면에는 슬라이드 부재(30)의 요철(36, 도 4 참조)과 맞물리는 요철(61, 도 4 참조)이 형성된다.
슬라이드 부재(30)는 제2손잡이 축(20)의 회전력이 제1손잡이 축(10)에 전달되도록 하는 구실을 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부재(30)는 하우 징(60)의 내부에 설치되며, 링크들(52, 54)의 작동에 의해 하우징(60)의 내부를 축 방향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이동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슬라이드 부재(30)는 제2손잡이 축(20)의 끝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진다. 슬라이드 부재(30)의 끝 부분에는 하우징(60)의 요철(61)과 맞물리는 요철(36)이 형성되고, 슬라이드 부재(30)의 수용공간에는 제2손잡이 축(20)의 끝 부분에 형성된 홈(21)에 끼워지는 돌기(38)가 형성된다(도 4 참조). 따라서, 슬라이드 부재(30)가 하우징(60)의 일 측 끝으로 이동하여 하우징(60) 및 제2손잡이 축(20)과 맞닿으면, 제2손잡이(20)의 회전 시 제2손잡이(20) 및 하우징(60)과 함께 일체로 회전된다.
탄성부재(40, 도 3 참조)는 하우징(60)의 내부에 설치되며, 슬라이드 부재(30)를 일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문 내측 방향)으로 미는 구실을 한다. 즉, 탄성부재(40)는 평상 시 슬라이드 부재(30)가 제2손잡이 축(20) 및 하우징(60)과 맞물려 회전되지 않도록, 슬라이드 부재(30)를 반대편으로 민다.
복수의 링크들(52, 54)은 출입문의 인증수단을 통해 전달된 힘(예를 들어 모터를 포함한 구동체 또는 열쇠조작)으로 슬라이드 부재(30)를 탄성부재(40)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미는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링크들(52, 54)는 하우징(60)의 지지편(6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복수의 링크들(52, 54) 중 제1링크(52)는 외부로부터의 힘(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체(70))에 의해 일정 각ㄷ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제2링크(54)는 제1링크(52)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제1링크(52)의 일 단은 하우징(60)의 회전 시에도 외부로부터의 힘을 변함없이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우징(60)의 둘레면과 대체로 평행한 곡선형태이며, 타 단 은 제2링크(54)의 일 단과 맞닿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제2링크(54)의 타 단은 제1링크(52)에 회전될 때 슬라이드 부재(30)를 밀 수 있도록 하우징(60)의 내측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링크들(52, 54)은 구동체(70)에 의해 힘을 받으면, 슬라이드 부재(30)가 제2손잡이 축(20) 및 하우징(60)과 맞닿도록 슬라이드 부재(30)를 일 방향으로 민다.
한편, 구동체(70)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기구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구동체(70)는 문 외측에 설치된 문 잠금장치의 인증부로부터 인증신호(예를 들어 올바른 비밀번호 입력)가 입력되거나 일치하는 열쇠가 입력되면, 제1링크(52)의 일단을 누르도록 작동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적으로 움직이는 구동체(70)를 도시하였다. 그라나, 수동식 문 잠금장치 또는 전자식과 수동식 기능을 모두 갖춘 문 잠금장치의 경우, 열쇠동작(회전 동작)에 의해 제1링크(52)의 일단을 누르는 기구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 잠금장치의 동작상태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 시 제1손잡이 축(10)과 제2손잡이 축(20)은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부재(30)는 제2손잡이 축(20) 및 하우징(60)과 맞물려 있지 않다(도 6의 (a) 참조). 따라서, 평상 시에는 사용자가 문 외측에서 제2손잡이 축(20)과 연결된 문 외측 손잡이를 돌려도 제2손잡이 축(20)만 회전될 뿐 제1손잡이 축(10)은 회전되지 않으므로, 제1손잡이 축(10)과 기구적으로 연결된 걸쇠를 작동시킬 수 없다.
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 외측에서 인증신호 또는 열쇠동작이 감지되면, 구동체(70)가 제1링크(52)의 일단을 누른다. 그러면, 제2링크(54)의 일단이 제1링크(52)의 타단에 들어올려지고, 제2링크(54)의 타단이 슬라이드 부재(30)를 문 바깥쪽으로 밀어, 슬라이드 부재(30)가 제2손잡이 축(20) 및 하우징(60)과 동시에 맞물리게 된다(도 6의 (b) 및 (c) 참조). 결국 이러한 상태는 하우징(60)과 결합한 제1손잡이 축(10)과 슬라이드 부재(30)와 결합한 제2손잡이 축(20)이 서로 연결된 구조가 되므로, 제2손잡이 축(20)의 회전 시 제2손잡이 축(10)이 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문 외측에서 인증신호 또는 열쇠동작이 감지되면, 제2손잡이 축(20)를 돌려 제1손잡이 축(10)과 연동되는 걸쇠를 확실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의 주요부분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9은 도 8에 도시된 문 잠금장치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문 잠금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문 잠금장치는 제1손잡이 축(10), 제2손잡이 축(20), 슬라이드 부재(30), 탄성부재(40), 및 하우징(202)을 포함하는 구성이나, 슬라이드 부재(30)의 형태에서 있어서 제1실시예와 큰 차이점을 갖는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링크 구성을 생략하였다.
제1손잡이 축(10)과 제2손잡이 축(20)은 일측 끝에 원판형태의 기초부(12, 22)를 각각 구비한다. 각각의 기초부(12, 22)에는 다수의 구멍(14, 24)이 형성된다. 한편, 기초부들(12, 22)의 구멍들(14, 24)은 서로 맞대응 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슬라이드 부재(30)는 대체로 원판형태로서, 제1손잡이 축(10)이 끼워지는 구멍(34)과 기초부들(12, 22)의 구멍들(14, 24)을 관통하는 봉형상의 돌기(32)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부재(30)는 제1손잡이 축(10)에 설치되며, 제1손잡이 축(10)을 따라 왕복이동할 수 있다.
탄성부재(40)는 제1손잡이 축(10)의 기초부(12)와 슬라이드 부재(30)에 사이에 설치된다. 탄성부재(40)는 슬라이드 부재(30)를 문 안쪽(즉, 제2손잡이 축(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미는 구실을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위 구성요소들(10, 20, 30, 4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2)을 매개로 문 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쇠(도시되지 않음)를 작동시키는 기구부재들과 연결된다.
다음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를 간략히 설명한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 시의 슬라이드 부재(30)는 제2손잡이 축(20)과 접촉하지 않으며, 돌기들(32)이 제1손잡이 축(10)의 구멍들(14)만을 관통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체(70) 또는 열쇠동작에 의해 링크들(도시되지 않음)이 슬라이드 부재(30)를 문 외측(도 9 기준으로 오른쪽 방 향)으로 밀면,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30)의 돌기들(32)이 제2손잡이 축(20)의 구멍들(24)을 관통하게 된다.
위와 경우는 슬라이드 부재(30)의 돌기들(32)이 제1손잡이 축(10)과 제2손잡이 축(20)의 구멍들(14, 24)을 동시에 관통한 상태가 되므로, 제2손잡이 축(20)의 회전력이 제1손잡이 축(10)에 그대로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제2실시예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간단한 기구동작에 의해 제1손잡이 축(10)과 제2손잡이 축(20)이 연결되므로, 제2손잡이 축(20)에 의해 걸쇠를 쉽게 작동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제1손잡이 축(10)과 제2손잡이 축(20)을 연결하므로, 제품의 생산가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는 단순히 슬라이드 부재(30)의 돌기(32)와 손잡이 축들(10, 20)의 구멍(14, 24) 수를 늘림으로써, 손잡이 축들(10, 20) 간의 회전력 전달 크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의 주요부분에 대한 정면 및 배면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문 잠금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부재와 하우징과 제2손잡이 축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문 잠금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문 잠금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의 주요부분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9은 도 8에 도시된 문 잠금장치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문 잠금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문 잠금장치 102: 손잡이
10: 제1손잡이 축 12: 기초부
14: 구멍 20: 제2손잡이 축
21: 홈 22: 기초부
24: 구멍
30: 슬라이드 부재 32; 돌기
36: 요철 38: 돌기
40: 탄성부재 52: 제1링크
54: 제2링크 60: 하우징
61: 요철 62: 열린 부분
70: 구동체

Claims (4)

  1. 문 내측 손잡이를 회전시킴에 따라 문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에 있어서,
    문 내측 손잡이와 연결되는 제1손잡이 축;
    문 외측 손잡이와 연결되고, 상기 제1손잡이 축과 분리된 제2손잡이 축;
    상기 제1손잡이 축 또는 제2손잡이 축 상에 설치되고, 손잡이 축을 따라 왕복 이동하며 상기 제1손잡이 축과 상기 제2손잡이 축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드 부재;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 및
    인증신호에 의한 모터구동 또는 열쇠동작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이동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링크;를 포함하는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축들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하고, 내부에 상기 손잡이 축들 중 다른 하나의 끝 부분과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수용하며, 둘레에 내부와 소통하는 열린 부분이 형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링크에 의해 밀려 상기 손잡이 축들 중 다른 하나와 결합할 때 상기 손잡이 축들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길게 펼쳐진 곡면형태의 단부를 갖는 제1링크;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상기 제1링크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선택적으로 미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손잡이 축과 상기 제2손잡이 축은 서로 마주하는 끝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원판 형상의 기초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제1손잡이 축 또는 상기 제2손잡이 축에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구멍을 관통하는 복수의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KR1020080125686A 2008-12-11 2008-12-11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KR101595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686A KR101595853B1 (ko) 2008-12-11 2008-12-11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686A KR101595853B1 (ko) 2008-12-11 2008-12-11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217A true KR20100067217A (ko) 2010-06-21
KR101595853B1 KR101595853B1 (ko) 2016-02-19

Family

ID=42365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686A KR101595853B1 (ko) 2008-12-11 2008-12-11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8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5135A1 (ko) * 2010-07-30 2012-02-02 주식회사 아이레보 클러치 연결이 용이한 전자식 문 잠금장치
CN103114764A (zh) * 2013-02-06 2013-05-22 杭州双华智能家居有限公司 智能门把手
AU2014216016B2 (en) * 2010-07-30 2015-11-12 Irevo, Inc. Electronic door lock device for connecting clutch easi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2801U (ko) * 1996-08-26 1998-06-05 강의식 괘정시 외부레버가 공회전 하도록 된 도어록
KR200284452Y1 (ko) * 2002-05-02 2002-08-03 하수홍 도어록의 해정장치
KR20030042091A (ko) * 2001-11-21 2003-05-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성 임무 관리 시스템, 이를 이용한 위성 관제 시스템 및위성 관제 방법
KR100514116B1 (ko) * 2003-06-17 2005-09-13 엘에스전자 주식회사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2801U (ko) * 1996-08-26 1998-06-05 강의식 괘정시 외부레버가 공회전 하도록 된 도어록
KR20030042091A (ko) * 2001-11-21 2003-05-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성 임무 관리 시스템, 이를 이용한 위성 관제 시스템 및위성 관제 방법
KR200284452Y1 (ko) * 2002-05-02 2002-08-03 하수홍 도어록의 해정장치
KR100514116B1 (ko) * 2003-06-17 2005-09-13 엘에스전자 주식회사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5135A1 (ko) * 2010-07-30 2012-02-02 주식회사 아이레보 클러치 연결이 용이한 전자식 문 잠금장치
AU2011283430B2 (en) * 2010-07-30 2014-09-25 Irevo, Inc. Electronic door lock device for connecting clutch easily
AU2014216016B2 (en) * 2010-07-30 2015-11-12 Irevo, Inc. Electronic door lock device for connecting clutch easily
CN103114764A (zh) * 2013-02-06 2013-05-22 杭州双华智能家居有限公司 智能门把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5853B1 (ko) 2016-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3831B1 (ko) 패닉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EP2985397B1 (en) Mortise lock
KR101142425B1 (ko) 도어록 해정장치
WO2008135964A1 (en) Mortise lock with dead bolt release
KR101086261B1 (ko) 디지털 도어록
CN210738299U (zh) 提升组装性和操作稳定性的榫眼
KR20100067217A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KR200456588Y1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KR100516150B1 (ko) 도어락장치의 레버 어셈블리
US20080216531A1 (en) Locking apparatus
KR200456973Y1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KR100674684B1 (ko) 이중잠금 자동해제기능을 갖는 전자도어락
TWI663316B (zh) 基於單次控制之鎖栓長距傳動之鎖閘結構
US20050092040A1 (en) Door lock with a coupling mechanism for simultaneous movement of latch bolt and deadbolt
KR100976818B1 (ko) 자동 도어락 장치
KR20110130545A (ko)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록 장치
KR102203195B1 (ko) 실내 해정식 디지털 도어락
TWI673421B (zh) 具多功能模組更換之鎖閘結構
CN107975305B (zh) 门锁用的内侧操作装置
KR100799932B1 (ko) 도어록 장치
WO2008147118A2 (en) Door lock device
JP4530800B2 (ja) 施解錠装置
GB2613770A (en) A lock
KR200463035Y1 (ko) 안티패닉형 도어락의 내측 손잡이 구조체
KR102136225B1 (ko) 인디케이터형 도어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