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932B1 -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932B1
KR100799932B1 KR1020070001902A KR20070001902A KR100799932B1 KR 100799932 B1 KR100799932 B1 KR 100799932B1 KR 1020070001902 A KR1020070001902 A KR 1020070001902A KR 20070001902 A KR20070001902 A KR 20070001902A KR 100799932 B1 KR100799932 B1 KR 100799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ember
door
locking
handl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1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순
Original Assignee
박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순 filed Critical 박지순
Priority to KR1020070001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를 록킹 및 록킹 해제하는 데드볼트; 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도어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핸들; 핸들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핸들에 결합되며, 제1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회전부재; 제1회전부재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제1회전부재에 결합되며, 제1회전부재와 함께 일방향으로의 회전시 데드볼트가 도어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도록 데드볼트에 연결되며, 제2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회전부재; 및 가압부 및 슬라이딩부를 가지며,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 중 어느 하나의 수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압부 및 슬라이딩부 중 적어도 하나가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 중 다른 하나의 수용부의 내측면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며, 제1회전부재의 상기 일방향으로의 회전시, 걸림부재의 가압부가 다른 하나의 수용부의 일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제2회전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회전부재의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시, 슬라이딩부가 다른 하나의 수용부의 타 내측면에 대해 슬라이딩되어 제2회전부재가 회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록 장치{Door lock device}
도 1은 종래의 일례에 따른 도어록 장치를 실내측에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데드볼트의 왕복이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티스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3의 Ⅳ-Ⅳ선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로서, 패닉수단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가 그 도어록 장치가 설치된 도어와 반대 방향으로 열리는 도어에 설치 가능한 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에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도어 10...데드볼트
11...구동부재 20...핸들
21...비틀림스프링 30...제1회전부재
31...돌기 32...결합부
33...제1수용부 34...제1수용홈부
40,40a...제2회전부재 41,71...기어부
42...샤프트부 43...제2수용부
44...제2수용홈부 46...결합홀
47...돌출부 48...압압부
49...연장부 50...걸림부재
51...곡면부 52...가압부
53...슬라이딩부 60...탄성부재
70...제3회전부재 72...가압부
100,100a...도어록 장치 120...실내측 하우징
본 발명은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측에서 핸들을 회전시키기만 하면 도어의 록킹이 해제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 장치는 일반 가정주택이나 공공건물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관의 출입문이나 은행의 금고, 특정 지역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장치에 도어록 장치가 사용된다.
한편, 최근에는 전기, 전자기술의 발달에 따라 전자태그(RFID), 카드입력, 지문인식, 번호입력 등의 방법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도어록 장치가 널리 사용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록 장치(100')는, 일반적으로 도어(1)에 삽입되는 모티스(110)와, 도어(1)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실내측 하우징(120)과, 도어(1)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측 하우징(미도시)을 구비한다.
모티스(11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111)와, 도어(1)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데드볼트(10)와, 케이스(1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데드볼트(10)를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재(11)를 구비한다. 구동부재(11)에는 압압부(11a) 및 관통공(11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부재(11)는 모터 등과 같은 구동원(미도시)에 연결되어 있어, 구동원에 입력신호가 인가되어 구동되면, 구동부재(11)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부재의 압압부(11a)가 데드볼트(10)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데드볼트(10)가 문설주(2)에 형성된 데드볼트공(2a)에 삽입 및 이탈되며, 이에 따라 도어(1)가 록킹 및 록킹해제되게 된다.
실내측 하우징(120)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내측 하우징(120)에 대해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핸들(20)과, 구동원에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121)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실내측 하우징(12)에는 돌림부재(12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돌림부재(122)에는, 구동부 재의 관통공(11b)에 삽입되는 샤프트(미도시)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비상시에, 예를 들어 배터리가 모두 다 소모되어 버튼(121)을 눌러도 모터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나 화재 등에 의해 버튼, 모터 등이 파손된 경우에 있어서는, 돌림부재(122)를 돌려서 구동부재(11)를 회전시키면, 데드볼트(10)가 움직이게 되어 도어(1)의 록킹이 해제된다.
실외측 하우징(미도시)에는, 실외측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손잡이와, 구동원을 구동시키는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구동신호 발생부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신호 발생부는 실외측 하우징 표면에 형성된 번호입력부 또는 지문감지부 등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실내측에서 도어(1)를 열고 나가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버튼(121)을 눌러서 모터를 작동시키거나 돌림부재(122)를 돌린 후에, 핸들(20)을 돌리면서 도어(1)를 열게 된다. 그리고, 실외측에서 도어(1)를 열고 들어가기 위해서도, 예를 들어 번호를 입력하여 모터를 작동시킨 후에, 손잡이를 돌리면서 도어(1)를 열게 된다. 이와 같이, 핸들(20)이나 손잡이는 실질적으로 데드볼트(10)를 이동시키는 역할은 하지 못하나, 사용자는 도어(1)를 열 때에 본능적으로 또는 습관적으로 핸들(20)이나 손잡이를 돌리게 된다. 결국, 도어(1)를 열기 위해서 사용자는 데드볼트(10)를 움직이기 위한 1차 동작, 예를 들어 번호를 입력하거나 버튼(121)을 누르는 등의 동작을 한 후에 2차 동작으로서 핸들(20)이나 손잡이를 돌린다.
그런데, 비상시, 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하거나 지진 등이 발생한 경우에는 실내측에 있는 사람은 정신적으로 패닉상태에 빠져 있게 되므로, 상술한 1차 동작, 즉 버튼(121)을 누르거나 돌림부재(122)를 돌려서 도어(1)의 록킹을 해제하지 못하고 오로지 2차 동작, 즉 핸들(20)을 돌리기만 한다. 따라서,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지 못하고 실내측에 있는 사람이 갇히게 되어 인명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의 도어록 장치와는 달리, 사용자의 본능 또는 습관과 일치할 뿐만 아니라 한번의 동작, 즉 도어의 핸들(20)을 돌리기만 하면 바로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면서 도어(1)를 열고 나갈 수 있도록 하는 도어록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측에서 핸들을 회전시키기만 하면 도어의 록킹이 해제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되어 도어의 록킹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상시에도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 피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도어를 록킹 및 록킹 해제하는 데드볼트; 상기 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핸들; 상기 핸들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에 결합되며, 제1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회전부재; 상기 제1회전부재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도 록 상기 제1회전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1회전부재와 함께 일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도어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도록 상기 데드볼트에 연결되며, 제2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회전부재; 및 가압부 및 슬라이딩부를 가지며, 상기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 중 어느 하나의 수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압부 및 슬라이딩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 중 다른 하나의 수용부의 내측면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회전부재의 상기 일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걸림부재의 가압부가 상기 다른 하나의 수용부의 일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2회전부재가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회전부재의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다른 하나의 수용부의 타 내측면에 대해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2회전부재가 회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3의 Ⅳ-Ⅳ선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로서, 패닉수단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가 그 도어록 장치가 설치된 도어와 반대 방향으로 열리는 도어에 설치 가능한 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100)는 데드볼트(10) 와, 핸들(20)과, 패닉수단을 구비한다.
데드볼트(10)는 도어(1)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데드볼트(10)는, 종래 기술에서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된 구동부재(11)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1)의 실외측에 마련된 번호입력부에 소정의 번호를 입력하면, 모터의 작동에 의해 구동부재(11)가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어(1)가 록킹 및 록킹 해제된다. 한편, 도 3에는, 도어(1)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측 하우징과, 그 실외측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와, 번호입력부 등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핸들(20)은 도어(1)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실내측 하우징(120)에 설치된다. 핸들(20)은 스냅링(미도시)에 의해 실내측 하우징(1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핸들(20)에는 육각형 형상의 삽입공(201)이 형성되어 있다. 실내측 하우징(120)은 도어(1)의 실내측에 고정되어 있다. 실내측 하우징(120)에는 돌기(1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내측 하우징(120)과 후술하는 제1회전부재(30) 사이에는 비틀림스프링(21)이 설치된다. 비틀림스프링(21)은 그 일단부가 돌기(121)에 접촉지지되며 그 타단부가 제1회전부재의 돌기(31)에 접촉지지되도록 설치된다. 핸들(20)이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회전된 후에 놓게 되면, 핸들(20)은 비틀림스프링(2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 3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복귀된다.
패닉수단은 핸들(20)을 일방향,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만 데드볼트(10)가 도어(1)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되 어 도어(1)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핸들(20)을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시킨 후에 그 일방향의 반대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탄성복원되면 데드볼트(10)가 몰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도어(1)의 록킹 해제상태가 유지된다.
패닉수단은 제1회전부재(30)와, 제2회전부재(40)와, 걸림부재(50)와, 탄성부재(60)를 구비한다.
제1회전부재(30)는 핸들(20)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핸들(20)에 고정된다. 즉, 제1회전부재(30)에는 핸들의 삽입공(201)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육각형 형상의 결합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32)가 삽입공(201)에 삽입되어 제1회전부재(30)가 핸들(20)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1회전부재(30)에는 제1수용부(33)와, 제1수용홈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제1수용부(33) 및 제1수용홈부(34)는 각각 제1회전부재(3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1수용부(33) 및 제1수용홈부(34)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2회전부재(40)는 제1회전부재(30)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2회전부재(40)는 후술하는 걸림부재(50)를 매개로 제1회전부재(30)와 연결되어 있어, 제2회전부재(40)는 제1회전부재(30)의 일방향,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시 제1회전부재(30)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회전부재(30)의 일방향과 반대방향, 즉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시에는 회전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2회전부재(40)가 제1회전부재(30)와 함께 회전시, 데드볼트(10)가 도어(1)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도어(1)의 록킹이 해제된다.
제2회전부재(40)에는 기어부(41)와, 제2수용부(43)와, 제2수용홈부(44)와, 원형홈부(45)와, 결합홀(46)이 형성되어 있다.
기어부(41)는 제2회전부재(40)의 회전중심축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치(齒)를 포함한다. 기어부(41)는 모터의 출력축에 결합된 베벨기어(미도시)와 기어결합된다. 따라서, 실외측 하우징에 마련된 번호입력부에 소정의 번호를 입력하여 인증을 얻으면, 모터가 작동하게 되어 제2회전부재(4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제2수용부(43) 및 제2수용홈부(44)는 각각 제2회전부재(4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 서로 동일한 곡률중심을 가지는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수용부(43)와 제2수용홈부(44) 사이에는 스토퍼부(431)가 형성되어 있다.
원형홈부(45)는 제2수용부(43) 및 제2수용홈부(44)를 제외한 제2회전부재(4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된다.
결합홀(46)은 제2회전부재(40)에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홀(46)에는 결합홀(46)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샤프트(42)가 삽입된다. 그리고 샤프트(42)의 단부는 구동부재의 결합공(11b)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공(11b)에 끼워진다. 제2회전부재(40)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시 샤프트(42)도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샤프트(42)에 연결된 구동부재(11)도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부재의 압압부(11a)가 데드볼트(10)를 가압하여 데드볼트(10)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걸림부재(50)는 제1수용부(33) 및 제2수용부(43) 중 어느 하나의 수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부재(50)의 일측이 제2수용부(43)에 수용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걸림부재(50)의 타측은 후술하는 탄성부재(60)에 의해 제1수용부(33) 및 제2수용부(43) 중 다른 하나의 수용부의 내측면에 맞물리도록 탄성바이어스되어 있으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걸림부재(50)의 슬라이딩부가 제1수용부(33)의 내측면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걸림부재(50)는 걸림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곡면부(51)와, 걸림부재의 타측에 형성된 가압부(52) 및 슬라이딩부(53)와, 걸림부재의 중앙에 형성된 홈부(54)를 구비한다.
곡면부(51)는 제2수용부(43)와 동일한 곡률중심을 가지는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곡면부(51)는 제2수용부(43)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곡면부(51)가 제2수용부(43)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걸림부재(50)는, 곡면부(51)가 제2수용부(43)의 내측면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수용부(43)의 곡률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 걸림부재(50)는 도 4에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회전부재의 스토퍼부(431)와 접촉하는 제1위치와, 도 4에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수용부(33)의 내측면과 맞물리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가압부(52)는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가압부(52)는 제1회전부재(30)가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일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제1수용부(33)의 일 내측면에 의해 제1회전부재(30)의 회전방향으로 가압된다. 그리고, 가압부(52)가 가 압되는 동안, 곡면부(51)가 제2수용부(43)의 내측면을 가압하게 되어 제2회전부재(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멘트가 발생하게 되므로, 제2회전부재(40)는 제1회전부재(30)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슬라이딩부(53)는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딩부(53)는 제1회전부재(30)가 일방향의 반대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제1수용부(33)의 타 내측면에 대해 슬라이딩된다. 즉, 제1회전부재(30)가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후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슬라이딩부(53)가 제1수용부(33)의 타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걸림부재(50)가 스토퍼부(431)와 접촉하는 제2위치에 위치하게 됨과 동시에 슬라이딩부(53)가 제1수용부(33)의 타 내측면에 대해 슬라이딩되게 되어, 제1회전부재(30)가 회전하더라도 제2회전부재(40)는 회전하지 않고 그 위치가 유지된다. 즉, 슬라이딩부(53)는 제1회전부재(30)가 복귀하여 도 5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회전부재(30)의 내주면과 접촉하게 된다.
탄성부재(60)는 외주면 일부가 절개되어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탄성부재(60)는 반경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탄성부재(60)는 걸림부재의 홈부(54) 및 제2회전부재의 홈부(45)에 함께 끼워진다. 그리고, 탄성부재(60)는 걸림부재의 홈부(54)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곡면부(51)가 제2수용부(43)의 내측면에 접촉시킨다. 이와 같이 곡면부(51)가 제2수용부(43)의 내측면에 접촉하도록 가압되어 있어서, 결국 걸림부재의 가압부(52) 및 슬라이딩부(53) 중 적어도 하나가 제1수용부(33)의 내측면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60)는 걸림부재의 슬라이딩부(53)가 제1수용부(33)의 내측면에 맞물리도록 탄성바이어스시킨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100)에 있어서, 핸들(20)을 돌려서 도어(1)의 록킹을 해제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데드볼트(10)가 문설주에 형성된 데드볼트공(2a)에 삽입되어 도어(1)가 록킹된 상태에서는, 제1회전부재(30), 제2회전부재(40) 및 걸림부재(5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실내에서 도어의 록킹을 해제하여 도어를 열기 위해서, 핸들(20)을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제1회전부재(30)는 핸들(20)과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핸들(20)과 제1회전부재(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회전부재(30)가 회전하게 되면, 제1회전부재의 회전 과정에서 걸림부재의 가압부(52)가 제1회전부재의 제1수용부(33)의 일 내측면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가압되므로, 곡면부(51)가 제2수용부(43)의 내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곡면부(51)가 제2수용부(43)의 내측면을 가압하게 되면, 제2회전부재(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멘트가 발생하게 되므로, 제2회전부재(40)는 걸림부재(50)에 의해 발생되는 모멘트에 의해 제1회전부재(30)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들(20)을 회전시키면, 제1회전부재(30) 및 제2회전부재(40)가 핸들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회전부재(40)를 회전시키면, 샤프트(42)도 회전하게 되므로, 결국 샤프트(42)에 연결된 구동부재(11)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데드볼트(10)를 도어(1)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도어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1)의 록킹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비틀림스프링(21)이 탄성변형된 상태에 있게 되며, 이 후에 핸들(20)을 놓게 되면, 비틀림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핸들이 도 3에 도시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핸들(20)의 복귀 과정에서는, 걸림부재의 슬라이딩부(53)가 제1회전부재의 제1수용부(33)의 타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제2위치에 위치함과 동시에 슬라이딩부(53)가 제1수용부(33)의 타 내측면에 대해 슬라이딩되게 되므로, 제2회전부재(40)를 핸들(20)의 복귀 방향, 즉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멘트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1회전부재(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걸림부재(50)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제2회전부재(40)는 회전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회전부재(40)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도어의 록킹 해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도어(1)를 열고 난 후에, 핸들(20)을 놓더라도 핸들(20)만이 제자리로 회전할 뿐 데드볼트(10)는 움직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어의 록킹을 해제한 후에, 도어를 닫게 되면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공지의 자동잠금수단에 의해 도어를 다시 록킹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문설주에 마그네틱부를 설치하고, 도어가 닫힐 때 마그네틱부를 감지하여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부를 도어에 설치하면, 감지부의 구동신호를 모터에 입력시켜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구동부재(11)를 회전시켜 데드볼트를 도어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어를 다시 록킹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100)는 도어(1)가 열리는 방향에 따라 그 도어(1)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며,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도어가 열리는 방향에 따라 핸들(2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후에 도어(1)를 열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1)가 열리는 방향에 따라 도어록 장치의 세팅, 특히 핸들(20)의 회전 방향이 달라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걸림부재(50) 및 탄성부재(60)를 분리하여 뒤집고 탄성부재(60)를 걸림부재의 홈부(54) 및 제2회전부재의 홈부(45)에 끼운 후,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걸림부재(50)를 제2회전부재의 제2수용홈부(44)에 회전 가능하며 제1회전부재의 제1수용홈부(34)의 내측면에 맞물리도록 설치하기만 하면, 재설치 전에는 핸들(20)을 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만 도어(1)의 록킹을 해제시킬 수 있었던 것과 달리 그 재설치 후에는 핸들(2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만 도어의 록킹을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걸림부재(50)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재설치되면, 걸림부재의 곡면부(51)가 제2수용홈부(44)의 내측면과 접촉하며 걸림부재의 가압부(52) 및 슬라이딩부(53)가 제1수용홈부(34)의 내측면과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핸들(2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부재의 가압부(52)가 제1수용홈부(34)의 일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제2회전부재(40)가 시 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도어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1)의 록킹을 해제한 후, 핸들(20)을 놓게 되면, 핸들의 복귀 과정에서 걸림부재의 슬라이딩부(53)가 제1수용홈부(34)의 타 내측면에 대해 슬라이딩되게 되어 제2회전부재(40)가 회전하지 않고 정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좌측에 힌지부(미도시)가 마련된 도어에 도 3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100)가 설치된 경우에 도어록 장치(100)를 우측에 힌지부가 마련된 도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어록 장치(100)를 좌측에 힌지부가 마련된 도어로부터 분리한 후에, 핸들(20)을 실내측 하우징(120)으로부터 분리하여 180˚ 회전시켜 다시 실내측 하우징(120)에 결합하고, 그 후 걸림부재(50)를 탄성부재(60)로부터 분리하여 뒤집어서 제2회전부재의 제2수용홈부(44)에 회전 가능하며 제1수용홈부(34)에 맞물리도록 설치한 후에 핸들(30)의 회전방향이 변경된 도어잠금장치(100)를 우측에 힌지부가 마련된 도어에 새롭게 설치하기만 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종래에 1차 동작 및 2차 동작을 순차적으로 행한 후에 도어를 열 수 있었던 것과 달리, 실내측에서 핸들(20)을 돌리기만 하면 도어(1)의 록킹을 해제하여 그 도어(1)를 열고 나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어의 록킹 해제 과정이 종래에 비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내측에 있는 사람이 비상시, 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비록 정서적으로 패닉 상태에 빠지는 경우라도 단순히 핸들만을 돌림으로써 도어를 열 수 있게 되므로, 인명 피해를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는 이점도 있다.
그리고, 도어록 장치를 도어의 개폐방향에 따라 도어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 치하기 위해서 도어록 장치, 특히 핸들의 회전방향을 새롭게 세팅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걸림부재(50)를 제1수용부(33) 및 제2수용부(43)에 또는 제1수용홈부(34) 및 제2수용홈부(44)에 설치하기만 하면 되는 간편한 방식으로 핸들의 회전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걸림부재가 1개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걸림부재가 복수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걸림부재(50)는 한 쌍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1회전부재(30)에는 제1수용부(33)가 각 걸림부재(50)에 대응되도록 한 쌍 형성되어 있으며, 제2회전부재(40)에는 제2수용부(43)가 각 걸림부재(50)에 대응되도록 한 쌍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걸림부재(50)의 일측은 각 제2수용부(4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각 걸림부재(50)의 타측은 각 제1수용부(33)의 내측면에 맞물리도록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걸림부재(50)가 한 쌍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제1회전부재(30)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시 각 걸림부재의 곡면부(51)가 제2회전부재의 제2수용부(43)의 내측면을 가압하게 되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도어록 장치에 비해 제2회전부재(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멘트가 더 많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제1회전부재(30)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시 제2회전부재(40)를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회전부재에 기어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어부를 가지는 제3회전부재가 제2회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100a)에 있어서, 제2회전부재(40a)에는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나, 돌출부(47), 압압부(48) 및 연장부(49)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7)는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돌출부(47)의 중앙에는 결합홀(46)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압압부(48)는 돌출부(47)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49)는 압압부(48)의 단부로부터 돌출부(47)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부분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100a)에는 제3회전부재(7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제3회전부재(70)는 제2회전부재(40a)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제2회전부재의 돌출부(47)에 끼워진다. 제3회전부재(70)와 제2회전부재(40a)는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3회전부재(70)는 기어부(71)와, 한 쌍의 가압부(72)를 구비한다.
기어부(71)는 제3회전부재(70)의 회전중심축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치(齒)를 포함한다. 기어부(71)는 모터(80)의 출력축(81)에 결합된 기어(82), 예를 들어 베벨기어와 맞물리게 결합된다. 따라서, 실외측 하우징에 마련된 번호입력부에 소정의 번호를 입력하여 인증을 얻으면, 모터(80)가 작동하게 되어 제3회전부재(7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가압부(72)는 압압부(48)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가압부(72) 사이에는 압압부(48)가 배치된다. 각 가압부(72)는 압압부(48)의 회전 경로를 벗어나게 배치되어 있어서, 제2회전부재(40a)의 회전시 각 가압부(72)는 압압부(48)와 접촉하지 않게 되어 그 압압부(48)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록 장치(100a)에 있어서, 도 9에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에서는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핸들(20)을 회전시켜 제2회전부재(40a)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회전부재의 압압부(48)를 도 9에 도시된 가상선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회전부재(40a)의 회전과정에서, 제2회전부재의 압압부(48)는 제3회전부재의 가압부(72)와 접촉하지 않게 되며 제3회전부재(70)는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핸들(20)을 회전시킴으로써,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데드볼트(10)를 도어에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도어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에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에서 인증을 얻어 모터(80)를 작동시키면, 제3회전부재(70)를 도 10에 도시된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3회전부재(70)의 회전 과정에서 제3회전부재의 가압부(72)가 제2회전부재의 압압부(48)를 가압하게 되므로, 가압부(72)가 압압부(48)를 가압하는 순간부터는 제2회전부재(40a)도 제3회전부재(70)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모터(80)의 회전에 의해 제2회전부재(40a)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므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어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핸들(20)의 회전시 제2회전부 재(40a)만이 회전할 뿐 제3회전부재(70)가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모터의 출력축에 결합된 베벨기어(82)도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베벨기어(82)가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도어록 장치에 비해 핸들(20)을 회전시키는데 소요되는 토크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베벨기어(82)가 기어부(71)가 맞물리면서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베벨기어(82)와 기어부(71) 사이에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측에서 핸들을 회전시키기만 하면 도어의 록킹이 해제될 수 있게 되므로, 도어의 록킹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비상시에도 실내측에서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게 되므로, 인명 피해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걸림부재를 분리한 후에 뒤집어서 다시 장착하기만 하면, 도어의 개폐방향에 맞게 핸들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어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어록 장치를 도어의 개폐방향에 맞게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도어를 록킹 및 록킹 해제하는 데드볼트;
    상기 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핸들;
    상기 핸들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에 결합되며, 제1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회전부재;
    상기 제1회전부재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회전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1회전부재와 함께 일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도어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도록 상기 데드볼트에 연결되며, 제2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회전부재; 및
    가압부 및 슬라이딩부를 가지며, 상기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 중 어느 하나의 수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압부 및 슬라이딩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 중 다른 하나의 수용부의 내측면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회전부재의 상기 일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걸림부재의 가압부가 상기 다른 하나의 수용부의 일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2회전부재가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회전부재의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다른 하나의 수용부의 타 내측면에 대해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2회전부재가 회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수용부는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어느 하나의 수용부에 접촉하는 곡면 형상의 곡면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곡면부가 상기 어느 하나의 수용부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수용부의 곡률중심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부재에 형성된 홈부 및 상기 제2회전부재에 형성된 홈부에 함께 끼워지며, 상기 걸림부재의 곡면부가 상기 어느 하나의 수용부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걸림부재의 가압부 및 슬라이딩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다른 하나의 수용부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걸림부재를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재에는 상기 제1수용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회전부재에는 상기 제2수용부가 상기 각 제1수용부에 대응되도록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각 제1수용부에 대응되도록 복수 구비되며,
    상기 각 걸림부재는 상기 각 제2수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각 걸림부재의 가압부 및 슬라이딩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각 제2수용부에 대응되는 상기 각 제1수용부의 내측면에 맞물리게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부재는 상기 제2회전부재의 회전중심축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치(齒)를 포함하는 기어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기어부는 모터의 출력축에 결합된 기어와 기어결합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시 상기 제2회전부재가 회전하여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도어에 대해 몰입 또는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회전중심축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치를 포함하며 모터의 출력축에 결합된 기어와 기어결합되는 기어부를 가지는 제3회전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회전부재와 제3회전부재 중 어느 하나의 회전부재에는, 압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회전부재와 제3회전부재 중 다른 하나의 회전부재에는, 상기 압압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압압부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압압부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는 상기 제2회전부재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가압부는 상기 압압부의 회전 경로를 벗어나도록 상기 제3회전부재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의 구동시 상기 제3회전부재의 가압부 중 어느 하나의 가압부가 상기 압압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2회전부재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재에는 제1수용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회전부재에는 제2수용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제1수용홈부 및 제2수용홈부 중 어느 하나의 수용홈부에 회전 가능하며 상기 걸림부재의 가압부 및 슬라이딩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수용홈부 및 제2수용홈부 중 다른 하나의 수용홈부의 내측면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게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1회전부재의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걸림부재의 가압부가 상기 다른 하나의 수용홈부의 일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2회전부재가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회전부재의 상기 일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걸림부재의 슬라이딩부가 상기 다른 하나의 수용홈부의 타 내측면에 대해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2회전부재가 회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도어록 장치.
KR1020070001902A 2007-01-08 2007-01-08 도어록 장치 KR100799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902A KR100799932B1 (ko) 2007-01-08 2007-01-08 도어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902A KR100799932B1 (ko) 2007-01-08 2007-01-08 도어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9932B1 true KR100799932B1 (ko) 2008-01-31

Family

ID=39219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1902A KR100799932B1 (ko) 2007-01-08 2007-01-08 도어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99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006B1 (ko) 2008-05-19 2010-03-05 엠피아주식회사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
KR101618543B1 (ko) 2014-09-23 2016-05-10 (주)메이즈텍 통공 카드 키 인식 방식의 도어록, 및 그 도어록용 손잡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201Y1 (ko) 2000-04-06 2000-10-02 김대영 현관용 도어록의 잠금해지장치
KR20000019606U (ko) * 1999-04-16 2000-11-15 김대영 현관도어용 도어록의 잠금해지장치
KR200225346Y1 (ko) 1999-03-11 2001-06-01 김대영 현관용 도어록의 잠금해지장치
KR200404714Y1 (ko) 2005-10-17 2005-12-27 주식회사 현대금속 오버라이드기능을 가진 모티스형 도어락
KR100760516B1 (ko) 2005-12-21 2007-09-20 심선희 도어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346Y1 (ko) 1999-03-11 2001-06-01 김대영 현관용 도어록의 잠금해지장치
KR20000019606U (ko) * 1999-04-16 2000-11-15 김대영 현관도어용 도어록의 잠금해지장치
KR200198201Y1 (ko) 2000-04-06 2000-10-02 김대영 현관용 도어록의 잠금해지장치
KR200404714Y1 (ko) 2005-10-17 2005-12-27 주식회사 현대금속 오버라이드기능을 가진 모티스형 도어락
KR100760516B1 (ko) 2005-12-21 2007-09-20 심선희 도어잠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006B1 (ko) 2008-05-19 2010-03-05 엠피아주식회사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
KR101618543B1 (ko) 2014-09-23 2016-05-10 (주)메이즈텍 통공 카드 키 인식 방식의 도어록, 및 그 도어록용 손잡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874B1 (ko) 도어록
WO2008135964A1 (en) Mortise lock with dead bolt release
KR100799932B1 (ko) 도어록 장치
KR100760516B1 (ko) 도어잠금장치
KR101196054B1 (ko)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록 장치
KR100961878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도어록
KR101878461B1 (ko) 패닉 기능을 구비한 모티스의 핸들 샤프트 연결 구조
KR102203195B1 (ko) 실내 해정식 디지털 도어락
KR100994344B1 (ko) 도어록 장치
KR20100067217A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KR200407877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KR20090071341A (ko) 도어록 장치
KR20050116354A (ko)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KR20110048400A (ko) 도어록 장치
KR20080065515A (ko) 도어록 장치
KR20080048296A (ko) 도어록 장치
KR100813122B1 (ko) 도어록 장치
KR20100126135A (ko) 도어록 장치 및 도어록 시스템
RU170823U1 (ru)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ий замок
KR200409191Y1 (ko) 디지털 도어록 조립체
KR100945006B1 (ko)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
WO2008056948A1 (en) Door lock device
KR20100122416A (ko) 도어록 장치
KR200282709Y1 (ko) 도어락 장치
RU2315162C1 (ru) Замок двер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