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3122B1 -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13122B1 KR100813122B1 KR1020060129241A KR20060129241A KR100813122B1 KR 100813122 B1 KR100813122 B1 KR 100813122B1 KR 1020060129241 A KR1020060129241 A KR 1020060129241A KR 20060129241 A KR20060129241 A KR 20060129241A KR 100813122 B1 KR100813122 B1 KR 1008131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 door
- acceleration
- housing
- dead bol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05B47/026—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the bolt moving rectilinearly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6—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linearly reciprocating mo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드볼트의 돌출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데드볼트;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회전시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도어에 대해 돌출 또는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데드볼트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그 외주면에 복수의 치(齒)가 형성된 치형부를 가지는 회전부재;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치형부에 기어결합되어 외부의 회전 구동력을 소정의 가속비로 가속하여 상기 회전부재에 전달하는 가속기어 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어록 장치, 데드볼트, 래치볼트, 록킹, 록킹해제, 가속비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도어록 장치를 실외측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일례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모티스부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모티스부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모티스부에 있어서 도어가 록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모티스부에 있어서 도어가 록킹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Ⅵ-Ⅵ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도어 2...문설주
10...하우징 20...데드볼트
21...장공 22...가이드 핀
23...홈부
30...래치볼트 40...회전부재
41...가압부 42...치형부
43...관통 구멍 50...가속기어 유니트
51...제1가속기어 52...제2가속기어
60...스토퍼부재 100...실외측부
110...실외측 하우징 111...돌출부
112...피봇축 113...관통공
120...핸들 130...인증부
511...제1기어부 512...제2기어부
513...제1접촉부 514...제2접촉부
521...회전부 522...피봇부
523...관통홀
본 발명은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를 록킹 및 록킹 해제하는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 장치는 일반 가정주택이나 공공건물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관의 출입문이나 은행의 금고, 특정 지역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장치에 도어록 장치가 사용된다.
한편, 최근에는 전기, 전자기술의 발달에 따라 전자태그(RFID), 카드입력, 지문인식, 번호입력 등의 방법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도어록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어록 장치의 일례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어록 장치는 실외측부(100), 실내측부(미도시) 및 모티스부(200')를 구비한다.
실외측부(100)는 도어(1)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측 하우징(110)과, 실외측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120)을 구비한다. 그리고, 실외측 하우징(110)에는 번호 입력으로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번호 입력부(130)가 설치되어 있다. 실내측부도 실외측부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도어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실내측 하우징(미도시)과, 실내측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미도시)를 구비한다.
모티스부(200')는 도어(1)에 설치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에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한 데드볼트(20') 및 래치볼트(30')와,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회전시 데드볼트가 직선 이동하도록 데드볼트를 가압하는 가압부(41')를 가지는 회전부재(40')를 구비한다. 그리고, 회전부재(40')는 모터(미도시)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모터(미도시)의 구동시 회전하거나 또는 손잡이 및 핸들(120)의 샤프트(미도시)에 각각 연결되어 손잡이 또는 핸들(120)의 회전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번호 입력부(130)에 미리 설정된 번호를 입력하여 모터를 구동시키면, 회전부재(40')가 회전하게 되어 데드볼트(20')가 직선 이동하게 되므로, 도어(1)를 록킹하거나 도어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손잡이 및 핸들(120)에 의해 회전부재(40')가 회전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손잡이 또는 핸들(120)을 회전시켜 도어(1)를 록킹하거나 도어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데드볼트(20')를 도어에 대해 가급적 길게 돌출시켜 문설주(2)의 데드볼트 삽입공(2a)에 삽입시키면, 도어(1)가 보다 견고하게 록킹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데드볼트(20')의 직선 이동 거리는 회전부재(40')의 회전 각도에 의해 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회전부재의 가압부(41')의 회전 각도를 크게 하면 할수록 데드볼트(20')의 직선 이동 거리도 더 증가하게 된다.
그런데, 핸들(120) 또는 손잡이를 회전시켜 데드볼트(2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경우, 핸들(120)이나 손잡이를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해서 핸들이나 손잡이가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핸들(120)이 도 1에 실선 및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45˚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최근에 데드볼트(20')를 도어(1)에 대해 가급적 길게 돌출시켜 문설주(2)의 데드볼트 삽입공(2a)에 삽입시킴으로써 도어(1)를 견고하게 록킹하는 추세에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들(120) 또는 손잡이의 회전 각도가 제한되는 경우에는 데드볼트(20')의 돌출 길이를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어 최근의 추세에 부합하기 힘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드볼트의 돌출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데드볼트;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회전시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도어에 대해 돌출 또는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데드볼트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그 외주면에 복수의 치(齒)가 형성된 치형부를 가지는 회전부재;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치형부에 기어결합되어 외부의 회전 구동력을 소정의 가속비로 가속하여 상기 회전부재에 전달하는 가속기어 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모티스부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모티스부에 있어서 도어가 록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모티스부에 있어서 도어가 록킹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Ⅵ-Ⅵ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도 실외측부(100)와, 실내측부(미도시)를 구비하는 점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의 도어록 장치와 동일하다. 그리고, 실외측부(100)는 도어(1)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측 하우징(110)과, 실외측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120)과, 실외측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인증부(130)를 구비하며, 실내측부(미도시)는 실외측부와 유사하게 도어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실내측 하우징(미도시)과, 실내측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미도시)를 구비하는 점도 종래의 도어록 장치와 다를 바 없다. 여기서, 인증부(13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번호 입력에 의해 인증이 이루어지는 번호 입력부(130)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의 모티스부(200)에 있어서는, 데드볼트(20)의 돌출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 포함되어 있다는 측면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의 도어록 장치의 모티스부(200')와 다르며,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모티스부(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모티스부(200)는 하우징(10)과, 데드볼트(20)와, 래치볼트(30)와, 회전부재(40)와, 가속기어 유니트(50)와, 스토퍼부재(60)를 구비한다.
하우징(10)은 도 2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도어(1)의 측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지 않도록 도어(1)에 삽입된다. 하우징(10)은 상호 결합되는 케이스(11), 전면판(12) 및 커버(13)를 구비한다. 전면판(12)에는 데드볼트 관통공(121)과, 래치볼트 관통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1)에는 돌출부(111)와, 돌출부를 관통하는 관통공(113)과, 피봇축(112)이 형성되어 있다.
데드볼트(20)는 하우징(10)에 설치되어 하우징(10)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다. 데드볼트(20)는 데드볼트 관통공(121)을 통하여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문설주(2)에 형성된 데드볼트 수용공(2a)에 삽입됨으로써 도어(1)를 록킹하며,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데드볼트 수용공(2a)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도어(1)의 록킹을 해제한다. 데드볼트(20)에는 데드볼트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21)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장공(21)에는 가이드 핀(22)이 끼워지며, 가이드 핀(22)은 케이스(11)에 고정되어 있다. 데드볼트(20)의 직선 이동시, 데드볼트(20)는 가이드 핀(22)에 의해 가이드된다. 또한, 데드볼트(20)에는 홈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래치볼트(30)는 하우징(10)에 설치되어 하우징(10)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다. 래치볼트(30)는 도어(1)가 바람이나 약한 진동 등에 의해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문설주(2)에 형성된 래치볼트 수용공(2b)에 삽입된다. 래치볼트(20)는 탄성부재(미도시), 예를 들어 압축코일스프링에 의해 하우징(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회전부재(40)는 하우징의 돌출부(111)와 접촉하게 설치되며, 관통공(112)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다. 회전부재(40)에는 가압부(41)와, 치형부(42)과, 관통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41)는 회전부재(40)의 일측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부분이다. 가압부(41)는 회전부재(40)의 회전시 데드볼트의 홈부(23) 내측면을 가압하여 데드볼트(20)를 직선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회전부재(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부(41)가 홈부(23)의 일측 내측면을 가압하여 데드 볼트(20)를 하우징(10)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1)의 록킹이 해제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회전부재(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부(41)가 홈부(23)의 타측 내측면을 가압하여 데드볼트(20)를 하우징(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1)가 록킹된다.
치형부(42)는 회전부재(40)의 타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치형부(42)는 복수의 치(齒)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43)은 회전부재(40)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43)은 하우징의 관통공(113)과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가속기어 유니트(50)는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속기어 유니트(50)는 외부의 회전 구동력을 소정의 가속비로 가속하여 회전부재(40)에 전달한다. 외부의 회전 구동력은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얻어질 수 있으며, 또한 핸들(120) 또는 손잡이에 의해 얻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속기어 유니트(50)가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번호 입력부(130)에 소정의 번호가 입력되어 인증이 이루어지면 모터의 회전 구동력이 가속기어 유니트(50)를 매개로 회전부재(40)에 전달된다. 한편, 가속기어 유니트(40)가 핸들(120) 및 손잡이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핸들(120) 또는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핸들(120) 또는 손잡이의 회전 구동력이 가속기어 유니트(50)를 매개로 회전부재(40)에 전달된다.
가속기어 유니트(50)는 제1가속기어(51)와, 제2가속기어(52)를 포함한다.
제1가속기어(51)는 하우징의 피봇축(112)에 끼워지며, 피봇축(11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1가속기어(51)에는 제1기어부(511)와, 제2기어부(512)가 형성되어 있다. 제1기어부(511)는 제1가속기어(51)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치(齒)로 구성되어 있다. 제1기어부(511)는 회전부재의 치형부(42)에 기어결합되며,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기어부(511)는 회전부재의 치형부(42)에 맞물려 있다. 또한, 제1가속기어(51)에는 곡면 형상의 제1접촉부(513) 및 제2접촉부(514)가 형성되어 있다. 제2기어부(512)는 제1가속기어(51)의 외주면에 제1기어부(511)와 상호 독립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치(齒)로 구성되어 있다. 제2기어부(512)는 제1기어부(511)로부터 도어(1)의 두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제2가속기어(52)는 복수의 치(齒)가 외주면 일부에 형성된 회전부(521)와, 회전부(521)로부터 돌출 형성된 피봇부(522)와, 회전부(521) 및 피봇부(522)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홀(523)을 구비한다.
회전부(521)는 제1가속기어의 제2기어부(512)에 기어결합되며,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부(521)는 제1가속기어의 제2기어부(512)에 맞물려 있다. 회전부(521)는 복수의 치(齒)가 형성된 부분의 직경이 제2기어부(512)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피봇부(522)는 회전부재의 관통 구멍(43) 및 하우징의 관통공(113)에 함께 끼워지게 되며, 이에 따라 제2가속기어(52)는 피봇부(52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관통홀(523)에는 모터의 회전축, 핸들(120)에 결합된 샤프트 또는 손잡이에 결합된 샤프트가 끼워진다. 따라서, 제2가속기어(52)는 외부의 회전 구동력, 즉 모터, 핸들(120) 또는 손잡이의 회전시 발생되는 회전 구동력에 의 해 회전 구동되며, 제2가속기어(52)의 회전과 동시에 제1가속기어(51) 및 회전부재(40)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가속기어의 제1기어부(511)의 직경이 회전부재의 치형부(42)의 직경의 1.5배이며, 제2가속기어(52)의 직경이 제2기어부(512)의 직경의 1.5배가 되도록 구성한 경우, 제2가속기어(52)가 외부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제2가속기어(52)의 1회전시 제1가속기어의 제2기어부(512)가 2.25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가속기어 유니트(50)는 외부의 회전구동력을 2.25배의 가속비로 가속시켜 회전부재(40)에 전달한다.
한편, 제1가속기어의 제1기어부(511)의 직경과 회전부재의 치형부(42)의 직경의 비 및 제2가속기어(52)의 직경과 제2기어부(512)의 직경의 비 중 적어도 하나를 상술한 직경의 비와 다르게 설정하면, 외부의 회전구동력을 2.25배의 가속비와 다른 가속비로 가속시켜 회전부재(40)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1가속기어의 제1기어부(511)의 직경이 회전부재의 치형부(42)의 직경의 2배이며, 제2가속기어(52)의 직경이 제2기어부(512)의 직경의 2배가 되도록 구성하게 되면, 외부의 회전구동력을 4배의 가속비로 가속시켜 회전부재(40)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스토퍼부재(60)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우징(10)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다. 스토퍼부재(60)는 제1가속기어의 제1접촉부(513) 또는 제2접촉부(514)와 접촉하여 제1가속기어(51)의 회전범위를 제한한다.
제1가속기어의 제1접촉부(513)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토퍼부재(60)에 접촉하여 걸리면, 제1가속기어(51)의 일방향, 즉, 시계방향으로의 회전 범위가 제한된다. 또한, 제1가속기어의 제2접촉부(514)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토퍼부재(60)에 접촉하여 걸리면, 제1가속기어(51)의 타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 범위가 제한된다. 이와 같이, 제1가속기어(51)의 회전범위가 제한되게 되므로, 궁극적으로 제2가속기어(52)의 회전범위도 스토퍼부재(60)에 의해 제한된다. 왜냐하면, 제1가속기어(51)가 회전하지 않게 되면, 제2가속기어(52)도 회전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는 모터, 핸들(120) 또는 손잡이를 회전시켜 제2가속기어(52)를 회전시키면, 제2가속기어(52)의 회전과 동시에 제1가속기어(51) 및 회전부재(40)가 회전하게 되므로, 회전부재의 가압부(41)가 데드볼트의 홈부(23)의 일측 내측면 또는 타측 내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홈부(23)의 내측면이 가압되면, 데드볼트(20)를 하우징(10)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도어(1)를 록킹하거나 록킹 해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모터, 핸들(120) 또는 손잡이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 구동력이 가속기어 유니트(50)에 의해 가속되어 회전부재(40)에 전달되므로, 종래와 동일하게 모터, 핸들(120) 또는 손잡이를 회전시키더라도 회전부재(40)를 종래에 비해 더 많이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부재(40)를 더 많이 회전시키게 되면, 종래 비해 데드볼트(20)를 더 길게 돌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가속기어의 제1기어부(511)의 직경과 회전부재의 치형부(42)의 직경의 비 및 제2가속기어(52)의 직경과 제2기어부(512)의 직경의 비를 적절하게 조절하게 되면, 가속기어 유니트에 의해 얻어지는 가속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데드볼트(20)의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실외측부의 핸들(120)의 회전에 의해 외부의 회전 구동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된 경우,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들(120)을 45˚회전시키면 핸들의 회전 구동력이 2.25배의 가속비로 가속되어 회전부재(40)에 전달되므로 회전부재(40)를 104.25˚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핸들(120)을 종래와 동일한 각도로 회전시키더라도 회전부재(40)를 종래에 비해 더 많이 회전시킬 수 있게 되므로, 데드볼트의 돌출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속비를 2.25배와 다른 비율로 세팅하게 되면, 데드볼트(20)의 돌출길이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종래에 비해 데드볼트(20)의 돌출길이를 자유롭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되므로, 데드볼트(20)를 데드볼트 수용공(2a)에 더 깊게 수용시킬 수 있게 되어 도어(1)를 보다 견고하게 록킹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가속기어 유니트에 의해 얻어지는 가속비를 조절하게 되면, 모터, 핸들(120) 또는 손잡이의 회전 각도를 종래에 비해 줄이더라도 회전부재(40)를 종래와 동일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종래와 동일한 길이로 데드볼트(20)를 돌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모터, 핸들(120) 또는 손잡이의 회전 각도를 줄이게 되면, 모터의 작동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모터의 사용 수명이 증가하며, 나아가 핸들(120) 또는 손잡이를 조금만 회전시키면 도어를 록킹 또는 록킹해제 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이 편리해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회전부재, 제1가속기어 및 제2가속기어의 외주면 일부에 치(齒)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회전부재, 제1가속기어 및 제2가속기어의 외주면 전체에 치(齒)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의 회전 구동력이 가속기어 유니트에 의해 소정의 가속비로 가속되어 회전부재에 전달되므로, 데드볼트를 원하는 길이로 돌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모터, 핸들 또는 손잡이의 회전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도, 데드볼트의 돌출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되므로, 도어를 보다 견고하게 록킹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상기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데드볼트;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회전시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도어에 대해 돌출 또는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데드볼트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그 외주면에 복수의 치(齒)가 형성된 치형부를 가지는 회전부재; 및상기 회전부재의 치형부에 기어결합되는 제1기어부 및 상기 제1기어부로부터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기어부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기어부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제2기어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가속기어를 포함하며, 외부의 회전 구동력을 소정의 가속비로 가속하여 상기 회전부재에 전달하는 가속기어 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가속기어 유니트는,상기 제1가속기어의 제2기어부에 기어결합되며, 상기 제2기어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외부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2가속기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스토퍼부재가 결합되어 있으며,상기 제1가속기어는, 상기 제1가속기어의 일방향으로의 회전 범위가 제한되도록 상기 스토퍼부재와 접촉 가능한 제1접촉부; 및 상기 제1가속기어의 타방향으로의 회전 범위가 제한되도록 상기 스토퍼부재와 접촉 가능한 제2접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9241A KR100813122B1 (ko) | 2006-12-18 | 2006-12-18 | 도어록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9241A KR100813122B1 (ko) | 2006-12-18 | 2006-12-18 | 도어록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13122B1 true KR100813122B1 (ko) | 2008-03-17 |
Family
ID=39410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29241A KR100813122B1 (ko) | 2006-12-18 | 2006-12-18 | 도어록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1312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147377A2 (ko) * | 2009-06-16 | 2010-12-23 | Kim Jae-Hyung | 도어록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1751Y1 (ko) * | 2002-10-21 | 2003-01-24 | (주)아거스 | 도어록의 작동장치 |
KR100415054B1 (ko) * | 2001-07-03 | 2004-01-16 | (주)중경 | 감속기어 조합체가 구비된 도어록 장치 |
KR200364399Y1 (ko) * | 2004-07-08 | 2004-10-08 | 김창수 | 허브의 감속 구동구조 |
KR200428164Y1 (ko) * | 2006-07-14 | 2006-10-09 | 인영식 | 구동모타를 내장한 도어록 모티스 |
-
2006
- 2006-12-18 KR KR1020060129241A patent/KR10081312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5054B1 (ko) * | 2001-07-03 | 2004-01-16 | (주)중경 | 감속기어 조합체가 구비된 도어록 장치 |
KR200301751Y1 (ko) * | 2002-10-21 | 2003-01-24 | (주)아거스 | 도어록의 작동장치 |
KR200364399Y1 (ko) * | 2004-07-08 | 2004-10-08 | 김창수 | 허브의 감속 구동구조 |
KR200428164Y1 (ko) * | 2006-07-14 | 2006-10-09 | 인영식 | 구동모타를 내장한 도어록 모티스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147377A2 (ko) * | 2009-06-16 | 2010-12-23 | Kim Jae-Hyung | 도어록 장치 |
WO2010147377A3 (ko) * | 2009-06-16 | 2011-03-31 | Kim Jae-Hyung | 도어록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75402B2 (en) | Lock | |
KR100895874B1 (ko) | 도어록 | |
KR100813122B1 (ko) | 도어록 장치 | |
KR101196135B1 (ko) | 도어록 장치 | |
KR101196054B1 (ko) |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록 장치 | |
KR100799932B1 (ko) | 도어록 장치 | |
KR20090071341A (ko) | 도어록 장치 | |
KR100760516B1 (ko) | 도어잠금장치 | |
KR200407876Y1 (ko) |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 |
KR200342375Y1 (ko) | 도어락장치 | |
KR20100005741U (ko) | 도어록 장치 | |
KR100994344B1 (ko) | 도어록 장치 | |
KR20020068641A (ko) | 자동 시정형 모티스 잠금 시스템 | |
KR100734030B1 (ko) |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 |
KR20100021117A (ko) | 도어록 장치 | |
CN211950010U (zh) | 一种挂锁 | |
KR20080065515A (ko) | 도어록 장치 | |
KR20100003658U (ko) | 도어록 장치 | |
KR200409190Y1 (ko) | 디지털 도어록 조립체 | |
KR20100134823A (ko) | 도어록 장치 | |
KR20100096585A (ko) | 도어록 장치 | |
KR100389060B1 (ko) | 모티스 록킹 장치 | |
KR20100106012A (ko) | 도어록 장치 | |
KR20100089700A (ko) | 도어록 장치 | |
KR200210922Y1 (ko) | 모티스 록킹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