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1117A -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1117A
KR20100021117A KR1020080079859A KR20080079859A KR20100021117A KR 20100021117 A KR20100021117 A KR 20100021117A KR 1020080079859 A KR1020080079859 A KR 1020080079859A KR 20080079859 A KR20080079859 A KR 20080079859A KR 20100021117 A KR20100021117 A KR 20100021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handle
door
coupled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크슈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크슈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크슈머
Priority to KR1020080079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1117A/ko
Publication of KR20100021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인증부가 핸들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되어 도어의 실외측 유니트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도어의 실외측 미관도 개선할 수 있는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에 결합되어 도어를 록킹 및 록킹 해제하는 잠금쇠; 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도어의 실외측에 결합되는 핸들; 핸들과 함께 회전하도록 핸들에 결합되며, 사용자 인증시 도어가 록킹 해제되도록 잠금쇠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인증부; 및 전원에 의해 작동되며, 구동신호의 출력시 잠금쇠가 구동되도록 잠금쇠에 연결되는 구동원;을 구비한다.
Figure P1020080079859
도어록 장치, 록킹(locking), 록킹해제(unlocking), 래치볼트, 잠금쇠, 키패드, 택트스위치, 돔스위치, 근접스위치

Description

도어록 장치{Door lock device}
본 발명은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 장치는 일반 가정주택이나 공공건물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관의 출입문이나 은행의 금고, 특정 지역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장치에 도어록 장치가 사용된다. 특히, 최근에는 키패드에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도어를 록킹 해제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 장치(1')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d)의 실내측에 결합되는 실내측 하우징(310')과, 실내측 하우징(310')에 대해 회전 가능한 실내측 핸들(320')과, 도어에 결합되는 케이스(230')와, 케이스(230')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한 데드볼트(210') 및 래치볼트(220')와, 도어(d)의 실외측에 고정된 실외측 하우징(10')과, 실외측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외측 핸들(20')과, 실외측 하우징(10')에 설칭되며 다수의 버튼을 가지는 키패드(30')를 가진다.
그런데, 종래에는 키패드가 핸들과 별개로 실외측 하우징에 결합되어 있어서, 실외측 하우징의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실외측 유니트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하기도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인증부가 핸들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되어 도어의 실외측 유니트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도어의 실외측 미관도 개선할 수 있는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 해제하는 잠금쇠; 상기 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의 실외측에 결합되는 핸들; 상기 핸들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핸들에 결합되며, 사용자 인증시 상기 도어가 록킹 해제되도록 상기 잠금쇠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인증부; 및 전원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구동신호의 출력시 상기 잠금쇠가 구동되도록 상기 잠금쇠에 연결되는 구동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외측 하우징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도어의 실외측 미관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를 실내측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외측유닛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사용자인증부의 주요 구성요소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실외측 하우징에 설치되는 구성요소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1)는 실내측 유니트(미도시), 모티스(200) 및 실외측 유니트(100)를 구비한다.
실내측 유니트는 도어(d)의 실내측에 결합되는 실내측 하우징(미도시)과, 실내측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내측 핸들(미도시)과, 실내측 하우징에 수용되며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한다.
모티스(200)는 도어(d)에 결합되는 케이스(230)와, 케이스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잠금쇠(210) 및 래치볼트(220)를 가진다. 잠금쇠(210)가 문설주(미도시)에 형성된 잠금쇠 삽입공(미도시)에 삽입 및 이탈됨에 따라 도어(d)가 록킹 및 록킹해제된다. 그리고, 케이스에는 잠금쇠(21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미도시)이 설치된다. 구동원은 실내측 하우징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로 구성된다. 모터의 출력축은 잠금쇠(210)에 연결되어 있어서, 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잠금쇠(210)가 직선이동하게 된다.
실외측 유니트(100)는 실외측 하우징(10)과, 실외측 핸들(20)과, 사용자인증부(30)를 구비한다.
실외측 하우징(10)은 도어(d)의 실외측에 고정된다. 실외측 하우징(10)의 전면에는 결합공(101)이 관통 형성되며, 실외측 하우징(10)의 전면에는 도어록 장 치(100)와 관련된 각종 정보가 인쇄된 환형의 데코부재(11)가 부착된다. 실외측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은 플레이트부재(12)에 의해 막힌다. 그리고, 프레이트부재(12)는 볼트(B6)에 의해 후술하는 회전부재(52)에 고정되며, 플레이트부재(12)에는 고무로 이루어진 고무부재(13)가 결합된다. 고무부재(13)는 도어(d)의 실외측에 고정된다.
실외측 핸들(20)은 실외측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핸들(20)은 하우징부(21)와, 핸들부(22)를 가진다.
하우징부(21)에는 도어(d)의 두께방향, 즉 전방 및 후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부(21)의 후방부분은 실외측 하우징의 결합공(101)에 삽입된다. 하우징부(21)에는 결합구멍(211)이 형성된다. 결합구멍(211)은 실외측 하우징(20)의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된다.
핸들부(22)는 사용자가 잡고 실외측 핸들(20)을 회전시키 위한 부분으로서, 하우징부(21)로부터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핸들부(22)의 전면에는 핸들탑커버(23)가 볼트(B5)에 의해 결합된다.
사용자인증부(30)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문인식기나 키패드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키패드의 형태로 구성된다. 사용자가 인증되며 사용자인증부(30)는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며, 이에 따라 모터가 작동하여 잠금쇠(210)가 구동된다. 사용자인증부(30)는 실외측 핸들(20)과 함께 회전하도록 핸들(20)에 결합된다. 사용자인증부(30)는 환형부재(31)와, 누름부재(32)와, 탄성부재(33)와, 커버부재(34)와, 신호발생기(35)를 포 함한다.
환형부재(31)는 중앙에 원형의 구멍이 형성되도록 환형으로 이루어진다. 환형부재(31)에는 한 쌍의 홈부(311)가 형성되어 있다.
누름부재(32)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누름부(321)와, 누름부(321)의 양측에 배치되며 한 쌍의 홈부(311)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돌출부(322)를 가진다. 한 쌍의 돌출부(322)가 한 쌍의 홈부(311)에 삽입되고 환형부재(31)는 누름부재(32)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누름부재(32)의 테두리 역할을 하게 된다. 누름부(321)에는 복수의 누름영역이 가상으로 구획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누름부재의 전면에 표식돌기(3211)가 4개 형성되며 각 표식돌기(3211) 부근에는 동서남북 방위를 지시하는 e, w, s 및 n이 인쇄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누름영역은 누름부(321)에 표식돌기(3211) 및 방위에 의해 4개로 명확하게 구획되어 형성된다. 한편, 도 2에는 방위를 지시하는 e, w, s 및 n이 생략되어 있다.
탄성부재(33)는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 예를 들어 고무로 형성된다. 탄성부재(33)의 전면은 누름부재(32)의 배면과 접촉하게 배치되어, 각 누름영역의 눌림시 각 누름영역에 대응되는 탄성부재(33)의 부분이 탄성변형 가능한 상태로 눌려진다. 탄성부재(33)의 배면에는 4개의 삽입부(331)가 형성된다. 각 삽입부(331)는 각 누름영역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각 누름영역을 누르면, 탄성부재(33)가 눌려지면서 각 삽입부(331)는 각 누름영역의 가압방향으로 일정 정도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각 누름영역의 눌림을 해제하면, 탄성부재(33)는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게 되어 각 삽입부(331)도 후퇴하여 원래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누름부재(32)는 누름부(321)가 얇은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누름부재(32)의 가장자리가 환형부재(31) 및 탄성부재(33)에 의해 접촉 지지 되어 누름영역을 누르게 되면 눌려진 부분이 누름방향으로 일정 정도 움직이게 됨으로써 탄성부재(33)를 누르게 된다.
커버부재(34)는 탄성부재(33)의 배면에 밀착된다. 커버부재(34)에는 4개의 관통공(341)이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공(341)에는 각 삽입부(331)가 돌출되게 삽입된다. 그리고, 커버부재(34)에는 커버부재(34)의 배면에 대해 돌출되게 4개의 기둥부(342)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재(34)는 환형부재(31) 및 탄성부재(33)와 함께 6개의 볼트(B1)에 의해 볼트결합된다.
신호발생기(35)는 각 누름영역의 누름에 연동하여 구동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4개의 스위치(351)와, 인쇄회로기판(352)을 구비한다.
4개의 스위치(351)는 4개의 삽입부(331)에 각각 대응된다. 각 스위치(351)는 이에 대응되는 삽입부(331)의 눌림에 연동되어 작동하는 것으로서 돔스위치 택트스위치, 온/오프 근접스위치, 아날로그 터치스위치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택트스위치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누름영역이 눌려져서 눌려진 누름영역에 대응되는 삽입부(331)가 움직이게 되면, 그 삽입부(331)가 택트스위치를 누르게 된다.
인쇄회로기판(352)은 각 스위치(3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스위치(351)가 삽입부(331)에 의해 눌려져 작동하게 되면 이에 연동하여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각 삽입부(331)에 의해 출력되는 구동신호는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로 입력되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에 모터를 작동시키는 작동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작동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조건은 미리 정해진 순서 및 횟수대로 e, w, s 및 n으로 표시되는 누름영역이 눌려질 때 만족되며,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52)은 2개의 볼트(B2)에 의해 커버부재(34)에 고정된다.
한편, 누름부재(32), 탄성부재(33) 및 커버부재(34)에는 삽입공(323,332,343)이 상호 동축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누름부재의 삽입공(323)은 마개부재(36)에 의해 막힌다. 그리고, 커버부재(34)에는 열쇠뭉치(40)가 지지된다. 열쇠뭉치(40)에는 각 삽입공(323,332,343)과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열쇠가 삽입되는 열쇠공(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열쇠뭉치(40)에는 커버부재(34)의 각 기둥부(342)가 삽입되는 삽입홈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열쇠뭉치(40)는 인쇄회로기판(352)에 삽입된다. 그리고, 열쇠뭉치의 플랜지부(43)가 인쇄회로기판(352) 및 커버부재(34)에 접촉 지지되도록 결합되어, 열쇠뭉치(40)는 인쇄회로기판(352) 및 커버부재(34)로부터의 분리가 방지된다.
그리고, 사용자인증부(30) 및 열쇠뭉치(40)는 핸들의 하우징부(21)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며, 환형부재(31) 및 누름부재(32)는 하우징부(21)의 내부공간을 막도록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100)는 회전부재(50)와, 보조인쇄회로기판(60)과, 스프링부재(70)와, 키샤프트(80)와, 핸들핀(90)과, 볼베어링(95)을 더 구비한다.
회전부재(50)는 실외측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또한 커버부재(34)에 고정되어 커버부재(34)와 함께 회전한다. 회전부재(50)는 베이스부(51)와, 돌출부를 가진다.
베이스부(51)는 실외측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된다. 베이스부(51)에는 4개의 결합공(511)이 관통 형성되며, 각 결합공은 커버부재의 기둥부(342)에 형성된 구멍과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베이스부(51)의 배면에는 지지돌기(512)가 형성된다.
돌출부는 4개의 돌출편(52)으로 구성되며, 각 돌출편(52)은 베이스부(5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4개의 돌출편(52)은 회전부재(50)의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4개의 돌출편(52)의 중앙에 회전부재(50)의 회전중심축이 통과한다. 2개의 돌출편(52)에는 각각 결합구멍(521)이 형성된다. 각 결합구멍(521)의 중심축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며, 특히 서로 평행하며 겹쳐진다. 돌출부는 실외측 하우징의 결합공(101)에 돌출되게 삽입된다.
그리고, 회전부재(50)는 커버부재(34) 및 실외측 핸들(20)에 볼트결합으로 각각 결합된다. 먼저, 회전부재의 각 결합공(511) 및 커버부재의 기둥부(342)에 형성된 구멍 각각에는 볼트(B3)가 결합되어 회전부재(50) 및 커버부재(34)는 상호 고정된다. 다음으로, 돌출부에 형성된 하나의 결합구멍(521) 및 실외측 핸들의 하우징부에 형성된 결합구멍(211)에는 볼트(B4)가 결합되어, 회전부재(50) 및 실외측 핸들(20)은 상호 고정한다. 한편, 회전부재의 돌출부에 한 쌍의 결합구멍(521)이 형성되어 있어서, 도어(d)가 열리는 방향에 무관하게 핸들을 결합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1)의 좌측에 힌지부가 형성된 경우와 달리 도어의 우측에 힌지부가 형성된 경우에는 핸들(20)을 회전시켜 핸들의 핸들부(22)가 도어(d)의 측면에 대해 돌출되지 않도록 한 다음 돌출부에 형성된 다른 결합구멍(521) 및 핸들의 하우징부에 형성된 결합구멍(211)에 볼트(B4)를 결합하면 된다.
보조인쇄회로기판(60)은 회전부재(50)의 배면에 결합된다. 보조인쇄회로기판(60)은 볼트(B4)에 의해 고정된다. 보조인쇄회로기판(60)은 신호발생기(35)의 인쇄회로기판(352)과 케이블(미도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보조인쇄회로기판(60)은 모터와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보조인쇄회로기판(60)에는 충전용 단자(61)가 한 쌍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충전용 단자(61)는 실내측 하우징의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된 경우 외부 전원으로부터 일시적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것이다. 충전용 단자(61)는 결합부재(62)에 끼워지고, 결합부재(62)는 회전부재(50)에 끼워진다. 그리고, 충전용 단자(61)는 실외측 하우징(10)의 하부에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게 배치된다.
스프링부재(70)는 도어(d)를 열기 위해 실외측 핸들(20)을 회전한 후에 놓게 되면 실외측 핸들(20)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스프링부재(70)는 일단부 및 타단부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비틀림스프링 형태로 구성된다. 스프링부재(70)의 일단부(71)는 실외측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된 고정돌기(102)에 걸려 고정돌기(102)에 고정되며, 스프링부재(70)의 타단부(72)는 회전부재의 고정돌기(513)에 걸려 회전부재(50)와 함께 이동한다. 따라서, 회전부재(50)가 회전하면 스프링부재(70)의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스프링부 재(70)의 타단부가 회전부재(50)와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실외측 핸들(20)을 놓게 되는 순간에 스프링부재(70)에는 탄성복원력이 항상 작용하게 되어 핸들(20)이 원위치로 회전 복귀한다.
키샤프트(80)는 열쇠뭉치(4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한다. 키샤프트(80)는 잠금쇠(210)와 연결되어 있어서, 키샤프트(80)의 회전시 잠금쇠(210)가 직선 구동된다. 키샤프트(80) 및 열쇠뭉치(40)의 연동구조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핸들핀(90)은 베이스부의 지지돌기(512)에 삽입된다. 따라서, 핸들핀(90)은 회전부재(50)와 함께 회전한다. 핸들핀(90)은 래치볼트(220)와 연결되어 있어서, 핸들핀(90)의 회전시 래치볼트(220)를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핸들핀(90) 및 래치볼트(220)의 연동구조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볼베어링(95)은 회전부재(50)를 회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 쌍 구비된다. 각 볼베어링(95)은 회전부재의 볼삽입공(514) 및 실외측 하우징에 원호의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 곡선홈부(103)에 삽입된다. 따라서, 회전부재(50)의 회전시에 볼베어링(95)은 곡선홈부(103)의 원호 형성방향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인증부(30)가 실외측 핸들(20)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종래에 비해 실외측 유니트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실외측 유니트의 형상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누름부재의 누름부에 동(e)서(w)남(s)북(n) 방위를 나타내는 4개의 누름영역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누름부에 10개의 누름영역이 형성되고 10개의 누름영역에 0 내지 9의 숫자가 인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를 실내측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외측유닛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사용자인증부의 주요 구성요소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실외측 하우징에 설치되는 구성요소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일례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도어록 장치 10...실외측 하우징
20...실외측 핸들 30...사용자인증부
31...환형부재 32...누름부재
33...탄성부재 34...커버부재
35...신호발생기 36...마개부재
40...열쇠뭉치 50...회전부재
60...보조인쇄회로기판 70...스프링부재
80...키샤프트 90...핸들핀
100...실외측 유니트

Claims (5)

  1.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 해제하는 잠금쇠;
    상기 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의 실외측에 결합되는 핸들;
    상기 핸들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핸들에 결합되며, 사용자 인증시 상기 도어가 록킹 해제되도록 상기 잠금쇠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인증부; 및
    전원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구동신호의 출력시 상기 잠금쇠가 구동되도록 상기 잠금쇠에 연결되는 구동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인증부는,
    복수의 누름영역이 형성된 누름부재;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누름영역의 눌림시 상기 각 누름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이 탄성변형 가능한 상태로 눌려지도록 상기 누름부재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 중 상기 각 누름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의 눌림에 대응되게 상기 구동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탄성부재에 연결된 신호발생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인증부는,
    상기 누름부재가 삽입되도록 환형으로 이루어진 환형부재; 및
    상기 환형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가 배치되도록 상기 환형부재에 고정되는 커버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누름영역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에는 상기 복수의 관통공에 돌출되게 각각 삽입되며 상기 복수의 누름영역의 눌림에 연동되어 각각 상기 눌림방향으로 움직이는 복수의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신호발생기는, 상기 삽입부의 개수에 대응되며 상기 각 삽입부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작동하는 복수의 스위치; 및 상기 각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 스위치의 작동에 연동되어 상기 구동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커버부재에 고정되는 인쇄회로기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열쇠가 삽입되는 열쇠공을 가지는 열쇠뭉치가 삽입되며,
    상기 누름부재, 탄성부재 및 커버부재에는 각각 상기 열쇠공과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실외측에 고정되며, 결합공이 관통 형성된 실외측 하우징; 및
    상기 커버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실외측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실외측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실외측 하우징의 결합공에 돌출되게 삽입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회전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핸들은, 상기 사용자인증부 및 키뭉치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재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로부터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핸들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하우징부에는 결합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돌출부에는 한 쌍의 결합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각 결합구멍의 중심축선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핸들 및 회전부재는 상기 핸들의 결합구멍 및 상기 회전부재의 결합구멍 중 하나의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KR1020080079859A 2008-08-14 2008-08-14 도어록 장치 KR201000211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859A KR20100021117A (ko) 2008-08-14 2008-08-14 도어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859A KR20100021117A (ko) 2008-08-14 2008-08-14 도어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117A true KR20100021117A (ko) 2010-02-24

Family

ID=42090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859A KR20100021117A (ko) 2008-08-14 2008-08-14 도어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11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477B1 (ko) * 2012-03-14 2013-07-12 주식회사 유니락 실린더형 전자식 잠금장치용 실린더 몸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477B1 (ko) * 2012-03-14 2013-07-12 주식회사 유니락 실린더형 전자식 잠금장치용 실린더 몸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0259B2 (en) Energy efficient multi-stable lock cylinder
CN106175007B (zh) 一种具有电子密码锁定装置的手提箱
AU2010295339B2 (en) Lockable enclosure
CN101191395A (zh) 门锁闭装置
KR101090379B1 (ko)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KR20040002727A (ko) 로킹 장치
KR101193963B1 (ko) 모티스 및 이를 갖춘 도어록
KR101895216B1 (ko) 도어록용 모티스
KR101319373B1 (ko) 사물함용 전자 도어락
KR101655960B1 (ko) 다이얼 잠금장치
CN106567622A (zh) 便捷型电子锁
KR20100021117A (ko) 도어록 장치
KR100849524B1 (ko)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KR101695847B1 (ko) 일시 열림 조작 기능을 겸한 트리거 레버를 이용한 래치볼트의 좌, 우수 전환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용 모티스
KR100734032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KR20050115538A (ko) 도어 잠금장치
JPH09264084A (ja) 電気錠
KR101322308B1 (ko) 썸턴 클러치 구조체
KR200407877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KR20090071341A (ko) 도어록 장치
KR100940336B1 (ko) 디지털 도어록 클러치
KR100945006B1 (ko)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
KR102452230B1 (ko) 푸시풀 핸들 조작이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
CN217380069U (zh) 一种翻盖式锁具
CN215717854U (zh) 一款结构简单合理的单舌防插机械锁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