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230B1 - 푸시풀 핸들 조작이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푸시풀 핸들 조작이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230B1
KR102452230B1 KR1020210050634A KR20210050634A KR102452230B1 KR 102452230 B1 KR102452230 B1 KR 102452230B1 KR 1020210050634 A KR1020210050634 A KR 1020210050634A KR 20210050634 A KR20210050634 A KR 20210050634A KR 102452230 B1 KR102452230 B1 KR 102452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unit
main gear
protrusion
dead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헌
정희섭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씨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씨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씨랩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0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05B47/026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the bolt moving rectilinear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시풀 도어락을 적용할 수 있는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에 푸시풀 도어락을 적용하여 전력 소모를 절감하고, 사용자가 편리한 방법으로 문을 열도록 할 수 있는, 푸시풀 도어락을 적용할 수 있는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푸시풀 핸들 조작이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 {Auto Latch Door Lock Which Can Control Push-Pull Handle}
본 발명은 푸시풀 도어락을 적용할 수 있는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에 푸시풀 도어락을 적용하여 전력 소모를 절감하고, 사용자가 편리한 방법으로 문을 열도록 할 수 있는, 푸시풀 도어락을 적용할 수 있는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 모티스는 레버 등의 회전수단에 의하여 도어의 측면으로 돌출 및 인입되는 래치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노브(knob) 또는 그립(grip)에 의해 잠금 및 해제되는 데드볼트를 설치하여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에 의한 잠금 구조를 갖는 도어락 모티스(Mortise)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어의 외부에서는 키 입력 버튼, 지문인식 및 출입자 인증을 할 수 있는 반도체 칩이 내장된 안전키를 이용하고, 도어의 내부에서는 버튼을 누르면 모터의 동력으로 데드볼트를 해제할 수 있는 오토래치 도어락 모티스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오토래치 도어락 모티스는 사용자가 도어 잠금을 잊더라도, 도어가 닫힌 후 모터의 동력을 통해 자동으로 데드볼트를 잠금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출입자 인증 후 모티스의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를 해제시키는 방법으로, 푸시풀 및 핸들을 사용하지 않고도 문을 열 수 있다.
종래의 오토래치 도어락 모티스에서는, 집 안쪽에서 나갈 때 오픈 버튼을 별도로 두어 버튼을 누르면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모터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번 모터를 동작시켜야 하고, 배터리의 빠른 소모를 유발하며, 수동으로 핸들을 밀고 나가는 푸시풀 타입 도어락에 익숙한 소비자에게는 불편한 출입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푸시풀 타입 도어락에서는, 푸시 또는 풀 타입의 손잡이를 제품 출고 전에 조립 과정에서 구분하여 조립해야 하며, 푸시 또는 풀 타입의 손잡이 중 한 가지로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10-2018-0092373 (푸시풀 도어락)
본 발명은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에 푸시풀 도어락을 적용하여 전력 소모를 절감하고, 사용자가 편리한 방법으로 문을 열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푸시풀 핸들 조작이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로서, 사용자가 푸시 혹은 풀 조작을 할 수 있는 손잡이부; 데드볼트, 래치볼트, 외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데드볼트를 잠금 혹은 해제할 수 있는 데드볼트조작부, 및 외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데드볼트 및 상기 래치볼트를 잠금 혹은 해제할 수 있는 메인샤프트조작부를 포함하는 모티스부; 사용자의 상기 손잡이부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T자형레버; 모터,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1기판, 상기 모터와 체결되어 상기 모터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모터기어, 상기 모터기어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메인기어부를 포함하는 모터구동부; 및 상기 모티스부에 고정되는 슬라이더지지부, 상기 슬라이더지지부 내부에서 상기 T자형레버의 동작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슬라이더구동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푸시 및 풀 조작을 하는 경우, T자형레버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더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메인샤프트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는,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손잡이부는, 손잡이프레임; 사용자의 푸시 조작에 따라 상기 손잡이프레임에 대하여 힌지운동을 하는 푸시커버; 및 사용자의 풀 조작에 따라 상기 손잡이프레임에 대하여 힌지운동을 하는 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T자형레버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T자형레버를 상기 도어 잠금장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T자형레버지지돌출부;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축방향에 직교하는 제1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푸시커버와 접촉하는 푸시커버지지돌출부;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축방향에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풀커버와 접촉하는 풀커버지지돌출부; 및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축방향에 직교하는 제3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일부와 접촉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더구동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기어부는, 상기 메인샤프트조작부에 결합될 수 있는 메인샤프트를 수용하는 메인기어체결홈부가 형성된 메인기어본체; 상기 모터기어와 체결할 수 있는 기어이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기어본체에 결합된 메인기어체결부재; 및 상기 메인기어본체에 결합된 메인기어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기어돌기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의 일부와 접촉하게 되고, 접촉 후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메인기어본체가 회전하여 상기 메인기어샤프트가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메인기어부를 수용하는 관통홀 형태의 메인기어부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더본체; 및 상기 메인기어부의 일부 요소와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더본체의 일면에서 돌출된 형태의 슬라이더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샤프트조작부에 결합될 수 있는 메인샤프트는 메인기어본체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더의 수직방향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돌기가 상기 메인기어부의 일부요소에 힘을 가하여 상기 메인기어부를 회전시켜 상기 메인샤프트를 회전시키고, 상기 메인샤프트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라이더구동부는, 상기 데드볼트조작부에 결합되는 데드볼트샤프트의 일단에 결합되는 데드볼트샤프트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데드볼트샤프트캡은 캡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일부는 상기 캡돌기와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더의 수직방향의 이동에 따라 상기 캡돌기가 힘을 받아 상기 데드볼트샤프트캡이 회전할 수 있고, 상기 데드볼트샤프트캡이 회전하면 상기 데드볼트샤프트가 회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메인샤프트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기어부는, 상기 메인샤프트조작부에 결합될 수 있는 메인샤프트를 수용하는 메인기어체결홈부가 형성된 메인기어본체; 및 상기 메인기어본체에 결합된 메인기어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메인기어부를 수용하는 관통홀 형태의 메인기어부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더본체; 및 상기 메인기어부의 일부 요소와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더본체의 일면에서 돌출된 형태의 슬라이더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돌기와 상기 메인기어돌기가 서로 이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모터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메인기어부가 회전할 때 상기 슬라이더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토래치 모티스 도어락에 푸시풀 손잡이를 적용하여,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고, 일체형 제품으로서 생산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편리한 방법으로 문을 열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더 및 메인기어의 변위를 센싱하는 광센서를 적용함으로써, 모터의 회전이 과도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고, 모터의 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푸시 및 풀 조작함에 따라, 슬라이더가 상하이동하고, 데드볼트샤프트캡을 슬라이더와 함께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푸시커버 및 풀커버를 조작할 때 필요한 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푸시 및 풀 조작을 구현하는 손잡이로서, 푸시커버 및 풀커버를 조작함에 따라 T자형레버는 슬라이더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를 동시에 해제할 수 있는 동일한 동작을 간단하게 구현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부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부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드볼트조작부회전부, 래치볼트조작부회전부, 및 키커버리브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부 및 잠금장치커버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티스부의 외측부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기어의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핸들 조작이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동작에 따른 잠금 해제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구동부, 슬라이더구동부 및 T자형레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구동부 및 슬라이더구동부의 변위를 센싱하는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커버 조작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커버 조작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뒷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 혹은 풀 조작에 따른 슬라이더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 전체에 대한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뒷면의 형상을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혹은 '~모듈'등은 1 이상의 물리적 부재, 1 이상의 하드웨어, 1 이상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혹은 1 이상의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부' 혹은 '~모듈'가 있는 경우, 각각의 '~부' 혹은 '~모듈은'은 각각의 1 이상의 물리적 부재, 1 이상의 하드웨어, 1 이상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혹은 1 이상의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부' 혹은 '~모듈'를 구현함에 있어서, 중복적으로 적용되는 1 이상의 하드웨어, 1 이상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혹은 1 이상의 소프트웨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드웨어, 제2 하드웨어, 제1 소프트웨어가 있고, A부, B부, C부, D부가 있는 경우, A부는 제1 하드웨어 및 제1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하여 구현되고, B부는 제1 하드웨어와 제2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하여 구현되고, C부는 제2하드웨어에 의하여 구현되고, D부는 제1 소프트웨어에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으로 잠금해제가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부(200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으로 잠금해제가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는, 도어의 외측면에 설치되면서 손으로 잡고 당길 수 있는 형태인 고정손잡이부(1000); 데드볼트(2100), 래치볼트(2200), 외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데드볼트(2100)를 잠금 혹은 해제할 수 있는 데드볼트조작부(2010), 외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래치볼트(2200)를 잠금 혹은 해제할 수 있는 래치볼트조작부(2020)를 포함하는 모티스부(2000); 및 상면에 관통홀 형태의 제1키구멍(1310)이 형성된 잠금장치커버(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손잡이부(10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핸들부(1100), 잠금장치커버(1200), 및 조작돌출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손잡이부(1000)는 상기 핸들부(1100)의 양측 단부 각각이 상기 잠금장치커버(1200)의 상면의 일부에 결합되고, 중심부에 상기 조작돌출부(1300)가 형성되는 형태이다.
상기 핸들부(1100)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핸들 고정형 도어락의 손잡이에 해당할 수 있고, 기계적 움직임 없이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핸들부(1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출입자 인증을 구현하기 위한 비밀번호입력 수단 및 지문인식 센서 등의 인증모듈이 구현되어 있을 수 있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는 사용자가 인증모듈을 통하여 인증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도어 잠금장치 내부의 모터가 동작하여 데드볼트 및/또는 래치볼트를 해제함으로써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커버(1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면에 관통홀 형태의 제1키구멍(13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장치커버(1200)의 상면에는 관통홀 형태의 상기 제1키구멍(1310)이 형성되어 있고,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상기 제1키구멍(1310)의 하측에 상기 조작돌출부(13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어 잠금장치에 대해 정상적인 인증, 예를들어 비밀번호 입력 혹은 생체정보 입력 혹은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기에 기반하여 인증정보를 도어 잠금장치에 제공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의 오토래치 모티스는 모터를 이용하여 데드볼트(2100) 및 래치볼트(2200)를 구동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오토래치 모티스의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에 외부에서 상기 데드볼트(2100) 및 상기 래치볼트(2200)를 수동으로 해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외부에서 상기 데드볼트(2100) 및 상기 래치볼트(2200)를 수동으로 해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로 열쇠가 이용되고 있으나, 상기 열쇠에 의해서는 상기 데드볼트(2100)만이 해제될 수 있고, 래치볼트(2100)는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오토래치 모티스가 설치된 문의 잠금을 해제하지 못하거나 별도의 수단을 통하여 해제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상기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는 상기 조작돌출부(1300)를 구비하였다.
이 경우, 상기 조작돌출부(1300)를 상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래치볼트(2200)가 자동으로 해제되고, 키를 상기 제1키구멍(1310)으로 삽입하여 조작함으로써 상기 데드볼트(2100)를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매커니즘은 후술하기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조작돌출부(13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키구멍(1310) 내부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의 (a)는 상기 조작돌출부(1300)가 상기 제1키구멍(1310)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경우, 상기 제1키구멍(1310)의 하측은 상기 조작돌출부(1300)에 의하여 닫히고, 상기 제1키구멍(1310)의 상측은 개방될 수 있다.
도 1의 (b)는 상기 조작돌출부(1300)가 사용자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키구멍(1310)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경우, 상기 제1키구멍(1310)의 상측은 상기 조작돌출부(1300)에 의하여 닫히고, 상기 제1키구멍(1310)의 하측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키구멍(1310)의 하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조작돌출부(1300)이 이동하는 경우, 후술하는 내부 구성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모티스부(2000)에 구비된 상기 래치볼트(2200)가 해제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작돌출부(1300)를 상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래치볼트(2200)가 해제될 수 있으며,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티스부(2000)에 구비된 상기 래치볼트조작부(202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래치볼트조작부(20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관통홈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모티스부(2000) 내부에 래치볼트(2200)를 움직이도록 하는 모든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볼트조작부(20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시킬 수 있는 샤프트를 삽입할 수 있는 홈을 가지고, 회전함에 따라 회전운동을 상기 래치볼트(2200)의 병진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일단의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상기 모티스부(2000)의 몸체 방향으로 당겨져 문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고, 타단의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상기 모티스부(2000)의 몸체에서 돌출되어 문의 잠금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키(1320)는 상기 조작돌출부(1300)가 상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키구멍(1310)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조작돌출부(1300)를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키(1320)를 상기 제1키구멍(1310)에 삽입하고, 상기 조작키(1320)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데드볼트(2100)가 해제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상기 모티스부(2000)에 구비된 상기 데드볼트조작부(20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부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데드볼트조작부(20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모티스 본체에 형성된 관통홈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모티스부(2000) 내부에 데드볼트(2100)를 움직이도록 하는 요소에 해당한다.
상기 데드볼트조작부(20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시킬 수 있는 샤프트를 삽입할 수 있는 홈을 가지고, 홈에 결합된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데드볼트조작부(2010)가 회전할 수 있다. 모티스부(2000)의 내부에는 이와 같은 데드볼트조작부(2010)의 회전운동을 상기 데드볼트(2100)의 병진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내부 구성요소들을 가지고 있다.
상기 데드볼트조작부(201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데드볼트(2100)이 상기 모티스부(2000)의 몸체 방향으로 당겨져 문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고, 타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데드볼트(2100)이 상기 모티스부(2000)의 몸체에서 돌출되어 문의 잠금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티스부(2000)는 상기 데드볼트조작부(2010) 및 상기 래치볼트조작부(2020)의 사이에 배치된 1 이상의 모티스부관통홀(20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티스부관통홀(20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손잡이부(1000) 및 상기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가 배치된 문의 사이를 연결하는 부재를 관통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티스부는 상기 데드볼트(2100), 상기 래치볼트(2200), 및 서브래치볼트(2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드볼트(2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티스부(2000)의 일측 단부면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드볼트(2100)는 상기 모티스부(2000)의 일측 단부면의 상측에 직육면체 기둥 모양으로 돌출되고, 양단에 빗면을 가지지 않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모티스부의 본체 내부에 인입된 상태가 되고, 잠금된 상태에서는 상기 모티스부의 본체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데드볼트(2100)는 상기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의 잠금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래치볼트(2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티스부(2000)의 일측 단부면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볼트(2200)는 상기 모티스부(2000)의 일측 단부면의 상측에 삼각 기둥 모양으로 돌출되고, 내부 스프링과 연결되고, 일단에는 빗면을 가지고, 타단에서는 빗면을 가지지 않음으로써, 문이 닫힐 때 빗면에 의해 미끄러져 인입된 후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래치볼트(2200)는 상기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의 닫힘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부가적인 구성으로, 상기 서브래치볼트(2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드볼트(2100)와 상기 래치볼트(2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브래치볼트(2200)는 상기 모티스부관통홀(2030) 및 상기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가 배치된 문의 개폐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서브래치볼트(2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티스부(2000)의 일측 단부면에 삼각 기둥 모양으로 돌출되고, 내부 스프링과 연결되고, 양단에 빗면을 가짐으로써, 문의 개폐에 있어서 걸림이 없도록 미끄러질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문이 닫힌 상태에서는 벽체에 의해 눌려져 있고, 문이 열린 상태에서는 스프링에 의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문의 개폐에 따라 상기 서브래치볼트(2200)의 변위에 차이가 발생될 수 있어, 상기 서브래치볼트(2200)는 이를 기반으로 문의 개폐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부(2000)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으로 잠금해제가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는 도어의 외측면에 설치되면서 손으로 잡고 당길 수 있는 형태인 고정손잡이부(1000); 데드볼트(2100), 래치볼트(2200), 외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데드볼트(2100)를 잠금 혹은 해제할 수 있는 데드볼트조작부(2010), 외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래치볼트(2200)를 잠금 혹은 해제할 수 있는 래치볼트조작부(2020)를 포함하는 모티스부(2000); 상면에 관통홀 형태의 제1키구멍(1310)이 형성된 잠금장치커버(1200); 상기 제1키구멍의 외측에 노출이 되는 조작돌출부(1300); 및 상기 조작돌출부(1300)에 결합된 리브본체(2410)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돌출부(1300)를 이동시킴에 따라 상하 이동을 할 수 있는 키커버리브부(2400); 상기 키커버리브부(24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조작부(2020)를 회전시키는 래치볼트조작부회전부; 및 상기 제1키구멍(1310)을 통하여 삽입되는 외부의 키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데드볼트조작부(2010)의 1 이상의 요소를 회전시키는 데드볼트조작부회전부;를 포함하고, 사용자는 상기 조작돌출부(1300)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1키구멍(1310)으로 키를 삽입하여 키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데드볼트(2100) 및 상기 래치볼트(2200)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키커버리브부(24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키구멍(1310)의 외측에 노출이 되는 조작돌출부(1300); 및 상기 조작돌출부(1300)에 결합된 리브본체(2410)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돌출부(1300)를 이동시킴에 따라 상하 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리브본체(2410)의 하측에는 복수의 키커버리브돌기(2420)가 형성되고, 상측에 제2키구멍(24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키구멍(2430)의 상측에는 상기 조작돌출부(1300)가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돌출부(1300)가 상기 제1키구멍(1310)의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키구멍(1310)의 상측은 개방될 수 있고, 상기 조작돌출부(1300)가 상기 제1키구멍(1310)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키구멍(1310)의 하측은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키구멍(1310)의 하측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키구멍(2430)은, 상기 제1키구멍(1310)의 개방된 하측과 동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조작돌출부(130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제1키구멍(1310)의 개방된 부분과 상기 제2키구멍(2430)은 동축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조작키가 상기 제1키구멍(1310)과 상기 제2키구멍(2430)을 통하여 후술하는 키구동회전부(2141)의 상기 제3키구멍(2142)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키의 회전에 따라, 상기 키구동회전부(2141)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리브본체(2410)는 상기 조작돌출부(1300)를 사용자가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조작부회전부(b) 및 상기 래치볼트조작부(2020)를 동작하도록 하여 상기 래치볼트(2200)를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조작키(1320)는, 상기 잠금장치커버(1200)에 형성된 제1키구멍(1310), 상기 키커버리브부(2400)에 형성된 제2키구멍(2430), 키구동회전부지지부(2140)에 형성된 제3키구멍(2142)을 연속적으로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래치볼트조작부회전부(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키커버리브부(24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조작부(20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래치볼트조작부회전부(b)는, 상기 래치볼트조작부(2020)와 체결되는 래치볼트샤프트(2210); 및 상기 래치볼트샤프트(2210)의 일부와 체결되고, 일면에 외부의 요소와 접촉될 수 있는 래치볼트로터돌기(2221)를 포함하는 래치볼트로터(2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브본체(2410)는 하측에 돌출된 구조를 갖는 키커버리브돌기(2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돌출부(1300)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리브본체(2410)를 상하 이동시킨다.
상기 리브본체(2410)가 이동할 때, 상기 리브본체(2410)에 형성된 상기 키커버리브돌기(2420)와 상기 래치볼트로터(2220)에 형성된 상기 래치볼트로터돌기(2221)가 맞물려 상기 래치볼트로터(2220)를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래치볼트로터(2220)의 회전에 의하여, 래치볼트샤프트(2210)가 회전하고, 상기 래치볼트샤프트(22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조작부(2020)가 동작하고, 상기 래치볼트(2200)를 해제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작돌출부(1300)를 사용자가 이동시킴에 따라 상하 이동하여 상기 제1키구멍(1310)의 영역 중 외부의 키가 삽입될 수 있는 영역을 개폐할 수 있고, 상기 조작돌출부(1300)를 사용자가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조작부회전부(b) 및 상기 래치볼트조작부(2020)를 동작하도록 하여 상기 래치볼트(2200)를 해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커버리브돌기(2420)는 상기 래치볼트로터돌기(2221)와 유격을 가지고, 상기 리브본체(2410)가 초기 지점에서 제1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에는 상기 키커버리브돌기(2420)와 상기 래치볼트로터돌기(2221)는 접촉하지 않고, 상기 리브본체(2410)가 제1지점에서 제2지점까지 이후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상기 키커버리브돌기(2420)와 상기 래치볼트로터돌기(2221)는 접촉하여, 상기 리브본체(2410)의 상하 이동이 상기 래치볼트로터(222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격에 의하여, 상기 리브본체(2410)의 상하 이동에 대한 상기 래치볼트로터(2220)의 회전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돌출부(1300)를 이동시켜 래치볼트로터돌기(2221) 및 키커버리브돌기(2420)가 서로 맞물리면서 래치볼트조작부회전부(b) 및 래치볼트조작부(2020)가 동작함에 따라, 상기 조작돌출부(1300)의 조작에 의하여 래치볼트(2200)를 해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데드볼트조작부회전부(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키구멍(1310) 및 제2키구멍(2430)을 통하여 삽입되는 외부의 키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데드볼트조작부(2010)의 1 이상의 요소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드볼트조작부회전부(a)는, 외부의 키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의 키가 삽입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는 키구동회전부(2141); 상기 키구동회전부(2141)와 체결되어, 상기 키구동회전부(214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기어(2120); 상기 제1기어(2120)와 체결되어, 상기 제1기어(21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2기어(2130); 상기 제2기어(2130)와 체결되어, 상기 제2기어(213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데드볼트샤프트(2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2120)는,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상측에 반달 모양의 홈이 형성되는 체결홈부(2122), 및 상기 체결홈부(2122)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기어이(2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홈부(2122)는 상기 키구동회전부지지부(2140)과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1기어이(2121)는 상기 제2기어(2130)에 형성된 제2기어이(2131)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제2기어(2130)는, 상기 제1기어(2120)와 맞물릴 수 있는 제2기어이(2131), 및 상기 데드볼트샤프트(2110)를 끼울 수 있는 구멍 내부에 복수의 돌기를 갖는 제2기어내부돌기(21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기어내부돌기(2132)는, 회전력을 가하여 상기 데드볼트샤프트(2110)의 모서리와 돌기가 서로 맞물려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의 상기 데드볼트(2100)는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기어(2130)의 내측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돌기의 사이에는 비교적 큰 유격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데드볼트샤프트(2110)는 기설정된 각도 범위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설정된 각도범위는 30도 내지 90도의 각도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2기어내부돌기(2132)와 상기 데드볼트샤프트(2110)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데드볼트샤프트(2110)와 상기 제2기어(2130)가 서로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고, 상기 제2기어내부돌기(2132)는, 상기 데드볼트샤프트(2110)를 일정량 이상으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제2기어(21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기어내부돌기(2132) 사이는 이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격구성에 의하여 오토래치형 모터 등의 자동적 제어요소에 의해 데드볼트샤프트(2110)가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기어(213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키구동회전부지지부(2140)는 상기 조작키(1320)를 삽입하여 상기 데드볼트조작부회전부(a)를 조작할 수 있는 키구동회전부(2141)가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키구동회전부(2141)에는 상기 조작키(1320)가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는 제3키구멍(21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키가 상기 제3키구멍(2142)에 삽입되어, 상기 키구동회전부(2141)와 상기 조작키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키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키구동회전부(2141)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데드볼트샤프트(2110)는 다각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데드볼트조작부(2010)에 고정되어 회전될 수 있다.
데드볼트조작부회전부(a)에서는 상기 키구동회전부지지부(2140)의 제3키구멍(2142)에 상기 조작키(1320)가 삽입되어 회전되고, 상기 키구동회전부(2141)가 회전되고, 상기 제1기어(2120)가 회전되고, 상기 제2기어(2130)가 회전되고, 상기 데드볼트샤프트(2110)가 회전되어, 상기 데드볼트조작부(2010)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데드볼트샤프트(211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데드볼트조작부(2010)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데드볼트(21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드볼트샤프트(211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데드볼트조작부(2010)가 구동하여, 데드볼트(2100)가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상기 조작돌출부(1300)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1키구멍(1310)으로 키를 삽입하여 키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데드볼트(2100) 및 상기 래치볼트(2200)가 해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드볼트조작부회전부(a), 래치볼트조작부회전부(b), 및 키커버리브부(24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a)는 데드볼트조작부회전부(a), 래치볼트조작부회전부(b), 및 키커버리브부(2400)가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드볼트조작부회전부(a)는 제1기어(2120), 상기 제1기어(2120)와 맞물릴 수 있는 제2기어(2130), 조작키(1320)를 삽입할 수 있는 키구동회전부지지부(2140), 및 제2기어(2130)와 결합될 수 있는 데드볼트샤프트(2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키구동회전부지지부(2140)는 상기 조작키(1320)를 삽입하여 상기 데드볼트조작부회전부(a)를 조작할 수 있는 키구동회전부(2141) 및 상기 조작키(1320)가 통과하는 제3키구멍(214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구동회전부(2141)는 반달 모양의 축을 갖는 체결돌출부(21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체결돌출부(2143)는, 동축상에 배치되는 제1기어(2120)의 중심부에 형성된 체결홈부(2122)와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2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기어이(2121)은 제2기어(21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기어이(2131)과 치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체결홈부(2122) 및 상기 체결돌출부(2143)는 반달 모양으로 한정하지 않고, 미끄럼 없이 회전할 수 있는 모양의 홈 및 돌출부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기어(2130)는 제2기어내부돌기(2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기어내부돌기(2132)는 동축상에 배치된 상기 데드볼트샤프트(2110)와 끼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래치볼트샤프트(2210)는 실외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메인샤프트(2230)는 실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볼트샤프트(2210)는 상기 모티스부(2000)와 연결되어 상기 래치볼트(2200)만 해제시킬 수 있고, 상기 메인샤프트(2230)는 상기 래치볼트(2200) 및 상기 데드볼트(2100)을 동시에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래치볼트샤프트(2210)과 상기 메인샤프트(2230)은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메인샤프트(2230)은 모티스본체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래치볼트샤프트(2210)만 회전할 수도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드볼트조작부회전부(a), 래치볼트조작부회전부(b), 및 키커버리브부(2400)가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드볼트조작부회전부(a)는, 상기 키구동회전부지지부(2140) 및 상기 제1기어(2120)와 같은 중심축을 갖도록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2130)는 상기 데드볼트샤프트(2210)와 같은 중심축을 갖도록 조립될 수 있고, 상기 제1기어(2120) 및 상기 제2기어(2130)는 서로 치합되어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래치볼트샤프트(2210), 상기 메인샤프트(2230), 및 상기 래치볼트로터(2220)은 같은 중심축을 갖도록 조립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부(2000) 및 잠금장치커버(1200)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티스부(2000)는 상기 잠금장치커버(1200)와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드볼트(2100), 상기 래치볼트(2200), 및 상기 서브래치볼트(2200)는 벽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데드볼트(2100) 및 상기 래치볼트(2200)를 돌출하여 벽체에 걸리게 함으로서 잠금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티스부(2000)는 출입문에 매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잠금장치커버(1200)는 출입문 실외측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티스부(2000)는 출입문 판금의 두께에 의해 상기 잠금장치커버(1200)와 일정량의 유격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티스부(2000)의 외측부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돌출부(13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a)는 키커버리브부(2400)가 하측에 위치할 때를 도시한다.
이 때, 상기 조작돌출부(1300)는 상기 제1키구멍(1310)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2키구멍(2430)은 닫힌 상태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래치볼트로터돌기(2221)는 상기 키커버리브돌기(2420)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 해당한다.
도 6(b)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키커버리브부(2400)가 하측에 위치할 때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조작돌출부(1300)를 위로 밀어 올리는 경우, 상기 리브본체(2410)가 전체적으로 위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키커버리브돌기(2420)가 상기 래치볼트로터돌기(2221)를 밀어 올리면서 상기 래치볼트샤프트(22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래치볼트(2200)는 회전하는 상기 래치볼트샤프트(2210)에 의해 10도 내지 40도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키커버리브돌기(2420)와 상기 래치볼트로터돌기(2221)는 상기와 같은 회전을 하도록 하는 일정량의 유격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볼트(2200)가 해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키커버리브부(2400)는 상기 제2기어(2130)의 하측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조작돌출부(13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키구멍(1310)이 열린 상태에 해당한다. 이 경우에, 상기 모티스부(2000)에 구비된 상기 래치볼트(2200)가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조작돌출부(1300)를 이동시켜 상기 래치볼트로터돌기(2221) 및 상기 키커버리브돌기(2420)가 서로 맞물리면서 래치볼트조작부회전부(b) 및 상기 래치볼트조작부(2020)가 동작함에 따라, 별도의 전원 없이도 상기 래치볼트(2200)를 해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기어(2130)의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기어(2130)는, 상기 데드볼트샤프트(2110)를 끼울 수 있는 구멍 내부에 복수의 돌기를 갖는 제2기어내부돌기(2132);를 포함하고, 상기 제2기어내부돌기(2132)와 상기 데드볼트샤프트(2110)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데드볼트샤프트(2110)와 상기 제2기어(2130)가 서로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내부돌기(2132)는, 상기 데드볼트샤프트(2110)를 일정량 이상으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제2기어(21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기어내부돌기(2132) 사이는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드볼트샤프트(2110)의 상면은 좌측에 형성된 제2기어내부돌기(2132)와 접촉되고, 상기 데드볼트샤프트(2110)의 하면은 우측에 형성된 제2기어내부돌기(2132)와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데드볼트샤프트(2110)는 상기 제2기어(2130)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기 제2기어내부돌기(2132)에 의하여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제2기어내부돌기(2132)의 사이가 이격됨에 따라, 모티스 내부의 자동조작 수단에 의하여 상기 데드볼트샤프트가 회전하는 경우, 기설정된 각도 까지는 상기 데드볼트샤프트의 회전이 상기 제2기어(2130)의 회전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설정된 각도는 30도 내지 90도 범위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설정된 각도는 상기 제2기어내부돌기(2132) 사이의 이격각도 및/또는 데드볼트샤프트의 단면치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반면, 제2기어(2130)는 회전하는 경우, 손실없이 상기 데드볼트샤프트(2110)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이 경우,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드볼트샤프트(2110)의 상면은 우측에 형성된 제2기어내부돌기(2132)와 접촉되고, 상기 데드볼트샤프트(2110)의 하면은 좌측에 형성된 제2기어내부돌기(2132)와 접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기어내부돌기(2132)의 사이가 이격됨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샤프트(2110)는 기설정된 각도 미만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기어(2130)를 회전시키지 않고, 단독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데드볼트샤프트(2110)는 상기 제2기어(2130)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상기 모터에 의하여 단독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기어(2130) 내부 구멍에 복수의 돌기를 가지고, 기어 내부 구멍에 데드볼트샤프트(2110)를 체결함으로서, 제2기어(2130)의 회전 없이 데드볼트샤프트(2110)가 회전할 수 있는 여유공간을 가지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2기어(2130)와 내부 모터에 의한 데드볼트샤프트(2110) 동작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의 (a) 및 (b)는 각각 상기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8의 (c)는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고정손잡이부(1000)는, 전면 핸들 고정형의 손잡이인 핸들부(1100), 출입문과 연결되는 잠금장치커버(1200), 상기 제1키구멍(1310)을 개폐할 수 있는 조작돌출부(1300) 및 상기 잠금장치커버(1200) 조작키(1320)를 삽입할 수 있는 제1키구멍(131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3000)는 상기 잠금장치커버(1200)와 결합되어 상기 모티스부관통홀(2030) 및 상기 출입문을 관통하여, 실내 혹은 실외측의 도어 잠금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1100)는 전면 핸들 고정형의 손잡이고, 핸들이 기계적 움직임 없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출입자 인증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비밀번호 및 지문인식 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고, 상기 모티스부(2000)가 잠금해제되어 문을 열 수 있는 상태일 때 잡고 당길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으로 잠금해제가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는, 도어의 외측면에 설치되면서 손으로 잡고 당길 수 있는 형태인 고정손잡이부(1000); 데드볼트(2100), 래치볼트(2200), 외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데드볼트(2100)를 잠금 혹은 해제할 수 있는 데드볼트조작부(2010), 외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래치볼트(2200)를 잠금 혹은 해제할 수 있는 래치볼트조작부(2020)를 포함하는 모티스부(2000); 상기 조작돌출부(1300)에 결합된 리브본체(2410), 및 사용자가 상기 조작돌출부(1300)를 이동시킴에 따라 상하 이동을 할 수 있는 키커버리브부(2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커버(1200)는, 상기 제1브라켓(1210) 및 상기 제2브라켓(1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1210) 및 상기 제2브라켓(1220)은, 상기 조작키(1320)를 삽입하여 동작할 수 있는 상기 데드볼트조작부회전부(a), 상기 래치볼트조작부회전부(b), 및 상기 키커버리브부(2400)를 고정하는 판재, 및 상기 잠금장치커버(1200) 내부에 포함하도록 결합되는 덮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핸들 조작이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핸들 조작이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도어 잠금장치는 출입문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는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후술하는 도어 잠금장치는 출입문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는 장치에 해당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핸들 조작이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는, 사용자가 푸시 혹은 풀 조작을 할 수 있는 손잡이부(4000); 데드볼트(2100), 래치볼트(2200), 외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데드볼트(2100)를 잠금 혹은 해제할 수 있는 데드볼트조작부(2010), 및 외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데드볼트(2100) 및 상기 래치볼트(2200)를 잠금 혹은 해제할 수 있는 메인샤프트조작부(2040)를 포함하는 모티스부(2000); 사용자의 상기 손잡이부(4000)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T자형레버(7000); 모터(5100), 상기 모터(5100)를 제어하는 제1기판(5500), 상기 모터(5100)와 체결되어 상기 모터(5100)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모터기어부(5200), 상기 모터기어부(520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메인기어부(5300)를 포함하는 모터구동부(5000); 및 상기 모티스부(2000)에 고정되는 슬라이더지지부(6200), 상기 슬라이더지지부(6200) 내부에서 상기 T자형레버(7000)의 동작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6100)를 포함하는 슬라이더구동부(6000);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손잡이부(4000)를 푸시 및 풀 조작을 하는 경우, T자형레버(7000)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더(6100)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메인샤프트조작부(2040)를 조작할 수 있다.
도 9의 (a)는 푸시풀 핸들 조작이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티스부(2000)의 일면에는 푸시 혹은 풀 조작을 할 수 있는 손잡이부(4000)가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40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프레임; 사용자의 푸시 조작에 따라 상기 손잡이프레임에 대하여 힌지운동을 하는 푸시커버(4300); 및 사용자의 풀 조작에 따라 상기 손잡이프레임에 대하여 힌지운동을 하는 풀커버(4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손잡이프레임은, 상기 손잡이부(4000)의 몸체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손잡이부(4000)의 외측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쥘 수 있는 형태를 갖는 제1손잡이프레임(4100), 및 상기 손잡이부(4000)의 내측에 설치되고, 문에 부착되는 제2손잡이프레임(42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4000)의 푸시커버(4300) 혹은 풀커버(4400)는 사용자가 밀거나 당길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T자형레버(7000)가 회전되고, 상기 T자형레버(7000)가 슬라이더(6100)를 위로 밀어올려 데드볼트샤프트캡(6400)과 메인기어부(5300)를 회전시켜 상기 데드볼트(2100) 및 상기 래치볼트(2200)를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푸시커버(43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손 또는 몸으로 밀 수 있고, 푸시 조작함에 따라 인입되며 문을 열 수 있다. 또한, 상기 풀커버(44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당길 수 있고, 사용자가 풀 조작함에 따라 인입될 수 있다.
오픈버튼(54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푸시커버(4300)의 외측면 홈에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눌러서 인입되는 경우, 모터(5100)의 동작에 의하여 도어 잠금장치가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픈버튼(5400)이 조작됨에 따라 내부 제어기판은 상기 모터구동부(5000)를 동작시키고, 상기 데드볼트(2100)와 상기 래치볼트(2200)를 동시에 해제시킬 수 있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잠금장치는 상기 손잡이부(4000)의 일면과 연결되는 모티스부(20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티스부(2000)는 상기 모티스부(2000)의 일측 단부면의 상측에 배치되는 데드볼트(2100), 상기 모티스부(2000)의 일측 단부면의 하측에 배치되는 래치볼트(2200), 및 서브래치볼트(2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드볼트(2100), 상기 래치볼트(2200), 및 상기 서브래치볼트(2300)는 도 1 내지 8에서 전술한 데드볼트(2100), 래치볼트(2200), 및 서브래치볼트(2300)와 상응하는 부재에 해당한다.
도 9의 (b)는 도어 잠금장치의 실내측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잠금장치는 상기 모티스부(2000)의 일면에 조립되고, 모터(5100)를 포함하는 모터구동부(5000) 및 상기 모티스부(2000)를 조작할 수 있는 슬라이더구동부(6000)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더구동부(6000)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6100), 슬라이더지지부(6200), 슬라이더스프링(6300), 및 데드볼트샤프트캡(6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할 설명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T자형레버(7000)는, 본체부(7100); 상기 본체부(7100)의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T자형레버(7000)를 상기 도어 잠금장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T자형레버지지돌출부(7200); 상기 본체부(7100)에서 상기 축방향에 직교하는 제1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푸시커버(4300)와 접촉하는 푸시커버지지돌출부(7300); 상기 본체부(7100)에서 상기 축방향에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풀커버(4400)와 접촉하는 풀커버지지돌출부(7400); 및 상기 본체부(7100)에서 상기 축방향에 직교하는 제3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슬라이더(6100)의 일부와 접촉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6100)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더구동돌출부(7500);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 조작에 의하여 상기 푸시커버지지돌출부(7300)가 가압되고, 상기 푸시커버지지돌출부(7300)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T자형레버(7000)를 회전할 수 있다.
풀 조작에 의하여, 상기 풀커버지지돌출부(7400)가 가압되고, 상기 풀커버지지돌출부(7400)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T자형레버(7000)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T자형레버(70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구동돌출부(7500)는, 슬라이더돌기(6140)를 밀어 슬라이더본체(6110)를 밀어 올릴 수 있다.
상기 메인기어부(5300)는, 상기 메인샤프트조작부(2040)에 결합될 수 있는 메인샤프트(2230)를 수용하는 메인기어체결홈부(5330)가 형성된 메인기어본체(5310); 상기 모터기어부(5200)와 체결할 수 있는 기어이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기어본체(5310)에 결합된 메인기어체결부재(5320); 상기 메인기어본체(5310)에 결합된 메인기어부돌기(5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오픈버튼(5400)을 누름에 따라, 상기 모터구동부(5000)를 동작시키고, 상기 데드볼트(2100)와 상기 래치볼트(2200)를 동시에 해제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핸들에 대한 푸시풀 조작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구동부(6000)를 동작시킴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2100) 및 상기 래치볼트(2200)가 해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6100)는, 상기 메인기어부(5300)를 수용하는 관통홀 형태의 메인기어수용부(6130)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슬라이더본체(6110); 및 상기 메인기어부(5300)의 일부 요소와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더본체(6110)의 일면에서 돌출된 형태의 슬라이더돌기(6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푸시 혹은 풀조작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본체(6100)는 상하 이동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더 상하 이동시 상기 슬라이더돌기(6140)가 상기 메인기어돌기(5340)와 접촉하여 슬라이더 상하 운동을 메인기어부(5300)의 회전 운동으로 전환하고, 이에 따라 메인샤프트가 회전하여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메인샤프트조작부(2040) 내부에 상기 메인샤프트(2230)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메인샤프트(2230)은 메인기어부(5300)의 메인기어본체(53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6100)의 수직방향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돌기(6140)가 상기 메인기어부(5300)의 일부요소, 즉 메인기어돌기(5330)에 힘을 가하여 상기 메인기어부(5300)를 회전시켜 상기 메인샤프트(2230)를 회전시키고, 상기 메인샤프트조작부(2040)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구동부(6000)는, 상기 데드볼트조작부(2010)에 결합되는 데드볼트샤프트(2110)의 일단에 결합되는 데드볼트샤프트캡(64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데드볼트샤프트캡(6400)은 캡돌기(6410)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6100)의 일부, 즉 도 9에서는 슬라이더본체(6110)의 상면은 상기 캡돌기(6410)와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더(6100)의 수직방향의 이동에 따라 상기 캡돌기(6410)가 힘을 받아 상기 데드볼트샤프트캡(6400)이 회전할 수 있고, 상기 데드볼트샤프트캡(6400)이 회전하면 상기 데드볼트샤프트(2110)가 회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메인샤프트조작부(2040)를 조작할 수 있다.
슬라이더스프링(6300)은, 상기 슬라이더본체(6110)의 부분과 상기 손잡이부(4000)의 부분에 양단이 결합되고, 푸시 혹은 풀 조작함에 따라 수직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더(61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6100)는, 일면에 상기 T자형레버(7000)와 접촉할 수 있는 상기 슬라이더돌기(6140), 및 상기 슬라이더스프링(6300)을 상기 슬라이더(6100)와 접촉시키고,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스프링턱부(615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푸시풀 핸들 조작이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의 모터(5100)에 의한 잠금 해제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5100) 동작에 따른 잠금 해제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의 (a)는 모터(5100)가 동작하지 않았을 때의 기본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의 (a)의 상단 도면은 슬라이더(6110)이 제외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의 (b)는 모터(5100)가 동작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의 (b)의 상단 도면은 슬라이더(6110)이 제외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메인기어부(5300)는 모터기어(5200)와 치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모터(5100)가 구동하는 경우, 모터기어(5200)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메인기어부(5300)이 회전한다.
도 10의 (a)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모티스부(2000)는 잠금상태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드볼트(2100) 및 상기 래치볼트(2200)는 돌출된 상태에 해당하고, 사용자가 문을 열 수 없는 상태에 해당한다.
도 10의 (b)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모티스부(2000)는 열림상태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드볼트(2100) 및 래치볼트(2200)은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 해당하고, 사용자가 문을 열 수 있는 상태에 해당한다.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가 동작하여 모터기어(5200)이 회전하여 상기 메인기어부(5300)가 회전하는 경우, 모티스부(2000)는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드볼트(2100)는 잠금이 해제될 수 있고, 상기 래치볼트(2200)가 해제될 수 있고, 사용자가 문을 열 수 있는 상태에 해당한다.
상기 슬라이더본체(6110)는 내부에 관통홀 형상의 메인기어수용부(6130)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5100)가 구동함에 따라 상기 메인기어부(5300)가 회전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메인기어돌기(5340)가 충돌하지 않는 여유공간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모터(5100)가 상기 메인기어부(5300)를 회전시켜 도어 잠금장치의 잠금을 해제하고, 다시 잠금으로 복귀하는 구간에서, 메인기어부(5300)의 메인기어돌기(5340)가 상기 슬라이더본체(6110)과 부딪히지 않도록 메인기어수용부(6130)는 메인기어부(5300)를 수용하는 공간에 추가적으로 상기 메인기어돌기(5340)가 동작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여유공간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기어부(5300)는, 상기 모터(5100)의 구동 동작에서 상기 슬라이더본체(6110)와 충돌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부(2000)를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모티스부(2000)는 도 3에 도시된 모티스부(2000)의 다른 면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모티스부(2000)는 도어 내측의 면에 해당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래치볼트샤프트(2210)는 실외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메인샤프트(2230)는 실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드볼트조작부(2010)는 상기 데드볼트샤프트(2110)와 체결되고, 상기 래치볼트조작부(2020)는 실외측에서 상기 래치볼트샤프트(2210)와 체결되고, 상기 메인샤프트조작부(2040)는 실내측에서 상기 메인샤프트(2230)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래치볼트샤프트(2210) 및 상기 메인샤프트(2230)은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동축상에 결합되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구동부(5000), 슬라이더구동부(6000) 및 T자형레버(70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모터기어부(5200)는, 상기 메인기어부(5300)와 맞물릴 수 있는 모터기어이(522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기어부(5300)는 상기 모터기어이(5220)과 맞물릴 수 있는 메인기어이(5320)가 형성된 메인기어본체(5310)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51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모터기어부(5200)가 회전하고, 상기 메인기어부(5310)가 회전할 수 있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T자형레버(7000)는, 상기 슬라이더구동돌출부(7500)와 상기 슬라이더돌기(6140)가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본체(6110)는, 일면에 상기 T자형레버(7000)와 접촉할 수 있는 슬라이더돌기(6140), 및 상기 슬라이더스프링(6300)을 상기 슬라이더(6100)와 접촉시키고,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스프링턱부(6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본체(6110)는, 타면에 상기 메인기어부(5300)의 회전을 일단에서 멈출 수 있도록 하는 제1메인기어턱부(6131), 상기 메인기어부(5300)의 회전을 타단에서 멈출 수 있도록 하는 제2메인기어턱부(6132)를 포함한다.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본체(6110)는, 상기 메인기어본체(5310)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는 하측의 여유공간을 가지고, 상기 하측의 여유공간 내부에서 상기 슬라이더본체(6110)는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기어수용부(6130)는, 상기 메인기어부(5300)의 회전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가동 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1메인기어턱부(6131) 및 제2메인기어턱부(613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더(6100)의 내부에 수직이동에 방해되지 않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구동부(5000) 및 슬라이더구동부(6000)의 변위를 센싱하는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구동부(5000)는, 상기 모터(5100), 상기 모터(5100)를 제어하는 제1기판(5500), 상기 모터(5100)와 체결되어 상기 모터(5100)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모터기어부(5200), 상기 모터기어부(520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메인기어부(5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구동부(5000) 및 상기 슬라이더구동부(6000)의 일측면에 상기 모터(5100)를 제어하는 제1기판(5500)이 장착될 수 있다.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판(5500)의 일면에는, 상기 슬라이더(6100)의 변위를 센싱할 수 있는 제1센서(5510), 상기 메인기어부(5300)의 제1위치를 센싱할 수 있는 제2센서(5520), 및 상기 메인기어부(5300)의 제2위치를 센싱할 수 있는 제3센서(5530)가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판(5500)은, 일면에 실장되는 복수의 센서가 상기 슬라이더(6100) 및 상기 메인기어부(5300)를 센싱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5100)는, 상기 슬라이더(6100)가 제자리에 있을 때 혹은 이동하지 않을 때에만 작동해야 한다. 상기 제1센서(5510)가 상기 슬라이더(6100)가 특정 위치, 즉 하측에 있는 것으로 감지할 때에만, 상기 제1기판(5500)은 상기 모터(5100)가 작동할 수 있도록 모터(5100)를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본체(6110)는, 상기 메인기어부(5300)의 회전을 일단에서 멈출 수 있도록 하는 제1메인기어턱부(6131), 상기 메인기어부(5300)의 회전을 타단에서 멈출 수 있도록 하는 제2메인기어턱부(613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본체(6110)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메인기어부(5300)가 회전하는 각도는 45도 내지 90도로 제한된다. 상기 메인기어부(5300)가 제1메인기어턱부(6131)에 접촉되어 있을 때, 상기 모터(5100)가 구동하게 되면, 상기 메인기어부(5300) 및 모터(5100)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센서(5520) 및 상기 제3센서(5530)에 의하여 메인기어본체(5310)가 상기 제1메인기어턱부(6131) 혹은 상기 제2메인기어턱부(6132)에 접촉되어 있음이 센싱되는 경우, 제1기판(5500)은 상기 모터(5100)의 동작을 멈추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푸시풀 핸들 조작이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의 푸시 혹은 풀 조작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커버(4300) 조작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커버(4400) 조작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시커버(4300)는 일단부에 푸시커버돌기(43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T자형레버(7000)에 접촉할 수 있는 푸시커버돌출부(43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풀커버(4400)는 일단에 풀커버돌기(44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T자형레버(7000)에 접촉할 수 있는 풀커버돌출부(4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손잡이프레임(4100)에는 상기 푸시커버돌기(4310)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푸시커버돌기받침(41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손잡이프레임(4100)에는 상기 푸시커버돌출부(4320)를 관통시킬 수 있는 프레임홈부(41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손잡이프레임(4200)은, 상기 풀커버돌기(4410)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풀커버돌기받침(421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조에서는 푸시 및 풀 조작 모두 상기 T자형레버(7000)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푸시 혹은 풀 조작에서 상기 메인기어부(5300)를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오토래치 모티스에서 푸시 혹은 풀 조작의 구현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구성 및 동작수명이 증대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4000)는, 푸시풀 도어락의 양산에 있어 손잡이의 사용 방향을 푸시 또는 풀로 구분하여 선택하고, 조립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뒷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일반적인 모티스는 메인샤프트의 회전에는 상당한 힘을 요구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푸시 및 풀 조작함에 따라 상기 메인기어부(5300) 및 메인샤프트(2230)을 회전시켜, 상기 데드볼트(2100)와 상기 래치볼트(2200)를 모두 해제하기 위해서는 큰 힘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더본체(6110)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본체(6110)의 상측 단부면에 해당하는 캡턱부(6160)이 상기 캡돌기(6410)와 접촉하여 상기 데드볼트샤프트캡(6400) 전체를 회전시킴으로써 데드볼트샤프트를 일부 회전시키고, 이는 모티스 내부에서 상기 메인샤프트(2230)의 회전을 보조함으로써, 상기 메인샤프트(2230)의 회전에 필요한 힘을 줄일 수 있다. 즉, 위와 같은 데드볼트샤프트캡(6400) 및 슬라이더본체(6110)의 캡턱부(6160) 구성은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푸시 혹은 풀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 혹은 풀 조작에 따른 슬라이더(610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본체(6110)는, 상기 T자형레버(7000)의 회전에 의해 밀려 올라갈 수 있다. 이 때, 상기 슬라이더본체(6110)의 캡턱부(6160)에 의하여 상기 데드볼트샤프트캡(6400)이 회전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슬라이더본체(6110)의 상승에 따라 상기 메인기어부(5300)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본체(6110)은 관통홀 형태의 캡수용부(61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6100)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샤프트캡(6400)의 일부는 캡수용부(6120) 내부로 수용되고, 따라서 데드볼트샤프트캡(6400)은 상기 슬라이더본체(6110)이 이동을 제한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6100)는, 상기 슬라이더스프링(6300)의 복원력에 의해 좌측 도면과 우측 도면의 동작이 반복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 전체에 대한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4000)의 내부에는, 복수의 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오픈버튼(5400)을 누를 수 있는 스위치가 실장된 상기 제2기판(5600)이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제1기판(5500) 및 상기 제2기판(56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4500)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손잡이프레임(4200)은, 상기 손잡이부(4000) 내부의 부재들을 고정하는 제3브라켓(4220) 및 문의 외벽에 직접 접촉하여 고정되는 제4브라켓(42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뒷면의 형상을 도시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지지부(6200)는, 상기 데드볼트샤프트(2110), 상기 메인기어부(5300)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지지부(6200)에 상기 제1기판(550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스프링(6300)은, 상기 제2손잡이프레임(4200)의 일부 및 슬라이더본체(6110)의 상기 스프링턱부(6150) 사이에 위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스프링(6300)은 압축 스프링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푸시 혹은 풀 조작 방법에 따라 동작될 수 있는 상기 슬라이더(6100)의 수직이동을 원위치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토래치 모티스 도어락에 푸시풀 손잡이를 적용하여,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고, 일체형 제품으로서 생산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편리한 방법으로 문을 열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더 및 메인기어의 변위를 센싱하는 광센서를 적용함으로써, 모터의 회전이 과도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고, 모터의 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푸시 및 풀 조작함에 따라, 슬라이더가 상하이동하고, 데드볼트샤프트캡을 슬라이더와 함께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푸시커버 및 풀커버를 조작할 때 필요한 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푸시 및 풀 조작을 구현하는 손잡이로서, 푸시커버 및 풀커버를 조작함에 따라 T자형레버는 슬라이더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를 동시에 해제할 수 있는 동일한 동작을 간단하게 구현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0: 고정손잡이부 1100: 핸들부
1200: 잠금장치커버 1210: 제1브라켓
1220: 제2브라켓 1300: 조작돌출부
1310: 제1키구멍 1320: 조작키
2000: 모티스부 2010: 데드볼트조작부
2020: 래치볼트조작부 2030: 모티스부관통홀
2100: 데드볼트 2110: 데드볼트샤프트
2120: 제1기어 2121: 제1기어이
2122: 체결홈부 2130: 제2기어
2131: 제2기어이 2132: 제2기어내부돌기
2140: 키구동회전부지지부 2141: 키구동회전부
2142: 제3키구멍 2143: 체결돌출부
2200: 래치볼트 2210: 래치볼트샤프트
2220: 래치볼트로터 2221: 래치볼트로터돌기
2222: 래치볼트결합홈부 2230: 메인샤프트
2300: 서브래치볼트부 2400: 키커버리브부
2410: 리브본체 2420: 키커버리브돌기
2430: 제2키구멍 3000: 연결부
3100: 연결커버
4000: 손잡이부 4100: 제1손잡이프레임
4110: 푸시커버돌기받침 4120: 프레임홈부
4200: 제2손잡이프레임 4210: 풀커버돌기받침
4220: 제3브라켓 4230: 제4브라켓
4300: 푸시커버 4310: 푸시커버돌기
4320: 푸시커버돌출부 4400: 풀커버
4410: 풀커버돌기 4420: 풀커버돌출부
4500: 배터리 5000: 모터구동부
5100: 모터 5200: 모터기어부
5210: 모터기어본체 5220: 모터기어체결부재
5300: 메인기어부 5310: 메인기어본체
5320: 메인기어체결부재 5330: 메인기어체결홈부
5340: 메인기어돌기 5400: 오픈버튼
5500: 제1기판 5510: 제1센서
5520: 제2센서 5530: 제3센서
5600: 제2기판 6000: 슬라이더구동부
6100: 슬라이더 6110: 슬라이더본체
6120: 캡수용부 6130: 메인기어수용부
6131: 제1메인기어턱부 6132: 제2메인기어턱부
6140: 슬라이더돌기 6150: 스프링턱부
6160: 캡턱부 6200: 슬라이더지지부
6300: 슬라이더스프링 6400: 데드볼트샤프트캡
6410: 캡돌기 7000: T자형레버
7100: 본체부 7200: T자형레버지지돌출부
7300: 푸시커버지지돌출부 7400: 풀커버지지돌출부
7500: 슬라이더구동돌출부

Claims (6)

  1.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로서,
    사용자가 푸시 혹은 풀 조작을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쥘 수 있는 형태를 갖는 제1손잡이프레임; 문에 부착되는 제2손잡이프레임; 사용자의 푸시 조작에 따라 상기 제1손잡이프레임 및 상기 제2손잡이프레임에 대하여 힌지운동을 하는 푸시커버; 및 사용자의 풀 조작에 따라 상기 제1손잡이프레임 및 상기 제2손잡이프레임에 대하여 힌지운동을 하는 풀커버;를 포함하는 손잡이부;
    데드볼트, 래치볼트, 외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데드볼트를 잠금 혹은 해제할 수 있는 데드볼트조작부, 및 외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데드볼트 및 상기 래치볼트를 잠금 혹은 해제할 수 있는 메인샤프트조작부를 포함하는 모티스부;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서, 일부가 상기 푸시커버와 상기 풀커버 사이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상기 손잡이부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T자형레버;
    모터,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1기판, 상기 모터와 체결되어 상기 모터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모터기어, 상기 모터기어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메인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서, 상기 T자형레버의 하측에 구비되는 모터구동부; 및
    상기 모티스부에 고정되는 슬라이더지지부, 상기 슬라이더지지부 내부에서 상기 T자형레버의 동작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서, 상기 T자형레버 및 상기 모터구동부의 후면측에 구비되는 슬라이더구동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푸시 및 풀 조작을 하는 경우, T자형레버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더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메인샤프트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는,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T자형레버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T자형레버를 상기 도어 잠금장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T자형레버지지돌출부;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축방향에 직교하는 제1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푸시커버와 접촉하는 푸시커버지지돌출부;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축방향에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풀커버와 접촉하는 풀커버지지돌출부; 및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축방향에 직교하는 제3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일부와 접촉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더구동돌출부;를 포함하는,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어부는,
    상기 메인샤프트조작부에 결합될 수 있는 메인샤프트를 수용하는 메인기어체결홈부가 형성된 메인기어본체;
    상기 모터기어와 체결할 수 있는 기어이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기어본체에 결합된 메인기어체결부재; 및
    상기 메인기어본체에 결합된 메인기어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기어돌기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의 일부와 접촉하게 되고, 접촉 후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메인기어본체가 회전하여 상기 메인샤프트가 회전할 수 있는,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메인기어부를 수용하는 관통홀 형태의 메인기어부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더본체; 및
    상기 메인기어부의 일부 요소와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더본체의 일면에서 돌출된 형태의 슬라이더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샤프트조작부에 결합될 수 있는 메인샤프트는 메인기어본체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더의 수직방향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돌기가 상기 메인기어부의 일부요소에 힘을 가하여 상기 메인기어부를 회전시켜 상기 메인샤프트를 회전시키고, 상기 메인샤프트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는,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구동부는, 상기 데드볼트조작부에 결합되는 데드볼트샤프트의 일단에 결합되는 데드볼트샤프트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데드볼트샤프트캡은 캡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일부는 상기 캡돌기와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더의 수직방향의 이동에 따라 상기 캡돌기가 힘을 받아 상기 데드볼트샤프트캡이 회전할 수 있고,
    상기 데드볼트샤프트캡이 회전하면 상기 데드볼트샤프트가 회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메인샤프트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는,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어부는,
    상기 메인샤프트조작부에 결합될 수 있는 메인샤프트를 수용하는 메인기어체결홈부가 형성된 메인기어본체; 및
    상기 메인기어본체에 결합된 메인기어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메인기어부를 수용하는 관통홀 형태의 메인기어부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더본체; 및
    상기 메인기어부의 일부 요소와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더본체의 일면에서 돌출된 형태의 슬라이더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돌기와 상기 메인기어돌기가 서로 이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모터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메인기어부가 회전할 때 상기 슬라이더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
KR1020210050634A 2021-04-19 2021-04-19 푸시풀 핸들 조작이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 KR102452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634A KR102452230B1 (ko) 2021-04-19 2021-04-19 푸시풀 핸들 조작이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634A KR102452230B1 (ko) 2021-04-19 2021-04-19 푸시풀 핸들 조작이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230B1 true KR102452230B1 (ko) 2022-10-06

Family

ID=83597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634A KR102452230B1 (ko) 2021-04-19 2021-04-19 푸시풀 핸들 조작이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2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373A (ko) 2017-02-09 2018-08-20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푸시풀 도어락
KR102062274B1 (ko) * 2018-09-07 2020-01-03 주식회사 엠에스씨엘 푸쉬풀식 디지털도어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373A (ko) 2017-02-09 2018-08-20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푸시풀 도어락
KR102062274B1 (ko) * 2018-09-07 2020-01-03 주식회사 엠에스씨엘 푸쉬풀식 디지털도어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1165B2 (en) Portable suitcase with electronic combination locking device
EP1051313B1 (en) Slam latch with opposing slides
KR101671408B1 (ko)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
EP3782503A1 (en) Electronic key storage case
KR101656027B1 (ko) 핸들의 풀-푸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도어락
KR101878463B1 (ko) 데드볼트 작동 시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 모티스
KR100888514B1 (ko) 푸쉬풀식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101853040B1 (ko) 래치볼트의 인입을 제한하는 서브 래치를 구비한 모티스
KR101193963B1 (ko) 모티스 및 이를 갖춘 도어록
KR20070068640A (ko)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
KR100763885B1 (ko) 도어록 장치
KR102452230B1 (ko) 푸시풀 핸들 조작이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
JP3443212B2 (ja) 錠装置
KR102449598B1 (ko) 수동으로 잠금해제가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
JP7165013B2 (ja) 建具及び建具用の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KR100763884B1 (ko) 도어록 장치
TWI663316B (zh) 基於單次控制之鎖栓長距傳動之鎖閘結構
JP6644250B2 (ja) 電気錠付き操作ユニット
JP5034065B2 (ja) 施錠装置、及び収納家具
CN113266200A (zh) 一种伸缩式指纹锁
KR102581905B1 (ko) 푸시풀 핸들 조작이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
KR101891784B1 (ko) 래치볼트가 임의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록 모티스
KR101891782B1 (ko) 양방향 패닉 구조체를 구비한 도어록 모티스
KR101853049B1 (ko) 패닉 기능 및 래치볼트의 인입 제한 기능을 구비한 모티스
GB2358665A (en) Two-way lock for door having two handles coupled together such that one or other of the handles moves a bolt from a locked to an unlocked 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