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1341A -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1341A
KR20090071341A KR1020080082910A KR20080082910A KR20090071341A KR 20090071341 A KR20090071341 A KR 20090071341A KR 1020080082910 A KR1020080082910 A KR 1020080082910A KR 20080082910 A KR20080082910 A KR 20080082910A KR 20090071341 A KR20090071341 A KR 20090071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ember
housing
door
rotating
dead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크슈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크슈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크슈머
Publication of KR20090071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3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05B47/026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the bolt moving rectilinear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6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linearly reciprocating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유니트를 표준형으로 제작되지 않은 도어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데드볼트; 래치볼트;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하우징에 대해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에 각각 결합되는 제1회전부재, 제2회전부재 및 제3회전부재; 제1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하우징에 대해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제1회전부재에 연결되며, 제1회전부재의 회전시 상기 데드볼트가 직선 이동하도록 데드볼트에 연결되는 제1직선이동부재; 제2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하우징에 대해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제2회전부재에 연결되며, 제2회전부재의 회전시 데드볼트가 직선 이동하도록 데드볼트에 연결되는 제2직선이동부재; 제3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하우징에 대해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제3회전부재에 연결되며, 제3회전부재의 회전시 래치볼트가 직선 이동하도록 래치볼트에 연결되는 제3직선이동부재; 및 제1회전부재, 제2회전부재 및 제3회전부재가 각각 하우징에 대해 위치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만 가능하도록 제1회전부재, 제2회전부재 및 제3회전부재를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수단;을 구비한다.
도어록, 데드볼트, 래치볼트, 록킹, 록킹해제

Description

도어록 장치{Door lock device}
본 발명은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 장치는 일반 가정주택이나 공공건물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관의 출입문이나 은행의 금고, 특정 지역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장치에 도어록 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도어록 장치는 일반적으로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데드볼트(20)가 구비된 잠금유니트(100')와, 도어의 실내측 및 실외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내핸들 및 실외핸들을 구비한다. 잠금유니트(100')는 잠금유니트의 측면이 도어(2)의 측면에 대해 돌출되지도 몰입되지도 않게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잠금유니트(100')에는 모터 등과 같은 전기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원이 데드볼트에 연결되어 있으며, 실외측에 마련된 인증부, 예를 들어 다수의 버튼에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구동원을 작동시켜 데드볼트(20)를 이동시킴으로써 도어(2)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구동원이 고장나거나 배터리가 모두 소모된 경우에는 실외측에 형성된 열쇠뭉치에 열쇠를 삽입하여 회전 시킴으로써 데드볼트(20)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도 1에는 열쇠뭉치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재(5)가 도시되어 있다. 회전부재(5)의 위치는 잠금유니트(100')에 항상 일정하게 배치된다.
한편, 잠금유니트(100')는 일반적으로 도어(2)에 일정한 위치에 설치된다. 즉,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부재(5)의 위치가 A라인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야, 도어(2)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열쇠뭉치와 회전부재(5)가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도어가 표준형으로 제작되는 경우에 열쇠뭉치와 연결되는 회전부재(5)의 설치위치가 항상 일정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어가 표준형으로 제작되지 않는 경우에는 표준위치인 A라인이 아닌 A라인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B라인이나 C라인에 회전부재(5)를 배치하여야만 한다. 만약, 회전부재(5)를 C라인에 설치하게 되면 잠금유니트(100')가 도어(2)의 측면에 대해 돌출되어 도어를 닫을 수 없게 된다. 그리고, 회전부재(5)를 B라인에 설치하게 되면 잠금유니트가 도어(2)의 측면에 대해 너무 몰입되게 설치되어 데드볼트(20)가 도어(2)에 대해 돌출되는 길이가 줄어들게 되므로 데드볼트(20)가 도어를 견고하게 록킹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종래의 도어록 장치는 표준형으로 제작되지 않은 도어(2)에는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잠금유니트를 표준형으로 제작되지 않은 도어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데드볼트; 상기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돌출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래치볼트;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각각 결합되는 제1회전부재, 제2회전부재 및 제3회전부재; 상기 제1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회전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1회전부재의 회전시 상기 데드볼트가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데드볼트에 연결되는 제1직선이동부재; 상기 제2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2회전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2회전부재의 회전시 상기 데드볼트가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데드볼트에 연결되는 제2직선이동부재; 상기 제3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3회전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3회전부재의 회전시 상기 래치볼트가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래치볼트에 연결되는 제3직선이동부재; 및 상기 제1회전부재, 제2회전부재 및 제3회전부재가 각각 상기 하우징에 대해 위치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만 가능하도록 상기 제1회전부재, 제2회전부재 및 제3회전부재를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도어록 장치는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데드볼트;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각각 결합되는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 상기 제1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회전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1회전부재의 회전시 상기 데드볼트가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데드볼트에 연결되는 제1직선이동부재; 상기 제2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2회전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2회전부재의 회전시 상기 데드볼트가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데드볼트에 연결되는 제2직선이동부재; 및 상기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가 각각 상기 하우징에 대해 위치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만 가능하도록 상기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를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핸들, 열쇠뭉치 및 실외핸들과 연결되는 제1회전부재, 제2회전부재 및 제3회전부재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표준형으로 제작되지 않은 도어에 대해서도 잠금유니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내에서 실내핸들을 회전시키기만 하면 도어의 록킹을 해제시킴과 동시에 도어를 열고 나갈 수 있게 되므로, 실내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잠금유니트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잠금유니트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의 Ⅵ-Ⅵ선의 개략적인 부분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와 달리 회전부재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잠금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를 실외측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는 실외측유닛(200)과, 실내측유닛과, 잠금유니트(100)를 구비한다.
실외측유닛(200)은 도어(2)의 실외측에 결합되는 실외측 하우징(210)과, 실외측 하우징(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외핸들(2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실외핸들(220)에는 열쇠뭉치(2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열쇠뭉치(230)에는 열쇠에 대응되는 열쇠공(231)이 형성되어 있어서, 열쇠를 열쇠공(231)에 넣고 회전 시키면 열쇠뭉치(230)가 회전하게 된다.
실내측유닛은 도어의 실내측에 결합되는 실내측 하우징(미도시)과, 실내측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내핸들(미도시)을 포함한다.
잠금유니트(100)는 하우징(10)과, 데드볼트(20)와, 가압회전부재(30)와, 래치볼트(40)와, 제1회전부재(51)와, 제2회전부재(52)와, 제3회전부재(53)와, 제1직선이동부재(61)와, 제2직선이동부재(62)와, 제3직선이동부재(63)와, 위치고정수단을 구비한다.
하우징(10)은 도어(2)의 측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지 않도록 도어에 삽입된다. 하우징(10)은 상호 결합되는 케이스(11), 전면판(12) 및 커버(13)를 구비한다. 전면판(12)에는 후술하는 데드볼트(20) 및 래치볼트(40)가 각각 이동하는 통로(121,1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11) 및 커버(13)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각각 커팅부(111,131)가 형성되어 있다. 커팅부(111,131)는 케이스(11) 또는 커버(13)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대략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데드볼트(20)는 하우징(10)에 설치되며, 하우징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가능하다. 데드볼트(20)는 문설주(2)에 형성된 데드볼트 관통공(3a)에 삽입되어 도어(2)를 록킹하며, 데드볼트 관통공(3a)을 이탈하여 도어(2)의 록킹을 해제한다. 데드볼트(20)에는 홈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회전부재(30)는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압회전부재(30)의 회전중심축(c)은 케이스(11) 및 커버(13)에 끼워진다. 가압회전부재(30)에는 데드볼트의 홈부(21)에 삽입되는 가압부(3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압회전부재(30)의 회전시 가압부(31)가 홈부(21)의 내측면을 가압하게 되어 데드볼트(20)가 직선이동하게 된다. 가압회전부재(3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기어 이로 구성되는 피니언부(32)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회전부재(3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구동원은 전기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모터이며, 모터의 출력축에 가압회전부재(30)가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시 가압회전부재(30)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모터가 구비되는 경우에, 모터는 실외측 하우징(210)에 마련된 복수의 버튼(240)에 비밀번호가 입력되어 인증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작동한다.
래치볼트(40)는 하우징(10)에 설치되며, 하우징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가능하다. 래치볼트(40)는 압축코일스프링(41)에 의해 하우징(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압축코일스프링(41)의 일단부는 케이스에 형성된 돌출부(112)에 접촉지지되며 압축코일스프링(41)의 타단부는 래치볼트(40)에 접촉지지된다. 래치볼트(40)는 도어(2)가 바람이나 약한 진동 등에 의해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문설주(3)에 형성된 래치볼트 수용공(3b)에 삽입 또는 이탈된다.
제1회전부재(51), 제2회전부재(52) 및 제3회전부재(53)는 각각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회전부재(51), 제2회전부재(52) 및 제3회전부재(53)의 회전중심축(512,522,523)은 모두 케이스(11) 및 커버(13)의 커팅부(111,131) 내에 배치된다. 제1회전부재(51), 제2회전부재(52) 및 제3회전부재(53)는 각각 커팅부(111,131)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그리고, 제1회전부재(51), 제2회 전부재(52) 및 제3회전부재(53)의 외주면에는 각각 다수의 기어 이로 구성되는 피니언부(511,521,531)가 형성되어 있다.
제1회전부재(51)는 실내핸들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실내핸들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회전부재(52)는 열쇠뭉치(23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열쇠뭉치(230)에 연결된다. 또한, 제3회전부재(53)는 실외핸들(22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실외핸들(220)에 연결된다.
제1직선이동부재(61)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직선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1직선이동부재(61)에는 제1직선이동부재(61)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다수의 기어 이로 구성되는 랙부(61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랙부(611)는 제1회전부재의 피니언부(511)와 기어결합, 특히 직접 맞물리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1회전부재(51)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1직선이동부재는(61) 직선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1직선이동부재(61)에는 제1직선이동부재(61)의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길게 형성된 장공(612)이 마련되어 있다. 장공(612)은 대략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장공(612)에는 핀(70)이 끼워지며, 핀(70)은 가압회전부재의 가압부(31)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1직선이동부재(61)는 핀(70)에 의해 가압회전부재(30)에 연결되어 있어서, 제1직선이동부재(61)의 이동시 가압회전부재(30)가 회전하게 되어 데드볼트(20)가 직선이동하게 된다.
제2직선이동부재(62)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2직선이동부재(62)에는 제2직선이동부재(62)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다수의 기어 이로 구성되는 랙부(621)가 형성되어 있다. 랙부(621)는 제2회전부재(52) 의 피니언부(521) 및 가압회전부재의 피니언부(32)와 각각 기어결합, 특히 직접 맞물리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2회전부재(52)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2직선이동부재(62)가 직선이동하며, 제2직선이동부재(62)의 직선이동에 연동되어 가압회전부재(30)가 회전하게 되므로 데드볼트(20)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제3직선이동부재(63)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직선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3직선이동부재(63)는 래치볼트(40)에 고정되어 래치볼트(40)와 함께 직선 이동한다. 제3직선이동부재(63)는 제3직선이동부재(63)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본체부(631)와, 본체부(631)로부터 상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연장부(632)를 가진다. 본체부(631)에 본체부(63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다수의 기어 이로 구성되는 랙부(631a)가 형성되어 있다.
랙부(631a)는 제3회전부재의 피니언부(531)와 기어결합, 특히 직접 맞물리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3회전부재(53)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3직선이동부재(63)가 이동하게 된다.
연장부(632)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직선이동부재(61) 및 제2직선이동부재(62)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1직선이동부재(61) 및 제2직선이동부재(62)의 이동에 연동되어 제3직선이동부재(63)를 직선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제1직선이동부재(61) 또는 제2직선이동부재(62)가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데드볼트(20)가 도어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직선이동부재(61) 또는 제2직선이동부재(62)에 의해 연장부(632)가 가압되게 되므로 제3직선이동부재(63)도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3직선이동부재(63) 가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래치볼트(40)를 도어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위치고정수단은 제1회전부재(51), 제2회전부재(52) 및 제3회전부재(53)를 하우징(10)에 대해 위치고정시켜 고정된 위치에서만 회전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위치고정수단은 한 쌍의 끼움부재(81)와, 결합부재(82)를 포함한다.
한 쌍의 끼움부재(81)에는 제1회전부재(51), 제2회전부재(52) 및 제3회전부재(53) 각각의 회전중심축의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다.
결합부재(82)는 각 끼움부재(81)를 하우징(10), 즉 케이스(11) 및 커버(13)에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재(82)로 볼트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각 끼움부재(81)가 하우징(10)에 고정되게 되면, 각 끼움부재(81)는 하우징(10)에 대해 위치고정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각 끼움부재(81)에 끼워진 제1회전부재(51), 제2회전부재(52) 및 제3회전부재(53)도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만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록 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2)가 록킹된 상태에서, 실내측에서 도어(2)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실내핸들을 회전시켜 제1회전부재(51)를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된다. 즉, 제1회전부재(51)의 회전시 제1직선이동부재(61)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직선이동부재(61)의 이동에 연동되어 가압회전부재(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데드볼트(20)를 도어(2)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직선이 동부재(61)의 이동시에 제1직선이동부재(61)가 제3직선이동부재의 연장부(632)를 우측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래치볼트(40)도 도어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실외측에서 도어(2)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열쇠를 열쇠공(231)에 넣어 회전시키기만 하면 된다. 즉, 열쇠를 이용하여 열쇠뭉치(2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직선이동부재(62)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2직선이동부재(62)의 이동에 연동되어 가압회전부재(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결국 데드볼트(20)를 도어(2)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직선이동부재(62)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2직선이동부재(62)가 제3직선이동부재의 연장부(632)를 가압하게 되어 래치볼트(40)를 도어(2)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열쇠를 이용하여 도어의 록킹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제1직선이동부재가 이동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실외측에서 실외측 하우징에 마련된 복수의 버튼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인증을 한 후에는, 실외핸들(220)을 회전시킴으로써 래치볼트(40)를 도어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실외핸들(220)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3회전부재(5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3직선이동부재(63)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국 래치볼트(40)를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핸들을 회전시키기만 하면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를 모두 도어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도 어의 록킹을 해제하면서 도어를 열고 나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실내에서 화재 등과 같이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실내핸들의 회전이라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실내에서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표준형으로 제작되지 않은 도어에 대하여 잠금유니트(100)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A라인에 설치되지 않고 B라인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결합부재(82)를 분리하여 각 끼움부재(81)가 하우징(10)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도록 한다. 그 후에, 각 끼움부재(81)를 잡고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각 끼움부재(81)와 함께 제1회전부재(51), 제2회전부재(52) 및 제3회전부재(53)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도 5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제1회전부재(51), 제2회전부재(52) 및 제3회전부재(53)가 회전운동과 병진운동을 함께 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회전부재(51), 제2회전부재(52) 및 제3회전부재(53)를 한 쌍의 끼움부재(81)와 함께 이동시킨 후에, 각 끼움부재(81)를 결합부재(82)를 이용하여 하우징(10)에 다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끼움부재(81)를 이동시킨 후에 다시 고정시키면,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잠금유니트(100)를 표준형으로 제작되지 않은 도어(2)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의 잠금유니트(100)에 있어서는 실외핸들, 실내핸들 및 열쇠뭉치에 연결되는 회전부재(51,52,53)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표준형으로 제작되지 않은 도어(2)에 대해서도 그 도어에 적합하게 각 회전부재(51,52,53)의 위치를 변경한 상태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직선이동부재 및 제2직선이동부재가 가압회전부재에 의해 데드볼트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 7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직선이동부재 및 제2직선이동부재가 다른 연결요소들에 의해 데드볼트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다른 연결요소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의 잠금유니트(100a)에 있어서, 케이스(11)에는 제1스토퍼(311a)와, 제2스토퍼(311b)와, 돌출기둥(311c)이 형성되어 있으며, 모터(314) 및 모터의 출력축(315)에 결합되는 기어(316)가 설치되어 있다.
데드볼트(20)에는 고정부재(321)가 볼트 결합되어 있다. 고정부재(321)에는 원통 형상의 결합공(322)이 형성되어 있다.
데드볼트(20)는 토션스프링(323)에 의해 도어의 록킹 및 록킹해제시 각각 하우징(10)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토션스프링(323)의 일단부는 케이스(11)의 돌출기둥(311c)에 고정되며, 토션스프링(323)의 타단부는 후술하는 매개부재(330)에 돌출 형성된 돌출기둥(336)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1직선이동부재(61)에는 도어(2)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된 브라켓부(613)가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부(613)는 끼움공(345), 제1삽입홈부(352) 및 제2삽입홈부(362)에 함께 끼워지며, 브라켓부(613)에는 가압부재(64)가 볼트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1직선이동부재(61)의 직선이동시 가압부재(64)도 함께 직선이 동하게 된다.
잠금유니트(100a)는 매개부재(330)와, 제1회전체(340)와, 제2회전체(350)와, 제3회전체(360)와, 피봇부재(380)를 더 구비한다.
매개부재(330)는 데드볼트(20)에 결합되며, 데드볼트(20)와 함께 하우징(10)에 대하여 직선이동 한다. 매개부재(330)에는 고정부재(321)의 결합공(32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결합공(322)에 삽입되는 힌지부(331)와, 힌지부(331)의 단부로부터 데드볼트(20)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플레이트부(332)와, 플레이트부(332)의 일측으로부터 도어(2)의 두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피가압돌출부(33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가압돌출부(333)의 양쪽에는 데드볼트(20)의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334)와, 테이퍼부(33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매개부재(330)의 힌지부(331)가 고정부재(321)의 결합공(322)에 끼워져 결합되므로, 힌지부(331)가 결합공(322)내에서 일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며, 따라서 매개부재(330)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제1위치와,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다. 제1위치 및 제2위치에서는 플레이트부(332)가 고정부재(321)에 걸려서 매개부재(330)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매개부재(330)는 토션스프링(337)에 의해 후술하는 제1회전체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토션스프링(337)의 일측은 용접되어 고정부재(321)에 고정되며, 토션스프링(337)의 타측은 플레이트부(332)에 접촉지지되어 플레이트부(332)를 제1회전체쪽으로 가압한다.
제1회전체(34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회전 체(340)에는 홈부(341)와, 제1압압부(342)와, 제2압압부(343)와, 기어부(344)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341)는 제1회전체(34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홈부(341)에는 피가압돌출부(333)가 삽입된다.
제1압압부(342) 및 제2압압부(343)는 홈부(34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고 있다. 그리고 제1압압부(342)와 제2압압부(343) 사이에는 피가압돌출부(333)가 배치된다. 제1압압부(342) 및 제2압압부(343)는 제1회전체(340)의 회전시 매개부재(330)의 피가압돌출부(333)를 가압하여 데드볼트(20)를 하우징(10)에 대해 돌출 또는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킨다. 즉, 도 9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1회전체(340)를 일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매개부재(330)의 피가압돌출부(333)가 제1압압부(342)에 의해 가압되어 매개부재(330) 및 데드볼트(20)가 오른쪽으로 직선이동하여 데드볼트(20)가 하우징(10) 내부로 몰입하게 되므로 도어(2)의 록킹이 해제된다. 그리고 이때에는 제1압압부(342)가 매개부재(330)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피가압돌출부(333)의 표면을 직접 가압하게 되므로, 힌지부(331)를 회전축으로 매개부재(330)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이 발생하지 않으며 그 결과 매개부재(330)는 회전하지 않고 직선이동만 한다. 그리고 도어(2)가 록킹된 상태에서 제1회전체(340)를 일방향의 반대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매개부재(330)의 피가압돌출부(333)가 제2압압부(343)에 의해 가압되어 매개부재(330) 및 데드볼트(20)가 왼쪽으로 직선이동하여 데드볼트(20)가 하우징(10) 외부로 돌출되므로 도어(2)가 록킹된다. 그리고, 이때에도 매개부재(330)는 회전 하지 않고 직선이동만 한다.
기어부(344)는 제1회전체(340)의 외측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복수의 치(齒)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치는 전체적으로 호 형상을 이룬다. 기어부(344)는 모터(314)의 출력축(315)에 결합된 기어(316)와 직접 맞물려 있다. 따라서 모터(314)의 구동시 제1회전체(34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1회전체(340)에는 가압부재(64)가 끼워지는 끼움공(345)이 형성되어 있다. 끼움공(345)의 내측벽이 제1직선이동부재(61)의 직선이동시 가압부재(64)와 접촉하지 않도록, 끼움공(345)은 적절한 크기로 관통 형성된다.
제2회전체(350)는 제1회전체(340)와 도어(2)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회전체(350)는 하우징(1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하우징(10)에 결합된다. 제2회전체(350)는 몸체부(351)와, 제1가압부(355)를 포함한다.
몸체부(351)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몸체부에는 제1삽입홈부(352)와, 제1삽입돌출부(353)가 형성되어 있다. 제1삽입돌출부(353)는 몸체부(351)의 양면으로부터 도어(2)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몸체부(351)에는 후술하는 피봇부재(380)가 끼워지는 결합구멍(354)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제1가압부(355)는 몸체부(351)의 일측에서 도어(2)의 두께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가압부(355)는 매개부재(330)의 경사부(334)와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1가압부(355)는 도 9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2회전체(350)의 일방향, 즉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시 매개부재(330)의 경사부(334)를 가압하여 매개부 재(330)를 제2위치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매개부재(330)가 회전된 상태에서 제2회전체(350)가 계속 회전하면 제1가압부(355)는 피가압돌출부(333)를 가압하여 매개부재(330)를 데드볼트(20)의 몰입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킨다. 그리고 제1가압부(355)는 제1스토퍼(311a)와 맞닿아 있으므로 제1회전부제(3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제한된다.
제3회전체(360)는 제1회전체(340)와 도어(2)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3회전체(360)는 하우징(1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된다. 제3회전체(360)는 바디부(361)와 제2가압부(365)를 포함한다.
바디부(361)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바디부(361)에는 제2삽입홈부(362)와, 제2삽입돌출부(363)가 형성되어 있다. 제2삽입돌출부(363)는 바디부(361)의 양면으로부터 도어(2)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바디부(361)에는 후술하는 피봇부재(380)이 끼워지는 결합구멍(364)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제2가압부(365)는 바디부(651)의 일측면에서부터 도어(2)의 두께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2가압부(365)는 매개부재(330)의 테이퍼부(335)와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가압부(365)는 도 10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3회전체(360)의 일방향과 반대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시 매개부재(330)의 테이퍼부(335)를 가압하여 매개부재(330)를 제2위치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매개부재(330)가 회전된 상태에서 제3회전체(360)가 계속 회전하면, 제2가압부(365)는 피가압돌출부(333)를 가압하여 매개부재(330)를 데드볼트(20)의 돌출방향으로 직선이 동시킨다. 그리고 제2가압부(365)는 제2스토퍼(311b)와 맞닿아 있으므로 제2회전부제(3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제한된다.
그리고 제3회전체(360)는 제2회전체(350)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제1삽입돌출부(353)는 제2삽입홈부(362)에 삽입되며, 제2삽입홈부(362)가 제1삽입돌출부(353)의 회전경로를 포함하며 형성되므로 제1삽입돌출부(353)의 회전시 제1삽입돌출부(353)가 제2삽입홈부(362)에 걸리지 않는다. 제2삽입돌출부(363)는 제1삽입홈부(352)에 삽입되며, 제1삽입홈부(352)가 제2삽입돌출부(363)의 회전경로를 포함하며 형성되므로 제2삽입돌출부(363)의 회전시 제2삽입돌출부(363)가 제1삽입홈부(352)에 걸리지 않는다. 바디부(361)는 몸체부(351)와 접촉하며, 제1가압부(355)와 제2가압부(365)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회전체(340), 제2회전체(350) 및 제3회전체(360)는 서로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제1삽입돌출부(353)와 제2삽입돌출부(363) 사이에는 가압부재(64)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직선이동부재(61)의 오른쪽으로의 직선이동시 가압부재(64)가 제1삽입돌출부(353)를 가압하므로 제2회전체(3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직선이동부재(61)의 왼쪽으로의 직선이동시에는 가압부재(64)가 제2삽입돌출부(363)를 가압하므로 제3회전체(3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2회전체(350) 및 제3회전체(360)에는, 제2회전체(350)와 제3회전체(360)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가 결합되어 있으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토션스프링(370)이 결합되어 있다. 토션스프링(370)은 후술하는 피봇부재(380)에 끼워지며, 그 일단부는 제1삽입돌출부(353)에 접촉지지 되며 타단부는 제2삽입돌출부(363)에 접촉지지된다. 따라서 토션스프링(370)에 의해 제2회전체(350)는 반시계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며, 제3회전체(360)는 시계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피봇부재(380)는 하우징(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피봇부재(380)의 양 단부는 케이스(11) 및 커버(13)에 끼워진다. 피봇부재(380)에는 제1회전체(340), 제2회전체(350) 및 제3회전체(360)가 각각 끼워진다. 피봇부재(380)에는 돌출부(381)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381)는 제2회전체의 결합구멍(354)에 배치되며, 특히 결합구멍(354)의 일측 내측면에 접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피봇부재(380)가 도 9에 도시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돌출부(381)가 결합구멍(354)의 일측 내측면을 가압하게 되어 제2회전체(35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피봇부재(380)에는 제2직선이동부재의 랙부(621)에 직접 맞물리는 피니언부(382)가 형성되어 있다. 피니언부(382)는 피봇부재(380)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치(齒)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2직선이동부재(62)의 직선이동에 연동되어 피봇부재(380)가 회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잠금유니트(100a)에 있어서는, 도 9에 도시된 상태에서 비밀번호 입력을 통하여 인증이 이루어지게 되면, 모터(314)의 회전에 의해 제1회전체(340)도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1회전체(340)의 회전과정에서 제1회전체(340)의 제1압압부(342)가 매개부재(330)의 피가압돌출부(333)를 가압하므로, 데드볼트(20)가 하우징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2)가 록킹 해제된다. 그리고 제1회전체(340), 제2회전체(350) 및 제3회전체(360)는 도어(2)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회전체(340)의 회전시 제1압압부(342)가 제1가압부(355) 또는 제2가압부(365)에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제1회전체(340)의 회전시 제2회전체(350)와 제3회전체(360)는 회전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가 록킹된 상태에서, 실내에 있는 사용자가 도어(2)을 열기 위해 실내핸들(320)을 회전시켜 제1직선이동부재(61)를 직선이동시키면, 제1직선이동부재(61)와 함께 가압부재(64)도 직선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가압부재(64)가 제1삽입돌출부(353)를 가압하게 되므로 제2회전체(3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2회전체(350)가 회전하는 동안, 제1가압부(355)가 매개부재(330)의 경사부(334)를 가압하게 되고, 이때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하여 매개부재(330)가 힌지부(331)를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제2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매개부재(330)가 회전한 상태에서도 제2회전체(350)를 계속 회전시키면, 제1가압부(355)가 매개부재(330)의 피가압돌출부(333)를 가압하므로 매개부재(330)가 데드볼트(20)의 몰입방향으로 직선이동하며, 그 결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의 록킹이 해제된다.
그리고 매개부재(330)가 회전된 상태로 직선이동하므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개부재(330)의 직선이동 동안에 매개부재(330)의 피가압돌출부(333)가 제1회전체(340)의 제2압압부(343)에 걸리지 않으므로, 제1회전체(340)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회전체(340)와 이에 결합된 모터(314)가 제2회전체(350)와 함께 회전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 예를 들어 핸들(120)을 돌리기 위해 큰 힘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외력에 의해 모터(314)가 수동으로 회전하게 되어 모터(314)가 손상되는 문제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실내측에서 실내핸들(320)을 돌려서 다음과 같이 도어(2)를 록킹할 수도 있다.
모터를 작동시켜 도어를 록킹해제한 후에는 제1회전체가 공지의 복귀수단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데드볼트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에 몰입된 상태에서 위치하며 제1회전체는 도 9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내에서 실내핸들(320)을 도어의 록킹때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직선이동부재(61)을 직선이동시키면, 가압부재(64)가 제2삽입돌출부(363)를 가압하게 되므로 제3회전체(3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3회전체(360)가 회전하는 동안, 제2가압부(365)가 매개부재(330)의 테이퍼부(335)를 가압하게 되고, 이때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하여 매개부재(330)가 회전하여 제2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매개부재(330)가 회전한 상태에서 제3회전체(360)를 계속 회전시키면 제2가압부(365)가 매개부재(330)의 피가압돌출부(333)를 가압하므로, 매개부재(330)가 데드볼트(20)의 돌출방향으로 직선이동하며, 그 결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가 록킹된다.
그리고, 실외에서 열쇠를 이용하여 제2직선이동부재(62)를 직선이동시키게 되면, 제2직선이동부재(62)의 이동에 연동되어 피봇부재(380)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피봇부재(380)의 돌출부가 제2회전체(350)의 결합구멍(354)의 일측 내측면을 가압하게 되어 제2회전체(350)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에서 핸들(120)을 통하여 도어(2)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기 위하여 두 개의 회전체, 즉 제2회전체(350)와 제3회전체(360)를 사용하며 각 회전체가 서로 상대회전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회전체의 회전범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2회전체(350) 및 제3회전체(360)가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구동공간이 축소되고, 그 결과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잠금유니트(100)에서와 마찬가지로 실외핸들, 실내핸들 및 열쇠뭉치에 연결되는 회전부재(51,52,53)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표준형으로 제작되지 않은 도어(2)에 대해서도 그 도어에 적합하게 각 회전부재(51,52,53)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잠금유니트(100)와는 달리,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잠금유니트(100b)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잠금유니트(100b)에 있어서는 하우징(10b)의 커버(13b)에는 제1회전부재(51), 제2회전부재(52) 및 제3회전부재(53)의 회전중심축(512,522,532)이 각각 끼워지는 장공(131,132,133)이 형성되어 있다. 장공(131,132,133)은 제1회전부재(51), 제2회전부재(52) 및 제3회전부재(53)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에도 커버와 마찬가지로 제1회전부재(51), 제2회전부재(52) 및 제3회전부재(53)의 회전중심축(512,522,532)이 끼워지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위치고정수단은 결합부재, 즉 볼트 없이 한 쌍의 끼움부재(81)만 구비한다. 각 끼움부재(81)는 하우징(10b)의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유니트(100)와 마찬가지로 제1회전부재(51), 제2회전부재(52) 및 제3회전부재(53)는 제1직선이동부재(61), 제2직선이동부재(62) 및 제3직선이동부재(63)에 의해 데드볼트(20)와 래치볼트(40)에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잠금유니트(100b)에 있어서는 잠금유니트(100a)에서와 달리 끼움부재(81)가 하우징(10b)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서 제1회전부재(51), 제2회전부재(52) 및 제3회전부재(53) 중 어느 하나의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축을 잡고 이동시키면 제1회전부재(51), 제2회전부재(52) 및 제3회전부재(53)를 좌우방향으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잠금유니트(100b)를 표준형으로 제작되지 않은 도어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도어록 장치에 핸들이 구비되어 있으나,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록 장치에 핸들이 구비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는, 잠금유니트(100b)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잠금유니트(100)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0b), 데드볼트(20), 가압회전부재(30), 제1회전부재(51b), 제2회전부재(52), 제1직선이동부재(61), 제2직선이동부재(62) 및 위치고정수단으로서 한 쌍의 끼움부재(81) 및 결합부재(82)를 구비한다.
하우징(10b)은 도어의 실내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호 결합되는 케이스(11b), 전면판(12) 및 커버(13)를 구비한다. 커버(13)에는 노브(14)가 회전 가 능하게 결합된다. 노브(14)는 데드볼트(20)를 수동으로 구동하여 도어(2)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제1회전부재(51b)는 노브(14)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제1회전부재(51b) 및 노브(14) 간의 연동구조는 복수의 기어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실외측유닛(미도시)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달리 구비되지 않으며, 또한 실내측유닛은 별도로 구비되지 않는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측의 문설주(3)에 데드볼트(20)가 삽입 및 이탈되는 데드볼트삽입공(4)이 형성된 캡부재(5)가 설치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도 1은 종래의 일례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잠금유니트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잠금유니트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잠금유니트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의 Ⅵ-Ⅵ선의 개략적인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와 달리 회전부재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잠금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를 실외측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잠금유니트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직선이동부재 및 제2직선이동부재과 데드볼트 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구성요소들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잠금유니트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잠금유니트에 있어서 제2회전체에 의해 도어가 록킹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잠금유니트에 있어서 제3회전체에 의해 도어가 다시 록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7의 ⅩⅡ-ⅩⅡ선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제2회전체에 의한 도어의 록킹해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잠금유니트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를 실내측에 바라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잠금유니트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하우징 20...데드볼트
30...가압회전부재 40...래치볼트
51,52,53...회전부재 61,62,63...직선이동부재
70...핀 81...끼움부재
82...결합부재 100...잠금유니트
511,521,531...피니언부 512,522,532...회전중심축
*611,621,631a,...랙부

Claims (6)

  1.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데드볼트;
    상기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돌출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래치볼트;
    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각각 결합되는 제1회전부재, 제2회전부재 및 제3회전부재;
    상기 제1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회전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1회전부재의 회전시 상기 데드볼트가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데드볼트에 연결되는 제1직선이동부재;
    상기 제2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2회전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2회전부재의 회전시 상기 데드볼트가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데드볼트에 연결되는 제2직선이동부재;
    상기 제3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3회전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3회전부재의 회전시 상기 래치볼트가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래치볼트에 연결되는 제3직선이동부재; 및
    상기 제1회전부재, 제2회전부재 및 제3회전부재가 각각 상기 하우징에 대해 위치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만 가능하도록 상기 제1회전부재, 제2회전부재 및 제3회 전부재를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재, 제2회전부재 및 제3회전부재의 외주면에는 각각 다수의 기어 이로 구성되는 피니언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직선이동부재, 제2직선이동부재 및 제3직선이동부재에는 각각 상기 제1회전부재, 제2회전부재 및 제3회전부재의 피니언부와 기어결합되는 랙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제1회전부재, 제2회전부재 및 제3회전부재의 회전중심축의 양측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한 쌍의 끼움부재; 및
    상기 각 끼움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각 끼움부재를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직선이동부재 및 제2직선이동부재의 일방향으로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몰입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3직선이동부재는 상기 제1직선이동부재 및 제2직선이동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래치볼트가 상기 몰입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직선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실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실외측에서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1회전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제1회전부재에 연결되는 실외핸들;
    상기 도어의 실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소정의 형상의 열쇠가 삽입되는 열쇠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열쇠공에 삽입되는 열쇠에 의한 회전시 상기 제2회전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제2회전부재에 연결되는 열쇠뭉치; 및
    상기 도어의 실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실내측에서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3회전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제3회전부재에 연결되는 실외핸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6.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데드볼트;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각각 결합되는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
    상기 제1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직선 이동가능하도 록 상기 제1회전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1회전부재의 회전시 상기 데드볼트가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데드볼트에 연결되는 제1직선이동부재;
    상기 제2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2회전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2회전부재의 회전시 상기 데드볼트가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데드볼트에 연결되는 제2직선이동부재; 및
    상기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가 각각 상기 하우징에 대해 위치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만 가능하도록 상기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를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장치.
KR1020080082910A 2007-12-27 2008-08-25 도어록 장치 KR200900713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39004 2007-12-27
KR1020070139004 2007-1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341A true KR20090071341A (ko) 2009-07-01

Family

ID=41322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910A KR20090071341A (ko) 2007-12-27 2008-08-25 도어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13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1081A3 (ko) * 2009-09-10 2011-08-11 Kim Jae-Hyung 도어록 장치
KR102469696B1 (ko) * 2021-08-10 2022-11-23 빌드원 주식회사 도어락용 보조키 위치가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1081A3 (ko) * 2009-09-10 2011-08-11 Kim Jae-Hyung 도어록 장치
KR102469696B1 (ko) * 2021-08-10 2022-11-23 빌드원 주식회사 도어락용 보조키 위치가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5081B2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KR20090071341A (ko) 도어록 장치
KR101879753B1 (ko) 사물함 잠금장치
KR200428164Y1 (ko) 구동모타를 내장한 도어록 모티스
KR20110130545A (ko)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록 장치
JP3133714U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KR102203195B1 (ko) 실내 해정식 디지털 도어락
KR20080065515A (ko) 도어록 장치
KR200311370Y1 (ko) 전자식 도어록에 적용되는 전동 모티스 록킹 장치
KR200407876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KR100763821B1 (ko) 도어록 장치
KR100799932B1 (ko) 도어록 장치
KR100994344B1 (ko) 도어록 장치
KR100813122B1 (ko) 도어록 장치
KR100734030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KR200360631Y1 (ko) 베벨기어를 이용한 전동 모티스 잠금 장치
KR200407877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KR20100089700A (ko) 도어록 장치
KR20100005741U (ko) 도어록 장치
KR20030025502A (ko) 도어록킹장치
KR20100096585A (ko) 도어록 장치
KR100574687B1 (ko) 전자식 도어록 장치의 키뭉치
KR20100106012A (ko) 도어록 장치
KR100996477B1 (ko) 도어록 장치
KR200425566Y1 (ko) 감금시설용 전자식 도어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