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6012A -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06012A KR20100106012A KR1020090024429A KR20090024429A KR20100106012A KR 20100106012 A KR20100106012 A KR 20100106012A KR 1020090024429 A KR1020090024429 A KR 1020090024429A KR 20090024429 A KR20090024429 A KR 20090024429A KR 20100106012 A KR20100106012 A KR 201001060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pressing
- pressurized
- rotating member
- rot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7—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rotary mo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작비를 줄이며 조립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핸들을 조금만 회전시키더라도 데드볼트를 종래와 마찬가지로 구동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열쇠를 회전시키면 데드볼트만 구동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데드볼트; 하우징에 대한 회전시 데드볼트를 가압하는 가압회전부재; 하우징에 대한 직선 이동시에 가압회전부재를 가압하며, 가압회전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매개구동부재; 하우징에 대한 회전시 매개구동부재를 가압하는 제1회전부재; 제1회전부재와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하우징에 대한 회전시 매개구동부재를 가압하여 회전 및 직선이동시키는 제2회전부재; 및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에 삽입되며, 하우징에 대한 회전시 매개구동부재를 가압하여 회전 및 직선이동시키는 회전체;를 구비하며, 매개회전부재가 제1회전부재, 제2회전부재 및 회전체 중 어느 하나의 회전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직선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회전부재, 제2회전부재 및 회전체 중 다른 2개의 회전부재는 매개회전부재의 직선 이동경로로부터 벗어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 장치는 일반 가정주택이나 공공건물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관의 출입문이나 은행의 금고, 특정 지역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장치에 도어록 장치가 사용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비밀번호 입력이나 지문 인식 등의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를 인증한 후에 모터나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데드볼트를 직선이동시킴으로써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어록 장치의 일례는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2008-0065515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 특허에 개시된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는,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부재가 3개나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가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해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은 매우 좁은 내부공간을 가지고 있어서, 하우 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회전부재의 개수가 증가하면 할수록 조립 작업이 매우 어려워지게 된다. 따라서, 회전부재의 개수, 특히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적층되게 배치되는 회전부재의 개수를 줄여야할 필요성이 있었다. 더구나, 도어록 장치의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핸들을 조금만 회전시키더라도 데드볼트를 충분한 길이로 돌출시킬 수 있는 구조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비를 줄이며 조립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핸들을 조금만 회전시키더라도 데드볼트를 종래와 마찬가지로 구동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열쇠를 회전시키면 데드볼트만 구동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데드볼트;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데드볼트가 이동하도록 상기 데드볼트를 가압하는 가압회전부재; 상기 하우징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직선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가압회전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가압회전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가압회전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가압회전부재에 결합되는 매개구동부재;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매개구동부재가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매개구동부재를 가압하는 제1회전부재;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회전부재와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매개구동부재가 직선 이동하도 록 상기 매개구동부재를 가압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매개구동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매개구동부재를 가압하는 제2회전부재;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에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매개구동부재가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매개구동부재를 가압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매개구동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매개구동부재를 가압하는 회전체;를 구비하며, 상기 매개회전부재가 상기 제1회전부재, 제2회전부재 및 회전체 중 어느 하나의 회전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직선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회전부재, 제2회전부재 및 회전체 중 다른 2개의 회전부재는 상기 매개회전부재의 직선 이동경로로부터 벗어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유형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에 결합되는 하우징;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데드볼트; 상기 데드볼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데드볼트와 함께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데드볼트에 결합되는 매개구동부재;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매개구동부재가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매개구동부재를 가압하는 제1회전부재;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회전부재와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매개구동부재가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매개구동부재를 가압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매개구동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매개구 동부재를 가압하는 제2회전부재;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에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매개구동부재가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매개구동부재를 가압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매개구동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매개구동부재를 가압하는 회전체;를 구비하며, 상기 매개회전부재가 상기 제1회전부재, 제2회전부재 및 회전체 중 어느 하나의 회전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직선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회전부재, 제2회전부재 및 회전체 중 다른 2개의 회전부재는 상기 매개회전부재의 직선 이동경로로부터 벗어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작비를 줄이며 조립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핸들을 조금만 회전시키더라도 데드볼트를 종래와 마찬가지로 구동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열쇠를 회전시키면 데드볼트만 하우징에 대해 돌출 또는 몰입되는 방향으로 구동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티스부의 내부구조, 특히 록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3,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모티스부의 내부구조, 특히 제1회전부재, 제2회전부재 및 회전체에 의해 록킹해제된 상태를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Ⅵ-Ⅵ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도 2의 Ⅵ-Ⅵ선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제2회전부재 및 회전체에 의해 도어가 록킹해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2의 Ⅸ-Ⅸ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는 실내측부(100)와, 실외측부(200)와, 모티스부(300)를 구비한다.
실내측부(100)는 도어(1)의 실내측에 결합되는 실내측 하우징(110)과, 실내측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120)을 포함한다. 핸들(120)에는 제1핀부재(130)가 고정되어 있다. 제1핀부재(130)는 핸들(120)의 회전시 핸들(120)의 회전중심축 주위를 회전한다. 그리고, 핸들(120)은 토션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탄성바이어스되어 있어서, 핸들(120)을 회전시킨 후 놓게 되면 원상태로 복귀한다.
실외측부(200)는 실외측 하우징(210)과 실외측 하우징(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220)와, 키패드(211)를 가진다. 핸들(220)에는 제2핀부재(230)가 고정되며, 제2핀부재(230)는 핸들(220)의 회전시 핸들(220)의 회전중심축 주위를 회전한다. 키패드(211)에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인증되며 이에 따라 후술하는 모터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모티스부(300)는 도어(1)의 내부에 설치된다. 모티스부(300)는 하우징(10)과, 데드볼트(20)와, 가압회전부재(30)와, 매개구동부재(40)와, 제1회전부재(50)와, 제2회전부재(60)와, 래치볼트(70)와, 래치가압부재(80)를 구비한다.
하우징(10)은 도어(1)의 측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지 않도록 도어(1)에 삽입된다. 하우징(10)은 상호 결합되는 케이스(11), 전면판(12) 및 커버(13)를 가진 다. 전면판(12)에는 후술하는 데드볼트(20)가 출입하는 데드볼트 출입공(121) 및 후술하는 래치볼트(70)가 출입하는 래치볼트 출입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데드볼트(2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데드볼트(20)는 데드볼트 출입공(121)을 통하여 하우징(10)에 대해 돌출 가능하며, 데드볼트(20)는 문설주(2)에 형성된 데드볼트 삽입공(3)에 삽입되어 도어(1)를 록킹한다. 반대로, 데드볼트(20)는 데드볼트 삽입공(3)으로부터 이탈되어 도어(1)를 록킹해제한다. 데드볼트(20)에는 하방으로 개방된 홈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회전부재(3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피봇축(31)을 중심으로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피봇축(31)은 케이스(11) 및 커버(13)에 각각 결합된다. 가압회전부재(30)의 단부는 홈부(21)에 삽입된다. 그리고, 가압회전부재(30)가 회전함에 따라 가압회전부재(30)의 단부는 홈부(21)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데드볼트(20)를 하우징(10)에 돌출되는 방향 또는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가압회전부재(30)에는 관통공(32)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32)은 피봇축(31)에 최대한 근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실내측 핸들(120)을 적게 회전하더라도 데드볼트(20)를 돌출 또는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공(32)의 중심은 적어도 피봇축(31)으로부터 가압회전부재(30)의 단부까지의 길이의 절반에 해당하는 거리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압회전부재(30) 및 데드볼트(20)는 토션스프링(2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토션스프링(22)은 데드볼트(20)가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각 각 이동할 때에 데드볼트(20)가 그 이동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작용한다. 토션스프링(22)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각각 가압회전부재(30) 및 데드볼트(20)에 각각 고정된다.
매개구동부재(40)는 가압회전부재(30)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매개구동부재(40)는 하우징(10)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매개구동부재(40)의 직선이동에 연동되어 가압회전부재(30)는 회전하며, 이에 따라 데드볼트(20)를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매개구동부재(40)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상부(41)와, 판상부(41)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돌출부(42), 제2돌출부(43), 제3돌출부(44) 및 제4돌출부(45)를 포함한다.
제1돌출부(42) 및 제2돌출부(43)는 도 6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판상부(41)를 기준으로 하여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돌출부(42)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압회전부재의 관통공(32)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매개구동부재(40)는 제1돌출부(42)를 중심으로 도 6에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가압회전부재(3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매개구동부재(40) 및 가압회전부재(30)가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는 관통공(32) 및 제1돌출부(42)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연결부는 관통공(32)의 위치에 따라서 매개구동부재의 회전중심, 즉 피봇축(31)에 근접하게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돌출부(43)의 일측면에는 제1피가압면(431) 및 제3피가압면(433)이 연결되게 형성되며, 제2돌출부(43)의 타측면에는 제2피가압면(432) 및 제4피가압면(434)이 연결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2돌출부(43)의 일측면 및 타측면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며, 따라서 제1피가압면(431) 및 제3피가압면(433)은 제2피가압면(432) 및 제4피가압면(434)과 면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제1피가압면(431) 및 제2피가압면(432)은 각각 매개구동부재(40)의 직선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이다. 제3피가압면(433)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매개구동부재(40)의 직선 이동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하며, 제4피가압면(434)도 제3피가압면(433)과 마찬가지로 경사면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제3피가압면(433) 및 제4피가압면(434)은 매개구동부재의 직선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하며 경사면과 연결되는 평면을 각각 포함하며, 이 평면들은 제1피가압면(431) 및 제2피가압면(432)와 각각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어 서로 연결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서 제3피가압면(433) 및 제4피가압면(434) 각각의 경사면 및 평면에 대한 부재번호 구별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돌출부(44) 및 제4돌출부(45)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판상부(41)를 기준으로 하여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3돌출부(44) 및 제4돌출부(45)는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서로 마주한다. 제3돌출부(44)에는 경사면(442) 및 직교면(443)을 포함하는 제5피가압면(441)이 형성된다. 제5피가압면의 경사면(442)은 매개구동부재(40)의 직선 이동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평면이며, 제5피가압면의 직교면(443)은 경사면(442)과 연결되며 매개구동부재(40)의 직선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하게 형성된 평면이다. 또한, 제4돌출부(45)에도 제3돌출부(44)와 유사하게 경사면(452) 및 직교면(453)을 포함하는 제6피가압면(451)이 형성된다. 제6피가압면(451)은 제5피가압면(441)과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며, 서로 면대칭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매개구동부재(40)는 판스프링(49)에 의해 후술하는 제1회전부재쪽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즉, 매개구동부재(40)는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탄성바이어스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판스프링(49)은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된다. 판스프링(49)의 일단부만 하우징(10)에 고정되므로, 판스프링(49)의 타단은 자유단이 된다.
제1회전부재(50)는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매개구동부재(40)의 직선이동을 구동한다. 제1회전부재(50)는 판상으로 형성된 판상부(51)와, 판상부의 외측면에 대해 돌출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가압돌출부(52) 및 제2가압돌출부(53)가 형성된다. 제1가압돌출부(52) 및 제2가압돌출부(53) 사이에는 매개구동부재의 제2돌출부(43)가 배치된다. 제1가압돌출부(52) 및 제2가압돌출부(53)에는 각각 제1가압면(521) 및 제2가압면(531)이 형성된다. 제1가압면(521) 및 제2가압면(531)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며, 각각 제1피가압면(431) 및 제2피가압면(432)과도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다만, 제3피가압면(433) 및 제4피가압면(434)는 제1회전부재(50)의 회전경로로부터 벗어나게 배치되어, 제1가압돌출부(52) 및 제2가압돌출부(53)는 그 회전과정에서 각각 제3피가압면(433) 및 제4피가압면(434)와는 접촉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매개구동부재(40)를 도 6에 도시된 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는다.
제1가압면(521) 및 제2가압면(531)은 제1회전부재(50)의 회전과정에서 제1피가압면(431) 및 제2피가압면(432)과 접촉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가압한다. 따라 서,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1회전부재(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가압면(521)이 제1피가압면(431)과 접촉하여 매개구동부재(40)를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가압하며,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1회전부재(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가압면(531)이 제2피가압면(432)과 접촉하여 매개구동부재(40)를 왼쪽으로 이동하게 가압한다.
한편, 제1회전부재(50)는 하우징(10)에 설치된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된다. 제1회전부재(50) 및 모터(미도시)의 연동구조는 제1회전부재(50)의 판상부(51)에 형성된 다수의 기어로 구성된 기어부(미도시) 및 기어부에 직접 맞물리며 모터의 출력축에 결합된 피니언(미도시)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키패드(211)에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사용자가 인증되어 모터가 작동한다. 또한, 모터는 록킹해제된 도어(1)가 다시 닫히는 경우에 도어(1)가 자동적으로 다시 록킹되도록 작동한다.
또한, 제1회전부재의 판상부(51)에는 제1핀부재(130) 및 제2핀부재(230)가 각각 삽입되는 제1홈부(511) 및 제2홈부(512)가 형성된다. 제1홈부(511) 및 제2홈부(512)는 제1핀부재(130) 및 제2핀부재(230)의 회전시에 제1핀부재(130) 및 제2핀부재(230)가 제1홈부(511) 및 제2홈부(512)의 내측면에 각각 접촉하지 않도록 충분히 크게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제1홈부(511) 및 제2홈부(512)는 원호의 일부를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회전부재(60)는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매개구동부재(40)의 직선이동 및 회전을 구동한다. 제2회전부재(60)는 제1회전부재(50)와 도어(1) 의 두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회전부재(50)와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제2회전부재(60)는 판상으로 형성된 판상부(61)와, 판상부의 외측면에 대해 돌출 형성되는 제1가압돌출부(62) 및 제2가압돌출부(63)를 포함한다.
판상부(61)에는 제1핀부재(130)가 삽입되며 원호의 일부를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된 홈부(611)가 마련된다. 제1핀부재(130)가 실내측 핸들(120)에 연동하여 제2회전부재(60)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공전운동하면, 제1핀부재(130)가 홈부(611)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가압하게 되므로, 제2회전부재(60)는 그 가압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가압돌출부(62) 및 제2가압돌출부(63)에는 각각 제3가압면(621) 및 제4가압면(631)이 형성된다. 제3가압면(621) 및 제4가압면(631)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며, 각각 제3피가압면(433) 및 제4피가압면(434)과도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3가압면(621) 및 제4가압면(631)은 제2회전부재(60)의 회전과정에서 제3피가압면(433) 및 제4피가압면(434)과 접촉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도어(1)를 록킹해제하기 위해서 제2회전부재(60)를 회전시키면, 매개구동부재(40)가 회전한 후에 직선이동함으로써 매개구동부재(40)의 직선 이동경로로부터 제1회전부재(50)가 벗어나게 배치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2회전부재(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회전과정에서 제1가압돌출부의 제3가압면(621)이 제3피가압면(433)의 경사면과 접촉하여 가압하므로 1차적으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매개구동부재(40)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그 후에는 매개구동부재(40)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도 7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오른쪽 으로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1)의 록킹해제 과정에서 매개구동부재(40), 특히 매개구동부재의 제2돌출부(43)는 제1회전부재(50)와 접촉하지 않는다.
회전체(90)는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체(90)는 실린더형상으로 이루어진 실린더부(91) 및 실린더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가압돌출부(92)를 포함한다.
실린더부(91)에는 제1회전부재(50) 및 제2회전부재(60)가 삽입되며, 따라서 회전체(90), 제1회전부재(50) 및 제2회전부재(60)는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실린더부(91)는 케이스(11) 및 커버(13)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실린더부(91)에는 열쇠뭉치의 샤프트(미도시)가 삽입되는 삽입홀(9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열쇠뭉치는 도어(1)의 실외측에 노출되며, 열쇠가 삽입되는 열쇠구멍(미도시)을 가지며, 열쇠를 이용하여 열쇠뭉치를 회전시키면 그에 연동되어 회전체(90)는 회전한다. 열쇠를 이용하여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조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압돌출부(92)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매개구동부재의 제3돌출부(44) 및 제4돌출부(45) 사이에 배치된다. 가압돌출부(92)에는 제5가압면(921) 및 제6가압면(922)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회전체(90)가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어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과정에서 가압돌출부(92)의 제6가압면(922)이 제6피가압면의 경사면(452)을 가압하여 매개구동부재(40)를 1차적으로 회전시켜 도 8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그 이후에 는 가압돌출부(92)의 제6가압면(922)이 제6피가압면의 직교면(453)을 가압하여 매개구동부재(40)를 도 8에 도시된 상태로 오른쪽으로 직선이동시키므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1)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제1회전부재의 제1가압돌출부(52) 및 제2가압돌출부(53) 사이의 거리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회전부재의 제1가압돌출부(62) 및 제2가압돌출부(63) 사이의 거리보다 작으며, 제2회전부재의 제1가압돌출부(62) 및 제2가압돌출부(63) 사이의 거리는 매개구동부재의 제3돌출부(44) 및 제2돌출부(45)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래치볼트(70)는 하우징(10)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다. 래치볼트(70)는 래치부재(71)와, 결합부재(72)를 구비한다.
래치부재(71)는 도어(1)가 닫힌 상태에서 래치볼트 삽입공(4)에 삽입됨으로써 도어가 바람이나 약한 진동 등에 의해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래치부재(71)는 래치볼트 출입공(122)에 삽입되며, 압축코일스프링(73)에 의해 하우징(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여기서, 압축코일스프링(73)은 일단부가 래치부재(71)에 접촉 지지되며 타단부가 케이스에 돌출된 지지부(111)에 접촉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래치부재(71)의 단부는 래치부재(71)의 직선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도어(1)를 열고 닫을 때에 문설주(2)에 의해 가압되어 래치볼트(70)가 하우징(10)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결합부재(72)에는 래치부재(71)가 끼워져 결합되며, 이에 따라 결합부재(72) 및 래치부재(71)는 한 몸체로 구성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결합부재(72)의 직선 이동은 한 쌍의 가이드부(112)에 의해 가이드된다. 여기서, 한 쌍의 가이드부(112)는 케이스(11)의 내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래치가압부재(80)는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래치가압부재(80)는 회전중심이 되는 피봇축(81)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날개부(82) 및 제2날개부(83)를 구비한다. 피봇축(81)은 래치가압부재(80)를 관통하여 케이스(11) 및 커버(13)에 결합된다. 제1날개부(82)는 결합부재(72)와 접촉하게 배치된다. 제2날개부(83)는 제2회전부재(60) 및 제2핀부재(230)와 좁은 간격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2회전부재(60) 또는 제2핀부재(230)의 회전시에는 제2날개부(83)가 제2회전부재(60) 또는 제2핀부재(230)에 의해 가압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래치볼트(70)가 하우징(10)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1)가 록킹된 상태에서 도어의 실외측에서 도어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해서, 키패드(211)에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사용자를 인증하여 모터를 작동시키면, 제1회전부재(50)가 회전하여 제1가압돌출부의 제1가압면(521)이 제2돌출부의 제1피가압면(431)을 가압하게 되므로, 매개구동부재(40)가 오른쪽으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매개구동부재(40)가 직선이동하게 되면, 매개구동부재의 제1돌출부(42)가 가압회전부재의 관통공(32)의 내측면을 가압하게 되므로, 가압회 전부재(30)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가압회전부재(30)는 데드볼트의 홈부(21) 내측면을 가압하게 되므로, 데드볼트(20)가 하우징(10)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가 록킹 해제된다.
이와 같이 도어(1)가 록킹 해제된 상태에서, 실외측 핸들(220)을 돌리게 되면, 제2핀부재(230)가 래치가압부재의 제2날개부(83)를 가압하게 되어 래치볼트(70)가 하우징(10)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실외측 핸들(220)을 돌려서 도어(1)를 열고 실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어가 닫히면, 공지의 감지수단에 의해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어 모터가 작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회전부재의 제2가압돌출부(53)의 제2가압면(531)이 매개구동부재의 제2돌출부의 제2피가압면(432)을 가압하게 되어 도어가 다시 록킹된다.
한편, 도어(1)의 실내측에서 도어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실내측 핸들(120)을 돌기기만 하면 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실내측 핸들을 회전시키면, 제1핀부재(130)가 회전하게 되며, 제1핀부재(130)는 그 회전 과정에서 제2회전부재의 홈부(611) 내측면을 가압하여 제2회전부재(6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제2회전부재(60)의 회전 과정에서는 제1가압돌출부의 제3가압면(621)이 제3피가압면을 순차적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매개구동부재(40)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한 상태로 오른쪽으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이 때, 매개구동부재(40)와 제1회전부재(50)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매개구동부재의 제2돌출부(43)는 제1회전부재의 제2가압돌출부(53)의 위에서 접촉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매개구동부재(40)가 직선 이동하게 되면, 가압회전부재(30)가 회전하게 되어 데드볼트(20)가 하우징에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도어의 록킹이 해제된다. 그리고, 제2회전부재(60)의 회전과정에서 래치가압부재(80)도 제2회전부재(60)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게 되며, 결국 래치볼트(70)도 하우징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실내측 핸들(120)을 돌리기만 하면 데드볼트(20) 및 래치볼트(70)를 동시에 하우징(10)에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어를 열고 실외측으로 나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실내측 핸들(120)이 회전되어 도어(1)가 록킹 해제된 후에는 도어의 록킹 해제가 감지되어 모터(미도시)가 자동적으로 작동하며, 이에 따라 제1회전부재(50)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제1회전부재(50)가 회전하면, 매개구동부재의 제2돌출부(43)가 제1회전부재의 제1가압돌출부(52) 및 제2가압돌출부(53)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1)가 열린 후에 다시 닫히면, 도어의 닫힘이 자동적으로 감지되어 데드볼트(20)가 하우징에 대해 돌출되도록 모터가 작동한다. 따라서, 도어가 자동적으로 록킹된다. 그리고, 실내측에서 실내측 핸들(120)을 회전시킴으로써 수동으로 도어를 다시 록킹할 수도 있다. 즉, 도어의 실내측에서 실내측 핸들(120)을 도어의 록킹을 해제할 때 회전시킨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회전부재의 제2가압돌출부(63)의 제4가압면(631)이 매개구동부재의 제2돌출부의 제4피가압면(434)을 가압하게 되므로, 매개구동부재는(40)는 도어의 록킹을 해제할 때와 유사하게 회전한 상태에서 좌측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매개구동부재(40)의 직선 이동에 연동하여 가압회전부재(30)가 회전하게 되므로, 결국 데드볼트(20)를 하우징(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어(1)의 실외에서 열쇠를 이용하여 록킹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열쇠를 열쇠뭉치의 열쇠구멍에 삽입하고 회전시키면, 그에 연동되어 회전체가 회전한다. 그리고, 회전체(90)의 회전과정에서 회전체의 가압돌출부(92)의 제6가압면(922)가 제6피가압면의 경사면(452) 및 직교면(453)을 순차적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매개구동부재(40)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한 상태로 우측으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으며, 실외측 핸들을 회전시키면 래치볼트(70)로 하우징에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도어를 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어를 록킹하기 위해서는 열쇠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체를 록킹할 때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모티스부(300)에 종래와 달리 2개의 회전부재(50,60)만 설치되더라도 도어의 실내측 및 실외측에서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모티스부의 구조가 간단해지며 이에 따라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해지며 나아가 내구성도 크게 향상된다.
특히, 실내측에서는 핸들(120)을 회전시키기만 하면 도어를 록킹해제시킴과 동시에 도어를 열고 나갈 수 있게 되므로, 화재나 지진 등이 발생한 비상시에도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회전부재(50), 제2회전부재(60) 및 회전체(90) 중 어느 하나의 회전시에는 나머지 및 매개회전부재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모터의 손상 방지 등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압회전부재(30)와 매개구동부재(40)를 연결하는 연결부, 즉 관통공(32)에 삽입되는 제1돌출부(42)가 가압회전부재의 피봇축(31)에 근접하게 배치되 므로, 실내측 핸들(120)을 조금만 회전시키더라도 가압회전부재(30)를 충분히 회전시켜 데드볼트(20)를 하우징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에서와 달리,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의 모티스부(300a)에 있어서, 매개구동부재(40a)는 판상부(41)에 돌출 형성된 제1돌출부(42), 제2돌출부(43a), 제3돌출부(44a), 제4돌출부(45a), 제5돌출부(46a) 및 제6돌출부(47a)를 가진다.
제1돌출부(42)는 가압회전부재의 관통공(32)에 삽입되며, 매개구동부재(40)의 이동시에 관통공(32)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가압회전부재(30)를 회전시킨다.
제2돌출부(43a)는 도 10을 기준으로 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되,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판상부(4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제2돌출부(43a)에는 제1피가압면(431) 및 제2피가압면(432)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제1피가압면(431) 및 제2피가압면(432)은 각각 매개구동부재(40a)의 직선이동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이다.
그리고, 제2돌출부(43a)는 제1회전부재의 제1가압돌출부(52) 및 제2가압돌출부(53) 사이에 배치된다. 제1가압돌출부의 제1가압면(521) 및 제2가압돌출부의 제2가압면(531)은 각각 제1피가압면(431) 및 제2피가압면(432)과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3돌출부(44a) 및 제4돌출부(45a)는 도 10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되,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판상부(4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제3돌출부(44a) 및 제4돌출부(45a)는 매개구동부재(40)의 직선 이동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3돌출부(44a) 및 제4돌출부(45a)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의 아래에 제2돌출부가 배치된다. 제3돌출부(44a) 및 제4돌출부(45a)에는 각각 제3피가압면(433) 및 제4피가압면(434)이 형성된다. 제3피가압면(433) 및 제4피가압면(434)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3피가압면(433)은 매개구동부재의 직선이동방향에 직교하는 직교면(433-1) 및 직교면과 연결되며 매개구동부재의 직선이동방향에 대해 경사면(433-2)을 포함하며, 제4피가압면(434)도 제3가압면(433)과 마찬가지로 직교면(434-1) 및 경사면(434-2)을 포함한다.
제3돌출부(44a) 및 제4돌출부(45a) 사이에는 제2회전부재(60a)의 가압돌출부(62a)가 배치된다. 가압돌출부(62a)에는 제3가압면(621) 및 제4가압면(631)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3가압면(621) 및 제4가압면(631)은 각각 제3피가압면(433) 및 제4피가압면(434)과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5돌출부(46a) 및 제6돌출부(47a)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판상부(41)의 정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일부는 하방으로 돌출된다. 제제5돌출부(46a) 및 제6돌출부(47a)는 매개구동부재의 직선 이동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5돌출부(46a) 및 제6돌출부(47a)에는 각각 제5피가압면(441) 및 제6피가압면(451)이 형성된다. 제5피가압면(441) 및 제6피가압면(451)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5피가압면(441)은 매개구동부재(40)의 직선이동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면(443) 및 직교면과 연결되며 매개구동부재의 직선이동방향에 대해 경사면(442)을 포함하며, 제6피가압면(451)도 제5가압면과 마찬가지로 직교면(453) 및 경사면(452)을 포함한다.
제5돌출부(46a) 및 제6돌출부(47a) 사이에는 회전체의 가압돌출부(92)가 배치된다. 가압돌출부의 제5가압면(921) 및 제6가압면(922)은 각각 제5피가압면(441) 및 제6피가압면(451)과 각각 마주한다.
그리고, 제1회전부재의 제1가압돌출부(52) 및 제2가압돌출부(53), 제2회전부재의 가압돌출부(62a) 및 회전체의 가압돌출부(92)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도, 앞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회전부재(50)의 회전시에는 매개구동부재(40)가 직선이동함으로써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며, 제2회전부재(60a)의 회전시에는 매개구동부재(40)가 회전을 하고 그 회전된 상태로 직선이동함으로써 도어의 록킹이 해제된다. 또한, 회전체(90)의 회전시에도 매개구동부재(40)가 회전된 상태로 직선이동하여 도어의 록킹이 해제된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데드볼트가 가압회전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압회전부재 없이 매개구동부재가 데드볼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2에 도시된 데드볼트(20) 및 매개구동부재(40b) 간의 연결구조는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2008-0065515호에 이미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데드볼트(20)에 는 매개구동부재(40b)가 도 12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즉, 데드볼트(20)에는 실린더 형상의 결합구멍이 형성되며, 매개구동부재(40b)에는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실린더 형상의 실린더부(48)가 형성된다. 그리고, 앞서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판스프링 대신에 토션스프링(49b)이 매개구동부재(40b)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제1회전부재쪽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제1회전부재, 제2회전부재 및 회전체의 회전에 연동되어 매개구동부재(40b)가 직선이동 또는 회전과 함께 직선이동하게 되면, 그에 연동되어 데드볼트(20)가 직선이동하게 된다. 도 12에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서 데드볼트(20), 매개부재(95) 및 매개구동부재(40b)의 결합관계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매개구동부재(40b)도 일부만이 절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제1돌출부가 관통공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돌출부 및 관통공이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돌출부(42c)는 삼각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삼각부만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삼각부는 도어의 두께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관통공(32c)은 제1돌출부(42c)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서로 연결되는 삼각결합공(321) 및 사각결합공(322)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삼각결합공(321)은 삼각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분을 말하며, 사각결합공(322)은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분으로서 삼각결합공(321)과 연결되는 부 분을 말한다. 관통공(32c)에는 제1돌출부(42c)가 삽입되되, 제1돌출부(32c)의 삼각부의 대부분은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삼각결합공(321)에 삽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돌출부(42c)가 관통공(32c)에 삽입된 구조에서는,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 매개구동부재(40c)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돌출부(42c)의 삼각부가 관통공(32c)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가압하여 가압회전부재(30c)를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도어가 록킹해제된다. 이 때에, 제1돌출부(42c)와 관통공(32c) 사이의 접촉 지점은 가압회전부재(30c)가 회전함에 따라서 제1돌출부(42c)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쪽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접촉 지점이 점진적으로 가압회전부재(30c)의 피봇축(31) 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가압회전부재(30c)를 최초로 회전 구동할 때에 상대적으로 적은 힘이 소요된다. 따라서, 모터의 과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실내측 핸들을 회전시킬 때에 힘이 적게 소요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피가압면, 제2피가압면, 제3피가압면 및 제4피가압면을 가지는 제1피가압부가 제2돌출부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매개구동부재에 홈이 형성되고 이 홈의 내측면에 제1피가압면, 제2피가압면, 제3피가압면 및 제4피가압면을 가지는 제1피가압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1가압면 및 제2가압면을 가지는 제1가압부, 제3가압면 및 제4 가압면을 가지는 제2가압부 그리고 제5가압면 및 제6가압면을 가지는 제3가압부이 모두 가압돌출부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제1회전부재, 제2회전부재 및 회전체에 홈이 형성되고 이 홈의 내측면에 제1가압부, 제2가압부 및 제3가압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점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돌출부나 홈부의 형태를 조합하게 되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명백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핀부재 및 제2핀부재가 각각 실내측 핸들 및 실외측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핸들의 회전을 직선이동으로 변환하는 다양한 링크 장치를 이용하여 핸들의 회전시에 제1핀부재 및 제2핀부재가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티스부의 내부구조, 특히 록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모티스부의 내부구조, 특히 제1회전부재, 제2회전부재 및 회전체에 의해 록킹해제된 상태를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Ⅵ-Ⅵ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2의 Ⅵ-Ⅵ선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제2회전부재 및 회전체에 의해 도어가 록킹해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Ⅸ-Ⅸ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모티스부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ⅩⅠ-ⅩⅠ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모티스부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모티스부에 있어서 매개구동부재 및 가압회전부재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도어 2...문설주
10...하우징 20...데드볼트
21...홈부 30...가압회전부재
31,81...피봇축 32...관통공
40,40a...매개구동부재 41,51,61...판상부
42,43,44,45,43a,44a,45a,46a,47a...돌출부 49...판스프링
50...제1회전부재 52,53,62,62a,63,92...가압돌출부
60,60a...제2회전부재 70...래치볼트
71...래치부재 72...결합부재
73...압축코일스프링 80...래치가압부재
82,83...날개부 90...회전체
91...실린더부 92...가압돌출부
100...실내측부 120,220...핸들
130,230...핀부재 200...실외측부
300,300a...모티스부 442,452,433-2,434-2...경사면
443,453,433-1,434-1...직교면
431,432,433,434,441,451...피가압면
521,531,621,631,921,922...가압면
Claims (8)
- 도어에 결합되는 하우징;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데드볼트;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데드볼트가 이동하도록 상기 데드볼트를 가압하는 가압회전부재;상기 하우징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직선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가압회전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가압회전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가압회전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가압회전부재에 결합되는 매개구동부재;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매개구동부재가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매개구동부재를 가압하는 제1회전부재;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회전부재와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매개구동부재가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매개구동부재를 가압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매개구동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매개구동부재를 가압하는 제2회전부재; 및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에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매개구동부재가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매개구동부재를 가압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매개구동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매개구동부재를 가압하는 회전체;를 구비하며,상기 매개회전부재가 상기 제1회전부재, 제2회전부재 및 회전체 중 어느 하나의 회전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직선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회전부재, 제2회전부재 및 회전체 중 다른 2개의 회전부재는 상기 매개회전부재의 직선 이동경로로부터 벗어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 도어에 결합되는 하우징;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데드볼트;상기 데드볼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데드볼트와 함께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데드볼트에 결합되는 매개구동부재;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매개구동부재가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매개구동부재를 가압하는 제1회전부재;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회전부재와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매개구동부재가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매개구동부재를 가압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매개구동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매개구동부재를 가압하는 제2회전부재; 및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에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매개구동부재가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매개구동부재를 가압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매개구동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매개구동부재를 가압하는 회전체;를 구비하며,상기 매개회전부재가 상기 제1회전부재, 제2회전부재 및 회전체 중 어느 하나의 회전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직선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회전부재, 제2회전부재 및 회전체 중 다른 2개의 회전부재는 상기 매개회전부재의 직선 이동경로로부터 벗어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매개구동부재에는 제1피가압면, 제2피가압면, 제3피가압면, 제4피가압면, 제5피가압면 및 제6피가압면이 형성되며,상기 제1회전부재에는 상기 매개구동부재가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제1회전부재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제1피가압면 및 제2피가압면과 각각 접촉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면 및 제2가압면이 형성되며,상기 제2회전부재에는 상기 매개구동부재가 회전 및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제2회전부재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제3피가압면 및 제4피가압면과 각각 접촉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가압하는 제3가압면 및 제4가압면이 형성되며,상기 제3피가압면 및 상기 제3가압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매개구동부재의 직선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며,상기 제4피가압면 및 상기 제4가압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매개구동부재의 직선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며,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매개구동부재가 회전 및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체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제5피가압면 및 제6피가압면과 각각 접촉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가압하는 제5가압면 및 제6가압면이 형성되며,상기 제5피가압면 및 상기 제5가압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매개구동부재의 직선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며,상기 제6피가압면 및 상기 제6가압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매개구동부재의 직선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매개구동부재에는 제1피가압부, 한 쌍의 제2피가압부 및 한 쌍의 제3피가압부가 형성되며,상기 제1피가압부는 상기 제1피가압면 및 제2피가압면을 가지되, 상기 제1피가압면 및 제2피가압면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며,상기 한 쌍의 제2피가압부는 상기 매개구동부재의 직선이동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3피가압면 제4피가압면을 각각 가지되, 상기 제3피가압면 및 제4피가압면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상기 한 쌍의 제3피가압부는 상기 매개구동부재의 직선이동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5피가압면 제6피가압면을 각각 가지되, 상기 제5피가압면 및 제6피가압면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상기 제1회전부재에는 상기 제1피가압부가 삽입되는 한 쌍의 제1가압부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1가압부에는 상기 제1가압면 및 제2가압면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1가압면 및 제2가압면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상기 제2회전부재에는 상기 한 쌍의 제2피가압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3가압면 및 제4가압면을 가지는 제2가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가압면 및 제4가압면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며,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한 쌍의 제3피가압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5가압면 및 제6가압면을 가지는 제3가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5가압면 및 제6가압면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매개구동부재에는 일측면에 상기 제1피가압면 및 제3피가압면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면과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타측면에 상기 제2피가압면 및 제4피가압면이 형성된 제1피가압부가 형성되며,상기 제1회전부재에는 상기 제1가압면 및 제2가압면을 각각 가지며 상기 제1피가압부가 그 사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제1가압부가 형성되며,상기 제2회전부재에는 상기 제3가압면 및 제4가압면을 각각 가지며 상기 제1피가압부가 그 사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제2가압부가 형성되며,상기 매개구동부재에는 상기 매개구동부재의 직선이동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며, 각각 상기 제5피가압면 및 제6피가압면을 가지되 상기 제5피가압면 및 제6피가압면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2피가압부가 형성되며,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한 쌍의 제2피가압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5가압면 및 제6가압면을 가지는 제3가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5가압면 및 제6가압면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 중 어느 하나의 회전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어느 하나의 회전부재에 연결되는 모터;상기 도어의 실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도어의 실내측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 중 다른 하나의 회전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다른 하나의 회전부재에 연결되는 실내측 핸들 또는 노브; 및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열쇠가 삽입되는 열쇠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열쇠구멍에 삽입된 열쇠의 회전시 회전하며, 상기 열쇠에 의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회전체가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체에 연결되는 열쇠뭉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다른 하나의 회전부재에 대해 회전 또는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 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측 핸들 또는 노브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 또는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실내측 핸들 또는 노브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 또는 직선 이동시에 상기 다른 하나의 회전부재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제1핀부재;상기 도어의 실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외측 핸들;상기 하우징에 회전 또는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실외측 핸들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 또는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실외측 핸들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 또는 직선 이동시에 상기 래치볼트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래치볼트회전부재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제2핀부재;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래치볼트; 및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래치볼트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래치볼트를 가압하며, 상기 제1회전부재 또는 제2회전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래치볼트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하는 래치가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매개구동부재에는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삼각 형상인 삼각부를 포함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상기 가압회전부재에는 상기 삼각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삼각결합공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4429A KR20100106012A (ko) | 2009-03-23 | 2009-03-23 | 도어록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4429A KR20100106012A (ko) | 2009-03-23 | 2009-03-23 | 도어록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6012A true KR20100106012A (ko) | 2010-10-01 |
Family
ID=43128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4429A KR20100106012A (ko) | 2009-03-23 | 2009-03-23 | 도어록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06012A (ko) |
-
2009
- 2009-03-23 KR KR1020090024429A patent/KR2010010601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9183492A (ja) | 電気錠 | |
TWI663316B (zh) | 基於單次控制之鎖栓長距傳動之鎖閘結構 | |
KR101968278B1 (ko) |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 |
KR101196135B1 (ko) | 도어록 장치 | |
KR101196054B1 (ko) |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록 장치 | |
JP4205081B2 (ja) | 開き戸の施解錠機構 | |
KR102183385B1 (ko) | 잠금확인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 |
KR101743238B1 (ko) | 잠금키가 구비된 창호용 핸들장치 | |
KR20100106012A (ko) | 도어록 장치 | |
KR200322505Y1 (ko) | 도어록 잠금장치 | |
KR20100096585A (ko) | 도어록 장치 | |
KR20090071341A (ko) | 도어록 장치 | |
KR20100067217A (ko) |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 |
TWI673421B (zh) | 具多功能模組更換之鎖閘結構 | |
KR20080065515A (ko) | 도어록 장치 | |
KR20100005741U (ko) | 도어록 장치 | |
KR100799932B1 (ko) | 도어록 장치 | |
KR100994344B1 (ko) | 도어록 장치 | |
RU2395662C1 (ru) | Замок "ассистент" | |
KR102149269B1 (ko) | 도어 결속장치 | |
KR100813122B1 (ko) | 도어록 장치 | |
CN211950010U (zh) | 一种挂锁 | |
KR102183383B1 (ko) | 잠금확인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 |
KR20100050048A (ko) | 도어록 장치 | |
KR101105590B1 (ko) | 도어록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