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696B1 - 도어락용 보조키 위치가변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락용 보조키 위치가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696B1
KR102469696B1 KR1020210105037A KR20210105037A KR102469696B1 KR 102469696 B1 KR102469696 B1 KR 102469696B1 KR 1020210105037 A KR1020210105037 A KR 1020210105037A KR 20210105037 A KR20210105037 A KR 20210105037A KR 102469696 B1 KR102469696 B1 KR 102469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gear
key
fix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성
Original Assignee
빌드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빌드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빌드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5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6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 E05B15/1635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of plastics materials
    • E05B2015/1664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of plastics materials for lock ho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6Positioning, e.g. re-positioning, or pre-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외부에 설치된 키뭉치부와 내부에 설치된 노브부를 렉기어부를 통하여 연결시킨 위치가변장치를 구비하여 키뭉치부와 노브부가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아도 키뭉치부의 회전시 노브부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제작 및 조립이 매우 간편해지고, 노브부 또는 키뭉치부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락용 보조키 위치가변장치 { Auxiliary key position variable device for door lock }
본 발명은 도어락용 보조키 위치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키뭉치부와 노브부가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아도 키뭉치부의 회전시 노브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도어의 외부에 설치된 키뭉치부와 내부에 설치된 노브부를 렉기어부를 통하여 연결시킨 도어락용 보조키 위치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잠금 장치의 일종인 도어락(Door Lock)은 일반 주택 또는 아파트나 기업체나 연구소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출입을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도어락은 래치 볼트(Latch Bolt)와 데드 볼트(Dead Bolt)를 내측에 구비한 모티스(Mortis)가 사용되는데, 래치 볼트와 데드 볼트가 모티스의 측면에 돌출될 수 있는 구조로 장착되며, 도어의 핸들과 회전노브 등에 의해 조작되어 스트라이이크의 홈과 결합하여 도어를 잠궈주게 된다.
그리고 통상적인 도어락은 키를 도어락에 삽입하여 돌림으로써 잠금 및 해제를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기계적인 방식과, 도어락의 내부에 마련된 솔레노이드나 모터 등을 구동시켜 잠금 및 해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전자적인 방식(디지털 도어락)으로 분류된다.
위와 같은 일반적인 도어락의 구조는 실내측 도어에 설치되는 내부케이스, 실외측 도어에 설치되는 외부케이스 및 내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모티스(Mortise)로 구성되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에는 모티스를 작동시켜 도어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핸들이 구비되어, 그 내부에는 도어의 록(Locking) 또는 언록(Unlocking)에 따라 모티스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장치가 내장된다.
이러한 종래의 도어락에 대한 기술문헌으로 국내등록특허 제10-2034963호가 개시되었다.
한편, 이러한 도어락의 내부에는 추가적으로 보조키가 설치되는데 보조키란 상술한 메인모티스를 통하여 록 또는 언록되는 것이 아닌 또 다른 구조를 통하여 도어를 해정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의 보조키를 설치할 경우에는 아웃바디와 인바디의 열쇠부분이 동일선상에 있어야만 수월하게 동작되는 것으로 도어의 타공작업에서 약간의 오차가 발생되면 보조키가 동작되지 못하고, 잘못된 타공작업시 다시 타공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들어 다양한 도어락이 개발되고 도어에 설치되는 구조물이 많아짐에 따라 보조키의 설치위치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되는 상황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경우 도어의 외면과 내면에 또 다른 타공작업을 수행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외부에 설치된 키뭉치부와 내부에 설치된 노브부를 렉기어부를 통하여 연결시킨 위치가변장치를 구비하여 키뭉치부와 노브부가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아도 키뭉치부의 회전시 노브부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제작 및 조립이 매우 간편해지고, 노브부 또는 키뭉치부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도어락용 보조키 위치가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용 보조키 위치가변장치는 도어의 일면에 설치되는 보조키의 위치가변장치로서 상기 도어의 내부면에 부착된 판형상의 설치플레이트와,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내부면에서 양측방향으로 천공된 장공형상의 키뭉치설치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상기 키뭉치설치공에 장착되며 상기 도어의 외부면으로 관통된 보조키뭉치와, 상기 보조키뭉치의 일단부에 형성된 키뭉치기어로 이루어진 키뭉치부와;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일면에 구비된 막대형상의 렉기어본체와, 상기 렉기어본체의 하면에 상기 키뭉치기어에 맞물린 하부기어와, 상기 렉기어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기어로 이루어진 렉기어부와; 상기 상부기어에 맞물린 노브기어와, 상기 노브기어의 일단부에 형성된 노브본체와, 상기 노브본체가 장착되며 상기 설치플레이트에 연결된 노브연결구로 이루어진 노브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브연결구는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일면에 부착된 연결구본체와, 상기 연결구본체의 내측면에 상기 렉기어본체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렉기어요입부와, 상기 연결구본체의 일면에는 상기 노브본체가 체결되도록 다수개가 구비된 훅크형상의 노브체결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브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노브체결구의 내측에 걸려지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렉기어요입부이 내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레일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렉기어본체의 일면에는 상기 레일돌부가 안착되어 슬라이딩되는 레일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뭉치부에는 상기 키뭉치설치공에서 좌우로 이동되는 것이 고정되도록 상기 보조키뭉치를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키뭉치설치공의 상하부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가 고정되도록 볼트가 관통된 장공형상의 가변고정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일면에 밀착되며 상하로 연장된 고정본체와, 상기 고정본체의 상하부에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타면에서 관통하는 고정볼트가 체결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일면에 밀착시키는 고정볼트공과, 상기 고정본체의 중심면에 상기 키뭉치부가 관통하는 뭉치관통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뭉치관통공의 일면에는 상기 키뭉치부를 고정하는 스냅링과 접촉되는 면적이 최소화되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접촉방지연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용 보조키 위치가변장치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어의 외부에 설치된 키뭉치부와 내부에 설치된 노브부가 좌우로 이동되는 렉기어부를 통하여 연결시킨 위치가변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키뭉치부와 노브부가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아도 키뭉치부의 회전시 노브부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제작 및 조립이 매우 간편해지고,
둘째, 노브부와 키뭉치부를 연결하는 렉기어부를 형성함으로써, 노브부 또는 키뭉치부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도어의 환경에 따라 알맞은 위치에 보조키를 설치할 수 있으며,
셋째, 노브연결구의 내측면에 상기 렉기어본체가 삽입되는 렉기어요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렉기어요입부의 내부에 렉기어본체에 형성된 레일홈부에 끼워지는 레일돌부가 형성됨으로써, 렉기어의 좌우이동을 정밀하게 이동시키는 것과 더불어 일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넷째, 키뭉치부가 키뭉치설치공에서 좌우로 이동되는 것이 고정되도록 상기 보조키뭉치를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를 구비함으로써, 키뭉치부가 설치된 후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고정플레이트의 볼트체결을 통하여 고정할 수 있고, 볼트의 해제를 통하여 간편하게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어 키뭉치부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다섯째, 뭉치관통공의 일면에 키뭉치부를 고정하는 스냅링과 접촉되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접촉방지연장부를 형성함으로써, 키뭉치부가 회전될 경우 스냅링과 설치플레이트의 마찰면적을 최소화시켜 마찰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가변장치를 나타내 보인 정면사시도 및 후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가변장치를 나타내 보인 정면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가변장치를 나타내 보인 후면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가변장치의 작용을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브부의 체결구조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렉기어부의 이동을 나타내 보인 부분분해 사시도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플레이트의 작용을 나타내 보인 후면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용 보조키 위치가변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의 일면에 설치되는 보조키의 위치가변장치(1)로서 상기 도어(D)의 내부면에 부착된 판형상의 설치플레이트(11)와, 상기 설치플레이트(11)의 내부면에서 양측방향으로 천공된 장공형상의 키뭉치설치공(12)으로 이루어진 본체부(10)와; 상기 키뭉치설치공(12)에 장착되며 상기 도어(D)의 외부면으로 관통된 보조키뭉치(21)와, 상기 보조키뭉치(21)의 일단부에 형성된 키뭉치기어(22)로 이루어진 키뭉치부(20)와; 상기 설치플레이트(11)의 일면에 구비된 막대형상의 렉기어본체(31)와, 상기 렉기어본체(31)의 하면에 상기 키뭉치기어(22)에 맞물린 하부기어(32)와, 상기 렉기어본체(31)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기어(33)로 이루어진 렉기어부(30)와; 상기 상부기어(33)에 맞물린 노브기어(41)와, 상기 노브기어(41)의 일단부에 형성된 노브본체(42)와, 상기 노브본체(42)가 장착되며 상기 설치플레이트(11)에 연결된 노브연결구(43)로 이루어진 노브부(4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노브연결구(43)의 상부에는 상기 설치플레이트(11)와 체결되도록 볼트(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노브연결구(4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플레이트(11)의 일면에 부착된 연결구본체(431)와, 상기 연결구본체(431)의 내측면에 상기 렉기어본체(31)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렉기어요입부(432)와, 상기 연결구본체(431)의 일면에는 상기 노브본체(42)가 체결되도록 다수개가 구비된 훅크형상의 노브체결구(43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노브본체(42)의 외주면에는 상기 노브체결구(433)의 내측에 걸려지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단턱부(4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렉기어요입부(432)이 내측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레일돌부(434)가 형성되고, 상기 렉기어본체(31)의 일면에는 상기 레일돌부(434)가 안착되어 슬라이딩되는 레일홈부(3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키뭉치부(2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뭉치설치공(12)에서 좌우로 이동되는 것이 고정되도록 상기 보조키뭉치(21)를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23)가 구비되고, 상기 키뭉치설치공(12)의 상하부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23)가 고정되도록 볼트(B)가 관통된 장공형상의 가변고정공(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플레이트(23)는 상기 설치플레이트(11)의 일면에 밀착되며 상하로 연장된 고정본체(231)와, 상기 고정본체(231)의 상하부에 상기 설치플레이트(11)의 타면에서 관통하는 고정볼트(B)가 체결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23)를 상기 설치플레이트(11)의 일면에 밀착시키는 고정볼트공(232)과, 상기 고정본체(231)의 중심면에 상기 키뭉치부(20)가 관통하는 뭉치관통공(23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뭉치관통공(233)의 일면에는 상기 키뭉치부(20)를 고정하는 스냅링(S)과 접촉되는 면적이 최소화되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접촉방지연장부(234)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용 보조키 위치가변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용 보조키 위치가변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의 일면에 설치되는 보조키(K1)의 위치가변장치(1)이다.
즉, 상기 도어(D)의 내부면에 부착된 본체부(10)의 일면에 상기 도어(D)의 외부로 연결되어 보조키를 통하여 회전되는 키뭉치부(20)가 구비되고, 상기 키뭉치부(20)의 일단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키뭉치기어(22)와 연결되어 좌우로 이동하는 렉기어부(30)와, 상기 렉기어부(30)에 연결되며 상기 도어(D)의 내부로 연결된 노브부(40)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키뭉치부(20)와 상기 노브부(40)가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더라도 상기 렉기어부(30)를 통하여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노브부(40)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상기 키뭉치부(20)와 노브부(40)의 일직선상에 배치하지 않아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어 제작 및 조립이 매우 편리해진다.
여기서, 상기 노브연결구(43)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본체(431)의 내측면에 상기 렉기어본체(31)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렉기어요입부(43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렉기어본체(31)가 이탈되지 않으면서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본체(42)의 외주면에는 상기 노브체결구(433)의 내측에 걸려지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단턱부(42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노브본체(42)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렉기어요입부(432)이 내측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레일돌부(434)가 형성되고, 상기 렉기어본체(31)의 일면에는 상기 레일돌부(434)가 안착되어 슬라이딩되는 레일홈부(31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렉기어본체(31)가 좌우로 이동될 경우 상기 레일돌부(434)와 레일홈부(311)를 통하여 정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키뭉치부(2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뭉치설치공(12)에서 좌우로 이동되는 것이 고정되도록 상기 보조키뭉치(21)를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23)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키뭉치부(20)가 설치된 후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상기 고정플레이트(23)를 통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키뭉치설치공(12)의 상하부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23)가 고정되도록 볼트(B)가 관통된 장공형상의 가변고정공(13)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키뭉치부(20)의 설치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플레이트(23)는 상기 설치플레이트(11)의 일면에 밀착되며 상하로 연장된 고정본체(231)와, 상기 고정본체(231)의 상하부에 상기 설치플레이트(11)의 타면에서 관통하는 고정볼트(B)가 체결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23)를 상기 설치플레이트(11)의 일면에 밀착시키는 고정볼트공(23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볼트(B)가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플레이트(23)를 상기 설치플레이트(11)에 밀착시켜 상기 키뭉치부(20)가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뭉치관통공(233)의 일면에는 상기 키뭉치부(20)를 고정하는 스냅링(S)과 접촉되는 면적이 최소화되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접촉방지연장부(234)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키뭉치부(20)가 회전될 경우 상기 스냅링(S)과 설치플레이트(11)가 접촉되어 마찰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마찰로 인한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D : 도어 1 : 위치가변장치
10 : 본체부 11 : 설치플레이트
12 : 키뭉치설치공 13 : 가변고정공
20: 키뭉치부 21 : 보조키뭉치
22 : 키뭉치기어 23 : 고정플레이트
231 : 고정본체 232 : 고정볼트공
233 : 뭉치관통공 234 : 접촉방지연장부
30 : 렉기어부 31 : 렉기어본체
311 : 레일홈부 32 : 하부기어
33 : 상부기어 40 : 노브부
41 : 노브기어 42 : 노브본체
421 : 걸림단턱부 43 : 노브연결구
431 : 연결구본체 432 : 렉기어요입부
433 : 노브체결구 434 : 레일돌부
S : 스냅링 B : 볼트

Claims (7)

  1. 도어(D)의 일면에 설치되는 보조키의 위치가변장치(1)에 있어서,
    상기 도어(D)의 내부면에 부착된 판형상의 설치플레이트(11)와, 상기 설치플레이트(11)의 내부면에서 양측방향으로 천공된 장공형상의 키뭉치설치공(12)으로 이루어진 본체부(10)와;
    상기 키뭉치설치공(12)에 장착되며 상기 도어(D)의 외부면으로 관통된 보조키뭉치(21)와, 상기 보조키뭉치(21)의 일단부에 형성된 키뭉치기어(22)로 이루어진 키뭉치부(20)와;
    상기 설치플레이트(11)의 일면에 구비된 막대형상의 렉기어본체(31)와, 상기 렉기어본체(31)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키뭉치기어(22)에 맞물린 하부기어(32)와, 상기 렉기어본체(31)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기어(33)로 이루어진 렉기어부(30)와;
    상기 상부기어(33)에 맞물린 노브기어(41)와, 상기 노브기어(41)의 일단부에 형성된 노브본체(42)와, 상기 노브본체(42)가 장착되며 상기 설치플레이트(11)에 연결된 노브연결구(43)로 이루어진 노브부(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보조키 위치가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연결구(43)는 상기 설치플레이트(11)의 일면에 부착된 연결구본체(431)와, 상기 연결구본체(431)의 내측면에 상기 렉기어본체(31)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렉기어요입부(432)와, 상기 연결구본체(431)의 일면에는 상기 노브본체(42)가 체결되도록 다수개가 구비된 훅크형상의 노브체결구(4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보조키 위치가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본체(42)의 외주면에는 상기 노브체결구(433)의 내측에 걸려지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단턱부(4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보조키 위치가변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렉기어요입부(432)이 내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레일돌부(434)가 형성되고, 상기 렉기어본체(31)의 일면에는 상기 레일돌부(434)가 안착되어 슬라이딩되는 레일홈부(3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보조키 위치가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뭉치부(20)에는 상기 키뭉치설치공(12)에서 좌우로 이동되는 것이 고정되도록 상기 보조키뭉치(21)를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23)가 구비되고, 상기 키뭉치설치공(12)의 상하부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23)가 고정되도록 볼트(B)가 관통된 장공형상의 가변고정공(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보조키 위치가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23)는 상기 설치플레이트(11)의 일면에 밀착되며 상하로 연장된 고정본체(231)와, 상기 고정본체(231)의 상하부에 상기 설치플레이트(11)의 타면에서 관통하는 고정볼트(B)가 체결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23)를 상기 설치플레이트(11)의 일면에 밀착시키는 고정볼트공(232)과, 상기 고정본체(231)의 중심면에 상기 키뭉치부(20)가 관통하는 뭉치관통공(23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보조키 위치가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뭉치관통공(233)의 일면에는 상기 키뭉치부(20)를 고정하는 스냅링(S)과 접촉되는 면적이 최소화되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접촉방지연장부(2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보조키 위치가변장치.



KR1020210105037A 2021-08-10 2021-08-10 도어락용 보조키 위치가변장치 KR102469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037A KR102469696B1 (ko) 2021-08-10 2021-08-10 도어락용 보조키 위치가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037A KR102469696B1 (ko) 2021-08-10 2021-08-10 도어락용 보조키 위치가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9696B1 true KR102469696B1 (ko) 2022-11-23

Family

ID=84236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037A KR102469696B1 (ko) 2021-08-10 2021-08-10 도어락용 보조키 위치가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96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1341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테크슈머 도어록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1341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테크슈머 도어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4438B2 (en) Latch assembly
US7634928B2 (en) Door locking system
JP4657284B2 (ja) 前面取り付け式錠組立体
US11377874B2 (en) Auto-latching/locking mortise lock for sliding door
US20080001414A1 (en) Door lock having an unlocking mechanism for simultaneously unlatching latch-bolt and deadbolt mechanisms
US20060290141A1 (en) Keyless lock for doors
US7240523B2 (en) Slide latch assembly
EP0338621B1 (en) Cremone bolt
US3580622A (en) Door latch
KR102469696B1 (ko) 도어락용 보조키 위치가변장치
US11591835B2 (en) Narrow backset auto-latching mortise lock for sliding door
AU2017202695B2 (en) Sliding Door Lock
WO2022011291A1 (en) Sliding deadbolt
JP5723210B2 (ja) シリンダー錠
JP3133714U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US20060042333A1 (en) Doorknob
KR101941589B1 (ko) 레버 타입 dls 창호용 손잡이
NZ531836A (en) Lock with cylinder incorporating laterally biased bar engaging corresponding key
KR101735752B1 (ko) 개폐방향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
KR101962436B1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GB2281344A (en) Garage door lock
AU2022200357B1 (en) Wrap-around gate latch
US3266277A (en) Mortise cylinder dead-lock
US2231908A (en) Door latch mechanism
KR100628955B1 (ko) 도어록 메카니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