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9700A -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9700A
KR20100089700A KR1020090009057A KR20090009057A KR20100089700A KR 20100089700 A KR20100089700 A KR 20100089700A KR 1020090009057 A KR1020090009057 A KR 1020090009057A KR 20090009057 A KR20090009057 A KR 20090009057A KR 20100089700 A KR20100089700 A KR 20100089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oor
latch bolt
dead bol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주)에스더블유몰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더블유몰드텍 filed Critical (주)에스더블유몰드텍
Priority to KR1020090009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9700A/ko
Publication of KR20100089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7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05B47/026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the bolt moving rectilinear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며 내구성이 좋아 고장이 적게 발생하며 록킹해제된 도어가 닫힐 때에 전기 소모 없이 자동적으로 도어가 록킹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자동잠금수단을 구비하는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데드볼트를 하우징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제1탄성부재; 도어의 록킹 해제시에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데드볼트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데드볼트가 걸리는 걸림위치 및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데드볼트가 하우징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데드볼트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걸림부재; 걸림부재를 걸림위치쪽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제2탄성부재; 래치볼트를 하우징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제3탄성부재;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배치되는 기준위치 및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래치볼트의 단부에 대해 몰입되게 배치되는 몰입위치 사이에서 래치볼트에 대해 이동하도록 래치볼트에 결합되며, 도어가 록킹 해제된 상태에서 닫히는 경우에 기준위치로부터 몰입위치로의 이동에 연동되어 걸림부재가 걸림위치에서 걸림해제위치로 이동하도록 걸림부재에 연결되는 이동부재; 및 이동부재를 몰입위치로부터 기준위치쪽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제4탄성부재;를 구비한다.
Figure P1020090009057
도어록 장치, 도어, 문설주, 데드볼트, 래치볼트, 록킹, 록킹해제

Description

도어록 장치 {A door lock device}
본 발명은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 장치는 일반 가정주택이나 공공건물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관의 출입문이나 은행의 금고, 특정 지역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장치에 도어록 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도어록 장치는 도어(1)에 삽입되는 케이스(10')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데드볼트(20') 및 래치볼트(40')를 구비한다. 데드볼트(20') 및 래치볼트(40')는 케이스(10')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문설주(미도시)에 형성된 데드볼트 삽입공(미도시) 및 래치볼트 삽입공(미도시)에 각각 삽입 및 이탈 가능하다. 그리고, 래치볼트(40')는 압축코일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케이스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데드볼트(20)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어(1)의 실외측에는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어록 장치에는 록킹해제된 도어가 닫힐 때에 데드볼트(20')가 자동으로 데드볼트 삽입공에 삽입되어 록킹되도록 하기 위한 자동잠금수단이 구비된다. 자동잠금수단은 문설주에 설치되는 마그네틱부와, 마그네틱부를 감지하도록 도어에 설치되는 감지부와, 감지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와, 제어부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를 도어에 대해 돌출시키도록 작동하는 모터와, 감지부와 제어부와 모터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한다.
이러한 종래의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데드볼트가 도어에 대해 몰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어를 닫으면, 감지부가 마그네틱부를 감지하게 되고,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에 전달되어 모터가 작동하게되고, 이러한 모터의 작동에 의해서 데드볼트가 도어에 대해 돌출되어 문설주에 형성된 데드볼트 수용공에 삽입됨으로써, 도어는 별도의 조작을 통하지 않고서도 자동적으로 로킹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잠금수단은 마그네틱부, 감지부, 제어부, 모터 등 의 부품들을 포함하고 있어, 전체 부품수가 많은 복잡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복잡한 구성으로 인해 부품의 관리가 복잡해질 뿐만아니라 그 부품들의 조립공정도복잡해지게 되어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자동잠금수단은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부품들로 이루어져, 전기를 공급하여 주는 배터리를 필요로 한다는 불편함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며 내구성이 좋아 고장이 적게 발생하며 록킹해제된 도어가 닫힐 때에 전기 소모 없이 자동적으로 도어가 록킹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자동잠금수단을 구비하는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문설주에 형성된 데드볼트 삽입공에 삽입 및 이탈함에 따라 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데드볼트;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제1탄성부재; 상기 도어의 록킹 해제시에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 데드볼트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데드볼트가 걸리는 걸림위치 및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데드볼트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걸림위치쪽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제2탄성부재;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문설주에 형성된 래치볼트 삽입공에 삽입 및 이탈하는 래치볼트; 상기 래치볼트를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제3탄성부재;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 서 배치되는 기준위치 및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래치볼트의 단부에 대해 몰입되게 배치되는 몰입위치 사이에서 상기 래치볼트에 대해 이동하도록 상기 래치볼트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가 록킹 해제된 상태에서 닫히는 경우에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몰입위치로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걸림위치에서 상기 걸림해제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걸림부재에 연결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몰입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쪽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제4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 요소만으로 도어가 자동적으로 록킹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종래에 전자적으로 구성된 경우에 비해서 내구성이 더 우수하고 고장이 더 적게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와 달리 전원의 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간단한 기계적 구조로 데드볼트가 자동적으로 록킹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조립이 용이하며 나아가 제조비가 절감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로서 도어가 록킹해제된 상태 및 도어가 록킹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100)는 하우징(10)과, 데드볼트(20)와, 걸림부재(30)와, 래치볼트(40)와, 이동부재(50)와, 돌출부재(60)와, 매개부재(70)를 구비한다.
하우징(10)은 도어(1)의 측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지 않도록 도어(1)에 삽 입된다. 하우징(10)은 상호 결합되는 케이스(11), 전면판(12) 및 커버(13)를 가진다. 전면판(12)에는 후술하는 데드볼트(20)가 출입하는 데드볼트 출입공(121) 및 후술하는 래치볼트(40)가 출입하는 래치볼트 출입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데드볼트(2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데드볼트(20)는 데드볼트 출입공(121)을 통하여 하우징(10)에 대해 돌출 가능하며, 데드볼트(20)는 문설주(2)에 형성된 데드볼트 삽입공(2a)에 삽입되어 도어(1)를 록킹한다. 반대로, 데드볼트(20)는 데드볼트 삽입공(2a)으로부터 이탈되어 도어(1)를 록킹해제한다. 데드볼트(20)에는 데드볼트의 직선이동방향으로 길게 장공(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공(21)에는 핀(25)이 삽입되며, 핀(25)은 케이스(11) 및 전면판(12)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장공(21)에는 제1탄성부재, 즉 압축코일스프링(26)이 삽입된다. 그리고, 압축코일스프링(26)은 데드볼트(20)를 하우징(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킨다.
한편, 데드볼트(20)에는 걸림턱(22)이 형성된다. 걸림턱(22)은 데드볼트의 하면에 대해 데드볼트(20)의 이동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걸림턱(22)은 전체적으로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걸림턱(22)의 일측면은 데드볼트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걸림면(221)이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턱(22)의 타측면은 데드볼트의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222)이 형성된다. 걸림면(221)은 경사면(222)과 연결된다.
걸림부재(30)는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걸림부재(30)의 양단부 사이, 대략 중간 지점에는 걸림부재(30)의 회전중심축이 되는 피봇축(31)이 결합된다. 피봇축(31)은 케이스(11) 및 전면판(12)에 각각 결합된다.
걸림부재(30)는 걸림위치 및 걸림해제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걸림부재(30)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걸림위치에 배치되면, 걸림부재(30)의 일단부가 걸림턱의 걸림면(221)과 접촉하여 걸리게 된다. 따라서, 데드볼트(20)에 압축코일스프링(26)의 탄성력이 작용하더라도 데드볼트(20)는 직선 구동되지 못하고 도 2에 도시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걸림부재(30)가 걸림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걸림부재(30)의 일단부가 걸림면(221)과 접촉하지 않게 되면, 즉 걸림부재(30)가 걸림해제위치에 배치되면, 걸림부재(30)와 걸림턱(22) 간의 걸림이 해제되므로, 데드볼트(20)는 압축코일스프링(26)의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데드볼트(20)가 직선 구동되면, 그 과정에서 걸림부재(30)의 일단부는 걸림턱(22)의 경사면과 접촉하면서 걸림부재(30) 및 걸림턱(22)은 서로 상대 슬라이딩된다.
또한, 걸림부재(30)는 제2탄성부재, 즉 압축코일스프링(32)에 의해 걸림위치쪽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여기서, 압축코일스프링(32)은 일단부가 걸림부재(30)에 접촉지지되고 타단부가 케이스에 형성된 제1지지부(111)에 접촉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래치볼트(40)는 하우징(10)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다. 래치볼트(40)는 래치부재(41)와, 결합부재(42)를 구비한다.
래치부재(41)는 도어(1)가 닫힌 상태에서 래치볼트 삽입공(2b)에 삽입되어 도어가 바람이나 약한 진동 등에 의해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래치부 재(41)는 래치볼트 출입공(122)에 삽입되며, 제3탄성부재, 즉 압축코일스프링(43)에 의해 하우징(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여기서, 압축코일스프링(43)은 일단부가 래치부재(41)에 접촉 지지되며 타단부가 케이스에 돌출된 제2지지부(112)에 접촉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래치부재(41)의 중앙에는 관통공(411)이 관통 형성되며, 관통공(411)의 중심축은 래치부재(41)의 이동방향과 평행하다. 그리고, 관통공(411)의 내측면은 단차지게 형성된다. 또한, 래치부재(41)의 단부는 래치부재(41)의 직선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412)이 형성된다.
결합부재(42)에는 래치부재(41)가 끼워져 결합되며, 이에 따라 결합부재(42) 및 래치부재(41)는 한 몸체로 구성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결합부재(42)의 직선 이동은 한 쌍의 가이드부(113)에 의해 가이드된다. 여기서, 한 쌍의 가이드부(113)는 케이스(11)의 내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동부재(50)는 래치볼트(4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동부재(50)는 래치볼트(40)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래치볼트(40)에 대해 상대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부재(50)는 접촉부(51)와, 샤프트부(52)와, 스토퍼부(53)를 포함한다.
접촉부(51)는 관통공(411)에 삽입되어, 관통공(411) 내부에서 직선 이동한다. 접촉부(51)의 선단은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접촉부(51)의 선단은 도어(1)가 록킹해제되어 열리 상태에서는 래치부재(41)의 경사면(412)과 매끄럽게 연결된다. 도어(1)가 닫힌 상태에서는 접촉부(51)가 돌출부재(60)와 접촉하게 되어 접촉부(51)의 선단은 래치볼트의 경사면(412)에 대해 몰입되게 배치된다.
샤프트부(52)는 접촉부(51)와 연결되며, 이동부재(50)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샤프트부(52)의 일부는 관통공(411) 내부에 배치된다.
스토퍼부(53)는 샤프트부(52)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부(53)는 이동부재(50)와 별개의 부품으로 제조되어 이동부재의 샤프트부(52)에 접착되어 있다. 스토퍼부(53)는 도어(1)가 열려 있는 경우 래치볼트(41)에 걸리며, 이에 따라 이동부재(50)가 래치볼트(40)의 돌출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래치볼트(40)가 케이스(11)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스토퍼부(53)가 래치볼트(40)에 의해 가압되므로, 이동부재(50)도 그 가압순간부터 래치볼트(40)와 함께 케이스(11)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부재(50)는 제4탄성부재, 예를 들어 압축코일스프링(54)에 의해 후술하는 몰입위치로부터 기준위치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코일스프링(54)은 관통공(411)에 삽입되며, 압축코일스프링(54)의 일단부가 이동부재의 접촉부(51)에 접촉 지지되며, 압축코일스프링(54)의 타단부는 관통공(411)의 내측면, 즉 단차진 부분에 접촉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동부재(50)는 기준위치와, 몰입위치 사이에서 위치 가능하다.
도어(1)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이동부재(50)가 돌출부재(60)와 접촉하지 않아 돌출부재(60)에 의해 가압되지 않으므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동부재(50)가 기준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도어(1)가 닫히면, 도어(1)가 닫히는 과정에서 래치볼트(40)가 문설주(2)에 의해 가압되어 하우징(10)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이동부재(50)도 래치볼트(40)와 함께 이동한다. 그리고, 도어(1)가 완전히 닫히면, 그 닫히는 순간에 하우징(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던 래치볼트(40)가 돌출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볼트 삽입공(2b)에 삽입된다. 이 때, 이동부재(50)도 일정 정도 래치볼트(40)의 돌출방향으로 직선 이동 하나.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는 돌출부재(60)와 접촉하게 된다. 즉, 이동부재(50)는 이동부재의 접촉부(51)가 돌출부재(60)와 접촉하여 래치볼트의 경사면(412)에 대해 몰입되는 몰입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몰입위치에서는 이동부재의 접촉부(51)가 래치볼트(40)의 단부에 대하여 몰입되게 배치된다.
돌출부재(60)는 래치볼트 삽입공(2b)에 결합된다. 돌출부재(60)는 래치볼트 삽입공(2b)의 내측면에 대해 돌출되게 배치된다. 돌출부재(60)의 적어도 일부분은 도어(1)가 닫힌 상태에서는 이동부재의 접촉부(51)와 접촉하며 관통공(411)의 내부에 배치된다. 돌출부재(60)의 선단 표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특히 래치볼트(40) 및 이동부재의 접촉부(51)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매개부재(70)는 이동부재(50) 및 걸림부재(30) 간의 연동구조를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매개부재(70)는 결합부재(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매개부재(70)는 대략 "L"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피봇축(7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피봇축(71)은 케이스(11) 및 전면판(12)에 각각 결합된다. 매개부재(70)는 이 동부재(50)가 기준위치로부터 몰입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 그 이동과정에서 이동부재의 샤프트부(52)에 의해 가압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매개부재(7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회전과정에서 매개부재(70)가 걸림부재의 타단부를 가압하게 되므로, 걸림부재(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걸림부재(30)의 일단부 및 데드볼트의 걸림턱(22) 간의 걸림이 해제되어 걸림부재(30)가 걸림해제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압축코일스프링(26)의 탄성력에 의해 데드볼트(20)가 하우징(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직선 구동된다.
한편,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데드볼트(20)를 작동시키기 위한 모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어(1)의 실외측에는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키패드에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도어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1)의 실내측에서는 핸들(미도시)을 회전시킴으로써 데드볼트(20) 및 래치볼트(40)를 동시에 하우징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록킹해제된 도어를 닫는 경우에 도어가 자동적으로 록킹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키패드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도어의 실내측 핸들을 회전시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를 록킹해제하여 도어(1)를 연 후에 도어를 닫게 되면,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문설주(2)에 의해 래치볼트(40) 및 이동부재(50)가 가압되 어 하우징(10)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어(1)가 완전히 닫혀서 래치볼트(40)가 래치볼트 삽입공(2b)에 삽입되는 순간에는 래치볼트(40)가 하우징(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볼트 삽입공(2b)에 삽입된다. 그리고, 동시에 이동부재(50)가 하우징(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다 돌출부재(60)와 접촉하게 되어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고,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몰입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즉, 래치볼트(40)와 이동부재(50) 간의 상대 이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부재(50)가 몰입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그 이동과정에서 이동부재(50)가 매개부재(70)를 가압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에 연동되어 걸림부재(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걸림부재(30)의 일단부와 데드볼트의 걸림턱(22) 간의 걸림이 해제된다. 따라서, 데드볼트(20)는 압축코일스프링(26)의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직선 구동되어 데드볼트 삽입공(2a)에 삽입하며, 이에 따라 도어(1)가 자동으로 록킹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1)가 자동적으로 록킹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 기계 요소로만 이루어져 있으므로, 종래에 전자적으로 구성된 경우에 비해서 내구성이 더 우수하고 고장이 더 적게 발생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종래와 달리 전원의 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간단한 기계적 구조로 데드볼트가 자동적으로 록킹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조립이 용이하며 나아가 제조비가 절감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래치볼트의 수직측면에 홈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래치볼트를 구성하는 래치부재(41a)의 수직측면(413), 즉 경사면(412)과 연결되며 래치부재의 직선이동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수직측면에 대해 오목한 홈부(41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래치볼트에 홈부(414)가 형성되면, 래치부재(41a)가 래치볼트 출입공(122)을 출입하는 과정에서 래치부재(41a)가 래치볼트 출입공(122)의 내측면에 걸려서 래치부재(41a)의 이동에 제한이 가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래치볼트(41a)에 홈부(414)가 형성되면, 래치볼트(40a)의 직선이동과정에서 래치볼트 출입공(122)의 내측면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래치볼트가 보다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걸림부재가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매개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매개부재가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데드볼트가 직선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데드볼트가 회전하거나 직선이동 및 회전이동을 함께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례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로서 도어가 록킹해제된 상태 및 도어가 록킹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도 4는 도 2의 Ⅳ-Ⅳ선의 개략적인 부분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치볼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도어 2...문설주
2a...데드볼트 삽입공 2b...래치볼트 삽입공
10...케이스 20...데드볼트
21...장공 22...걸림턱
25...핀 26,32,43,54...압축코일스프링
30...걸림부재 40...래치볼트
41...래치부재 42...결합부재
50...이동부재 51...접촉부
52...샤프트부 53...스토퍼부
60...돌출부재 70...매개부재
100...도어록 장치 221...걸림면
222...경사면 411...관통공
412...경사면 413...수직측면
414...홈부

Claims (5)

  1.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문설주에 형성된 데드볼트 삽입공에 삽입 및 이탈함에 따라 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데드볼트;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제1탄성부재;
    상기 도어의 록킹 해제시에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 데드볼트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데드볼트가 걸리는 걸림위치 및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데드볼트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걸림위치쪽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제2탄성부재;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문설주에 형성된 래치볼트 삽입공에 삽입 및 이탈하는 래치볼트;
    상기 래치볼트를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제3탄성부재;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배치되는 기준위치 및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래치볼트의 단부에 대해 몰입되게 배치되는 몰입위치 사이에서 상기 래치 볼트에 대해 이동하도록 상기 래치볼트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가 록킹 해제된 상태에서 닫히는 경우에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몰입위치로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걸림위치에서 상기 걸림해제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걸림부재에 연결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몰입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쪽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제4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에 대해 회전 또는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래치볼트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기준위치로부터 몰입위치로의 이동시에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 또는 직선 이동하며, 상기 회전 또는 직선 이동시에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걸림위치로부터 상기 걸림해제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걸림부재를 가압하는 매개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래치볼트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래치볼트에 삽입되며,
    상기 데드볼트에는 상기 걸림부재가 걸리며 상기 데드볼트의 이동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의 일측면에는 상기 걸림부재가 걸리는 걸림면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의 타측면에는 상기 데드볼트의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 삽입공의 내측면에 대해 돌출되도록 상기 래치볼트 삽입공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몰입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부재와 접촉하는 돌출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에는 상기 래치볼트의 직선이동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수직측면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측면에는 상기 수직측면에 대해 오목한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KR1020090009057A 2009-02-04 2009-02-04 도어록 장치 KR201000897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057A KR20100089700A (ko) 2009-02-04 2009-02-04 도어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057A KR20100089700A (ko) 2009-02-04 2009-02-04 도어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700A true KR20100089700A (ko) 2010-08-12

Family

ID=42755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057A KR20100089700A (ko) 2009-02-04 2009-02-04 도어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97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929B1 (ko) * 2023-04-11 2024-04-29 백운기 편리한 잠금 해제 구조를 포함하는 도어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929B1 (ko) * 2023-04-11 2024-04-29 백운기 편리한 잠금 해제 구조를 포함하는 도어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5216B1 (ko) 도어록용 모티스
JP3788968B2 (ja) 電気錠
KR100763821B1 (ko) 도어록 장치
KR20100089700A (ko) 도어록 장치
KR100533059B1 (ko) 도어록 장치
KR200352026Y1 (ko) 모티스 록킹 장치
KR200428164Y1 (ko) 구동모타를 내장한 도어록 모티스
KR100903673B1 (ko) 도어 흔들림 방지유닛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KR20090071341A (ko) 도어록 장치
KR200493472Y1 (ko)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
JPH09264084A (ja) 電気錠
KR20100091395A (ko) 도어록 장치
KR101105590B1 (ko) 도어록 장치
KR200360631Y1 (ko) 베벨기어를 이용한 전동 모티스 잠금 장치
KR102575824B1 (ko) 도어락 모티스
KR200378846Y1 (ko) 도어록의 모티스
KR101105562B1 (ko)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102599729B1 (ko) 도어락 모티스
KR101700387B1 (ko) 슬라이딩 개폐 구조의 전자식 잠금 기기
KR100550309B1 (ko) 도어록 장치
JPS5922216Y2 (ja) 扉用施錠装置
JP2004250955A (ja) 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引戸の施解錠装置
KR20110008623U (ko) 출입문 안전고리
KR100996477B1 (ko) 도어록 장치
KR100922503B1 (ko) 도어락 장치의 백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