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824B1 - 도어락 모티스 - Google Patents

도어락 모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824B1
KR102575824B1 KR1020220025428A KR20220025428A KR102575824B1 KR 102575824 B1 KR102575824 B1 KR 102575824B1 KR 1020220025428 A KR1020220025428 A KR 1020220025428A KR 20220025428 A KR20220025428 A KR 20220025428A KR 102575824 B1 KR102575824 B1 KR 102575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adbolt
protrusion
emergency key
driving gear
connect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5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7753A (ko
Inventor
이관석
Original Assignee
(주)에버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버넷 filed Critical (주)에버넷
Priority to KR1020220025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824B1/ko
Publication of KR20230127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7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8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05B47/026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the bolt moving rectilinear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05B2047/0022Planetary ge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도어락 모티스는, 데드볼트와 연결된 슬라이더에 걸리며, 회전하면서 상기 데드볼트를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시키거나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수용시키는 데드볼트 구동기어와,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의 중심홀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비상키가 끼워지는 키홈을 갖는 비상키 샤프트와, 상기 비상키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커넥션 레버 및 상기 커넥션 레버에 의해 견인되면서 래치볼트 유닛을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수용하도록 견인하는 래치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의 내측면 둘레의 일부분에 구비되는 제1 내부 돌기와, 상기 커넥션 레버의 내측면 둘레의 일부분에 구비되는 제2 내부 돌기 및 상기 비상키 샤프트의 외측면 둘레의 일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비상키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내부 돌기 및 상기 제2 내부 돌기에 걸리도록 구비되는 외부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락 모티스{Door-lock mortise}
본 발명은 도어락 모티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키로 래치볼트와 데드볼트를 동시에 해제하는 도어락 모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 모티스는 래치볼트와 데드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래치볼트는 레버 등의 회전 수단에 의하여 도어의 측면으로 돌출 및 수용되며,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데드볼트는 노브(knob) 또는 그립(grip)에 의해 잠금 및 해제되며, 상기 도어의 잠금 수단으로 기능한다.
상기 도어락 모티스는 도어의 외부에서는 키 입력 버튼을 누르거나 반도체 칩이 내장된 안전키를 이용하고, 도어의 내부에서는 버튼을 눌러 모터의 동력으로 데드볼트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락 모티스는 사용자가 도어 잠금을 잊더라도, 상기 도어가 닫힌 후 상기 모터의 동력을 통해 자동으로 데드볼트를 잠금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락 모티스는 상기 도어를 개방할 때 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의 잠금을 해제한 후, 별도로 손잡이를 조작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고정을 해제하여 도어를 개방한다. 또한, 비상키를 사용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에도 상기 비상키로 상기 데드볼트 만을 해제하므로, 손잡이를 조작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고정을 추가로 해제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것이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비상키를 이용하여 래치볼트와 데드볼트의 잠금을 동시에 해제할 수 있는 도어락 모티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는, 데드볼트와 연결된 슬라이더에 걸리며, 회전하면서 상기 데드볼트를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시키거나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수용시키는 데드볼트 구동기어와,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의 중심홀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비상키가 끼워지는 키홈을 갖는 비상키 샤프트와, 상기 비상키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커넥션 레버 및 상기 커넥션 레버에 의해 견인되면서 래치볼트 유닛을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수용하도록 견인하는 래치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의 내측면 둘레의 일부분에 구비되는 제1 내부 돌기와, 상기 커넥션 레버의 내측면 둘레의 일부분에 구비되는 제2 내부 돌기 및 상기 비상키 샤프트의 외측면 둘레의 일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비상키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내부 돌기 및 상기 제2 내부 돌기에 걸리도록 구비되는 외부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비상키의 회전에 따라 상기 비상키 샤프트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내부 돌기 및 상기 제2 내부 돌기가 상기 외부 돌기에 걸려 상기 커넥션 레버 및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가 회전하고, 상기 커넥션 레버 및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가 회전하면서 상기 래치볼트 유닛 및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래치볼트 유닛 및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수용되는 동작이 동시에 완료되도록 상기 외부 돌기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내부 돌기와 상기 제2 내부 돌기가 순차적으로 걸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모터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 유닛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커넥션 레버가 제1 각도만큼 회전하고, 상기 데드볼트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2 모터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가 제2 각도만큼 회전하고, 상기 외부 돌기가 상기 제1 내부 돌기에 걸린 후 상기 제2 내부 돌기에 걸릴 때까지 회전하는 각도는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의 차이인 제3 각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비상 키의 회전에 따라 상기 비상키 샤프트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즉시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수용되는 동작이 시작되도록 상기 외부 돌기는 상기 제1 내부 돌기와 반시계 방향으로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모터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 유닛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커넥션 레버가 제1 각도만큼 회전하고, 상기 데드볼트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2 모터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가 제2 각도만큼 회전하고, 상기 커넥션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비상키 샤프트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외부 돌기는 상기 제2 내부 돌기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제1 각도 이상으로 이격되고,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비상키 샤프트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외부 돌기는 상기 제1 내부 돌기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제2 각도 이상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래치볼트 유닛을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제1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커넥션 레버가 45도 회전하고, 상기 데드볼트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제2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가 90도 회전하고, 상기 제1 내부 돌기는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의 내측면 둘레에 180도 범위에서 구비되고, 상기 제2 내부 돌기는 상기 커넥션 레버의 내측면 둘레에 135도 범위에서 구비되고, 상기 외부 돌기는 상기 비상키 샤프트의 외측면 둘레에 90도 범위에서 구비되고, 상기 외부 돌기는 상기 제1 내부 돌기와 반시계 방향으로 접하고, 시계 방향으로 90도 이격되고, 상기 외부 돌기는 상기 제2 내부 돌기와 반시계 방향으로 45도 이격되고, 시계 방향으로 90도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는 상단 둘레의 일부에 구비되고, 상기 데드볼트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제2 모터의 제2 피니언과 맞물리는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키 샤프트에 끼워진 상기 커넥션 레버는 상기 기어의 내측면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래치 링크는 링크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래치 링크의 일단부가 상기 래치볼트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래치 링크의 타단부가 상기 커넥션 레버에 걸릴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키홈에 상기 비상키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비상키 샤프트가 회전하면서 상기 커넥션 레버와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를 같이 회전시킨다. 상기 커넥션 레버와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 유닛과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수용된다. 상기 래치볼트 유닛과 상기 데드볼트를 같이 수용할 수 있으므로, 도어를 빠르고 편리하게 개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래치볼트 유닛 및 데드볼트가 돌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래치볼트 유닛 및 데드볼트가 수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래치볼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래치 샤프트가 래치볼트 구동기어에 장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데드볼트 구동기어, 비상키 샤프트 및 커넥션 레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래치볼트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래치볼트 유닛의 동작에 따른 데드볼트 구동기어, 비상키 샤프트 및 커넥션 레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데드볼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데드볼트의 동작에 따른 데드볼트 구동기어, 비상키 샤프트 및 커넥션 레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비상키에 의한 데드볼트 구동기어, 비상키 샤프트 및 커넥션 레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래치볼트 유닛 및 데드볼트가 돌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래치볼트 유닛 및 데드볼트가 수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래치볼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래치 샤프트가 래치볼트 구동기어에 장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데드볼트 구동기어, 비상키 샤프트 및 커넥션 레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래치볼트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래치볼트 유닛의 동작에 따른 데드볼트 구동기어, 비상키 샤프트 및 커넥션 레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데드볼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데드볼트의 동작에 따른 데드볼트 구동기어, 비상키 샤프트 및 커넥션 레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비상키에 의한 데드볼트 구동기어, 비상키 샤프트 및 커넥션 레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락 모티스(100)는 케이스(110), 래치볼트 유닛(120), 제1 모터(130), 래치볼트 구동기어(140), 데드볼트(150), 제2 모터(160), 데드볼트 구동기어(170), 비상키 샤프트(180), 커넥션 레버(190), 래치 링크(200), 링크 축(210), 제1 센서(220), 제2 센서(230), 제3 센서(24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은 도어락 모티스(100)의 각 구성들을 보호하며, 도어(미도시)에 장착된다.
상기 케이스(110)의 실외측으로는 실외에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 열쇠를 삽입할 수 있는 열쇠구멍과,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 및 상기 데드볼트(150)를 해제시키기 위한 키입력부 또는 카드접촉부가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110)의 실내측으로는 실내에서 사용자가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 및 상기 데드볼트(150)를 해제시키기 위한 버튼이 장착될 수 있다.
프론트 플레이트(111)는 상기 케이스(110)의 측면에 도어 틀에 구비된 스트라이커(미도시)와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11)는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 및 상기 데드볼트(150)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개구들(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은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1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11)를 통해 상기 케이스(1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은 상기 케이스(1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스트라이커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은 상기 도어가 스스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도어를 닫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은 래치 볼트(121), 래치 샤프트(122), 걸림 핀(123), 래치 스프링(124) 및 결합 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볼트(121)는 상기 케이스(110)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스트라이커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래치볼트(121)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므로, 열린 상태의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래치볼트(121)가 상기 도어 틀과 접촉하면서 상기 스트라이커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래치볼트(121)에는 상기 래치 샤프트(122)가 삽입되기 위한 샤프트 홀(121a) 및 상기 결합 핀(125)이 삽입되기 위한 핀 홀(121b)이 구비된다. 상기 샤프트 홀(121a)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핀 홀(121b)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 홀(121a)과 상기 핀 홀(121b)은 일부가 서로 교차한다.
상기 래치 샤프트(122)는 전단부의 둘레를 따라 홈(122a)이 형성되며, 상기 전단부가 상기 래치볼트(121)의 상기 샤프트 홀(121a)에 삽입된다.
상기 결합 핀(125)은 상기 핀 홀(121b)에 삽입되어 상기 래치볼트(121)를 관통한다. 이때, 상기 결합 핀(125)은 상기 래치 샤프트(122)의 상기 홈(122a)에 끼워져 상기 래치볼트(121)와 상기 래치 샤프트(122)를 결합한다.
상기 홈(122a)이 상기 래치 샤프트(122)의 둘레 전체에 형성되므로, 상기 래치 샤프트(122)를 상기 샤프트 홀(121a)에 삽입할 때 상기 래치 샤프트(122)의 삽입 방향을 조절하지 않더라도 상기 결합 핀(125)을 상기 홈(122a)에 끼울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래치볼트(121)와 상기 래치 샤프트(122)를 쉽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래치 샤프트(122)의 후단부에는 상기 래치 링크(200)의 일단부(201)가 삽입되는 링크 홀(122b)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 핀(123)은 상기 래치 샤프트(122)의 상기 후단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걸림 핀(123)은 상기 래치볼트 구동기어(140)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 핀(123)은 상기 링크 홀(122b)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래치 스프링(124)은 상기 래치 샤프트(122)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상기 래치 스프링(124)은 상기 래치볼트(121)와 상기 래치볼트 구동기어(140)에 의해 양단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터(130)는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을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 모터(130)에는 제1 피니언(131)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모터(130)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래치볼트 구동기어(140)는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의 상기 래치 샤프트(122)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볼트 구동기어(140)는 수용홈(140a)에 상기 래치 샤프트(122)에서 상기 래치 스프링(124)과 상기 걸림 핀(123) 사이의 부위를 수용하여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을 고정한다.
상기 래치볼트 구동기어(140)는 상기 제1 모터(130)의 상기 제1 피니언(131)과 맞물리는 랙 기어(141)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모터(130)의 구동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 구동기어(140)가 상기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110)가 상기 래치볼트 구동기어(140)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래치볼트 구동기어(140)가 전진하면서 상기 래치 스프링(124)을 밀고, 상기 래치 스프링(12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이 상기 케이스(1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볼트 구동기어(140)가 후진하면서 상기 걸림 핀(123)을 당기고, 상기 걸림 핀(123)이 당겨지면서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이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모터(140)의 구동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 구동기어(140)가 왕복 직선 이동하면서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을 상기 외부로 돌출시키거나 상기 내부로 수용시킬 수 있다.
상기 데드볼트(150)는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11)를 통해 외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데드볼트(150)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데드볼트(150)는 상기 스트라이커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를 잠그거나, 상기 스트라이커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데드볼트(150)의 후단부에는 걸림홈(152)이 형성된 슬라이더(151)가 연결된다.
상기 데드볼트(150)가 상기 케이스(110)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때 상기 슬라이더(151)가 상기 케이스(110)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터(160)는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데드볼트(150)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2 모터(150)에는 제2 피니언(151)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모터(150)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170)는 상기 슬라이더(151)에 걸리며, 상기 제2 모터(160)의 상기 제2 피니언(161)과 맞물리는 기어(171)가 구비된다.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170)는 대략 원통 형태를 가지며, 상단 둘레 일부에 상기 기어(171)가 구비된다. 상기 제2 모터(160)의 구동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170)가 왕복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170)의 상기 측면에 조작 레버(172)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 레버(172)가 상기 슬라이더(151)의 상기 걸림홈(152)에 걸린다.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170)가 왕복 회전함에 따라 상기 조작 레버(172)가 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더(151)를 상기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상기 슬라이더(151)가 상기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151)에 연결된 상기 데드볼트(150)를 상기 외부로 돌출시키거나 상기 내부로 수용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 레버(172)와 상기 케이스(110) 사이에는 데드볼트 스프링(173)이 구비된다. 상기 데드볼트 스프링(173)은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조작 레버(172)가 회전을 시작하면 상기 데드볼트 스프링(173)이 상기 조작 레버(172)에 회전력을 부가해준다. 따라서, 상기 조작 레버(172)가 강하게 상기 데드볼트(150)를 후퇴시킬 수 있다.
상기 비상키 샤프트(180)는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170)에 구비된 중심홀(174)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이때, 상기 비상키 샤프트(180)의 상단부가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17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비상키 샤프트(180)는 비상키가 끼워지는 키홈(181)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넥션 레버(190)는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170)의 상부면에 놓여지며, 상기 비상키 샤프트(180)에 끼워진다. 이때, 상기 기어(171)의 내측면이 상기 커넥션 레버(190)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170), 상기 비상키 샤프트(180) 및 상기 커넥션 레버(190)는 동심축을 가지며, 상기 동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래치 링크(200)는 상기 커넥션 레버(190)와 접촉하며, 상기 커넥션 레버(190)에 의해 견인되면서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을 견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래치 링크(200)를 상기 링크 축(2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래치 링크(200)의 상기 일단부(201)가 상기 링크 홀(122b)에 삽입되므로, 상기 일단부(201)가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 링크(200)의 타단부(202)는 상기 커넥션 레버(190)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커넥션 레버(19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래치 링크(200)의 상기 타단부(202)를 잡아 당기면, 상기 래치 링크(200)가 상기 링크 축(210)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래치 링크(200)의 상기 일단부(201)가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을 잡아당겨 후진시킨다.
한편, 상기 커넥션 레버(190)가 상기 래치 링크(200)를 통해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과 연결되므로,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커넥션 레버(190)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터(130)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이 전진하면, 상기 래치 링크(2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커넥션 레버(190)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 모터(130)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이 후진하면, 상기 래치 링크(2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커넥션 레버(190)은 자중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데드볼트(150)가 상기 도어의 잠금 수단으로 작용하고, 상기 래치볼트(121)가 상기 잠금 수단이 아닌 상기 도어의 열림 방지 수단으로 작용하므로, 상기 데드볼트(150)는 상기 래치볼트(121)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모터(130)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이 이동하는 제1 거리(L1)보다 상기 제2 모터(160)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150)가 이동하는 제2 거리(L2)가 더 길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거리(L1)를 이동하기 위해 상기 커넥션 레버(190)가 회전하는 제1 각도(θ1)보다 상기 제1 거리(L1)를 이동하기 위해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170)가 회전하는 제2 각도(θ2)가 클 수 있다.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170)의 내측면 둘레의 일부분에 제1 내부 돌기(17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커넥션 레버(190)의 내측면 둘레의 일부분에 제2 내부 돌기(191)이 구비된다. 상기 커넥션 레버(190)가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170)의 상부면에 놓여지므로, 상기 제1 내부 돌기(175)와 상기 제2 내부 돌기(191)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내부 돌기(175)와 상기 제2 내부 돌기(191)는 서로 걸리지 않는다.
상기 비상키 샤프트(180)의 외측면 둘레의 일부분에 외부 돌기(182)가 구비된다. 상기 외부 돌기(182)는 상기 제1 내부 돌기(175) 및 상기 제2 내부 돌기(191)에 걸리도록 상하로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 및 상기 데드볼트(150)가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가 잠긴 상태에서 상기 비상키를 상기 키홈(181)에 삽입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비상키의 회전에 따라 상기 비상키 샤프트(18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내부 돌기(175) 및 상기 제2 내부 돌기(191)가 상기 외부 돌기(182)에 걸려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170) 및 상기 커넥션 레버(19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17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데드볼트(150)를 후진시켜 내부로 수용한다. 또한, 상기 커넥션 레버(19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래치 링크(200)를 통해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을 후진시켜 내부로 수용한다.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 및 상기 데드볼트(150)가 내부로 수용되므로, 상기 비상키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돌기(18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외부 돌기(180)는 상기 제1 내부 돌기(175)와 상기 제2 내부 돌기(191)의 순으로 순차적으로 걸릴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돌기(180)가 상기 제1 내부 돌기(175)에 걸린 후 상기 제2 내부 돌기(191)에 걸릴 때까지 회전하는 각도는 제3 각도(θ3)일 수 있다. 상기 제3 각도(θ3)는 상기 제2 각도(θ2)와 상기 제1 각도(θ1)의 차이일 수 있다.
상기 외부 돌기(180)가 상기 제1 내부 돌기(175)에 먼저 걸리므로, 상기 데드볼트(150)가 먼저 후진하고, 이후 상기 외부 돌기(180)가 상기 제2 내부 돌기(191)에 걸리면서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이 후진한다. 따라서,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 및 상기 데드볼트(150)가 내부로 수용되는 동작이 동시에 완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돌기(180)는 상기 제1 내부 돌기(175)와 반시계 방향으로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상키의 회전에 따라 상기 비상키 샤프트(18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즉시 상기 데드볼트(150)가 내부로 수용되는 동작이 시작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비상키의 회전에 따른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 및 상기 데드볼트(150)가 내부로 수용되는 동작을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돌기(180)가 상기 제1 내부 돌기(175) 및 상기 제2 내부 돌기(191)와 동시에 걸려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 거리보다 상기 제1 거리가 짧아 상기 데드볼트(150)보다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이 내부로 먼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내부로 먼저 수용된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이 더 이상 후진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외부 돌기(180)가 더 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므로 상기 데드볼트(150)가 내부로 완전히 수용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터(130)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커넥션 레버(190)가 회전할 때, 상기 커넥션 레버(190)에 의해 상기 비상키 샤프트(180)가 회전하거나, 상기 제2 모터(160)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170)가 회전할 때,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170)에 의해 상기 비상키 샤프트(180)가 회전하면, 상기 키홈(181)이 일정한 방향을 유지할 수 없다. 상기 케이스(110)에 구비된 열쇠구멍과 상기 키홈(181)이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므로, 상기 열쇠구멍을 통해 상기 비상키를 상기 키홈(180)에 삽입할 수 없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모터(130)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커넥션 레버(19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커넥션 레버(190)에 의해 상기 비상키 샤프트(18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외부 돌기(182)는 상기 제2 내부 돌기(191)와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제1 각도(θ1) 이상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션 레버(190)가 상기 제1 모터(130)의 구동력에 의해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제1 각도(θ1)만큼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2 내부 돌기(191)가 상기 외부 돌기(182)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모터(160)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17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170)에 의해 상기 비상키 샤프트(18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외부 돌기(182)는 상기 제1 내부 돌기(175)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제2 각도(θ2) 이상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170)가 상기 제2 모터(160)의 구동력에 의해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제2 각도(θ2)만큼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1 내부 돌기(175)가 상기 외부 돌기(182)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내부 돌기(175), 상기 제2 내부 돌기(191) 및 상기 외부 돌기(182)의 둘레 방향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170)나 상기 커넥션 레버(19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비상키 샤프트(18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부 돌기(175), 상기 제2 내부 돌기(191) 및 상기 외부 돌기(182)의 둘레 방향 길이는 상기 외부 돌기(182)가 상기 제2 내부 돌기(191)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제1 각도(θ1) 이상으로 이격되고, 상기 외부 돌기(182)가 상기 제1 내부 돌기(175)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제2 각도(θ2) 이상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부 돌기(175), 상기 제2 내부 돌기(191) 및 상기 외부 돌기(182)의 둘레 방향 길이가 짧을수록 상기 외부 돌기(182)와 상기 제1 내부 돌기(175) 사이의 각도 또는 상기 외부 돌기(182)와 상기 제2 내부 돌기(191) 사이의 각도가 커질 수 있으므로,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170)나 상기 커넥션 레버(190)에 의해 상기 비상키 샤프트(180)가 회전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각도(θ1)는 45도이고, 상기 제2 각도(θ2)는 90도이고, 상기 제3 각도(θ3)는 45도일 수 있다.
상기 제1 내부 돌기(175)는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170)의 내측면 둘레에 180도 범위에서 구비되고, 상기 제2 내부 돌기(191)는 상기 커넥션 레버(190)의 내측면 둘레에 135도 범위에서 구비되고, 상기 외부 돌기(182)는 상기 비상키 샤프트(180)의 외측면 둘레에 90도 범위에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돌기(182)는 상기 제1 내부 돌기(175)와 반시계 방향으로 접하면서 시계 방향으로 90도 이격되고, 상기 외부 돌기(182)는 상기 제2 내부 돌기(191)와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제3 각도(θ3)인 45도 이격되면서 시계 방향으로 90도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내부 돌기(175), 상기 제2 내부 돌기(191) 및 상기 외부 돌기(182)의 둘레 방향 길이 및 이격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 모터(130)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커넥션 레버(190)가 회전하거나, 상기 제2 모터(160)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 구동 기어(170)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비상키 샤프트(180)가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비상키 샤프트(180)가 정지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키홈(181)이 일정한 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10)에 구비된 열쇠구멍과 상기 키홈(181)이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키를 상기 키홈(181)에 삽입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데드볼트(150)와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을 후진시켜 내부로 수용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들(220)은 상기 케이스(110)에서 상기 래치볼트 구동기어(140)의 이동 경로 상에 한 쌍이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센서들(220)은 상기 래치볼트 구동기어(14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돌출부(142)를 감지한다. 상기 제1 센서들(220)은 상기 제1 돌출부(142)의 측면이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들(220)의 예로는 광센서, 근접 센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들(220)이 상기 제1 돌출부(142)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래치볼트 구동기어(140)에 고정된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센서들(220)을 이용하여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가 돌출 상태인지 수용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아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이 완전히 전진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1 센서들(220)이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의 잠김 불량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들(230)은 상기 케이스(110)에서 상기 데드볼트(150)의 이동 경로 상에 한 쌍이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 센서들(230)은 상기 슬라이더(15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 돌출부(153)를 감지한다. 상기 제2 센서들(230)은 상기 제2 돌출부(153)의 측면이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들(230)의 예로는 광센서, 근접 센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들(230)이 상기 제2 돌출부(153)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151)에 연결된 상기 데드볼트(15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센서들(230)을 이용하여 상기 데드볼트(150)가 돌출 상태인지 수용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아 상기 데드볼트(150)가 완전히 전진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2 센서들(230)이 상기 데드볼트(150)의 잠김 불량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3 센서(240)는 상기 케이스(110)에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11)와 인접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한다. 상기 제3 센서(240)의 예로는 자석 센서들 들 수 있으며, 상기 도어 틀에 구비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제3 센서(240)가 상기 도어 틀의 자석의 자력에 의해 내부 스위치가 온(0N) 상태가 되면서 상기 도어의 닫힘을 감지한다. 상기 도어가 열리면 상기 제3 센서(240)가 상기 도어 틀의 자석과 멀어지면서 상기 내부 스위치가 오프(OFF) 상태가 되면서 상기 도어의 열림을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키입력부 또는 상기 카드접촉부나 상기 버튼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의 예로는 인쇄회로기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 또는 상기 카드접촉부나 상기 버튼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모터(130) 및 상기 제2 모터(160)의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 및 상기 데드볼트(150)를 상기 내부로 수용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하거나,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 및 상기 데드볼트(150)를 상기 외부로 돌출시켜 상기 도어를 잠글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터(130) 및 상기 제2 모터(160)의 동작 제어를 통해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 및 상기 데드볼트(150)의 돌출 동작 및 수용 동작이 동시에 완료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터(130) 및 상기 제2 모터(160)의 동작 제어를 통해 이동 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상기 데드볼트(150)를 먼저 이동한 후 이동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터(130) 및 상기 제2 모터(160)의 동작 제어를 통해 이동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의 이동 속도를 이동 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상기 데드볼트(150)의 이동 속도보다 느리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 및 상기 데드볼트(150)의 수용 동작이 동시에 완료되므로,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이 먼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데드볼트(150)가 수용되는 도중에 상기 도어가 열리다가 상기 데드볼트(150)가 상기 도어 틀에 걸려 상기 도어의 개방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들(220)에서 확인되는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의 위치, 상기 제2 센서들(230)에서 확인되는 상기 데드볼트(150)의 위치 및 상기 제3 센서(240)에서 감지되는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터(130) 및 상기 제2 모터(2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들(220)이나 상기 제2 센서들(230)이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이나 상기 데드볼트(150)가 수용 상태로 감지하는 경우, 상기 도어의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 및 상기 데드볼트(150)를 이동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터(130) 및 상기 제2 모터(260)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센서들(220)이나 상기 제2 센서들(230)이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이나 상기 데드볼트(150)가 돌출 상태로 감지하는 경우, 상기 도어의 잠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 및 상기 데드볼트(150)를 이동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터(130) 및 상기 제2 모터(260)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상기 제3 센서(240)가 상기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 및 상기 데드볼트(150)를 수용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 및 상기 데드볼트(150)가 상기 도어 틀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센서(240)가 상기 도어가 닫힌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래치볼트 유닛(120) 및 상기 데드볼트(150)가 돌출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를 안정적으로 잠글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도어락 모티스 110 : 케이스
111 : 프론트 플레이트 120 : 래치볼트 유닛
121 : 래치볼트 122 : 래치 샤프트
123 : 걸림 핀 124 : 래치 스프링
125 : 결합 핀 130 : 제1 모터
131 : 제1 피니언 140 : 래치볼트 구동기어
141 : 랙 기어 142 : 제1 돌출부
150 : 데드볼트 151 : 슬라이더
152 : 걸림홈 153 : 제2 돌출부
160 : 제2 모터 161 : 제2 피니언
170 : 데드볼트 구동기어 171 : 기어
172 : 조작 레버 173 : 데드볼트 스프링
174 : 중심홀 175 : 제1 내부 돌기
180 : 비상키 샤프트 181 : 키홈
182 : 외부 돌기 190 : 커넥션 레버
191 : 제2 내부 돌기 200 : 래치 링크
201 : 일단부 202 : 타단부
210 : 링크 축 220 : 제1 센서
230 : 제2 센서 240 : 제3 센서

Claims (9)

  1. 데드볼트와 연결된 슬라이더에 걸리며, 회전하면서 상기 데드볼트를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시키거나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수용시키는 데드볼트 구동기어;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의 중심홀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비상키가 끼워지는 키홈을 갖는 비상키 샤프트;
    상기 비상키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커넥션 레버; 및
    상기 커넥션 레버에 의해 견인되면서 래치볼트 유닛을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수용하도록 견인하는 래치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의 내측면 둘레의 일부분에 구비되는 제1 내부 돌기;
    상기 커넥션 레버의 내측면 둘레의 일부분에 구비되는 제2 내부 돌기; 및
    상기 비상키 샤프트의 외측면 둘레의 일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비상키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내부 돌기 및 상기 제2 내부 돌기에 걸리도록 구비되는 외부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모티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키의 회전에 따라 상기 비상키 샤프트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내부 돌기 및 상기 제2 내부 돌기가 상기 외부 돌기에 걸려 상기 커넥션 레버 및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가 회전하고,
    상기 커넥션 레버 및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가 회전하면서 상기 래치볼트 유닛 및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모티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 유닛 및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수용되는 동작이 동시에 완료되도록 상기 외부 돌기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내부 돌기와 상기 제2 내부 돌기가 순차적으로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모티스.
  4. 제3항에 있어서,
    제1 모터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 유닛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커넥션 레버가 제1 각도만큼 회전하고,
    상기 데드볼트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2 모터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가 제2 각도만큼 회전하고,
    상기 외부 돌기가 상기 제1 내부 돌기에 걸린 후 상기 제2 내부 돌기에 걸릴 때까지 회전하는 각도는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의 차이인 제3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모티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키의 회전에 따라 상기 비상키 샤프트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즉시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수용되는 동작이 시작되도록 상기 외부 돌기는 상기 제1 내부 돌기와 반시계 방향으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모티스.
  6. 제2항에 있어서,
    제1 모터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 유닛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커넥션 레버가 제1 각도만큼 회전하고,
    상기 데드볼트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2 모터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가 제2 각도만큼 회전하고,
    상기 커넥션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비상키 샤프트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외부 돌기는 상기 제2 내부 돌기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제1 각도 이상으로 이격되고,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비상키 샤프트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외부 돌기는 상기 제1 내부 돌기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제2 각도 이상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모티스.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 유닛을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제1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커넥션 레버가 45도 회전하고,
    상기 데드볼트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제2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가 90도 회전하고,
    상기 제1 내부 돌기는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의 내측면 둘레에 180도 범위에서 구비되고,
    상기 제2 내부 돌기는 상기 커넥션 레버의 내측면 둘레에 135도 범위에서 구비되고,
    상기 외부 돌기는 상기 비상키 샤프트의 외측면 둘레에 90도 범위에서 구비되고,
    상기 외부 돌기는 상기 제1 내부 돌기와 반시계 방향으로 접하고, 시계 방향으로 90도 이격되고,
    상기 외부 돌기는 상기 제2 내부 돌기와 반시계 방향으로 45도 이격되고, 시계 방향으로 90도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모티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 구동기어는 상단 둘레의 일부에 구비되고, 상기 데드볼트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제2 모터의 제2 피니언과 맞물리는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키 샤프트에 끼워진 상기 커넥션 레버는 상기 기어의 내측면에 의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모티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링크는 링크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래치 링크의 일단부가 상기 래치볼트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래치 링크의 타단부가 상기 커넥션 레버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모티스.
KR1020220025428A 2022-02-25 2022-02-25 도어락 모티스 KR102575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428A KR102575824B1 (ko) 2022-02-25 2022-02-25 도어락 모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428A KR102575824B1 (ko) 2022-02-25 2022-02-25 도어락 모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753A KR20230127753A (ko) 2023-09-01
KR102575824B1 true KR102575824B1 (ko) 2023-09-11

Family

ID=87975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428A KR102575824B1 (ko) 2022-02-25 2022-02-25 도어락 모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82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346B1 (ko) 2012-02-17 2012-09-20 주식회사 엔터로직 디지털도어락의 모티스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346B1 (ko) 2012-02-17 2012-09-20 주식회사 엔터로직 디지털도어락의 모티스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753A (ko)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838B1 (ko) 디지털 도어락
US6851287B1 (en) Lock having a quick unlocking function
KR101853053B1 (ko) 데드볼트용 무부하 제어수단을 구비한 모티스
JP2004143754A (ja) 電気錠
JP3788968B2 (ja) 電気錠
KR101142425B1 (ko) 도어록 해정장치
KR200452304Y1 (ko) 고정후크가 마련된 도어록 장치
KR102575824B1 (ko) 도어락 모티스
US20160194903A1 (en) Sliding door locking device
KR102599729B1 (ko) 도어락 모티스
KR200352026Y1 (ko) 모티스 록킹 장치
CN108729766B (zh) 具有逃生功能的插锁手柄轴连接结构
KR101383289B1 (ko)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KR200212695Y1 (ko) 전자 도어락
KR200393226Y1 (ko) 모티스 록 장치
KR200378846Y1 (ko) 도어록의 모티스
KR20200099948A (ko) 래치볼트 자동 인입형 도어락 모티스
KR20200111596A (ko) 래치볼트 자동 해정식 도어락 모티스
WO2015126163A1 (ko) 데드볼트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락 모티스
KR20230127751A (ko) 래치볼트 유닛 및 이를 갖는 도어락 모티스
KR102547431B1 (ko) 모티스 안티 패닉 장치
KR100763820B1 (ko) 디지털 도어록용 모티스록
CN111577016B (zh) 碰簧销自动解锁型门锁插芯
US20230417081A1 (en) Electronic door lock with up-pushed locking
US20100251788A1 (en) Safety door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