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7431B1 - 모티스 안티 패닉 장치 - Google Patents

모티스 안티 패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431B1
KR102547431B1 KR1020210142258A KR20210142258A KR102547431B1 KR 102547431 B1 KR102547431 B1 KR 102547431B1 KR 1020210142258 A KR1020210142258 A KR 1020210142258A KR 20210142258 A KR20210142258 A KR 20210142258A KR 102547431 B1 KR102547431 B1 KR 102547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bolt
dead bolt
contact
latch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8563A (ko
Inventor
김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오나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오나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오나크
Priority to KR1020210142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431B1/ko
Publication of KR20230058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8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05B63/0069Override systems, e.g. allowing opening from inside without the key, even when locked from out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모티스 안티 패닉 장치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한 쌍의 플레이트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에 체결되면서 전방에 위치하는 페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락 하우징 내부 일측에 평기어가 형성된 파워모듈을 포함하는 도어락 하우징; 일측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데드볼트연결구와 스톱감지립이 소정 지점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일 지점에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레버패닉접촉구로 이루어진 레버데드볼트; 데드볼트립과 상기 레버데드볼트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레버데드볼트의 회전에 의해 전후진될 수 있는 레버데드볼트연결구로 이루어진 데드볼트; 상기 레버데드볼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소정 깊이와 소정 길이의 회전홈에 끼어질 수 있는 기어샤프트돌기와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레버링크접촉구가 형성된 제1기어샤프트; 상기 레버데드볼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소정 높이와 소정 길이의 회전돌기가 무부하상태로 회전될 수 있는 무부하회전홈이 원형의 내주면에 소정의 원주길이만큼 형성되고 상기 회전돌기와의 면접촉이되어 상기 레버데드볼트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무부하회전홈 끝단에 회전단턱이 형성된 제2기어샤프트; 상기 도어락 하우징 내부 일지점에 위치하고, 후방에 가이드래치볼트가 위치하며, 스토퍼래치볼트에 의해 해정이 되는 래치볼트; 상기 래치볼트의 후방에 위치하고,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연장부에는 제1핀홀과 제1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부에도 상기 제1핀홀과 제1나사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핀홀과 제2나사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핀홀과 제2핀홀을 매개로 체결되고 그 중심에 핀베어링이 삽입된 니들베어링과, 상기 제1나사홀과 제2나사홀을 매개로 체결되고 그 외주면에 스프링스토퍼래치가 감겨진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장부에는 일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래치볼트부; 상기 페이스플레이트를 관통한 채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엣지볼트부; 상기 스토퍼래치볼트부와 상기 엣지볼트부 사이에는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양 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1돌기와 제2돌기가 형성된 스토퍼래치볼트서브; 및 상기 엣지볼트부와 상기 스토퍼래치볼트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일측방향으로 상기 스토퍼래치볼트부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제1레버돌기와 타측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2레버돌기로 이루어진 레버핸들; 및 상기 제2레버돌기와의 접촉을 통해 회전하고, 그 회전력에 의해 상기 레버패닉접촉구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레버데드볼트를 회전시킬 수 있는 레버패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티스 안티 패닉 장치{Anti Panic Apparatus for Mortise}
본 발명은 모티스 안티 패닉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운영되는 모티스의 경우 실내에서 핸들을 회전시켜 문을 열 경우 데드볼트와 레치볼트가 동시에 열림 방향으로 이송되어 최종적으로 문을 열 수 있다.
이때, 문과 문틀의 간격에 따라서 문을 잡아주는 역할인 래치볼트가 문을 잡아주는 위치를 벗어날 때 데드볼트가 문틀에 부딪히면서 측면 부하를 일으키게 된다.
이 경우 데드볼트에 손상을 줌으로써 불량의 원인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모티스(Mortise)의 안티패닉(Anti-Panic) 구조에 의해 데드볼트(Dead bolt)와 래치볼트(Latch bolt)를 열림 방향으로 이송 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KR 10-0907642(2009.07.07 등록)
본 발명은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동시에 열림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이 아니고, 데드볼트가 완전히 열림 방향으로 이송이 완료 된 후 래치볼트가 시간차를 두고 열림 방향으로 이송이 완료되는 것으로, 문과 문틀의 간격에 따라 데드볼트가 열림 방향으로 이송 중 문틀에 부딪히며 생기는 품질 불량이 없어지는 효과가 구현되는 모티스 안티 패닉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모티스 안티 패닉 장치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한 쌍의 플레이트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에 체결되면서 전방에 위치하는 페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락 하우징 내부 일측에 평기어가 형성된 파워모듈을 포함하는 도어락 하우징; 일측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데드볼트연결구와 스톱감지립이 소정 지점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일 지점에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레버패닉접촉구로 이루어진 레버데드볼트; 데드볼트립과 상기 레버데드볼트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레버데드볼트의 회전에 의해 전후진될 수 있는 레버데드볼트연결구로 이루어진 데드볼트; 상기 레버데드볼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소정 깊이와 소정 길이의 회전홈에 끼어질 수 있는 기어샤프트돌기와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레버링크접촉구가 형성된 제1기어샤프트; 상기 레버데드볼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소정 높이와 소정 길이의 회전돌기가 무부하상태로 회전될 수 있는 무부하회전홈이 원형의 내주면에 소정의 원주길이만큼 형성되고 상기 회전돌기와의 면접촉이되어 상기 레버데드볼트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무부하회전홈 끝단에 회전단턱이 형성된 제2기어샤프트; 상기 도어락 하우징 내부 일지점에 위치하고, 후방에 가이드래치볼트가 위치하며, 스토퍼래치볼트에 의해 해정이 되는 래치볼트; 상기 래치볼트의 후방에 위치하고,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연장부에는 제1핀홀과 제1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부에도 상기 제1핀홀과 제1나사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핀홀과 제2나사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핀홀과 제2핀홀을 매개로 체결되고 그 중심에 핀베어링이 삽입된 니들베어링과, 상기 제1나사홀과 제2나사홀을 매개로 체결되고 그 외주면에 스프링스토퍼래치가 감겨진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장부에는 일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래치볼트부; 상기 페이스플레이트를 관통한 채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엣지볼트부; 상기 스토퍼래치볼트부와 상기 엣지볼트부 사이에는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양 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1돌기와 제2돌기가 형성된 스토퍼래치볼트서브; 및 상기 엣지볼트부와 상기 스토퍼래치볼트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일측방향으로 상기 스토퍼래치볼트부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제1레버돌기와 타측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2레버돌기로 이루어진 레버핸들; 및 상기 제2레버돌기와의 접촉을 통해 회전하고, 그 회전력에 의해 상기 레버패닉접촉구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레버데드볼트를 회전시킬 수 있는 레버패닉을 포함한다.
기 설명한 바와 같이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동시에 열림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이 아니고, 데드볼트가 완전히 열림 방향으로 이송이 완료 된 후 래치볼트가 시간차를 두고 열림 방향으로 이송이 완료되는 것으로, 문과 문틀의 간격에 따라 데드볼트가 열림 방향으로 이송 중 문틀에 부딪히며 생기는 품질 불량이 없어지는 효과가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설치되는 실외측 기준 좌수형과 우수형 타입의 설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 사시도이며,
도 4는 평면 상태의 내부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레버패닉과 레버핸들 및 레버데드볼트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레버핸들과 스토퍼래치볼트부와 가이드래치볼트와의 접촉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레버핸들의 사시도,
도 10은 스토퍼래치볼트부에 대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레버패닉의 사시도,
도 12는 레버데드볼트의 사시도,
도 13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엣지볼트부에 대한 사시도,
도 21은 스토퍼래치볼트서브에 대한 사시도,
도 22는 레버데드볼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소정 깊이와 소정 길이의 회전홈에 끼어질 수 있는 기어샤프트돌기와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레버링크접촉구가 형성된 제1기어샤프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과 도 24는 무부하회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인 모티스 안티 패닉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모티스(Mortise)의 안티패닉(Anti-Panic) 구조에 의해 데드볼트(Dead bolt)와 래치볼트(Latch bolt)를 열림 방향으로 이송 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때 데드볼트(411)와 래치볼트(300)가 동시에 열림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이 아니고, 데드볼트(411)가 완전히 열림 방향으로 이송이 완료 된 후 래치볼트(300)가 시간차를 두고 열림 방향으로 이송이 완료되는 것으로, 문과 문틀의 간격에 따라 데드볼트(411)가 열림 방향으로 이송 중 문틀에 부딪히며 생기는 품질 불량이 없어지는 효과가 구현된다.
한편,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설치되는 실외측 기준 좌수형과 우수형 타입의 설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 사시도이며, 도 4는 평면 상태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한 쌍의 플레이트(2)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2)에 체결되면서 전방에 위치하는 페이스플레이트(3)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락 하우징(100) 내부 일측에 평기어(31)가 형성된 파워모듈(30)을 포함하는 도어락 하우징(100)이 개시된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데드볼트연결구(610)와 스톱감지립(620)이 소정 지점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일 지점에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레버패닉접촉구(621)로 이루어진 레버데드볼트(600)가 개시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드볼트립(410)과 상기 레버데드볼트(600)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레버데드볼트(600)의 회전에 의해 전후진될 수 있는 레버데드볼트연결구(420)로 이루어진 데드볼트(411)가 개시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데드볼트(6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소정 깊이와 소정 길이의 회전홈(630)에 끼어질 수 있는 기어샤프트돌기(210)와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레버링크접촉구(220)가 형성된 제1기어샤프트(200)가 개시된다.
또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데드볼트(6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소정 높이와 소정 길이의 회전돌기가 (640) 무부하상태로 회전될 수 있는 무부하회전홈(710)이 원형의 내주면에 소정의 원주길이만큼 형성되고 회전돌기(640)와의 면접촉이되어 레버데드볼트(6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무부하회전홈(710) 끝단에 회전단턱(720)이 형성된 제2기어샤프트(700)가 개시된다.
상기 도어락 하우징(100) 내부 일지점에 위치하고, 후방에 가이드래치볼트(330)가 위치하며, 스토퍼래치볼트부(500)에 의해 해정이 되는 래치볼트(300)가 개시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볼트(300)의 후방에 위치하고,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1연장부(510)와 제2연장부(520)를 포함하되, 제1연장부에는 제1핀홀(511)과 제1나사홀(512)이 형성되고, 제2연장부(520)에도 제1핀홀과 제1나사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핀홀(521)과 제2나사홀(522)이 형성되며, 제1핀홀과 제2핀홀을 매개로 체결되고 그 중심에 핀베어링이 삽입된 니들베어링(540)과, 제1나사홀과 제2나사홀을 매개로 체결되고 그 외주면에 스프링스토퍼래치(550)가 감겨진 나사(560)를 포함하고, 제1연장부에는 일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스토퍼(57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래치볼트부(500)가 개시된다.
상기 페이스플레이트(3)를 관통한 채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엣지볼트부(600)가 도 20에 개시된다.
스토퍼래치볼트부(500)와 엣지볼트부(600) 사이에는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양 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1돌기(710)와 제2돌기(720)가 형성된 스토퍼래치볼트서브(711)가 도 21에 개시된다.
엣지볼트부(600)와 스토퍼래치볼트부(500)의 사이에 위치하고, 일측방향으로 스토퍼래치볼트부(500)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제1레버돌기(22)와 타측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2레버돌기(23)로 이루어진 레버핸들(21)이 개시된다.
제2레버돌기(23)와의 접촉을 통해 회전하고, 그 회전력에 의해 레버패닉접촉구(621)와의 접촉을 통해 레버데드볼트(600)를 회전시킬 수 있는 레버패닉을 포함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레버패닉과 레버핸들(21) 및 레버데드볼트(600)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레버패닉은, 한 쌍의 제2레버돌기(23) 중 전방에 위치한 제2레버돌기(23)가 안착되어 위치할 수 있는 레버패닉안착홈(12)이 형성되고, 스토퍼래치볼트부(500)와의 접촉을 통해 스토퍼래치볼트부(5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소정길이로 연장된 연장접촉구(13)가 형성되되, 한 쌍의 제2레버돌기(23) 중 후방에 위치한 제2레버돌기(23)와의 접촉을 통해 레버패닉이 회전할 수 있는 레버핸들접촉구(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레버핸들(21)과 스토퍼래치볼트부(500)와 가이드래치볼트(330)와의 접촉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핸들(21)이 회전하면 이에 접촉하는 스토퍼래치볼트부(500)가 회전하고, 스토퍼래치볼트부(500)에 형성된 니들베어링과 가이드래치볼트(330)와의 접촉에 의해 래치볼트(300)의 락킹과 언락킹이 이루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레버핸들(21)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스토퍼래치볼트부(500)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레버핸들(21)의 상측에는 한 쌍의 제1레버돌기(22)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에도 한 쌍의 제2레버돌기(23)가 형성되어 있다.
제1레버돌기(22)와 스토퍼래치볼트부(500)가 서로 접촉상태가 될 수 있고, 제2레버돌기(23)와 레버패닉과의 접촉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레버패닉의 사시도이고, 도 12은 레버데드볼트(600)의 사시도이다.
레버패닉은, 한 쌍의 제2레버돌기(23) 중 전방에 위치한 제2레버돌기(23)가 안착되어 위치할 수 있는 레버패닉안착홈(12)이 형성되고, 스토퍼래치볼트부(500)와의 접촉을 통해 스토퍼래치볼트부(5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소정길이로 연장된 연장접촉구(13)가 형성되되, 한 쌍의 제2레버돌기(23) 중 후방에 위치한 제2레버돌기(23)와의 접촉을 통해 레버패닉이 회전할 수 있는 레버핸들접촉구(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레버데드볼트(600)에 대해서는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패닉접촉구(621)가 형성되어 있다.
해당 레버패닉접촉구(621)와 연장접촉구(13)와의 끝단과의 접촉에 의해 레버데드볼트(600)가 회전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볼트(300)의 후방에 위치하고,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1연장부(510)와 제2연장부(520)를 포함하되, 제1연장부(510)에는 제1핀홀(511)과 제1나사홀(512)이 형성되고, 제2연장부(520)에도 제1핀홀(511)과 제1나사홀(5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핀홀(521)과 제2나사홀(522)이 형성된다.
제1핀홀(511)과 제2핀홀(521)을 매개로 체결되고 그 중심에 핀베어링(530)이 삽입된 니들베어링(540)과, 제1나사홀(512)과 제2나사홀(522)을 매개로 체결되고 그 외주면에 스프링스토퍼래치(550)가 감겨진 나사(560)를 포함하고, 제1연장부(510)에는 일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스토퍼(57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래치볼트부(500)가 개시된다.
스토퍼래치볼트부(500)는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1연장부(510)와 제2연장부(520)를 포함한다.
제1연장부(510)와 제2연장부(520)는 수직으로 형성된 제3연장부(515)에 의해 연결되고, 각각 제1,2핀홀과 제1,2나사홀이 형성되어 있다.
제1핀홀(511)과 제2핀홀(521)을 매개로 체결되고 그 중심에 핀베어링(530)이 삽입된 니들베어링(540)이 형성되는데, 해당 니들베어링(540)은 가이드래치볼트(330)의 후방에서 접촉 상태가 선택적으로 되어 래치볼트(300)의 락킹 또는 언락킹 상태가 되도록 한다.
니들베어링(540) 자체는 핀베어링(530)을 통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체결된다.
한편, 제1나사홀(512)과 제2나사홀(522)을 매개로 체결되고 그 외주면에 스프링스토퍼래치(550)가 감겨진 나사(560)를 포함한다.
도 13돠 도 14는 데드볼트와 래치볼트의 해정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볼트가 잠금된 상태에서 실내측의 핸들에 의해 해정이 진행되어 10o (제1각도)까지 레버핸들(21)이 회전이 되면, 21mm 돌출되어 있던 데드볼트는 언락킹 방향으로 이송이 되면서 이 때 돌출량은 8.9mm (제1거리)가 된다.
이 경우 여전히 또한 래치볼트(300)의 락킹 상태는 유지가 된다.
즉, 스토퍼래치볼트부(500)의 니들베어링 사분점이 가이드래치볼트(330)의 접촉면보다 위쪽에 여전히 위치하는바 그 락킹상태가 유지가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레버핸들(21)이 제1각도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제2레버돌기(23) 중 후방에 위치한 제2레버돌기(23)가 레버핸들접촉구(14)와의 접촉에 의해 레버핸들(21)이 소정 각도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레버핸들(21)의 연장접촉구(13)와 제1연장부와의 접촉에 의해 스토퍼래치볼트부(500)가 소정 각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되, 니들베어링과 가이드래치볼트(330)와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어 래치볼트(300)의 락킹 상태가 이루어진다.
레버패닉접촉구(621)와 연장접촉구(13)의 끝단과의 접촉에 의해 레버데드볼트(600)는 소정 각도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되, 그 회전에 의해 데드볼트가 후방으로 제1거리만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15와 도 16 역시 데드볼트와 래치볼트의 해정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핸들(21)은 언락방향으로 계속 회전 되어 16°(제2각도)까지 회전되면 데드볼트의 돌출량은 약 3mm(제2거리)정도 남게 되고, 이때 스토퍼래치볼트부(500)는 락킹상태가 풀릴 수 있는 사분점 위치에 근접하게 된다.
이 시점에서의 레버데드볼트(600)의 회전각도는 약 750(제4각도)로써 레버데드볼트(600)가 50o이상 회전되면 스프링데드볼트의 인계점을 넘어가서 실질적으로 데드볼트는 언락 방향으로 완전히 이송이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레버핸들(21)이 제1각도를 넘어 제2각도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니들베어링과 가이드래치볼트(330)와의 접촉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래치볼트(300)의 락킹 상태가 이루어지고, 레버패닉접촉구(621)와 연장접촉구(13)의 끝단과의 접촉에 의해 레버데드볼트(600)는 제4각도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되, 그 회전에 의해 데드볼트가 후방으로 제2거리만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17 내지 도 19는 래치볼트의 언락킹이 이후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핸들(21)은 언락 방향으로 계속 회전 되어 20°(제3각도)까지 회전되면 데드볼트는 완전히 언락 방향으로 이송이 완료되고, 이때 스토퍼래티볼트부는 락킹 상태가 해정이 되어 언제라도 래치볼트(300)가 뒤로 후퇴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이 후 300 회전이 되어도 레버핸들(21)이 250이상 회전 된 시점부터는 레버패닉과 슬립이 일어나면서 레버패닉은 회전이 되지 않고 멈춰있게 된다.
즉,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래치볼트부(500)의 니들베어링이 가이드래치볼트(330)의 일지점(사분점)보다 위쪽에 위치하여 래치볼트(300)의 풀림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핸들(21)이 250이상 회전된 시점 부터는 슬립 구간에 위치하여 레버패닉을 더 이상 회전 시키지 않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레버핸들(21)이 제2각도를 넘어 제3각도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데드볼트는 후방으로 제2거리를 넘어 더 이동하여 데드볼트의 언락킹 상태가 이루어진 후, 니들베어링과 가이드래치볼트(330)와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어 래치볼트(300)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언락킹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필수적인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도어오픈감지센서(110)와 도어클로즈감지센서(120) 및 스톱모터감지센서(130)가 위치한 도어락 하우징(100)(100)이 개시된다.
해당 하우징(100)은 일종의 도어락 장치의 본체이며, 그 내부에 이하 설명할 구성들이 배치된다.
도어오픈감지센서(110)와 도어클로즈감지센서(120)는 데드볼트립(410)(410)에 의해 현재 데드볼트(400)의 오픈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도어오픈감지센서(110)와 도어클로즈감지센서(120)에 의해 감지되는 데드볼트립(410)(410)과 레버데드볼트(600)의 일단과 연결되어 레버데드볼트(600)의 회전에 의해 전후진될 수 있는 레버데드볼트연결구(420)로 이루어진 데드볼트(400)가 개시된다.
데드볼트립(410)(410)의 전후진에 따라 데드볼트(400)의 해정 여부를 도어오픈감지센서(110)과 도어클로즈감지센서(120)가 센싱한다.
레버데드볼트(600)에서 일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된 데드볼트연결구(610)와 데드볼트립(410)(410)의 끝단에서 절곡진 후 소정길이로 형성된 레버데드볼트연결구(420)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데드볼트연결구(610)의 회전에 따라 데드볼트(400)가 전후진 되어 그 해정 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사용자의 도어 오픈 인증 신호, 도어오픈감지센서(110)와 도어클로즈감지센서(120)에 의해 센싱된 신호 및 스톱모터감지센서(130)에 의해 센싱된 신호를 감지하고 그 일측에 평기어(31)가 형성된 파워모듈(30)이 개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평기어(31)는 다수개로 구성되어 있고, 해당 평기어(31)에 의한 회전력이 이하 설명할 제2기어샤프트(700)의 나사산(730)에 전달된다.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인 레버데드볼트(600), 제1기어샤프트(200) 및 제2기어샤프트(7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측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레버데드볼트연결구(420)와 연결될 수 있는 데드볼트연결구(610)와 스톱모터감지센서(130)에 의해 센싱될 수 있는 스톱감지립(620)이 소정 지점에 연장되어 형성된 레버데드볼트(600)가 개시된다.
레버데드볼트(600)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데드볼트연결구(610)와 스톱감지립(620)이 형성된다.
스톱감지립(620)은 소정 길이로 연장된 스톱감지로드에 도면상 상방향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있다.
이 스톱감지립(620)은 이하 설명하겠지만, 스톱모터감지센서(130)에 의해 센싱되는 경우 파워모듈(30)의 동작이 정지된다.
물론, 파워모듈(30)의 작동이 정지되더라도 이하 설명하겠지만, 별도의 작동 로직에 의해 래치볼트(300)의 해정 과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레버데드볼트(600)의 외주면 중간 영역에 끼워지는 제1기어샤프트(2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기어샤프트(200)는 중심에 소정 홀이 형성된 원형의 형상이며, 레버데드볼트(6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소정 깊이와 소정 길이의 회전홈(630)에 끼어질 수 있는 기어샤프트돌기(210)와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레버링크접촉구(220)가 형성되어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데드볼트(600)의 중간 지점에는 소정 깊이와 소정 길이의 회전홈(630)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이 회전홈(630)의 끝단에 면접촉되어 걸릴 수 있도록 기어샤프트돌기(210)가 제1기어샤프트(200)에 형성되어 있다.
즉, 레버데드볼트(600)가 회전시 해당 기어샤프트돌기(210)가 회전홈(630)의 끝단에 면접촉되어 걸리는 경우에 레버데드볼트(600)와 제1기어샤프트(20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한편, 레버데드볼트(6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소정 높이와 소정 길이의 회전돌기(640)가 무부하상태로 회전될 수 있는 무부하회전홈(710)이 원형의 내주면에 소정의 원주길이만큼 형성되고 회전돌기(640)와의 면접촉이 되어 레버데드볼트(6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무부하회전홈(710) 끝단에 회전단턱(720)이 형성된 제2기어샤프트(700)가 개시된다.
즉, 레버데드볼트(600)의 외주면에는 기 설명한 회전홈(630) 하측에 소정 높이와 소정 길이의 회전돌기(64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기어샤프트(700)에는 복수개의 나사산(730)이 형성된 것 이외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원 형상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의 원주길이만큼 내측 방향으로 소정 깊이 만큼 절개가 이루어진 무부하회전홈(710)이 형성되어 있다.
무부하회전홈(710)의 양 끝단에는 회전단턱(720)이 형성되어 있고, 이 회전단턱(720)에 기 설명한 회전돌기(640)가 면접촉되는 경우 제2기어샤프트(700)와 레버데드볼트(600)가 함께 회전한다.
물론, 무부하회전홈(710)을 따라 회전돌기(640)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서로 간섭없이 회전 가능한 무부하 상태이다.
한편, 도어락 하우징(100)(100) 내부 일지점에 위치하여 도어 일측에 형성된 스트라이크를 향해 전후진될 수 있고 그 전방이 소정 각도로 회전되되, 스토퍼래치볼트부(500)에 의해 해정이 되는 래치볼트(300)가 개시되고, 레버링크접촉구(220)와의 면접촉에 의한 소정 각도의 회전에 따라 스토퍼래치볼트부(500)의 회전에 의한 래치볼트(300)의 해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레버링크(800)가 개시된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데드볼트(400)의 해정이 완료된 후 레버링크접촉구(220)와 레버링크(800)의 작동에 의해 래치볼트(300)의 해정도 이루어진다.
이하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로 본 발명의 해정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외부에서 사용자의 도어 오픈 인증 신호가 파워모듈(30)에 전송시, 파워모듈(30)에 형성된 평기어(31)의 회전에 의한 회전력이 이에 치결합된 제2기어샤프트(700)의 나사산(730)에 전달되어 제2기어샤프트(700)가 회전한다.
제2기어샤프트(700)가 소정 각도만큼 무부하상태로 회전한 뒤, 회전돌기(640)가 회전단턱(720)에 면접촉시 제2기어샤프트(700)와 레버데드볼트(600)가 함께 설정된 제1각도(90o)만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데드볼트연결구(610)의 회전에 의해 데드볼트(400)는 후진하여 해정되고, 데드볼트(400)에 형성된 데드볼트립(410)(410)을 도어오픈감지센서(110)가 센싱하여 오픈 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실외측에서 사용자가 인증 수단을 통해 정상적으로 인증이 되면 파워모듈(30)이 구동되어 출력단 평기어(31)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나사산(730)을 매개로 맞물려 있는 제2기어샤프트(7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설정된 각도 53o까지의 회전은 무부하상태로 회전이 이루어지고, 그 후 레버데드볼트(600)의 외주면에 형성된 회전돌기(640)가 제2기어샤프트(700)에 형성된 회전단턱(720)과의 면접촉시 제2기어샤프트(700)와 레버데드볼트(600)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레버데드볼트(600)의 회전돌기(640)와 제2기어샤프트(700)의 무부하회전홈(710)이 53o 떨어진 상태로 무부하상태로 되고, 파워모듈(30)의 평기어(31)에 물려있는 제2기어샤프트(7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53o 회전된 지점에서 레버데드볼트(600)의 회전돌기(640)와 제2기어샤프트(700)의 무부하회전홈(710)에 위치한 회전단턱(720)에 의해 서로 접촉 구간으로 들어서 같이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참조로 본 발명의 필수적인 단계는 아니지만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작동관계를 도 26을 참조로 래치볼트(300)의 해정 직전의 상태와 데드볼트의 해정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파워모듈(30)이 계속 작동하면서 회전력이 제공되는데 제2기어샤프트(700)와 레버데드볼트(600)가 반시계 방향으로 같이 회전이 되고 90o 회전이 완료된 시점에서 데드볼트는 완전히 UNLOCK 방향으로 이송이 완료된다.
이때, 데드볼트(400)에 형성된 데드볼트립(410)(410)이 도어오픈감지센서(110)에 감지가 된다.
그러나,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데드볼트(600)에 형성된 스톱감지립(620)이 아직 스톱모터감지센서(130)에 의해 감지가 되지 않아 파워모듈(30)은 계속 작동상태에 있다.
또한, 도 20에는 엣지볼트부(600)가 개시된다.
엣지볼트부(600)는 도어의 닫힘 상태에 따라 전후진 될 수 있는 엣지(610)와 엣지(610) 후방에 형성된 엣지홀(H1)에 끼움결합되고 그 외주면의 일지점에 돌기부(620)가 형성된 핀가이드엣지(630)가 위치한다.
또한, 핀가이드엣지(630)가 통과될 수 있는 브라켓홀(H2)이 형성된 브라켓엣지(640) 및 엣지(610)의 전후방 이동에 대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엣지(650)가 핀가이드엣지(630)의 외주면에 감싸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해당되는 작동관계는 아니지만 래치볼트(300)의 해정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레버데드볼트(600)가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된 뒤, 제1기어샤프트(200)에 형성된 기어샤프트돌기(210)가 회전홈(630)에 걸려 레버데드볼트(600)와 제1기어샤프트(200) 및 제2기어샤프트(700)가 동시에 설정된 각도(12o)만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 레버데드볼트(600)에 형성된 스톱감지립(620)을 스톱모터감지센서(130)가 센싱하여 파워모듈(30)의 작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 제1기어샤프트(200)에 형성된 레버링크접촉구(220)에 의해 레버링크(800)가 소정 각도로 회전하고, 그 회전에 의해 스토퍼래치볼트부(500)의 회전이 유도되어 래치볼트(300)의 해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레버데드볼트(600)가 UNLOCK 방향으로 90o 회전된 시점부터는 제1기어샤프트(200)가 레버데드볼트(600)와 접촉 구간에 들어가게 된다.
이 후 12o가 추가로 회전하면서 레버데드볼트(600)와 제1기어샤프트(200) 및 제2기어샤프트(700)가 동시에 회전되고,레버데드볼트(600)에 형성된 스톱감지립(620)을 스톱모터감지센서(130)가 센싱하여 파워모듈(30)의 작동이 정지 그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제1기어샤프트(200)가 회전하면서 레버링크(80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시키고, 레버링크(800)는 최종적으로 스토퍼래치볼트(50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킴으로써 DEAD LATCH 상태가 해정되어 문을 OPEN 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스토퍼래치볼트부의 DEAD LATCH 기능이 해정된 상태에서 문을 OPEN 하면 스트라이크에 눌려있던 엣지볼트(20)가 돌출되고, 이 때 눌려있던 DETECT SWITCH 가 떨어지게 되면서 파워모듈(30)의 MOTOR 가 동작을 시작하고, 파워모듈(30)의 출력단 기어에 물려 있는 제2기어샤프트(700)가 시계 방향으로 레버데드볼트(600)의 무부하 구간에 위치 할 만큼만 회전하다 멈춘다.
또한 파워모듈(30)의 출력단 기어가 역 방향 회전을 하게 되면 그로 인해 제2기어샤프트(700)가 밀고 있던 레버데드볼트(600)를 풀어주게 되고, 이 때 같이 물려있던 제1기어샤프트(200)도 SPRING GEAR SHAFT_B 에 의해 정 위치로 돌아가게 되어 데드 래치 해정 기능이 가능한 위치에 오게 된다.
100 : 도어락 하우징 411 : 데드볼트
30 : 파워모듈 600 : 레버데드볼트
200 : 제1기어샤프트 700 : 제2기어샤프트
300 : 래치볼트 500 : 스토퍼래치볼트부
21 : 레버핸들 11 : 레버패닉

Claims (6)

  1.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한 쌍의 플레이트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에 체결되면서 전방에 위치하는 페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며 내부 일측에 평기어가 형성된 파워모듈을 포함하는 도어락 하우징;
    일측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데드볼트연결구와 스톱감지립이 소정 지점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일 지점에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레버패닉접촉구로 이루어진 레버데드볼트;
    데드볼트립과 상기 레버데드볼트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레버데드볼트의 회전에 의해 전후진될 수 있는 레버데드볼트연결구로 이루어진 데드볼트;
    상기 레버데드볼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소정 깊이와 소정 길이의 회전홈에 끼어질 수 있는 기어샤프트돌기와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레버링크접촉구가 형성된 제1기어샤프트;
    상기 레버데드볼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소정 높이와 소정 길이의 회전돌기가 무부하상태로 회전될 수 있는 무부하회전홈이 원형의 내주면에 소정의 원주길이만큼 형성되고 상기 회전돌기와의 면접촉이되어 상기 레버데드볼트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무부하회전홈 끝단에 회전단턱이 형성된 제2기어샤프트;
    상기 도어락 하우징 내부 일지점에 위치하고, 후방에 가이드래치볼트가 위치하며, 스토퍼래치볼트에 의해 해정이 되는 래치볼트;
    상기 래치볼트의 후방에 위치하고,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연장부에는 제1핀홀과 제1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부에도 상기 제1핀홀과 제1나사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핀홀과 제2나사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핀홀과 제2핀홀을 매개로 체결되고 그 중심에 핀베어링이 삽입된 니들베어링과, 상기 제1나사홀과 제2나사홀을 매개로 체결되고 그 외주면에 스프링스토퍼래치가 감겨진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장부에는 일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래치볼트부;
    상기 페이스플레이트를 관통한 채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엣지볼트부;
    상기 스토퍼래치볼트부와 상기 엣지볼트부 사이에는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양 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1돌기와 제2돌기가 형성된 스토퍼래치볼트서브; 및
    상기 엣지볼트부와 상기 스토퍼래치볼트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일측방향으로 상기 스토퍼래치볼트부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제1레버돌기와 타측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2레버돌기로 이루어진 레버핸들; 및
    상기 제2레버돌기와의 접촉을 통해 회전하고, 그 회전력에 의해 상기 레버패닉접촉구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레버데드볼트를 회전시킬 수 있는 레버패닉을 포함하는, 모티스 안티 패닉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엣지볼트부는 도어의 닫힘 상태에 따라 전후진 될 수 있는 엣지와 상기 엣지후방에 형성된 엣지홀에 끼움결합되고 그 외주면의 일지점에 돌기부가 형성된 핀가이드엣지와,
    상기 핀가이드엣지가 통과될 수 있는 브라켓홀이 형성된 브라켓엣지 및 상기 엣지의 전후방 이동에 대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엣지가 상기 핀가이드엣지의 외주면에 감싸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스 안티 패닉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패닉은,
    상기 한 쌍의 제2레버돌기 중 전방에 위치한 제2레버돌기가 안착되어 위치할 수 있는 레버패닉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래치볼트부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스토퍼래치볼트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소정길이로 연장된 연장접촉구가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제2레버돌기 중 후방에 위치한 제2레버돌기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레버패닉이 회전할 수 있는 레버핸들접촉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스 안티 패닉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버핸들이 제1각도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제2레버돌기 중 후방에 위치한 제2레버돌기가 상기 레버핸들접촉구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레버핸들이 소정 각도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레버핸들의 연장접촉구와 상기 제1연장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스토퍼래치볼트부가 소정 각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되, 상기 니들베어링과 상기 가이드래치볼트와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래치볼트의 락킹 상태가 이루어지고,
    상기 레버패닉접촉구와 상기 연장접촉구의 끝단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레버데드볼트는 소정 각도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되, 그 회전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가 후방으로 제1거리만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스 안티 패닉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레버핸들이 상기 제1각도를 넘어 제2각도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니들베어링과 상기 가이드래치볼트와의 접촉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상기 래치볼트의 락킹 상태가 이루어지고,
    상기 레버패닉접촉구와 상기 연장접촉구의 끝단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레버데드볼트는 제4각도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되, 그 회전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가 후방으로 제2거리만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스 안티 패닉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레버핸들이 상기 제2각도를 넘어 제3각도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데드볼트는 후방으로 상기 제2거리를 넘어 더 이동하여 데드볼트의 언락킹 상태가 이루어진 후,
    상기 니들베어링과 상기 가이드래치볼트와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래치볼트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언락킹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스 안티 패닉 장치.
KR1020210142258A 2021-10-24 2021-10-24 모티스 안티 패닉 장치 KR102547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258A KR102547431B1 (ko) 2021-10-24 2021-10-24 모티스 안티 패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258A KR102547431B1 (ko) 2021-10-24 2021-10-24 모티스 안티 패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563A KR20230058563A (ko) 2023-05-03
KR102547431B1 true KR102547431B1 (ko) 2023-06-22

Family

ID=86380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258A KR102547431B1 (ko) 2021-10-24 2021-10-24 모티스 안티 패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743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641B1 (ko) 2008-09-02 2009-07-14 이상옥 장착된 상태 그대로 역전이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모티스 잠금장치
KR101653781B1 (ko) * 2014-12-17 2016-09-05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안티패닉 도어락의 모티스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563A (ko)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550B1 (ko) 미끄럼 이동식 구동 기구를 갖춘 전기 드롭 볼트
US4017107A (en) Electric door strike
AU2013257648B2 (en) A lock
JP3788968B2 (ja) 電気錠
KR102547431B1 (ko) 모티스 안티 패닉 장치
CN105239856B (zh) 门锁装置及具有其的储物箱
KR101986613B1 (ko) 슬라이딩 도어용 도어락장치
US20190376315A1 (en) Lock for a closure element of a real estate property, and corresponding closure element
KR20060114840A (ko) 도어락 장치용 백셋 및 이를 이용한 잠금 구조
KR200428164Y1 (ko) 구동모타를 내장한 도어록 모티스
KR102014746B1 (ko) 도어락의 해정 조립체
KR200352026Y1 (ko) 모티스 록킹 장치
JPH0726809A (ja) 引戸用電気錠
KR101747146B1 (ko) 포토커플러 방식 디지털 도어록용 데드볼트의 위치 검출 장치
KR102453941B1 (ko) 래치 볼트 자동 해정 장치
KR102024775B1 (ko) 스윙형 래치볼트가 구비된 모티스 조립체
KR102575824B1 (ko) 도어락 모티스
KR102599729B1 (ko) 도어락 모티스
KR102405186B1 (ko) 모티스 안티패닉 장치
WO2015126163A1 (ko) 데드볼트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락 모티스
US11976495B2 (en) Tubular-type deadbolt door lock with edge bolt for detecting door lock status
IE54456B1 (en) Locks
JP2002180720A (ja) 引き出し回転操作型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7179361B2 (ja)
CN206888701U (zh) 一种智能防盗锁体的离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