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0309B1 -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0309B1
KR100550309B1 KR1020040035532A KR20040035532A KR100550309B1 KR 100550309 B1 KR100550309 B1 KR 100550309B1 KR 1020040035532 A KR1020040035532 A KR 1020040035532A KR 20040035532 A KR20040035532 A KR 20040035532A KR 100550309 B1 KR100550309 B1 KR 100550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ember
housing
door
solenoid
dead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5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0731A (ko
Inventor
박지순
Original Assignee
박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순 filed Critical 박지순
Priority to KR1020040035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0309B1/ko
Publication of KR20050110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 데드볼트와, 상기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 래치볼트와, 상기 데드볼트에 의한 도어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한 록킹해제수단을 구비하는 도어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회전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가 왕복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데드볼트에 결합되어 있는 제1 회전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핸들핀과, 압압부를 가지며, 그 압압부가 상기 핸들핀의 회전경로상에 놓이는 제1 위치와 그 압압부가 상기 핸들핀의 회전경로로부터 벗어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핸들핀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시에 그 핸들핀에 의해 밀려서 상기 제1 회전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하우징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회전부재와, 상기 제2 회전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그 제2 회전부재를 가압하는 가압위치와 상기 제2 회전부재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해제위치로 탄성바이어스된 제3 회전부재와, 상기 제3 회전부재를 상기 가압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1 솔레노이드의 직선왕복운동을 데드볼트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상기 제1 회전부재, 제2 회전부재, 제3 회전부재 및 핸들핀의 형상이 단순화되어 있으므로 그 부품들의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 내구성도 우수하게 되며, 상기 제1 솔레노이드가 단시간 작동하게 되어 그 전력소비가 적게 된다.

Description

도어록 장치{A door lock device}
도 1은, 도어록 장치가 설치된 도어가 록킹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에서 제1 솔레노이드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은, 제1 솔레노이드가 작동한 후에 핸들핀을 회전시켜 도어의 록킹을 해제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4는, 제1 솔레노이드가 작동한 후에 일정 시간 경과후 제2 솔레노이드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에서 제1 솔레노이드가 작동하지 않고 제2 솔레노이드만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도어 2...문설주
10...하우징 13...가이드구멍
20...데드볼트 23...결합핀
30...래치볼트 31...래치볼트 선단부
32...래치볼트 몸체부 41...제1 회전부재
42...핸들핀 43...제2 회전부재
44...제3 회전부재 45...제1 솔레노이드
46...제2 솔레노이드 47...스프링
100...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 411...결합공
412...피봇축 431...압압부
432...걸림수용부 433...제1 피봇핀
441...걸림돌출부 442...장공
443...제2 피봇핀
본 발명은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데드볼트를 하우징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도어를 록킹 해제하기 위한 록킹해제수단의 구조가 개선된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 장치는 일반 가정주택이나 공공건물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관의 출입문이나 은행의 금고, 특정 지역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장치에 도어록 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도어록 장치는 일반적으로 도어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와, 데드볼트에 의한 도어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한 록킹해제수단과, 도어를 닫을때 데드볼트에 의해 도어가 자동적으로 록킹되도록 하기 위한 자동잠금수단을 구비한다.
종래의 도어록 장치의 록킹해제수단은 데드볼트를 하우징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하여 작동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수단으로서 일반적으로는 기어장치와,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와, 제어부와 입력부와 모터에 전기를 공급하는 건전지를 구비한다.
종래의 록킹해제수단을 구비하는 도어록 장치에서는, 도어 외부에 설치된 도어록 장치의 본체에 카드나 번호를 입력하거나 지문을 인식시킴으로써 입력신호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입력신호는 제어부에 전달되어, 제어부가 모터를 작동시키며, 일정시간 동안 회전하여 얻어지는 모터의 회전운동은 기어장치들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데드볼트가 하우징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가 문설주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도어의 록킹이 해제된다.
그런데, 종래의 록킹해제수단을 구비하는 도어록 장치에서, 모터의 회전운동을 데드볼트의 직선운동으로 바꾸기 위한 기어장치에는 다수개의 기어가 포함되어 있고, 이 기어는 그 형상이 복잡하여 제작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수개의 기어가 결합된 기어장치는 도어록 장치의 사용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그 내구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 모터가 일정 시간 동안 회전하고 이 회전운동이 기어장치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데드볼트를 하우징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모터가 오래 작동하면 할 수록 작동시간에 비례하여 수명을 가지는 모터는 더 빨리 교환되어야 하며, 건전지의 전력소모도 많아지므로 건전지도 더 빨리 교환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가 용이하도록 형상과 구성을 단순화하여 내구성이 좋도록 하며 솔레노이드에 전기를 단시간 공급하여 작동시킴으로써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기를 공급하는 건전지를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록킹해제수단을 구비하는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 데드볼트와, 상기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 래치볼트와, 상기 데드볼트에 의한 도어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한 록킹해제수단을 구비하는 도어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수단은,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회전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가 왕복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데드볼트에 결합되어 있는 제1 회전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핸들핀과, 압압부를 가지며, 그 압압부가 상기 핸들핀의 회전경로상에 놓이는 제1 위치와 그 압압부가 상기 핸들핀의 회전경로로부터 벗어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전부재에 회전 가능 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핸들핀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시에 그 핸들핀에 의해 밀려서 상기 제1 회전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하우징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회전부재와, 상기 제2 회전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그 제2 회전부재를 가압하는 가압위치와 상기 제2 회전부재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해제위치로 탄성바이어스된 제3 회전부재와, 상기 제3 회전부재를 상기 가압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도어록 장치가 설치된 도어가 록킹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에서 제1 솔레노이드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내고, 도 3은, 제1 솔레노이드가 작동한 후에 핸들핀을 회전시켜 도어의 록킹을 해제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100)는, 하우징(10)과, 데드볼트(20)와, 래치볼트(30)와, 록킹해제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도어(1)에 설치되는 것이다. 하우징(102)에는 데드볼트 관통공(11), 래치볼트관통공(12), 가이드구멍(13) 및 탄성지지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데드볼트(20)는 상기 데드볼트 관통공(11)을 통해서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된다. 상기 데드볼트(20)가 문설주(2)의 데드볼트 수용공에 삽입 및 이탈함으로써 상기 도어(1)는 록킹(locking) 및 언록킹(unlocking)된다. 상기 데드볼트(20)에는 결합핀(23)이 결합되어 있으며, 슬롯(20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롯(202)은 상기 하우징(10)에 고정되는 가이드핀(22)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부분이다. 상기 슬롯(202)과 가이드핀(22)은 데드볼트(20)가 하우징(10)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한다. 상기 데드볼트(20)는 제1 탄성부재(21)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상기 제1 탄성부재(21)의 일측은 데드볼트핀(22)에 의해 접촉지지 되고 타측은 상기 데드볼트(20)에 접촉지지된다.
상기 래치볼트(30)는 상기 래치볼트 관통공(12)을 통해서 하우징(10)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10)에 설치된 것이다. 상기 래치볼트(30)는 래치볼트 선단부(31)와, 래치볼트 몸체부(32)를 포함한다.
상기 래치볼트 몸체부(32)에는 결합돌기(321)와 수용부(3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321)는, 상기 래치볼트 선단부(31)가 그 결합돌기(321)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수용부(322)는 제2 탄성부재(33)를 수용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래치볼트(30)는 제2 탄성부재(33)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상기 제2 탄성부재(33)의 일측은 데드볼트핀(22)에 의해 접촉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데드볼트(20)에 접촉지지된다.
상기 록킹해제수단은 데드볼트(20)에 의한 도어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록킹해제수단으로서, 제1 회전부재(41)와, 핸들핀(42)과, 제2 회전부재(43)와, 제3 회전부재(44)와, 제1 솔레노이드(45)와, 제2 솔레노이드(46)와, 스프링(47)을 구비한다.
상기 제1 회전부재(41)는 데드볼트(20)를 하우징(10)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이 제1 회전부재(41)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 회전부재(41)에는 피봇축(412)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제1 회전부재(41)는 그 피봇축(412)의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재(41)에는 결합공(4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공(411)에는 상기 데드볼트(20)에 마련된 상기 결합핀(23)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이 결합공(411)과 결합핀(23)에 의해 상기 제1 회전부재(41는 데드볼트(2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핸들핀(42)은 도어(1)의 외측에 설치되는 미도시된 도어손잡이에 연결된 것이다. 이 핸들핀(42)은 하우징(10)에 형성된 가이드구멍(13)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 회전부재(43)는 제1 피봇핀(433)에 의해 상기 제1 회전부재(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 제2 회전부재(43)는 압압부(431)와 걸림수용부(432)를 가진다. 상기 압압부(431)는 상기 핸들핀(42)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핸들핀(42)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이다. 이 제2 회전부재(4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위치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회전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압압부(431)가 상기 핸들핀(42)의 회전경로상에 놓이는 위치이다.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압압부(431)가 상기 핸들핀(42)의 회전경로로부터 벗어나는 위치이다. 또한, 상기 제2 회전부재(43)는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핸들핀(42)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시에 그 핸들핀(42)에 의해 밀려서 상기 제1 회전부재(41)를 상기 피봇축(412)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3 회전부재(44)는 가압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제2 피봇핀(44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된 것이다. 상기 가압위치는 상기 제2 회전부재(43)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3 회전부재(44)가 가압하는 위치이다. 상기 해제위치는, 상기 제3 회전부재(44)가 상기 제2 회전부재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제2 회전부재(43)가 상기 제1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위치이다. 상기 제3 회전부재(44)에는 걸림돌출부(441)와 장공(4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출부(441)는, 상기 제2 회전부재(43)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3 회전부재(44)가 가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걸림수용부(432)에 걸리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돌출부(441)가 상기 걸림수용부(432)에 걸려서, 상기 제2 회전부재(43)가 상기 제1 피봇핀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1 솔레노이드(45)는 상기 제3 회전부재(44)를 상기 가압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1 솔레노이드(45)에는 제1 플런저(453)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 플런저(453)에 형성된 핀은 상기 장공(4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플런저(453)가 상기 제1 솔레노이드(45)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3 회전부재(44)는 상기 해제위치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제1 플런저(453)가 제1 솔레노이드(45)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3 회전부재(44)는 상기 가압위치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상기 제1 플런저(453)는 제3 탄성부재(451)에 의해 상기 제1 솔레노이드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상기 제3 탄성부재(451)의 일단은 스냅링(452)에 접촉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솔레노이드(45)에 접촉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회전부재(44)는 상기 제3 탄성부재(451)에 의해 상기 해제위치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상기 제2 솔레노이드(46)는 상기 제2 회전부재(43)를 상기 제1 위치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2 솔레노이드에는 제2 플런저(463)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 플런저(463)는 제4 탄성부재(461)에 의해 상기 제2 회전부재의 가압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상기 제4 탄성부재(461)의 일단은 스냅링(462)에 접촉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솔레노이드(45)에 접촉지지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47)은 상기 제2 회전부재(43)를 상기 제2 위치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프링(47)의 일단은 상기 제1 회전부재(4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회전부재(43)에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록킹해제된 상태의 도어(1)를 닫는 경우에, 상기 도어(1)가 자동적으로 록킹되도록 하기 위한 자동잠금수단이 예시되어 있지 않으나, 열려있는 도어(1)를 닫는 경우 상기 데드볼트(20)가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돌출됨으로써 상기 도어(1)가 자동적으로 록킹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자동잠금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도어(1)가 자동적으로 록킹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실시예의 도어록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수단의 작동원리를 설명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100)의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는, 먼저 상기 제1 솔레노이드(45)가 단시간 작동하는 상태를 설명하고, 다음으로 상기 제1 솔레노이드(45)가 단시간 작동한 후 일정시간 경과후 상기 제2 솔레노이드(46)가 단시간 작동하는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가 록킹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데드볼트(20)는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데드볼트(20)는 상기 제1 탄성부재(21)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고, 상기 제3 회전부재(44)는 상기 제2 회전부재(43)와 접촉하고 있다.
먼저, 상기 제1 솔레노이드(45)가 단시간 작동하는 경우를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솔레노이드(45)가 단시간 작동하게 되면, 상기 제1 플런저(453)가 제1 솔레노이드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1 플런저(453)의 움직임으로 인해 제1 플런저(453)에 형성되어 있는 핀이 상기 제3 회전부재의 장공(442)을 따라 슬라이딩되게 되어, 제3 회전부재(44)는 상기 제2 피봇핀(44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 위치 위치하게 된다. 제3 회전부재(44)의 상기 가압위치로의 회전시에, 상기 제2 회전부재(43)는 제3 회전부재(44)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1 피봇핀(43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2 회전부재(43)는 상기 스프링(47)에 의해 상기 제2 위치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으므로, 제3 회전부재(44)의 가압에 의해 발생하여 제2 회전부재(43)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이 약해져서 상기 스프링(47)의 탄성력과 중력에 의해 제2 회전부재(43)를 제1 피봇핀(433)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이 더 크게 작용하는 시점에서, 회전중에 있던 제2 회전부재(43)는 도 2에 도시된 제1 피봇핀(433)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 즉 상기 제2 위치방향으로 다시 회전하게 된다. 제2 회전부재(43)가 상기 제2 위치방향으로 다시 회전하는 시점에서, 제3 회전부재(44)가 상기 해제위치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고, 상기 제1 솔레노이드(45)가 단시간 작동후에 작동을 하지 않게 되므로 제3 회전부재(44)는 상기 해제위치 방향으로 다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3 회전부재(44)가 상기 해제위치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제2 회전부재(43)가 상기 제2 위치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회전부재(44)의 걸림돌출부(441)가 상기 제2 회전부재(43)의 걸림수용부(432)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걸림돌출부(441)가 걸림수용부(432)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핸들핀(42)에 연결된 도어손잡이를 상기 가이드구멍(13)에 의해 형성된 회전경로를 따라 회전시키게 되면, 핸들핀(42)은 상기 압압부(431)에 접촉되면서 상기 회전경로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제1 회전부재와 제2 회전부재는 제2 피봇핀(443)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2 회전부재(43)는 핸들핀(42)에 밀려서 상기 피봇축(41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2 회전부재(43)의 회전에 의해 제2 회전부재(43)에 제1 피봇핀(433)에 의해 결합된 제1 회전부재(41)도 피봇축(41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 회전부재(41)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결합핀(23)은 상기 결합공(411) 내부에서 움직이게 되어, 상기 데드볼트(20)는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는 록킹 해제된다.
두번째로, 상기 제1 솔레노이드(45)가 단시간 작동한 후 일정시간, 예를 들면 5초 내지 6초 후에 상기 제2 솔레노이드(46)가 단시간 작동하는 경우를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솔레노이드(45)가 단시간 작동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돌출부(441)는 걸림수용부(432)에 걸리게 되어, 제3 회전부재(44)는 상기 가압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제2 회전부재(43)는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 회전부재(43)는 상기 제1 위치에 영구적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언제라도 핸들핀(42)에 연결된 도어손잡이를 돌려서 데드볼트(20)의 록킹을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제2 회전부재(43)가 상기 제1 위치에 영구적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1)를 열지 못하는 급박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상기 도어록 장치(100)에 별도의 행위를 가하지 않고서도 도어(1)가 도어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록킹 해제될 수 없도록 제2 회전부재(43)를 상기 제2 위치로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제1 솔레노이드(45)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 회전한 제2 회전부재(43)를 일정시간 경과후, 통상 5초 내지 6초 후에 제2 솔레노이드(46)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위치로 회전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 솔레노이드(45)가 단시간 작동한 후, 일정시간, 예를 들면 5초 내지 6초 후에 제2 솔레노이드(46)가 단시간 작동하게 되면, 상기 제2 플런저(463)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2 회전부재(43)의 일단을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제2 솔레노이드(46)의 가압에 의해, 제2 회전부재(43)는 도 4에 도시된 제1 피봇핀(43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2 회전부재(43)는 제1 솔레노이드(45)에 의해 위치된 상기 제1 위치에서부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봇핀(43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제2 회전부재(43)가 제2 솔레노이드(46)에 의해 회전하는 동안에, 제3 탄성부재(451)에 의해 해제위치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던 제3 회전부재(44)는, 걸림돌출부(441)가 걸림수용부(432)에 걸리지 않게 됨으로 인해 상기 해제위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4에는 제3 회전부재가 제2 솔레노이드가 작동한 직후에 제3 회전부재가 상기 해제위치 방향으로 약간 회전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러한 상기 걸림현상의 해제로 인해 제3 회전부재(44)는 상기 해제위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솔레노이드(46)의 작동이 중지되어, 제2 회전부재(43)가 상기 스프링(47)에 의해 제1 피봇핀(433)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더라도, 제3 회전부재(44)가 상기 해제위치에 위치하게 되므로, 걸림돌출부(441)는 걸림수용부(432)에 걸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2 회전부재(43)는 제1 피봇핀(433) 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하여 제2 위치에 위치하게 되므로, 핸들핀(42)에 연결된 도어손잡이를 돌려도 도어(1)는 록킹 해제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 솔레노이드(46)를 구비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솔레노이드(46) 단독으로 작동하여, 제2 회전부재(43)를 상기 제2 회전위치에 위치시킨 후 핸들핀(42)을 돌려서 도어(1)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솔레노이드(45)와 제2 솔레노이드(46)가 같이 구비되어 있다면, 제1 솔레노이드와 제2 솔레노이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달리 구성하여, 예컨대 제1 솔레노이드는 카드인식에 의해 작동하게 하고 제2 솔레노이드는 번호 입력에 의해 작동하게 하면 제1 솔레노이드가 고장이 난 경우라도 카드를 인식시켜 제2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100)의 록킹해제수단은 제1 솔레노이드의 직선왕복운동을 데드볼트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1 회전부재, 제2 회전부재, 제3 회전부재 및 핸들핀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부품들은 종래의 도어록 장치에서 모터의 회전운동을 데드볼트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기어장치와 달리 단순화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100)의 록킹해제수단을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며, 그 내구성도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기가 단시간 공급되어 작동하게 되므로, 일반적으로 작동시간에 비례하여 수명을 가지며 모터에 비해 내구성이 더 좋은 솔레노이드는 종래의 도어록 장치에서 일정시간 동안 작동하도록 구성된 모터와 달리 더 오랫동안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에 전기가 단시간 공급되므로, 건전지도 종래의 도어록 장 치에서 모터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사용되는 경우보다 더 오랫동안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처럼 제2 솔레노이드를 구비하는 도어록 장치를 구성하면, 제1 솔레노이드(45)를 단시간 작동하게 하고 일정시간 경과 후 제2 솔레노이드(46)를 단시간 작동하게 하여, 핸들핀(42)을 돌려도 록킹된 도어(1)를 록킹 해제할 수 없는 상태를 만들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급박한 사정으로 인해 제1 솔레노이드(45)를 작동시킨 후 도어를 열고 들어갈 수 없게 되더라도, 누군가가 도어를 열고 들어갈 수 없게 되어 보안이 유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어록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솔레노이드의 직선왕복운동을 데드볼트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1 회전부재, 제2 회전부재, 제3 회전부재 및 핸들핀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부품들은 종래의 도어록 장치에서 모터의 회전운동을 데드볼트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기어장치와 달리 단순화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100)의 록킹해제수단을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며, 그 내구성도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종래의 도어록 장치에서 모터가 일정시간 작동하는 것과 달리, 본 발 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에서는 솔레노이드가 단시간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작동시간에 비례하여 수명을 가지며 모터에 비해 내구성이 더 좋은 솔레노이드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에서 오래 사용될 수 있다. 또,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기를 공급하는 건전지도 종래의 도어록 장치에서 모터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사용되는 경우에서 보다 더 오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처럼 제2 솔레노이드를 구비하는 도어록 장치를 구성하면, 제1 솔레노이드(45)가 단시간 작동하게 하고 일정시간 경과 후 제2 솔레노이드(46)가 단시간 작동하게 하여, 핸들핀(42)을 돌려도 록킹된 도어(1)를 록킹 해제할 수 없는 상태를 만들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급박한 사정으로 인해 제1 솔레노이드(45)를 작동시킨 후 도어를 열고 들어갈 수 없게 되더라도, 누군가가 도어를 열고 들어갈 수 없게 되어 보안이 유지될 수 있다.

Claims (3)

  1.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 데드볼트와, 상기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 래치볼트와, 상기 데드볼트에 의한 도어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한 록킹해제수단을 구비하는 도어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회전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가 왕복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데드볼트에 결합되어 있는 제1 회전부재;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핸들핀;
    압압부를 가지며, 그 압압부가 상기 핸들핀의 회전경로상에 놓이는 제1 위치와 그 압압부가 상기 핸들핀의 회전경로로부터 벗어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핸들핀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시에 그 핸들핀에 의해 밀려서 상기 제1 회전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하우징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회전부재;
    상기 제2 회전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그 제2 회전부재를 가압하는 가압위치와 상기 제2 회전부재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해제위치로 탄성바이어스된 제3 회전부재; 및
    상기 제3 회전부재를 상기 가압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부재를 상기 제1 위치로 가압하기 위한 제2 솔레노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부재를 상기 제2 위치로 탄성바이어스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KR1020040035532A 2004-05-19 2004-05-19 도어록 장치 KR100550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532A KR100550309B1 (ko) 2004-05-19 2004-05-19 도어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532A KR100550309B1 (ko) 2004-05-19 2004-05-19 도어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731A KR20050110731A (ko) 2005-11-23
KR100550309B1 true KR100550309B1 (ko) 2006-02-07

Family

ID=37286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532A KR100550309B1 (ko) 2004-05-19 2004-05-19 도어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03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641B1 (ko) * 2008-09-02 2009-07-14 이상옥 장착된 상태 그대로 역전이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모티스 잠금장치
KR101664685B1 (ko) * 2015-04-30 2016-10-12 오세민 도어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731A (ko) 200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10376C (en) A door strike having a kicker and an adjustable dead latch release
RU2484224C2 (ru) Система запиран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микродвигателя
RU2472223C2 (ru)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ое за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ключ,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для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4936122A (en)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KR100895874B1 (ko) 도어록
EP1904702B1 (en) Electromechanical lock device
KR100954077B1 (ko) 양방향 락커를 구비한 가전제품용 도어락 장치
JP4961036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0550309B1 (ko) 도어록 장치
JPH1068254A (ja) 電磁操作式の錠
KR101196054B1 (ko)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록 장치
KR100763884B1 (ko) 도어록 장치
JP2017223038A (ja) 電気錠システム
CN211313733U (zh) 一种按压解锁的指纹挂锁
CN117280105A (zh) 半圆柱锁
CN105259748B (zh) 紧急停止装置
CN210152446U (zh) 一种蓄力型电开式门锁开关
JP2017223037A (ja) 電気錠システム
KR101105562B1 (ko)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20100091395A (ko) 도어록 장치
RU2783155C1 (ru)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ое зам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407876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JP6411824B2 (ja) 錠装置
JPH09264084A (ja) 電気錠
KR101105590B1 (ko) 도어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