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874B1 - 도어록 - Google Patents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874B1
KR100895874B1 KR1020070116772A KR20070116772A KR100895874B1 KR 100895874 B1 KR100895874 B1 KR 100895874B1 KR 1020070116772 A KR1020070116772 A KR 1020070116772A KR 20070116772 A KR20070116772 A KR 20070116772A KR 100895874 B1 KR100895874 B1 KR 100895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rotating
reciprocating
doo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2230A (ko
Inventor
박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Publication of KR20080092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4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4Cams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이는 도어에 내장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왕복부재와; 상기 왕복부재에 고정되는 데드볼트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열쇠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에 의해 회전하여 왕복부재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키장치와; 도어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왕복부재를 이동시키는 왕복부재작동장치와; 실내외측 핸들을 회전시킬 때 직선운동하며 케이스 외측으로 탄성지지되는 왕복브라켓과; 상기 왕복브라켓에 고정되며 왕복브라켓의 동작에 따라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거나 내부로 들어가는 래치볼트와; 상기 데드볼트가 케이스 내부로 이동했을 때 상기 걸림턱을 걸어 데드볼트를 케이스 내부에 임시 고정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측부에 위치하며 도어가 닫힘에 따라 걸림턱으로부터 스토퍼를 이탈시키는 해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도어록은, 감속기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모터에 요구되는 부하가 작음은 물론 기존의 감속기어로부터 비롯되는 각종 고장이 없고 동작 속도가 매우 빠르며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전력소모가 작아 건전지의 수명이 길게 유지되며, 더 나아가 기계식 열쇠를 사용할 경우 데드볼트가 기계식 열쇠의 회전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굳이 열쇠와 도어핸들을 양손으로 동시에 잡아 돌리지 않아도 되어 도어의 개방이 편리하다.

Description

도어록{Door lock}
본 발명은 도어록(Door lock)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아파트의 현관이나 사무실 등의 출입구 도어에는 도어를 잠그기 위한 각종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잠금장치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특히 보다 안전하고 완벽한 보안이 필요한 경우에는 기존의 기계식 잠금장치에 더하여 디지털 도어록이 추가된다.
상기 디지털도어록은 기존의 기계식 열쇠를 대신하여 비밀번호나 지문을 입력한다거나 또는 전자키를 이용하는 잠금장치로서, 열쇠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은 물론 열쇠분실에 따른 위험이 없고 이중잠금기능까지 구비하여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을 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디지털도어록은,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건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토오크를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어와, 상기 모터의 동작에 연동하며 케이스의 내부와 외부를 왕복하는 데드볼트와, 도어핸들을 회전할 때 왕복 이동하는 래치볼트와 센서볼트와 각종 링크기구 등을 구비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디지털도어록은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복잡한 구조의 감속기어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매우 복잡하고 특히 감속기어에 의한 고장발생 확률이 높다. 또한 동력이 감속기어를 거쳐야 하므로 그만큼 응답성이 빠르지 않다. 아울러 구동부하도 크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많아 건전지의 수명이 짧다.
또한, 기계식 키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디지털도어록의 경우, 열쇠로 키장치를 돌려 데드볼트를 케이스 내부로 당긴 후 열쇠를 놓았을 때 데드볼트가 케이스 외부로 빠져 원위치되기 때문에,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 열쇠를 잡고 다른 손으로 도어핸들을 돌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감속기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모터에 요구되는 부하가 작음은 물론 기존의 감속기어로부터 비롯되는 각종 고장이 없고 동작 속도가 매우 빠르며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전력소모가 작아 건전지의 수명이 길게 유지되며, 더 나아가 기계식 열쇠를 사용할 경우 데드볼트가 기계식 열쇠의 회전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굳이 열쇠와 도어핸들을 양손으로 동시에 잡아 돌리지 않아도 되어 도어의 개방이 편리한 도어록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록은, 문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실내측 핸들 및 실외측 핸들을 갖는 도어에 내장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 외측으로 탄성 지지되는 왕복부재와; 상기 왕복부재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왕복부재의 위치이동에 따라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거나 케이스 내부로 들어가는 데드볼트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되 케이스 외부로 개방된 열쇠구멍을 가지고 상기 열쇠구멍에 열쇠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왕복부재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키장치와; 상기 키장치의 측부에 구비되며 상기 실외측 핸들 및 실내측 핸들에 링크되어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왕복부재를 위치이동 시키는 왕복부재작동장치와; 상기 왕복부재작동장치에 연결되고 실내외측 핸들을 회전시킬 때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하며 케이스 외측으로 탄성지지되는 왕복브라켓과; 상기 왕복브라켓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왕복브라켓의 동작에 따라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거나 케이스 내부로 들어가는 래치볼트와; 상기 데드볼트가 케이스 내부로 이동했을 때 상기 걸림턱을 걸어 데드볼트를 케이스 내부에 임시 고정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측부에 위치하며 도어가 닫힘에 따라 걸림턱으로부터 스토퍼를 이탈시키는 해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스토퍼의 측부에 위치하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문틀에 눌려 케이스 내측으로 이동하며, 도어를 열었을 때에는 스프링에 의해 케이스 외측방향으로 탄성 이동하는 센서볼트와; 상기 센서볼트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왕복브라켓의 이동시 왕복브라켓에 의해 상기 스토퍼측으로 이동하여 스토퍼를 걸림턱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는; 회동축을 중앙에 두고 좌우로 연장된 부재로서, 그 일단부에는 상기 걸림턱에 삽입되어 데드볼트를 임시 고정시키는 지지턱이 마련되고,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반대편 단부에는 상기 핀에 의해 밀려 이동함으로써 걸림턱으로부터 지지턱을 분리시키는 가압부를 갖는 스토퍼부재와; 상기 스토퍼부재의 지지턱을 걸림턱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장치는; 상기 열쇠구멍이 위치하는 원통형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의 회전시 몸체부를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지지아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왕복부재의 타단부에는, 상기 지지아암의 회동 경로상에 위치하며 몸체부의 회전시 상기 지지아암에 의해 밀려 데드볼트를 케이스 내부 로 당기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지지아암이 최대로 회전했을 때 지지아암의 단부를 임시 고정하는 지지면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왕복부재작동장치는; 실내측 핸들에 연결되어 실내측 핸들의 조작시 회전운동하고 그 일측에는 상기 지지아암측으로 연장되어 지지아암을 지지면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푸싱부를 갖는 하우징플레이트와; 상기 실외측 핸들에 연결되어 실외측 핸들의 조작시 회전운동 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플레이트와 동일한 회전중심축을 가지고 상기 왕복브라켓에 링크되며 실외축 핸들의 조작시 하우징플레이트가 고정된 상태로 회전하여 왕복브라켓을 통해 래치볼트를 케이스 내부로 이동시키는 회전디스크와; 상기 하우징플레이트와 회전디스크의 사이에 설치되며 필요시 회전디스크를 하우징플레이트에 고정시켜 실외측 핸들의 조작시 하우징플레이트가 회전되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회전디스크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와, 상기 하우징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동운동을 통해 상기 후크에 걸려 회전디스크와 하우징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회전브라켓과, 상기 회전브라켓을 회동시키는 회전브라켓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브라켓구동부는; 외부로부터 제공된 전기신호에 의해 동작하고 구동축에 워엄기어가 구비되어 있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회전에 따라 그 일부가 상기 회전브라켓을 가압하여 회전브라켓을 회동시키는 회전캠과, 상기 회전캠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워엄기어측으로 연장되어 워엄기어의 기어이에 치합되고 워엄기어의 회전에 종동하여 회전캠을 회전시킴으로써 회 전캠으로 하여금 회전브라켓을 회동시키게 하는 종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몸체부 외부로 연장되는 회동아암이 더 구비되고, 상기 회전디스크에는, 상기 회동아암을 가압하여 몸체부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지지면에 임시 고정되어 있는 지지아암을 지지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동부재는 스프링강으로 이루어진 선형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동부재는 상기 위엄기어에 접촉하는 부위 부근에서 굴곡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어록은, 감속기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모터에 요구되는 부하가 작음은 물론 기존의 감속기어로부터 비롯되는 각종 고장이 없고 동작 속도가 매우 빠르며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전력소모가 작아 건전지의 수명이 길게 유지되며, 더 나아가 기계식 열쇠를 사용할 경우 데드볼트가 기계식 열쇠의 회전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굳이 열쇠와 도어핸들을 양손으로 동시에 잡아 돌리지 않아도 되어 도어의 개방이 편리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는 도 1의 상부하우징플레이트를 제거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왕복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도어록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10)은, 사각의 내부공간(14)을 제공하며 도어에 내장되는 케이스(12)와, 상기 케이스(12)의 일측부를 커버하며 도어의 문틀과 마주하는 관통플레이트(16)와, 상기 내부공간(14)에 설치되는 왕복부재(24)와, 상기 왕복부재(24)를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키장치(32) 및 왕복부재작동장치(42)와, 래치볼트구동장치(46)와, 스토퍼제어장치(52)와, 스토퍼(50) 등을 구비한다.
상기 관통플레이트(16)에는 세 개의 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17)은 후술할 데드볼트(18)와 센서볼트(20)와 래치볼트(22)가 출입하는 통로이다.
한편, 상기 왕복부재(24)는 케이스(12)의 내부공간에 길이방향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부재로서 도 3의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길이방향이라 함은 상기 관통플레이트(16)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여하튼 상기 왕복부재(24)의 일단부에는 데드볼트(18)가 고정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제 1,2지지면(24a,24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데드볼트(18)는 육면체의 형태를 취하며 케이스(12)의 외부로 돌출되어 문틀(도 4의 60)에 마련되어 있는 홈(60a)에 삽입됨으로써 도어를 잠그는 역할을 한다. 상기 데드볼트(18)가 케이스(12)의 내부로 들어가 홈(60a)으로부터 이탈되면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2지지면(24a,24b)은 예각의 사이각(도 3의 θ)으로 벌어지며 그 사이에 후술할 지지아암(32d)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지지아암(32d)의 선단면은 제 1지지면(24a)과 제 2지지면(24b)에 선택적으로 걸려 왕복부재(24)를 케이스(12) 외측방향으로 지지하거나 케이스(12) 내측으로 지지한다.
즉, 지지아암(32d)이 제 1지지면(24a)을 가압하여 데드볼트(18)를 케이스(12) 외측 방향으로 지지하여 도어가 잠겨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제 2지지면(24b)을 가압하여 도 6a에 도시한 바와같이 왕복부재(24)를 화살표 p방향으로 밀어 데드볼트(18)가 케이스(12)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왕복부재(24)의 일측부에는 걸림턱(24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24c)은 도 5c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토퍼(50)의 지지턱(50b)에 걸려 왕복부재(24)가 케이스(24)의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다.
또한 상기 왕복부재(24)의 측부에는 스프링(2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26)은 데드볼트(18)를 케이스(12)의 외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서 데드볼트(18)와 고정벽(30)의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 고정벽(30)은 케이스(12)내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부재로서 데드볼트(18)와의 사이에 스프링(26)을 압축된 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데드볼트(18)는 스프링(26)의 작용에 의해 항상 케이스(12)의 외측으로 탄력 지지되며 예컨대 데드볼트(18)를 케이스(12) 내측으로 눌렀다 놓으면 다시 케이스(12)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데드볼트(18)의 케이스(12) 외측방향으로의 이동은 절곡턱(24d)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 절곡턱(24d)은 왕복부재(24)에 형성된 턱으로서 고정벽(30)에 걸려 왕복부재(24)가 그 이상 더 (케이스(12) 외측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제한받는 부위이다.
상기 키장치(32)는 기계식키(미도시)를 이용하여 왕복부재(24)를 화살표 z방향으로 즉 데드볼트(18)를 케이스(12) 내부로 이동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데드볼트(18)가 케이스(12) 내부로 들어가면 도어를 열 수 있다.)
상기 키장치(32)는, 원통의 형태를 취하고 그 내부에 열쇠구멍(32c)이 마련되어 있는 몸체부(32e)와, 상기 몸체부(32e)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2지지면(24a,24b)의 사이로 연장되는 지지아암(32d)과, 상기 지지아암(32d)의 측부에 위치하며 지지아암(32d)과 대략 직각을 이루는 회동아암(32b)을 구비한다.
상기 몸체부(32e)는 외부에서 기계식 열쇠를 삽입하여 시계방향으로 돌렸을 때 축회전하며 상기 지지아암(32d)과 회동아암(32b)을 회동운동 시킨다.
또한 상기 지지아암(32d)의 상면에는 돌기(3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32a)는 도 5c에 도시한 바와같이 후술할 푸싱부(42f)에 의해 가압되어 몸체부(32e)가 시계방향을 축회전하도록 하는 가압부위이다. 상기 푸싱부(42f)가 돌기(32a)를 가압 이동시키는 것과, 기계식 열쇠를 삽입하여 몸체부(32e)를 축회전 시키는 것은 동일한 결과를 낳는다.
아울러 상기 돌기(32a)에는 스프링(28)의 일단부가 끼워진다. 상기 스프링(28)은 그 타단부가 케이스(12)에 고정된 상태로, 돌기(32a)를 케이스(12)의 벽 면으로부터 최대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상기 스프링(28)은 그 양단부가 화살표 y방향으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스프링(28)에 의해 지지아암(32d)의 회동 선단부는 제 1지지면(24a) 또는 제 2지지면(24b)에 밀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아암(32d)은 제 1지지면(24a)을 지지함으로써 데드볼트(18)가 케이스(12)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막거나, 제 2지지면(24b)을 지지하여 케이스(12) 내부로 들어온 데드볼트(18)가 케이스(12) 내부에 머물러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동아암(32b)은 도 6b에 도시한 바와같이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디스크(42k)의 돌출부(42n)에 밀려 몸체부(32e)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받는 부위이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키장치(32)의 하부에 왕복부재작동장치(4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왕복부재작동장치(42)는 실내측 핸들(미도시) 및 실외측 핸들(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왕복부재작동장치(42)는 실내측 핸들을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회전하여 상기 푸싱부(42f)를 통해 돌기(32a)를 가압 이동시킨다. 푸싱부(42f)가 돌기(32a)를 가압하며 밀면 지지아암(32d)이 제 1지지면(24a)에서 제 2지지면(24b)으로 이동하고 왕복부재(24)를 화살표 z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모터(34)를 구동하여 도 5b와 같이 상하부하우징플레이트(42d,42e)와 회전디스크(42k)를 상호 고정한 상태로 실외측 핸들을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푸싱부(42f)를 통해 돌기(32a)를 가압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왕복부재작동장치(42)는, 상호 결합되어 그 사이에 공간을 제공하며 일측에는 ㄱ 자 형태로 굴곡된 푸싱부(42f)를 갖는 하부하우징플레이트(42e) 및 상부하우징플레이트(42d)와 상기 상하부하우징플레이트(42d,42e)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디스크(42k)를 포함한다.
상기 상하부하우징플레이트(42d,42e)는 실내측 핸들의 축(54)에 직접 고정된다. 따라서 실내측 핸들을 회전시키면 상하부하우징플레이트(42d,42e)가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푸싱부(42f)가 돌기(32a)를 가압하고 왕복부재(24)가 화살표 z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실내측 핸들을 단순히 회전시킴에 따라 데드볼트(18)가 케이스(12) 내부로 들어가 도어의 잠김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도면부호 42c는 실내측 핸들의 축(54)이 삽입 고정되는 구멍이다.
또한 상기 회전디스크(42k)는 일정두께를 갖는 원판형 부재로서 상기 상하부하우징플레이트(42d,42e)와 동일한 회전중심축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회전디스크(42k)의 회전중심에는 토크인가부(42a)가 고정된다. 상기 토크인가부(42a)에는 실외측 핸들의 회전축을 고정하는 핸들결합구멍(42b)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토크인가부(42a)의 측부에는 원호형 장공(42p)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호형 장공(42p)은 회전디스크(42k)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일정곡률을 가지며 그 내부로 실내측 핸들의 한쪽 축(54)을 통과시킨다. 따라서 상기 회전디스크(42k)는 장공(42p)의 연장 길이가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고정된 상하부하우징플레이트(42d,42e) 내에서 상대 회전 할 수 있다. 즉, 상기 푸싱부(42f)를 움직이지 않고도 회전디스크(42k)를 얼마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회전디스크(42k)의 일측 테두리부에는 후크(42m)가 형성되어 있 다. 상기 후크(42m)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같이 (모터(34)가 작동함에 따라) 회전브라켓(40e)의 걸림구멍(40b)에 삽입되어 회전디스크(42k)가 도 5c의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하부하우징플레이트(42d,42e)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왕복부재작동장치(42)의 측부에는 래치볼트구동장치(46)가 설치된다. 상기 래치볼트구동장치(46)는 상기 회전디스크(42k)에 핀으로 링크되어 회전디스크(42k)를 회전시킬 때 래치볼트(22)를 케이스(12) 내부로 당겨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래치볼트구동장치(46)는, 케이스(12)에 회동축(44a)으로 지지되며 상기 회동축(44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디스크(42k)에 핀 연결되고 핀의 반대측에 인장후크(44b)가 마련되어 있는 래치볼트인장링크(44)와, 견인핀(56)을 통해 래치볼트인장링크(44)에 연결되며 상기 데드볼트(18)와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가능한 왕복브라켓(도 4의 46c)과, 상기 왕복브라켓(46c)의 단부에 고정되는 래치볼트(22)와, 상기 래치볼트(22)에 고정되며 왕복브라켓(46c)에 나란하게 연장되고 스프링(46b)에 감싸인 연장로드(46a)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로드(46a)는 고정벽(48)을 관통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46b)은 래치볼트(22)와 고정벽(48)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래치볼트(22)를 케이스(12) 외측으로 탄성 지지한다.
따라서 도 5c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전디스크(42k)를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에 종동하여 래치볼트인장링크(44)가 화살표 k방향으로 회전하고 연장로드(46a)가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볼트(22)가 케이스(12) 내부로 당겨진 다. 이 때 스프링(46b)이 압축됨은 물론이다. 이는 회전디스크(42k)를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하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46b)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래치볼트(22)가 케이스 외부로 원위치 함을 의미한다.
특히 상기 왕복브라켓(46c)의 일측에는 푸싱브라켓(46d)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푸싱브라켓(46d)은 도 5c의 화살표 f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왕복하면서 승강핀(52a)을 스토퍼(50)측으로 밀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왕복부재(24)의 도면상 아래쪽에는 스토퍼(50)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50)는 회동축(50a)을 중심으로 좌우로 시소운동 할 수 있고 일단부에 지지턱(50b)이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부재(50e)와, 상기 스토퍼부재(50e)를 탄성 지지하되 상기 지지턱(50b)이 왕복부재(24)측으로 탄성 가압되도록 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0f)를 갖는다. 상기 지지턱(50b)의 반대측에는 가압부(50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50c)는 상기 푸싱브라켓(46d)에 의해 도 5a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핀(52a)에 의해 밀려 올라가는 부위이다. 상기 가압부(50c)가 승강핀(52a)에 의해 밀림에 따라 스토퍼부재(50e)가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스토퍼(50)와 래치볼트구동장치(46)의 사이에는 스토퍼제어장치(52)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제어장치(52)는, 관통플레이트(16)를 관통하며 도어를 닫았을 때에 도어의 문틀(60)에 밀려 케이스(12) 내부로 들어가고 도어(62)를 개방했을 때 스프링(52b)의 탄성력에 의해 케이스(12) 외부로 돌출되는 센서볼트(20)와, 상기 센서볼트(20)에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로드(52c)와, 상기 연장로드(52c)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핀홀더(52e)와, 상기 핀홀더(52e)에 수용되며 연장로드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핀(52a)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52b)은 상기 핀홀더(52e)와 고정벽(58)의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끼워진다. 상기 고정벽(58)은 케이스(12)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재로서 스프링(52b)을 핀홀더(52e)측으로 지지한다.
한편, 상기 키장치(32)와 왕복부재작동장치(42)의 측부에는, 모터(34)와 제 1회전링크(38)와 제 2회전링크(40)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34)는 외부에서 비밀번호가 입력될 때 동작하는 것으로서 구동축에 워엄기어(36)를 갖는다. 상기 모터(34)는 일반적인 건전지의 전력으로 구동한다.
상기 제 1회전링크(38)는 회동축(38b)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캠(38a)과, 상기 회전캠(38a)에 고정되며 상기 워엄기어(36)측으로 연장되어 워엄기어(36)의 기어이에 치합하는 종동부재(38c)를 구비한다. 상기 종동부재(38c)가 워엄기어(36)에 치합하고 있으므로, 모터(34)의 구동에 따라 워엄기어(36)가 축회전하면 회전캠(38a)이 각운동 하게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동부재(38c)는 선형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동부재(38c)는 스프링강으로 제조 되었다. 상기 종동부재(38c)는 상기 워엄기어(36)와 치합되는 부위 부근에서 굴곡되어 있다. 즉, 상기 종동부재(38c)는 상기 워엄기어(36)를 감싸안는 형태로 그 워엄기어(36)에 접촉되어 있다.
또한 제 2회전링크(40)는 상기 상하부하우징플레이트(42d,42e)에 회동축(40d)으로 지지되는 회전브라켓(40e)과, 상기 회전브라켓(40e)과 마찬가지로 회동축(40d)에 지지되는 연결브라켓(40a)과, 상기 회전브라켓(40e)과 연결브라켓(40a)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40c)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회전브라켓(40e)에는 걸림구멍(40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회전링크(4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전캠(38a)이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할 때 회전캠(38a)에 밀려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운동 한다. 제 2회전링크(40)가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걸림구멍(40b)에 후크(42m)가 끼워진다.
아울러 상기 회전브라켓(40e)과 연결브라켓(40a)의 사이에 스프링을 장착한 것은 완충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후크(42m)가 걸림구멍(40b)에 끼워질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모터(34)가 구동하면 종동부재(38c) 휘거나 모터(34)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의 동작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의 도어록(10)은, 실외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기계식 열쇠를 이용하여 개방할 수 있고, 실내에서 핸들을 돌려 개방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도어록을 비밀번호 입력 방식으로 개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전의 상태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데드볼트(18) 및 래치볼트(22)가 문틀(60)에 마련되어 있는 홈(60a)에 삽입되어 있고, 센서볼트(20)는 문틀에 눌려 케이스(12) 내부로 최대한 밀려들어가 있다.
특히 상기 승강핀(52a)은 푸싱브라켓(46d)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밀려 스토퍼부재(50e)를 화살표 b방향으로 최대한 회동시킨 상태를 유지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브라켓(40e)도 후크(42m)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대기 상태에서, 도어(62)를 개방하기 위하여 도어록의 실외측에 마련되어 있는 키패드(미도시)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전기신호가 발생하여 상기 모터(34)가 구동한다.
상기 모터(34)가 구동하면 종동부재(38c)가 워엄기어(36)의 회전에 종동하여 회전캠(38a)을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종동부재(38c)가 본 실시예(도 8 참조)에서와 같이 선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종동부재(38c)와 상기 워엄기어(36)가 이상적으로 치합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종동부재(38c)가 그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유연성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모터(34)가 손상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종동부재(38c)가 상기 워엄기어(36)와 치합되는 부위 부근에서 그 워엄기어(36)를 감싸안은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모터(34)의 회전력이 상기 종동부재(38c)를 통해 상기 회전캠(38a)에 원활하게 전달되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회전캠(38a) 중심과 워엄기어(36)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도 그 종동부재(38c)가 그 워엄기어(36)에 끼이지 않고 원활하게 동작함으로써 마모성이 개선되어 결과적으로 도어록(10) 전체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회전캠(38a)이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회전브라켓(40e)이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5b에 도시한 바와같이 걸림구멍(40b)에 후크(42m)가 수용된다.
상기와 같이 걸림구멍(40b)에 후크(42m)가 수용된 상태에서, 실외측 핸들을 회전시켜 회전디스크(도 5c의 42k)를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하부하우징플레이트(42d,42e)가 동시에 회전하여 푸싱부(42f)가 지지아암(32d)을 화살표 m방향으로 밀어 회동시킨다. 상기 지지아암(32d)은 화살표 m방향으로 밀려 회동하면서 왕복부재(24)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홈(60a)에 걸려있던 데드볼트(18)를 케이스(12) 내부로 당긴다.
상기와 같이 데드볼트(18)가 케이스(12) 내부로 당겨지는 동안, 래치볼트인장링크(44)는 화살표 k방향으로 회동하여 연장로드(46a)를 e방향으로 당긴다. 연장로드(46a)가 e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래치볼트(22)는 케이스(12) 내부로 이동하고 특히 푸싱브라켓(46d)이 화살표 f방향으로 이동하여 더 이상 승강핀(52a)을 지지하지 않는다.
상기 푸싱브라켓(46d)이 승강핀(52a)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푸싱브라켓(46d)의 지지턱(50b)이 상향 회동하여 걸림턱(24c)에 삽입되고 왕복부재(24)의 반대방향 이동을 차단한다.
이 상태에서 도어 외측 핸들을 당겨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특히 도어(62)를 개방하면 관통플레이트(16)가 문틀(60)로부터 이격되고 그에 따라 센서볼트(20)가 도 5d에 도시한 바와같이 화살표 n방향으로 이동하여 승강핀(52a)이 가압 부(50c)로부터 더욱 멀어진다.
이와 같이 승강핀(52a)이 가압부(50c)로부터 이격되어 최대한 좌측으로 이동하므로 만일 도어를 개방하다가 핸들을 (자유로든 타의로든) 놓아 래치볼트(22)가 원위치로 복귀되더라도 승강핀(52a)은 푸싱브라켓(46d)과 만나지 않는다.(도 5d 참조) 즉, 스토퍼부재(50e)가 왕복부재(24)를 계속 걸고 있으므로 데드볼트(18)가 케이스(12)로부터 튀어나오지 않아 도어를 닫는데 방해되지 않는다.
상기 데드볼트(18)는 도어(62)가 닫혀 센서볼트(20)가 문틀(60)에 의해 케이스(12) 내부로 밀려들어가야 비로소 케이스(12)로부터 돌출되어 홈(60a)에 끼워진다. 즉, 상기 데드볼트(18)는 도어(62)가 닫혀 센서볼트(20)가 케이스 내부로 이동하고 또한 래치볼트(22)가 케이스(12) 외부로 돌출됨에 의해 푸싱브라켓(46d)이 승강핀(52a)에 가압되어 도 5a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케이스 외부로 복귀하는 것이다.
결국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실외측 핸들을 돌려 도어를 당기면 도어가 열리고 다시 문을 닫으면 도어가 잠기는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도어록을 열쇠로 개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기계식 열쇠를 이용하여 도어(62)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열쇠구멍(32c)에 열쇠(미도시)를 삽입하고 상기 몸체부(32e)를 화살표 q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상기와 같이 열쇠구멍(32c)을 화살표 q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5a에 설명한 바와같이 지지아암(32d)이 왕복부재(24)를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시키며 데드볼트(18)를 케이 스(12) 내부로 당긴다.
특히 상기 지지아암(32d)을 완전히 이동시켜 제 2지지면(24b)을 화살표 p방향으로 가압하게 하면 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해 왕복부재(24)가 그 자리에 고정된다. 지지아암(32d)이 이와같이 회전한 상태에서는 지지아암(32d)을 지지하는 스프링(28)의 탄성력이 데드볼트(18)를 지지하는 스프링(26)의 탄성력보다 크게 작용한다. 이러한 특성은 기하학적 구조 설계를 통해 얼마든지 가능하다.
여하튼 지지아암(32d)이 제 2지지면(24b)에 임시 고정되어 있는 이상 열쇠구멍으로부터 열쇠를 빼도 데드볼트(18)가 튀어나오지 않는다. 데드볼트(18)가 홈(60a)으로부터 벗어나 있으므로 도어(62)를 개방할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임은 물론이다.
상기 상태에서 도 6b에 도시 한 바와같이 실외측 핸들을 회전하여 회전디스크(42k)를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돌출부(42n)가 회동아암(32b)을 만나 회동아암(32b)을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 이동시킨다. 회동아암(32b)이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지지아암(32d)은 화살표 s방향으로 이동하며 제 2지지면(24b)으로부터 이탈된다.
한편, 상기 지지아암(32d)이 제 2지지면(24b)으로부터 이탈되는 동안 래치볼트인장링크(44)는 화살표 k방향으로 회동하여 푸싱브라켓(46d)을 f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푸싱브라켓(46d)이 화살표 f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승강핀(52a)이 t방향으로 빠지고 스토퍼부재(50e)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걸림턱(24c)을 걸어 왕복부재의 이동을 차단한다.
이 상태에서 도어를 당겨 개방한 후 다시 도어를 닫으면 도 5를 통해 설명한 바와같이 데드볼트(18)가 케이스(12)로부터 튀어나와 도어가 잠긴다.
도 7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도어록을 실내측에서 개방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실내측 핸들을 돌려 핸들 축(54)을 화살표 x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상하부하우징플레이트(42d,42e)가 바로 회전하고 푸싱부(42f)가 지지아암(32d)을 가압 이동시켜 데드볼트(18)를 홈(60a)으로부터 이탈시킨다. 이후의 도어 개방 및 폐쇄 동작원리는 도 5c 및 도 5d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실내측에서는 핸들을 회전시키기만 하면 잠겨있던 도어록이 개방되어 도어를 열 수 있는 것이다. 도어를 다시 닫으면 도어록이 자동으로 잠기게 됨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왕복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도어록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도어록을 비밀번호 입력 방식으로 개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도어록을 열쇠로 개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도어록을 실내측에서 개방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종동부재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도어록 12:케이스 14:내부공간
16:관통플레이트 17:구멍 18:데드볼트
20:센서볼트 22:래치볼트 24:왕복부재
24a:제 1지지면 24b:제 2지지면 24c:걸림턱
24d:절곡턱 26,28:스프링 30:고정벽
32:키장치 32a:돌기 32b:회동아암
32c:열쇠구멍 32d:지지아암 32e:몸체부
34:모터 36:워엄기어 38:제 1회전링크
38a:회전캠 38b:회동축 38c:종동부재
40:제 2회전링크 40a:연결브라켓 40b:걸림구멍
40c:스프링 40d:회동축 40e:회전브라켓
42:왕복부재작동장치 42a:토크인가부 42b:핸들결합구멍
42c:실내핸들결합구멍 42d:상부하우징플레이트 42e:하부하우징플레이트
42f:푸싱부 42k:회전디스크 42m:후크
42n:돌출부 42p:장공 44:래치볼트인장링크
44a:회동축 44b:인장후크 46:래치볼트구동장치
46a:연장로드 46b:스프링 46c:왕복브라켓
46d:푸싱브라켓 48:고정벽 50:스토퍼
50a:회동축 50b:지지턱 50c:가압부
50e:스토퍼부재 50f:스프링 52:스토퍼제어장치
52a:승강핀 52b:스프링 52c:연장로드
52e:핀홀더 54:실내핸들 축 56:견인핀
58:고정벽 60:문틀 60a:홈
62:도어

Claims (10)

  1. 문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실내측 핸들 및 실외측 핸들을 갖는 도어에 내장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 외측으로 탄성 지지되는 왕복부재와;
    상기 왕복부재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왕복부재의 위치이동에 따라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거나 케이스 내부로 들어가는 데드볼트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되 케이스 외부로 개방된 열쇠구멍을 가지고 상기 열쇠구멍에 열쇠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왕복부재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키장치와;
    상기 키장치의 측부에 구비되며 상기 실외측 핸들 및 실내측 핸들에 링크되어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왕복부재를 위치이동 시키는 왕복부재작동장치와;
    상기 왕복부재작동장치에 연결되고 실내외측 핸들을 회전시킬 때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하며 케이스 외측으로 탄성지지되는 왕복브라켓과;
    상기 왕복브라켓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왕복브라켓의 동작에 따라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거나 케이스 내부로 들어가는 래치볼트와;
    상기 데드볼트가 케이스 내부로 이동했을 때 상기 걸림턱을 걸어 데드볼트를 케이스 내부에 임시 고정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측부에 위치하며 도어가 닫힘에 따라 걸림턱으로부터 스토퍼 를 이탈시키는 해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스토퍼의 측부에 위치하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문틀에 눌려 케이스 내측으로 이동하며, 도어를 열었을 때에는 스프링에 의해 케이스 외측방향으로 탄성 이동하는 센서볼트와;
    상기 센서볼트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왕복브라켓의 이동시 왕복브라켓에 의해 상기 스토퍼측으로 이동하여 스토퍼를 걸림턱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회동축을 중앙에 두고 좌우로 연장된 부재로서, 그 일단부에는 상기 걸림턱에 삽입되어 데드볼트를 임시 고정시키는 지지턱이 마련되고,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반대편 단부에는 상기 핀에 의해 밀려 이동함으로써 걸림턱으로부터 지지턱을 분리시키는 가압부를 갖는 스토퍼부재와;
    상기 스토퍼부재의 지지턱을 걸림턱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장치는;
    상기 열쇠구멍이 위치하는 원통형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의 회전시 몸체부를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지지아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왕복부재의 타단부에는, 상기 지지아암의 회동 경로상에 위치하며 몸체부의 회전시 상기 지지아암에 의해 밀려 데드볼트를 케이스 내부로 당기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지지아암이 최대로 회전했을 때 지지아암의 단부를 임시 고정하는 지지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부재작동장치는;
    실내측 핸들에 연결되어 실내측 핸들의 조작시 회전운동하고 그 일측에는 상기 지지아암측으로 연장되어 지지아암을 지지면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푸싱부를 갖는 하우징플레이트와;
    상기 실외측 핸들에 연결되어 실외측 핸들의 조작시 회전운동 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플레이트와 동일한 회전중심축을 가지고 상기 왕복브라켓에 링크되며 실외축 핸들의 조작시 하우징플레이트가 고정된 상태로 회전하여 왕복브라켓을 통해 래치볼트를 케이스 내부로 이동시키는 회전디스크와;
    상기 하우징플레이트와 회전디스크의 사이에 설치되며 필요시 회전디스크를 하우징플레이트에 고정시켜 실외측 핸들의 조작시 하우징플레이트가 회전되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회전디스크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와, 상기 하우징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동운동을 통해 상기 후크에 걸려 회전디스크와 하우징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회전브라켓과, 상기 회전브라켓을 회동시키는 회전브라켓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켓구동부는;
    외부로부터 제공된 전기신호에 의해 동작하고 구동축에 워엄기어가 구비되어 있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회전에 따라 그 일부가 상기 회전브라켓을 가압하여 회전브라켓을 회동시키는 회전캠과,
    상기 회전캠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워엄기어측으로 연장되어 워엄기어의 기어이에 치합되고 워엄기어의 회전에 종동하여 회전캠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캠으로 하여금 회전브라켓을 회동시키게 하는 종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몸체부 외부로 연장되는 회동아암이 더 구비되고,
    상기 회전디스크에는, 상기 회동아암을 가압하여 몸체부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지지면에 임시 고정되어 있는 지지아암을 지지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부재는 스프링강으로 이루어진 선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부재는 상기 위엄기어에 접촉하는 부위 부근에서 굴곡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KR1020070116772A 2007-04-10 2007-11-15 도어록 KR1008958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35151 2007-04-10
KR1020070035151 2007-04-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230A KR20080092230A (ko) 2008-10-15
KR100895874B1 true KR100895874B1 (ko) 2009-04-30

Family

ID=40152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772A KR100895874B1 (ko) 2007-04-10 2007-11-15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8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076B1 (ko) 2012-03-23 2014-05-16 주식회사 금천 도어록용 모티스
KR101467286B1 (ko) * 2013-08-16 2014-12-01 주식회사 아이레보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KR20210029440A (ko) * 2019-09-06 2021-03-16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데드볼트의 걸림방지가 가능한 모티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912Y1 (ko) * 2009-10-14 2012-04-20 주식회사 이랜시스 패닉 기능을 갖는 도어록
KR101123180B1 (ko) * 2011-07-18 2012-03-20 주식회사 하이레버 도어록 개폐장치
KR101200440B1 (ko) * 2011-11-07 2012-11-12 주식회사 하이레버 전자식 개폐장치
KR101440582B1 (ko) * 2013-01-14 2014-09-17 (주)에버넷 도어락 장치
KR101505008B1 (ko) * 2013-04-23 2015-03-23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락 모티스의 에지볼트 조립체
KR101436602B1 (ko) * 2014-03-28 2014-09-02 밀레시스텍(주) 트리거에 의한 록킹볼트의 즉시 잠금 기능을 갖는 모티스 잠금 장치
CN108915375B (zh) * 2018-09-19 2023-12-19 何志勤 密码锁的开锁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512A (ko) * 2002-10-23 2004-04-30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자물쇠
JP2004143754A (ja) 2002-10-23 2004-05-20 Takigen Mfg Co Ltd 電気錠
KR100543831B1 (ko) 2005-04-25 2006-01-20 (주)동광알파 패닉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KR100786338B1 (ko) 2006-11-29 2007-12-14 주식회사 웅진해피올 전자도어락의 백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512A (ko) * 2002-10-23 2004-04-30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자물쇠
JP2004143754A (ja) 2002-10-23 2004-05-20 Takigen Mfg Co Ltd 電気錠
KR100543831B1 (ko) 2005-04-25 2006-01-20 (주)동광알파 패닉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KR100786338B1 (ko) 2006-11-29 2007-12-14 주식회사 웅진해피올 전자도어락의 백셋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076B1 (ko) 2012-03-23 2014-05-16 주식회사 금천 도어록용 모티스
KR101467286B1 (ko) * 2013-08-16 2014-12-01 주식회사 아이레보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KR20210029440A (ko) * 2019-09-06 2021-03-16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데드볼트의 걸림방지가 가능한 모티스
KR102231246B1 (ko) * 2019-09-06 2021-03-23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데드볼트의 걸림방지가 가능한 모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230A (ko) 200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874B1 (ko) 도어록
US8011702B2 (en) Outer operational device for panic exit door lock
US9435143B2 (en) Cylindrical lock with automatic electronic locking function
US20190390478A1 (en) Locking device
JP4926875B2 (ja) シリンダ錠、クラッチ装置、及びこれらシリンダ錠,クラッチ装置を備えた解錠装置
KR101012497B1 (ko) 창문 자동잠금장치
KR101968278B1 (ko)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JP5009078B2 (ja) シリンダ錠及びこれを備えた解錠装置
KR101196054B1 (ko)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록 장치
CN114450460B (zh) 闩锁组件
JP5005459B2 (ja) シリンダ錠及びこれを備えた解錠装置
KR101037203B1 (ko) 개폐 기능이 개선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
JP3710883B2 (ja) 扉用ハンドル装置
TW201407026A (zh) 圓筒鎖保護裝置
KR100922344B1 (ko) 모티스 록 장치
KR100799932B1 (ko) 도어록 장치
KR100713073B1 (ko) 도어락 장치용 락모듈
KR200322393Y1 (ko) 전자도어록
KR100550309B1 (ko) 도어록 장치
KR102599754B1 (ko) 푸시풀 타입 도어락
KR200444843Y1 (ko) 모티스 록 장치
JP2003307058A (ja) カ−ド式錠装置
JP5009080B2 (ja) シリンダ錠及びこれを備えた解錠装置
KR101793491B1 (ko)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
JP5009079B2 (ja) シリンダ錠及びこれを備えた解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