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685B1 -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685B1
KR101664685B1 KR1020150061821A KR20150061821A KR101664685B1 KR 101664685 B1 KR101664685 B1 KR 101664685B1 KR 1020150061821 A KR1020150061821 A KR 1020150061821A KR 20150061821 A KR20150061821 A KR 20150061821A KR 101664685 B1 KR101664685 B1 KR 101664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locking bar
handle
exterio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민
Original Assignee
오세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민 filed Critical 오세민
Priority to KR1020150061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6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동작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연동하여 회전하며 내측으로 돌출된 회동축을 갖는 회동몸체를 포함하며, 상, 하단부에 제1착탈돌기가 구비되는 제1외장부재; 상기 제1외장부재와 마주하여 결합되되, 상기 회동축이 삽입되는 회동축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외장부재의 상, 하단부와 마주하는 부위로 상기 제1착탈돌기와 착탈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분리 가능한 제2착탈돌기가 구비되는 제2외장부재; 도어 측면에 설치되는 도어결합편과, 상기 도어결합편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갖는 잠금 바 인출 부재; 상기 제1, 2외장부재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축의 회동 방향에 따라 수평 이동하여 상기 도어결합편을 통해 선단 부위가 인출되는 잠금 바; 일단부의 호형장공을 통해 상기 잠금 바의 후단에 구비된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회동축을 감싸 고정되며, 판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잠금 바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회동링크; 및 도어 측면과 마주하는 벽체 측면에 설치되되, 걸림공을 구비하여 상기 걸림공 내측으로 상기 잠금 바의 선단이 삽입되어 도어를 잠그는 잠금 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어 잠금장치{LOCKING DEVICE FOR DOOR}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터치 체결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조립성이 우수하며, 복잡한 부속품이 외관을 통해 전혀 드러나지 않아 고급스러운 미감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어 잠금 장치는 랫치 타입이 주종을 이루며, 이는 다시 슬라이드 방식과 회전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대부분의 도어 잠금장치의 경우, 도어의 안쪽 면에 잠금몸체가 형성되는데, 이 잠금몸체에는 손잡이를 갖는 잠금핀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반대로 도어와 마주하는 벽체 쪽에는 잠금핀을 수용하는 잠금핀 수용부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외부인에 의해 도어가 쉽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도어 잠금장치의 경우, 도어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 미감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어 잠금장치를 조립 또는 분해하기가 어려워 내장 부속품의 고장 시 이를 수리하기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손상된 부속품을 교체하기에도 어려움이 따랐다.
따라서, 조립성이 우수하면서도 고급스러운 외관 미감을 가질 수 있는 도어 잠금장치에 대한 개발이 요청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0189호(2007.02.20. 공개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잠금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터치 방식으로 몸체의 체결이 가능하여 조립성이 우수하며, 복잡한 내부 구조가 외관을 통해 전혀 드러나지 않아 심플하고 고급스러운 미감을 가질 수 있는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회전 조작만으로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져 조작 편의성이 우수한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동작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연동하여 회전하며 내측으로 돌출된 회동축을 갖는 회동몸체를 포함하며, 상, 하단부에 제1착탈돌기가 구비되는 제1외장부재; 상기 제1외장부재와 마주하여 결합되되, 상기 회동축이 삽입되는 회동축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외장부재의 상, 하단부와 마주하는 부위로 상기 제1착탈돌기와 착탈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분리 가능한 제2착탈돌기가 구비되는 제2외장부재; 도어 측면에 설치되는 도어결합편과, 상기 도어결합편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갖는 잠금 바 인출 부재; 상기 제1, 2외장부재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축의 회동 방향에 따라 수평 이동하여 상기 도어결합편을 통해 선단 부위가 인출되는 잠금 바; 일단부의 호형장공을 통해 상기 잠금 바의 후단에 구비된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회동축을 감싸 고정되며, 판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잠금 바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회동링크; 및 도어 측면과 마주하는 벽체 측면에 설치되되, 걸림공을 구비하여 상기 걸림공 내측으로 상기 잠금 바의 선단이 삽입되어 도어를 잠그는 잠금 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는, 상기 회동몸체로부터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축은, 상기 회동몸체의 내측 면 중앙에서 상기 손잡이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외장부재, 상기 회동링크, 상기 제2외장부재를 차례로 관통하여 결합되되, 양쪽 단변이 라운드 처리된 사각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2외장부재에 마련된 직선의 가이드 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회동링크의 일단부에 형성된 상기 호형장공 내에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동축의 회전 시, 상기 회동링크의 타단부에 형성된 상기 회동축 체결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동링크의 일단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호형장공 내에 삽입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설정 거리 내에서 상기 가이드 공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잠금 바를 인출 또는 해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동링크의 타단부에는 가압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 돌출부는 상기 판 스프링과 마주하여 접촉되되 상기 회동링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판 스프링은 압축되거나 복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링크의 타단부에서, 상기 회동축 체결부를 둘러싼 부위는 잔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증가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 바의 선단은 후단에 비해 확장된 단면을 가지며, 상기 잠금 바의 선단과 후단 사이에는 라운드 진 형태로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줄어드는 단면적 감소구간이 마련되어, 상기 잠금 바의 선단을 통해 가해진 외력으로부터 보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를 외부로 표시해주는 표시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외장부재의 내측으로부터 서로 간격을 두고 대칭되는 형상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걸림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심플하고 고급스러운 외관 미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회전 조작만으로 도어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손잡이를 통해 잠금 바의 인출 및 삽입을 담당하는 기구적인 동작 구성이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간략히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제1외장부재를 분리하여 도어 잠금장치의 내부 구성을 간략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열림 상태를 간략히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제1외장부재를 분리하여 도어 잠금장치의 내부 구성을 간략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반대편 형상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에서 제1외장부재와 제2외장부재 간의 원터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간략히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제1외장부재를 분리하여 도어 잠금장치의 내부 구성을 간략히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열림 상태를 간략히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제1외장부재를 분리하여 도어 잠금장치의 내부 구성을 간략히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어 잠금장치(100)는 제1외장부재(110), 제2외장부재(120), 잠금 바 인출부재(130), 회동링크(140), 잠금 바(150) 및 잠금 바 걸림부재(170)를 포함한다.
제1외장부재(110)는 회전 동작하는 손잡이(116)와, 상기 손잡이(116)에 연동하여 회전하며 내측으로 돌출된 회동축(113)을 갖는 회동몸체(11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외장부재(110)의 상, 하단부에는 제1착탈돌기(110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착탈돌기(110a)는 상기 제2외장부재(120)의 상, 하단부에 구비된 제2착탈돌기(120a)와 마주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특정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손잡이(116)는 상기 회동몸체(115)의 외측 면을 일(一)자 형태로 가로질러 반원 플레이트 형태로 라운드지게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축(113)은 상기 회동몸체(115)의 내측 면(즉, 손잡이가 구비된 반대측 면) 중앙에서 상기 손잡이(116)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핀 형태로 돌출된다.
특히, 상기 회동축(113)은 상기 회동몸체(115)의 내측 면 중앙에서 상기 손잡이(116)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외장부재(110), 상기 회동링크(140), 상기 제2외장부재(120)를 차례로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축(113)의 단면 형상은 양쪽 단변(즉, 직사각형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한 쌍의 변을 말함)이 라운드 처리된 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외장부재(120)는 상기 제1외장부재(110)와 마주하여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외장부재(120)는 상기 회동축(113)이 삽입되는 회동축 삽입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외장부재(120)의 상, 하단부에는 상기 제1외장부재(110)의 상, 하단부에 구비된 제1착탈돌기(110a)와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 결합되거나 분리 가능한 구조의 제2착탈돌기(120a)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상기 제1착탈돌기(110a)와 상기 제2착탈돌기(120a)가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가 용이해 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에서 제1외장부재와 제2외장부재 간의 원터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외장부재(110)의 제1착탈돌기(110a)와 제2외장부재(120)의 제2착탈돌기(110a)가 서로 마주하여 결합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상기 제1착탈돌기(110a)와 상기 제2착탈돌기(120a)가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가 용이해 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동축 삽입부(124)는 상기 회동축(113)이 연결되도록 상기 회동축(113)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결합 홀을 가질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2외장부재(120)에는 내측 상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절개된 가이드 공(122)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 공(122)을 통해 후술될 잠금 바(150)의 가이드 돌기(155)가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표시부재(2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재(200)는 상기 회동축(113)의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116)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를 외부로 표시해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손잡이(116)의 회전방향에 따라 도어가 잠금 상태일 경우, "사용중" 또는 "CLOSED"등과 같은 문구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으며,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일 경우 "비어있음" 또는 "OPEN" 등과 같은 문구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잠금 바 인출 부재(130)는 도어 측면에 설치되는 도어결합편(131)과, 상기 도어결합편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133)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결합편(131)은 도어 측면에 설치될 수 있는데, 도어에 견고하게 설치되기 위해 체결나사가 체결되는 나사 공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도어결합편(131)에는 중공이 마련되어 잠금 바(150)의 선단(151)이 도어결합편(131)의 중공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잠금 바(150)는 상기 제1외장부재(110)와 상기 제2외장부재(120) 사이로 내장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 바(150)는 상기 회동축(113)의 회동 방향에 따라 수평으로 이동(즉, 전진 및 후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잠금 바(150)의 선단(151)이 상기 도어결합편(131)의 바깥 쪽으로 전진하여 도어의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잠금 바(150)의 선단(151)이 상기 도어결합편(131)의 안쪽으로 후퇴하여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잠금 바(150)의 선단(151)은 후단(153)에 비해 단면이 확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 바의 선단(151)과 후단(153) 사이에는 라운드 처리되어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줄어드는 라운드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잠금 바(150)의 선단(151)을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잠금 바(150)의 후단(153)에는 측면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1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155)는 상기 제2외장부재(120)에 마련된 가이드 공(122)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돌기(155)는 후술할 회동링크(140)의 일단부에 마련된 호형장공(142)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링크(140)의 타단부에는 회동축(113)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상기 손잡이(116)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동축(113)이 회전하면, 상기 회동링크(140)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링크(140)는 호형장공(142), 가이드 돌기(155) 및 가이드 공(122) 간의 기구적 메커니즘에 따라 잠금 바(150)는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가능하게 해줄 수 있다.
회동링크(140)는 회전축(113)의 회전에 연동하여 잠금 바(150)를 수평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회동링크(140)는 상기 제1외장부재(110)와 상기 제2외장부재(120) 사이에 내장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회동링크(140)의 일단부에는 호형장공(142)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회동축(113)과 고정되는 링크몸체(141)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회동링크(140)의 일단부에 마련된 호형장공(142)을 통해 상기 잠금 바의 후단(153)에 구비된 가이드 돌기(155)가 삽입되고, 상기 회동링크(140)의 타단부는 상기 회동축(113)을 감싸 고정된다.
이를 위해 회동링크(140)의 타단부에는 회동축 체결부(144)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113)의 회전에 연동하여 동작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동축 체결부(144)는 상기 회동축(113)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양쪽 단면이 라운드 처리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링크(140)의 타단부에서 상기 회동축 체결부(144)를 둘러싼 부위에는 나머지 부위, 즉 잔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증가한 형상을 갖는 것이 좋다.
이는, 회동축과의 결합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하는 부위로서, 나머지 부위에 비해 구조적으로 취약해 질 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보강된 구조를 가지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회동링크(140)의 타단부에는 가압 돌출부(1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 돌출부(143)는 상기 판 스프링(145)과 마주하여 접촉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동링크(140)가 회전할 때, 상기 판 스프링(145)은 탄성 압축되거나 탄성 복원되는 거동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동링크(140)가 상기 제2외장부재(120) 내에서 회전함에 있어, 상기 회동링크(140)의 최대 회전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제2외장부재(120)에는 한 쌍의 걸림돌기(12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한 쌍의 걸림돌기(126)는 상기 회동링크(140)를 사이에 두고 서로 간격을 두고 대칭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2외장부재(120)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잠금 바 걸림부재(170)는 벽체의 측면에 고정되는 벽체결합편(171)과, 상기 벽체결합편(171)과 마주하여 배치되는 연결플레이트(17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잠금 바 걸림부재(170)에는 착탈돌기(170a)가 구비되며, 상기 착탈돌기(170a)는 상기 잠금 바 걸림부재(17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177) 쪽의 착탈돌기(177a)와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벽체결합편(171)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공(175)을 통해 잠금 바(150)의 선단(151)이 진입하여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반대편 형상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점선으로 나타난 부위에서 제1, 2착탈돌기(110a, 120a) 간의 원터치 결합이 이루어지거나 결합상태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잠금 바 걸림부재(170)에도 착탈돌기(170a)가 구비되고, 이와 마주하여 결합부재(177)에도 착탈돌기(177a)가 구비되어, 상호 간에 원터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심플하고 고급스러운 외관 미감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간단한 회전 조작만으로 도어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회전 손잡이를 통해 잠금 바의 인출 및 삽입을 담당하는 기구적인 동작 구성이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인 도어 잠금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리고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도어 잠금장치 110: 제1외장부재
110a: 제1착탈돌기 113: 회동축
114: 회동축 삽입부 116: 손잡이
120: 제2외장부재 120a: 제2착탈돌기
122: 가이드 공 124: 회동축 삽입부
126: 걸림돌기
130: 잠금 바 인출부재 131: 도어결합편
133: 지지플레이트 140: 회동링크
141: 링크몸체 142: 호형장공
143: 가압 돌출부 144: 회동축 체결부
145: 판 스프링 150: 잠금 바
151: 잠금 바의 선단 153: 잠금 바의 후단
155: 가이드 돌기 170: 잠금 바 걸림부재
170a: 착탈돌기 171: 벽체결합편
173: 연결플레이트 175: 걸림공
177: 결합부재 177a: 착탈돌기
200: 표시부재

Claims (7)

  1. 회전 동작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연동하여 회전하며 내측으로 돌출된 회동축을 갖는 회동몸체를 포함하며, 상, 하단부에 제1착탈돌기가 구비되는 제1외장부재; 상기 제1외장부재와 마주하여 결합되되, 상기 회동축이 삽입되는 회동축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외장부재의 상, 하단부와 마주하는 부위로 상기 제1착탈돌기와 착탈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분리 가능한 제2착탈돌기가 구비되는 제2외장부재; 도어 측면에 설치되는 도어결합편과, 상기 도어결합편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갖는 잠금 바 인출 부재; 상기 제1, 2외장부재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축의 회동 방향에 따라 수평 이동하여 상기 도어결합편을 통해 선단 부위가 인출되는 잠금 바; 일단부의 호형장공을 통해 상기 잠금 바의 후단에 구비된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회동축을 감싸 고정되며, 판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회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잠금 바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회동링크; 및 도어 측면과 마주하는 벽체 측면에 설치되되, 걸림공을 구비하여 상기 걸림공 내측으로 상기 잠금 바의 선단이 삽입되어 도어를 잠그는 잠금 바 걸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2외장부재에 마련된 직선의 가이드 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회동링크의 일단부에 형성된 상기 호형장공 내에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링크의 타단부에는 상기 판 스프링과 마주하여 접촉되는 가압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링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판 스프링은 압축되거나 복원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잠금 바의 선단은, 후단에 비해 확장된 단면을 가지되, 상기 잠금 바의 선단과 후단 사이에는 라운드 진 형태로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줄어드는 단면적 감소구간이 마련되고,
    상기 제2외장부재의 내측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외장부재를 향해 돌출되는 한 쌍의 걸림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호형장공에 삽입된 상기 가이드 돌기와 함께 상기 한 쌍의 걸림돌기는 상기 회동링크의 최대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회동몸체로부터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은,
    상기 회동몸체의 내측 면 중앙에서 상기 손잡이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외장부재, 상기 회동링크, 상기 제2외장부재를 차례로 관통하여 결합되며, 양쪽 단변이 라운드 처리된 사각단면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를 외부로 표시해주는 표시부재를 더 포함하는 도어 잠금 장치.
  7. 삭제
KR1020150061821A 2015-04-30 2015-04-30 도어 잠금장치 KR101664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821A KR101664685B1 (ko) 2015-04-30 2015-04-30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821A KR101664685B1 (ko) 2015-04-30 2015-04-30 도어 잠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070A Division KR101685332B1 (ko) 2016-09-30 2016-09-30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685B1 true KR101664685B1 (ko) 2016-10-12

Family

ID=57173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821A KR101664685B1 (ko) 2015-04-30 2015-04-30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6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442B1 (ko) * 2018-06-15 2019-05-24 오세민 항균 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309Y1 (ko) * 2000-12-27 2001-05-15 주식회사베스트메탈라인 매립형 보조 자물쇠
KR20050110731A (ko) * 2004-05-19 2005-11-23 박지순 도어록 장치
KR100849524B1 (ko) * 2007-03-14 2008-07-31 (주)엔담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309Y1 (ko) * 2000-12-27 2001-05-15 주식회사베스트메탈라인 매립형 보조 자물쇠
KR20050110731A (ko) * 2004-05-19 2005-11-23 박지순 도어록 장치
KR100849524B1 (ko) * 2007-03-14 2008-07-31 (주)엔담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442B1 (ko) * 2018-06-15 2019-05-24 오세민 항균 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240540A (ja) 自動ラッチ掛け式磁気ラッチ掛け器具
KR101433136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101011262B1 (ko) 작동실용성을 갖는 슬라이딩식 사물함 잠금구조
US9771744B2 (en) Glove box for vehicle
KR101685332B1 (ko) 도어 잠금장치
KR101664685B1 (ko) 도어 잠금장치
JP4205081B2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KR100630388B1 (ko) 밀폐형 도어핸들의 결합구조
CN205369437U (zh) 改进固定方框和面支架连接的隐藏式冲厕水箱
KR101943733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CN107100455B (zh) 移门用门锁
CN205591653U (zh) 门把手结构
JP5121260B2 (ja) 家具における扉のラッチ装置
KR101963357B1 (ko) 도어 잠금장치
JP3591780B2 (ja) 引戸扉のロック構造
KR101411269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KR101982442B1 (ko) 항균 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
JP4273552B2 (ja) 建具の施錠機構
KR101458924B1 (ko) 도어용 잠금장치
CN1333147C (zh) 管式门闩
KR102474427B1 (ko) 차량용 수납형 키 유닛
KR200473055Y1 (ko)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설치장치
CN211776617U (zh) 脱扣单元及使用该脱扣单元的电磁屏蔽门
KR102151621B1 (ko) 방 개폐 장치
CN210370204U (zh) 一种门窗锁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