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055Y1 -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055Y1
KR200473055Y1 KR2020120011937U KR20120011937U KR200473055Y1 KR 200473055 Y1 KR200473055 Y1 KR 200473055Y1 KR 2020120011937 U KR2020120011937 U KR 2020120011937U KR 20120011937 U KR20120011937 U KR 20120011937U KR 200473055 Y1 KR200473055 Y1 KR 2004730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member
door
door lock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정호
Original Assignee
남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정호 filed Critical 남정호
Priority to KR2020120011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0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0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lass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화유리도어의 통공에 설치된 고정부재와 실외손잡이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개폐부재의 상향회전으로 안내장공을 개방시킨 후, 도어록을 강화유리도어에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개방된 안내장공을 개폐부재의 하향회전으로 실내,외측작동부에 면접촉되어 폐쇄시켜 도어록의 미관을 미려하게 하는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설치장치{Device installed door lock of tempered glass door}
본 고안은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화유리도어의 통공에 설치된 고정부재와 실외손잡이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개폐부재의 상향회전으로 안내장공을 개방시킨 후, 도어록을 강화유리도어에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개방된 안내장공을 개폐부재의 하향회전으로 실내,외측작동부에 면접촉되어 폐쇄시켜 도어록의 미관을 미려하게 하는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화유리란, 원판유리를 용도에 맞게 절단하여 강화공정을 위해 4변을 다듬고, 유리를 세척 및 건조시키며 마킹한 후, 가열로(furnace)의 과정을 거처 급냉(quenching)시키면 일반유리와 투시성이 동일하면서도 충격에 4~5배 이상으로 강한 강화유리가 된다.
상기 강화유리는 보통 3~19mm의 두께를 형성하며, 표면에 생긴 압축능력과 내부에 생긴 인장능력으로 인하여 일반 유리보다 쉽게 파손되지 않고, 파손시에 입자가 날카롭지 않은 조각으로 부서지는 특징이 있어 안전이 요구되는 장소에 적합하므로 사람들의 왕래가 빈번한 병원이나 학교 및 건물과 상점의 출입문, 주거공간의 진열장과 유리가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강화유리로 제작된 강화유리도어에 설치되는 도어록(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형으로 절곡된 지지부재(11)에 실내,외측작동부(12)(13)가 장착되어 키실린더와 레버의 작동에 의해 잠금봉(14)이 출몰되면서 문틀(14)의 걸림홈(14')에 끼워지거나 빠져나오면서 강화유리도어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것이다.
상기 도어록(1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실내,외측작동부(12)(13)가 장착된 지지부재(11)를 강화유리도어(20)의 일측을 기점으로 끼워결합하여 실내,외측작동부(12)(13)에 관통된 안내장공(12')(13')이 강화유리도어(20)의 통공(21)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면, 실외측작동부(13)의 안내장공(13')에 실외손잡이(30)를 밀착시킨 후, 실내측작동부(12)의 안내장공(12')를 통해 고정부재(31)가 실외손잡이(30)에 체결되어 고정되면서 도어록(10)의 설치가 완료되었다.
그러나 상기 도어록을 설치하기 위해, 강화유리도어의 통공에 설치된 고정부재와 실외손잡이를 완전히 분리한 상태에서 설치하여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복잡하여 신속한 설치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아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인건비의 상승으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강화유리도어의 통공에 설치된 고정부재와 실외손잡이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개폐부재의 상향회전으로 안내장공을 개방시킨 후, 도어록을 강화유리도어에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설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개방된 안내장공을 개폐부재의 하향회전으로 실내,외측작동부에 면접촉되어 폐쇄시키므로 도어록의 미관을 미려하는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설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설치장치는,
실외측작동부의 길이방향으로 단부가 개방되는 안내장공과;
상기 실외측작동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개폐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안내장공의 개방된 단부를 폐쇄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설치장치는,
실내,외측작동부의 길이방향으로 단부가 개방되는 안내장공과;
상기 실내,외측작동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개폐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안내장공의 개방된 단부를 폐쇄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강화유리도어의 통공에 설치된 고정부재와 실외손잡이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개폐부재의 상향회전으로 안내장공을 개방시킨 후, 도어록을 강화유리도어에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공정의 단축으로 작업능률 향상 및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개방된 안내장공을 개폐부재의 하향회전으로 실내,외측작동부에 면접촉되어 폐쇄시키므로 도어록의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도어록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제1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실외측작동부를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 제2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실내측작동부를 나타낸 배면도
도 6은 도 4의 실외측작동부를 나타낸 배면도
도 7 내지 도 11은 본 고안 제2실시예의 설치상태 과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 제1실시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실외측작동부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본 고안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설치장치(100)는, 실외측작동부(13)의 길이방향으로 단부가 개방되는 안내장공(110)이 구성되고, 상기 실외측작동부(13)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개폐부재(130)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축(120)이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안내장공(110)의 개방된 단부를 폐쇄시키는 개폐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개폐부재(130)는, 상기 안내장공(110)의 개방된 단부를 개폐하도록 실외측작동부(13) 단부에 면접촉되는 개폐몸체(131)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몸체(131)의 일측에 관통되어 회전축(120)이 결합되는 결합공(132)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개폐부재(130)와 실외측작동부(13)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개폐부재(130)의 일측에 고정홈(141')이 요입되는 탄성편(141)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홈(141')에 결합되도록 실외측작동부(13) 내면에 돌출되는 고정돌기(14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본 고안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설치장치(1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외측작동부(12)(13)의 길이방향으로 단부가 개방되는 안내장공(110)이 구성되고, 상기 실내,외측작동부(12)(13)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개폐부재(130)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축(120)이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안내장공(110)의 개방된 단부를 폐쇄시키는 개폐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개폐부재(130)는, 상기 안내장공(110)의 개방된 단부를 개폐하도록 실내,외측작동부(12)(13) 단부에 면접촉되는 개폐몸체(131)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몸체(131)의 일측에 관통되어 회전축(120)이 결합되는 결합공(132)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개폐부재(130)와 실외측작동부(13)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개폐부재(130)의 일측에 고정홈(141')이 요입되는 탄성편(141)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홈(141')에 결합되도록 실내,외측작동부(12)(13) 내면에 돌출되는 고정돌기(14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 및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안내장공(110)의 단부가 개방된 도어록(10)의 실외측작동부(13) 내면으로부터 회전축(120)이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120)에 개폐부재(130)의 결합공(132)이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120)에 별도의 축고정부재(120')를 체결하여 개폐부재(13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회전축(12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폐몸체(131)가 실외측작동부(13) 단부에 면접촉되면서 안내장공(110)을 폐쇄시키는 도어록 설치장치(100)의 결합이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재(130)와 실외측작동부(13)를 고정부(140)로 고정시킬 수 있는데, 상기 고정부(140)의 탄성편(141)에 요입된 고정홈(141')이 실외측작동부(13) 내면에 돌출된 고정돌기(142)에 결합되면서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안내장공(110)의 단부가 개방된 도어록(10)의 실내,외측작동부(12)(13) 내면으로부터 회전축(120)이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120)에 개폐부재(130)의 결합공(132)이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120)에 별도의 축고정부재(120')를 체결하여 개폐부재(13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회전축(12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폐몸체(131)가 실내,외측작동부(12)(13) 단부에 면접촉되면서 안내장공(110)을 폐쇄시키는 도어록 설치장치(100')의 결합이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재(130)와 실내,외측작동부(12)(13)를 고정부(140)로 고정시킬 수 있는데, 상기 고정부(140)의 탄성편(141)에 요입된 고정홈(141')이 실내,외측작동부(12)(13) 내면에 돌출된 고정돌기(142)에 결합되면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도어록 설치장치(100)가 결합된 실외측작동부(13) 만을 'ㄷ'자형의 지지부재(11)에 장착한 후, 실외측작동부(130가 장착된 지지부재(11)를 강화유리도어(20)에 설치할 수 있고, 상기 도어록 설치장치(100')가 결합된 실내,외측작동부(12)(13)를 'ㄷ'자형의 지지부재(11)에 장착한 후, 실내,외측작동부(12)(13)가 장착된 지지부재(11)를 강화유리도어(20)에 설치할 수도 있는데, 하기에서는 실내,외작동부(12)(13)가 장착된 'ㄷ'자형의 지지부재(11)를 강화유리도어(20)에 설치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어록 설치장치(100)(1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강화유리도어(20)의 통공(21)에 설치된 고정부재(3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실외손잡이(30)와의 체결력을 완화시켜 고정부재(31)와 실외손잡이(30)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하는데, 상기 실내,외측작동부(12)(13)의 안내장공(110)이 결합될 수 있을 정도로만 고정부재(31)의 체결력을 완화시키며, 이 상태에서는 고정부재(31)와 실외손잡이(30)가 분리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실내,외측작동부(12)(13)에 장착된 도어록 설치장치(100')의 개폐부재(130)를 회전시키려고 잡아당기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130)와 실내,외측작동부(12)(13)를 고정시킨 고정부(140)의 탄성편(141)은 개폐부재(130)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폐부재(130)의 이동에 따라 탄성편(141)의 고정홈(141')이 고정돌기(142)에서 이탈됨은 물론 고정돌기(142)에서 고정홈(141')이 이탈되면, 상기 개폐부재(130)는 회전축(120)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면서 안내장공(110)을 개방한다.
상기의 과정으로 안내장공(110)이 개방된 도어록(10)을 강화유리도어(20)의 통공(21)과 동일 선상으로 일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힘을 가하면,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록(10)의 실내,외측작동부(12)(13)가 강화유리도어(20)의 양면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실내,외측작동부(12)(13)에 형성된 안내장공(110)이 고정부재(31)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안내장공(110)이 개방된 실내,외측작동부(12)(13) 외면에는 고정부재(31)와 실외측손잡이(30)가 각각 위치함은 물론 상기 지지부재(11)는 강화유리도어(20)에 끼워 결합된다.
상기 강화유리도어(20)에 지지부재(11)가 끼워 결합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록 설치장치(100')의 개폐부재(130)를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부재(130)는 회전축(120)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부재(130)에 형성된 고정부(140)의 탄성편(141)이 고정돌기(142)에 결합되는데, 상기 탄성편(141)의 탄력으로 벌어지면서 고정홈(141')이 고정돌기(142)에 결합된 후, 탄성편(141)은 복원되면서 개폐부재(130)와 실내,외측작동부(12)(13)는 고정부(140)에 의해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개폐부재(130)와 실내,외측작동부(12)(13)가 고정부(140)에 의해 고정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측작동부(12)에 위치한 고정부재(31)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부재(31)가 실외손잡이(30)에 체결됨과 동시에 고정부재(31)와 실외손잡이(30)는 실내,외측작동부(12)(13)로 이동되어 실내,외측작동부(12)(13) 외면을 가압하면서 도어록(10)의 설치가 완료되며, 상기 도어록(10)의 설치과정이 간소화되어 작업능률의 향상으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고안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100': 도어록 설치장치 110: 안내장공
120: 회전축 130: 개폐부재
140: 고정부

Claims (5)

  1. 실외측작동부의 길이방향으로 단부가 개방되는 안내장공과;
    상기 실외측작동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개폐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안내장공의 개방된 단부를 폐쇄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설치장치.
  2. 실내,외측작동부의 길이방향으로 단부가 개방되는 안내장공과;
    상기 실내,외측작동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개폐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안내장공의 개방된 단부를 폐쇄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설치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안내장공의 개방된 단부를 개폐하도록 실내,외측작동부 단부에 면접촉되는 개폐몸체와;
    상기 개폐몸체의 일측에 관통되어 회전축이 결합되는 결합공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설치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와 실내,외측작동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설치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개폐부재의 일측에 고정홈이 요입되는 탄성편과;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도록 실내,외측작동부 내면에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설치장치.
KR2020120011937U 2012-12-18 2012-12-18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설치장치 KR2004730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937U KR200473055Y1 (ko) 2012-12-18 2012-12-18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937U KR200473055Y1 (ko) 2012-12-18 2012-12-18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설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055Y1 true KR200473055Y1 (ko) 2014-06-13

Family

ID=51490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937U KR200473055Y1 (ko) 2012-12-18 2012-12-18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0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247B1 (ko) * 2016-03-24 2018-01-10 (주)에버넷 디지털 도어락의 브래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874Y1 (ko) 2003-11-25 2004-02-05 하양기 출입문용 유리문의 잠금부재
KR200441154Y1 (ko) 2007-01-03 2008-07-25 주식회사 원택 강화유리문 도어록 고정장치
KR100883230B1 (ko) 2007-02-28 2009-02-13 남정호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밀림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도어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874Y1 (ko) 2003-11-25 2004-02-05 하양기 출입문용 유리문의 잠금부재
KR200441154Y1 (ko) 2007-01-03 2008-07-25 주식회사 원택 강화유리문 도어록 고정장치
KR100883230B1 (ko) 2007-02-28 2009-02-13 남정호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밀림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도어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247B1 (ko) * 2016-03-24 2018-01-10 (주)에버넷 디지털 도어락의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6442B2 (ja) レールで案内される走行装置をロックするためのロック装置
US9410360B2 (en) Door assembly
KR101188995B1 (ko) 도어락
US10422164B2 (en) Lock body with adjustable strike plate for sliding doors
KR20160000788A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KR20180065173A (ko) 잠금장치를 포함한 창호용 그립 손잡이
KR101533194B1 (ko)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1375776B1 (ko) 푸쉬 앤 풀 열림방식의 도어록
KR200473055Y1 (ko)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설치장치
KR101491072B1 (ko)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구조
KR200452186Y1 (ko) 매립형 창문 잠금장치
KR100716026B1 (ko)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
KR20100104169A (ko) 천장 점검구
JP6251140B2 (ja) 施錠装置
KR200384262Y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 장치
KR200442346Y1 (ko) 장롱의 슬라이딩 도어 이탈방지장치
KR200454866Y1 (ko) 도어 핸들
KR101661462B1 (ko) 미닫이 문 잠금장치
KR200423277Y1 (ko) 도어록 손잡이의 이중 안전장치
KR102248001B1 (ko)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
JP7337227B2 (ja) 建具
KR20120002344U (ko) 미닫이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장치
KR101296443B1 (ko) 도어 조립체
WO2010081389A1 (zh) 门窗执手
KR100873735B1 (ko) 강화유리 도어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