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072B1 -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072B1
KR101491072B1 KR20130166659A KR20130166659A KR101491072B1 KR 101491072 B1 KR101491072 B1 KR 101491072B1 KR 20130166659 A KR20130166659 A KR 20130166659A KR 20130166659 A KR20130166659 A KR 20130166659A KR 101491072 B1 KR101491072 B1 KR 101491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lock
rotation
door lock
tempered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66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5230A (ko
Inventor
남정호
Original Assignee
남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정호 filed Critical 남정호
Priority to KR20130166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072B1/ko
Publication of KR20140015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5230A/ko
Priority to CN201410841844.9A priority patent/CN10474696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lass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화유리도어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록의 외측잠금부를 선택적으로 180°회전시켜 우수형 및 좌수형의 강화유리도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디지털 도어록이 강화유리도어에 장착될 때, 디지털 도어록의 탄성편이 강화유리도어의 가압으로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로 결합되어 디지털 도어록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견고하게 설치하여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구조{Digital door lock installation structure for tempered glass door}
본 발명은 강화유리도어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화유리도어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록의 외측잠금부를 선택적으로 180°회전시켜 우수형 및 좌수형의 강화유리도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화유리란, 원판유리를 용도에 맞게 절단하여 강화공정을 위해 4변을 다듬고, 유리를 세척 및 건조시켜 마킹한 후, 가열로(furnaec)의 과정을 거쳐 급냉(quenching)시키면 일반유리와 투시성이 동일하면서도 충격이 4~5배 이상으로 강한 강화유리가 된다.
상기 강화유리는 보통 3~19mm 의 두께를 형성하며, 표면에 생긴 압축능력과 내부에 생긴 인장능력으로 인하여 일반유리보다 쉽게 파손되지 않고, 파손시에 입자가 날카롭지 않은 조각으로 부서지는 특징이 있어 안전이 요구되는 장소에 적합하므로, 사람들의 왕래가 빈번한 병원이나 학교의 출입문 및 주거공간의 진열장과 유리가구, 각종도어와 산업용 강화유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강화유리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록(digital door lock)은 기존의 열쇠 대신 비밀번호나 반도체칩, 스마트카드, 지문 등으로 설정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장치이나, 디지털 도어록이 'ㄷ'자형의 브라켓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강화유리문이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우수형에는 적용이 가능하나, 왼쪽으로 회전하는 좌수형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수형의 디지털 도어록을 별도로 구입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성 및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7697호로 디지털 도어록의 아웃바디 결합구조가 등록된바 있다.
선 등록된 특허는, 브래킷의 전면판에 장착된 회전판에 아웃바디의 한 쌍의 결합홀 중 어느 하나의 결합홀이 장착되는 구성으로, 아웃바디에서 회전판의 결합부를 회전시켜 결합홀과 동일선상이 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판에서 아웃바디를 분리한 후, 회전시켜 아웃바디의 다른 결합홀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공정이 복잡하여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도어록의 외측잠금부를 선택적으로 180°회전시켜 우수형 및 좌수형의 강화유리도어에 외측잠금부의 숫자판이 상향에 위치하도록 설치할 수 있는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도어록이 강화유리도어에 장착될 때, 디지털 도어록의 탄성편이 강화유리도어의 가압으로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로 결합되어 디지털 도어록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견고하게 설치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구조는,
강화유리도어의 측면에 결합되는 'ㄷ'자형의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디지털 도어록의 외측잠금부가 180°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우수형 및 좌수형에 따라 외측잠금부의 숫자판이 상향으로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설치회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구조는,
강화유리도어의 측면에 결합되는 'ㄷ'자형의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는 디지털 도어록의 내,외측잠금부와;
상기 디지털 도어록이 장착된 브라켓이 강화유리도어에 설치될 때, 디지털 도어록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도어록의 외측잠금부를 선택적으로 180°회전시켜 우수형 및 좌수형의 강화유리도어에 외측잠금부의 숫자판이 상향에 위치하도록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의 향상으로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 증대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도어록이 강화유리도어에 장착될 때, 디지털 도어록의 탄성편이 강화유리도어의 가압으로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로 결합되어 디지털 도어록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견고하게 설치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설치과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구조(100)는, 강화유리도어(10)의 측면에 결합되는 'ㄷ'자형의 브라켓(110)이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110)에 디지털 도어(10)록의 외측잠금부(22)가 180°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우수형 및 좌수형에 따라 외측잠금부(22)의 숫자판이 상향으로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설치회전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치회전부(120)는, 상기 브라켓(110)의 중앙에 관통된 관통공(121)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공(121)을 통해 외측잠금부(22)에 장착되는 장착부재(122)가 구비되며, 상기 장착부재(122)가 장착되도록 외측잠금부(22)에 형성되는 장착공(123)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설치회전부(120)의 회전을 안내하면서 도어록(20)의 외측잠금부(22)가 브라켓(11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보강하는 보강지지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강지지부(130)는, 상기 브라켓(110)의 상단부에 절곡된 지지안내돌기(13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안내돌기(131)에 결합되도록 외측잠금부(22)에 요입된 지지안내홈(132)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설치회전부(120)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제어부(140)는, 상기 브라켓(110)의 일측에 돌출된 회전제어편(141)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제어편(141)을 수용하여 회전하도록 외측잠금부(22)에 반원형상으로 요입된 회전제어홈(142)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회전제어편(142)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회전제어홈(142)에 돌출된 회전제어돌기(143)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구조(100')는, 강화유리도어(10)의 측면에 결합되는 'ㄷ'자형의 브라켓(110)이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110)에 디지털 도어록(20)의 내,외측잠금부(21)(22)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110)이 강화유리도어(10)에 설치될 때, 외측잠금부(22)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유동방지부(150)는, 상기 브라켓(110)에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유동방지편(151)이 구비되고, 상기 유동방지편(151)이 강화유리도어(10)의 가압으로 브라켓(11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돌출되는 유동방지편(151)이 결합되도록 외측잠금부(22)에 요입된 유동방지홈(152)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유동방지홈(152)은, 상기 외측잠금부(22)의 180°회전시, 유동방지편(151)이 결합되도록 대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작 및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유리도어(10)의 측면에 결합되는 'ㄷ'자형 브라켓(110)을 형성하는데, 상기 브라켓(110)의 중앙에 설치회전부(120)의 관통공(121)이 관통되면서 장착부재(122)의 머리 부분을 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경사지게 돌출되어야 한다.
상기 브라켓(110)의 전면에 디지털 도어록(20)의 외측잠금부(22)를 밀착시키면, 상기 설치회전부(120)의 관통공(121)과 외측잠금부(22)의 장착공(123)이 동일선상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관통공(121)을 통해 장착공(123)에 장착부재(122)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외측잠금부(22)는 장착부재(12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여야 하며, 강화유리도어(10)가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우수형이나 왼쪽으로 회전하는 좌수형 중 어느 하나를 기준, 즉 우수형을 기준으로 외측잠금부(22)의 숫자판이 반도체칩이나 스마트카드로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해제부(22')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숫자가 작은 숫자부터 큰 숫자로 순서대로 나열되도록 브라켓(110)의 후면에 내측잠금부(21)를 장착한 디지털 도어록(2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디지털 도어록(20)을 우수형의 강화유리도어(10)에 설치하여 강화유리도어(10)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면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도어록(20)을 좌수형의 강화유리도어(10)에 설치하면, 외측잠금부(22)의 숫자판이 잠금해제부(22')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큰 숫자부터 작은 숫자로 역순으로 나열됨에 따라 사용이 불편함으로 외측잠금부(22)를 180°회전시킨다.
상기 외측잠금부(22)는 설치회전부(120)의 장착부재(122)를 중심으로 180°회전하여 외측잠금부(22)의 숫자판이 잠금해제부(22')보다 상부에 위치하면서 작은 숫자부터 큰 숫자로 순서대로 나열되며, 이 상태로 강화유리도어(10)에 디지털 도어록(20)을 설치하여 강화유리도어(10)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면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잠금부(22)를 설치회전부(120)에 의해 브라켓(110)에 장착할 때, 상기 외측잠금부(22)가 브라켓(11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데, 상기 외측잠금부(22)에 요입된 보강지지부(130)의 지지안내홈(132)이 브라켓(110)에 구비된 지지안내돌기(131)에 결합되면서 지지안내돌기(131)와 지지안내홈(132)의 결합력에 따라 외측잠금부(22)가 브라켓(1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우수형의 강화유리도어(10)에 장착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도어록(20)을 좌수형의 강화유리도어(10)에 장착하려면, 상기 디지털 도어록(20)의 외측잠금부(22)를 180°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외측잠금부(22)는 설치회전부(120)의 장착부재(122)를 중심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브라켓(110)의 상단부에 형성된 보강지지부(130)의 지지안내돌기(131)에서 외측잠금부(22)의 지지안내홈(132)이 이탈하여 회전하면서 브라켓(1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지지안내돌기(131)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디지털 도어록(20)을 좌수형의 강화유리도어(10)에 장착하려고, 상기 디지털 도어록(20)의 외측잠금부(22)를 180°회전시킬 때, 외측잠금부(22)는 설치회전부(120)를 중심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제어부(140)에 의해 외측잠금부(22)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데, 상기 회전제어부(140)는, 브라켓(110)에 돌출된 회전제어편(141)을 따라 반원형상으로 외측잠금부(22)에 요입된 회전제어홈(142)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제어홈(142)에 돌출된 회전제어돌기(143)가 회전제어편(141)을 통과하면서 외측잠금부(22)가 회전함과 동시에 반원형의 회전안내홈(142)이 회전제어편(141)을 따라 회전하므로 외측잠금부(22)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안내홈(142)의 일측에 위치한 회전제어편(141)이 회전제어홈(142)의 타측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안내홈(142)의 타측에 위치한 회전제어편(141)은 회전안내홈(142)이 회전하면서 회전안내홈(142)에 돌출된 회전제어돌기(143)를 통과하여 회전안내홈(142)과 회전제어돌기(143)이 사이에 위치하면서 외측잠금부(22)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잠금부(22)가 180°회전하지 않은 디지털 도어록(20)을 우수형의 강화유리도어(10)에 설치하거나, 외측잠금부(22)가 180°회전한 디지털 도어록(20)을 좌수형의 강화유리도어(10)에 설치하려고, 디지털 도어록(20)이 장착된 브라켓(110)을 강화유리도어(10)의 측면에 결합할 때, 상기 브라켓(11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유동방지부(150)의 유동방지편(151)이 강화유리도어(10)의 측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강화유리도어(10)의 가압력으로 브라켓(110)의 외측방향으로 밀려나게 되고, 외측방향으로 밀려난 유동방지편(151)은 외측잠금부(22)에 형성된 유동방지홈(152)에 결합되면서 외측잠금부(22)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동방지홈(152)은 상기 외측잠금부(22)가 180°회전하거나 회전하지 않을 경우에도 유동방지편(151)이 결합되어야 함으로 설치회전부(120)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정으로 강화유리도어(10)에 설치된 디지털 도어록(20)에 의해 강화유리도어(10)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설정된 잠금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100':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구조
110: 브라켓 120: 설치회전부
130: 보강지지부 140: 회전제어부
150: 유동방지부

Claims (10)

  1. 강화유리도어의 측면에 결합되는 'ㄷ'자형의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디지털 도어록의 외측잠금부가 180°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우수형 및 좌수형에 따라 외측잠금부의 숫자판이 상향으로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설치회전부와;
    상기 설치회전부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돌출된 회전제어편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제어편을 수용하여 회전하도록 외측잠금부에 반원형상으로 요입된 회전제어홈이 구비된 회전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회전부는,
    상기 브라켓의 중앙에 관통된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측잠금부에 장착되는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가 장착되도록 외측잠금부에 형성되는 장착공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회전부의 회전을 안내하면서 도어록의 외측잠금부가 브라켓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보강하는 보강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강지지부는,
    상기 브라켓의 상단부에 절곡된 지지안내돌기와;
    상기 지지안내돌기에 결합되도록 외측잠금부에 요입된 지지안내홈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구조.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편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회전제어홈에 돌출된 회전제어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 디지털 도어록의 내,외측잠금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이 강화유리도어에 설치될 때, 외측잠금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브라켓에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유동방지편과;
    상기 유동방지편이 강화유리도어의 가압으로 브라켓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돌출되는 유동방지편이 결합되도록 외측잠금부에 요입된 유동방지홈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홈은, 상기 외측잠금부가 180°회전하거나 회전하지 않을 경우에도 유동방지편이 결합되어야 함으로 설치회전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구조.
KR20130166659A 2013-12-30 2013-12-30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구조 KR101491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6659A KR101491072B1 (ko) 2013-12-30 2013-12-30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구조
CN201410841844.9A CN104746966B (zh) 2013-12-30 2014-12-30 钢化玻璃门用数字门锁的设置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6659A KR101491072B1 (ko) 2013-12-30 2013-12-30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230A KR20140015230A (ko) 2014-02-06
KR101491072B1 true KR101491072B1 (ko) 2015-02-10

Family

ID=50264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66659A KR101491072B1 (ko) 2013-12-30 2013-12-30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91072B1 (ko)
CN (1) CN1047469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651Y1 (ko) * 2016-04-14 2016-06-21 정영화 강화유리용 도어락 브라켓 구조
KR102352492B1 (ko) 2020-04-03 2022-01-19 (주)에버넷 횡방향 위치조절식 도어록 어셈블리
KR200494363Y1 (ko) 2020-05-12 2021-09-28 (주)에버넷 연장부재를 포함하는 도어락 잠금쇠 걸림유닛
KR102531018B1 (ko) * 2021-11-26 2023-05-09 주식회사 라오나크 글래스 도어에 사용되는 좌우수 변환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191Y1 (ko) * 1995-03-27 1998-08-01 김태구 차량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고정 클립
KR20090010354U (ko) * 2008-04-07 2009-10-12 (주)에버넷 회전부재가 구비된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래킷
KR101167697B1 (ko) 2012-04-13 2012-07-20 (주)에버넷 디지털 도어록의 아웃바디 결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4699B1 (en) * 2003-04-11 2006-11-14 Hardware Specialties, Inc. Locking rotary latch
CN2635839Y (zh) * 2003-07-07 2004-08-25 李振兴 一种双向执手锁
GB2445948B (en) * 2007-01-24 2011-09-21 Surelock Mcgill Ltd Push plate assembly
CN201810068U (zh) * 2010-09-09 2011-04-27 伦敏强 一种安装稳固的玻璃门锁
KR20120073530A (ko) * 2010-12-27 2012-07-05 우병훈 여닫이유리문의 디지털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191Y1 (ko) * 1995-03-27 1998-08-01 김태구 차량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고정 클립
KR20090010354U (ko) * 2008-04-07 2009-10-12 (주)에버넷 회전부재가 구비된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래킷
KR101167697B1 (ko) 2012-04-13 2012-07-20 (주)에버넷 디지털 도어록의 아웃바디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46966A (zh) 2015-07-01
CN104746966B (zh) 2017-06-20
KR20140015230A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072B1 (ko)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구조
CN104746982B (zh) 洗碗机门锁机构及洗碗机
US7383708B2 (en) Multistage lock cylinder assembly
KR200478968Y1 (ko) 푸쉬 핸들의 강제잠금 구조체
US20160194903A1 (en) Sliding door locking device
KR200397197Y1 (ko) 강화문용 안전브라켓
KR101856179B1 (ko) 잠금부가 구비된 크리센트
KR100832120B1 (ko) 강화유리 도어록
KR101977380B1 (ko) 손잡이가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KR100922504B1 (ko) 도어락 장치의 백셋
KR200423277Y1 (ko) 도어록 손잡이의 이중 안전장치
CN206279879U (zh) 一种简易箱柜锁扣面板
US8196973B2 (en) Device for childproofing a door lock
KR200428598Y1 (ko) 강화유리 도어록의 지지플레이트
KR20140000485U (ko)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200472487Y1 (ko) 유리문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
JP2006299679A (ja) アウトセット引戸錠
CN108150018A (zh) 磁力锁
JP4441922B2 (ja) クレセント錠の防犯カバー
KR200367706Y1 (ko) 미닫이창용 잠금 장치
JP4601588B2 (ja) サブロックを備えたサッシ
CN207879083U (zh) 一种自动开关的智能锁机构
KR101366917B1 (ko) 복제방지 구조를 갖는 자물쇠용 키 실린더
KR200355210Y1 (ko) 이중 잠금장치가 내장된 강화유리 도어록의 손잡이
JP5279431B2 (ja) 錠前装置および施解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