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5210Y1 - 이중 잠금장치가 내장된 강화유리 도어록의 손잡이 - Google Patents

이중 잠금장치가 내장된 강화유리 도어록의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210Y1
KR200355210Y1 KR20-2004-0008930U KR20040008930U KR200355210Y1 KR 200355210 Y1 KR200355210 Y1 KR 200355210Y1 KR 20040008930 U KR20040008930 U KR 20040008930U KR 200355210 Y1 KR200355210 Y1 KR 2003552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handle
space
door
glass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정호
임현옥
Original Assignee
남정호
임현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정호, 임현옥 filed Critical 남정호
Priority to KR20-2004-00089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52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2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2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002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locking the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작동하는 잠금장치를 내장한 실내.외측 잠금부가 연결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강화유리 도어의 단부에 장착되어 도어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는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잠금부에 연결된 이중잠금설정부를 도어의 내측에서 슬라이드시켜 실외측 잠금부를 통해서만 도어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함으로서,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견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 잠금장치가 내장된 강화유리 도어록의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잠금장치가 내장된 강화유리 도어록의 손잡이{tempered glass door lock of handle built in double locking device}
본 고안은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화유리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된 손잡이에 별도의 잠금장치를 설정한 상태에서 도어의 외측에서 잠금을 설정하면, 도어의 내측에서도 설정된 잠금을 해제할 수 없어 도어의 외측에서 설정된 잠금을 해제하기 전까지 도어에 잠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 잠금장치가 내장된 강화유리 도어록의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화유리란, 원판유리를 용도에 맞게 절단하고, 강화공정을 위해 4변을 다듬고, 유리를 세척 및 건조시키며 마킹한 후, 가열로(furnace)의 과정을 거쳐, 급냉(quenching)시키면 일반유리와 투시성이 동일하면서도 충격에 4~5배 이상으로 강한 강화유리가 된다.
상기 강화유리는 보통 3mm~19mm의 두께를 형성하며, 표면에 생긴 압축능력과 내부에 생긴 인장능력으로 인하여 일반유리보다 쉽게 파손되지 않고, 파손시에 입자가 날카롭지 않은 조각으로 부서지는 특징이 있어 안전이 요구되는 장소에 적합하므로, 사람들의 왕래가 빈번한 병원이나 학교, 주거공간의 진열장 및 유리가구 및 각종 도어, 산업용 강화유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강화유리를 도어(door)에 적용할 경우는, 강화유리 도어가 공장에서 생산될 때, 손잡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측단부로부터 약 100∼150mm 이격된 위치에 관통공(D')이 관통된 상태로 제조되며, 강화유리 도어가 완성된 상태에서는 손잡이를 고정할 수 있는 관통공(D')을 형성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은 강화유리 도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는, 실내를 출입하는 도어(D)의 일측을 수용하도록 이중으로 절곡된 몸체(11)의 상.하부 양측에 대향하게 나사공이 형성된 지지편(12)(12')이 돌출되며, 상기 몸체(11)의 단부에 안내장공(13)이 대향하게 형성된 브라켓(10)이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10)의 실내측 지지편(12)에 장착되어 손잡이(21)로 잠금장치(미도시)를 작동시켜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는 실내측 잠금부(20)가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10)의 실외측 지지편(12')에 장착되어 열쇠(31)로 잠금장치(미도시)를 작동시켜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는 실외측 잠금부(30)가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잠금장치는, 도어의 외부에서 손잡이의 지름에 맞는 고무판을 얇은 금속판이나 굵은 철사에 부착하여 도어의 문틈으로 넣어 손잡이에 걸고 회전시키게 되면 잠금장치가 해제될 수 있어 도난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건 출원인은, 2001년 실용신안 제25400호로 출원하여 제0257639호로 "도어록의 이중 잠금장치"를 등록받아 사용하였다.
선 등록된 도어록의 이중 잠금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의 내측에 위치한 가압구(20)를 가압하면, 상기 가압구(20)의 제2안착홈(22')에 위치한 작동구(42)는 스프링(41)을 가압하면서 고정홀(31)의 내측으로 이동하다가 제1안착홈(22)에 스프링(41)의 탄력에 의해 견고하게 안착된다.
한편, 상기 가압구(20)의 설치홈(23)에 끼워 고정된 지지판(50)은, 제1고정돌기(52)가 제2고정홈(32)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제2고정돌기(53)가 몸체(10)의 제1고정홈(12)에 끼워져 가압구(20)가 회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판(50)의 제2고정돌기(53)가 제1고정홈(12)에 안착된 상태에서, 도어(D)의 외측에서 키실린더에 열쇠를 삽입하여 90° 회전시키게 되면, 작동구(42)는 제1안착홈(22)을 따라 회전하고, 회동축(30)의 제2고정홈(32)은, 90° 회전하여 지지판(50)의 제1고정돌기(52)와 반대방향에 위치하게 되므로 회동축(30)이 연결된 작동봉(B)의 움직이으로 도어의 잠금장치를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지지판(50)의 제1고정돌기(52)는 회동축(30)의 저면에 밀착됨에 따라, 도어(D)에 설정된 잠금장치를 해제시키려고 가압구(20)를 당겨도 움직이지 않아 도어(D)의 내측에서 설정된 잠금을 해제시킬 수 없으므로 반드시 도어(D)의 외측에서 열쇠를 키실린더에 삽입하여 잠금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90° 회전시킬 때, 회동축(30)에 연결된 작동봉(B)의 움직임으로 도어에 설정된 잠금을 해제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선등록된 도어록의 이중 잠금장치는, 도어의 내측에서 가압구를 가압한 상태에서 도어의 외측에서 잠금을 설정할 경우는, 도어의 내측에서도 잠금을 해제할 수 없어 도어의 문틈으로 고무판을 부착한 얇은 금속판이나 굵은 철사를 통해 설정된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내부구조가 복잡하고 작업공정이 많아 생산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도어의 내부에서 이중으로 잠금장치를 설정하도록 가압구를 가압한 상태에서 문틀과 도어를 동일 선상으로 맞출 때, 도어의 순간적인 흔들림에 의해 가압구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이중으로 설정된 잠금장치가 해제되고, 다시 이중의 잠금장치를 설정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중의 잠금장치가 해제된 상태에서 도어의 외측에서 잠금을 설정하면, 도어의 문틈으로 고무판을 부착한 얇은 금속판이나 굵은 철사를 통해 잠금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없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목적은, 도어 손잡이에 장착된 이중잠금설정부를 작동한 상태에서 실외측 잠금부로 잠금장치를 설정하면, 도어 손잡이가 회전되지 않아 손잡이를 통한 실내측 잠금부에서는 잠금장치의 설정과 해제가 불가능하며, 실외측 잠금부를 통한 도어의 외측에서만 잠금장치의 설정과 해제가 가능하므로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견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 잠금장치가 내장된 강화유리 도어록의 손잡이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작동하는 잠금장치를 내장한 실내.외측 잠금부가 연결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강화유리 도어의 단부에 장착되어 도어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는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잠금부에 연결된 이중잠금설정부를 도어의 내측에서 슬라이드시켜 실외측 잠금부를 통해서만 도어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선 등록된 이중 잠금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선 등록된 이중 잠금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을 일반적인 잠금장치로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a는 평단면도이고,
b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을 이중 잠금장치로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a는 평단면도이고,
b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00: 이중잠금설정부 910: 몸체
920: 외측손잡이 930: 내측손잡이
940: 작동부 950: 지지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연결부재(730)로 연결하여 작동하는 잠금장치를 내장한 실내.외측 잠금부(710)(720)가 연결부(5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강화유리 도어(D)의 단부에 장착되어 도어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는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잠금부(710)에 연결된 이중잠금설정부(900)를 도어(D)의 내측에서 슬라이드시켜 실외측 잠금부(720)를 통해서만 도어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중잠금설정부(900)는, 상면에 내측으로 안착공간(911)이 형성되고, 이 안착공간(911)의 일측에 관통된 설치공(912)의 하부에 작동공간(913)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912)과 작동공간(913)을 연통시키는 이동공간(914)이 형성된 몸체(9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910)의 설치공(912)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도록 설치공(912)의 단부에 밀착되는 리브(921)가 외주면에 돌출되며, 상기 리브(921)의 하부에 이동공간(914)과 동일 선상으로 안내공(922)이 관통되고, 내측으로 수용홈(923)이 형성된 외측손잡이(920)가 구비되며, 상기 외측손잡이(920)의 수용홈(923)에 회전가능하도록 안착되고, 안내공(922)과 동일 선상의 외주면에 내측으로 안내공간(931)이 관통되며, 저면에 수직회전부재(714)와 결합되어 연결부재(718)에 고정나사(719)로 고정되는 내측손잡이(930)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910)의 작동공간(913)에 안착되어 이동공간(914)과 안내공(922) 및 안내공간(931)을 통해 외측손잡이(920)와 내측손잡이(930)를 동일하게 회전시키거나 내측손잡이(930)만 단독으로 회전시키도록 작동하는 작동부(940)가 구비되고, 상기 외측손잡이(920)와 작동부(940)의 단부를 지지공(951)으로 수용하여 몸체(910)의 안착공간(911)에 장착시켜 외측손잡이(920)와 작동부(9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부(950)가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940)는, 상기 내측손잡이(930)의 안내공간(931)에 안착되는 스프링(941)이 형성되며, 이 스프링(941)의 탄력에 의해 안내공간(931)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작동핀(942)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손잡이(920)의 안내공(922)에 안착되어 제1작동핀(942)의 단부와 밀착되며, 안내공(922)의 길이보다 크게제2작동핀(943)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910)의 이동공간(914)에 안착되어 제2작동핀(943)의 단부와 밀착되며, 단부가 작동공간(913)의 돌출되는 제3작동핀(944)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동간(913)의 내부로 돌출된 제3작동핀(944)을 선택에 의해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작동부재(945)가 형성된다.
상기 제1,2,3작동핀(942)(943)(944)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작동부재(945)는, 상기 제3작동핀(944)의 단부를 가압하는 단차진 제1,2가압면(945a)(945b)을 경사면(945c)으로 연결하며, 상기 제2가압면(945b)의 상면에 고정홈(945d)이 형성되고 상면으로 가압돌기(945e)가 돌출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작동부(940)의 스프링(941)을 안내공간(931)에 장착한 내측손잡이(930)를 외측손잡이(920)의 수용홈(923)에 내측손잡이(930)의 안내공간(931)과 외측손잡이(920)의 안내공(922)이 동일 선상이 되도록 안착시킨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내측손잡이(930)가 안착된 외측손잡이(920)를 몸체(910)의 설치공(912)에 안착시키면, 외측손잡이(920)의 외면이 설치공(912)의 내면에 위치하게 되고, 리브(921)가 설치공(912)의 상면에 밀착시키며, 상기 외측손잡이(920)의 안내공(922)과 몸체(910)의 이동공간(914)이 동일 선상이 되도록 안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외측손잡이(920)가 몸체(910)의 설치공(912)에 안착되면, 이동공간(914)에 작동부(940)의 제1,2,3작동핀(942)(943)(944)을 순착적으로 안착시켜 내측손잡이(930)의 안내공간(931)으로 이동시키면, 제1작동핀(942)은 내측손잡이(930)의 안내공간(931)에 위치하게 되고, 제2작동핀(943)은, 외측손잡이(920)의 안내공(922)과 몸체(910)의 이동공간(914)에 걸쳐 위치하게 되며, 제3작동핀(944)은 몸체(910)의 이동공간(914)과 작동공간(913)에 걸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공간(913)에 위치한 제3작동핀(944)의 단부를 작동부재(945)의 제1가압면(945a)이 밀착하도록 작동공간(913)에 작동부재(945)를 안착시킨 후, 상기 외측손잡이(920)의 단부와 작동부(940)의 일측이 돌출되도록 몸체(910)의 안착공간(911)에 지지부(950)를 안착시키면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어 몸체(910)의 설치공(912)으로 돌출된 내측손잡이(930)의 내측으로 장착되는 수직회전부재(714)와 연결부재(718)를 고정나사(719)로 고정시켜 결합하면 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결합된 도어록 손잡이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외측손잡이(920)와 내측손잡이(930)를 동시에 회전시켜 도어(D)에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려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재(945)의 가압돌기(945e)를 작동공간(913)의 내측에서 좌측으로 이동시켜 제1가압면(945a)에 밀착된 제3작동핀(944)이 경사면(945c)을 따라 상부로 이동한 후, 제2가압면(945b)의 고정홈(945d)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제3작동핀(944)의 단부는 몸체(910)의 이동공간(914)의 단부와 동일 선상이 되고, 제2작동핀(943)은 제1작동핀(942)을 가압하여 외측손잡이(920)의 안내공(922)과 내측손잡이(930)의 안내공간(931)에 걸쳐 위치하며, 제1작동핀(942)은 스프링(941)을 가압하면서 안내공간(931)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D)에 잠금을 설정할 경우는, 외측손잡이(920)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외측손잡이(920)의 안내공(922)과 내측손잡이(930)의 안내공간(931)에 위치한 제2작동핀(943)에 의해 내측손잡이(930)도 외측손잡이(92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내측손잡이(930)에 결합된 수직회전부재(714)가 회전하면서 회전기어에 맞물린 나사산의 길이 내에서 이동구(712)를 전방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수직회전부재(714)에 결합된 연결부재(718)가 연결돌기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안내핀의 회전거리로 인해 잠금부(717)가 지지리브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고, 잠금봉이 안내공으로 돌출되어 문틀에 삽입되므로 도어(D)에 잠금을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연결부재(730)의 단부에 고정된 외측몸체(721)의 이동구(722)가, 안내장공의 길이 내에서 후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회전기어(724)가 샤우드(621)를 회전시켜 키실린더(620)에 잠금을 동시에 설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설정된 잠금을 해제시키려면, 외측손잡이(92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외측손잡이(920)의 안내공(922)과 내측손잡이(930)의 안내공간(931)에 위치한 제2작동핀(943)에 의해 내측손잡이(930)도 외측손잡이(92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작동하여 설정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중잠금설정부(900)를 작동시켜 도어(D)의 외측에서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려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재(945)의 가압돌기(945e)를 작동공간(913)의 내측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제2가압면(945b)의 고정홈(945d)에서 제3작동핀(944)의 단부가 이탈됨과 동시에 경사면(945c)을 따라 하부로 이동한 후, 제1가압면(945a)에 밀착된다.
이때, 제1,2,3작동핀(942)(943)(944)은, 스프링(941)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하여 제1작동핀(942)의 단부가 내측손잡이(930)의 안내공간(931) 단부와 동일 선상이 되고, 제2작동핀(943)은 외측손잡이(920)의 안내공(922)과 몸체(910)의 이동공간(914)에 걸쳐 위치하며, 제3작동핀(944)은 몸체(910)의 이동공간(914)과 작동공간(913)에 걸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D)의 외측에서 열쇠(630)를 통해 잠금을 설정할 경우는, 열쇠(630)를 통해 회전되는 키실린더(620)의 샤우드(621)와 회전기어(724)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기어(724)에 맞물린 이동구(722)가 안내장공의 길이내에서 연결부재(730)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730)에 연결된 이동구(712)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이동구(712)의 나사산에 맞물린 수직회전부재(714)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연결부재(71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잠금봉이 안내공으로 돌출되어 문틀에 삽입되므로 도어(D)에 잠금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회전부재(714)에 연결된 내측손잡이(9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내측손잡이(930)의 안내공간(931)에 위치한 제1작동핀(942)은 외측손잡이(920)의 수용홈(923) 내면에 밀착한 상태가 되고, 외측손잡이(920)의 안내공(922)에 위치한 제2작동핀(943)은 내측손잡이(93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제2작동핀(943)은, 외측손잡이(920)의 안내공(922)과 몸체(910)의 이동공간(914)에 걸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외측손잡이(920)를 잡고 회전시켜도 회전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이중잠금설정부(900)가 작동된 상태에서는 도어(D)의 내측에서 절대로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킬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정된 잠금을 해제시키려면, 반드시 도어(D)의 외측에서 열쇠로 설정된 잠금을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어(D)에 설정된 잠금을 해제하여 도어를 개방시키고, 이중잠금설정부(900)의 가압돌기(945c)를 작동공간(913) 내에서 좌측으로 이동시켜 실내에서도 도어(D)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도어 손잡이에 장착된 이중잠금설정부를 작동한 상태에서 실외측 잠금부로 잠금장치를 설정하면, 도어 손잡이가 회전되지 않아 손잡이를 통한 실내측 잠금부에서는 잠금장치의 설정과 해제가 불가능하며, 실외측 잠금부를 통한 도어의 외측에서만 잠금장치의 설정과 해제가 가능하므로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견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연결부재(730)로 연결하여 작동하는 잠금장치를 내장한 실내.외측 잠금부(710)(720)가 연결부(5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강화유리 도어(D)의 단부에 장착되어 도어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는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잠금부(710)에 연결된 이중잠금설정부(900)를 도어(D)의 내측에서 슬라이드시켜 실외측 잠금부(720)를 통해서만 도어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장치가 내장된 강화유리 도어록의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이중잠금설정부(900)는,
    상면에 내측으로 안착공간(911)이 형성되고, 이 안착공간(911)의 일측에 관통된 설치공(912)의 하부에 작동공간(913)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912)과 작동공간(913)을 연통시키는 이동공간(914)이 형성된 몸체(910)와;
    상기 몸체(910)의 설치공(912)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도록 설치공(912)의 단부에 밀착되는 리브(921)가 외주면에 돌출되며, 상기 리브(921)의 하부에 이동공간(914)과 동일 선상으로 안내공(922)이 관통되고, 내측으로 수용홈(923)이 형성된 외측손잡이(920)와;
    상기 외측손잡이(920)의 수용홈(923)에 회전가능하도록 안착되고, 안내공(922)과 동일 선상의 외주면에 내측으로 안내공간(931)이 관통되며, 저면에 수직회전부재(714)와 결합되어 연결부재(718)에 고정나사(719)로 고정되는 내측손잡이(930)와;
    상기 몸체(910)의 작동공간(913)에 안착되어 이동공간(914)과 안내공(922) 및 안내공간(931)을 통해 외측손잡이(920)와 내측손잡이(930)를 동일하게 회전시키거나 내측손잡이(930)만 단독으로 회전시키도록 작동하는 작동부(940)와;
    상기 외측손잡이(920)와 작동부(940)의 단부를 지지공(951)으로 수용하여 몸체(910)의 안착공간(911)에 장착시켜 외측손잡이(920)와 작동부(9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부(9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장치가 내장된 강화유리 도어록의 손잡이.
  3. 제2항에 있어서, 작동부(940)는,
    상기 내측손잡이(930)의 안내공간(931)에 안착되는 스프링(941)이 형성되며, 이 스프링(941)의 탄력에 의해 안내공간(931)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작동핀(942)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손잡이(920)의 안내공(922)에 안착되어 제1작동핀(942)의 단부와 밀착되며, 안내공(922)의 길이보다 크게 제2작동핀(943)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910)의 이동공간(914)에 안착되어 제2작동핀(943)의 단부와 밀착되며, 단부가 작동공간(913)의 돌출되는 제3작동핀(944)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동간(913)의 내부로 돌출된 제3작동핀(944)을 선택에 의해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작동부재(94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장치가 내장된 강화유리 도어록의 손잡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작동핀(942)(943)(944)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장치가 내장된 강화유리 도어록의 손잡이.
  5. 제3항에 있어서, 작동부재(945)는,
    상기 제3작동핀(944)의 단부를 가압하는 단차진 제1,2가압면(945a)(945b)을 경사면(945c)으로 연결하며, 상기 제2가압면(945b)의 상면에 고정홈(945d)이 형성되고 상면으로 가압돌기(945e)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장치가 내장된 강화유리 도어록의 손잡이.
KR20-2004-0008930U 2004-03-31 2004-03-31 이중 잠금장치가 내장된 강화유리 도어록의 손잡이 KR2003552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930U KR200355210Y1 (ko) 2004-03-31 2004-03-31 이중 잠금장치가 내장된 강화유리 도어록의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930U KR200355210Y1 (ko) 2004-03-31 2004-03-31 이중 잠금장치가 내장된 강화유리 도어록의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210Y1 true KR200355210Y1 (ko) 2004-07-03

Family

ID=49347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930U KR200355210Y1 (ko) 2004-03-31 2004-03-31 이중 잠금장치가 내장된 강화유리 도어록의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52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58045C (en) Reversible latch bolt
US11359408B2 (en) Indicator-type door lock
KR100888514B1 (ko) 푸쉬풀식 디지털 도어록 장치
JP2011529145A (ja) 窓の施錠装置
CA2620562A1 (en) Reversible latch bolt
US7530245B2 (en) Door lock
KR200476646Y1 (ko) 훅 방향 전환식 여닫이 도어 잠금장치
KR101771196B1 (ko) 패닉 기능을 구비한 모티스
JP4599448B2 (ja) 引戸用鎌錠
KR200355210Y1 (ko) 이중 잠금장치가 내장된 강화유리 도어록의 손잡이
JP4823874B2 (ja) 電気錠
KR102452891B1 (ko) 창호용 잠금장치
US20050272284A1 (en) Interconnected chassis for a lock set
US10329802B1 (en) Lock mechanism
KR100541382B1 (ko) 전자식 도어록이 내장된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JP4173016B2 (ja) プッシュ・プル錠
KR102291966B1 (ko) 인디케이터형 도어락
KR20020023290A (ko)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KR102291961B1 (ko) 인디케이터형 도어락
CN210659545U (zh) 一种执手复位结构
CA2603172C (en) Door lock
KR200423277Y1 (ko) 도어록 손잡이의 이중 안전장치
CN219220032U (zh) 一种按键式门锁
JP7207729B2 (ja) 開き扉の施解錠機構
JP7179361B2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