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3290A -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3290A
KR20020023290A KR1020020001769A KR20020001769A KR20020023290A KR 20020023290 A KR20020023290 A KR 20020023290A KR 1020020001769 A KR1020020001769 A KR 1020020001769A KR 20020001769 A KR20020001769 A KR 20020001769A KR 20020023290 A KR20020023290 A KR 20020023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uide
door
suppor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경훈
남정호
Original Assignee
남경훈
남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경훈, 남정호 filed Critical 남경훈
Priority to KR1020020001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3290A/ko
Publication of KR20020023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290A/ko
Priority to KR1020020034594A priority patent/KR1008012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화유리 도어의 관통공에 고정되어 도어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는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관통공에 고정되며, 단부에 안내편이 형성된 지지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도어의 내측인 지지부재에 장착되어 도어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도록 작동하는 제1작동부를 구성하며, 상기 도어의 외측인 지지부재에 장착되어 도어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도록 작동하는 제2작동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1작동부의 지지구와 제2작동부의 지지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성함으로서, 도어의 내부와 외부에 장착된 제1,2작동부를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도어의 내부와 외부에서 잠금장치를 설정 및 해제시킬 수도 있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고정봉이 내부에만 장착되므로 도어의 문틀에 형성되는 홈의 개수를 줄임으로 작업 공정이 간편하고, 설치를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안정감 있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device for locking of tempered glass door}
본 발명은 도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화유리 도어의 일측에 설치하여 도어의 내부와 외부에서 안정감있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화유리란, 원판유리를 용도에 맞게 절단하고, 강화공정을 위해 4변을 다듬고, 유리를 세척 및 건조시키며 마킹한 후, 가열로(furnace)의 과정을 거쳐, 급냉(quenching)시키면 일반유리와 투시성이 동일하면서도 충격에 4~5배 이상 강한 강화유리가 된다.
상기 강화유리는 보통 3mm~19mm의 뚜께를 형성하며, 표면에 생긴 압축능력과 내부에 생긴 인장능력으로 인하여 일반유리보다 쉽게 파손되지 않고, 파손시에 입자가 날카롭지 않은 조각으로 부서지는 특징이 있어 안전이 요구되는 장소에 적합하므로, 사람들의 왕래가 빈번한 병원이나 학교, 주거공간의 진열장 및 유리가구 및 각종 도어, 산업용 강화유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강화유리를 도어(door)에 적용할 경우는, 강화유리 도어가 공장에서 생산될 때, 손잡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관통공(D')을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형성시킨 상태로 제조되어야 하며, 강화유리 도어가 완성된 상태에서는 손잡이를 고정할 수 있는 관통공(D')을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손잡이를 달 수가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강화유리 도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의 일측을 수용하도록 "디귿"자형의 몸체(11)가 구비되고, 이 몸체(11)의 양측에 대향하게 나사공이 형성된 지지편(12)(12')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11)의 단부에 안내장공(13)이 대향하게 형성된 지지부재(10)가 구성되고, 상기 도어(D)의 내측인 지지부재(11)에 장착되도록 상기 지지편(12)과 동일선상에 나사공(21a)이 내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끼움공(21b)이 관통되며, 일측면에 관통공(21c)이 형성된 제1몸체(21)가 구비되고, 상기 제1몸체(21)의 내부에 안착되며 중앙에 안내공(22a)이 관통된 안내구(22)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구(22)를 수용하고 일측에 고정봉(23a)이 장착된 고정구(23)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구(22)의 안내공(22a)에 장착되어 고정구(23)를 안내구(22)의 외측면을 따라 슬라이드시키는 회전구(24)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구(24)를 작동시키기 위해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손잡이(25)가 구비된 제1작동부(2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D)의 외측인 지지부재(11)에 장착되도록 상기 지지편(12')과 동일선상에 나사공(31a)이 내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끼움공(31b)이 관통되며, 일측면에 관통공(31c)이 형성된 제2몸체(31)가 구비되고, 상기 제2몸체(31)의 내부에 안착되며 중앙에 안내공(32a)이 관통된 안내구(32)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구(32)를 수용하고 일측에 고정봉(33a)이 장착된 고정구(33)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구(32)의 안내공(32a)에 장착되어 고정구(33)를 안내구(32)의 외측면을 따라슬라이드시키는 회전구(34)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구(34)를 작동시키기 위해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키실린더(35)가 구비된 제2작동부(30)가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는, 동일한 구조의 제1,2작동부가 도어의 내부와 외부에서 각각 설치됨으로서, 내부에서 제1작동부를 작동하여 내부의 고정봉을 도어 문틀로 이동시켜 잠금장치를 설정하면, 외부에서는 제1작동부에 설정된 잠금장치를 해제시킬 수가 없고, 외부에서 제2작동부를 작동하여 외부의 고정봉을 도어 문틀로 이동시켜 잠금장치를 설정하면, 내부에서는 제2작동부에 설정된 잠금장치를 해제시킬 수가 없어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도어의 내.외부에 장착된 고정봉을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도어의 타측에 형성된 도어의 문틀에 각각의 홈을 형성해야하므로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설치가 어려워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목적은, 도어의 내부와 외부에 장착된 제1,2작동부를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도어의 내부와 외부에서 잠금장치를 설정 및 해제시킬 수도 있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고정봉이 내부에만 장착되므로 도어의 문틀에 형성되는 홈의 개수를 줄임으로 작업공정이 간편하고, 설치를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안정감 있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강화유리 도어의 관통공에 고정되어 도어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는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관통공에 고정되며, 단부에 안내편이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도어의 내측인 지지부재에 장착되어 도어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도록 작동하는 제1작동부와; 상기 도어의 외측인 지지부재에 장착되어 도어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도록 작동하는 제2작동부와; 상기 제1작동부의 지지구와 제2작동부의 지지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잠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잠금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잠금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잠금장치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잠금장치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도어에 잠금장치가 설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도어에 잠금장치가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지지부재 140: 안내편
200: 제1작동부 210: 제1몸체
220: 지지구 230: 회전구
240: 고정구 250: 이동구
260: 제2회전구 300: 제2작동부
400: 연결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잠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잠금장치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잠금장치의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잠금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강화유리 도어(D)의 관통공에 고정되어 도어(D)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는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D)의 관통공에 고정되며, 단부에 안내편(140)이 형성된 지지부재(100)가 구성되고, 상기 도어(D)의 내측인 지지부재(100)에 장착되어 도어(D)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도록 작동하는 제1작동부(200)가 구성되며, 상기 도어(D)의 외측인 지지부재(100)에 장착되어 도어(D)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도록 작동하는 제2작동부(300)가 구성되고, 상기 제1작동부(200)의 지지구(220)와 제2작동부(300)의 지지구(320)를 연결하는연결부재(400)가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지지부재(100)는, 도어(D)의 일측을 수용하도록 "디귿'자형의 몸체(110)가 구비되고, 이 몸체(110)의 양측에 대향하게 나사공(121)(121')이 형성된 지지편(120)(120')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110)의 단부에 안내장공(130)이 대향하게 구비되고, 상기 몸체(110)의 단부에 양측으로 돌출된 안내편(140)이 구비된다.
상기 제1작동부(200)는, 상기 도어(D)의 내측인 지지부재(100)에 장착되도록 상기 지지편(120)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나사공(211)이 내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끼움공(212)이 관통되며, 일측면에 한 쌍의 관통공(213)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212)의 상.하부에 안내돌기(214)가 형성되며, 이 안내돌기(214)의 둘레에 리브(215)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기(214)의 일측에 안내턱(216a)이 형성된 안내부재(216)가 라운드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213)의 사이에 장착되는 제1몸체(210)가 구비되고, 상기 제1몸체(210)의 안내돌기(214) 사이에 장착되도록 끼움돌기(22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안내장공(222)이 관통되고, 이 안내장공(222)의 내주면에 나사산(223)이 형성되며, 이 안내장공(222)의 단부에 안착홈(224)이 형성된 지지구(220)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구(220)의 안내장공(222)에 안착되어 나사산(223)에 장착되도록 외주면이 나사산(231)으로 형성되며 내부가 관통되고, 일측면에 고정돌기(232)가 형성된 회전구(23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구(220)의 안내장공(222)에 안착된 회전구(2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구(220)를 수용하는 수용홈(241)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241)의 중앙에 관통공(242)이 형성되며,상기 리브(215)와 동일선상으로 안내공(243)이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 상기 안내부재(216)의 라운드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안내편(244)이 형성된 고정구(24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구(240)를 내부에 수용하며 중앙에 장공(251)이 형성되고, 이 장공(251)의 하부에 작동공(252)이 형성되며, 일측에 고정봉(253)이 고정된 이동구(250)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구(250)의 장공(251)에 끼워지는 돌기(261)가 다단으로 형성되며 내부가 관통되고, 이 돌기(261)의 하부에 상기 작동공(252)에 안착되는 작동돌기(262)가 구비되며, 상기 돌기(261)의 일측에 회전구(230)의 고정돌기(232)가 안착되는 고정홈(263)이 동일선상으로 형성되는 제2회전구(260)가 구비되며, 상기 제1몸체(210)의 외측에서 끼워져 제2회전구(260)의 돌기(261)의 내부로 결합되는 돌기(271)가 형성된 손잡이(270)가 구비된다.
상기 제2회전구(260)와 손잡이(270)는, 오링이나 스크류를 사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부(300)는, 상기 도어(D)의 내측인 지지부재(100)에 장착되도록 상기 지지편(120')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나사공(311)이 내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끼움공(312)이 관통되며, 이 끼움공(312)의 상.하부에 안내돌기(313)가 형성되며, 이 안내돌기(313)의 둘레에 리브(314)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기(314)의 일측에 안내턱(315a)이 형성된 안내부재(315)가 라운드로 형성되며 외측으로 설치홈(317)이 형성된 제2몸체(310)가 구비되고, 상기 제1몸체(310)의 안내돌기(313) 사이에 장착되도록 끼움돌기(32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안내장공(322)이 관통되고, 이 안내장공(322)의 내주면에 나사산(323)이 형성되며, 이 안내장공(322)의 단부에 안착홈(324)이 형성된 지지구(320)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구(320)의 나사산(323)에 끼워져 안내장공(322)에 장착되도록 외주면이 나사산(331)으로 형성되며 내부가 관통되고, 내측으로 안내돌기(332)가 형성된 회전구(33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구(320)의 안내장공(322)에 안착된 회전구(3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구(320)를 수용하는 수용홈(341)이 형성되고, 상기 리브(314)와 동일선상으로 관통공(342)이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 상기 안내부재(315)의 라운드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안내편(343)이 형성된 고정구(340)가 구비되며, 상기 제2몸체(310)의 설치홈(316)에 안착되며 내측으로 샤우드가 돌출된 키실린더(35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400)는, 두께가 얇은 강판으로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몸체(310) 지지구(220)의 안착홈(224)에 연결부재(40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1작동부(300)의 조립을 설명하면, 안내장공(222)에 회전구(230)가 안착된 지지구(220)를 안내돌기(214)의 내부에 밀착시키면, 지지구(220)의 끼움돌기(221)가 안내돌기(214)의 사이에 안착되며, 이 지지구(220)의 일측에서 고정구(240)를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400)는 안내부재(216)의 안내턱(216a)과 고정구(240)의 안내편(244) 사이에 안착되고, 상기 고정구(240)의 수용홈(241)이 지지구(220)를 수용하면서 고정구(240)의 안내공(243)과 제1몸체(210)의 리브(215)가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스크류나 핀을 억지끼움으로 고정하면 된다.
또한, 이동구(250)의 고정봉(253)을 제1몸체(210)의 관통공(213)에 끼우고, 이동구(250)를 고정구(240)의 일측에 밀착시키면, 이동구(250)가 고정구(240)를 수용하며 고정봉(253)의 사이에 고정구(240)의 안내편(244)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구(250)에 제2회전구(260)를 밀착시키면, 이동구(250)의 장공(251)과 작동공(252)에 제2회전구(260)의 돌기(261)와 작동돌기(262)가 끼워져 결합되고, 제2회전구(260)의 돌기(261)는 회전구(230)의 내부에 안착되며, 상기 회전구(230)의 고정돌기(232)가 제2회전구(260)의 고정홈(263)에 안착되며, 상기 제2회전구(260)와 이동구(250)를 스프링으로 탄력있게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이 결합된 제1몸체(210)의 끼움공(212)에 손잡이(270)의 돌기(271)를 삽입하면, 돌기(271)는 제2회전구(260)의 돌기(261) 내부로 관통하여 제2회전구(260)의 외부로 돌출되며, 이렇게 돌출된 돌기(271)의 단부에 오링을 이용하여 결합하면 제1작동부(200)의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렇게 조립된 제1작동부(200)를 지지부재(100)의 지지편(120)을 수용하도록 밀착하며, 지지편(120)과 제1몸체(210)의 나사공(211)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스크류로 지지부재(100)의 내측에서 결합하면 된다.
또한, 샤우드가 장착된 키실린더(350)를 제2몸체(310)의 설치홈(316)에 밀착시켜 스크류로 결합하고, 상기 샤우드에 회전구(330)를 끼워 내측으로 형성된 안내돌기(332)에 걸리도록 결합하고, 연결부재(400)의 단부를 지지부재(100)의 안내편(140) 내부로 이동시켜 지지구(320)의 안착홈(324)에 고정시킨 후, 이 지지구(320)를 제2몸체(310)의 안내돌기(313) 사이에 밀착시키면, 지지구(320)의 끼움돌기(321)가 안내돌기(313)의 사이에 안착되며, 이 지지구(320)의 일측에서 고정구(340)를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400)는 안내부재(315)의 안내턱(315a)과 고정구(340)의 안내편(344) 사이에 안착되고, 상기 고정구(240)의 수용홈(241)이 지지구(220)를 수용하면서 고정구(240)의 안내공(243)과 제1몸체(210)의 리브(215)가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며, 스크류나 핀을 억지끼움으로 고정하면, 제2작동부(300)의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된 제2작동부(300)를 지지부재(100)의 지지편(120')을 수용하도록 밀착시키면, 지지편(120')과 제2몸체(310)의 나사공(311)이 동일 선상으로 위치될 때, 스크류로 지지부재(100)의 내측에서 결합하면 잠금장치의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잠금장치를 강화유리 도어(D)에 설치하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의 관통공(D')에 지지부재(100)의 안내장공(13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도어손잡이(H)를 밀착시켜 볼트와 손잡이(H)이를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결합된 잠금장치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어(D)에 장착된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잠금을 설정하려고 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의 내측에서는 손잡이(270)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손잡이(270)에 결합된 제2회전구(260)와 제2회전구(260)의 돌기(261)에 결합된 회전구(2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구(230)는 지지구(220)의 나사산(223)을 수용하면서 회전하여 안내장공(222)의 길이내에서 지지구(220)가 안내돌기(214)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고, 제2회전구(260)의 작동돌기(262)는 회전구(230)의 회전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구(250)를 전방으로 장공(251)의 길이 만큼 이동시켜, 고정봉(253)을 도어의 문틀(F)에 삽입하여 잠금장치를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구(220)의 안착홈(224)에 연결된 연결부재(400)는 안내부재(216)와 안내편(244)와 안내부재(315)와 안내편(344)의 사이에서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여 제2작동부(300)의 지지구(32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지지구(320)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구(330)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키실린더(350)에 잠금장치를 설정하게 된다.
상기 도어(D)의 외측에서는 키실린더(350)에 열쇠를 삽입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도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잠금을 설정하게 된다.
한편, 도어(D)에 장착된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설정된 잠금을 해제시키려고 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의 외측에서는 키실린더(350)에 열쇠를 삽입하여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키실린더(350)의 샤우드에 결합된 회전구(330)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구(330)는 지지구(320)의 나사산(323)을 수용하면서 회전하여 지지구(320)를 전방으로 안내장공(322)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지지구(320)에 연결된 연결부재(400)가 안내부재(315)와 안내편(344)의 사이와, 안내부재(216)와안내편(244)의 사이에서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여 제1작동부(200)의 지지구(22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구(22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나사산(223)을 따라 회전구(230)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구(230)에 결합된 제2회전구(260)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2회전구(260)의 작동돌기(262)는 이동구(250)를 후방으로 장공(251)의 길이만큼 이동시켜, 고정봉(253)이 삽입된 도어의 문틀(F)에서 이탈하여 설정된 잠금을 해제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도어(D)의 내측에서는 손잡이(270)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도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설정된 잠금을 해제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내부와 외부에 장착된 제1,2작동부를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도어의 내부와 외부에서 잠금장치를 설정 및 해제시킬 수도 있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고정봉이 내부에만 장착되므로 도어의 문틀에 형성되는 홈의 개수를 줄임으로 작업공정이 간편하고, 설치를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안정감 있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강화유리 도어(D)의 관통공에 고정되어 도어(D)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는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D)의 관통공에 고정되며, 단부에 안내편(140)이 형성된 지지부재(100)와;
    상기 도어(D)의 내측인 지지부재(100)에 장착되어 도어(D)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도록 작동하는 제1작동부(200)와;
    상기 도어(D)의 외측인 지지부재(100)에 장착되어 도어(D)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도록 작동하는 제2작동부(300)와;
    상기 제1작동부(200)의 지지구(220)와 제2작동부(300)의 지지구(3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4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부(200)는,
    상기 도어(D)의 내측인 지지부재(100)에 장착되도록 상기 지지편(120)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나사공(211)이 내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끼움공(212)이 관통되며, 일측면에 한 쌍의 관통공(213)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212)의 상.하부에 안내돌기(214)가 형성되며, 이 안내돌기(214)의 둘레에 리브(215)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기(214)의 일측에 안내턱(216a)이 형성된 안내부재(216)가 라운드로 형성되어상기 관통공(213)의 사이에 장착되는 제1몸체(210)가 구비되고, 상기 제1몸체(210)의 안내돌기(214) 사이에 장착되도록 끼움돌기(22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안내장공(222)이 관통되고, 이 안내장공(222)의 내주면에 나사산(223)이 형성되며, 이 안내장공(222)의 단부에 안착홈(224)이 형성된 지지구(220)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구(220)의 안내장공(222)에 안착되어 나사산(223)에 장착되도록 외주면이 나사산(231)으로 형성되며 내부가 관통되고, 일측면에 고정돌기(232)가 형성된 회전구(23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구(220)의 안내장공(222)에 안착된 회전구(2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구(220)를 수용하는 수용홈(241)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241)의 중앙에 관통공(242)이 형성되며, 상기 리브(215)와 동일선상으로 안내공(243)이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 상기 안내부재(216)의 라운드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안내편(244)이 형성된 고정구(24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구(240)를 내부에 수용하며 중앙에 장공(251)이 형성되고, 이 장공(251)의 하부에 작동공(252)이 형성되며, 일측에 고정봉(253)이 고정된 이동구(250)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구(250)의 장공(251)에 끼워지는 돌기(261)가 다단으로 형성되며 내부가 관통되고, 이 돌기(261)의 하부에 상기 작동공(252)에 안착되는 작동돌기(262)가 구비되며, 상기 돌기(261)의 일측에 회전구(230)의 고정돌기(232)가 안착되는 고정홈(263)이 동일선상으로 형성되는 제2회전구(260)가 구비되며, 상기 제1몸체(210)의 외측에서 끼워져 제2회전구(260)의 돌기(261)의 내부로 결합되는 돌기(271)가 형성된 손잡이(2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작동부(300)는,
    상기 도어(D)의 내측인 지지부재(100)에 장착되도록 상기 지지편(120')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나사공(311)이 내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끼움공(312)이 관통되며, 이 끼움공(312)의 상.하부에 안내돌기(313)가 형성되며, 이 안내돌기(313)의 둘레에 리브(314)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기(314)의 일측에 안내턱(315a)이 형성된 안내부재(315)가 라운드로 형성되며 외측으로 설치홈(317)이 형성된 제2몸체(310)가 구비되고, 상기 제1몸체(310)의 안내돌기(313) 사이에 장착되도록 끼움돌기(32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안내장공(322)이 관통되고, 이 안내장공(322)의 내주면에 나사산(323)이 형성되며, 이 안내장공(322)의 단부에 안착홈(324)이 형성된 지지구(320)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구(320)의 나사산(323)에 끼워져 안내장공(322)에 장착되도록 외주면이 나사산(331)으로 형성되며 내부가 관통되고, 내측으로 안내돌기(332)가 형성된 회전구(33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구(320)의 안내장공(322)에 안착된 회전구(3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구(320)를 수용하는 수용홈(341)이 형성되고, 상기 리브(314)와 동일선상으로 관통공(342)이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 상기 안내부재(315)의 라운드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안내편(343)이 형성된 고정구(340)가 구비되며, 상기 제2몸체(310)의 설치홈(316)에 안착되며 내측으로 샤우드가 돌출된 키실린더(3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0)는,
    두께가 얇은 강판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KR1020020001769A 2002-01-11 2002-01-11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KR2002002329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769A KR20020023290A (ko) 2002-01-11 2002-01-11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KR1020020034594A KR100801233B1 (ko) 2002-01-11 2002-06-20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769A KR20020023290A (ko) 2002-01-11 2002-01-11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938U Division KR200271118Y1 (ko) 2002-01-11 2002-01-11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290A true KR20020023290A (ko) 2002-03-28

Family

ID=197184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769A KR20020023290A (ko) 2002-01-11 2002-01-11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KR1020020034594A KR100801233B1 (ko) 2002-01-11 2002-06-20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594A KR100801233B1 (ko) 2002-01-11 2002-06-20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02329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105A (ko) * 2002-09-02 2004-03-10 김현국 강화도어용 손잡이 겸용 특수키
KR100544798B1 (ko) * 2002-07-24 2006-01-24 남경훈 강화유리 도어용 잠금장치
KR100711268B1 (ko) * 2005-12-21 2007-04-25 김재식 도어록킹장치
KR100843678B1 (ko) * 2007-05-22 2008-07-04 주식회사 그라스텍 샤워부스용 시건장치
KR100896349B1 (ko) * 2007-04-27 2009-05-07 남경훈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310B1 (ko) * 2004-12-31 2007-01-09 남경훈 강화유리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9961B1 (ko) * 1998-06-24 2001-05-15 남동운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JP2000075381A (ja) * 1998-09-02 2000-03-14 Olympus Optical Co Ltd 測位装置を内蔵したカメラ
KR20000075381A (ko) * 1999-07-14 2000-12-15 김호석 강화유리도어용 도어 잠금장치
KR200283418Y1 (ko) * 2002-02-21 2002-07-26 김성용 강화유리출입문 개폐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798B1 (ko) * 2002-07-24 2006-01-24 남경훈 강화유리 도어용 잠금장치
KR20040021105A (ko) * 2002-09-02 2004-03-10 김현국 강화도어용 손잡이 겸용 특수키
KR100711268B1 (ko) * 2005-12-21 2007-04-25 김재식 도어록킹장치
KR100896349B1 (ko) * 2007-04-27 2009-05-07 남경훈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KR100843678B1 (ko) * 2007-05-22 2008-07-04 주식회사 그라스텍 샤워부스용 시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277A (ko) 2003-07-18
KR100801233B1 (ko) 2008-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7601A (en) Two-way dual action clamp
KR102042596B1 (ko) 방화도어용 도어록
JPH06105020B2 (ja) ラッチ及びロックアップシステム
JPH07293053A (ja) ドア錠
KR970001791Y1 (ko) 도어용 손잡이장치
US7530245B2 (en) Door lock
KR20020023290A (ko)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KR100903256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KR101533194B1 (ko) 도어 래치 어셈블리
US6361090B1 (en) Lock apparatus
US20050056985A1 (en) Fixture
KR200271118Y1 (ko)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KR20030050965A (ko) 냉장고의 도어용 핸들조립체
US5103533A (en) Lock handle pivot structure
US6616203B1 (en) Door latch operator mount
US20050272284A1 (en) Interconnected chassis for a lock set
CN111364832B (zh) 一种快速拆装把手
JP2002194784A (ja) スライド式シャワーフック取付装置
KR101941662B1 (ko) 도어록용 각축 조립체
JP2001295539A (ja) 左右兼用ドアシステム
KR200383797Y1 (ko) 유리도어용 도어록의 고정 장치
KR200352761Y1 (ko) 창문손잡이의 조립구조
JP2001279963A (ja) 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101507491B1 (ko) 강화유리도어의 손잡이 고정장치
KR200279071Y1 (ko) 개방이 용이한 문손잡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