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1233B1 -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233B1
KR100801233B1 KR1020020034594A KR20020034594A KR100801233B1 KR 100801233 B1 KR100801233 B1 KR 100801233B1 KR 1020020034594 A KR1020020034594 A KR 1020020034594A KR 20020034594 A KR20020034594 A KR 20020034594A KR 100801233 B1 KR100801233 B1 KR 100801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empered glass
opening
glass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1277A (ko
Inventor
남경훈
남정호
Original Assignee
남경훈
남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경훈, 남정호 filed Critical 남경훈
Publication of KR20030061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1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화유리로 이루어지는 도어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하게 실내,외측잠금부재중 어느 한쪽에만 문틀과 설정및 해제가 이루어지는 잠금부를 장착시켜 어느쪽의 작동으로도 잠금부를 작동시켜 줄수 있도록 한 강화유리의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강화유리 도어(D)의 일측으로 부터 양측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끼워지는 지지부재(100)의 양측에 각각 체결고정시켜 실내측에서 손으로 작동시켜 주는 실내측잠금부재(200)에 문틀(F)과 체결될수 있는 잠금부(250)를 내장시켜 준 상태에서 상기의 지지부재(100) 양측에 각각 설치된 실내,외측잠금부재(200)(300)중 어느 한쪽의 작동만으로도 잠금부(250)가 출몰될수 있도록 하여 도어의 잠금이 수행될수 있도록 하는 도어잠금수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a lock for door glass}
도 1은 종래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의 모습을 보여 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 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분해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 잠금장치가 강화유리 도어에 설치된 상태에서 내부 구성을 보여 주는 단면도로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강화유리도어 12 :문틀
11 :삽입걸이요소 14 :통공
16 :손잡이 18 :기반부재
20 :실내유니트 22 :실외유니트
24 :삽입걸이요소 26 :개폐조작레버
28 :실린더정 30 :전달요소
32 :연결부재 34 :안내부재
삭제
본 발명은 현관이나 사무실.점포등의 출입구에 시설되는 강화유리 도어에 내.외유니트로 설치되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외유니트 중 어느 일측에 하나의 삽입걸이요소를 갖추고 도어의 내.외 양측에서 괘.해정이 가능하도록한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화유리 도어는 일반 유리를 소정의 열처리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것으로, 이러한 강화유리 도어는 후가공이 불가한 즉, 후가공시 유리에 균열등 치명적인 파손이 발생하는 것으로 제조공장에서 열처리 이전에 미리 가공된 요소만을 이용해 시설되고 있는데, 그 요소는 대략 도어의 열고 닫음을 위해 설치되는 손잡이 설치를 위한 관통공들로서, 강화유리 도어는 통상 적당한 위치에 관통공들만 성형시켜 보급되고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강화유리 도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는 상기에서 설명한 도어 손잡이 설치를 위해 미리 성형된 관통공을 이용해 설치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손잡이 설치와 함께 도어 일측 변을 통해 도어의 내.외측으로 걸쳐 중첩적으로 조립 설치되는 ㄷ자형상의 금속판재로 이루어지는 기반부재를 이용해 설치되고 있는데, 그러한 잠금장치는 현재까지 여러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잠금장치는 도어의 내.외측에 걸쳐 설치되는 기반부재의 내.외측부 각각에 내.외유니트를 설치하고 이 내.외유니트 각기에는 괘.해정을 위한 놉 또는 실린더정과 이들에 의해 구동되며 회전구동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어 괘.해정력으로 전달시키는 전달요소, 이 전달요소에 의해 구동하는 삽입걸이요소로 이루어지는 개폐요소들, 즉 문틀의 적당한 위치에 설치된 수용걸이요소에 삽입.이탈되는 각기의 삽입걸이요소들을 갖추어서 도어의 내.외측에서 각기 개별적으로 괘.해정을 이루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잠금장치에서는 도어의 내.외측으로 설치되는 각 내.외유니트에 개폐요소들이 각기 설치되는, 더 상세하게는 각 내.외유니트들에 개별적으로 개폐요소가 각기 설치되어 구성요소의 추가, 즉 잠금장치의 내.외유니트에 각기의 개폐요소가 중복적으로 설치되어서 불필요한 구성요소의 추가로 인해 잠금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제조단가가 상승되는등의 문제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중복적인 개폐요소로 시공성이 떨어지는등의 많은 결함이 있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잠금장치의 내.외유니트 중 어느 일측을 선택해 하나의 삽입걸이요소를 설치하고, 이 삽입걸이요소가 도어의 내.외측에 설치되는 내.외유니트에 각기 설치되는 개폐조작레버 또는 실린더정으로 괘.해정되도록함으로서, 중복적으로 설치되는 부품을 줄이어 구성을 간소화하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현관이나 사무실.점포등의 출입구에 시설되는 강화유리 도어에 내.외유니트로 설치되는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잠금장치는 내변 적당한 위치에 수용걸이요소를 갖는 문틀, 이 문틀의 일측에 설치되는 힌지를 지축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되고 개문측 변으로부터 일정거리 위치에 미리 가공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공을 통해 후 조립식으로 손잡이가 설치되어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도록한 강화유리도어의 개문측 내.외벽에 그 개문측의 변을 통해서 내향측으로 일정길이 연장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의 조립과 함께 강화유리도어 내.외벽에 중첩적으로 설치되는 기반부재를 가지며, 이 기반부재의 내.외측에 상기 수용걸리요소로 삽입.이탈되면서 괘.해정을 이루도록하는 삽입걸이요소와 이 삽입걸이요소를 구동시키기 위한 개폐조작레버 및 실린더정, 그리고 이들 사이에 설치되어서 상기 개폐조작레버 및 실린더정의 괘.해정을 위한 회전구동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상기 삽입걸이요소에 괘.해정 구동력을 전달케하는 전달요소들이 각기 구비되는 실내.외유니트를 갖춘 도어의 잠금장치로서, 상기 실내.외유니트 중 그 어느 일측을 선택해 설치되어 상기 수용걸리요소로 삽입.이탈되면서 괘.해정을 이루도록하는 하나의 삽입걸이요소를 갖춘 것; 상기 실내.외유니트들에 각기 내장된 상기 전달요소들의 사이에 상기 강화유도어의 개문측 변을 통해 설치되고 플렉시블한 소재를 이용해 상기 전달요소들이 상반적으로 밀리고 당겨지도록 연결되어 상기 개폐조작레버 또는 상기 실린더정 중 그 어느 일측을 선택해 조작시키면 해당측의 전달요소 괘.해정력이 타측의 전달요소측으로 전달되면서 상기 삽입걸이요소의 괘.해정을 이루도록한 연결부재를 갖추어서된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이다.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2는 건물의 현관이나 사무실 또는 점포등의 출입문으로 사용되는 강화유리 도어에 본 발명의 잠금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강화유리 도어(10)는 내변 적당한 위치에 수용걸이요소(11)를 갖는 문틀(12)의 일측에 설치되는 힌지를 지축으로 하여 여닫이식으로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여닫이식으로 개폐되게 설치되는 강화유리 도어(10)에는 그 개문측 변으로 부터 내향으로 일정거리 위치에 미리 가공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공(14)을 이용해 손잡이(16)가 설치된다.
잠금장치는 후가공이 불가한 강화유리 도어(10)에 직접 설치할 수 없는 즉, 강화유리 도어(10)에 기히 가공된 통공(14)을 이용해 부설되는 손잡이(16)와 함께 설치되는 별개의 지지구조물인 기반부재(18)를 이용해 설치되게 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강화유리 도어(10)의 내.외벽에 그 개문측의 변을 통해서 내향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통공(14)을 통해 결합되는 손잡이(16)와 함께 중첩적으로 설치되는 ㄷ자형상의 기반부재(18) 내.외측부상에서 잠금장치가 부착식으로 설치될 것이다. 여기서, 기반부재(18)는 박판의 금속판재이다.
이렇게 설치되는 잠금장치는 기반부재(18)의 내측.외측에 각기 설치되는 실내.외유니트(20,22)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서 특징적인 기술은 실내.외유니트들(20,22) 중 어느 일측에 문틀(12)의 수용걸이요소(11)로 삽입.이탈되면서 괘.해정을 이루도록하는 하나의 삽입걸이요소(24)를 실내유니트(20)에 갖추고 목적하는 도어의 괘.해정을 이루도록한 일례를 보이고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 잠금장치의 실내.외유니트들(20,22) 내부구성을 상세히 보이고 있다. 본 발명 장금장치의 실내.외유니트(20,22) 각각에는 개폐조작레버(26)와 실린더정(28), 그리고 이들 개폐조작레버(26) 및 실린더정(28)의 괘.해정을 위한 회전구동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상기 삽입걸이요소에 괘.해정 구동력을 전달케하는 전달요소(30)가 각기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전달요소(30)는 통상에서와 같이 랙(30a)과 피니언(30b)을 이용해 운동전환을 이루게한 것이다.
또 실내.외유니트들(20,22)에 각기 내장된 전달요소들(30)의 사이에 강화유도어(10)의 개문측 변을 통해 설치되고 플렉시블한 소재를 이용해 상기 전달요소들(30)이 상반적으로 밀리고 당겨지도록 연결되어 개폐조작레버(26) 또는 실린더정(28) 중 그 어느 일측을 선택해 조작시키면 해당측의 전달요소(30) 괘.해 정력이 타측의 전달요소(30)측으로 전달되면서 삽입걸이요소)24)의 괘.해정을 이루도록한 연결부재(32)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32)는 금속밴드 또는 와이어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전달요소(30)의 랙(30a)을 연결부재(32)에 갖추어 괘.해정구동력 전달을 위해 설치되는 전달요소(30)를 삭제시킬 수 도 있다.
또한 기반부재(18)는 그 중앙부에 강화유리도어(10)의 개문측 변을 통해 설치되는 연결부재(32)를 외측에서 보호하는 커버(18a)를 일체로 갖추고 있다.
한편 실내.외유니트(20,22) 각각에는 기반부재(18)와 전달요소(30)의 사이에 개재되어서 양 전달요소들(30)의 사이를 연결하여 협동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32)의 이동쾌적을 유도하는 안내부재(34)를 각기 구비하고 있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 잠금장치의 괘.해정시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 4a는 도어가 해정된 상태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때에는 문틀(12)의 수용걸이요소(11)에서 삽입걸이요소(24)가 이탈되어 해정된 상태이다.
도 4b는 도어가 괘정된 상태의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도면에서와 같이 개폐조작레버(26) 또는 실린더정(28)들중 어느 하나를 조작시키는 것으로 괘정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실린더정(28)을 이용해 조작시킨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실린더정(28)을 조작시키면 그 실린더정(28)의 해정을 위한 회전력이 랙(30a)과 피니언(30b)에 의해 직선운동을 변환되면서 전달요소(30)를 우향으로 이동되고 이와동시 연결부재(32)의 끌어당김이 작용하여 상대 전달요소(30)를 좌향으로 이동시키고 이 좌향이동력에 의해 삽입걸이요소(24)가 문틀(12)의 수용걸이요소(11)내로 삽입되어 괘정상태를 이루게 된다. 해정시는 이와는 반대로 연결부재(32)의 밀림력에 의해 이루게 될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는 장금장치의 내.외유니트 중 어느 일측을 선택해 하나의 삽입걸이요소를 설치하고, 이 삽입걸이요소가 도어의 내.외측에 설치되는 내.외유니트에 각기 설치되는 개폐조작레버 또는 실린더정으로 괘.해정되도록함으로서, 중복적으로 설치되는 부품수를 줄이어 구성을 간소화하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내변 적당한 위치에 수용걸이요소를 갖는 문틀, 이 문틀의 일측에 설치되는 힌지를 지축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되고 개문측 변으로부터 일정거리 위치에 미리 가공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공을 통해 후 조립식으로 손잡이가 설치되어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도록한 강화유리도어의 개문측 내.외벽에 그 개문측의 변을 통해서 내향측으로 일정길이 연장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의 조립과 함께 강화유리도어 내.외벽에 중첩적으로 설치되는 기반부재를 가지며, 이 기반부재의 내.외측에 상기 수용걸리요소로 삽입.이탈되면서 괘.해정을 이루도록하는 삽입걸이요소와 이 삽입걸이요소를 구동시키기 위한 개폐조작레버 및 실린더정, 그리고 이들 사이에 설치되어서 상기 개폐조작레버 및 실린더정의 괘.해정을 위한 회전구동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상기 삽입걸이요소에 괘.해정 구동력을 전달케하는 전달요소들이 각기 구비되는 실내.외유니트를 갖춘 도어의 잠금장치로서,
    상기 실내.외유니트 중 그 어느 일측을 선택해 설치되어 상기 수용걸리요소로 삽입.이탈되면서 괘.해정을 이루도록하는 하나의 삽입걸이요소를 갖춘 것;
    상기 실내.외유니트들에 각기 내장된 상기 전달요소들의 사이에 상기 강화유도어의 개문측 변을 통해 설치되고 플렉시블한 소재를 이용해 상기 전달요소들이 상반적으로 밀리고 당겨지도록 연결되어 상기 개폐조작레버 또는 상기 실린더정 중 그 어느 일측을 선택해 조작시키면 해당측의 전달요소 괘.해정력이 타측의 전달요소측으로 전달되면서 상기 삽입걸이요소의 괘.해정을 이루도록한 연결부재를 갖추어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반부재는 그 중앙부에 상기 강화유리도어의 개문측 변을 통해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외측에서 보호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외유니트 각각에 상기 기반부재와 상기 전달요소의 사이에 개재되어서 상기 양 전달요소들의 사이를 연결하여 협동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의 이동괘적을 유도하는 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박판의 금속밴드를 이용한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와이어를 이용한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6. 삭제
KR1020020034594A 2002-01-11 2002-06-20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KR1008012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769 2002-01-11
KR1020020001769A KR20020023290A (ko) 2002-01-11 2002-01-11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723U Division KR200288713Y1 (ko) 2002-06-20 2002-06-20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277A KR20030061277A (ko) 2003-07-18
KR100801233B1 true KR100801233B1 (ko) 2008-02-11

Family

ID=197184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769A KR20020023290A (ko) 2002-01-11 2002-01-11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KR1020020034594A KR100801233B1 (ko) 2002-01-11 2002-06-20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769A KR20020023290A (ko) 2002-01-11 2002-01-11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02329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798B1 (ko) * 2002-07-24 2006-01-24 남경훈 강화유리 도어용 잠금장치
KR20040021105A (ko) * 2002-09-02 2004-03-10 김현국 강화도어용 손잡이 겸용 특수키
KR100665310B1 (ko) * 2004-12-31 2007-01-09 남경훈 강화유리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KR100711268B1 (ko) * 2005-12-21 2007-04-25 김재식 도어록킹장치
KR100896349B1 (ko) * 2007-04-27 2009-05-07 남경훈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KR100843678B1 (ko) * 2007-05-22 2008-07-04 주식회사 그라스텍 샤워부스용 시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007A (ko) * 1998-06-24 2000-01-15 남정호 강화유리도어의잠금장치
JP2000075381A (ja) * 1998-09-02 2000-03-14 Olympus Optical Co Ltd 測位装置を内蔵したカメラ
KR20000075381A (ko) * 1999-07-14 2000-12-15 김호석 강화유리도어용 도어 잠금장치
KR200283418Y1 (ko) * 2002-02-21 2002-07-26 김성용 강화유리출입문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007A (ko) * 1998-06-24 2000-01-15 남정호 강화유리도어의잠금장치
JP2000075381A (ja) * 1998-09-02 2000-03-14 Olympus Optical Co Ltd 測位装置を内蔵したカメラ
KR20000075381A (ko) * 1999-07-14 2000-12-15 김호석 강화유리도어용 도어 잠금장치
KR200283418Y1 (ko) * 2002-02-21 2002-07-26 김성용 강화유리출입문 개폐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2000-0000007호
공개특허 2000-75381호
등록실용 20-283418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277A (ko) 2003-07-18
KR20020023290A (ko) 200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90663B2 (ja) 複数の機能を統合した車両ドア・プラテン及びその組立て方法
US20070126243A1 (en) Passive entry side door latch release system
EP1887171B1 (en) Vehicle door lock
KR100801233B1 (ko)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US8256253B2 (en) Cylindrical lock
MXPA06010169A (es) Miembro de resorte deprimible para un ensamble de cerrojo dormido.
CN107690503B (zh) 用于滑动窗的打开辅助装置
KR101105671B1 (ko) 방폭 도어용 로커 핀의 가이드구조
US20140130557A1 (en) Lever type handle and lock assembly for the same
KR101306888B1 (ko)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
CN110291268B (zh) 模块化驱动装置
WO1999000572A1 (en) Electric door latch and locking system of automobiles
EP2547846B1 (en) Locking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EP3865644B1 (en) Locking mechanism for hidden recessed frame
KR100535279B1 (ko) 도어 래치
EP3835536B1 (en) Ventilation device and window or door incorporating same
CN111201360A (zh) 具有门锁的折叠门
EP1536092B1 (en) A corner transmission element for doors and windows
KR101984319B1 (ko) 차량용 록킹 모듈
KR101865412B1 (ko) 호환성 패닉 엑시트 디바이스
KR200454646Y1 (ko) 강화유리문 잠금장치
KR101067236B1 (ko) 간격조절이 가능한 출입문자물쇠
CN211287014U (zh) 下压式通用锁具驱动结构
KR100577748B1 (ko)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록킹장치
ITTO940926A1 (it) Assieme di chiusura per una porta di un veicol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