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888B1 -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888B1
KR101306888B1 KR1020120036157A KR20120036157A KR101306888B1 KR 101306888 B1 KR101306888 B1 KR 101306888B1 KR 1020120036157 A KR1020120036157 A KR 1020120036157A KR 20120036157 A KR20120036157 A KR 20120036157A KR 101306888 B1 KR101306888 B1 KR 101306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eventh
installation
door lock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한
신진섭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6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8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어 손잡이 설치용 원형 홀이 기본적으로 타공되는 도어에 있어, 기본적으로 타공되는 원형 홀을 중심라인으로 상하(또는 좌우)의 설치길이가 대칭되게 도어의 내,외측에 각각 인바디 및 아웃바디 도어락을 설치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도어측에 도어 손잡이 설치용 원형 홀 이외에 인바디와 아웃바디의 도어락 설치를 위한 홀을 타공하는 작업을 없애면서 도어락 설치의 작업오류를 개선하고, 특히 도구에 의한 외력이 아웃바디 도어락에 가해지더라도 아웃바디 도어락이 도어측에서 벌어짐과 같은 이탈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방범 기능을 강화한 것이다.

Description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Door rock device}
본 발명은 도어 내외측에 설치되는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손잡이 설치용 원형 홀이 타공되는 도어에 별도의 추가적인 홀을 타공하지 않고, 원형 홀을 중심라인으로 하여 도어의 내외측면에 각각 인바디 및 아웃바디 도어락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손잡이 설치용 원형 홀이 타공된 도어의 내부에는 실외에서 실내 또는 실내에서 실외로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통해 록킹 또는 언록킹 기능을 수행하는 모티스 락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모티스 락의 록킹 또는 언록킹은 도어의 내,외측면에 설치되는 인바디 및 아웃바디 도어락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다.
상기 인바디 및 아웃바디 도어락은 통상적으로 직사각형의 구조물로, 도어의 내,외부면에 각각 설치되는 설치 서포트와, 상기 설치 서포트에 결합되는 본체를 포함하게 되는데, 인바디측 본체에는 섬턴과 배터리 수납부 그리고 손잡이가 구성되고, 아웃바디측의 본체에는 키박스와 키패드 그리고 손잡이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인바디측과 아웃바디측의 손잡이는 대칭되는 구조물로서 도어내에 설치되는 모티스 락의 레드볼트 구동부와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따라 모티스 락의 데드볼트는 상기 섬턴이나 상기 키패드의 인증신호에 따라 록킹 또는 언록킹이 이루어지고, 이와 함께 상기 데드볼트의 록킹 또는 언록킹으로부터 래치볼트의 록킹 또는 언록킹이 연동되도록 설계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 도어락 장치는 도어의 내,외측면에 설치시 별도의 설치홀을 가공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도어에 기본적으로 타공되는 손잡이 설치용 원형 홀을 통해 모티스 락과 인바디 및 아웃바디 도어락을 연결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도어의 손잡이 설치용 원형 홀을 기준으로 도어의 하단측에는 모티스 락과 인바디 및 아웃바디 도어락의 손잡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설치홀을 타공하여야 하는 한편, 상기 손잡이 설치용 원형 홀을 기준으로 도어의 상단측에는 인바디 및 아웃바디 도어락의 본체를 결속시키는 체결보스가 관통하는 홀을 별도 타공하여야 하며, 특히 손잡이 설치용 원형 홀의 경우에는 인바디측과 아웃바디측의 통신선을 통과시키는 것에 국한되었던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손잡이 설치용 원형 홀의 상하단측에 각각 별도의 홀을 타공시 그 타공 위치가 정밀하게 이루어져야 하는데, 만약 타공 위치가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오차가 발생할 경우에는 새롭게 홀을 타공해야 하는 등 도어락 장치의 설치 작업이 복잡하게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도어에 다수의 홀을 타공하여 인바디측과 아웃바디측의 본체 상단측을 체결보스와 나사 등을 통해 결속시킬 때, 상기 본체의 상단측은 모티스락과 연결되는 중심라인과 일정거리 떨어져 있고, 특히 모티스 락과 연결되는 중심라인은 도어에 기분적으로 형성되는 도어 손잡이용 원형 홀의 하단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구(예; 드라이버, 쇠막대 등)에 의한 트위스트 장력으로부터 도어측에서 쉽게 이탈(예; 벌어짐 현상)하게 되는 단점이 있고, 이로인해 외부 침입 방지와 같은 방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도어 손잡이 설치용 원형 홀이 기본적으로 타공되는 도어에 있어, 기본적으로 타공되는 원형 홀을 중심라인으로 상하(또는 좌우)의 설치길이가 대칭되게 도어의 내,외측에 각각 인바디 및 아웃바디 도어락을 설치 구성함으로써, 도어측에 도어 손잡이 설치용 원형 홀 이외에 인바디와 아웃바디의 도어락 설치를 위한 홀을 타공하는 작업을 없애면서 도어락 설치의 작업오류를 개선하고, 특히 도구에 의한 외력이 아웃바디 도어락에 가해지더라도 아웃바디 도어락이 도어측에서 벌어짐과 같은 이탈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방범 기능을 강화하는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는, 도어에 기본적으로 타공되는 도어 손잡이 설치용 원형 홀이 위치하는 도어의 내측에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포함하는 모티스 락을 설치하되, 상기 원형 홀을 중심라인으로 하여 도어의 내,외측면에는 외부의 비정상적인 외력이 가해질 때 그 외력을 분산시켜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하 대칭의 설치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인바디 도어락과 아웃바디 도어락을 설치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하 대칭의 설치 길이는 상기 원형 홀을 중심라인으로 하여 상측(또는 하측)과 하측(또는 상측)의 길이가 각각 5:5 비율의 길이를 가지되, 상기 5:5 비율의 길이를 기준으로 ±0.1씩의 길이가 가감되면서 최대 6:4 비율의 길이 범위까지 적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인바디 도어락은, 상기 원형 홀을 중심라인으로 하여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제 1 설치 서포트; 상기 제 1 설치 서포트와 결합되고, 제 1 힌지부를 중심으로 푸쉬 또는 풀 동작이 이루어지는 손잡이 일체형의 제 1 본체; 상기 제 1 본체내에 구성되고, 상기 제 1 본체의 푸쉬 또는 풀 동작에 따라 모티스 락의 데드볼트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1 본체내에 구성되고, 상기 제 1 본체의 푸쉬 또는 풀 동작으로 상기 데드볼트의 록킹 또는 언록킹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모티스 락의 래치볼트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제 2 구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구동부는, 제 1 본체에 결합되고, 모티스 락의 데드볼트에 작동간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데드볼트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섬턴노브; 상기 섬턴노브의 일측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섬턴노브를 록킹 또는 언록킹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피니언기어; 상기 제 1 본체의 푸쉬 또는 풀 동작에 따라 제 2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1 회전바; 상기 피니언기어와 기어 맞물림되면서 일면에 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제 1 회전바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하여 상기 피니어기어를 회전시키는 랙기어; 상기 랙기어의 돌기가 승하강되는 슬롯홀을 형성하고, 상기 랙기어의 승하강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랙기어는 ㄷ자형의 구조물로서, 구조물의 내측면 양측에는 각각 도어락 장치의 설치 방향에 따라 섬턴노브의 설치 방향 전환시(좌수↔우수), 상기 섬턴노브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의 기어 맞물림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좌수 기어부 및 우수 기어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구동부는, 상기 제 1 본체의 푸쉬 동작시 제 1 회전 바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일면에 경사면을 가지는 한 쌍의 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제 1 이동체; 상기 제 1 이동체를 관통하면서 모티스 락의 래치볼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이동체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모티스 락의 래치볼트를 언록킹시키는 제 1 작동로드;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이동체의 일측면에는 제 1 본체의 푸쉬 동작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압축되고, 상기 제 1 본체의 풀 동작시에는 신장되어 상기 제 1 이동체를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키는 제 1 탄성체가 결합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회전바는 상기 제 1 본체의 푸쉬 동작시 접촉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회전바의 일측 전방에는 상기 제 1 본체의 푸쉬 동작으로 제 1 구동부에 포함되는 랙기어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 이동체에 형성되는 돌기의 경사면에 접촉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이동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회전돌기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아웃바디 도어락은, 상기 원형 홀을 중심라인으로 하여 도어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제 11 회전바를 형성하는 제 11 설치 서포트; 상기 제 11 회전바에 푸쉬 또는 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 일체형의 제 11 본체; 상기 제 11 본체내에 구성되고, 상기 제 11 본체의 푸쉬 또는 풀 동작으로 모티스 락의 래치볼트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제 11 구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1 구동부는, 상기 제 11 본체의 내부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 11 구동돌기; 상기 제 11 본체의 풀 동작시 상기 제 11 구동돌기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일면에 경사면을 가지는 한 쌍의 홈부를 형성하는 제 11 이동체; 상기 제 11 이동체를 관통하면서 모티스 락의 래치볼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 11 이동체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모티스 락의 래치볼트를 언록킹시키는 제 11 작동로드;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1 이동체의 일측면에는 제 11 본체의 풀 동작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압축되고, 상기 제 11 본체의 푸쉬 동작시에는 신장되어 상기 제 11 이동체를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키는 제 11 탄성체가 결합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아웃바디 도어락에 포함되는 제 11 설치 서포트에는 장축의 결합로드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결합로드의 타단은 도어의 원형 홀을 관통하여 인바디 도어락에 포함되는 제 1 설치 서포트에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 손잡이 설치용 원형 홀이 기본적으로 타공되는 도어에 있어, 기본적으로 타공되는 원형 홀을 중심라인으로 상하(또는 좌우)의 설치길이가 대칭되게 도어의 내,외측에 각각 인바디 및 아웃바디 도어락을 설치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도어측에 도어 손잡이 설치용 원형 홀 이외에 인바디와 아웃바디의 도어락 설치를 위한 홀을 타공하는 작업을 없애면서 도어락 설치의 작업오류를 개선하고, 특히 도구에 의한 외력이 아웃바디 도어락에 가해지더라도 아웃바디 도어락이 도어측에서 벌어짐과 같은 이탈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방범 기능을 강화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인바디 도어락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인바디 도어락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인바디 도어락의 구조를 보인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인바디 도어락의 푸쉬 동작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인바디 도어락의 푸쉬 동작에 따른 섬턴노브의 회전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2 구동부의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2 구동부의 동작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아웃바디 도어락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아웃바디 도어락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아웃바디 도어락의 구조를 보인 배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아웃바디 도어락의 풀 동작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11 구동부의 구조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11 구동부의 동작 흐름도.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섬턴노브에 대한 설치 방향의 전환(좌수↔우수) 흐름도.
도 18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섬턴노브의 설치 방향 전환시 섬턴노브에 걸리는 회전 과부하를 방지하는 섬턴노브와 피니언기어의 결합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섬턴노브의 설치 방향 전환시 섬턴노브에 걸리는 회전 과부하를 방지하는 섬턴노브와 피니언기어의 분리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섬턴노브의 회전상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섬턴노브를 우수에서 좌수로 전환시 발생하는 오류 상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섬턴노브를 좌수에서 우수로 전환시 발생하는 오류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인바디 도어락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인바디 도어락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인바디 도어락의 구조를 보인 배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인바디 도어락의 푸쉬 동작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인바디 도어락의 푸쉬 동작에 따른 섬턴노브의 회전 흐름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2 구동부의 구조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2 구동부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아웃바디 도어락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아웃바디 도어락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아웃바디 도어락의 구조를 보인 배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아웃다비 도어락의 풀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11 구동부의 구조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11 구동부의 동작 흐름도이며,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섬턴노브에 대한 설치 방향의 전환(좌수↔우수) 흐름도이고, 도 18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섬턴노브의 설치 방향 전환시 섬턴노브에 걸리는 회전 과부하를 방지하는 섬턴노브와 피니언기어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섬턴노브의 설치 방향 전환시 섬턴노브에 걸리는 회전 과부하를 방지하는 섬턴노브와 피니언기어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섬턴노브의 회전상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섬턴노브를 우수에서 좌수로 전환시 발생하는 오류 상태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섬턴노브를 좌수에서 우수로 전환시 발생하는 오류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는 도어(1)에 기본적으로 타공되는 도어 손잡이 설치용 원형 홀(1a)이 위치하는 도어(1)의 내측에 데드볼트(2a)와 래치볼트(2b)를 포함하는 모티스 락(2)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원형 홀(1a)을 중심라인으로 하여 도어(1)의 내,외측면에 상하 대칭의 설치 길이 즉, 상기 원형 홀(1a)을 중심라인으로 하여 상,하측(또는 하,상측)이 5:5 비율의 길이에서 최대 6:4 비율의 설치길이를 가지는 인바디 도어락(A)과 아웃바디 도어락(B)을 설치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상기 아웃바디 도어락(B)은 외부에서 도구를 통해 비정상적인 외력을 가할 때 그 외력을 분산시켜 상기 아웃바디 도어락(B)이 도어측에서 이탈되는 문제를 개선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상하 대칭의 설치 길이는 상기 원형 홀(1a)을 중심라인으로 하여 상측(또는 하측)과 하측(또는 상측)의 길이가 각각 5:5 비율의 길이를 가지되, 상기 5:5 비율의 길이를 기준으로 ±0.1씩의 길이(단위 cm)가 가감되면서 최대 6:4 비율의 길이 범위까지 확대 적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인바디 도어락(A)과 아웃바디 도어락(B)은 푸쉬풀(push pull)형 손잡이가 적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인바디 도어락(A)과 아웃바디 도어락(B)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인바디 도어락(A)은 제 1 설치 서포트(10), 제 1 본체(20), 제 1,2 구동부(30)(4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설치 서포트(10)는 상기 원형 홀(1a)을 중심라인으로 하여 도어(1)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본체(20)는 손잡이 일체형의 구조물로서, 상기 제 1 설치 서포트(10)와 결합되며, 상기 제 1 힌지부(P1)를 중심으로 푸쉬 또는 풀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 본체(20)는 도어가 실외측 방향으로 열림이 이루어질때에는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여러단계(예; 0°→5°→10°→15°)의 푸쉬 동작을 하고, 도어가 실내측 방향으로 열림이 이루어질때에는 풀 동작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구동부(30)는 첨부된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본체(20)내에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본체(20)의 푸쉬 또는 풀 동작에 따라 모티스 락(2)의 데드볼트(2a)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것이며, 섬턴노브(Thumb Turn Knob)(31), 피니언기어(32), 랙기어(33), 지지프레임(34), 그리고 제 1 회전바(35)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섬턴노브(31)는 상기 제 1 본체(20)에 결합되는 것으로, 모티스 락(2)의 데드볼트(2a)에 작동간(L)을 통해 연결되면서 상기 데드볼트(2a)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것이다.
상기 피니언기어(32)는 상기 섬턴노브(31)의 일측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섬턴노브(31)를 록킹 또는 언록킹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랙기어(33)는 상기 피니언기어(32)와 기어 맞물림되면서 일면에 돌기(33c)를 돌출 형성한 것으로, 상기 제 1 본체(20)의 푸쉬 또는 풀 동작에 따라 상기 제 1 회전바(35)에 의해 승하강하여 상기 피니어기어(32)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 본체(20)의 푸쉬 동작으로부터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제 1 회전바(35)가 제 2 힌지부(P2)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랙기어(33)는 승강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랙기어(33)의 좌수 기어부(33a)에 기어 맞물림이 이루어지는 피니언기어(32)는 회전을 하게 되며, 외주면에 상기 피니언기어(32)가 결합되는 섬턴노브(31)는 물론, 상기 섬턴노브(31)에 결합되는 작동간(L)은 상기 피니언기어(32)의 회전에 따라 데드볼트(2a)를 언록킹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랙기어(33)는 ㄷ자형의 구조물로, 첨부된 도 15 내지 도 17에서와 같이, 상기 구조물의 내측면 양측에는 각각 도어락 장치의 설치 방향에 따라 섬턴노브(31)의 설치 방향 전환시(좌수↔우수), 상기 섬턴노브(31)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32)의 기어 맞물림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좌수 기어부(33a) 및 우수 기어부(33b)가 형성된 것이다.
즉, 상기 섬턴노브(31)의 설치 위치 변경은 도어의 열림방향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가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열림회전할 경우 상기 섬턴노브(31)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32)는 랙기어(33)의 우수 기어부(33b)에 기어 맞물림되지만, 도어가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열림회전할 경우 상기 섬턴노브(31)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32)는 랙기어(33)의 좌수 기어부(33a)에 기어 맞물림되어야 하는 것인 바, 우선 첨부된 도 15에서와 같이 우수(또는 좌수)의 초기 위치에서 랙기어(33)와 지지프레임(34)을 일정거리 1차 이동시켜, 우수(또는 좌수) 기어부(33b)로부터 섬턴노브(31)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32)의 기어맞물림을 해제시킨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섬턴노브(31)를 일정각도(90°)로 회전시킨 다음 상기 랙기어(33)와 지지프레임(34)을 일정거리 2차 이동시켜, 첨부된 도 17에서와 같이 상기 섬턴노브(31)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32)를 랙기어(33)의 좌수(또는 우수) 기어부(33a)에 기어 맞물림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때, 래치볼트(2b)의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제 2 구동부(40)는 제 1 이동체(41)와 제 1 작동로드(4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작동로드(42)는 상기 제 1 이동체(41)의 우수측에 결합되어 있는 바,
상기 섬턴노브(31)를 우수측에서 좌수측으로 변경할 때, 상기 제 1 작동로드(42) 또한 상기 제 1 이동체(41)의 우수측에서 좌수측으로 그 위치가 변경되어야 하며, 이는 상기 섬턴노브(31)의 회전에 따라 데드볼트(2a)의 언록킹시, 상기 래치볼트(2b)도 상기 데드볼트(2a)와 더불어 동시에 언록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섬턴노브(31)의 설치 위치 변경에 따른 피니언기어(32)의 기어 맞물림 위치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섬턴노브(31)의 위치를 우수에서 좌수로 변경할 때, 첨부된 도 21a에서와 같이 섬턴노브(31)가 정상적인 상태(수직상태)이면서 피니언기어(32)가 랙기어(33)의 좌수 기어부(33a)에 기어 맞물림되어 있지만 그 기어 맞물림이 좌수 기어부(33a)의 하측 끝단에 물리면서 랙기어(33)가 이미 섬턴노브(31)를 언록킹시키는 위치에 존재하여 섬턴노브(31)의 언록킹 회전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거나, 첨부된 도 21b에서와 같이 피니언기어(32)가 랙기어(33)의 좌수 기어부(33a)에 정상적으로 기어 맞물림 상태이지만 섬턴노브(31)가 비정상적인 상태 즉 수직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섬턴노브의 위치를 좌수에서 우수로 변경할 때, 첨부된 도 22a에서와 같이 섬턴노브(31)가 정상적인 상태(수직상태)이면서 피니언기어(32)가 랙기어(33)의 우수 기어부(33b)에 기어 맞물림되어 있지만 그 기어 맞물림이 우수 기어부(33b)의 하측 끝단에 물리면서 랙기어(33)가 이미 섬턴노브(31)를 언록킹시키는 위치에 존재하여 섬턴노브(31)의 언록킹 회전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거나, 첨부된 도 22b에서와 같이 피니언기어(32)가 랙기어(33)의 우수 기어부(33b)에 정상적으로 기어 맞물림 상태이지만 섬턴노브(31)가 비정상적인 상태 즉 수직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오류 발생시 이러한 오류를 수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억지로 섬턴노브(31)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섬턴노브(31)에 회전 과부하가 걸리면서, 상기 섬턴노브(31)의 파손을 유발하게 되는 바, 이를 개선하도록 하였다.
즉, 상기 섬턴노브(31)의 회전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으므로, 이를 보정하도록 첨부된 도 18 내지 도 20에서와 같이 상기 섬턴노브(31)를 제 1,2 노브(311)(312)로 분할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2 노브(312)에 요홈(31a)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섬턴노브(31)의 회전 과부하가 걸리지 않고 정상적인 상태에서 상기 제 2 노브(312)가 요홈(31a)에 의해 상기 피니어기어(32)의 각 기어측에 끼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상기 섬턴노브(31)에 회전 과부하가 걸린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노브(312)가 요홈(31a)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노브(311)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상기 피니언기어(32)의 각 기어측에 끼움 결합된 후 이탈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공회전을 하게 되면서 상기 섬턴노브(31)의 회전 과부하를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 노브(312)가 요홈(31a)을 이용하여 피니언기어(32)의 각 기어측에 끼움 결합된 후 이탈하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는 것은, 상기 제 2 노브(312)의 외주면에서 작동간(L)과 피니언기어(32)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313)의 압축 및 복원력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프레임(34)은 상기 랙기어(33)의 후단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랙기어(33)의 승하강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34)에는 슬롯홀(34a)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홀(34a)에 상기 랙기어(33)의 돌기(33c)가 안착되면서, 상기 랙기어(33)의 승하강이 이루어질 때 상기 돌기(33c)가 상기 슬롯홀(34a)을 따라 승하강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구동부(40)는 상기 제 1 본체(20)내에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본체(20)의 푸쉬 또는 풀 동작으로 상기 데드볼트(2a)의 록킹 또는 언록킹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모티스 락(2)의 래치볼트(2b)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것이며, 첨부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제 1 이동체(41), 제 1 작동로드(42), 제 1 탄성체(43)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이동체(41)는 상기 제 1 본체(20)의 푸쉬 동작시 상기 제 1 회전바(50)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일면에 경사면을 가지는 한 쌍의 돌기(41a)를 돌출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제 1 작동로드(42)는 상기 제 1 이동체(41)를 관통하면서 모티스 락(2)의 래치볼트(2b)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이동체(41)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모티스 락(2)의 래치볼트(2b)를 언록킹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작동로드(42)는 상기 섬턴노브(31)의 위치 변경에 따라 그 위치가 함께 변경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탄성체(43)는 상기 제 1 이동체(41)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본체(20)의 푸쉬 동작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압축되고, 상기 제 1 본체(20)의 풀 동작시에는 신장되어 상기 제 1 이동체(41)를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 본체(20)의 푸쉬 동작으로부터 섬턴노브(31)가 회전하여 모티스 락(2)의 데드볼트(2a)가 언록킹될 때 제 1 이동체(41)에 형성되는 한 쌍의 돌기(41a)의 경사면을 따라 제 1 회전바(35)의 상승회전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제 1 이동체(41)는 제 1 탄성체(43)을 압축시키면서 슬라이드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이동체(41)를 관통하면서 모티스 락(2)의 래치볼트(2a)에 연결되는 제 1 작동로드(42)는 상기 제 1 이동체(41)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모티스 락(2)의 래치볼트(2b)를 언록킹시키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인바디 도어락(A)은 제 1 본체(20)의 푸쉬 동작시 제 2 힌지부(P2)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1 회전바(35)에 의해 모티스 락(2)의 데드볼트(2a)와 래치볼트(2b)를 동시에 언록킹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본체(20)에 대한 푸쉬 동작을 해제시킬 경우, 상기 제 1 회전바(35)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바,
상기 제 1 회전바(35)의 복귀로부터 제 1 이동체(41)는 제 1 탄성체(43)의 복귀력에 따라 원래의 위치로 리턴되는 슬라이드 이동을 하고, 이와 함께 상기 제 1 회전바(35)에 의해 일정높이로 상승된 랙기어(33) 또한 원래의 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랙기어(33)의 하강으로부터 피니언기어(32)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므로, 상기 피니언기어(32)가 결합되는 섬턴노브(31)는 물론 작동간(L)이 원래의 위치로 리턴 회전이 이루어지고, 이에따라 상기 작동간(L)에 연결되는 모티스 락(2)의 데드볼트(2a)는 록킹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모티스 락(2)의 데드볼트(2a)가 록킹상태로 전환되는 것은 도어(1)의 열림이 이루어진 이후에 일정시간 즉, 도어(1)의 닫힘이 완전하게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록킹상태로 전환되며, 이는 상기 제 1 본체(20)가 푸쉬 동작상태에서 원래의 위치로 리턴(풀 동작)되는 시간동안 지연될 수 있기 때문인 것이다.
상기 제 1 탄성체(43)는 상기 제 1 이동체(41)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본체(20)의 푸쉬 동작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압축되고, 상기 제 1 본체(20)의 풀 동작시에는 신장되어 상기 제 1 이동체(41)를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회전바(35)는 상기 제 1 본체(20)에 결합되는 제 2 힌지부(P2)를 통해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본체(20)의 푸쉬 동작에 따라 접촉이 이루어지는 걸리돌기(35a)를 양단에 형성하고 있음은 물론, 일측 전방에는 상기 제 1 본체(20)의 푸쉬 동작시 상기 랙기어(33)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 이동체(41)에 형성되는 돌기(41a)의 경사면에 접촉하면서 이동하여 상기 제 1 이동체(41)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회전돌기(35b)를 형성하여 둔 것이다.
즉, 상기 제 1 회전바(35)는 제 1 본체(20)가 걸림돌기(35a)에 접촉될 때 제 2 힌지부(P2)를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회전상태에서 상기 제 1 이동체(41)를 슬라이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랙기어(33)를 상승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2 구동부(30)(40)는 도면에는 부호를 표시하지 않았지만 복수의 하우징에 모듈화되어 결합되는 것이고, 이러한 모듈화된 구조물에 상기 섬턴노브(31)가 결합되는 한편, 상기 모듈화된 구조물과 섬턴노브(31)는 상기 제 1 본체(32)에 결합 구성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 9 내지 14에서와 같이, 상기 아웃바디 도어락(B)은 제 11 설치 서포트(110), 제 11 본체(120), 제 11 구동부(130)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 11 설치 서포트(110)는 상기 원형 홀(1a)을 중심라인으로 하여 도어(1)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면에는 제 11 회전바(111)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 11 본체(120)는 상기 제 11 회전바(111)에 푸쉬 또는 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 일체형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1 본체(120)는 도어가 실외측 방향으로 열림이 이루어질때에는 첨부된 도 12에서와 같이 풀 동작을 하고, 도어가 실내측 방향으로 열림이 이루어질때에는 푸쉬 동작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11 구동부(130)는 상기 제 11 본체(120)내에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11 본체(120)의 푸쉬 또는 풀 동작으로 모티스 락(2)의 래치볼트(2b)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것이며, 제 11 구동돌기(131), 제 11 이동체(132), 제 11 작동로드(133), 제 11 탄성체(134)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 11 구동돌기(131)는 상기 제 11 본체(120)의 내부면에서 한 쌍이 나란하게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11 이동체(132)는 상기 제 11 본체(120)의 풀 동작시 상기 제 11 구동돌기(131)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일면에 경사면을 가지는 한 쌍의 홈부(132a)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제 11 작동로드(133)는 상기 제 11 이동체(132)를 관통하여 모티스 락(2)의 래치볼트(2b)에 연결되고, 상기 제 11 이동체(132)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모티스 락(2)의 래치볼트(2b)를 언록킹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11 탄성체(134)는 상기 제 11 이동체(132)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1 본체(120)의 풀 동작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압축되고, 상기 제 11 본체(120)의 푸쉬 동작시에는 신장되어 상기 제 11 이동체(132)를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첨부된 도 12에서와 같이 제 11 본체(120)의 풀 동작이 여러단계(예; 0°→8°→10°)를 거쳐 이루어질 때, 상기 제 11 본체(120)에 형성되는 제 11 구동돌기(131)는 제 11 이동체(132)에 형성되는 홈부(132a)의 경사면에 접촉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제 11 이동체(132)는 제 11 탄성체(134)를 압축시키면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1 이동체(132)를 관통하면서 모티스 락(2)의 래치볼트(2b)에 연결되는 제 11 작동로드(133)는 상기 제 11 이동체(132)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모티스 락(2)의 래치볼트(2b)를 언록킹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1 본체(120)에 대한 풀 동작이 해제되어 원래의 위치로 리턴될 때, 상기 제 11 이동체(132)는 제 11 탄성체(134)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슬라이드 리턴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아웃바디 도어락(B)에 포함되는 제 11 설치 서포트(110)에는 장축을 이루는 결합로드(112)의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결합로드(112)의 타단은 도어의 원형 홀(1a)을 관통하여 인바디 도어락(A)에 포함되는 제 1 설치 서포트(10)에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인바디 도어락(A)과 아웃바디 도어락(B)을 원형 홀(1a)을 중심으로 견고하게 결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아웃바디 도어락(B)에는 인증번호 입력을 위한 키패드가 형성되고, 상기 키패드로부터 입력되는 인증번호에 따라 모터의 구동이 이루어져 데드볼트(2a)의 언록킹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동작은 통상적인 것으로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 ; 도어 1a; 원형 홀
2 ; 모티스 락 2a; 데드볼트
2b; 래치볼트 10; 제 1 설치 서포트
20; 제 1 본체 30; 제 1 구동부
31; 섬턴노브 31a; 요홈
32; 피니언기어 33; 랙기어
33a; 좌수 기어부 33b; 우수 기어부
33c; 돌기 34; 지지프레임
34a; 슬롯홀 35; 제 1 회전바
35a; 걸림돌기 35b; 회전돌기
40; 제 2 구동부 41; 제 1 이동체
41a; 돌기 42; 제 1 작동로드
43; 제 1 탄성체 110; 제 11 설치 서포트
111; 제 11 회전바 112; 결합로드
120; 제 11 본체 130; 제 11 구동부
131; 제 11 구동돌기 132; 제 11 이동체
132a; 홈부 133; 제 11 작동로드
134; 제 11 탄성체 311,312; 제 1,2 노브
313; 스프링

Claims (12)

  1. 도어에 기본적으로 타공되는 도어 손잡이 설치용 원형 홀이 위치하는 도어의 내측에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포함하는 모티스 락을 설치하되,
    상기 원형 홀을 중심라인으로 하여 도어의 내,외측면에는 외부의 비정상적인 외력이 가해질 때 그 외력을 분산시켜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하 대칭의 설치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인바디 도어락과 아웃바디 도어락을 설치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대칭의 설치 길이는 상기 원형 홀을 중심라인으로 하여 상측(또는 하측)과 하측(또는 상측)의 길이가 각각 5:5 비율의 길이를 가지되, 상기 5:5 비율의 길이를 기준으로 ±0.1씩의 길이가 가감되면서 최대 6:4 비율의 길이 범위까지 적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바디 도어락은,
    상기 원형 홀을 중심라인으로 하여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제 1 설치 서포트;
    상기 제 1 설치 서포트와 결합되고, 제 1 힌지부를 중심으로 푸쉬 또는 풀 동작이 이루어지는 손잡이 일체형의 제 1 본체;
    상기 제 1 본체내에 구성되고, 상기 제 1 본체의 푸쉬 또는 풀 동작에 따라 모티스 락의 데드볼트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1 본체내에 구성되고, 상기 제 1 본체의 푸쉬 또는 풀 동작으로 상기 데드볼트의 록킹 또는 언록킹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모티스 락의 래치볼트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제 2 구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부는,
    제 1 본체에 결합되고, 모티스 락의 데드볼트에 작동간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데드볼트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섬턴노브;
    상기 섬턴노브의 일측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섬턴노브를 록킹 또는 언록킹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피니언기어;
    상기 제 1 본체의 푸쉬 또는 풀 동작에 따라 제 2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1 회전 바;
    상기 피니언기어와 기어 맞물림되면서 일면에 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제 1 회전 바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하여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랙기어; 및,
    상기 랙기어의 돌기가 승하강되는 슬롯홀을 형성하고, 상기 랙기어의 승하강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는 ㄷ자형의 구조물로서, 구조물의 내측면 양측에는 각각 도어락 장치의 설치 방향에 따라 섬턴노브의 설치 방향 전환시(좌수↔우수), 상기 섬턴노브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의 기어 맞물림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좌수 기어부 및 우수 기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부는,
    상기 제 1 본체의 푸쉬 동작시 상기 제 1 회전바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일면에 경사면을 가지는 한 쌍의 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제 1 이동체;
    상기 제 1 이동체를 관통하면서 모티스 락의 래치볼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이동체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모티스 락의 래치볼트를 언록킹시키는 제 1 작동로드;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체의 일측면에는 제 1 본체의 푸쉬 동작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압축되고, 상기 제 1 본체의 풀 동작시에는 신장되어 상기 제 1 이동체를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키는 제 1 탄성체가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바는 상기 제 1 본체의 푸쉬 동작시 접촉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회전바의 일측 전방에는 상기 제 1 본체의 푸쉬 동작으로 제 1 구동부에 포함되는 랙기어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 이동체에 형성되는 돌기의 경사면에 접촉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이동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회전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바디 도어락은,
    상기 원형 홀을 중심라인으로 하여 도어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제 11 회전바를 형성하는 제 11 설치 서포트;
    상기 제 11 회전바에 푸쉬 또는 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 일체형의 제 11 본체;
    상기 제 11 본체내에 구성되고, 상기 제 11 본체의 푸쉬 또는 풀 동작으로 모티스 락의 래치볼트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제 11 구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구동부는,
    상기 제 11 본체의 내부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 11 구동돌기;
    상기 제 11 본체의 풀 동작시 상기 제 11 구동돌기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일면에 경사면을 가지는 한 쌍의 홈부를 형성하는 제 11 이동체;
    상기 제 11 이동체를 관통하면서 모티스 락의 래치볼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 11 이동체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모티스 락의 래치볼트를 언록킹시키는 제 11 작동로드;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이동체의 일측면에는 제 11 본체의 풀 동작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압축되고, 상기 제 11 본체의 푸쉬 동작시에는 신장되어 상기 제 11 이동체를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키는 제 11 탄성체를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바디 도어락에 포함되는 제 11 설치 서포트에는 장축의 결합로드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결합로드의 타단은 도어의 원형 홀을 관통하여 인바디 도어락에 포함되는 제 1 설치 서포트에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
KR1020120036157A 2012-04-06 2012-04-06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 KR101306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157A KR101306888B1 (ko) 2012-04-06 2012-04-06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157A KR101306888B1 (ko) 2012-04-06 2012-04-06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6888B1 true KR101306888B1 (ko) 2013-09-17

Family

ID=49455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157A KR101306888B1 (ko) 2012-04-06 2012-04-06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68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57585A (ja) * 2015-09-14 2017-03-23 株式会社ベスト 錠前
JP2017057584A (ja) * 2015-09-14 2017-03-23 株式会社ベスト 錠前
KR101811723B1 (ko) * 2016-02-22 2017-12-26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도어록 잠금장치
KR20180016765A (ko) * 2016-08-08 2018-02-20 주식회사 엔텍스 푸쉬풀형 디지털 도어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517A (ko) * 1997-03-03 1998-11-05 강의식 개량 현관용 도어록
KR20060018489A (ko) * 2004-08-24 2006-03-02 김미경 무타공 도어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517A (ko) * 1997-03-03 1998-11-05 강의식 개량 현관용 도어록
KR20060018489A (ko) * 2004-08-24 2006-03-02 김미경 무타공 도어락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57585A (ja) * 2015-09-14 2017-03-23 株式会社ベスト 錠前
JP2017057584A (ja) * 2015-09-14 2017-03-23 株式会社ベスト 錠前
KR101811723B1 (ko) * 2016-02-22 2017-12-26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도어록 잠금장치
KR20180016765A (ko) * 2016-08-08 2018-02-20 주식회사 엔텍스 푸쉬풀형 디지털 도어락
KR101899864B1 (ko) 2016-08-08 2018-09-19 주식회사 엔텍스 푸쉬풀형 디지털 도어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7655B1 (en) Security system for entrance barriers
KR100679176B1 (ko) 원터치형 도어록
KR101868469B1 (ko) 방향 전환이 용이한 푸쉬풀 도어락
US9890564B2 (en) Interconnected lock with direct drive for adjustable deadbolt to latchbolt spacing
KR101306888B1 (ko)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
KR101320590B1 (ko) 도어락의 섬턴 위치 변경장치 및 그 변경방법
KR101056704B1 (ko) 슬라이딩 바아의 이동에 의한 랙 기어 운동 단속 장치 및이를 이용한 임의 각도에서 잠금이 가능한 턴 방식의 창호개폐장치
US20110016938A1 (en) Lock Status Indicator Device
EP3309333B1 (de) Flügelrahmen eines fensters oder einer tür
EP1659238B1 (de) Schliesszylinder
KR101306889B1 (ko) 도어락의 섬턴 회전 제어장치
KR20060133938A (ko) 레버형 도어록의 잠금버튼
KR200482943Y1 (ko) 도어 락장치
KR100432810B1 (ko) 도어 록킹장치
EP2171187B1 (en) Lock for reinforced doors and the like comprising a selector
EP2862992B1 (de) Multischloss
KR101294769B1 (ko) 도어락 장치
KR200454646Y1 (ko) 강화유리문 잠금장치
KR200252596Y1 (ko) 도어 록킹장치
CN110344673A (zh) 一种双开门锁具
KR100575592B1 (ko)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
KR100878846B1 (ko) 강화유리도어 잠금장치
KR101497680B1 (ko) 강화 유리도어의 기계식 겸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
CN211115173U (zh) 一种把手锁
KR20230007048A (ko) 우든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