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5592B1 -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5592B1
KR100575592B1 KR1020040060399A KR20040060399A KR100575592B1 KR 100575592 B1 KR100575592 B1 KR 100575592B1 KR 1020040060399 A KR1020040060399 A KR 1020040060399A KR 20040060399 A KR20040060399 A KR 20040060399A KR 100575592 B1 KR100575592 B1 KR 100575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ead bolt
plate
bolt assembly
l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1518A (ko
Inventor
김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1020040060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5592B1/ko
Publication of KR20060011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05B47/026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the bolt moving rectilinear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07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the detent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하우징과, 하우징 좌측과 우측으로 돌출가능한 데드볼트 조립체와, 데드볼트 조립체를 좌우로 운동시키는 구동모터 및 구동모터의 동력을 데드볼트 조립체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종동베벨기어를 포함하는 좌우수 공용 도어록에 있어서, 종동베벨기어와 일체로 둘레에 환형의 판체로 구성되어 다수의 록킹홈이 형성되는 록킹플레이트와; 하우징에 각 작동위치로 회동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록킹플레이트의 각 록킹홈과 정렬되는, 회동플레이트와; 회동플레이트에 록킹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록커와; 록커를 록킹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운동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작동노브와; 회동플레이트를 각 작동위치에서 위치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수단을 구비한다. 록커는 록킹플레이트의 각 록킹홈에 결합되어 데드볼트 조립체를 록킹시킬 수 있도록 록킹돌기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록커로 데드볼트 조립체를 각 위치에서 록킹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도어록을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하나의 록커로 상기 데드볼트 조립체를 제 1위치 또는 제 2위치에서 록킹시킬 수 있으므로, 적은 부품과 적은 제조공수로도 강제 잠금장치를 제조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제조비용과 생산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FORCED LOCKING DEVICE OF A DOOR LOCK FOR COMMON USE OF LEFT AND RIGHT HANDED PERSON}
도 1은 일반적인 도어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는 종래의 좌우수 공용 도어록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우수형 도어에 사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b는 종래의 좌우수 공용 도어록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좌수형 도어에 사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강제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록킹플레이트와 회동플레이트 및 록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강제 잠금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우수형 도어에 사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b는 본 발명의 강제 잠금장치가 우수형 도어에 사용된 상태에서, 데드볼트가 해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강제 잠금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좌 수형 도어에 사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b는 본 발명의 강제 잠금장치가 좌수형 도어에 사용된 상태에서, 데드볼트가 해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20: 데드볼트 조립체
24: 제 1데드볼트 26: 제 2데드볼트
30: 구동모터 32: 동력전달기구
34: 구동베벨기어 36: 종동베벨기어
38: 작동아암 50: 록킹플레이트
52: 제 1록킹홈 54: 제 2록킹홈
60: 회동플레이트 62: 고정볼트
70: 록커 72: 록킹돌기
74: 작동노브
본 발명은 좌우수 공용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수형 도어와 우수형 도어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에는 외부인의 무단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도어록이 설치된 다. 도어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하우징(1)과, 하우징(1) 외측의 “돌출위치”(A)와 하우징(1) 내측의 “삽입위치”(B)를 오가며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데드볼트(3), 그리고 데드볼트(3)를 “돌출위치”(A)와 “삽입위치”(B)사이에서 운동시키는 운동수단(5), 예를 들면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여기서, 구동모터(5)와 데드볼트(3)는 동력전달기구(6)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데, 이 동력전달기구(6)는 구동모터(5)의 출력축(5a)에 설치되는 구동베벨기어(6a)와, 구동베벨기어(6a)와 치합되도록 하우징(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베벨기어(6b)와, 종동베벨기어(6b)로부터 뻗어서 데드볼트(3)를 운동시키는 작동아암(6c)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어록은 데드볼트(3)를 “돌출위치”(A)에서 강제로 록킹시키는 강제 잠금장치(7)를 구비한다. 강제 잠금장치(7)는 “돌출위치”(A)에 배치된 데드볼트(3)의 록킹홈(3a)에 끼워지도록 하우징(1)에 설치되는 록커(7a)로 구성된다. 여기서, 록킹홈(3a)에 끼워지는 록커(7a)는, 데드볼트(3)의 운동을 제한하며, 따라서 “돌출위치”(A)에 배치된 데드볼트(3)를 강제로 록킹시킨다.
이러한 도어록에 의하면, 도어(D)의 외부에서 키버튼 또는 안전키 등을 이용하여 운동수단(5)을 작동시킨다. 그러면, 운동수단(5)의 회전력은 구동베벨기어(6a)를 통해 종동베벨기어(6b)로 전달되고, 종동베벨기어(6b)로 전달된 회전력은 이에 고정된 작동아암(6c)을 왕복회동운동시키며, 왕복회동운동되는 작동아암(6c)은 데드볼트(3)를 “돌출위치”(A)에서 “삽입위치”(B)로, 또는 “삽입위치”(B) 에서 “돌출위치”(A)로 운동시키면서 도어(D)를 록킹시키거나 해정시키는 것이다.
한편, 도어를 록킹시킨 상태에서 강제로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어(D)의 내측에서 수동으로 록커(7a)를 상승시킨다. 그러면, 록커(7a)는 상부로 상승하면서 “돌출위치”(A)에 배치된 데드볼트(3)의 록킹홈(3a)에 끼워진다. 결국, 데드볼트(3)는 “돌출위치”(A)에 배치된 상태에서 운동이 제한되며, 따라서 도어(D)는 강제적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어록은, 도어(D)의 개방을 제한하여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한다는 장점은 있으나, 설치되는 도어의 개방 방식에 따라 좌수(左手)형 도어록과, 우수(右手)형 도어록, 두가지 방식으로 제작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도어는 개방되는 방식에 따라 경첩을 중심으로 왼쪽으로 개방되는 좌수(左手)형 도어와, 경첩을 중심으로 오른쪽으로 개방되는 우수(右手)형 도어로 구분된다. 따라서,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록도 도어의 개방 방식에 대응하여 두가지 방식으로 설계되고 제작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이를 감안하여 최근에는 좌수형 도어와 우수형 도어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좌우수 공용 도어록이 개발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도 2a와 도 2b에는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구성 및 그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좌우수 공용 도어록은, 도어(RD, LD)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하우징(10)을 구비하며, 하우징(10)에는 데드볼트 조립체(20)가 설치된다.
데드볼트 조립체(20)는 하우징(10) 좌측의 “제 1위치”(C)와 하우징(10) 우측의 “제 2위치”(E)를 오가며 좌,우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몸체(22)와, 몸체(22)의 양쪽 각각에 고정되는 제 1데드볼트(24)와 제 2데드볼트(26)로 구성된다. 특히, 제 1데드볼트(24)와 제 2데드볼트(26)는, 상기 데드볼트 조립체(20)가 “제 1위치”(C)와 “제 2위치”(E) 사이에서 운동함에 따라 하우징(10)의 한쪽 또는 다른 한쪽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하우징(10)의 한쪽 또는 다른 한쪽으로 각각 돌출되는 제 1데드볼트(24)와 제 2데드볼트(26)는, 상기 하우징(10)을 좌수형 도어(LD) 또는 우수형 도어(RD), 어느 곳에 설치하여도 도어(LD, RD)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도어(LD, RD)를 록킹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좌우수 공용 도어록은, 데드볼트 조립체(20)를 좌,우 왕복운동시키는 구동모터(30)를 구비한다. 구동모터(30)는 데드볼트 조립체(20)를 “제 1위치”(C)에서 “제 2위치”(E)로, 또는 “제 2위치”(E)에서 “제 1위치”(C)로 왕복운동시킴으로써, 양단에 설치된 제 1데드볼트(24)와 제 2데드볼트(26)가 하우징(10)의 한쪽 또는 다른 한쪽으로 각각 돌출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구동모터(30)와 데드볼트 조립체(20)는 동력전달기구(32)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데, 이 동력전달기구(32)는 구동모터(30)의 출력축(30a)에 설치되는 구동베벨기어(34)와, 구동베벨기어(34)와 치합되도록 하우징(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베벨기어(36)로 구성된다. 특히, 종동베벨기어(36)는 데드볼트 조립체(20)를 운동시키는 작동아암(38)을 갖춘 것으로,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 1회전위치”(P)와 “제 2회전위치”(Q)사이에서 왕복회전운동하면서 상기 데드볼트 조립체(20)를 좌,우로 왕복운동시킨다.
그리고 좌우수 공용 도어록은, “제 1위치”(C) 또는 “제 2위치”(E)에 배 치된 데드볼트 조립체(20)를 강제로 록킹시키는 강제 잠금장치(40)를 구비한다. 강제 잠금장치(40)는 “제 1위치”(C)에 배치된 데드볼트 조립체(20)의 록킹홈(20a)에 끼워지는 제 1록커(42)와, “제 2위치”(E)에 배치된 데드볼트 조립체(20)의 록킹홈(20a)에 끼워지는 제 2록커(4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좌우수 공용 도어록에 의하면, 도어를 록킹시키기 위한 데드볼트 조립체(20)를 하우징(10)의 한쪽 또는 다른 한쪽으로 각각 돌출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도어의 개방 방식에 관계없이 좌수형 도어와 우수형 도어, 어느 곳에나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좌우수 공용 도어록은, 좌수형 도어와 우수형 도어, 어느 곳에나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데드볼트 조립체(20)를 강제로 록킹시키기 위한 강제 잠금장치(40)가 두 개의 록커(42, 44)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조하기 어렵고 사용하기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강제 잠금장치(40)는, 도어의 방식에 따라 데드볼트 조립체(20)를 “제 1위치”(C)에서 록킹시키거나 “제 2위치”(E)에서 록킹시켜야 하는 바, 상기 데드볼트 조립체(20)를 “제 1위치”(C) 또는 “제 2위치”(E)에서 록킹시키기 위해 두 개의 록커(42, 44)가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하우징(10)에 두 개의 록커(42, 44)를 설치해야 하고, 두 개의 록커(42, 44)를 설치하기 위해 하우징(10)을 여러번 가공해야 하므로 많은 제조공정과 많은 부품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하우징(10)에 두 개의 록커(42, 44)가 설치되므로, 사용자가 이를 조 작하는 과정에서 다소 혼란스러운 단점이 있다. 즉, 도 2a에서와 같이, 도어록이 우수형 도어(RD)에 설치되었을 경우에는 제 1록커(42)를 조작하여 데드볼트 조립체(20)를 록킹하고, 도 2b에서와 같이, 도어록이 좌수형 도어(LD)에 설치되었을 경우에는 제 2록커(44)를 조작하여 데드볼트 조립체(20)를 록킹시켜야 한다.
따라서, 도어록 사용자는 도어의 방식에 따라 제 1록커(42)와 제 2록커(44)를 구분하여 조작해야 하는 바, 조작하는 과정에서 혼동의 우려가 있다. 특히, 도어록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 사용자의 경우에는 제 1록커(42)와 제 2록커(44)를 혼동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따라서 도어록을 오조작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하나의 록커로도 데드볼트 조립체를 제 1위치 또는 제 2위치에서 록킹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적은 부품과 적은 작업공수로도 제조 및 조립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작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는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록커로 데드볼트 조립체를 제 1위치 또는 제 2위치에서 록킹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사용하기가 매우 간편하게 구성된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좌측과 우측으로 돌출가능한 데드볼트 조립체와, 상기 데드볼트 조립체를 좌우로 운동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데드볼트 조립체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종동베벨기어를 포함하는 좌우수 공용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종동베벨기어와 일체로 둘레에 환형의 판체로 구성되어 다수의 록킹홈이 형성되는 록킹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에 각 작동위치로 회동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록킹플레이트의 각 록킹홈과 정렬되는, 회동플레이트와; 상기 회동플레이트에 록킹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록커와; 상기 록커를 록킹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운동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작동노브와; 상기 회동플레이트를 각 작동위치에서 위치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록커는 상기 록킹플레이트의 각 록킹홈에 결합되어 상기 데드볼트 조립체를 록킹시킬 수 있도록 록킹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강제 잠금장치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3을 참고로하여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이에 따르면, 좌우수 공용 도어록은, 도어(D)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하우징(10)을 구비하며, 하우징(10)에는 데드볼트 조립체(20)가 설치된다.
데드볼트 조립체(20)는 좌측의 “제 1위치”(C)와 우측의 “제 2위치”(E)를 오가며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몸체(22)와, 몸체(22)의 양쪽에 각각 고정 되는 제 1데드볼트(24)와 제 2데드볼트(26)로 구성된다. 특히, 제 1데드볼트(24)와 제 2데드볼트(26)는, 데드볼트 조립체(20)가 “제 2위치”(E)에서 “제 1위치”(C)로, 또는 “제 1위치”(C)에서 “제 2위치”(E)로 운동함에 따라 하우징(10)의 한쪽 또는 다른 한쪽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좌우수 공용 도어록은, 데드볼트 조립체(20)를 운동시키는 구동모터(30)를 구비한다. 구동모터(30)는 데드볼트 조립체(20)를 “제 2위치”(E)에서 “제 1위치”(C)로, 또는 “제 1위치”(C)에서 “제 2위치”(E)로 운동시킴으로써, 양단에 설치된 제 1데드볼트(24)와 제 2데드볼트(26)가 하우징(10)의 한쪽 또는 다른 한쪽으로 각각 돌출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구동모터(30)와 데드볼트 조립체(20)는 동력전달기구(32)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데, 이 동력전달기구(32)는 구동모터(30)의 출력축(30a)에 설치되는 구동베벨기어(34)와, 구동베벨기어(34)와 치합되도록 하우징(10)에 중심축(36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베벨기어(36)로 구성된다. 특히, 종동베벨기어(36)는 데드볼트 조립체(20)를 운동시키는 작동아암(38)을 갖춘 것으로, 구동모터(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 1회전위치”(P)와 “제 2회전위치”(Q)사이에서 왕복회전운동하면서 상기 데드볼트 조립체(20)를 좌,우로 왕복운동시킨다.
한편, 종동베벨기어(36)는 “제 1회전위치”(P)에서 상기 데드볼트 조립체(20)를 “제 1위치”(C)로 운동시키고, “제 2회전위치”(Q)에서 상기 데드볼트 조립체(20)를 “제 2위치”(E)로 운동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데드볼트 조립체(20)를 “제 1위치”(C) 또는 “제 2위치” (E)에서 록킹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강제 잠금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강제 잠금장치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베벨기어(36)의 둘레에 일체로 설치되는 록킹플레이트(50)를 구비한다. 록킹플레이트(50)는 환형의 판체로서, 종동베벨기어(36)와 일체로 회전된다. 특히, 종동베벨기어(36)와 함께 “제 1회전위치”(P)와 “제 2회전위치”(Q)사이에서 왕복회전운동한다. 한편, 록킹플레이트(50)의 외면 둘레에는 제 1록킹홈(52)과 제 2록킹홈(54)이 소정의 간격으로 두고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강제 잠금장치는, 종동베벨기어(36)와 동축으로 이루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플레이트(60)를 구비한다.
회동플레이트(60)는 종동베벨기어(36)의 중심축(36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중심축(36a)을 중심으로 “제 1작동위치”(S)와, “제 2작동위치”(T)사이에서 회동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제 1작동위치”(S)로 회동한 회동플레이트(60)는 도 5a에서와 같이 “제 1회전위치”(P)로 회전한 록킹플레이트(50)의 제 1록킹홈(52)과 정렬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2작동위치”(T)로 회동한 회동플레이트(60)는 도 6a에서와 같이 “제 2회전위치”(Q)로 회전한 록킹플레이트(50)의 제 2록킹홈(54)과 정렬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회동플레이트(60)는 “제 1작동위치”(S) 또는 “제 2작동위치”(T)에서 위치고정될 수 있게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강제 잠금장치는 상기 회동플레이트(60)를 “제 1작동위치”(S) 또는 “제 2작동위치”(T)에서 고정시키는 고정볼트(62)를 구비한다. 고정볼트(62)는 “제 1작동위치”(S)로 또는 “제 2작동위치” (T)로 회동된 회동플레이트(60)를 하우징(10)에 고정시킨다.
다시,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강제 잠금장치는 회동플레이트(60)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록커(70)를 구비한다. 록커(70)는 록킹돌기(72)를 구비하는 것으로, 록킹플레이트(50)에 근접하는 “록킹위치”(X)와, 록킹플레이트(50)로부터 이격되는 “해제위치”(Y)사이에서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록커(70)는, 도 5a에서와 같이 상기 회동플레이트(60)가 “제 1작동위치”(S)로 회동함에 따라 “제 1회전위치”(P)로 회전된 록킹플레이트(50)의 제 1록킹홈(52)과 정렬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해제위치”(Y)로부터 “록킹위치”(X)로 이동함에 따라 록킹플레이트(50)의 제 1록킹홈(52)에 끼워져 록킹되며, 따라서 상기 록킹플레이트(50)를 “제 1회전위치”(P)에서 고정시킨다. 결국, 록킹플레이트(50)를 “제 1회전위치”(P)에서 고정시킴에 따라 데드볼트 조립체(20)를 “제 1위치”(C)에서 강제로 록킹시킨다.
한편, 록커(70)는,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록킹플레이트(50)가 “제 2회전위치”(Q)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록킹플레이트(50)의 제 2록킹홈(54)과 어긋나게 구성된다. 따라서, 데드볼트 조립체(20)가 “제 2위치”(E)로 운동하여 해정되더라도 록킹플레이트(50)를 록킹시키지 않는다. 결국, 록커(70)는 상기 데드볼트 조립체(20)가 “제 1위치”(C)로 운동할 경우에만 강제 록킹시키고, “제 2위치”(E)로 운동할 경우에는 강제로 록킹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록커(70)는 도 6a에서와 같이 상기 회동플레이트(60)가 “제 2작동위치”(T)로 회동함에 따라 “제 2회전위치”(Q)로 회전된 록킹플레이트(50)의 제 2 록킹홈(54)과 정렬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해제위치”(Y)로부터 “록킹위치”(X)로 이동함에 따라 록킹플레이트(50)의 제 2록킹홈(54)에 끼워져 록킹되며, 따라서 상기 록킹플레이트(50)를 “제 2회전위치”(Q)에서 고정시킨다. 결국, 록킹플레이트(50)를 “제 2회전위치”(Q)에서 고정시킴에 따라 데드볼트 조립체(20)를 “제 2위치”(E)에서 강제로 록킹시킨다.
한편, 록커(70)는, 도 6b에서와 같이 상기 록킹플레이트(50)가 “제 1회전위치”(P)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록킹플레이트(50)의 제 2록킹홈(52)과 어긋나게 구성된다. 따라서, 데드볼트 조립체(20)가 “제 1위치”(C)로 운동하여 해정되더라도 록킹플레이트(50)를 록킹시키지 않는다. 결국, 록커(70)는 상기 데드볼트 조립체(20)가 “제 2위치”(E)로 운동할 경우에만 강제 록킹시키고, “제 1위치”(C)로 운동할 경우에는 강제로 록킹시키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구성의 록커(70)에 의하면, 상기 회동플레이트(60)를 “제 1작동위치”(S) 또는 “제 2작동위치”(T)로 회동시킴에 따라, “제 1회전위치”(P)로 회전된 록킹플레이트(50)의 제 1록킹홈(52)과 정렬되거나 또는 “제 2회전위치”(Q)로 회전된 록킹플레이트(50)의 제 2록킹홈(54)과 정렬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해제위치”(Y)로부터 “록킹위치”(X)로 이동함에 따라 록킹플레이트(50)의 제 1록킹홈(52) 또는 제 2록킹홈(54)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록킹플레이트(50)의 제 1록킹홈(52) 또는 제 2록킹홈(54)에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록킹플레이트(50)를 “제 1회전위치”(P) 또는 “제 2회전위치”(Q)에서 고정시키며, 따라서, 하나의 록커(70)로써 상기 데드볼트 조립체(20)를 “제 1위치 ”(C) 또는 “제 2위치”(E)에서 록킹시킬 수 있게 한다.
특히, 하나의 록커(70)로써 상기 데드볼트 조립체(20)를 “제 1위치”(C) 또는 “제 2위치”(E)에서 록킹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하기 매우 간편하게 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록커(70)는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노브(74)를 더 구비한다. 작동노브(74)는 하우징(10)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록커(70)를 “해제위치”(Y)로부터 “록킹위치”(X)로, “록킹위치”(X)로부터 “해제위치”(Y)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하우징(10)에는 상기 작동노브(74)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12)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며, 이 관통구멍(12)은 작동노브(74)가 “해제위치”(Y)와 “록킹위치”(X) 사이에서 운동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또한, 관통구멍(12)은 상기 작동노브(74)가 록커(70)와 회동플레이트(60)를 따라 “제 1작동위치”(S)와 “제 2작동위치”(T) 사이에서 운동할 수 있도록 충분한 너비를 갖는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예를 도 3과 도 4와 도 5a와 도 6a를 참고로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록이 우수형 도어에 장착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이에 따르면, 먼저 도 3에서의 이점쇄선과 같이 회동플레이트(60)가 "제 2작동위치"(T)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 상기 회동플레이트(60)를 "제 1작동위치"(S)로 회전시켜야 한다.
회동플레이트(6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62)를 풀어서 분리해야 한다. 그리고 고정볼트(62)의 분리가 완료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플레이트(60)를 하부로 회동시켜 "제 1작동위치"(S)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회동플레이트(60)의 회동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고정볼트(62)를 이용하여 상기 회동플레이트(60)를 하우징(10)에 고정시킨다. 그러면, 회동플레이트(60)는 "제 1작동위치"(S)에서 위치 고정된다.
한편, 이러한 상태에서 데드볼트 조립체(20)를 강제로 록킹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5a에서와 같이 “해제위치”(Y)에 배치된 록커(70)를 “록킹위치”(X)로 운동시킨다. 그러면, 록커(70)의 록킹돌기(72)는 록킹플레이트(50)의 제 1록킹홈(52)에 결합된다. 결국, 록커(70)의 록킹돌기(72)가 록킹플레이트(50)의 제 1록킹홈(52)에 결합됨에 따라 록킹플레이트(50)는 “제 1회전위치”(P)에서 고정되며, 록킹플레이트(50)가 “제 1회전위치”(P)에서 고정됨에 따라 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데드볼트 조립체(20)는 “제 1위치”(C)에서 강제 록킹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어록이 좌수형 도어에 장착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이에 따르면, 먼저, 도 5a에서와 같이 상기 회동플레이트(60)가 "제 1작동위치"(S)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 상기 회동플레이트(60)를 "제 2작동위치"(T)로 회전시켜야 한다.
회동플레이트(6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62)를 풀어서 분리해야 한다. 그리고 고정볼트(62)의 분리가 완료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플레이트(60)를 하부로 회동시켜 "제 2작동위치"(T)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회동플레이트(60)의 회동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고정볼트(62)를 이용하여 상기 회동플레이트(60)를 하우징(10)에 고정시킨다. 그러면, 회동플레이트(60)는 "제 2작동위치"(T)에서 위치 고정된다.
한편, 이러한 상태에서 데드볼트 조립체(20)를 강제로 록킹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6a에서와 같이 “해제위치”(Y)에 배치된 록커(70)를 “록킹위치”(X)로 운동시킨다. 그러면, 록커(70)의 록킹돌기(72)는 록킹플레이트(50)의 제 2록킹홈(54)에 결합된다. 결국, 록커(70)의 록킹돌기(72)가 록킹플레이트(50)의 제 2록킹홈(54)에 결합됨에 따라 록킹플레이트(50)는 “제 2회전위치”(Q)에서 고정되며, 상기 록킹플레이트(50)가 “제 2회전위치”(Q)에서 고정됨에 따라 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데드볼트 조립체(20)는 “제 2위치”(C)에서 강제 록킹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록커로 상기 데드볼트 조립체를 제 1위치 또는 제 2위치에서 록킹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도어록을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하나의 록커로 상기 데드볼트 조립체를 제 1위치 또는 제 2위치에서 록킹시킬 수 있으므로, 적은 부품과 적은 제조공수로도 강제 잠금장치를 제조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제조비용과 생산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Claims (6)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좌측과 우측으로 돌출가능한 데드볼트 조립체와, 상기 데드볼트 조립체를 좌우로 운동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데드볼트 조립체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종동베벨기어를 포함하는 좌우수 공용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종동베벨기어와 일체로 둘레에 환형의 판체로 구성되어 다수의 록킹홈이 형성되는 록킹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에 각 작동위치로 회동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록킹플레이트의 각 록킹홈과 정렬되는, 회동플레이트와;
    상기 회동플레이트에 록킹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록커와;
    상기 록커를 록킹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운동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작동노브와;
    상기 회동플레이트를 각 작동위치에서 위치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는 상기 록킹플레이트의 각 록킹홈에 결합되어 상기 데드볼트 조립체를 록킹시킬 수 있도록 록킹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수 공용 도어 록의 강제 잠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플레이트에 형성된 록킹홈은 2개의 홈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각 작동위치로 회동된 회동플레이트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플레이트는, 상기 종동베벨기어와 동축을 이루며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와 상기 록킹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
KR1020040060399A 2004-07-30 2004-07-30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 KR100575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399A KR100575592B1 (ko) 2004-07-30 2004-07-30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399A KR100575592B1 (ko) 2004-07-30 2004-07-30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518A KR20060011518A (ko) 2006-02-03
KR100575592B1 true KR100575592B1 (ko) 2006-05-02

Family

ID=3712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399A KR100575592B1 (ko) 2004-07-30 2004-07-30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55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590B1 (ko) * 2006-12-20 2008-02-28 주식회사 테크업 방향전환 기능을 가지는 이단 돌출식 도어록 모티스
KR100889484B1 (ko) * 2007-10-01 2009-03-19 주식회사 아이레보 디지털식 도어록의 구동모터 소손 방지장치
KR101043933B1 (ko) * 2009-02-12 2011-06-29 주식회사 퍼시스 도어 잠금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165Y1 (ko) 1999-12-14 2000-05-15 박경숙 레버형 도어록
KR200352025Y1 (ko) 2004-03-04 2004-06-02 주식회사 T4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
KR200364429Y1 (ko) 2004-07-13 2004-10-11 주식회사 아이레보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165Y1 (ko) 1999-12-14 2000-05-15 박경숙 레버형 도어록
KR200352025Y1 (ko) 2004-03-04 2004-06-02 주식회사 T4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
KR200364429Y1 (ko) 2004-07-13 2004-10-11 주식회사 아이레보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518A (ko) 200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7834B2 (en) Electric door lock with a coupling mechanism for selective engagement between a deadbolt operating spindle and a door handle
US6517127B1 (en) Electric door lock
US20080196459A1 (en) Dual-locking device
US20150368940A1 (en) Door-lock apparatus
KR100575592B1 (ko)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
JP3821427B2 (ja) シリンダ錠の保護装置
KR200364429Y1 (ko)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
KR100976818B1 (ko) 자동 도어락 장치
KR100609787B1 (ko) 도어록 메커니즘
KR101306888B1 (ko) 무타공 설치용 도어락 장치
KR101241231B1 (ko) 도어록
KR200425532Y1 (ko) 이중잠금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KR101164584B1 (ko) 디지털 도어락용 클러치 장치
CN109653602B (zh) 包括弹键闩自动松开结构的数字门锁
TWI673421B (zh) 具多功能模組更換之鎖閘結構
KR200376168Y1 (ko) 도어록의 데드볼트 구동용 레버장치
KR100664694B1 (ko) 전자식 잠금장치
KR101735752B1 (ko) 개폐방향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
KR101765329B1 (ko) 개폐방향에 따른 간편 전환구조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락
KR100448080B1 (ko) 이중로킹장치를 구비한 도어로킹장치
KR102318846B1 (ko) 도어락의 멀티 모션 핸들
KR100628955B1 (ko) 도어록 메카니즘
KR200307408Y1 (ko) 디지털 겸용 강화유리 도어잠금장치
KR100469556B1 (ko) 도어 잠금장치
CN218029604U (zh) 锁体以及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