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231B1 - 도어록 - Google Patents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231B1
KR101241231B1 KR1020100102805A KR20100102805A KR101241231B1 KR 101241231 B1 KR101241231 B1 KR 101241231B1 KR 1020100102805 A KR1020100102805 A KR 1020100102805A KR 20100102805 A KR20100102805 A KR 20100102805A KR 101241231 B1 KR101241231 B1 KR 101241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bolt
drive shaft
dead bolt
bolt
d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1380A (ko
Inventor
한윤근
Original Assignee
한윤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윤근 filed Critical 한윤근
Priority to KR1020100102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231B1/ko
Publication of KR20120041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래치볼트를 개방작동시키기 위한 래치볼트 액추에이터와 데드볼트를 개방작동시키기 위한 데드볼트 액추에이터 및 상기 래치볼트 액추에이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래치볼트 구동축과 상기 데드볼트 액추에이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데드볼트 구동축을 구비하고 있는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 액추에이터는 데드볼트 액추에이터의 전,후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대칭상으로 조립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제1 및 제2 래치볼트 액추에이터로 형성되며,
상기 데드볼트 구동축의 일단에는 절개홈이 형성된 조립돌기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래치볼트 구동축의 일단에는 상기한 조립돌기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후 빠지지 않도록 하는 조립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데드볼트 구동축의 조립돌기를 래치볼트 구동축의 조립홈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하는 수단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 구동축과 데드볼트 구동축이 일직선상으로 연결 조립되며,
상기와 같이 일직선상으로 연결된 데드볼트 구동축과 래치볼트 구동축을 상기한 데드볼트 액추에이터 및 제1 및 제2 래치볼트 액추에이터 각각에 서로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축끼움공에 삽입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도어록{Door lock}
본 발명은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외측에 장착된 실외측 도어핸들을 개방작동시킬 때에는 래치볼트만 개방작동되도록 구성되고 데드볼트를 개방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도어록의 입력키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또는 해당 자석키를 갖다대고 모터를 구동시켜야만 데드볼트를 개방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도어의 내측의 장착된 실내측 도어핸들을 개방작동시킬 때에는 데드볼트 구동축의 회전작동에 의해 데드볼트와 함께 래치볼트가 동시에 개방작동되도록 구성된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우징에 래치볼트(latch bolt)와 데드볼트(dead bolt)를 함께 구비하고 있는 도어록의 경우는 실외측에서 도어를 열고자 할 때에는 도어의 외측에 설치된 입력키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입력키에 자석키를 갖다대면 모터가 구동하여 데드볼트 구동축을 회전작동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데드볼트가 해정작동되는 것이며, 이어서 실외측 도어핸들을 회전작동시켜서 래치볼트 구동축를 회전작동시키게 되면 래치볼트가 해정되므로 도어를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실내측에서 도어를 열기 위해 실내측 도어핸들을 회전작동시키게 되면 래치볼트 구동축의 회전작동하여 레치볼트를 해정시키게 됨과 동시에 상기한 래치볼트 구동축의 회전작동에 의해 모터가 구동하여 데드볼트를 해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도어록은 실내측에서 도어를 열기 위해 실내측 도어핸들을 회전작동시킬 때마다 모터가 구동하여 데드볼트를 해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만큼 도어록에 장착되는 배터리의 사용수명이 짧아지게 된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도어록은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래치볼트 구동축과 데드볼트 구동축이 각각 분리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측 도어핸들을 회전작동시켜서 래치볼트를 개방작동시킬 때 이와 동시에 데드볼트를 개방작동시키기 위한 구조 예를 들면, 구동기어와 연동기어 등을 치합시켜서 래치볼트 구동축의 회전력을 데드볼트 구동축에 전달시키는 복잡한 구조를 구비해야만 하므로 도어록의 내부 조립부품수가 많아지고 또 작동구조가 복잡해지게 되므로 생산원가가 비싸지고, 사용시에는 잔고장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바,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데드볼트 구동축과 래치볼트 구동축이 서로간에 따로따로 회전할 수 있도록 일직선상으로 결합하는 수단과, 상기 래치볼트 구동축은 오직 래치볼트 하나만 개방작동시키도록 하는 한편, 상기 데드볼트 구동축은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동시에 개방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도어록의 조립부품수를 줄이고 또 구조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래치볼트를 개방작동시키기 위한 래치볼트 액추에이터와 데드볼트를 개방작동시키기 위한 데드볼트 액추에이터 및 상기 래치볼트 액추에이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래치볼트 구동축과 상기 데드볼트 액추에이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데드볼트 구동축을 구비하고 있는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 액추에이터는 데드볼트 액추에이터의 전,후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대칭상으로 조립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제1 및 제2 래치볼트 액추에이터로 형성되며,
상기 데드볼트 구동축의 일단에는 절개홈이 형성된 조립돌기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래치볼트 구동축의 일단에는 상기한 조립돌기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후 빠지지 않도록 하는 조립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데드볼트 구동축의 조립돌기를 래치볼트 구동축의 조립홈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하는 수단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 구동축과 데드볼트 구동축이 일직선상으로 연결 조립되며,
상기와 같이 일직선상으로 연결된 데드볼트 구동축과 래치볼트 구동축을 상기한 데드볼트 액추에이터 및 제1 및 제2 래치볼트 액추에이터 각각에 서로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축끼움공에 삽입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드볼트 액추에이터와 제1 및 제2 래치볼트 액추에이터 각각에 형성되는 축끼움공은 상기 데드볼트 구동축 및 래치볼트 구동축의 단면적과 같은 형상 및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래치볼트 액추에이터 각각에 형성된 축끼움공에만 래치볼트 구동축의 일단 양측에 돌출되어 있는 걸림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홈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드볼트 구동축에는 제1 래치볼트 액추에이터, 데드볼트 액추에이터, 제2 래치볼트 액추에이터 각각의 축끼움공으로 삽입하여 조립할 때 상기한 제2 래치볼트 액추에이터 또는 제1 래치볼트 액추에이터의 축끼움공 외측에 걸림되는 볼돌기가 탄력적으로 출몰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외측에서 도어를 열고자 할 때에는 종래의 도어록과 마찬가지로 입력키에 비밀번호를 입력시키거나 또는 해당 자석키 등을 입력키에 갖다대어 모터를 구동시켜서 데드볼트를 개방작동시킨 후에 실외측 도어핸들을 회전작동시켜서 도어를 열게 되는 것이며, 이와는 달리 실외측에서 비밀번호 내지 해당 자석키를 입력시키지 않고 실외측 도어핸들만 회전작동시키게 될 때에는 데드볼트가 폐쇄상태로 있게 되어 도어를 열 수 없게 되는 것이며, 또한 실내측에서 도어를 열고자 할 때에는 실내측 도어핸들을 회전작동시키게 되면 모터는 구동하지 않고 단순히 데드볼트 구동축의 회전작동만으로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동시에 개방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모터를 구동시키는 배터리의 사용수명을 현저하게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나아가 도어록의 내부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도어록의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어록의 조립상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도어록 내부구조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로 나타낸 데드볼트 구동축과 래치볼트 구동축의 조립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데드볼트 액추에이터와 래치볼트 액추에이터 및 데드볼트 구동축과 래치볼트 구동축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도어록에 조립된 래치볼트 구동축을 실외측 도어핸들로 회전시켰을 때 래치볼트가 개방되는 작동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도어록에 조립된 데드볼트 구동축을 실내측 도어핸들로 회전시켰을 때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가 동시에 개방되는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도어록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부호 1은 도어록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도어록(1)은 하우징(2)과 덮개(21) 양측으로 데드볼트 구동축(3)과 래치볼트 구동축(4)이 돌출되도록 조립되는 구조로 도어에 장착되는 것이며, 상기 데드볼트 구동축(3)에는 실내측 도어핸들(도시 생략)이 조립되고, 상기 래치볼트 구동축(4)에는 실외측 도어핸들(도시 생략)이 조립된다.
상기 데드볼트 구동축(3)의 일단에는 조립돌기(31)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한 조립돌기(31)는 절개홈(32)에 의하여 직경이 조금 작아지는 상태로 오므러들었다가 자체 탄성에 의해 원래상태로 복원되는 재질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조립돌기(31)는 강철 재질로 된 데드볼트 구동축(3)의 일단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도 3 참조)
상기 래치볼트 구동축(4)의 일단 즉, 데드볼트 구동축(3)의 일단에 돌출된 조립돌기(31)와 조립되는 단부에는 상기한 조립돌기(31)가 회전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억지끼움된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조립되는 조립홈(41)이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그리고 상기 데드볼트 구동축(3)의 도중에는 조립공(33)을 통해 일측으로 출몰가능하게 볼돌기(34)가 삽입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볼돌기(34)는 조립공(33)에 삽입된 후 니플(35)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36)으로 탄력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데드볼트 구동축(3)과 래치볼트 구동축(4)은 각기 따로따로 회전가능하게 일직선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하우징(2)에 장착되어 있는 데드볼트 액추에이터(5)와 제1 및 제2 래치볼트 액추에이터(6a)(6b) 각각을 관통하여 하우징(2)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조립되는 것이다.(도 3 참조)
상기 데드볼트 액추에이터(5)의 중심부에는 데드볼트 구동축(3)의 단면적과 같은 형상, 같은 크기를 갖는 축끼움공(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경사면(52)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돌부(53)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한 회전돌부(53)의 반대측 방향을 향해서는 회전제어돌기(5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래치볼트 액추에이터(6a)(6b)는 대칭되는 한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의 중심부에도 데드볼트 구동축(3) 및 래치볼트 구동축(4)의 단면적과 같은 형상, 같은 크기를 갖는 축끼움공(61a)(6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축끼움공(61a)(61b) 각각에는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형성되는 걸림홈(62a)(6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래치볼트 구동축(4)의 조립홈(41)이 형성되어 있는 선단 양측에는 상기한 걸림홈(62a 또는 62b)에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 걸림돌기(42)가 대칭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래치볼트 액추에이터(6a)(6b)는 데드볼트 액추에이터(5)의 양측에 위치하여 대칭상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며(도 3 참조), 상기 제1 및 제2 래치볼트 구동축(6a)(6b) 각각의 일측에는 작동판 회전돌기(63a)(63b)가 대칭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한 작동판 회전돌기(63a)(63b) 각각의 반대방향측에는 회전제어돌기(64a)(64b)가 대칭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한 회전제어돌기(64a)(64b)는 하우징(2) 내측에 돌출되어 있는 스토퍼돌기(22)에 걸림되도록 형성되어 제1 및 제2 래치볼트 액추에이터(6a)(6b)가 후술하는 래치볼트(8)를 개방작동시킬 때 설정된 회전각도폭 이상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데드볼트 액추에이터(5)에 돌출되어 있는 회전제어돌기(54)는 하우징(2)의 내측에 돌출되어 있는 고정돌기(23)에 걸림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에는 데드볼트(7)와 래치볼트(8)가 각각 일측을 향해 출몰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먼저, 래치볼트(8)를 작동시키는 구성요소들과 이들의 조립구조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래치볼트(8)의 내측단(81)은 왕복작동판(82)의 선단(821)에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래치볼트(8)는 내측단(81)과 왕복작동판(82)을 관통하도록 하우징(2) 내면에 돌출된 고정지지대(24) 사이에 설치되는 압축스프링(83)에 의하여 탄력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왕복작동판(82)은 하우징(2)의 내면에 고정 부착되는 볼트축(84)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작동판(85)의 회전작동에 의해 압축스프링(85)을 탄력적으로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래치볼트(8)를 개방작동시키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회전작동판(85)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밀판(851)은 왕복작동판(82)의 후단(822)을 압축스프링(83)의 반대방향으로 밀어주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작동판(85)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이동판(852)은 상기 제1 및 제2 래치볼트 액추에이터(6a)(6b)에 형성된 작동판 회전돌기(63a)(63b)에 걸림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래치볼트(8)를 개방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래치볼트 액추에이터(6a)(6b)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작동판(85)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 5의 도시와 같이 래치볼트(8)를 개방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다음, 데드볼트(7)를 작동시키는 구성요소들과 이들의 조립구조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데드볼트(7)의 내측단(71)은 하우징(2) 내부를 향해 수평상으로 길게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내측단(71)에는 하우징(2) 내면으로 돌출 고정된 안내돌기(25)를 기준하여 수평상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홈(72)과 후술하는 종동기어(91)의 몸체 일측에서 돌출된 개폐작동간(92)에 수용되는 왕복이동홈(7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그리고 상기 데드볼트 액추에이터(5)와 왕복작동판(82)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우징(2)의 내면에 돌출되는 핀축(26)에는 데드볼트 개방작동간(74)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데, 상기 데드볼트 개방작동간(74) 일단의 슬라이딩 회전단부(741)는 데드볼트 액추에이터(5)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작동될 때 경사면(52)에서 슬라이딩되면서 회전돌부(53)에 의해 데드볼트 개방작동간(74)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 개방작동간(74) 타단의 푸쉬회전단부(742)는 상기한 개폐작동간(92)을 도 6의 도시와 같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데드볼트 개방작동간(74)은 고리(743)와 하우징(2) 내면에 돌출된 보스돌기(27)에 양단이 연결된 인장스프링(75)에 의해 탄력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데드볼트(7)의 내측단 끝부분(도면상 우측 끝부분)에는 하우징(2)에 형성된 슬라이드공(28)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슬라이드돌기(71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록(1)에는 도시하지 아니한 모터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한 모터는 도어의 실외측에 부착되어 있는 입력키로부터 신호를 받아 구동기어(9)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거나 또는 도어의 닫힐 때 발생되는 신호를 받아 구동기어(9)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정·역 모터가 사용된다.
상기 구동기어(9)의 일측에는 종동기어(91)가 치합된 구조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종동기어(91)의 몸체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 있듯이 개폐작동간(92)이 데드볼트(7)를 개폐작동시키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개폐작동간(92)의 끝단에 돌출 형성된 돌기(93)에는 하우징(2) 내면에 돌출된 고정돌기(23)에 일단이 연결된 텐션스프링(94)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한 텐션스프링(94)은 개폐작동간(92)이 데드볼트(7)를 개폐작동시키는 작동을 도와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어록(1)은 하우징(2) 및 덮개(21) 각각의 외측으로 데드볼트 구동축(3) 및 래치볼트 구동축(4)이 돌출되도록 조립되는 것인데, 이때 데드볼트 구동축(3)은 도어록(1)의 설치상태에 관계없이 항시 실외측에서 실내측을 향해 삽입하여 조립방법으로 조립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의 도시에 도시된 화살표 표시와 같이 실외측에서 데드볼트 구동축(3)을 제1 래치볼트 액추에이터(6a)의 축끼움공(61a)으로 삽입시켜서 데드볼트 액추에이터(5)의 축끼움공(51)과 래치볼트 액추에이터(6b)의 축끼움공(61b)을 차례로 통과해서 실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인데, 이 경우 데드볼트 구동축(3)을 제1 래치볼트 액추에이터(61a)에 삽입시킬 때에는 볼돌기(34)를 눌러서 조립공(33) 속으로 몰입시킨 상태에서 삽입시켜야 한다.
상기와 같이 볼돌기(34)가 조립공(33) 속에 탄력적으로 몰입되어 제1 래치볼트 액추에이터(6a)의 축끼움공(61a)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데드볼트 구동축(3)을 밀어넣게 되면 상기한 볼돌기(34)는 조립공(33) 속에 몰입된 상태로 데드볼트 액추에이터(5)의 축끼움공(51) 및 제2 래치볼트 액추에이터(6b)의 축끼움공(61b)을 차례로 통과하게 되며, 상기한 볼돌기(34)가 제2 래치볼트 액추에이터(6b)의 축끼움공(61b)를 통과하여 실내측으로 이동하는 순간에는 스프링(36)의 탄발력에 의해 도 3의 도시와 같이 돌출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상기한 볼돌기(34)가 실내측에서 제2 래치볼트 액추에이터의 축끼움공(61b)에 걸림된 상태에서는 데드볼트 구동축(3)은 실외측으로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데드볼트 구동축(3)을 실내측으로 돌출되게 조립할 때에는 래치볼트 구동축(4)의 선단 양측에 돌출된 걸림돌기(42)는 제1 래치볼트 액추에이터(6a)의 축끼움공(61a) 양면에 형성된 걸림홈(62a)에만 삽입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실외측으로 돌출된 래치볼트 구동축(4)에 장착된 실외측 도어핸들을 개방작동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래치볼트 구동축(4)만 회전하게 되며, 이때에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제1 래치볼트 액추에이터(6a)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이동판(852)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회전작동판(85)이 볼트축(84)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밀판(851)으로 왕복작동판(82)의 후단(822)을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게 되므로써 상기한 왕복이동판(82)의 선단(821)이 래치볼트(8)를 하우징(2)의 내부로 몰입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실외측에서 도어핸들만 개방작동시킬 때에는 래치볼트(8)만 개방작동될 뿐 데드볼트(7)는 폐쇄(잠금) 작동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실외측에서 도어를 열고자 할 때에는 먼저, 도어의 외측에 노출되어 있는 입력키의 번호판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또는 해당 자석키 등으로 개방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하우징(2) 내부에 장착된 구동기어(9)가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하여 종동기어(9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개폐작동간(9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데드볼트(7)를 하우징(2) 내부로 몰입되도록 개방작동시키게 되며(도 6 참조), 이와 같이 데드볼트(7)를 개방작동시킨 다음에 실외측 도어핸들을 회전작동시키게 되면 도어를 열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실내측에서 도어를 열고자 할 때에는 실외측으로 돌출된 데드볼트 구동축(3)에 장착되어 있는 실내측 도어핸들을 개방작동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도어를 열 수 있는 것이다.
즉, 실내측 도어핸들을 개방작동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데드볼트 구동축(3)이 조립되어 있는 데드볼트 액추에이터(5)와 제2 래치볼트 액추에이터(6b)가 함께 도 6의 도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데드볼트 액추에이터(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돌부(53)가 데드볼트 개방작동간(74)의 슬라이딩 회전단부(741)을 밀어내게 되므로써 상기 데드볼트 개방작동간(74)은 핀축(26)을 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데드볼트 개방작동간(7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푸쉬회전단부(742)는 개폐작동간(92)을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밀어내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개폐작동간(92)이 왕복이동홈(73)에 삽입된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데드볼트(7)를 하우징(2)으로 몰입작동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2 래치볼트 액추에이터(6b)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작동판 회전돌기(63b)로 회전이동판(852)를 반시계방향으로 밀어내기 되면, 이에 따라 회전작동판(85)이 볼트축(84)을 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밀판(851)으로 완복작동판(82)의 후단(822)을 조면상 좌측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게 되면 래치볼트(8)는 압축스프링(83)을 탄력적으로 압축시키면서 하우징(2)으로 몰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실내측에서는 실내측 도어핸들을 개방작동방향으로 회전시켜주는 간편한 동작으로 데드볼트(7)와 래치볼트(8)를 동시에 개방작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도어를 열고 난 후 도어를 닫게 되면 래치볼트(8)와 데드볼트(7)는 하우징(2)에서 돌출되므로써 상기 도어록(1)은 다시 잠김상태가 되는 것이다.
1 : 도어록 2 : 하우징
21 : 덮개 22 : 스토퍼돌기
23 : 고정돌기 24 : 고정지지대
25 : 안내돌기 26 : 핀축
27 : 보스돌기 28 : 슬라이드공
3 : 데드볼트 구동축 31 : 조립돌기
32 : 절개홈 33 : 조립공
34 : 볼돌기 36 : 스프링
4 : 래치볼트 구동축 41 : 조립홈
42 : 걸림돌기 5 : 데드볼트 액추에이터
51 : 축끼움공 52 : 경사면
53 : 회전돌부 54 : 회전제어돌기
6a,6b : 제1 및 제2 래치볼트 액추에이터
61a,61b : 축끼움공 62a,62b : 걸림홈
63a,63b : 작동판 회전돌기 64a,64b : 회전제어돌기
7 : 데드볼트 71 : 내측단
72 : 슬라이드홈 73 : 왕복이동홈
74 : 데드볼트 개폐작동간 75 : 인장스프링
8 : 래치볼트 82 : 왕복작동판
83 : 압축스프링 84 : 볼트축
85 : 회전작동판 9 : 구동기어
91 : 종동기어 92 : 개폐작동간
03 : 돌기 94 : 텐션스프링

Claims (3)

  1. 하우징(2)의 내부에 장착되는 래치볼트(8)를 개방작동시키기 위한 제1, 제2 래치볼트 액추에이터(6a)(6b)와 데드볼트(7)를 개방작동시키기 위한 데드볼트 액추에이터(5) 및 상기 제1, 제2 래치볼트 액추에이터(6a)(6b) 중 어느 하나의 래치볼트 액추에이터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래치볼트 구동축(4)과, 상기 제1, 제2 래치볼트 액추에이터(6a)(6b) 중 어느 하나의 래치볼트 액추에이터 및 데드볼트 액추에이터(5)를 회전시키기 위한 데드볼트 구동축(3)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래치볼트 구동축(4)과 데드볼트 구동축(3)을 상기 제1, 제2 래치볼트 액추에이터 및 데드볼트 액추에이터 각각에 서로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각 축끼움공(51,61a,61b)에 삽입하여 일직선상으로 연결 조립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 구동축(3)의 일단에는 절개홈(32)이 구비된 조립돌기(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래치볼트 구동축(4)의 일단에는 데드볼트 구동축(3)의 조립돌기(31)가 빠지지 않도록 걸림된 채 회전만 할 수 있도록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게 하는 조립홈(4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 액추에이터(5)와 제1 및 제2 래치볼트 액추에이터(6a)(6b) 각각에 형성되는 축끼움공(51)(61a)(61b)은 상기 데드볼트 구동축(3) 및 래치볼트 구동축(4)의 단면적과 같은 형상 및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래치볼트 액추에이터(6a)(6b) 각각에 형성된 축끼움공(61a)(61b)에만 래치볼트 구동축(4)의 일단 양측에 돌출되어 있는 걸림돌기(42)가 삽입되는 걸림홈(62a)(62b)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3. 삭제
KR1020100102805A 2010-10-21 2010-10-21 도어록 KR101241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805A KR101241231B1 (ko) 2010-10-21 2010-10-21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805A KR101241231B1 (ko) 2010-10-21 2010-10-21 도어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380A KR20120041380A (ko) 2012-05-02
KR101241231B1 true KR101241231B1 (ko) 2013-03-07

Family

ID=46262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805A KR101241231B1 (ko) 2010-10-21 2010-10-21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2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553B1 (ko) 2018-04-30 2018-08-21 박근수 도어 레버록용 무볼팅 래치어셈블리
KR102155176B1 (ko) 2019-05-23 2020-09-11 김세원 정방향 조립구조를 갖는 도어록용 각축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752B1 (ko) * 2015-01-30 2016-06-27 한윤근 도어록
KR102018633B1 (ko) * 2018-08-14 2019-09-06 김석진 조립성 및 작동 안정성이 향상된 모티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3793A (ko) * 1997-06-26 1999-01-15 김영귀 자동차의 도어 트림에 설치되는 다용도 재떨이
KR20070031570A (ko) * 2005-09-15 2007-03-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의 회전축과 마그네트의 결합구조
KR20100001113U (ko) * 2008-07-23 2010-02-02 주식회사 아이레보 회동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3793A (ko) * 1997-06-26 1999-01-15 김영귀 자동차의 도어 트림에 설치되는 다용도 재떨이
KR20070031570A (ko) * 2005-09-15 2007-03-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의 회전축과 마그네트의 결합구조
KR20100001113U (ko) * 2008-07-23 2010-02-02 주식회사 아이레보 회동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553B1 (ko) 2018-04-30 2018-08-21 박근수 도어 레버록용 무볼팅 래치어셈블리
KR102155176B1 (ko) 2019-05-23 2020-09-11 김세원 정방향 조립구조를 갖는 도어록용 각축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380A (ko) 201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5143B2 (en) Cylindrical lock with automatic electronic locking function
US20110289987A1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push/pull handles
JP7085879B2 (ja) 電気錠
KR101241231B1 (ko) 도어록
KR100895874B1 (ko) 도어록
KR101666017B1 (ko) 창호 잠금장치
KR101428686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US9003841B2 (en) Lever type handle and lock assembly for the same
US7963133B2 (en) Cylinder lock and unlocking device comprising thereof
CN103388429B (zh) 应急锁
KR200456973Y1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KR100848878B1 (ko) 도어락 장치
KR102265140B1 (ko) 잠금장치용 핸들
CN216110135U (zh) 锁体
JP2018513930A (ja) ロック体
KR101836890B1 (ko) 디지털 도어록
KR100997918B1 (ko) 수동키를 갖는 도어락 장치
KR102318848B1 (ko) 도어락의 클러치 모듈조립체
KR101735752B1 (ko) 개폐방향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
KR101534108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KR101983498B1 (ko) 튜블러 래치형 도어락의 이중 록킹 장치
KR101765329B1 (ko) 개폐방향에 따른 간편 전환구조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락
KR101719956B1 (ko) 도어락용 모티스
JPH11247515A (ja) 閉鎖可能な面部材内の機能部材を駆動するための駆動装置
KR100575592B1 (ko)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