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8878B1 -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8878B1
KR100848878B1 KR1020080013217A KR20080013217A KR100848878B1 KR 100848878 B1 KR100848878 B1 KR 100848878B1 KR 1020080013217 A KR1020080013217 A KR 1020080013217A KR 20080013217 A KR20080013217 A KR 20080013217A KR 100848878 B1 KR100848878 B1 KR 100848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latch bolt
case
lev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3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도
정재수
Original Assignee
민병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도 filed Critical 민병도
Priority to KR1020080013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88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3/08Fastening the spindle to the follow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에 결합되는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는, 케이스와; 수평이동 가능토록 케이스에 내장된 래치볼트축과; 래치볼트축에 결합된 래치볼트와; 래치볼트와 케이스 내의 브라켓트 사이에 결합되는 탄성체와; 래치볼트를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더레버와; 문을 잠그는데 사용되는 데드볼트와; 데드볼트를 움직이기 위한 키레버;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에 수평방향의 일자형 슬라이딩공이 관통형성되고, 래치볼트축의 외주면에 슬라이딩공으로 삽입되어 왕복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돌기가 돌출된 구조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는, 래치볼트축의 왕복이동에 따른 부품의 마모가 최소화되고, 부품수 감소에 의해 오작동 확률이 떨어지고, 제조비용의 절감도 가능한 이점이 있다.
문, 여닫이문, 데드볼트, 도어락, 래치볼트, 래치볼트축

Description

도어락 장치{Door locking device for a hinged door}
본 발명은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문, 특히 여닫이문에 내장된 상태에서 회전손잡이에 의해 왕복이동하면서 문틀의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리거나 걸림홈에서 빠져나오게 되는 래치볼트(latch bolt)가 래치볼트축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고, 래치볼트축이 케이스에 의해 직선운동 가능토록 가이드 되도록 함으로써, 래치볼트와 래치볼트축이 왕복이동 시 상·하·좌·우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정확하게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에는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구분하되 필요에 따라 외부공간에 대하여 내부공간을 반복하여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문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문은 크게 두 종류로 구분될 수 있는 바, 하나는, 문틀 내에 적어도 두개 이상의 문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문이다.
그리고 다른 한 종류의 문은, 문틀에 하나 또는 좌·우 두개의 문이 구비되고, 각 문은 문틀에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는 일측을 중심으로 하여 타측이 회전에 의해 문틀로부터 완전히 벗어나면서 열리거나 닫히는 구조의 문으로서, 문틀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문, 즉 여닫이문을 잠그거나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 한 도어락 장치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문틀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문은, 문의 결합 상태와 문을 보는 사람의 위치에 따라 각 부위에 대한 설명 시의 방향이 달라지게 되는 바, 설명에 따른 방향 상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문의 우측이 문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문이 문틀에서 실내측을 향하여 열린다는 가정 하에서, 도어락 장치의 각 구성요소에서 실내측을 향한 방향을 "전방", 실외측을 향한 방향을 "후방"이라 하고, 각 구성요소 "상·하·좌·우"는 실내에서 문을 바라보는 사람을 기준으로 한다.
도어락 장치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D)의 좌측면에서 내측으로 도어락장치내장공간(G)이 구비되고, 이 도어락장치내장공간(G)에 도어락 장치가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락 장치는,
전·후방으로 분리 가능한 전·후방케이스부재(11A)(11B)의 개방된 좌측단부에 판상의 마감부재(11C)가 결합된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 내에 고정결합되는 브라켓트(12)와;
상기 브라켓트(12)에 지지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토록 내장되는 래치볼트축(13)과;
상기 래치볼트축(13)의 좌측단부에 결합되어 케이스(11)의 마감부재(11A)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문틀(D')에 형성된 걸림홈(G5)에 삽입가능한 래치볼트(14)와;
상기 브라켓트(12)와 래치볼트(14) 사이에 결합되어 래치볼트(14)가 케이 스(11) 외부로 돌출되도록 래치볼트(14)를 밀어내는 탄성체(15)와;
상기 래치볼트(14)의 우측단부에 연결되는 슬라이더(16)와;
상기 케이스(1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일측이 상기 슬라이더(16)에 걸리는 링크(17)와;
문(D)과 케이스(11)를 관통한 후 삽입결합되는 회전손잡이(50)의 축(X)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상기 케이스(11) 내부에 결합되며, 링크(17)를 회전시키는 암(18A)이 외면에 연장형성된 슬라이더레버(18)와;
상기 케이스(11) 내에 결합되어 마감부재(11A)를 관통하여 케이스(11) 내·외측으로 수평하게 왕복이동하는 데드볼트(19, dead bolt)와;
상기 케이스(11) 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데드볼트(19)를 직선 왕복이동시키며, 열쇠나 모터 등에 의해서만 회전가능한 키레버(20);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판상의 마감부재(11C)는 통상 외측의 판상 마감판(11C1)과 내측의 판상 마감샤시(11C2) 두장으로 구성된다.
탄성체(15)의 탄성력에 의해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래치볼트(14)는 문의 개폐방향을 따라 양 면이 구비되는 바, 한 면은 케이스에 수직하며, 다른 한 면은 경사면 또는 곡면(이하에서는 "경사면"이라고만 함)을 이루는 구조로서, 문이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문이 열리는 방향으로 수직면이 구비된다.
즉 상기에서는 실외측을 향한 래치볼트의 후방면은 경사면이 되고, 실내측을 향한 전방면은 수직면이 되는데, 문이 닫히는 경우 래치볼트의 경사면이 문틀에 접촉하면서 그 접촉력에 의해 래치볼트는 케이스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문이 완전히 닫히게 되면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래치볼트가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면서 문틀에 구비된 걸림홈으로 들어감으로써, 회전손잡이를 회전시켜 래치볼트를 강제로 후진시키지 않는 한, 래치볼트의 수직면이 걸림홈의 내면에 걸려 문이 열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어락 장치는 문의 좌측 또는 우측에 결합되는 경우와 문이 실내측 또는 실외측에서 여닫히는 경우에 따라 래치볼트의 경사면과 수직면의 방향이 서로 뒤바뀌어야 하는 바, 래치볼트는 래치볼트축의 외주면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래치볼트축의 외주면에 핀으로 고정결합됨으로써, 래치볼트와 래치볼트축은 한 몸체로서 그 전체가 래치볼트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한 구조이다.
즉 일체화된 래치볼트와 래치볼트축을 케이스 내부로 밀어넣은 상태에서 함께 회전시킴으로써, 래치볼트의 경사면과 수직면이 각각 실내측과 실외측을 향하도록 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실외측과 실내측을 향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도어락 장치는 그 구조가 필요 이상으로 복잡하여 내구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16)를, 전·후단 외주면에 걸림돌기(E)가 각가 구비된 슬라이더링(31)으로 개조한 후 래치볼트축(13)을 슬라이더링(31)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그 좌측단부에 레치볼트(14)를 결합한다.
이때 래치볼트축(13)은 슬라이더링(31)의 내경부에서 회전가능한 상태이며, 래치볼트축(13)의 우측단부에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래치볼트축(13)의 우측단부 측으로는 슬라이더링(31)이 빠지지 않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링(31) 외주면의 걸림돌기(E)에 걸리는 암(18A)을 슬라이더레버(18)의 일측에 연장형성시킴으로써, 슬라이더레버(18)의 회전에 의해 래치볼트축(12)이 왕복 직선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바, 이러한 도어락 장치는 전술한 도어락 장치에 비하여 링크(17)가 생략되어 그 구조가 단순화되는 동시에 래치볼트축의 동작 정확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두 종류의 도어락 장치에서는 래치볼트축이 브라켓트에 의해서만 지지되고, 슬라이더레버(18)는 래치볼트축을 단순히 왕복이동시키는 역할만을 하는 바, 래치볼트축의 왕복이동 시 래치볼트축이, 지랫대와 같이, 브라켓트를 중심으로 그 양 측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즉 유동된다.
특히 슬라이더레버의 회전으로 래치볼트축이 케이스 내측 최대지점까지 이동하면, 브라켓트와 래치볼트 우측단부까지의 거리가 가장 길어지면서 래치볼트 우측단부의 흔들림도 최대가 되는 바, 래치볼트 외주면과 브라켓트 지지부 사이의 마찰력도 크게 증가하여 래치볼트축과 브라켓트의 접촉면 마모가 촉진된다.
또한 회전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움직이는 슬라이더레버와 래치볼트축 사이의 마모도 촉진될 뿐 아니라 마착력에 의해 회전손잡이의 회전도 원활하지 않을 수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도어락 장치는, 마찰력에 의해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고, 사용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래치볼트축의 운동 정확도가 떨어지게 되며, 그 결과 래치볼트의 움직임 역시 정확도가 낮아지면서 래치볼트가 문틀의 걸림홈에 정확히 삽입되지 않아 문이 닫히지 않게 되거나, 케이스에 걸려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수 도 있는 등의 여러 문제가 있다.
그리고 데드볼트(19)는 문을 잠그는데 사용되는데, 외측의 회전손잡이로서 문을 열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열쇠 또는 비밀번호 등에 의해 구동되는 내장모터에 의해서만 작동되도록 키레버(20)는 케이스(11) 내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고, 키레버에는 데드볼트에 걸리는 암이 연장형성되며, 이 암의 회동에 의해 데드볼트가 움직이게 된다.
그런데 데드볼트가 잠긴 상태, 즉 데드볼트가 케이스의 마감부재를 관통하여 문틀에 구비된 잠금홈(도면 미도시)에 걸린 경우 실·내외 양 측 모두에서 회전손잡이로는 문을 열 수가 없다.
따라서 데드볼트가 잠긴 상태에서, 실외에서는 열쇠나 비밀번호 등으로 키레버를 구동시켜 데드볼트가 작동되도록 해야 함은 물론, 실내에서도 키나 별도의 열림 스위치 등으로 키레버를 작동시켜 데드볼트를 케이스 내로 이동시킨 후 회전손잡이를 다시 회전시켜는 2단계의 과정을 통하여 문을 열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바, 데드볼트가 잠긴 경우에도 실내에서는 회전손잡이만을 회전시켜 문을 열 수 있도록 한 패닉타입 도어록(panic type door lock)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데드볼트가 잠진 상태에서도 실내에서는 회전손잡이만으로 문을 열 수 있도록 한 종래의 패닉타입 도어록은, 실외측의 회전손잡이에 의해 키레버가 움직이지 않으나, 실내측 회전손잡이에 의해서는 키레버가 항상 작동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서, 슬라이더의 구조가 변경되고, 키레버를 작동시킬 수 있는 별도의 키레버작동부재가 실내측 회전손잡이에 결합되면서 전체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갖게 되어 내구성이 떨어지면서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래치볼트축의 왕복 직선운동 시 래치볼트축이 지지되는 브라켓트를 중심으로 하여 래치볼트축의 양 측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종래의 도어락 장치가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래치볼트축이 항상 정확히 직선 상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는 도어락 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내구성이 향상됨은 물론 제조비용 절감이 가능한 패닉타입 도어락 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케이스를 관통하여 형성된 일자형 슬라이딩공 또는 케이스 내면에 형성된 일자형 슬라이딩홈(이하에서는 "슬라이딩공"이라고만 한다.)과, 래치볼트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공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돌기 및 래치볼트와 래치볼트축의 회전가능한 결합구조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리고 키레버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일측 케이스부재의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판상의 핸들레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는, 문틀의 걸림홈에 걸리는 래치볼트와 래치볼트를 움직이는 래치볼트축이 항상 정확한 직선운동만을 하기 때문에 왕복이동에 따른 부품의 마모가 최소화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래치볼트축을 움직이기 위한 부품의 수가 감소되기 때문에 오작동 확률이 떨어지고, 키레버를 작동시키기 위한 핸들레버의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비용의 절감도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는, 문틀의 측면 걸림홈에 걸리게 되는 래치볼트와 이에 결합된 래치볼트축이 케이스를 따라 항상 일정한 직선 상에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하여 래치볼트축에 래치볼트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구조에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왕복 이동가능토록 내장된 래치볼트축과; 래치볼트축의 일측단부에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래치볼트와; 래치볼트축을 지지하는 브라켓트와; 래치볼트와 브라켓트 사이에 결합되는 탄성체와; 래치볼트축의 타측단부에 접촉연결되는 암(arm)이 구비된 슬라이더레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는, 종래의 도어락 장치와 비교하여 볼 때, 특히 래치볼트축과 래치볼트 및 케이스에 특징이 있는 바, 각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설명 시 방향 상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문의 우측이 문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었고, 문틀에서 실내측을 향하여 문이 열린다는 가정 하에서, 도어락 장치의 각 구성요소에서 실내측을 향한 방향을 "전방", 실외측을 향한 방향을 "후방"이라 하고, "상·하·좌·우"는 실내에서 문을 바라보는 사람을 기준으로 한다.
케이스는, 전·후방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좌측단부가 개방되는 전·후방케이스부재와, 전·후방케이스부재의 개방된 좌측단부에 결합되는 판상의 마감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는 내장된 부품을 감싸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좌·우 수평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래치볼트축의 직선 왕복운동이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의 역할을 하게 되는 바, 전·후방케이스부재 중의 적어도 어느 한 부재에는 래치볼트축의 직선 왕복운동을 가이드 하여 주는 일자형 슬라이딩공이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래치볼트축은, 문을 관통하는 회전손잡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래치볼트축의 우측단부 외주면 전·후단 중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슬라이딩돌기가 돌출되는데, 회전손잡이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슬라이더레버가 상기 슬라이딩돌기에 걸림으로써 래치볼트축이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돌기는 슬라이더레버에 걸린 상태에서 더욱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되고, 슬라이더레버를 벗어나 돌출하는 슬라이딩돌기의 외측단부가 케이스부재의 슬라이딩공에 삽입 또는 관통하게 되는 바, 슬라이딩돌기가 슬라이딩공을 따라 정확한 직선 왕복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케이스에 구비되는 상기 슬라이딩공은, 관통공의 형태가 아닌 케이스의 내면에 형성되는 일자형 홈일 수도 있다.
래치볼트는, 래치볼트축의 좌측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면부재를 관통하여 케이스 내부와 외부 사이를 왕복이동하게 되는데, 문의 회전방향이나 열림방향에 따라 문틈의 걸림홈에 걸리게 되는 래치볼트의 방향을 바꿔주어야 하는 바, 케이스의 슬라이딩공에 삽입된 래치볼트축을 회전시키지 않고 래치볼트만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래치볼트축의 좌측단부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된다.
즉 문에 따라 래치볼트의 방향을 바꾸어 주어야 하는 경우, 래치볼트축에 고정결합되기 때문에, 래치볼트와 래치볼트축을 함께 회전시켜 주어야 하는 종래의 도어락 장치와 달리,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는 래치볼트축을 고정한 상태에서 래치볼트만을 회전시킬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는, 래치볼트축의 직선 왕복운동이 케이스에 의해 정확히 가이드 되도록 하는 동시에, 래치볼트가 래치볼트축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구조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4에 본 발명 일실시예 도어락 장치의 내부 구조도를, 도 5에 분해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는,
전·후방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전·후방케이스부재(41A)(41B)의 개방된 좌측단부에 판상의 마감부재(41C)가 결합되며, 전·후방케이스부재(41A)(41B) 중의 적어도 어느 한 부재에 수평방향의 일자형 슬라이딩공(H)이 관통 형성된 케이 스(41)와;
상기 케이스(41) 내부에 고정결합된 브라켓트(42)와;
상기 브라켓트(42)에 의해 지지되어 케이스(41) 내에서 좌·우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며, 우측단부 외주면에 케이스(41)의 슬라이딩공(H)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딩돌기(E1)가 돌출된 래치볼트축(43)과;
상기 래치볼트축(43)의 좌측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케이스(41)의 마감부재(41C)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 시 문틀에 구비된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 래치볼트(44)와;
상기 브라켓트(42)와 래치볼트(44) 사이에 결합되며, 브라켓트(42)에 지지된 상태에서 래치볼트(44)에 탄성력을 가하여 래치볼트(44)가 마감부재(41C)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탄성체(45)와;
상기 래치볼트축(43)의 슬라이딩돌기(E1)에 걸리는 암(46A)이 연장형성되고,중앙부에 문(D)과 케이스(41)를 관통한 회전손잡이축(X)이 삽입결합되는 손잡이축결합공(H1)이 구비되며, 케이스(4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레버(46);
상기 케이스(41) 내에 결합되며, 마감부재(41A)를 관통하여 케이스(41) 내·외측으로 수평하게 왕복이동하는 데드볼트(47)와;
상기 케이스(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력에 의해 데드볼트(47)를 직선 왕복이동시키며, 열쇠나 모터 등과 같은 구동부재에 의해서만 회전가능한 키레버(48);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마감부재(41C)는, 통상적으로, 외측의 판상 마감판(41C1)과 내측의 판상 마감샤시(41C2) 두장이 중첩된 상태이다
상기 래치볼트축(43)의 좌측단부에는 래치볼트(44)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래치볼트축(43)의 좌측단부 외주면에는 원주를 따라 래치볼트결합홈(G2)이 형성되고, 래치볼트(43)의 우측 선단면에는 래치볼트축삽입홈(G3)이 구비되며, 래치볼트축(43)은 래치볼트축삽입홈(G3)에 회전가능토록 삽입된다.
즉 래치볼트축(43)이 래치볼트축삽입홈(G3)에 삽입된 상태에서 래치볼트(44)의 외면에서 래치볼트축삽입홈(G3) 내경부로 핀 등의 체결부재(F)가 관통결합되고, 체결부재(F)의 내측단부가 래치볼트축(43)의 외주면에 형성된 링형 래치볼트결합홈(G2)에 걸리게 됨으로써, 래치볼트(44)는 래치볼트축(43)의 외주면에서 빠지지 않으면서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래치볼트축에 대한 래치볼트의 회전은, 전·후방케이스부재(41A)(41B)와 마감부재(41C) 중의 마감샤시(41C2)가 결합된 상태에서 가능하며, 마감샤시(41C2)에 마감판(41C1)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래치볼트가 회전되지 않는데, 이는, 마감판(41C1)을 포함하여 케이스가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의 정상적인 작동 하에서는 래치볼트가 작동 중 자동적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상기 래치볼트축(43)의 우측단부 외주면에 돌출되는 슬라이딩돌기(E1)는 슬라이더레버(46)의 암(46A)에 걸린 상태에서 케이스부재(41A)(41B)의 각 슬라이딩공(H)에 삽입됨으로써, 슬라이더레버(46)의 회전운동이 래치볼트축(43)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 시 래치볼트축(43)은 유동됨이 없이 슬라이딩공(H)을 따라 정확한 직선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돌기(E1)는 래치볼트축(43)의 외주면에 일체로 돌출형성될 수도 있고, 핀 등을 꽂아 돌출시키는 방법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래치볼트축(43)을 움직이기 위하여 슬라이더레버(46)를 회전시킬 때 슬라이더레버(46)의 암(46A)과 슬라이딩돌기(E1)의 외주면 사이에는 마찰력이 작용하게 되는 바, 슬라이딩돌기(E1)의 외주면에 베어링(B)을 결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에서 래치볼트축(43)의 직선운동은, 문을 관통한 후 슬라이더레버(46)의 손잡이결합홈(G1)에 삽입결합되는 회전손잡이축(X)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슬라이더레버(46)가 한 몸체로 이루어진 경우, 실내·외측 두 회전손잡이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도 타측의 회전손잡이가 함께 회전하게 되는 바, 하나는 움직이지 않고 다른 한 회전손잡이만의 회전에 의해 래치볼트축(43)이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볼트축(43)의 우측단부 외주면 전·후단에 슬라이딩돌기(E1')(E1")를 각각 구비하고, 슬라이더레버(46)를 마주한 상태에서 서로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한쌍의 전·후방슬라이더레버(46')(46")로 분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전·후방슬라이더레버(46')(46")의 각 암(46A')(46A")이 전·후단슬라이딩돌기(E1')(E1")에 각각 걸리도록 함으로써, 예를 들어, 실내측 회전손잡이를 회전 시 실외측 회전손잡이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래치볼트축(43)이 작동 되도록 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전·후단슬라이딩돌기(E1')(E1")는, 전·후방케이스부재(41A)(41B)의 각 슬라이딩공(H)에 삽입된다.
상기 전·후방슬라이더레버(46')(46")의 각 손잡이축결합공(H1)에는 실내·외측 회전손잡이축(X)이 각각 삽입결합되는 바, 전방슬라이더레버에 결합되는 회전손잡이축이 후방슬라이더레버에 결합되지 않도록 회전손잡이축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슬라이더레버(46')(46")의 손잡이축결합공(H1) 내면에 단턱부(J)를 구비하여 전·후방슬라이더레버에 각각 결합되는 실내·외측 회전손잡이축이 타측 슬라이더레버 측으로 절대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도어락 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에 형성된 도어락장치내장공간(G)에 삽입된 상태에서 마감부재(41C)가 문의 측면에 고정되는 방법으로 결합되는데, 케이스(41)의 두께가 도어락장치내장공간(G)의 폭보다 작기 때문에 케이스(41)의 외면과 도어락장치내장공간(G)의 내면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래치볼트가 문틀에 구비된 걸림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문과 직각을 이루면서 서로 반대되는 강한 힘이 문에 반복작용하는 경우, 문에 결합된 마감부재(41C)를 중심으로 래치볼트와 케이스가, 지렛대와 같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면서 문에 결합된 마감부재(41C)의 결합력이 이완되어 도어락 장치 전체가 문에 단단히 고정되지 못하고 흔들릴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스(41)의 우측단부 반대되는 양 면에 볼트 등과 같은 두께조절부재(41D)를 나사결합하는 것도 바람직한 바, 도어락장치내장공간(G)의 폭에 따라 두께조절부재(41D)의 돌출길이를 조절하여 그 외측단부가 도어락장치내장공간(G)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힘에 의해 문에 대한 도어락 장치의 고정력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가 있다.
그리고 데드볼트는 문을 잠그는데 사용되는데, 외측의 회전손잡이로서 문을 열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열쇠 또는 비밀번호 등에 의해 구동되는 내장모터에 의해서만 작동되도록 키레버(48)는 케이스 내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고, 키레버(48)에는 데드볼트(47)에 걸리는 암(48A)이 연장형성되며, 이 암(48A)의 회동에 의해 데드볼트(47)가 움직이게 된다.
그런데 데드볼트(47)가 잠긴 상태, 즉 데드볼트가 케이스의 마감부재를 관통하여 문틀에 구비된 잠금홈(도면 미도시)에 걸린 경우 실·내외 양 측 모두에서 회전손잡이로는 문을 열 수가 없다.
즉 데드볼트(47)가 잠긴 상태에서, 실외에서는 열쇠나 비밀번호 등으로 키레버를 구동시켜 데드볼트가 작동되도록 해야 함은 물론, 실내에서도 키나 별도의 열림 스위치 등으로 키레버를 작동시켜 데드볼트를 케이스 내로 이동시킨 후 회전손잡이를 다시 회전시켜는 2단계의 과정을 통하여 문을 열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데드볼트(47)가 잠긴 경우에도 실내에서는 회전손잡이만을 회전시켜 문을 열 수 있도록 하되, 그 구조를 단순화하였는 바, 슬라이더레버(46)를 전·후방슬라이더레버(46')(46")로 분리 구성하고, 도 9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측 전·후방케이스부재(41A)의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키레버돌기(48B)를 키레버(48)의 전·후방단부에 1:1 대응하여 구비한다.
그리고 중앙부에 구비된 손잡이축관통공(H2)의 테두리부를 따라 전방슬라이더레버(46')의 손잡이축결합공(H1)으로 삽입되는 삽입편(E2)이 돌출되고, 키레버(48)의 키레버돌기(48B)에 접촉하는 암(49A)이 구비된 판상의 핸들레버(49)를 만든다.
그 다음 상기 핸들레버(49)의 삽입편(E2)이 전방슬라이더레버(46')의 손잡이축결합공(H1)으로 삽입되도록 전방케이스부재(41A)의 외면에 핸들레버(49)를 중첩시킨 상태에서, 문의 일측면을 관통한 회전손잡이축을 핸들레버(49)의 손잡이축관통공(H2)에 결합한다.
이때 문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후방케이스부재(41A) 측에 결합되기 전의 회전손잡이축은, 후방슬라이더레버(46")의 손잡이축결합공(H1)에 삽입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실외측 회전손잡이는 후방슬라이더레버(46")를 회전시켜 래치볼트축(43)만을 움직일 수 있을 뿐 데드볼트(47)를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데드볼트가 잠긴 경우 실외측에서는 회전손잡이로서 문을 열 수가 없다.
그러나 데드볼트(47)가 잠긴 경우에도 실내측에서는 회전손잡이를 이용하여 문을 열 수 있는 바, 회전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케이스(41)에 내장된 전방슬라이더레버(46')와 전방케이스부재(41A) 외면에 중첩된 핸들레버(49)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하는 전방슬라이더레버(46')와 핸들레버(49)는, 래치볼트축(43)과 키래버(48)를 각각 움직여 문틀에 걸린 래치볼트와 데드볼트를 모두 케이스 내부로 이동시킴으로써 문을 열 수 있게 되는데, 핸들레버(49)와 데드볼트(47) 사이의 연관된 동작순서는 다음과 같다.
키레버돌기공(H3)과 키레버돌기(48B)가 각각 전방케이스부재(41A) 및 키레버(48)의 전방단부에 구비되었다는 가정 하에서, 회전하는 핸들레버(49)의 암(49A)이 전방케이스부재(41A)의 외면에 돌출된 키레버(48)의 키레버돌기(48B)를 밀어내게 되는 바, 전방케이스부재(41A)에 관통형성된 키레버돌기공(H3)을 따라 움직이게 되는 키레버돌기(48B)의 동작에 의해 키레버(48)가 회전하게 되고, 키레버(48)가 회전하면서 키레버(48)에서 연장형성된 키레버암(48A)이 데드볼트(47)를 후진시켜 잠금상태가 풀어지게 된다.
이때 판상의 핸들레버(49)는 전방케이스부재(41A)의 외면에 단순 중첩된 상태에서 그 중앙부의 손잡이축관통공(H2) 테두리부에 돌출된 삽입편(E2)이 외부로 노출되는 전방슬라이더레버(46')의 손잡이축결합공(H1)에 단순 삽입됨으로써, 전방슬라이더레버(46')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삽입편(E2)의 끝단부를 내경부 측으로 절곡하여 절곡편(P)이 형성되도록 하고, 손잡이축관통공(H2) 내경부로 삽입되는 회전손잡이축(X)의 외측 선단면이 상기 절곡편(P)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핸들레버(49)가 전·후방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손잡이축(X)의 외측 선단면이 상기 절곡편(P)에 탄성적으로 밀착되 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한 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손잡이(50)의 손잡이몸체(50A) 일측에 구비된 축삽입공(H4)에 스프링 등의 탄성체(S)를 넣은 상태에서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형 구슬홈(G4)이 형성된 로드형 회전손잡이축(X)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축삽입공(H4)이 형성된 축결합부에는 외면에서 축삽입공(H4) 측으로 관통하는 구슬삽입공(H5)이 구비되는 바, 구슬삽입공(H5)을 통하여 축삽입공(H4) 측으로 금속구(B1)를 넣어 금속구(B1)가 축(X)의 구슬홈(G4)에 걸리도록 한 후, 축결합부 외면에 금속구(B1)의 이탈을 방지하여 주는 탄성링(R)을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몸체(50A)에 축(X)을 결합한 후 탄성체(S)가 압축되도록 회전손잡이가 결합되는 경우, 탄성체(S)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손잡이축(X)의 외측 선단면이 핸들레버(49)의 절곡편(P)의 표면에 밀착되어 핸들레버(49)의 삽입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그 외에,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을 변환시켜주기 위하여 사용된 구조인, 래치볼트축(43)과 슬라이더레버암(46A), 데드볼트(47)와 키레버암(48A) 등을 포함하여 힘을 전달하는 구조는 암 구조 외에 기어 결합구조 등 여러가지 형태로 변경될 수도 있는데, 운동의 변환과 전달이 가능하기만 하면 그 형태나 구조가 특정형태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종래 도어락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도어락 장치의 내부구조도.
도 3은 종래 다른 도어락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예 도어락 장치의 내부구조도.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예 도어락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제2실시예 도어락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전·후방슬라이더레버와 회전손잡이의 결합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제3실시예 도어락 장치와 문의 결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제4실시예 도어락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제4실시예 도어락 장치의 내부구조도.
도 11은 본 발명 제4실시예 도어락 장치를 보인 것으로,
(가)는 데드볼트가 케이스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나)는 데드볼트가 케이스 내부로 들어간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 제4실시예 도어락 장치를 구성하는 핸들레버를 보인 것으로,
(가)는 사시도이고,
(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 제4실시예 도어락 장치에 결합되는 일실시예 회전손잡이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1. 케이스 41A. 전방케이스부재 41B. 후방케이스부재
41C. 마감부재 41C1. 마감판 41C2. 마감샤시
41D. 두께조절부재 42. 브라켓트 43. 래치볼트축
44. 래치볼트 45. 탄성체 46 .슬라이더레버
46A. 슬라이더암 46'. 전방슬라이더레버 46". 후방슬라이더레버
47. 데드볼트 48. 키레버 48A. 키레버암
48B. 키레버돌기 49. 핸들레버 49A. 핸들레버암
50. 회전손잡이 50A. 몸체 B. 베어링
B1.금속구 D. 문 E1. 슬라이딩돌기
E1'. 전단슬라이딩돌기 E1". 후단슬라이딩돌기 E2. 삽입편
F. 체결부재 H. 슬라이딩공 H1. 손잡이축결합공
H2. 손잡이축관통공 H3. 키레버돌기공 H4. 축삽입공
H5. 구슬삽입공 G. 도어락장치내장공간 G2. 래치볼트결합홈
G3. 래치볼트축삽입홈 G4. 구슬홈 K.구동부재
P. 절곡편 R. 탄성링 S. 탄성체
X. 회전손잡이축

Claims (9)

  1. 결합된 전·후방케이스부재의 개방 좌측단부에 마감부재가 결합되며 내부에 브라켓트가 구비된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서 수평이동 가능한 래치볼트축과; 래치볼트축의 좌측단부에 결합된 래치볼트와; 래치볼트와 브라켓트 사이에 위치한 탄성체와; 케이스 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래치볼트축을 움직이며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축결합공이 구비된 슬라이더레버와; 케이스 내에서 수평이동 가능한 데드볼트와; 케이스 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데드볼트를 움직이는 키레버; 를 포함하여 구성된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1)를 구성하는 전·후방케이스부재(41A)(41B) 중의 적어도 어느 한 부재에는, 수평방향의 일자형 슬라이딩공(H)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래치볼트축(43)의 외주면에는, 슬라이딩공(H)에 삽입된 상태에서 왕복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돌기(E1)가 돌출되고,
    상기 슬라이더레버(46)는,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한쌍의 전·후방슬라이더레버(46')(46")로 구성되고;
    상기 전·후방케이스부재(41A)(41B) 중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키레버돌기공(H3)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키레버(48)에는, 키레버돌기공(H3)을 관통하여 키레버돌기공(H3)이 형성된 케이스부재의 외면 위로 돌출되는 키레버돌기(48B)가 구비되고;
    일측단부가 상기 키레버돌기(48B)에 접촉되어 회전손잡이(50)의 회전에 의해 키레버돌기(48B)를 움직이는 핸들레버(49)가 전·후방케이스부재(41A) 중의 어느 일측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핸들렌버(49)는 중앙부에 손잡이축관통공(H2)이 관통형성되며, 손잡이축관통공(H2)의 테두리부에는 케이스부재를 관통한 상태에서 슬라이더레버의 손잡이축결합공(H1)으로 삽입되는 삽입편(E2)이 돌출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축(43)과 래치볼트(44)는,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돌기(E1)의 외주면에는, 베어링(B)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1)의 반대되는 양 면에는, 문에 구비된 도어락장치내장공간(G) 내에서의 케이스(41)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두께조절부재(41D)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축관통공(H2)과 손잡이축결합공(H1)에는 회전손잡이(50)가 결합되며,
    상기 회전손잡이(50)는,
    일측에 축삽입공(H4)이 구비되고, 외면에서 축삽입공(H4) 내면까지 관통하는 구슬삽입공(H5)이 구비된 손잡이몸체(50A)와;
    상기 축삽입공(H4)에 삽입되는 탄성체(S)와;
    상기 탄성체(S)가 개재된 상태에서 축삽입공(H4)에 삽입되고, 외면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형 구슬홈(G4)이 형성되며, 케이스부재와 손잡이축관통공(H2)을 관통한 상태에서 손잡이축결합공(H1)에 삽입결합되는 축(X)과;
    상기 구슬삽입공(H5)에서 축삽입공(H4) 측으로 넣어지며, 축(X)의 구슬홈(G4)에 걸리는 금속구(B1)와;
    상기 구슬삽입공(H5)이 형성된 손잡이몸체(50A)의 일측 외면을 감싸는 탄성링(R);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레버(49)의 삽입편(E2)은, 끝단부가 절곡되어 절곡편(P)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KR1020080013217A 2008-02-13 2008-02-13 도어락 장치 KR100848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3217A KR100848878B1 (ko) 2008-02-13 2008-02-13 도어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3217A KR100848878B1 (ko) 2008-02-13 2008-02-13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8878B1 true KR100848878B1 (ko) 2008-07-30

Family

ID=39825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3217A KR100848878B1 (ko) 2008-02-13 2008-02-13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88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694B1 (ko) 2009-08-25 2010-03-05 주식회사 아이엔테크 데드볼트 자동 후진구조를 갖는 모티스
KR101092824B1 (ko) 2009-10-08 2011-12-12 주식회사 월드크로스 도어용 모티스 락 어셈블리
KR101732596B1 (ko) * 2017-01-23 2017-05-04 주식회사 오토앤로봇 슬라이딩도어에 구비되는 파워락 잠금장치
WO2023062441A1 (en) * 2021-10-12 2023-04-20 Joshi Prabhakar Anant A door lock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190A (ko) * 1999-08-09 2001-03-05 김석진 모티스 록킹장치
KR20040000257A (ko) * 2002-06-24 2004-01-03 서규식 도어록용 상자앗세이
KR20040090159A (ko) * 2003-04-16 2004-10-22 주식회사 하이시큐어 모티스록 잠금장치
KR200369649Y1 (ko) * 2004-09-03 2004-12-09 주식회사 뉴웰 비접촉식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20060113227A (ko) * 2005-04-30 2006-11-02 김태진 방향 전환이 가능한 도어 락 백세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190A (ko) * 1999-08-09 2001-03-05 김석진 모티스 록킹장치
KR20040000257A (ko) * 2002-06-24 2004-01-03 서규식 도어록용 상자앗세이
KR20040090159A (ko) * 2003-04-16 2004-10-22 주식회사 하이시큐어 모티스록 잠금장치
KR200369649Y1 (ko) * 2004-09-03 2004-12-09 주식회사 뉴웰 비접촉식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20060113227A (ko) * 2005-04-30 2006-11-02 김태진 방향 전환이 가능한 도어 락 백세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694B1 (ko) 2009-08-25 2010-03-05 주식회사 아이엔테크 데드볼트 자동 후진구조를 갖는 모티스
KR101092824B1 (ko) 2009-10-08 2011-12-12 주식회사 월드크로스 도어용 모티스 락 어셈블리
KR101732596B1 (ko) * 2017-01-23 2017-05-04 주식회사 오토앤로봇 슬라이딩도어에 구비되는 파워락 잠금장치
WO2023062441A1 (en) * 2021-10-12 2023-04-20 Joshi Prabhakar Anant A door lo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89987A1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push/pull handles
EP2985397B1 (en) Mortise lock
KR101453945B1 (ko) 멀티타입 래치볼트
US11098509B2 (en) Double-door lock assembly
KR100848878B1 (ko) 도어락 장치
KR20160000788A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KR101666017B1 (ko) 창호 잠금장치
KR20180065173A (ko) 잠금장치를 포함한 창호용 그립 손잡이
KR101533194B1 (ko) 도어 래치 어셈블리
US20140130557A1 (en) Lever type handle and lock assembly for the same
KR102452891B1 (ko) 창호용 잠금장치
KR101428690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KR100803906B1 (ko) 손잡이 당김용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KR101241231B1 (ko) 도어록
KR20110000989A (ko) 도어락
US2855234A (en) Lock mechanism for sliding doors
KR200322505Y1 (ko) 도어록 잠금장치
KR101878461B1 (ko) 패닉 기능을 구비한 모티스의 핸들 샤프트 연결 구조
KR101666764B1 (ko) 푸시풀형 도어락
CN210013600U (zh) 锁定机构及门窗结构
KR101933839B1 (ko) 래치가 이중으로 작동하는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락
KR101765329B1 (ko) 개폐방향에 따른 간편 전환구조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락
CN205617943U (zh) 一种新型无手柄门锁
CN110043121A (zh) 自动锁体及具有自动锁体的装置
KR101735752B1 (ko) 개폐방향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