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329B1 - 개폐방향에 따른 간편 전환구조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락 - Google Patents

개폐방향에 따른 간편 전환구조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329B1
KR101765329B1 KR1020160132738A KR20160132738A KR101765329B1 KR 101765329 B1 KR101765329 B1 KR 101765329B1 KR 1020160132738 A KR1020160132738 A KR 1020160132738A KR 20160132738 A KR20160132738 A KR 20160132738A KR 101765329 B1 KR101765329 B1 KR 101765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olt
ratchet
ratchet bolt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2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화
Original Assignee
전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화 filed Critical 전병화
Priority to KR1020160132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05B15/101Spring-retracted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04Lock assembling or manufact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12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for lock parts held in place before or during mounting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05B49/002Keys with mechanical characteristics, e.g. notches, perforations, opaque mar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이나 사무실 또는 창고 등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래칫볼트의 일측 내부로부터 유동되는 전환작동구를 삽입하고, 상기 래칫볼트는 회전가이더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회전가이더를 관통하여 슬라이딩되는 구속바를 구비하여 상기 구속바에 의해 전환작동구 및 래칫볼트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전환작동구와 구속바 간의 결합 위치에 따라 상기 래칫볼트에 의한 도어 개폐방향이 전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어의 개폐방향을 바꾸거나 혹은 공장 출고 상태의 디지털 도어락과 이미 설치된 도어의 개폐방향이 서로 맞지 않는 경우 기존과 같이 디지털 도어락을 분해하여 래칫볼트에 대한 방향 전환 후 재조립하는 것이 아니라 래칫볼트의 방향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내부의 전환작동구 만을 간단하게 이동시켜 상기 전환작동구 및 연계 작동하는 구속바로 인해 상기 래칫볼트의 잠금 방향이 간단하게 변경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이고, 내장되는 구성품 및 부속이 비교적 단순하여 원가 절감은 물론 생산성 향상이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개폐방향에 따른 간편 전환구조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락 {Digital door rock}
본 발명은 주택이나 사무실 또는 창고 등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도어락의 래칫볼트에 대한 방향을 설치전 혹은 설치 상태에서도 간편하게 전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도어의 개폐방향에 따라 또는 도어의 개폐방향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래칫볼트를 전환시켜 도어 개폐방향에 따라 대응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도어락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 또는 사무실과 같은 장소의 출입문에는 인가되지 않은 외부인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도어락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락 장치에는 실외에서 출입문을 임의로 개방할 수 없도록 잠금 장치가 설치되는데, 가장 일반적인 형태가 열쇠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도어락의 잠금과 해정을 하는 기계식 도어락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계식 도어락은 그 구조가 간단하여 보안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비밀번호 혹은 지문인식이나 카드인식 등과 같은 사용자 인증 과정에 의해, 전자석과 클러치를 이용하여 데드볼트를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식 도어락과 모터 및 모터에 의해 데드볼트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식 도어락이 주로 사용된다. 이 중에서, 구조가 간단하고 전력 소모가 비교적 적은 모터 구동식이 근자에는 더욱 선호되고 있다.
모터 구동식 도어락은 경우 통상적으로 디지털 도어락으로 칭해지는 것인데, 상기의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 도어의 실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키패드 장치와 도어의 실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모티스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키패드 장치는 버튼식 혹은 터치식 입력부를 갖고 있어 외부로부터 실내 측 모티스 장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모티스 장치는 전원공급부 및 구동모터와 데드볼트 및 래칫볼트를 구성하고 있어 상기 키패드 장치와 연동되게 하거나, 개폐핸들 혹은 푸쉬-풀 방식의 작동바와 연동하여 도어에 대한 도어락의 잠금 혹은 해정이 이루어지도록 구동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디지털 도어락은 종래의 기술로써, 등록실용신안 제20-0464252호와 같이 디지털 도어락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자식 도어락의 클러치 구조체가 안출된 바 있고,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등록된 특허등록 제10-0310006호와 같은 현관문용 잠금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1163호의 경우와 같이 푸시풀 도어락에 사용되는 래치회동식 도어락 모티스가 안출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 도어락의 해정을 위해 회전식 노브 혹은 푸쉬풀 방식의 작동바를 사용하거나 키패드 장치를 조작하여 돌출된 상태의 상기 모티스 장치 내 데드볼트가 장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함에 따라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것인데, 상기 데드볼트가 문틀의 걸림쇠와 간섭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동하는 경우 상호 간의 간섭 저항으로 인해 구동모터에 부하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한 것이고 이로 인해 구동모터의 수명 저하 및 도어락 전체의 사용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기존의 도어락은 잠금 해제 상황에서 데드볼트와 래칫볼트가 동시에 함몰 삽입되면서 잠금 해제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인데, 이와 같은 잠금 해제과정에서 상기 도어에 자동 개폐장치 혹은 실,내외 간 압력차이 혹은 인위적인 개방력이 작용하게 되면 데드볼트의 측면이 문틀 내 걸림쇠와 간섭되므로, 상호 간섭 저항력으로 인해 상기 데드볼트는 원활하고 신속하게 모티스장치 내부로 삽입되지 못하면서 구동모터를 손상시키거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디지털 도어락은 모티스 장치 내부에 회전노브 혹은 작동바에 의해 회전되는 부속품이 결합되는 제1구동축부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부속품이 결합되는 제2구동축부 및 래칫볼트가 출몰하기 위한 부속품이 결합되는 제3구동축부 등을 갖고 있어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매우 많은 부속품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어 제작이 매우 번거로운 것은 물론 제작비가 매우 고가이므로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이 크고 판매자 역시 이익이 적어 지극히 불합리한 경제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출원인은 2016년 특허출원 제0029068호와 같이, 모티스 장치의 본체 내에 유동식 데드볼트와 회동식 래칫볼트를 각기 삽입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데드볼트 및 래칫볼트와 연계 작동되게 한 실내측회전구와 작동회전구 및 단속레버와 실외측회전구를 동축상에 결합 형성하며, 상기 작동회전구에는 구동모터가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실내측회전구 혹은 실외측회전구의 회전 작동을 통해 상기 데드볼트와 래칫볼트가 유기적으로 연계 작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동축상의 결합구조를 통해 내부 구조의 단순화 및 그로 인한 원가 절감과 제작성의 향상을 꾀하는 것은 물론 데드볼트가 함몰된 상태에서만 래칫볼트가 회동되도록 하여 상기 데드볼트와 연결된 구동모터의 부하를 최소화시켜 도어락 자체의 사용 수명이 크게 연장되도록 한 특징의 개선된 내부구조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을 안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디지털 도어락은 많은 장점과 효율성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출입문에 대한 개폐방향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모티스 본체 전체를 도어로부터 제거 후 본체 및 커버체의 분해 및 내장된 래칫볼트와 연계 부속품을 역방향으로 조립한 후 이들을 다시 출입문에 고정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즉, 상기의 래칫볼트는 일측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경사면으로 인해 문틀 내 가이더와 간섭하면서 본체로부터 출몰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상기의 래칫볼트가 열림 동작에서 경사면이 향하고 있는 방향으로 항상 출입문의 개폐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의 래칫볼트는 출입문의 잠금 상태에서 데드볼트가 문틀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구동모터의 작동시 상기 데드볼트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사용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 문틀과 간섭되며 본체 내로 함몰되었다가 다시 외향 돌출되는 것이며 출입문의 닫힘작용시 회전되면서 함몰 후 다시 돌출되어 출입문이 문틀에 계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의 출입문에 대한 개폐방향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의 래칫볼트의 경사면이 방향전환에 따라 반대방향으로 향하여야 하는 것으로 기존에는 상기 래칫볼트를 역방향으로 조립하기 위해서는 모티스 본체를 완전히 분해 후 다시 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2016년 특허출원 제0056819호와 같이 출몰 작동되는 래칫볼트가 본체의 노출측 측면으로부터 간편하고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래칫볼트에 작용하는 탄발스프링은 스프링블록에 의해 이탈 방지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출입문에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상기 래칫볼트를 분리 및 역방향으로 재조립하여 출입문의 개폐방향을 간편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도어락 장치의 미설치 상태에서도 누구나 간편하게 래칫볼트의 삽입 방향을 전환 조립할 수 있어 출입문의 개폐방향에 따라 손쉽게 도어락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개폐방향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을 안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디지털 도어락은 개폐방향에 따른 래칫볼트의 삽입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측면커버를 분리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래칫볼트를 본체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래칫볼트의 재조립 및 측면커버의 재조립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것이 사실이다.
즉, 도어의 개폐방향을 전환하거나 최초 공장 출고된 모티스의 개폐방향이 실제 설치된 도어의 개폐방향과 다른 경우 상기의 디지털 도어락은 측면커버의 분해 및 래칫볼트를 인출한 상태에서 상기 래칫볼트를 회전시켜 방향을 바꾼 상태에서 다시 래칫볼트를 본체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측면커버를 재조립하는 것으로 도어의 개폐방향을 전환시키거나 공장 출고된 모티스의 개폐방향에 대한 전환이 가능한 것으로, 기존의 디지털 도어락에 비해서는 개폐방향의 전환이 단순하고 간편해진 것은 사실이나 여전히 일부 부속의 분해 및 재조립 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어려움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작업자의 착오에 의해 래칫볼트의 회전 방향을 혼동하거나 기구적 작동관계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 빈번하게 반복적인 분해 및 재조립이 거듭되고 있는 실정이고, 내부 구성품 역시 다소 복잡하고 다양하게 구비되어야 하므로 원가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래칫볼트의 일측 내부로부터 유동되는 전환작동구를 삽입하고, 상기 래칫볼트는 회전가이더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회전가이더를 관통하여 슬라이딩되는 구속바를 구비하여 상기 구속바에 의해 전환작동구 및 래칫볼트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전환작동구와 구속바 간의 결합 위치에 따라 상기 래칫볼트에 의한 도어 개폐방향이 전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어의 개폐방향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공장 출고 상태의 디지털 도어락과 실제 설치된 도어의 개폐방향이 상이한 경우 디지털 도어락을 분해 및 재조립하지 않고 상기 전환작동구 만을 간단하게 이동시켜 래칫볼트의 결합 방향이 전환될 수 있게 하여 도어 개폐방향과 대응될 수 있게 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특징을 갖는 개폐방향에 따른 간편 전환구조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커버를 갖는 모티스 본체 내에 본체의 일측으로 출몰되는 데드볼트와 래칫볼트가 삽입되고, 상기 데드볼트는 본체 내부의 구동모터에 의해 출몰하며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래칫볼트는 도어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회전 및 출몰되며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래칫볼트는 일측에 안치홈을 형성하고 상기 안치홈의 내부에는 별도로 구비된 전환작동구를 삽입 형성하며, 상기 전환작동구의 일측에는 회전가이더를 밀착 형성하여 상기 회전가이더와 래칫수용부의 사이에 탄발스프링이 계지되게 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래칫수용부와 회전가이더를 관통하여 상기 전환작동구에 결합되게 한 구속바를 안치 형성하되, 상기 구속바는 중간부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과 본체 사이에 계지된 복귀스프링에 의해 래칫볼트를 향하여 탄발력을 갖게 하고, 상기 단속레버와 구속바의 사이에는 단속레버의 회전에 따라 구속바를 슬라이딩시키는 푸시레버를 결합하며, 상기 전환작동구에는 위치를 서로 달리하는 제1 및 제2 계지홈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단속레버와 푸시레버의 회전에 의한 구속바의 후퇴 및 복귀스프링에 의해 전진하는 구속바에 대한 제1,2 계지홈과의 결합 위치에 따라 래칫볼트에 의한 도어 개폐방향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방향을 바꾸거나 혹은 공장 출고 상태의 디지털 도어락과 이미 설치된 도어의 개폐방향이 서로 맞지 않는 경우 기존과 같이 디지털 도어락을 분해하여 래칫볼트에 대한 방향 전환 후 재조립하는 것이 아니라 래칫볼트의 방향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내부의 전환작동구 만을 간단하게 이동시켜 상기 전환작동구 및 연계 작동하는 구속바로 인해 상기 래칫볼트의 잠금 방향이 간단하게 변경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이고, 내장되는 구성품 및 부속이 비교적 단순하여 원가 절감은 물론 생산성 향상이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저면 전체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래칫볼트 결합부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래칫볼트 및 전환작동구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전환작동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내부 구성도 및 래칫볼트 방향 표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에 대한 방향 전환 작동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에 대한 방향 전환이 완료된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에 대한 일측 개폐시의 결합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에 대한 타측 개폐시의 결합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전체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저면 전체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래칫볼트 결합부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래칫볼트 및 전환작동구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전환작동구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은 기존의 도어락과 마찬가지로 내부 수용공간을 갖고 있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에 결합되는 커버(21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고, 상기 본체(200)의 일측으로부터 각기 데드볼트(10)와 래칫볼트(20)가 출몰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인데, 상기 데드볼트(10)와 래칫볼트(20)는 내부의 구동모터(30)와 실내측회전구(40) 및 작동회전구(50)와 단속레버(60) 그리고 실외측회전구(70)의 유기적인 작동을 통해 출몰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래칫볼트(20)는 상기 본체(200)에 마련된 래칫수용부(201)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래칫볼트(20)의 일측에는 상기 래칫수용부(201) 내에 위치하고 있는 탄발스프링(80)에 계지되어 있어 상기 래칫볼트(20)는 항상 외측으로의 돌출력을 받고 있는 상태인 것이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의 작동 및 작용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2016년 특허출원 제0029068호에 의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간략하게 이들의 작동구조를 살펴보면 실내측에서 도어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실내측 레버를 회전시키면 상기 실내측회전구(40)의 회전에 따라 작동회전구(50)가 함께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작동회전구(50)의 회전력으로 인해 상기 단속레버(60)가 회전을 하면서 래칫볼트(20)의 회전 억제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작동회전구(50)의 회전력으로 인해 상기 데드볼트(10)가 후퇴하면서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도어의 개방 회전력으로 인해 돌출 상태인 래칫볼트(20)는 문틀과의 간섭으로 인해 래칫수용부(201) 내에서 회전을 하여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어, 개방된 상태의 도어가 닫힘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도어 개방력에 의해 회전되었던 래칫볼트(20)가 다시 문틀과의 간섭으로 회전 및 함몰되면서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지고 도어의 닫힘상태에서 구동모터(30)의 작동으로 인해 데드볼트(10)가 돌출되면서 도어의 보안 잠김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외측에서 도어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실외측 번호키를 눌러 구동모터(30)를 작동시켜 상기 데드볼트(10)가 후퇴되게 한 상태에서 실외측의 도어 레버를 회전시키면 이와 연결된 실외측회전구(70)가 회전을 하게 되고 실외측회전구(70)의 회전에 따라 단속레버(60)가 함께 회전하면서 래칫볼트(20)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므로 도어를 잡아당겨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의 디지털 도어락의 개폐 작동은 상기 래칫볼트(20)의 경사면 방향으로 인해 통상적으로 일정한 방향 즉, 실외측으로 밀어 도어를 개방시키는 형태로 제작 및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 방향을 실내측으로 전환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락 본체(100)를 분해한 후 래칫볼트(20)의 결합 방향을 뒤집은 상태에서 재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특히, 기존 도어에 이미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도어의 개폐방향을 바꾸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어로부터 도어락 전체를 분리시킨 후 다시 도어락 몸체(200)를 분해하여 래칫볼트(20)를 역방향으로 끼워 조립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많은 시간을 요하는 것은 물론 도어 및 도어락 장치에 파손이나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작동 구조를 갖는 도어락에 대하여 상기 래칫볼트(20)를 분리시키지 않고도 내부 구성품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상기 래칫볼트(20)를 역방향으로 조립한 형태와 같이 내장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시공 및 설치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도어락은 상기 모티스 본체(200)의 래칫볼트(20)에 대한 구조를 개선하고, 상기 래칫볼트(20)에 대하여 전환작동구(90) 및 회전가이더(100)와 구속바(110)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구속바(110)에 결합되는 복귀스프링(120)과 상기 구속바(110)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푸시레버(130)를 결합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의 래칫볼트(20)는 일측이 제1경사면(25)과 제2경사면(26)에 의해 뾰족한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고 타측에는 안치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치홈(21)의 내면에는 다시 스프링삽입홈(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삽입홈(22)에는 멈춤스프링(23)이 삽입되고 상기 멈춤스프링(23)의 끝단에는 멈춤볼(24)이 안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제1경사면(25)과 제2경사면(26)은 도어의 개폐방향에 따른 래칫볼트(20)의 회전에 의해 문틀과 수직으로 면접하면서 상호 간섭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문틀과 경사상으로 위치하면서 경사면으로 인해 문틀과의 간섭시 본체(200)의 래칫수용부(201) 내측으로 함몰되면서 도어의 자연스러운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어, 상기 래칫볼트(20)의 안치홈(21)으로는 별도로 구비된 전환작동구(90)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전환작동구(90)는 안치홈(21)의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전환작동구(90)의 외측면은 곡면부(9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곡면부(94)에는 서로 위치를 달리하는 제1계지홈(91)과 제2계지홈(91') 및 조정홈(93)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조정홈(93)은 커버(210)를 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계지홈(91)과 제2계지홈(91')은 본체(200)의 내측을 향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환작동구(90)의 타측에는 상기 래칫볼트(20)의 안치홈(21)을 향하는 스토퍼(92)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스토퍼(92)는 래칫볼트(20)의 멈춤볼(24)가 간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전환작동구(90)는 래칫볼트(20)에 대하여 고정핀(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 등을 이용하여 축 결합함에 따라 상기 래칫볼트(20)와 전환작동구(90)는 서로 분리되지 않는 반면 래칫볼트(20)의 안치홈(21) 내부에서 전환작동구(90)가 유동할 수 있는 결합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전환작동구(90)가 래칫볼트(20)의 안치홈(21) 일측에 밀착되는 경우 상기 전환작동구(90)의 스토퍼(92)는 멈춤볼(24)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전환작동구(90)가 안치홈(21) 내에 임의 유동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전환작동구(90)를 안치홈(21) 내에서 타측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상기 전환작동구(90)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밀어내면 상기 스토퍼(92)가 간섭의 멈춤볼(24)을 눌러 스프링삽입홈(22) 내측으로 삽입되게 하면서 타측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상기 전환작동구(90)가 안치홈(21) 내에서 타측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멈춤볼(24)은 스토퍼(92)와의 간섭이 해제되므로 멈춤스프링(23)의 반력에 의해 다시 돌출되면서 스토퍼(92)의 일측에 계지되면서 상기 전환작동구(90)가 임의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의 전환작동구(90)는 래칫볼트(20)의 안치홈(21) 내에서 반드시 인위적인 힘에 의해서만 유동할 수 있는 것이고, 일측 혹은 타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는 구조와 작용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환작동구(90)의 조정홈(93)은 상기 전환작동구(90)를 작업자 혹은 사용자에 의해 인위적인 힘으로 유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상기 조정홈(93)은 커버(210)를 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의 커버(210)에는 상기 조정홈(93)과 대응하는 위치에 작업공(21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작업공(211)으로 드라이버 혹은 뾰족한 공구 등을 삽입하고 이러한 공구가 상기 조정홈(93)으로 삽입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의 공구를 일측으로 혹은 타측으로 밀어 강제로 상기 전환작동구(90)가 래칫볼트(20)의 안치홈(21) 내에서 일측 혹은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환작동구(90)의 곡면부(94)에는 별도로 구비된 회전가이더(100)가 밀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회전가이더(100)에는 상기 곡면부(94)와 대응하는 곡면홈(10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곡면홈(101)으로 전환작동구(90)의 곡면부(94)가 밀착되면 상기 전환작동구(90)는 상호 곡면의 밀착으로 인해 회전가이더(100)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전환작동구(90)와 함께 상기 래칫볼트(20) 역시 전환작동구(9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 회전가이더(100)의 후측에는 전기한 바와 같은 탄발스프링(80)의 일단이 밀착 계지되어 있고 상기 탄발스프링(80)의 타단은 상기 본체(200)의 래칫수용부(201) 내면에 계지되어 있어 상기 탄발스프링(80)의 반발력에 의해 회전가이더(100)와 래칫볼트(20) 및 전환작동구(90)는 동시에 본체(200)의 외측으로 밀려나려는 힘을 받게 되는 것이고, 상기 래칫볼트(20)는 본체(200)의 일측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래칫볼트(20)의 제1경사면(25) 또는 제2경사면(26)에 간섭에 의한 누름력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래칫볼트(20)는 탄발스프링(80)을 압축시키며 함몰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200)의 내부에는 상기 래칫볼트(20)를 향하는 별도의 구속바(110)가 내장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구속바(110)는 기다란 막대 형태를 갖고 있고 중간부에는 걸림턱(1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 걸림턱(111)을 기준으로 구속바(110)의 일측은 래칫수용부(201) 및 회전가이더(100)를 관통하여 상기 전환작동구(90)의 제1계지홈(91) 또는 제2계지홈(91') 중 선택된 하나의 계지홈으로 삽입되는 것이고, 상기 구속바(110)의 타측에는 복귀스프링(120)이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복귀스프링(120)의 일단은 걸림턱(111)에 계지되고 복귀스프링(120)은 본체(200)의 내부에 계지되어 있어 상기 복귀스프링(120)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구속바(110)는 지속적으로 래칫볼트(20)를 향하여 이동하려는 힘을 받고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래칫볼트(20)는 탄발스프링(80)에 의해 본체(2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복귀스프링(120)의 반력에 의해 전진된 구속바(110)는 끝단이 상기 전환작동구(90)의 제1 또는 제2계지홈(91)(91') 내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래칫볼트(20)에 대한 회전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어, 상기 본체(200)의 내부에는 전기한 단속레버(60)와 연동되게 한 푸시레버(13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 푸시레버(130)의 일측은 단속레버(60)의 회전시 상호 간섭되도록 돌출되어 있고 푸시레버(130)의 타측은 상기 구속바(110)의 걸림턱(111)에 계지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단속레버(60)가 회전을 하게 되면 푸시레버(130)를 함께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고, 푸시레버(130)의 회전으로 인해 걸림턱(111)과 간섭되면서 상기 구속바(110)는 복귀스프링(120)을 압축하며 후퇴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래칫볼트(20)는 구속바(110)가 전진된 상태에서는 비회전 상태가 되지만 내측으로는 함몰 유동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구속바(110)가 단독으로 후퇴한 상태에서는 래칫수용부(201) 내에서 회전 및 함몰 유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가 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환작동구(90)의 제1계지홈(91) 및 제2계지홈(91')의 경우 상기 래칫볼트(20)의 회전 상태에서 따라 선택적으로 제1계지홈(91) 또는 제2계지홈(91')으로 삽입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데 도어를 밀어 개폐시키는 경우에 알맞도록 래칫볼트(20)가 회전된 경우에는 상기 제1계지홈(91)으로 구속바(110)의 끝단이 삽입되는 것이고, 도어를 당겨 개폐시키는 경우에 알맞게 래칫볼트(20)가 회전된 경우에는 상기 제2계지홈(91')으로 구속바(110)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서로 위치를 달리 형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의 래칫볼트(20)에 대한 전환 결합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상세한 설명에 앞서 래칫볼트(20)의 회전 방향은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을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칭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실외에서 실내방향으로 또는 실내에서 실외방향으로 개폐되는 것이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이 장착된 도어가 실외측으로부터 실내측으로 회전되도록 래칫볼트(20)가 조립된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본체(200)의 래칫수용부(201) 내에 삽입된 래칫볼트(20)는 도 9의 도시와 같이 제1경사면(25)이 수평인 상태를 갖도록 하향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고, 상기 래칫볼트(20)의 안치홈(21)에 삽입된 전환작동구(90)는 안치홈(21)으로부터 상측으로 이동하여 멈춤볼(24)에 의해 위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구속바(110)는 복귀스프링(120)에 의해 전진되어 구속바(110)의 끝단이 전환작동구(90)의 제1계지홈(91)으로 삽입된 상태를 갖게 되는 것으로, 실내측에서 도어 레버를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경우 또는 실외측에서 번호키를 눌러 내장된 구동모터(30)가 회전하는 경우 실내측회전구(40) 또는 실외측회전구(70)의 회전 및 작동회전구(50)의 회전으로 인해 데드볼트(10)가 함몰되면서 도어의 개방 대기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작동회전구(50)가 회전하면서 단속레버(60)를 회전시키면 이와 함께 푸시레버(130)를 함께 회전시키게 되므로 푸시레버(130)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구속바(110)를 후퇴시키게 되는 것이고, 구속바(110)가 후퇴 슬라이딩되면 상기 전환작동구(90)의 제1계지홈(91)으로부터 구속바(110)가 이탈되므로 상기 래칫볼트(20)는 회전 및 유동이 가능한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실내방향으로 밀거나 잡아당기면 상기 래칫볼트(20)의 제1경사면(25)은 문들과 간섭하면서 1차적으로 회전이 일어나게 될 것이고, 회전과 동시에 문틀과의 간섭으로 인해 래칫수용부(201) 내측으로 함몰되면서 상기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의 도어를 실내측으로부터 실외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 래칫볼트(20)의 경사면이 문틀과 간섭 또는 면접되지 않아 래칫볼트(20)의 회전이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반대방향으로의 개폐는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어의 개방 과정에서 회전되는 래칫볼트(20)는 제1계지홈(91)의 위치가 달라지게 되므로 구속바(110)가 전진하더라도 제1계지홈(91)으로 끼워지지 못하고 곡면부(94)에만 밀착되므로 래칫볼트(20)의 회전을 구속할 수 없어 도어의 닫힘시 도어 레버 등을 회전시키지 않아도 상기 래칫볼트(20)가 문틀과의 간섭으로 인해 다시 역회전하면서 자연스럽게 초기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래칫볼트(20)가 역회전되면 다시 제1계지홈(91)과 구속바(110)가 일치하므로 구속바(110)의 전진 및 제1계지홈(91)으로 삽입되어 상기 래칫볼트(20)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의 도어에 대한 개폐방향을 전환하여 실내측으로부터 실외측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바꾸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0의 도시와 같이 먼저 도어 레버 등을 회전시켜 상기 단속레버(60) 및 푸시레버(130)가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푸시레버(130)에 의해 구속바(110)가 후퇴되도록 한다.
이어, 상기 구속바(110)의 후퇴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커버(210)의 작업공(211)을 통해 전환작동구(90)의 조정홈(93)으로 드라이버 등을 삽입하여 상기 전환작동구(90)가 안치홈(21)의 하측으로 강제 이동되도록 하고 이동된 전환작동구(90)는 스토퍼(92) 및 멈춤볼(24)의 간섭으로 인해 이동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 전환작동구(90)의 이동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래칫볼트(20)를 상향 회전시켜 제2경사면(26)이 수평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한 후, 상기 도어 레버의 회전력을 제거하면 후퇴하고 있던 구속바(110)는 도 11 및 도 12의 도시와 같이 복귀스프링(120)의 반력에 의해 다시 전진하게 될 것이고, 전진하는 구속바(110)의 끝단은 이동된 전환작동구(90)에 형성된 제2계지홈(91')으로 삽입되어 래칫볼트(20)의 회전을 구속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어 레버의 회전 혹은 외부 번호키의 사용으로 인해 구동모터(30)가 작동되도록 하여 상기 단속레버(60) 및 푸시레버(130)가 회전되게 하면 푸시레버(130)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구속바(110)의 후퇴가 일어나게 되고 구속바(110)의 후퇴로 인해 상기의 도어를 실내측으로부터 실외측으로 밀어내면 상기 래칫볼트(20)가 회전 및 내부로 함몰 삽입되면서 도어의 자연스러운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구속바(110)의 끝단이 회전된 전환작동구(90)의 곡면부(94)에 밀착되어 있다가 도어의 닫힘 과정에서 문틀과의 간섭으로 인해 상기 래칫볼트(20)가 역회전되어 문틀 내 잠금구 내에 안착 및 돌출되면 다시 제2계지홈(91')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므로 상기 구속바(110)가 전진하며 제2계지홈(91')으로 삽입되어 상기 래칫볼트(20)의 회전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의 개폐방향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과 같이 도어락 전체를 분해 후 재조립하거나 일부의 부속을 분해 후 재조립할 없이 커버(201)의 작업공(211)을 통해 내부 전환작동구(90)에 대한 이동 및 외부로 돌출된 래칫볼트(20) 만을 회전시키면 도어의 개폐방향 전환에 따라 디지털 도어락 역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의 공장 초기 출고 상태에서 일정한 개폐방향을 갖도록 제품이 일괄적으로 출고되면 설치자는 도어의 개폐 방향을 확인한 후 방향이 서로 맞지않은 경우 구속바(110)의 강제 후퇴 후 전환작동구(90)의 이동 및 래칫볼트(20)의 회전을 통해 디지털 도어락의 개폐 작동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은 도어의 개폐방향과 관계없이 자유롭게 전환사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 개폐 방향의 전환이 빠르고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비전문가 혹은 비숙련자라 할지라도 능히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여 매우 효율적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데드볼트
20 : 래칫볼트 21 : 안치홈
22 : 스프링삽입홈 23 : 멈춤스프링
24 : 멈춤볼 25 : 제1경사면
26 : 제2경사면
30 : 구동모터
40 : 실내측회전구
50 : 작동회전구
60 : 작동레버
70 : 실외측회전구
80 : 탄발스프링
90 : 전환작동구 91,91' : 계지홈
92 : 스토퍼 93 : 조정홈
94 : 곡면부
100 : 회전가이더 101 : 곡면홈
110 : 구속바 111 : 걸림턱
120 : 복귀스프링
130 : 푸시레버
200 : 본체 201 : 래칫수용부
210 : 커버 211 : 작업공

Claims (4)

  1. 커버(210)를 갖는 모티스 본체(200) 내에 본체(200)의 일측으로 출몰되는 데드볼트(10)와 래칫볼트(20)가 삽입되고, 상기 데드볼트(10)는 본체(200) 내부의 구동모터(30)에 의해 출몰하며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래칫볼트(20)는 도어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본체(200)에 내장된 실내측회전구(40)와 작동회전구(50) 및 단속레버(60)와 실외측회전구(70)의 회전에 의해 출몰되며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래칫볼트(20)는 일측에 안치홈(21)을 형성하고 상기 안치홈(21)의 내부에는 별도로 구비된 전환작동구(90)를 삽입 형성하며, 상기 전환작동구(90)의 일측에는 회전가이더(100)를 밀착 형성하여 상기 회전가이더(100)와 래칫수용부(201)의 사이에 탄발스프링(80)이 계지되게 하며, 상기 본체(200)의 내부에는 상기 래칫수용부(201)와 회전가이더(100)를 관통하여 상기 전환작동구(90)에 결합되게 한 구속바(110)를 안치 형성하되, 상기 구속바(110)는 중간부에 걸림턱(111)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111)과 본체(200) 사이에 계지된 복귀스프링(120)에 의해 래칫볼트(20)를 향하여 탄발력을 갖게 하고, 상기 단속레버(60)와 구속바(110)의 사이에는 단속레버(60)의 회전에 따라 구속바(110)를 슬라이딩시키는 푸시레버(130)를 결합하며, 상기 전환작동구(90)에는 위치를 서로 달리하는 제1 및 제2 계지홈(91)(91')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단속레버(60)와 푸시레버(130)의 회전에 의한 구속바(110)의 후퇴 및 복귀스프링(120)에 의해 전진하는 구속바(110)에 대한 제1,2 계지홈(91)(91')과의 결합 위치에 따라 래칫볼트(20)에 의한 도어 개폐방향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방향에 따른 간편 전환구조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락.
  2. 제 1항에 있어서,
    래칫볼트(20)의 안치홈(21) 내측에는 스프링삽입홈(22)을 형성하여 멈춤스프링(23) 및 멈춤볼(24)을 삽입 형성하고, 상기 전환작동구(90)의 일측에는 상기 멈춤볼(24)과 간섭되는 스토퍼(92)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멈춤볼(24)과 스토퍼(92)의 간섭에 의해 상기 전환작동구(90)가 레칫볼트(20)의 안치홈(21) 일측 혹은 타측에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방향에 따른 간편 전환구조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락.
  3. 제 1항에 있어서,
    전환작동구(90)에는 조정홈(93)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210)에는 상기 조정홈(93)과 대응하는 작업공(211)을 형성하여, 상기 작업공(211)을 통해 조정홈(93)으로 삽입된 작업공구에 의해 상기 전환작동구(90)를 래칫볼트(20)의 안치홈(21) 내에서 유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방향에 따른 간편 전환구조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락.
  4. 제 1항에 있어서,
    래칫볼트(20)는 일측이 제1경사면(25)과 제2경사면(26)에 의해 뾰족한 형태로 구성되고, 타측의 안치홈(21)으로 삽입된 전환작동구(90)는 외측을 곡면부(94)로 형성하며, 상기 전환작동구(90)와 밀착되는 회전가이더(100)의 일측은 상기 곡면부(94)와 대응하는 곡면홈(101)으로 구성하여, 상기 래칫볼트(20) 및 전환작동구(90)가 상기 회전가이더(100)의 곡면홈(101)을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방향에 따른 간편 전환구조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락.
KR1020160132738A 2016-10-13 2016-10-13 개폐방향에 따른 간편 전환구조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락 KR101765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738A KR101765329B1 (ko) 2016-10-13 2016-10-13 개폐방향에 따른 간편 전환구조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738A KR101765329B1 (ko) 2016-10-13 2016-10-13 개폐방향에 따른 간편 전환구조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5329B1 true KR101765329B1 (ko) 2017-08-04

Family

ID=59654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738A KR101765329B1 (ko) 2016-10-13 2016-10-13 개폐방향에 따른 간편 전환구조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3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007B1 (ko) * 2018-08-21 2019-05-24 전병화 개선된 구조의 래치유닛을 갖는 실내 도어용 푸쉬풀 도어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8165A (ja) 2004-10-20 2006-05-11 Hinaka Seisakusho:Kk ラッチ錠
KR101598958B1 (ko) 2015-01-12 2016-03-02 (주)혜강씨큐리티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8165A (ja) 2004-10-20 2006-05-11 Hinaka Seisakusho:Kk ラッチ錠
KR101598958B1 (ko) 2015-01-12 2016-03-02 (주)혜강씨큐리티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007B1 (ko) * 2018-08-21 2019-05-24 전병화 개선된 구조의 래치유닛을 갖는 실내 도어용 푸쉬풀 도어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89987A1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push/pull handles
US9890564B2 (en) Interconnected lock with direct drive for adjustable deadbolt to latchbolt spacing
KR200475874Y1 (ko)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KR101968278B1 (ko)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JP2016035186A (ja) 押し引きモーチスロック
CN205025208U (zh) 通道锁体及通道锁
US8556304B2 (en) Multi point door lock assembly
KR101765329B1 (ko) 개폐방향에 따른 간편 전환구조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락
US9003841B2 (en) Lever type handle and lock assembly for the same
KR101777640B1 (ko) 개선된 내부구조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KR101735752B1 (ko) 개폐방향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
KR101878461B1 (ko) 패닉 기능을 구비한 모티스의 핸들 샤프트 연결 구조
KR200456973Y1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JP2008179997A (ja) 反転ラッチ式電気錠
KR101767495B1 (ko) 양방향 열림 동작이 가능한 안티패닉 모티스락
KR101887640B1 (ko)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KR101037203B1 (ko) 개폐 기능이 개선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20140137929A (ko)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도어락의 회전 조립체
KR101480507B1 (ko) 도어락 모티스
KR100706762B1 (ko)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KR100875296B1 (ko) 모티스 락용 래치 볼트 및 이를 구비한 모티스 락
KR101719956B1 (ko) 도어락용 모티스
KR101633752B1 (ko) 도어록
WO2015126163A1 (ko) 데드볼트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락 모티스
US20180347243A1 (en) Double door latch and lock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