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6762B1 -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 Google Patents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6762B1
KR100706762B1 KR1020060073824A KR20060073824A KR100706762B1 KR 100706762 B1 KR100706762 B1 KR 100706762B1 KR 1020060073824 A KR1020060073824 A KR 1020060073824A KR 20060073824 A KR20060073824 A KR 20060073824A KR 100706762 B1 KR100706762 B1 KR 100706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bolt
fixing
door
lim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동
이상한
Original Assignee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3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07Securing, deadlocking or "dogg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은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출몰되어 상기 도어의 잠금 및 걸림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볼트와, 상기 멀티볼트를 출몰시키는 제1,2멀티레버와, 상기 멀티볼트가 도어잠금 및 걸림 기능에 따라 돌출길이를 제한하는 제한부재 및, 상기 멀티볼트가 상기 도어의 잠금 기능을 수행할 경우 상기 멀티볼트를 고정시키는 볼트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데드볼트, 래치볼트, 모티스 락, 도어 락

Description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MORTISE LOCK HAVING MULTI FUNCTION BOLT}
도 1은 종래의 모티스 락을 보인 내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실내측 핸들의 회동에 따른 작용을 보인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실내측 핸들의 회동에 따른 작용을 보인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외측 핸들의 회동에 따른 작용을 보인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모티스 락 10: 하우징
20: 멀티볼트 30: 제1멀티레버
40: 제2멀티레버 50: 제한부재
60: 볼트고정부재 70: 레버고정수단
본 발명은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에 따라 출몰길이를 제어하여 데드볼트 기능과 래치볼트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측에서는 핸들의 작동만으로 해정되면서 실외측에서 별도의 해정과정을 필요케 하여 편의성 및 보안성을 향상시킨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티스 락이란 주로 각종 건물의 도어에 내부에 설치되어 실외에서 실내 또는 실내에서 실외로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모티스 락은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1)이 마련되고, 실내측 핸들(미도시) 또는 실외측 핸들(미도시)에 의해 도어의 잠금과 잠금 해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래치볼트(4)와 별도의 키 또는 버튼에 의해 잠금과 잠금 해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데드볼트(2)로 구성된다.
여기서 래치볼트(4)는 래치볼트(4)를 회동에 의해 도어가 문틀에 걸림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출몰시키는 래치레버(5)가 마련되고, 래치레버(5)는 실내측 핸들과 실외측 핸들이 결합되어 실내측 핸들과 실외측 핸들 중에 어느 하나가 회동되면 래치레버(5)는 걸림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그리고 래치볼트(4)와는 별도로 동작하는 데드볼트(2)에는 데드볼트(2)를 회 동에 의해 도어에서 출몰시키는 데드레버(3)가 구비되며, 잠금과 잠금 해제할 경우에는 키(KEY)를 삽입하여 회동한다거나 및 버튼 등을 누른다거나 하는 등의 특정한 동작을 취해야 한다.
그런데 실내측에서 보안을 위해서는 데드볼트(2)를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해 데드레버(3)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키를 삽입하여 회동한다거나 버튼을 누른다던가 하는 동작을 취해야 하므로 잠금 및 잠금 해제가 매우 번거롭게 되고 더 나아가 화재나 가스누출 및 정전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되어 비상 탈출할 경우에는 비상탈출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데드볼트(2)와 래치볼트(4)를 각각 구성함으로서 제조공수가 많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제조단가가 향상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도어의 열림과 닫힘 상태에 따라 도어의 데드볼트의 잠금 기능과 래치볼트의 걸림 기능을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도어의 닫힘 상태가 됨과 동시에 잠금 기능을 수행하고, 실내측 핸들의 작동만으로도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도어가 열릴 수 있도록 편의성이 향상된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외측에서는 별도의 해정작업을 수행하여야만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킨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 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은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출몰되어 상기 도어의 잠금 및 걸림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볼트와, 상기 멀티볼트를 출몰시키는 제1,2멀티레버와, 상기 멀티볼트가 도어잠금 및 걸림 기능에 따라 돌출길이를 제한하는 제한부재 및, 상기 멀티볼트가 상기 도어의 잠금 기능을 수행할 경우 상기 멀티볼트를 고정시키는 볼트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한부재는 상기 도어가 열림 상태일 경우 상기 멀티볼트가 걸림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돌출길이를 제한하며, 상기 도어가 닫힘 상태일 경우 상기 멀티볼트가 잠금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돌출길이 제한을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한부재는 상기 멀티볼트의 돌출길이를 제한하는 제한레버와, 상기 도어의 열림과 닫힘에 따라 출몰되어 상기 제한레버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가 돌출될 수 있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한레버에는 일단에 마련되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와, 타단에 상기 멀티볼트의 출몰길이를 제한하는 제한부 및, 중앙에서 직각으로 돌출되며, 상기 작동부재의 출몰에 따라 작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작동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제한레버의 작동돌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작동 홈과, 상기 도어의 열림과 닫힘에 따라 상기 도어에서 출몰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멀티볼트는 상기 제한레버에 걸려 출몰 길이가 제한될 수 있도록 제한돌기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볼트고정부재는 상기 제2멀티레버에 작동에 의해서 상기 멀티레버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볼트고정부재는 상기 멀티볼트의 출몰경로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멀티볼트를 잠금 기능을 위해 돌출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볼트고정레버와, 상기 볼트고정레버가 상기 멀티볼트를 고정시킬 수 있게 고정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 및, 상기 고정레버의 고정상태를 제2멀티레버에 의해 해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해제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해제레버는 상기 제2멀티레버에 의해 상기 멀티볼트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걸림돌기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멀티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제1멀티레버를 잠김 상태로 고정하고, 키(KEY) 또는 버튼에 의해 잠김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레버고정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레버고정수단은 상기 제1멀티레버가 회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고정하는 레버고정부재와, 상기 레버고정부재를 키(KEY) 또는 버튼에 의해 작동시켜 제1멀티레버의 고정을 해제하는 작동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멀티레버는 상기 레버고정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제1멀티레버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외주에 고정단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또한, 상기 제1멀티레버는 상기 볼트고정부재의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해제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해제돌기의 회동력를 상기 볼트고정부재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전달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2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은 도어에 설치된다. 여기서 도어에는 모티스 락(1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 홈이 마련된다.
모티스 락(100)은 도어(미 도시)에 설치되는 하우징(10)과, 잠금 및 걸림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볼트(20)와, 멀티볼트(20)를 출몰시키는 제1멀티레버(30) 및 제2멀티레버(40)와, 멀티볼트(20)의 출몰을 제한하는 제한부재(50)와, 멀티볼트(20)가 도어 잠금 기능 수행시 돌출된 상태에서 출몰을 고정시키는 볼트고정부재(6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10)은 도어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브래킷(13)이 마련되며, 멀티볼트(20)가 브래킷(13) 방향으로 출몰될 수 있도록 브래킷(13)을 관통하는 제1출입 홀(11)과, 제1출입 홀(11)의 하부에 마련되어 도어가 열림과 닫힘에 따라 제한부재(50)가 출몰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출입 홀(12)로 구성된다.
그리고 멀티볼트(20)는 제1출입 홀(11)을 통해 출몰하는 노출부(25)와, 상기 노출부(25)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견고하게 고정 결합하여서 일체화 되는 제1슬라이딩부와 제2슬라이딩부(22)로 구성된다.
여기서 노출부(25)는 일측은 라운드지거나 경사지게 마련되고, 타측은 수직하게 마련된다. 그리고 제1슬라이딩부와 제2슬라이딩부(22)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연장하여서 마련되며, 단부에 제1멀티레버(30)와 제2멀티레버(40) 중에 어느 하나가 회동하면 멀티볼트(20)가 슬라이드 작동될 수 있도록 제1걸림부(23)와 제2걸림부(24)가 마련된다.
즉, 하부 전방에 위치하는 제1슬라이딩부의 단부에는 제1걸림부(23)가 제1멀티레버(30)에 걸리게 마련되며, 상부 후방에 위치하는 제2슬라이딩부(22)의 단부에는 제2걸림부(24)가 제2멀티레버(40)에 걸리게 마련된다.
따라서 제1멀티레버(30)와 제2멀티레버(40) 중에 어느 하나가 회동하게 되면 그에 해당하는 제1걸림부(23)와 제2걸림부(24) 중에 하나가 걸려 슬라이드 작동되면서 멀티볼트(20)가 제1출입 홀(11)을 출몰하게 된다.
이때 멀티볼트(20)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 을 갖는 제5탄성부재(28)가 마련되며, 제5탄성부재(28)의 일단은 제1슬라이딩부와 제2슬라이딩부(22) 사이의 노출부(25) 측벽에 지지되고, 타단은 하우징(10)에 형성된 지지대(14)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제5탄성부재(28)는 압축탄성을 갖는 스프링이며 바람직하게는 압축스프링이 적용된다.
상기 제1멀티레버(30)는 일단이 실외측 핸들(미도시)과 결합되면서 실외측에서 제어될 수 있도록 하우징(10)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걸림부(23)를 걸어 멀티볼트(20)의 출몰을 작동시킨다.
그리고 제1멀티레버(30)에 의해 멀티볼트(20)를 하우징(10) 내부에 수용시킨 후 실외측 핸들을 놓을 경우 제1멀티레버(30)를 원위치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제3탄성부재(34)가 마련되고, 제3탄성부재(34)에 의해 제1멀티레버(30)가 제1걸림부(23)에서 걸림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면서 멀티볼트(20)의 최대 돌출길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제1멀티레버(30)의 중앙부분은 하우징(10)의 지지부에 지지된다. 여기서 제3탄성부재(34)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멀티레버(40)는 일단이 실내측 핸들(미 도시)과 결합되면서 실내측에서 제어될 수 있도록 하우징(10)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제2걸림부(24)를 걸어 멀티볼트(20)의 출몰을 작동시킨다.
그리고 제2멀티레버(40)에 의해 멀티볼트(20)를 하우징(10) 내부에 수용시킨 후 실외측 핸들을 놓을 경우 제2멀티레버(40)를 원위치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제4탄성부재(41)가 마련되고, 제4탄성부재(41)에 의해 제2멀티레버(40)가 제2걸림부(24)에서 걸림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면서 멀티볼트(20)의 최대 돌출길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제2멀티레버(40)의 중앙부분은 하우징(10)의 지지부에 지지된다.
여기서 제4탄성부재(41)는 제3탄성부재(34)와 마찬가지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바람직하며, 제1멀티레버(30)와 제2멀티레버(40)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상호 교차되는 형태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한부재(50)는 멀티볼트(20)의 돌출길이를 제한하다. 이때 제한부재(50)는 도어가 열림 상태일 경우 멀티볼트(20)가 도어의 걸림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돌출길이를 제한하며, 도어가 닫힘 상태일 경우 멀티볼트(20)가 잠금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돌출길이 제한을 해제한다.
즉, 제한부재(50)는 멀티볼트(20)의 돌출길이를 제한하는 제한레버(51)와, 도어의 열림과 닫힘에 따라 출몰되어 제한레버(51)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52) 및, 상기 작동부재(52)가 돌출될 수 있게 일정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53)를 포함한다.
또한, 제한레버(51)가 멀티볼트(20)의 돌출길이 제한을 해제할 경우 기본적으로 해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될 될 수 있게 제6탄성부재(54)가 더 마련되며, 제1탄성부재(53)는 압축스프링이고, 제6탄성부재(54)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적용된다.
여기서 제한레버(51)에는 일단이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회동부(51a)가 마련되며, 타단이 자유단으로 마련하되 멀티볼트(20)를 걸어 출몰길이를 제한하는 제한부(51b)가 마련된다. 그리고 중앙에서 직각으로 돌출되어, 상기 작동부재(52)의 출몰에 따라 작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작동돌기(51c)로 구성된 다.
이때, 제한부(51b)에 걸릴 수 있도록 멀티볼트(20)에는 제한돌기(26)가 마련되어 상기 제한돌기(26)가 제한부(51b)에 걸려 돌출길이가 제한된다.
그리고 작동돌기(51c)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52)는 제한레버(51)의 작동돌기(51c)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작동 홈(52a)과, 도어의 열림과 닫힘에 따라 도어에서 출몰되는 작동부(52b)로 구성된다.
여기서 작동부(52b)는 도어의 열림과 닫힘에 따라 미도시한 문틀과의 접촉으로 출몰하여 작동 홈(52a)에 수용된 작동돌기(51c)를 작동키며, 작동부(52b)가 돌출될 경우 도어가 열림 상태이므로 멀티볼트(20)의 출몰길이를 제한하여 도어의 걸림 기능을 수행하게 하고, 작동부(52b)가 하우징(10) 내부로 수용될 경우 닫힘 상태이므로 멀티볼트(20)의 출몰길이 제한을 해제하여 도어의 잠금 기능을 수행케 한다.
이때 멀티볼트(20)가 걸림 기능을 수행할 경우 제한부재(50)에 의해 제한되므로 10~16mm로 돌출되되 바람직하게는 13mm가 돌출되며, 잠금 기능을 수행할 경우 제한부재(50)의 돌출길이 제한이 해제되므로 17~23mm로 돌출되되 바람직하게는 20mm로 돌출된다. 그리고 돌출길이 제한이 해제된 상태에서 멀티볼트(20)가 잠금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멀티볼트(20)가 돌출되면, 돌출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볼트고정부재(60)가 마련된다.
상기 볼트고정부재(60)는 멀티볼트(20)가 출몰하는 경로상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멀티볼트(20)를 잠금 기능을 위해 돌출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볼트고정레 버(61)가 마련되고, 상기 볼트고정레버(61)의 고정상태를 제2멀티레버(40)에 의해 해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해제레버(62)로 구성된다.
그리고 볼트고정레버(61)가 상기 멀티볼트(20)를 고정시킬 수 있게 고정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63)가 더 포함된다. 따라서 멀티볼트(20)가 돌출길이 제한이 해제되면 제2탄성부재(63)에 의해 볼트고정레버(61)가 작동되어 멀티볼트(20)가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볼트고정레버(61)는 중앙이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이 연장되어서 되는 삽입단(61a)이 마련되고, 타측에는 해제레버(62)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 홈(61b)이 마련된다. 그리고 해제레버(62)는 중앙이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결합 홈(61b)에 삽입되도록 양측으로 연장되는 걸림단(62a)이 마련된다.
이때 볼트고정레버(61)의 삽입단(61a)이 삽입되어 멀티볼트(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멀티볼트(20)에는 삽입 홈(27)이 마련된다. 그리고 해제레버(62)는 제2멀티레버(40)에 의해 상기 멀티볼트(2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걸림돌기(62b)가 포함된다.
따라서 제2멀티레버(40)를 작동시키면 걸림돌기(62b)가 걸려 해제레버(62)가 회동되면서 상기 볼트고정레버(61)의 결합 홈(61b)에 해제레버(62)의 좌측 걸림단(62a)을 삽입된 상태로 회동시킴으로서 볼트고정레버(61)가 회동되어 멀티볼트(20)의 고정을 해제한다.
그리고 실외측 핸들이 결합되는 제1멀티레버(30)의 회동에 의해서도 멀티볼 트(20)의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제1멀티레버(30)의 일측에는 해제돌기(31)가 마련되며, 상기 해제돌기(31)의 회동력이 볼트고정부재(60)의 멀티볼트(20) 고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전달레버(33)가 마련된다.
여기서 전달레버(33)는 중앙이 회동가능하게 하우징(10)에 결합되고, 양측을 연장한 걸림단(33a)이 마련되어 우측 걸림단(33a)은 제1멀티레버(30)의 해제돌기(31)에 걸릴 수 있도록 마련되고, 좌측 걸림단(33a)은 해제레버(62)의 우측 걸림단(62a)에 걸릴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한편, 실외측 핸들이 결합되는 제1멀티레버(30)가 실외측 핸들의 회동에 의해 함께 회동될 경우 볼트고정부재(60)의 멀티볼트(2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도어의 잠김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키(KEY) 또는 버튼의 누름에 의해서만 도어의 잠김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제1멀티레버(30)의 회동을 제한하는 레버고정수단(70)이 마련된다.
여기서 레버고정수단(70)은 제1멀티레버(30)의 외주에 고정단턱(32)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단턱(32)에 삽입되어 제1멀티레버(30)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레버고정부재(71)로 구성된다. 그리고 레버고정부재(71)를 키 또는 버튼의 누름에 의해 작동시키는 작동체(72)가 더 마련된다.
상기 레버고정부재(71)는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하우징(10)에 결합되고, 타단이 고정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키 또는 버튼의 누름에 의해 작동체(72)가 작동되면, 고정단턱(32)에 삽입된 레버고정부재(71)를 제1멀티레버(30)의 고정단턱(32)에서 이격시켜 제1멀티레버(30)가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의 작용을 도 4내지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실내측 핸들의 회동에 따른 작용을 보인 작동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실내측 핸들의 회동에 따른 작용을 보인 작동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외측 핸들의 회동에 따른 작용을 보인 작동상태도이다.
먼저 도 4a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어가 닫힌 상태이므로 작동부재(52)의 작동부(52b)는 하우징(10)에 수용된 상태가 되고, 제한레버(51)는 멀티볼트(20)의 돌출길이 제한이 해제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멀티볼트(20)는 볼트고정부재(60)의 볼트고정레버(61)에 의해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후, 실내측 핸들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측 핸들에 결합된 제2멀티레버(4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제2멀티레버(40)의 단부는 회동하면서 해제레버(62)의 걸림돌기(62b)를 걸어 해제레버(6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해제레버(62)가 회동하면서 좌측 걸림단(62a)이 볼트고정레버(61)에 마련된 결합 홈(61b)에 삽입된 상태로 볼트고정레버(61)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고, 멀티볼트(20)의 삽입 홀에 삽입된 볼트고정부재(60)의 삽입단(61a)이 멀티볼트(20)의 삽입 홀에서 이탈되어 고정이 해제된다.
이후, 제2멀티레버(40)는 계속해서 회동하면서 멀티볼트(20)의 제2슬라이딩 부(22)에 마련된 제2걸림부(24)를 걸어 멀티볼트(20)의 노출부(25)를 하우징(10) 내부로 수용시킨다.
따라서 하우징(10) 내부로 노출부(25)가 수용된 상태가 되면 도어를 여닫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제2멀티레버(40)의 작동과는 별도로 제1멀티레버(30)는 제3탄성부재(34)와 하우징(10)의 지지대(14)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후 도 4b의 상태에서 도어를 열어 도어 열림 상태로 전환하면,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부재(52)의 작동부(52b)가 제1탄성부재(53)부재에 의해 하우징(10) 외부로 돌출되며, 작동부(52b)의 돌출과 함께 작동 홈(52a)이 전진하면서 제한레버(51)의 작동돌기(51c)를 걸어 제한레버(51)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제한레버(51)의 제한부(51b)가 상승하게 되어 멀티볼트(20)의 제한돌기(26)가 걸리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실내측 핸들을 놓을 경우 제2멀티레버(40)와 멀티볼트(20)는 제4탄성부재(41)와 제5탄성부재(28)에 의해 각각 원위치로 복원되지만 멀티볼트(20)는 제한돌기(26)가 제한부(51b)에 걸려 돌출길이가 제한된다. 이때 제한되는 상태에서 돌출되는 길이는 10~16mm이며 바람직하게는 13mm이다.
그리고 멀티볼트(20)의 돌출길이가 제한됨으로서 볼트고정레버(61)의 삽입단(61a)은 멀티볼트(20)의 삽입 홈(27)에서 이탈되어 멀티볼트(20)의 측면에 슬라이딩 되는 상태로 접하게 된다.
이후 실내측 핸들이 결합되는 제2멀티레버(40)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멀티레버(40)의 단부는 회동하면서 해제레버(62)의 걸림돌기(62b)를 걸어 해제레버(6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고, 해제레 버(62)가 회동하면서 좌측 걸림단(62a)이 볼트고정레버(61)에 마련된 결합 홈(61b)에 삽입된 상태로 볼트고정레버(61)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볼트고정레버(61)의 삽입단(61a)이 멀티볼트(20)의 측면에서 이격된다.
이후, 제2멀티레버(40)는 계속해서 회동하면서 멀티볼트(20)의 제2슬라이딩부(22)에 마련된 제2걸림부(24)를 걸어 멀티볼트(20)의 노출부(25)를 하우징(10) 내부로 수용시킨다. 따라서 하우징(10) 내부로 노출부(25)가 수용된 상태가 되면 도어를 여닫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제2멀티레버(40)의 작동과는 별도로 제1멀티레버(30)는 제3탄성부재(34)와 하우징(10)의 지지대(14)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다.
이후 실내측 핸들을 놓을 경우 다시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멀티레버(40)는 원위치로 복귀되지만 멀티볼트(20)의 돌출길이는 제한되어 걸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도어를 닫아 닫음 상태로 전환하게 되면,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닫는 동작에 의해 멀티볼트(20)는 문틀에 의해 제5탄성부재(28)가 극복되면서 하우징(10) 내부로 수용되게 된다. 이때 멀티볼트(20)가 하우징(10) 내부로 수용됨과 동시에 작동부재(52)가 제1탄성부재(53)를 극복하여 하우징(10) 내부로 수용되면서 작동 홈(52a)에 작동돌기(51c)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즉, 제한레버(51)는 제6탄성부재(54) 또는 자중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제한부(51b)가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멀티볼트(20)의 제한돌기(26) 걸림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이후, 도어의 닫음 상태가 완료되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볼트(20)는 제5탄성부재(28)에 의해 돌출되며, 볼트고정부재(60)에 포함된 볼트고정레버(61)의 삽입단(61a)은 제2탄성부재(63)의 복원력에 의해 멀티볼트(20)의 삽입 홈(27)에 삽입되어 멀티볼트(20)를 고정시킨다. 따라서 멀티볼트(20)가 도어의 잠금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실외측 핸들에 결합되는 제1멀티레버(30)는 레버고정수단(70)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므로 회동이 방지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레버고정수단(70)에 의한 제1멀티레버(30)의 고정상태를 키 또는 버튼을 입력하여 해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어의 닫음 상태에서 키 또는 버튼(예를 들면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여 작동체(72)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멀티레버(30)의 고정단턱(32)에 삽입된 레버고정수단(70)의 레버고정부재(71)는 고정단턱(32)에서 이격된다. 따라서 제1멀티레버(30)는 회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작동체(72)는 일정시간이 경과 되거나 고정되도록 버튼 및 키를 조작하게 되면 작동체(72)는 원상태로 복귀되어 제1멀티레버(30)는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때 실외측 핸들을 작동시켜 제1멀티레버(3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멀티레버(30)에 마련된 해제돌기(31)가 함께 회동하고, 해제돌기(31)는 전달레버(33)의 우측 걸림단(33a)을 걸어 전달레버(33)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후, 전달레버(33)는 좌측 걸림단(33a)은 해제레버(62)의 우측 걸림단(62a) 을 걸어 해제레버(6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해제레버(62)의 좌측 걸림단(33a)은 볼트고정레버(61)의 결합 홈(61b)에 삽입된 상태로 걸어 볼트고정레버(61)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볼트고정레버(61)의 삽입단(61a)이 멀티볼트(20)의 삽입 홈(27)에서 이탈되어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가 된다.
이후 제1멀티레버(30)를 회동시키면 단부에 멀티볼트(20)의 제1걸림부(23)가 걸려 멀티볼트(20)가 하우징(10) 내부로 수용되게 된다. 이때 도어는 열리는 것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의 잠금과 걸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본 발명의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은 도어의 열림과 닫힘 상태에 따라 도어의 데드볼트의 잠금 기능과 래치볼트의 걸림 기능을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기능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의 닫힘 상태가 됨과 동시에 잠금 기능을 수행하고, 실내측 핸들 의 작동만으로도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도어가 열릴 수 있도록 함으로서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외측에서는 별도의 해정작업을 수행하여야만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하여 보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출몰되어 상기 도어의 잠금 및 걸림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볼트;
    상기 멀티볼트를 출몰시키는 제1,2멀티레버;
    상기 멀티볼트가 도어잠금 및 걸림 기능에 따라 돌출길이를 제한하는 제한부재 및,
    상기 멀티볼트가 상기 도어의 잠금 기능을 수행할 경우 상기 멀티볼트를 고정시키는 볼트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재는
    상기 도어가 열림 상태일 경우 상기 멀티볼트가 걸림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돌출길이를 제한하며,
    상기 도어가 닫힘 상태일 경우 상기 멀티볼트가 잠금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돌출길이 제한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재는
    상기 멀티볼트의 돌출길이를 제한하는 제한레버;
    상기 도어의 열림과 닫힘에 따라 출몰되어 상기 제한레버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가 돌출될 수 있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레버에는
    일단에 마련되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
    타단에 상기 멀티볼트의 출몰길이를 제한하는 제한부; 및,
    중앙에서 직각으로 돌출되며, 상기 작동부재의 출몰에 따라 작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작동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제한레버의 작동돌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작동 홈;
    상기 도어의 열림과 닫힘에 따라 상기 도어에서 출몰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볼트는
    상기 제한레버에 걸려 출몰 길이가 제한될 수 있도록 제한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고정부재는
    상기 제2멀티레버에 작동에 의해서 상기 멀티레버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고정부재는
    상기 멀티볼트의 출몰경로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멀티볼트를 잠금 기능을 위해 돌출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볼트고정레버;
    상기 볼트고정레버가 상기 멀티볼트를 고정시킬 수 있게 고정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 및,
    상기 고정레버의 고정상태를 제2멀티레버에 의해 해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해제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레버는 상기 제2멀티레버에 의해 상기 멀티볼트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걸림돌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멀티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제1멀티레버를 잠김 상태로 고정하고, 키(KEY) 또는 버튼에 의해 잠김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레버고정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고정수단은
    상기 제1멀티레버가 회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고정하는 레버고정부재;
    상기 레버고정부재를 키(KEY) 또는 버튼에 의해 작동시켜 제1멀티레버의 고정을 해제하는 작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멀티레버는 상기 레버고정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제1멀티레버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외주에 고정단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멀티레버는 상기 볼트고정부재의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해제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해제돌기의 회동력를 상기 볼트고정부재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고정단턱(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KR1020060073824A 2006-08-04 2006-08-04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KR100706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824A KR100706762B1 (ko) 2006-08-04 2006-08-04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824A KR100706762B1 (ko) 2006-08-04 2006-08-04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6762B1 true KR100706762B1 (ko) 2007-04-13

Family

ID=38161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824A KR100706762B1 (ko) 2006-08-04 2006-08-04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67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503B1 (ko) 2007-12-03 2009-10-20 블루솔텍(주) 도어락 장치의 백셋
KR101985412B1 (ko) * 2018-09-21 2019-06-03 스마트이락 주식회사 다목적 도어락 시스템
KR102220133B1 (ko) * 2019-11-13 2021-02-25 패스테크 주식회사 락커락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383A (ja) * 1994-06-24 1996-01-09 Miwa Lock Co Ltd 電気錠
KR20020062411A (ko) * 2001-01-20 2002-07-26 김종수 레버형 도어록
KR200334269Y1 (ko) 2003-08-14 2003-11-21 주식회사 엔젤금속 도어록의 래치 앗세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383A (ja) * 1994-06-24 1996-01-09 Miwa Lock Co Ltd 電気錠
KR20020062411A (ko) * 2001-01-20 2002-07-26 김종수 레버형 도어록
KR200334269Y1 (ko) 2003-08-14 2003-11-21 주식회사 엔젤금속 도어록의 래치 앗세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503B1 (ko) 2007-12-03 2009-10-20 블루솔텍(주) 도어락 장치의 백셋
KR101985412B1 (ko) * 2018-09-21 2019-06-03 스마트이락 주식회사 다목적 도어락 시스템
KR102220133B1 (ko) * 2019-11-13 2021-02-25 패스테크 주식회사 락커락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99865B (zh) 具有止动闩锁的闩锁装置
US6813915B2 (en) Door lock
KR100873401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모티스
JP2009500544A (ja) 入り口バリアのための保安システム
KR101012497B1 (ko) 창문 자동잠금장치
KR20160000788A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KR101822760B1 (ko) 푸시풀 도어락
KR20140148049A (ko)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KR100706762B1 (ko)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KR101990918B1 (ko) 슬라이드형 연동도어 모티스
US9003841B2 (en) Lever type handle and lock assembly for the same
KR200456588Y1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JP4205081B2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KR101598958B1 (ko)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KR100674684B1 (ko) 이중잠금 자동해제기능을 갖는 전자도어락
US20080105010A1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a cam associated with a handle to transmit movements to a latch operating spindle
JP4426477B2 (ja) 開放支援機構付き鎌錠および建具
TWI663316B (zh) 基於單次控制之鎖栓長距傳動之鎖閘結構
KR100544963B1 (ko) 도어락 장치의 백셋
KR101777640B1 (ko) 개선된 내부구조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KR200449153Y1 (ko) 창호용 겸용 잠금장치
KR200433927Y1 (ko)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KR101735752B1 (ko) 개폐방향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
KR101968440B1 (ko) 3점 고정구조를 갖는 방화문용 도어락
RU2186184C2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й замок для дверей жилых дом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