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2503B1 - 도어락 장치의 백셋 - Google Patents

도어락 장치의 백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2503B1
KR100922503B1 KR1020070124461A KR20070124461A KR100922503B1 KR 100922503 B1 KR100922503 B1 KR 100922503B1 KR 1020070124461 A KR1020070124461 A KR 1020070124461A KR 20070124461 A KR20070124461 A KR 20070124461A KR 100922503 B1 KR100922503 B1 KR 100922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ad bolt
door
backset
lock device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7750A (ko
Inventor
김세진
Original Assignee
블루솔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솔텍(주) filed Critical 블루솔텍(주)
Priority to KR1020070124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2503B1/ko
Publication of KR20090057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7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17Locks with sliding bolt without provision for lat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락 장치의 백셋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락 장치의 백셋은, 백셋 내측의 해제위치와 외측의 록킹위치 사이를 운동하는 데드볼트, 데드볼트를 록킹위치 방향으로 미는 제1탄성부재, 백셋 내측의 데드볼트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도어의 록킹상태에서 백셋의 내벽에 걸림으로서 데드볼트를 록킹위치에 고정시키는 데드볼트 지지대, 도어의 열림 상태에서, 일측은 도어프레임에 형성된 스트라이커를 센싱하되 데드볼트보다 먼저 스트라이커를 센싱하기 위해 백셋의 외부로 돌출되고, 타측은 데드볼트 지지대를 지지하여 록킹위치로 향하는 데드볼트를 록킹위치에 미치지 못하도록 하고, 도어의 록킹상태에서의 타측은 데드볼트 지지대와 접촉이 해제되는 도어 센싱캠 및 도어 센싱캠의 일측을 백셋의 외측으로 미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도어락, 백셋, 데드볼트, 도어 센싱캠

Description

도어락 장치의 백셋{BACKSET USED FOR DOOR LOCK}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의 백셋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락 장치의 백셋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도어락 장치는 도어(door)에 장착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도어를 도어프레임(doorframe, 문틀)에 고정시키거나, 도어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보안용 장치이다. 이러한 도어락 장치는 크게 실내측에 설치되는 내부 케이스, 실외측에 설치되는 외부 케이스 및 내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백셋(backset)으로 구성된다.
내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는 백셋의 동작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며, 보통 전기적 장치와 기구적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백셋에는 전기적 장치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에 반응하여 물리적인 힘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기(예를 들면, 모터 등)와, 기구적 장치에 반응하는 연동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연동수단은 데드볼트(도어를 잠그는 빗장, dead bolt)를 포함하는데, 데드볼트는 내부 및 외부 케이스에 설치된 내부 핸들과 외부 핸들(기구적 장치 중 하나)에 의해 동작하여 도어프레임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거나 해방된다. 그런데, 백셋은 보안용 장치로서의 역할 을 위해 설정된 조건(비밀번호 입력, 키(key) 입력 등)을 만족하지 않을 때에 지속적으로 데드볼트가 도어프레임의 홈에 고정되는 상태(이하 이를 '록킹(locking)상태'라 한다)를 유지시키는 기능과,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때 데드볼트를 도어프레임의 홈에서 고정되지 않게 하는 상태(이하 이를 '잠김 해제상태'라 한다)가 되도록 하는 기능을 만족하여야 한다. 여기서, 록킹상태는 외부 핸들을 조작하여도 데드볼트가 움직이지 않으며, 잠김 해제상태는 내부 및 외부 핸들의 조작에 따라 데드볼트가 움직이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도어락 장치의 백셋은 데드볼트, 래치볼트(도어를 닫았을 때,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빗장, latch bolt) 및 오토락 버튼(도어프레임에 형성된 스트라이커를 감지하는 버튼, auto lock button)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백셋 내에 많은 부품이 들어가게 되고, 백셋의 내부 구조를 복잡하게 한다. 그리고 수많은 작업 공수를 필요로 한다. 또한, 부품수가 많아 사후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의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통합된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한국특허등록 10-0530698)"장치가 있으나, 이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은 데드볼트가 "록킹상태에서 데드볼트가 20mm 이상 백셋 외부로 나와 있어야 한다."는 KS규격을 만족하지 못한다. 즉, 데드볼트의 길이가 짧은 만큼 보안성이 취약하여 도어와 도어프레임을 강제로 쉽게 변형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설사, 데드볼트의 길이만을 KS규격에 맞추어 형성하더라도, 표준 문짝 규격에서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사이 간격이 KS 규격인 4mm로 좁기 때문에, 데드볼트가 스트라이커에 걸려 래치볼 트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데드 볼트와 레치 볼트의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도어락 장치의 백셋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데드볼트의 단면적을 늘림으로써, 도어락의 파괴 강도를 높일 수 있는 도어락 장치의 백셋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준 문짝 규격 내에서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의 간격에 구애받지 않는 도어락 장치의 백셋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락 장치의 백셋은, 상기 백셋 내측의 해제위치와 외측의 록킹위치 사이를 운동하는 데드볼트,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록킹위치 방향으로 미는 제1탄성부재, 상기 백셋 내측의 상기 데드볼트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록킹상태에서 상기 백셋의 내벽에 걸림으로서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록킹위치에 고정시키는 데드볼트 지지대, 상기 도어의 열림 상태에서, 일측은 도어프레임에 형성된 스트라이커를 센싱하되 상기 데드볼트보다 먼저 상기 스트라이커를 센싱하기 위해 상기 백셋의 외부로 돌출되고, 타측은 상기 데드볼트 지지대를 지지하여 상기 록킹위치로 향하는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록킹위치에 미치지 못하도록 하고, 상기 도어의 록킹상태에서의 상기 타측은 상기 데드볼트 지지대와 접촉이 해제되는 도어 센싱캠 및 상기 도어 센싱캠의 회전축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 센싱캠의 일측을 상기 백셋의 외측으로 미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단이 상기 백셋 내의 상기 데드볼트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데드볼트와 함께 연동하는 데드볼트 플레이트, 상기 데드볼트 플레이트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위치에서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백셋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데드볼트 스토퍼 및 상기 데드볼트 스토퍼를 상기 데드볼트가 움직이는 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데드볼트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데드 캠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 또는 압축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도어의 록킹상태에서, 상기 도어 센싱캠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데드 볼트와 레치 볼트의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도어락 장치의 백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데드볼트의 단면적을 늘림으로써, 도어락의 파괴 강도를 높일 수 있는 도어락 장치의 백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준 문짝 규격 내에서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의 간격에 구애받지 않는 도어락 장치의 백셋을 제공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백셋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백셋의 잠김 해제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백셋의 록킹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백셋은, 데드볼트(11), 제1탄성부재(13), 데드볼트 지지대(12), 도어 센싱캠(14) 및 도어 제2탄성부재(15)를 포함한다.
데드볼트(11)는 백셋(10) 내측의 해제위치(A)와 외측의 록킹위치(B) 사이를 운동한다. 이러한 데드볼트(11)는 도어를 록킹하는 빗장이다. 즉, 도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드볼트(11)가 도어프레임에 장착된 스트라이커(31)의 홈으로 진입하여 록킹위치(B)까지 다다르면, 도어와 도어프레임은 데드볼트(11)에 의해 고정되어 록킹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1에서 해제위치(A)는 퍼스트 플레이트(25)의 일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해제위치(A)는 세컨드 플레이트(27) 또는 백셋의 내측으로 더 들어가 형성될 수 있다. 퍼스트 플레이트(25)와 세컨드 플레이트(27)에는 데드볼트(11)와 도어 센싱캠(14)이 출몰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제1탄성부재(13)는 데드볼트(11)를 록킹위치(B) 방향으로 민다. 이러한 제1탄성부재(13)를 도1 및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해도 무방하다. 제1탄성부재(13, 이하 '데드 볼트 토션 스프링'이라 한다.)는 백셋(10)의 베이스(33)에 고정 형성된 베이스 콜라(collar, 16a)에 고정 형성된다. 데드볼트 토션스프링(13)의 일단은 백셋(10)의 커버부재(29)에 지지되고, 타측은 데드볼트(11)를 록킹위치(B) 방향으로 민다.
데드볼트 지지대(12)는 백셋(10) 내측의 데드볼트(11)의 일면에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데드볼트 지지대(12)는 도어의 록킹상태에서 백셋(10)의 내벽, 즉 세컨드 플레이트(27)에 걸림으로서 데드볼트(11)를 록킹위치(B)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데드볼트 지지대(12)는 데드볼트(11)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어 데드볼트(11)에 부착되거나, 데드볼트(11)와 데드볼트 지지대(12)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어 센싱캠(14)은 도어의 열림상태에서, 일측은 도어프레임에 형성된 스트라이커(31)를 센싱하되, 데드볼트(11)보다 먼저 스트라이커(31)를 센싱하기 위해 백셋(10)의 외부로 돌출된다. 타측은 데드볼트 지지대(12)를 지지하여 록킹위치(B)로 향하는 데드볼트(11)를 록킹위치(B)에 미치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어의 록킹상태에서의 타측은 데드볼트 지지대(12)와 접촉이 해제된다. 또한, 도어 센싱캠(14)은 백셋(10) 내측에 형성된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의 도3 내지 도7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2탄성부재(15)는 도어 센싱캠(14)의 일측을 백셋(10)의 외측으로 민다. 제2탄성부재(15)도 제1탄성부재(13)와 마찬가지로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 뿐만 아니라 압축 스프링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2탄성부재(15)를 도어 센싱캠 토션 스프링으로 대체하도록 한다.
이하, 도3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백셋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3 내지 도7은 도2에서의 C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3은 도어의 록킹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면이고, 도4는 도어의 잠김 해제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면이고, 도5는 도어의 열림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면이고, 도6은 도어가 닫히는 상태 1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면이고, 도7은 도어가 닫히는 상태 2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면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상태에서의 데드볼트(11)는 도어프레임에 형성된 스트라이커(31)의 홈을 관통하여 록킹위치(B)까지 진입되어 있다. 이러한 진입은 데드볼트 토션스프링(13)에 의한 탄성에 의해 이루어진다. 데드볼트 지지대(12)에 의해, 데드볼트(11)의 끝단을 록킹위치(B)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데드볼트 지지대(12)가 백셋의 외벽인, 세컨드 플레이트(27)에 걸림으로써, 데드볼트(11)의 끝단을 록킹위치(B)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떠한 조작, 예를 들면, 백셋으로의 전기신호 또는 핸들의 조작에 의한 잠김 해제상태에서, 데드볼트(11)는 스트라이커(31)로부터 자유로워져 도어가 스트라이커(31)가 포함된 도어프레임에서 이탈될 수 있다. 이 때 도어 센싱캠(14)은 도어 센싱캠 토션스프링(15)에 의해 일단이 백셋의 외측으로 회전하여 돌출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셋에 어떠한 조작도 없는 도어의 열림상태에서, 데드볼트(11)는 데드볼트 토션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다시 백셋의 외측으로 튀어나 온다. 하지만, 데드볼트(11)의 일면에 형성된 데드볼트 지지대가(12)가 도어 센싱캠(14)의 타측에 걸리기 때문에 데드볼트(11)는 백셋 외측의 록킹위치(B)에 미치지 못한다. 즉, 록킹상태에서의 록킹위치(B)와 열림상태에서의 데드볼트의 위치의 차이는 D1만큼 차이가 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닫히는 상태 1은, 도어 센싱캠(14)이 데드볼트(11)보다 먼저 스트라이커(31)를 센싱한다. 스트라이커(31)를 센싱한 도어 센싱캠(14)은 회전축(R1)을 기준으로 백셋의 내측으로 회전한다. 도어 센싱캠(14)의 회전과 함께, 도어 센싱캠(14)은 데드볼트 지지대(12)를 백셋의 내측으로 밀고, 데드볼트 지지대(12)와 연동하는 데드볼트(11)를 백셋의 내측으로 민다. 이와 같이, 데드볼트(11)가 스트라이커(31)에 걸리기 전에 도어 센싱캠(14)이 먼저 데드볼트(11)를 백셋의 내측으로 미는 것에 의하여, 이 후 상태에서 데드볼트(11)의 빗면에 스트라이커(31)가 진입하는 것을 수월하게 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닫히는 상태 2는, 상술한 도6의 도어가 닫히는 상태 1의 다음 상태를 보여준다. 도어 센싱캠(14)이 스트라이커(31)에 의해, 도6의 상태 1보다 더욱 백셋의 내측으로 밀리면, 도어 센싱캠(14)은 데드볼트 지지대(12)로부터 접촉이 해제된다. 이러한 접촉의 해제로 데드볼트(11)는 데드볼트 토션스프링(13)의 탄성에 의해 백셋의 외측으로 진행하려 하지만, 이미 데드볼트(11)는 스트라이커(31)와 접촉이 된 이후이므로, 더 이상 백셋의 외측으로 진행하지 못한다. 이후, 도어가 이동하여 스트라이커(31)의 홈에 데드볼트(11)가 다다르면, 데드볼트(11)는 데드볼트 토션스프링(13)의 탄성에 의해 스트라이커(31)의 홈에 삽입 되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위치(B)까지 진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백셋은, 데드볼트 지지대(12)와 도어 센싱캠(14)에 의하여, 도어의 열림상태부터 도어가 닫히는 상태2까지 데드볼트가 래치볼트(도어를 닫을 때, 도어가 닫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빗장)의 역할을 수행하고, 도어의 록킹상태에서는 데드볼트(도어를 록킹하는 빗장)의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백셋은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통합되어 있기 때문에, 백셋 내부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조 공정이 간단해져 제품의 생산성 증대는 제조 단가 절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부품을 단순화함으로써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불량 및 고장 발생율을 상당부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백셋은 데드볼트와 래치볼트의 통합으로 백셋 내부의 충분한 공간적 여유가 있으므로, 데드 볼트의 단면적을 늘릴 수 있다. 단면적의 늘림은 백셋의 파괴 강도를 한 단계 높임으로써, 도어락 본래의 목적인, 방범 기능을 더욱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백셋은 도어가 닫히는 경우에 스트라이커에 데드볼트의 빗면이 접촉되도록 데드볼트 지지대의 위치를 조절하면 되므로, 데드볼트의 길이를 길게 구성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표준 문짝 규격 내에서 도어와 도어프레임 간격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백셋의 일부 구성들에 대 한 록킹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면이다.
도1, 도2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드볼트(11)의 일단은 록킹위치(B)에 위치한다. 데드볼트(11)의 타단에는 데드볼트 플레이트(19)의 일단이 서로 연결되고 있다. 데드볼트 플레이트(19)의 상부 타단에는 데드볼트 플레이트 가이드 핀(19a)이 관통 형성된다. 데드볼트 플레이트 가이드 핀(19a)은 베이스(33)에 형성된 홈(33a)에서만 왕복운동을 한다. 마찬가지로 데드볼트 플레이트(19)의 하부 타단에는 데드볼트 플레이트 가이드 부싱(19b)이 관통 형성된다. 데드볼트 플레이트 가이트 부싱(19b)은 베이스(33)에 형성된 홈(33b)에서만 왕복운동을 한다. 이러한 데드볼트 플레이트(19)는 데드볼드(11)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데드볼트(11)와 함께 연동한다.
데드볼트 스토퍼(17)는 록킹위치에 있는 데드볼트(11)가 백셋(10)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다. 한편,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드볼트(11)가 백셋의 내측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데드볼트 스토퍼(17)는 데드볼트(11)의 상단에 위치한다.
데드 캠(18)은 데드 캠(18)의 회전축(R2)을 기준을 회전 왕복운동을 한다. 그리고 데드 캠(18)은 데드볼트 스토퍼(17)를 데드볼트(11)가 움직이는 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록킹상태를 해제한다.
데드볼트 스토퍼(17)와 데드 캠(18)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9 내지 도10을 이하에서 참조한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백셋의 록킹상태에서, 데 드볼트 스토퍼와 데드 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백셋의 잠김 해제상태에서, 데드볼트 스토퍼와 데드 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셋의 록킹상태에서는 데드 캠(18)의 홈(18c)에 데드볼트 스토퍼(16)의 돌출부(16c)가 삽입된다. 반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드 캠(18)이 외부의 전기신호 혹은 데드 캠(18)의 회전축(R2)에 관통 형성된 핸들(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면, 데드볼트 스토퍼(16)의 돌출부(16c)가 데드 캠(18)의 홈(18c)에서 이탈되어, 데드볼트 스토퍼(16)는 수직 상승한다. 이러한 록킹상태에서 데드볼트 플레이트(19)를 막던 데드볼트 스토퍼(16)의 수직 상승에 의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드볼트 플레이트(19)는 데드볼트 스토퍼(16)의 하부로 이동하여, 데드볼트 플레이트(19)의 상단에 데드볼트 스토퍼(16)가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데드볼트 플레이트(19)의 이동으로 데드볼트(11)는 해제위치(A)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백셋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면이다. 도11은 도2의 E 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면이면서 동시에 마이크로 스위치(40)가 도2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백셋에 부가된 도면이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스위치(40)는 도어의 록킹상태에서 도어 센싱캠(14)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즉, 마이크로 스위치(40)는 데드볼트(11)가 록킹위치(B)에 위치하는 록킹상태에서 도어 센싱캠(14)이 마이크로 스위치(40)에 접촉된 이후에, 외부에서 비밀번호 또는 카드 등 정당한 록킹 해제절차를 거치지 않고 강제로 도어를 열어 도어 센싱캠(14)과 마이크로 스위치(40)의 접촉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이를 감지하여 비상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백셋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 내지 도7은 도2에서의 C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백셋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백셋의 일부 구성들에 대한 록킹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백셋의 록킹상태에서, 데드볼트 스토퍼와 데드 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백셋의 잠김 해제상태에서, 데드볼트 스토퍼와 데드 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백셋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면이다.

Claims (4)

  1.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락 장치의 백셋(10)에 있어서,
    상기 백셋(10) 내측의 해제위치(A)와 외측의 록킹위치(B) 사이를 운동하는 데드볼트(11);
    상기 데드볼트(11)를 상기 록킹위치(B) 방향으로 미는 데드볼트 제1탄성부재(13);
    상기 백셋(10) 내측의 상기 데드볼트(11)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록킹상태에서 상기 백셋(10)의 내벽에 걸림으로서 상기 데드볼트(11)를 상기 록킹위치(B)에 고정시키는 데드볼트 지지대(12);
    상기 도어의 열림 상태에서, 일측은 도어프레임에 형성된 스트라이커(31)를 센싱하되 상기 데드볼트(11)보다 먼저 상기 스트라이커(31)를 센싱하기 위해 상기 백셋(10)의 외부로 돌출되고, 타측은 상기 데드볼트 지지대(12)에 걸리게 되어 상기 록킹위치(B)로 향하는 상기 데드볼트(11)를 상기 록킹위치(B)에 미치지 못하도록 하고, 상기 도어의 록킹상태에서, 상기 타측은 스트라이커(31)에 의하여 상기 백셋(10)의 내측으로 밀리게 되어 상기 데드볼트 지지대(12)로부터 접촉이 해제되는 도어 센싱캠(14); 및
    상기 도어 센싱캠(14)의 일측을 상기 백셋(10)의 외측으로 미는 제2탄성부재(15)
    을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의 백셋.
  2.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백셋(10) 내의 상기 데드볼트(11)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데드볼트(11)와 함께 연동하는 데드볼트 플레이트(19);
    상기 데드볼트 플레이트(19)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위치(B)에서 상기 데드볼트(11)가 상기 백셋(10)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데드볼트 스토퍼(17); 및
    상기 데드볼트 스토퍼(17)를 상기 데드볼트(11)가 움직이는 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데드볼트(11)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데드 캠(18);
    을 더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의 백셋.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재(13, 15)는,
    토션 스프링 또는 압축 스프링인, 도어락 장치의 백셋.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록킹상태에서, 상기 도어 센싱캠(14)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40)를 더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의 백셋.
KR1020070124461A 2007-12-03 2007-12-03 도어락 장치의 백셋 KR100922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461A KR100922503B1 (ko) 2007-12-03 2007-12-03 도어락 장치의 백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461A KR100922503B1 (ko) 2007-12-03 2007-12-03 도어락 장치의 백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750A KR20090057750A (ko) 2009-06-08
KR100922503B1 true KR100922503B1 (ko) 2009-10-20

Family

ID=40988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461A KR100922503B1 (ko) 2007-12-03 2007-12-03 도어락 장치의 백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25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461B1 (ko) 2016-02-24 2017-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도어 오프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9416A (en) 1984-08-06 1987-07-14 R. R. Brink Locking Systems, Inc. Trigger and latch bolt assembly
US4950005A (en) 1988-10-06 1990-08-21 Yale Security Inc. Lock deadbolt protector
KR20020068641A (ko) * 2001-02-21 2002-08-28 주식회사 케이코하이텍 자동 시정형 모티스 잠금 시스템
KR100706762B1 (ko) 2006-08-04 2007-04-13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9416A (en) 1984-08-06 1987-07-14 R. R. Brink Locking Systems, Inc. Trigger and latch bolt assembly
US4950005A (en) 1988-10-06 1990-08-21 Yale Security Inc. Lock deadbolt protector
KR20020068641A (ko) * 2001-02-21 2002-08-28 주식회사 케이코하이텍 자동 시정형 모티스 잠금 시스템
KR100706762B1 (ko) 2006-08-04 2007-04-13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750A (ko) 2009-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5550B2 (en) Passive door lock mechanisms
CA2895850C (en) Latch mechanism for an exit device
KR20080088409A (ko) 도어록 장치
KR200452304Y1 (ko) 고정후크가 마련된 도어록 장치
KR100922503B1 (ko) 도어락 장치의 백셋
US9222281B2 (en) Self-adjusting cylinder monitor assembly
KR20060114840A (ko) 도어락 장치용 백셋 및 이를 이용한 잠금 구조
KR101742220B1 (ko) 데드래치 기능을 가진 도어락 모티스
KR101533334B1 (ko) 안티패닉형 문 잠금장치용 문 내측 손잡이
EA012235B1 (ru) Врезной замок и стопорный элемент сцепления
KR101372590B1 (ko) 도어 레버의 회전 방지장치
KR100533059B1 (ko) 도어록 장치
KR200452305Y1 (ko) 강제 잠금버튼 기능이 일체화된 손잡이를 갖는 문 잠금장치
KR101900611B1 (ko) 도어락 스트라이크 장치
KR200351071Y1 (ko) 중장비 차량의 도어 잠금장치
KR102670960B1 (ko) 도어락 모티스
KR20100075151A (ko) 도어록 장치
US11976495B2 (en) Tubular-type deadbolt door lock with edge bolt for detecting door lock status
KR102329803B1 (ko) 슬라이딩 도어용 도어락
KR101127548B1 (ko) 도어록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KR200480524Y1 (ko)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
KR20090070915A (ko) 도어록 장치
KR20080004748U (ko) 이중잠금 해제가 용이한 도어락
KR100543957B1 (ko) 문 잠금장치
JP4820203B2 (ja) 扉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