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524Y1 -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 - Google Patents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524Y1
KR200480524Y1 KR2020120004266U KR20120004266U KR200480524Y1 KR 200480524 Y1 KR200480524 Y1 KR 200480524Y1 KR 2020120004266 U KR2020120004266 U KR 2020120004266U KR 20120004266 U KR20120004266 U KR 20120004266U KR 200480524 Y1 KR200480524 Y1 KR 2004805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late
dead bolt
bolt
state
b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2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875U (ko
Inventor
김정석
권태훈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42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524Y1/ko
Publication of KR201300068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8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5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5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Landscapes

  • Hing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이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데드볼트가 인출되어 온전한 잠금 상태를 이루지 못하는 것을 개선한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모티스 본체; 상기 모티스 본체에서 출몰되고 단부에 돌기가 형성된 래치볼트; 상기 모티스 본체에서 출몰되고 단부에 걸림 보스가 형성된 데드볼트; 상기 돌기가 삽입되도록 일단에 경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래치볼트의 수평이동에 의해 수직으로 승하강되며, 타단에 상기 걸림 보스가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어 상기 데드볼트의 출몰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하단과 맞닿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하강시 상기 데드볼트의 걸림 보스와 연결된 상태에서 하부로 선회되어 상기 걸림 보스에서 이탈되도록 선단에 제한턱이 형성된 선회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AUTO LOCKING ASSEMBLY FOR MORTISE}
본 고안은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문이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데드볼트가 인출되어 온전한 잠금 상태를 이루지 못하는 것을 개선한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이 사람이 출입하며 이용하는 시설에 대한 보안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안 시스템 중의 하나가 도어락(Door Lock) 장치이다. 도어락 장치를 가정이나 사무실의 출입문에 설치함으로써 출입을 제한하는 수단으로 이용된다.
전통적인 도어락 장치에서는 열쇠가 필수적 구성이지만,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도어락 장치들에 있어서 열쇠의 기능은 비밀번호나 지문 등을 입력하는 것으로 대체되고 있으며, 입력된 비밀번호나 지문은 도어락 장치 내에 구비되어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전자회로(이하 "인증 회로"라 함)에 의해 인증을 받게 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도어락 장치는, 비밀번호나 지문 등을 입력하고 인증 회로로부터 인증을 받는 방식이 적용되는 것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어락 장치는 기본적으로 데드볼트(Dead Bolt)와 체크볼트(Check Bolt)를 구비한다. 데드볼트가 출입문 틀에 형성되는 데드볼트 홈에 삽입된 경우, 실외에서 실내로 출입하고자 하는 자는 비밀번호나 지문 등을 입력하여 인증을 받아야만 데드볼트를 데드볼트 홈으로부터 이탈시켜 출입문을 열 수 있다. 체크볼트는 출입문이 열리고 다시 닫힐 때, 출입문이 출입문 틀에 정렬되었는지를 체크(check)하여 데드볼트가 다시 데드볼트 홈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체크 기능은 종래에 래치볼트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어락 장치는, 이러한 데드볼트 및 체크볼트의 구동과 관련된 여러 부품들을 내장하기 위해 모티스(Mortise)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모티스는 출입문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출입문이 닫힌 경우 일측면이 출입문 틀에서 데드볼트 홈이 형성된 부근에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모티스의 일 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종래의 모티스가 출입문이 열린 경우의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모티스가 출입문이 닫힌 경우의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모티스(10)는, 데드볼트(11), 체크볼트(12) 및 래치볼트(13, Latch Bolt)를 구비한다. 이들 부품(11 내지 13)은 공통적으로 모티스(10)의 측면커버(14)를 통하여 모티스(10)의 내외를 출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참고로, 래치볼트(13)는 출입문이 닫혀 질 때 출입문을 출입문 틀에 정확히 정렬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경우에 따라서 래치볼트(13)는 모티스(10)에 통합되어 구비되지 않고 모티스(1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따로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출입문이 열린 경우에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드볼트(11)는 측면커버(14)를 경계로 모티스(10)의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데드볼트(11)의 인입 상태는 데드볼트(11)의 일측면에 형성된 인출저지홈(11a)에 스토퍼(15, Stopper)의 일단(15a)이 삽입됨으로써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 틀에는 데드볼트 홈(Do)과 래치볼트 홈(Lo)이 형성된다. 따라서 출입문이 닫혀 지는 경우, 래치볼트(13)는 출입문 틀에 형성된 래치볼트 홈(Lo)에 삽입되게 되고 이 순간에 체크볼트(12)는 래치볼트(13)에 대해 상대적으로 모티스(10)의 내측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갖게 된다. 이때, 체크볼트(12)는 모티스(10)의 내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체크볼트(12)의 일단에 접촉된 상태에 있는 스톱 브레이커(16, Stop Breaker)를 회전시키며, 스톱 브레이커(16)의 일측에 형성된 토크제공팁(16a)이 스토퍼(15)의 타단(15b)에 토크(torque)를 가하여 스토퍼(15)를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데드볼트(11)의 인출저지홈(11a)에 삽입되어 있던 스토퍼(15)의 일단(15a)은 인출저지홈(11a)을 이탈하게 되고, 데드볼트(11)는 데드볼트(11)의 하부에 마련된 데드볼트 스프링(11b, Dead Bolt Spring)으로부터 탄성 복원력을 받아 데드볼트 홈(Do)에 삽입된다.
그러나,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 브레이커(16)가 스토퍼(15)의 일단(15a)을 데드볼트(11)의 인출저지홈(11a)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스톱 브레이커(16)의 토크제공팁(15a)이 스토퍼(15)의 타단(15b) 보다 더 측면커버(14)에 가까이 위치한 상태에 있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처럼 측면커버(14)에 대해 토크제공팁(16a)이 스토퍼(15)의 타단(15b)보다 더 가까이 위치하는 경우, 이후에는 체크볼트(11)에 의해 스톱 브레이커(16)가 회전되더라도 스톱 브레이커(16)는 토크제공팁(16a)을 통하여 스토퍼(15)의 타단(15b)에 토크를 가할 수 없게 되고 스토퍼(15)의 일단(15a)은 인출저지홈(11a)으로부터 이탈될 수 없다. 따라서, 데드볼트(11)는 더 이상 모티스(10)의 내외로 인출과 인입을 반복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작동불량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다른 형태로서 자동 잠금 상태를 이루도록 체크볼트(12)의 기능을 래치볼트(13)에 부여하는 구조의 모티스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모티스도래치볼트(13)가 눌러진 상태에서 인출되면 데드볼트(11)도 동시에 돌출되는 구조로서, 이도 마찬가지로 래치볼트(13)가 일정깊이로 눌러지게 되면 문이 완전히 닫혀 지지 않은 상태(예를 들어 문이 문틀에 접촉하여 이동되는 과정)에서 데드볼트(11)가 자동으로 인출되는 작동불량(이는 모티스 손상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음)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문이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데드볼트가 인출되어 온전한 잠금 상태를 이루지 못하는 것을 개선한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모티스 본체; 상기 모티스 본체에서 출몰되고 단부에 돌기가 형성된 래치볼트; 상기 모티스 본체에서 출몰되고 단부에 걸림 보스가 형성된 데드볼트; 상기 돌기가 삽입되도록 일단에 경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래치볼트의 수평이동에 의해 수직으로 승하강되며, 타단에 상기 걸림 보스가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어 상기 데드볼트의 출몰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하단과 맞닿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하강시 상기 데드볼트의 걸림 보스와 연결된 상태에서 하부로 선회되어 상기 걸림 보스에서 이탈되도록 선단에 제한턱이 형성된 선회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걸림 보스와 상기 제한턱에는 서로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모티스 본체 내부로 인입되면 상기 걸림 보스가 상기 제한턱의 안내면을 따라 체결되어 상호 걸림 상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가 완전히 하강되면, 상기 걸림 보스에서 상기 선회 스토퍼가 이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선회 스토퍼에 의해 상기 모티스 본체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래치볼트가 인입되면, 상기 이동 플레이트는 경사공을 따라 하강되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걸림턱이 선회 스토퍼를 하강시켜 상기 걸림 보스에서 상기 선회 스토퍼의 제한턱을 이탈시키고 상기 걸림 보스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상기 걸림턱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이루며, 상기 래치볼트가 상기 모티스 본체에서 다시 인출되면 상기 이동 플레이트가 상승되어 상기 걸림턱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걸림 보스에서 이탈되는 것으로 상기 데드볼트가 인출된 상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회 스토퍼는 상기 모티스 본체에 일단이 탄성지지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래치볼트가 모티스 본체로 완전히 인입된 상태나 인출된 상태에서만 데드볼트의 고정상태를 유지 및 해제할 수 있어 자동 잠금의 작동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래치볼트의 인출이 완료된 상태 이후에 데드볼트가 인출됨으로써 문 닫음 중간에 발생될 수 있는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의 모티스가 출입문이 열린 경우의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b는 도 1a의 모티스가 출입문이 닫힌 경우의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의 주요 구성요소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3은 도 2에서 래치볼트와 데드볼트의 연동관계를 상세히 보여주는 확대도,
도 4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에서 데드볼트가 인출된 상태를 평면상에서 보여주는 작동상태도,
도 4b는 도 4a의 상태에서 데드볼트가 인입되는 중간상태를 보여주는 작동상태도,
도 4c는 도 4b의 상태에서 데드볼트가 선회 스토퍼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상태도,
도 5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에서 선회 스토퍼에 의해 데드볼트가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5b는 도 5a의 상태에서 이동 플레이트가 하강되어 선회 스토퍼를 하강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5c는 도 5b의 상태에서 걸림 보스의 제한 전환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5d는 걸림 보스에 대한 이동 플레이트와 선회 스토퍼의 이동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6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에서 선회 스토퍼가 하강되고 이동 플레이트의 걸림턱에 의해 데드볼트의 인출을 제한하고 있는 과정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 6b는 도 6a의 상태에서 선회 스토퍼가 하강되어 데드볼트의 걸림 보스에서 이탈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6c는 도 6b의 상태에서 걸림 보스에서 이동 플레이트가 상승(이탈)되어 데드볼트가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의 이동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의 데드볼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아래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의 주요 구성요소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래치볼트와 데드볼트의 연동관계를 상세히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의 이동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의 데드볼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도 7, 및 도 8과 같이, 본 고안의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는 종래와 동일하게 래치볼트(30)와 데드볼트(40)가 모티스 본체(20)에서 출몰되도록 구성된다. 즉 래치볼트(30)와 데드볼트(40)는 스프링(미도시; 예를 들어 도 1a에서 11b)에 의해 말단(31,45; 도 3 참조)이 지지된 상태로 모티스 본체(20)의 측면(22)을 기준으로 자유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이룬다. 또한 미설명 부호 '44'는 장공으로서 데드볼트(40)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도시하진 않았으나 핸들 장착공(21)에는 회동체가 장착되고 이 회동체가 데드볼트(40)의 회동체 장착공(41)과 래치볼트(3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핸들을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데드볼트(40)와 래치볼트(30)가 모티스 본체(20)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종래의 모티스와 동일한 구조 및 작동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고안의 주요 특징인 래치볼트(30)의 작동에 따른 데드볼트(40)의 자동 잠금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과 같이, 래치볼트(30)와 데드볼트(40; 도 8에 상세히 도시함) 사이에는 이동 플레이트(50; 도 7에 상세히 도시함)가 설치된다. 이때 이동 플레이트(50)는 사선으로 경사진 경사공(51)이 형성되고, 이 경사공(51)에 래치볼트(30)의 말단에 형성된 돌기(35)가 삽입되어 안내가 이루어진다. 또한 이동 플레이트(50)에는 수직방향으로 한 쌍의 안내공(52)이 형성될 수 있어 이 안내공(52)에 모티스 본체(20)의 돌기(도면부호 미부여)가 삽입됨으로써 이동 플레이트(50)의 승하강에 대한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7과 같이 이동 플레이트(50)의 말단에는 걸림턱(55)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걸림턱(55)은 선택적으로 걸림 보스(45)에 체결되어 데드볼트(40)의 인입 및 인출을 제한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플레이트(50)의 하부에는 선회 스토퍼(60)가 설치된다. 이 선회 스토퍼(60)는 도 3과 같이 회전축(62)을 중심으로 일정반경으로 회동되게 설치된다. 또한 회전축(62)에는 토션 스프링이 장착될 수 있어 선단이 하강되었다가 원위치로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회 스토퍼(60)의 선단에는 제한턱(63)이 형성되어 이 제한턱(63)에 데드볼트(40)의 걸림 보스(45)가 선택적으로 끼워짐으로써 데드볼트(40)의 출몰을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드볼트(40)의 인출이 선회 스토퍼(60)에 의해 제한된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에서 데드볼트가 인출된 상태를 평면상에서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상태에서 데드볼트가 인입되는 중간상태를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며, 도 4c는 도 4b의 상태에서 데드볼트가 선회 스토퍼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우선, 도 3의 상태에서 데드볼트(40)가 인입되면 걸림 보스(45)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선회 스토퍼(60)의 제한턱(63)이 눌러지게 되고, 도 4c와 같이 데드볼트(40)가 모티스 본체(20)의 내부로 완전 인입된 상태에서는 다시 제한턱(63)이 데드볼트(40)의 걸림 보스(45)에 서로 맞물림 됨으로써 데드볼트(40)는 말단(45)이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수축된 상태로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모티스는 해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도 4c의 상태에서 래치볼트(30)가 인입된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에서 선회 스토퍼에 의해 데드볼트가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상태에서 이동 플레이트가 하강되어 선회 스토퍼를 하강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며, 도 5c는 도 5b의 상태에서 걸림 보스의 제한 전환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5d는 걸림 보스에 대한 이동 플레이트와 선회 스토퍼의 이동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4c와 같이 데드볼트(40)가 인입된 상태로 고정되면 잠금해정된 상태로서 문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문을 닫게 되면 래치볼트(30)는 문틀에 끼워 눌러졌다가 도 1b와 같이 래치볼트 홈(Lo)에 의해 인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모티스가 해정된 상태로부터 문을 닫는 과정에서는 래치볼트(30)가 눌러졌다가 다시 인출되는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일단 래치볼트(30)가 인입되면 도 3과 같이 말단(31)에 형성된 돌기(35)가 경사공(51)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경사공(51)의 경사각에 따라 이동 플레이트(50)는 하방으로 수직이동하게 된다.
도 5b와 같이, 이동 플레이트(50)가 하강되면 걸림턱(55)의 하부에 맞닿도록 설치된 선회 스토퍼(60)를 하방으로 누르게 되고, 도 5c와 같이 이동 플레이트(50)가 하강됨에 따라 걸림 보스(45)를 지지하는 영역은 선회 스토퍼(60)의 제한턱(63)에서 이동 플레이트(50)의 걸림턱(55)으로 점차 전환된다. 이때 도 5c와 같이 이동 플레이트(50)의 하강 중간에 걸림턱(55)과 제한턱(63)은 걸림 보스(45)에 각각 밀착된 상태로 하강됨으로써 중간에 제한턱(63)이 상승되어 오작동(걸림 보스에 다시 걸리는 오작동)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d와 같이 이동 플레이트(50)가 완전히 하강되면 선회 스토퍼(60)는 걸림 보스(45)에서 완전히 이탈된 상태로 하강된다. 도 5d의 상태는 래치볼트(30)가 모티스 본체(2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이다.
이어 문이 닫혀져 레치볼트(30)가 문틀에 형성된 레치볼트 장착홈(미도시)으로 인출된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에서 선회 스토퍼가 하강되고 이동 플레이트의 걸림턱에 의해 데드볼트의 인출을 제한하고 있는 과정을 보여주는 상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상태에서 선회 스토퍼가 하강되어 데드볼트의 걸림 보스에서 이탈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며, 도 6c는 도 6b의 상태에서 걸림 보스에서 이동 플레이트가 상승(이탈)되어 데드볼트가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6a와 같이 래치볼트(30)가 모티스 본체(20)에서 인출되면 이동 플레이트(50)도 경사공(51)을 따라 이동되어 상승된다. 이와 같이 이동 플레이트(50)가 상승하게 되면 하부의 걸림턱(55)이 걸림 보스(45)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승되어 도 6b와 같은 상태를 이루고, 이동 플레이트(50)가 완전히 상승하게 되면 걸림턱(55)이 걸림 보스(45)의 고정상태를 해체하게 됨으로써 말단이 탄성지지된 상태의 데드볼트(40)는 모티스 본체(20)의 측면(22) 외측으로 돌출되어 잠금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래치볼트(30)가 모티스 본체(20)로 완전히 인입된 상태나 인출된 상태에서만 데드볼트(40)의 고정상태를 유지 및 해제할 수 있어 자동 잠금의 작동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래치볼트(30)의 인출이 완료된 상태 이후에 데드볼트(40)가 인출됨으로써 문 닫음 중간에 발생될 수 있는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20: 모티스 본체 21: 핸들작동공
22: 측면 30: 래치볼트
31: 말단 35: 돌기
40: 데드볼트 41: 회동체 장착공
45: 걸림 보스 50: 이동 플레이트
51: 경사공 55: 걸림턱
60: 선회 스토퍼 61: 가이드 돌기
62: 회동축 63: 제한턱

Claims (5)

  1. 모티스 본체(20);
    상기 모티스 본체(20)에서 출몰되고 단부에 돌기(35)가 형성된 래치볼트(30);
    상기 모티스 본체(20)에서 출몰되고 단부에 걸림 보스(45)가 형성된 데드볼트(40);
    상기 돌기(35)가 삽입되도록 일단에 경사공(51)이 형성되어 상기 래치볼트(30)의 수평이동에 의해 수직으로 승하강되며, 타단에 상기 걸림 보스(45)가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어 상기 데드볼트(40)의 출몰을 제한하는 걸림턱(55)이 형성된 이동 플레이트(50);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50)의 하단과 맞닿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동 플레이트(50)의 하강시 상기 데드볼트(40)의 걸림 보스(45)와 연결된 상태에서 하부로 선회되어 상기 걸림 보스(45)에서 이탈되도록 선단에 제한턱(63)이 형성된 선회 스토퍼(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 보스(45)와 상기 제한턱(63)에는 서로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데드볼트(40)가 상기 모티스 본체(20) 내부로 인입되면 상기 걸림 보스(45)가 상기 제한턱(63)의 안내면을 따라 체결되어 상호 걸림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50)가 완전히 하강되면, 상기 걸림 보스(45)에서 상기 선회 스토퍼(60)가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40)가 상기 선회 스토퍼(60)에 의해 상기 모티스 본체(20)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래치볼트(30)가 인입되면, 상기 이동 플레이트(50)는 경사공(51)을 따라 하강되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50)의 걸림턱(55)이 선회 스토퍼(60)를 하강시켜 상기 걸림 보스(45)에서 상기 선회 스토퍼(60)의 제한턱(63)을 이탈시키고 상기 걸림 보스(45)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50)의 상기 걸림턱(55)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이루며,
    상기 래치볼트(30)가 상기 모티스 본체(20)에서 다시 인출되면 상기 이동 플레이트(50)가 상승되어 상기 걸림턱(55)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50)의 걸림 보스(45)에서 이탈되는 것으로 상기 데드볼트(40)가 인출된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스토퍼(60)는 상기 모티스 본체(20)에 일단이 탄성지지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
KR2020120004266U 2012-05-21 2012-05-21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 KR2004805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266U KR200480524Y1 (ko) 2012-05-21 2012-05-21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266U KR200480524Y1 (ko) 2012-05-21 2012-05-21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875U KR20130006875U (ko) 2013-11-29
KR200480524Y1 true KR200480524Y1 (ko) 2016-06-03

Family

ID=52434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266U KR200480524Y1 (ko) 2012-05-21 2012-05-21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5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875U (ko) 201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2486A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20090099029A (ko)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KR102288624B1 (ko) 도어록 모티스
KR101331892B1 (ko) 여닫이문 잠금장치
KR100825446B1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WO2019112845A1 (en) Progressive deadlatching for deadbolts
KR200452304Y1 (ko) 고정후크가 마련된 도어록 장치
KR101598958B1 (ko)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KR20090098943A (ko)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KR101986613B1 (ko) 슬라이딩 도어용 도어락장치
KR200480524Y1 (ko)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
KR20100011513A (ko) 도어 자동잠금장치
KR20180060394A (ko) 푸시풀 전환이 용이한 푸시풀 도어락
KR101524775B1 (ko) 다중 래치 통합 배치형 멀티 록 장치 및 설치 방향 선택장치
KR100633005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1887640B1 (ko)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KR100647860B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JP6041514B2 (ja) 扉用ラッチ装置
KR100648574B1 (ko) 2중 물림 빗장
KR200396665Y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RU176247U1 (ru) Замок с функцией блокировки и отключения защелки
KR100699557B1 (ko) 선박 휠하우스의 슬라이드식 도어용 도어록의 잠금장치
KR101115424B1 (ko) 창호용 버튼식 자동잠금장치
JP4441342B2 (ja) 障子施錠機構の誤操作防止装置
KR102284723B1 (ko)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