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9029A -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9029A
KR20090099029A KR1020090021580A KR20090021580A KR20090099029A KR 20090099029 A KR20090099029 A KR 20090099029A KR 1020090021580 A KR1020090021580 A KR 1020090021580A KR 20090021580 A KR20090021580 A KR 20090021580A KR 20090099029 A KR20090099029 A KR 20090099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door
open cam
slide
s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8504B1 (ko
Inventor
김용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Priority to KR1020090021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504B1/ko
Publication of KR20090099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 E05C3/3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in the form of a hoo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닫이문이나 창문 등의 샷시문에 설치되는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2점 방식 록킹장치들은 상하에 구비된 스트라이크의 한쪽 만을 로테이트훅의 훅부로 걸어 록킹시키는 구조여서 장기간 사용으로 하부 문틀이 쳐지거나 할 경우 록킹이 잘 안되고, 록킹턱과 훅부 중 어느 한 쪽이 파손되면 자동 록킹이 제대로 되지 않아 방범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문틀에 설치되는 스트라이크(210); 샷시문에 설치되며 핸들(140)과 일체로 회전되는 오픈캠(131)이 내부에 구비된 오픈캠케이스(130); 스트라이크(210)와 접촉되는 턱부(161)와 록킹턱(211) 이면을 걸어주는 훅부(162)가 위를 향하여 단차지게 형성된 로테이트훅(160); 으로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를 구성하되 스트라이크(210)의 양쪽 단에는 기존 훅부(162)와 보조훅부(174)를 대향으로 형성하고, 로테이트훅(160)은 턱부(161) 후미에 스톱퍼홈(163)과 훅받침부(164)를 차례로 형성하며, 록케이스(150) 내부 상단에는 스트라이크(210)의 보조록킹턱(212)에 걸리는 보조훅부(174)를 훅부(162)와 대향되게 일측면에 구비한 슬라이드훅(170)을 설치하여 샷시문(100)을 닫으면 스트라이크(210)의 상하 양단에 훅부(162)와 보조훅부(174)가 동시에 록킹되게 한 것으로서 괘정상태가 매우 견고하여 방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고, 기존 록킹턱이나 훅부 중 어느 한쪽이 파손되더라도 보조록킹턱 및 보조훅부에 의해 잠금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어 록킹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로테이트훅, 슬라이드훅, 오픈캠,

Description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auto door-lock apparatus for sash door}
본 고안은 미닫이문이나 창문 등의 샷시문에 설치되는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샷시문과 문틀에 괘ㆍ해정용 훅과 스트라이크가 각각 2점 방식으로 구비된 도어록을 설치하여 샷시문을 닫기만 하면 상ㆍ하의 훅이 각각의 스트라이크에 자동으로 걸려서 괘정될 때 보다 견고하게 괘정되게 하므로서 방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 미닫이문이나 창문 등의 샷시문(이하 "샷시문" 이라 칭함)은 대부분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문틀과 그 문틀의 레일을 따라 여닫히는 샷시문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샷시문에는 외부에서 함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록이 설치된다.
여기서 샷시문의 도어록은, 대부분 핸들에 의해 동작되는 훅을 문틀 세로부재와 접촉되는 샷시문의 세로부재에 설치하고, 문틀의 세로부재에는 상기 훅이 걸리는 스트라이크를 설치하여 샷시문을 닫았을 때 상기 훅이 스트라이크에 걸리면 잠기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샷시문의 도어록은 상기 훅과 스트라이크가 1개씩만이 설치되는 1점 방식이 있고, 핸들을 사이에 두고 상측과 하측에 훅과 스트라이크가 각각 설치되어 핸들을 동작시키면 상하의 훅이 동시에 동작되는 2점 방식의 도어록으로 구분되며, 1점 록 방식에 비해 2점 록 방식의 도어록 괘정 상태가 더 견고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샷시문을 닫는 것과는 별도로 도어록을 인위적으로 괘정시켜야만 잠김상태가 유지되는 타입은 괘정된 샷시문을 열려면 도어록을 먼저 해정시킨 후 샷시문을 밀어 열어 주는 과정을 개별적으로 행하여야 하고, 외출시에는 샷시문의 닫힌 상태 뿐만 아니라 도어록의 괘정상태까지 일일이 확인하여야만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많다.
즉, 샷시문이 닫혀 있으면 부주의로 도어록의 잠금상태를 확인하지 않고 그대로 외출하는 경향이 많고, 이때 괘정되지 않은 샷시문을 통해 외부에서 도둑이 쉽게 침입하여 귀중품 등을 도난당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현재는 샷시문을 닫기만 하면 훅이 문틀의 스트라이크에 자동으로 걸려 괘정되는 자동 록킹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2점 방식의 자동 록킹장치가 구비된 일례를 들면 2006. 2. 22.자 공고된 실용신안등록 제20-0409014호 "창문용 자동 잠금장치"가 있고, 2006. 12. 13.자 공고된 실용신안등록 제20-0433927호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가 있다.
상기 선 개발된 록킹장치들은 모두 문틀에 고정 설치되는 스트라이크의 록킹턱이 한쪽 단(밑면)에만 구비되어 있고, 샷시문에 설치되는 회전형의 로테이트훅은 높게 돌출된 후미의 턱부가 상기 스트라이크의 록킹턱에 접촉되면 로테이트훅이 회 전되면서 턱부보다 낮게 선단에 구비되어 있던 훅부가 회전되어 올라가면서 록킹턱의 뒤쪽을 걸어 괘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의 록킹장치들은 핸들을 사이에 두고 상부와 하부에 록킹부가 구비되는 2점 록 방식임에도 불구하고 훅부가 상하 스트라이크의 일방향(밑면)만을 같이 걸어주는 것이므로 장기간 사용으로 샷시문을 받쳐주는 하부 문틀이 쳐지거나 할 경우 로테이트훅의 훅부가 스트라이커의 록킹턱을 효과적으로 걸어주지 못하고 이탈되어 쉽게 열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자동 록킹장치는 2점 록 방식으로 설치된 록킹턱과 훅부 중 어느 한 쪽이 파손되면 자동 록킹이 제대로 되지 않아 방범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샷시문을 닫기만 하면 도어록이 자동으로 잠길 때 스트라이크의 상하 양단을 모두 걸어주어서 보다 견고하게 괘정되어 방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부 스트라이커의 록킹턱이나 로테이트훅의 훅부 중 어느 한쪽이 파손되더라도 보조록킹턱 및 보조훅부에 의해 잠금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게 하므로서 도어록의 수명이 연장되는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샷시문을 열 때 핸들을 샷시문의 열림방향으로 밀기만 하면 도어록의 잠김상태가 저절로 해제됨과 동시에 샷시문이 열리도록 하므로서 보다 사용이 간편한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위 첫째와 둘째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2점 방식의 록킹을 위해 문틀 상하에 각각 설치되며 한쪽 단에 록킹턱이 구비된 스트라이크; 샷시문에 설치되는 로드베이스의 일측면 중앙에 부착 고정되며, 핸들과 일체로 회전되는 오픈캠이 내부에 구비된 오픈캠케이스; 로드베이스와 오픈캠케이스 사이에서 오픈캠에 의해 승강되는 슬라이드로드; 로드베이스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일측에 스트라 이크 출입용 개구부가 구비된 록케이스; 록케이스의 내부 하단에서 로테이트훅스프링의 장력을 받아 탄력적으로 회전되게 핀축에 설치되며, 스트라이크와 접촉되는 턱부 및 록킹턱 이면을 걸어주는 훅부가 위를 향하여 단차지게 형성된 로테이트훅; 으로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트라이크의 다른쪽 단에는 기존 록킹턱과 대향된 보조록킹턱을 형성하고, 로테이트훅은 턱부 후미에 스톱퍼홈과 훅받침부를 차례로 형성하며, 록케이스의 내부 상단에는 슬라이드훅스프링에 의해 아래의 로테이트훅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슬라이드되면서 하단의 스톱퍼가 스톱퍼홈과 훅받침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슬라이드훅을 설치하되 슬라이드훅의 일 측면에는 슬라이드로드의 구멍에 끼워지는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슬라이드로드와 함께 승강되게 하고, 슬라이드훅의 타 측면에는 스트라이크의 보조록킹턱에 걸리는 보조훅부를 구비하여 샷시문을 닫으면 스트라이크의 상하 양단에 훅부와 보조훅부가 동시에 록킹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픈캠케이스 내부 일측에 오픈캠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걸림단을 구비하여 바닥을 향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핸들을 샷시문 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핸들에 가해진 힘이 샷시문에 전달되면서 도어록 해정과 샷시문 열림 동작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샷시문을 닫기만 하면 스트라이크의 양단을 훅부와 보조훅부가 양쪽에서 모두 걸어 록킹시킴에 따라 괘정상태가 매우 견고하여 방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핸들을 샷시문의 열림방향으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도어록의 해정과 샷시문의 열림 동작이 일련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상당히 있는 것이다.
아울러 스트라이커의 록킹턱이나 로테이트훅의 훅부 중 어느 한쪽이 파손되더라도 보조록킹턱 및 보조훅부에 의해 잠금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록킹장치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을 실시예별로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 은 본 발명의 록킹장치가 샷시문과 문틀에 실시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2a 내지 2c 는 본 발명의 록킹장치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닫히는 과정을 단계별로 보인 단면도 이며, 도3a 는 본 발명의 록킹장치가 록킹된 상태에서의 슬라이드로드 위치와 오픈캠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3b 는 본 발명의 핸들에 의해 오픈캠이 슬라이드로드를 상승시킨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샷시문(100)에 설치되는 로드베이스(110)의 일측면 중앙에는 핸들(140)의 샤프트(141)에 끼워져서 핸들(140)과 일체로 회전되는 오픈캠(131)이 내부에 구비된 오픈캠케이스(130)를 설치하고, 로드베이스(110)와 오픈캠케이스(130) 사이에는 핸들(140)의 오픈캠(131)에 의해 승강되는 슬라이드로드(120)가 설치된다.
로드베이스(110)의 상부와 하부에는 오픈캠케이스(130)와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록케이스(150)가 설치되고, 각각의 록케이스(150) 내부 하단에는 높낮이가 다른 턱부(161)와 훅부(162)가 위를 향하여 단턱지게 구비된 로테이트훅(160)이 핀축(166)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며, 로테이트훅(160)은 로테이트훅스프링(165)의 장력을 받아 탄력적으로 회전되게 설치된다.
2점 방식으로 설치된 상하 록케이스(150)의 개구부(151)를 통해 각각 삽입되도록 문틀(200) 상하에 대응되어 설치되는 스트라이크(210)는 한쪽 단(하단)에 훅부(162)가 걸리는 록킹턱(211)이 구비되며, 샷시문(100)이 닫히면 스트라이크(210)가 로테이트훅(160)의 턱부(161)를 밀어 회전시킴에 따라 훅부(162)가 록킹턱(211)에 걸려 괘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스트라이크(210)의 다른쪽 단(상단)에 기존 록킹턱(211)과 대향된 보조록킹턱(212)을 형성한 것에 있다.
그리고, 록케이스(150)의 내부 하단에 설치된 로테이트훅(160)의 턱부(161) 후미에 스톱퍼홈(163)과 훅받침부(164)를 차례로 형성하고, 록케이스(150)의 내부 상단에는 로테이트훅(160)의 회전 위치에 따라 스톱퍼홈(163)과 훅받침부(164)에 교대로 접촉되는 스톱퍼(171)가 하부에 구비된 슬라이드훅(170)을 슬라이드훅스프링(172)에 의해 아래쪽 로테이트훅(160)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슬라이드되게 설치한 것에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훅(170)의 일 측면에는 슬라이드로드(120)의 구멍(121)에 끼워지는 걸림돌기(173)를 형성하여 오픈캠(131)으로 동작되는 슬라이드로드(120) 의 승강에 따라 슬라이드훅(170)이 승강되게 하고, 슬라이드훅(170)의 타 측면에는 스트라이크(210)의 보조록킹턱(212)에 걸리는 보조훅부(174)를 하향으로(훅부(162)와 대향된 방향으로) 형성하여야 한다.
그리고, 핸들(140)의 오픈캠(131)에 의한 슬라이드로드(120)의 승강수단으로, 슬라이드로드(120)에 핸들(140)의 오픈캠(131)이 끼워지는 구멍을 길다란 장공(122)으로 형성하여 오픈캠(131)이 위로(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슬라이드로드(120)를 위로 상승시키도록 하고, 오픈캠(131)이 아래로(시계 반대방향으로) 역회전될 때는 오픈캠(131)만이 원위치로 복귀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핸들(140)은 슬라이드로드(120)를 상승시킨 후 도면에 미도시된 복귀스프링에 의해 원위치(핸들 하단이 바닥을 향하도록 수직으로) 복귀되는 것으로서, 이는 일반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오픈캠케이스(130) 내부 일측에는 오픈캠(131)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걸림단(132)을 구비하여야 하며, 이와 같이 하면 바닥을 향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핸들(140)을 샷시문(100) 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오픈캠(131)이 걸림단(132)에 걸리면서 핸들(140)에 가해진 힘이 샷시문(100)에 그대로 전달되므로 도어록의 해정과 샷시문(100)의 열림 동작이 일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20)은 스트라이크(210)의 전면에 부착되어 턱부(161)와 부딛힐 때의 충격과 소음을 줄여주는 스트라이크캡 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로테이트훅(160)과 스트라이크(210)에 의해 샷시문(100)이 괘정 및 해정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2a 와 같이 샷시문(100)이 열려 있는 상태일 때, 핸들(140)은 바닥을 향하여 수직으로 하향된 상태이고, 상승된 슬라이드로드(120)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상하의 슬라이드훅(170)은 각각의 슬라이드훅스프링(172)을 압축하면서 위로 상승되어 하단의 스톱퍼(171)가 로테이트훅(160)의 스톱퍼홈(163)을 벗어난 상태이다.
또한, 로테이트훅(160)은 로테이트훅스프링(165)의 장력을 받아 훅부(162)가 아래쪽으로 회전된 상태이므로 훅받침부(164)가 슬라이드훅(170)의 스톱퍼(171)를 받쳐준 상태이고, 서로 마주보고 있는 훅부(162)와 보조훅부(174)는 서로 간의 간격이 최대한 벌어진 상태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샷시문(100)을 닫기 위해 문틀(200)의 스트라이크(210) 쪽으로 이동시키면 로테이트훅(160)의 훅부(162)와 슬라이드훅(170)의 보조훅부(174) 간의 간격이 최대한 벌어진 상태이므로 도2b 와 같이 스트라이크(210)가 훅부(162)와 보조훅부(174) 사이로 쉽게 진입되어 로테이트훅(160)의 턱부(161)와 접촉된다.
그러면 스트라이크(210)에 접촉된 로테이트훅(160)은 도2c 와 같이 로테이트훅스프링(165)을 압축하면서 턱부(161)가 뒤로 밀려 후방으로 회전됨에 따라 선단의 훅부(162)는 위로 회전되어 스트라이크(210)의 하단 록킹턱(211)에 신속하게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로테이트훅(160)이 후방으로 회전되면 훅받침부(164)가 스톱퍼(171)를 벗어나면서 스톱퍼(171)가 스톱퍼홈(163)과 일치되므로 슬라이드훅(170)은 슬라이드훅스프링(172)의 장력을 받아 신속하게 하강된다.
그러면, 슬라이드훅(170)의 스톱퍼(171)는 스톱퍼홈(163)에 끼워져 로테이트훅(160)이 로테이트훅스프링(165)의 장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려는 것을 막아주고, 훅부(162)와 대향된 보조훅부(174)는 스트라이크(210) 상단의 보조록킹턱(212)을 걸어준다.
즉, 본 발명은 샷시문(100)을 닫기만 하면 문틀(200)의 상부와 하부에 2점 방식으로 설치된 각 스트라이크(210) 상단의 보조록킹턱(212)과 하단의 록킹턱(211)에 2점 방식으로 설치된 상하의 각 슬라이드훅(170)의 보조훅부(174)와 로테이트훅(160)의 훅부(162)가 각 스트라이크(210)의 양쪽 록킹턱을 동시에 잡아 자동 록킹을 시켜주는 것이므로 록킹 상태가 매우 견고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하 록케이스(150) 내에 설치된 각 슬라이드훅(170)이 슬라이드훅스프링(172)의 장력을 받아 하강되면 슬라이드훅(170)의 걸림돌기(173)가 슬라이드로드(120)를 아래로 하강시켜 주므로 슬라이드로드(120)는 별도의 복귀용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원위치로 하강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로드(120)가 아래로 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되면 오픈캠(131)이 끼워진 장공(122)은 상단부가 오픈캠(131) 위에 얹혀질 정도로 근접되어 샷시문(100)의 오픈 준비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 후, 이 상태에서 도3b 와 같이 록킹된 샷시문(100)을 열기 위해 바닥을 향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핸들(140)을 상측 샤프트(141)를 기점으로 하여 샷시문(100)을 열려고 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핸들(140)과 일체로 회동되는 오픈캠(131)이 슬라이드로드(120)를 상승시킴에 따라 도4a 와 같이 상하 록케이스(150) 내의 슬라이드훅(170)은 동시에 상승되어 보조훅부(174)가 보조록킹턱(212)을 벗어나 해정된다.
그리고, 슬라이드훅(170)이 상승되면 스톱퍼(171)가 스톱퍼홈(163)을 벗어남에 따라 로테이트훅(160)도 로테이트훅스프링(165)의 장력을 받아 신속하게 전방으로 회전되면서 도4a 와 같이 훅부(162)가 하단 록킹턱(211)을 벗어나 해정되므로 도4b 와 같이 샷시문(100)은 힘들이지 않고 곧바로 열리게 된다.
이때, 핸들(140)과 함께 회전되는 오픈캠(131)은 오픈캠케이스(130) 내부 일측에 형성된 걸림단(132)에 걸려 더 이상 회전되지 않음에 따라 핸들(140)에 가해진 힘은 샷시문(100)에 그대로 전달되며, 이로 인해 도어록의 해정과 샷시문(100)의 열림 동작이 일련적으로 이루어져 사용상의 편리함이 상당히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샷시문(100)을 열은 후 옆으로 회전시켰던 핸들(140)을 놓아주면 장공(122)에 의해 슬라이드로드(120)는 상승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도1 및 도2a 와 같이 핸들(140)과 오픈캠(131)만이 도면에 미도시된 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즉, 오픈캠(131)은 슬라이드로드(120)의 길다란 장공(122)에 끼워져서 위로(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만 슬라이드로드(120)를 상승시키고, 오픈캠(131)이 아래로(시계 반대방향으로) 역회전될 때는 장공(122)에 의해 슬라이드로드(120)는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오픈캠(131)만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해정되어 샷시문(100)이 열릴 때 로테이트훅(160)의 훅받침부(164)는 슬라이드훅(170)의 스톱퍼(171)를 받쳐주어서 슬라이드훅(170)이 하강 되지 않도록 즉, 상승된 상태를 유지시켜 준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위에서 먼저 언급한 것처럼 보조훅부(174)와 훅부(162) 간의 간격이 최대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샷시문(100)을 다시 닫을 때 스트라이크(210)가 보조훅부(174)와 훅부(162)에 간섭을 받지 않고 진입되어 로테이트훅(160)의 턱부(161)와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문틀(200)에 2점 방식으로 설치된 각 스트라이크(210) 양단의 록킹턱(211)과 보조록킹턱(212)을 로테이트훅(160)의 훅부(162)와 슬라이드훅(170)의 보조훅부(174)가 양쪽에서 견고하게 잡아주어 록킹시켜 줌에 따라 장기간 사용시 일부 스트라이커의 록킹턱(211)이나 로테이트훅(160)의 훅부(162) 중 어느 한쪽이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보조록킹턱(212) 및 보조훅부(174)에 의해 잠금상태가 그대로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어 수명이 연장되기도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록킹장치는, 록케이스(150)가 상하에 부착된 로드베이스(110)를 샷시문(100)에 설치할 때 필요에 따라 록케이스(150) 내부의 로테이트훅(160)이 상부에 위치되고 슬라이드훅(170)은 하부에 위치되도록 서로의 위치가 상반되게 뒤집어서 설치할 수도 있다.
도1 은 본 발명의 록킹장치가 샷시문과 문틀에 실시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2a 내지 2c 는 본 발명의 록킹장치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닫히는 과정을 단계별로 보인 단면도
도3a 는 본 발명의 록킹장치가 록킹된 상태에서의 슬라이드로드 위치와 오픈캠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3b 는 본 발명의 핸들에 의해 오픈캠이 슬라이드로드를 상승시킨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4a 와 4b 는 본 발명에서 샷시문을 열기 위해 핸들을 회전시켰을 때 슬라이드훅이 먼저 동작된 후 로테이트훅이 동작되는 상태를 차례로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 슬라이드로드 131 : 오픈캠
132 : 걸림단 140 : 핸들
160 : 로테이트훅 161 : 턱부
162 : 훅부 163 : 스톱퍼홈
164 : 훅받침부 170 : 슬라이드훅
171 : 스톱퍼 173 : 걸림돌기
174 : 보조훅부 210 : 스트라이크
211 : 록킹턱 212 : 보조록킹턱

Claims (3)

  1. 2점 방식의 록킹을 위해 문틀(200)의 상하에 각각 설치되며, 한쪽 단(하단)에 록킹턱(211)이 구비된 스트라이크(210);
    샷시문(100)에 설치되는 로드베이스(110)의 일측면 중앙에 부착 고정되며, 핸들(140)과 일체로 회전되는 오픈캠(131)이 내부에 구비된 오픈캠케이스(130);
    로드베이스(110)와 오픈캠케이스(130) 사이에 설치되며, 오픈캠(131)에 의해 승강되는 슬라이드로드(120);
    오픈캠케이스(130)와 일정 간격을 두고 로드베이스(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일측에 스트라이크(210) 출입용 개구부(151)가 구비된 록케이스(150);
    록케이스(150)의 내부 하단에서 로테이트훅스프링(165)의 장력을 받아 전방 아래를 향하여 회전되게 핀축(166)에 설치되며, 스트라이크(210) 전면과 접촉되는 턱부(161)와 록킹턱(211) 이면을 걸어주는 훅부(162)가 위를 향하여 단차지게 형성된 로테이트훅(160);
    으로 이루어진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에 있어서,
    스트라이크(210)의 다른쪽 단(상단)에는 기존 록킹턱(211)과 대향된 보조록킹턱(212)를 형성하고,
    로테이트훅(160)은 턱부(161) 후미에 스톱퍼홈(163)과 훅받침부(164)를 차례로 형성하며,
    록케이스(150)의 내부 상단에는 슬라이드훅스프링(172)에 의해 아래쪽 로테이트훅(160)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슬라이드되면서 하단의 스톱퍼(171)가 스톱퍼홈(163)과 훅받침부(164)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슬라이드훅(170)을 설치하되
    슬라이드훅(170)의 일 측면에는 슬라이드로드(120)의 구멍(121)에 끼워지는 걸림돌기(173)를 형성하여 슬라이드로드(120)와 함께 승강되게 하고, 슬라이드훅(170)의 타 측면에는 스트라이크(210)의 보조록킹턱(212)에 걸리는 보조훅부(174)를 훅부(162)와 대향되게 구비하여
    샷시문(100)을 닫으면 스트라이크(210)의 상하 양단에 훅부(162)와 보조훅부(174)가 동시에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오픈캠(131)에 의해 승강되는 슬라이드로드(120)에는,
    오픈캠(131)이 끼워지는 길다란 장공(122)을 형성하여 오픈캠(131)이 일 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슬라이드로드(120)를 위로 상승시키도록 하고,
    오픈캠(131)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오픈캠(131)만이 원위치로 복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오픈캠케이스(130) 내부 일측에 오픈캠(131)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걸림단(132)을 구비하여
    바닥을 향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핸들(140)을 샷시문(100) 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핸들(140)에 가해진 힘이 샷시문(100)에 전달되면서 도어록 해정과 샷시문 열림 동작이 함께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KR1020090021580A 2009-03-13 2009-03-13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KR100938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580A KR100938504B1 (ko) 2009-03-13 2009-03-13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580A KR100938504B1 (ko) 2009-03-13 2009-03-13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029A true KR20090099029A (ko) 2009-09-21
KR100938504B1 KR100938504B1 (ko) 2010-01-25

Family

ID=41357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580A KR100938504B1 (ko) 2009-03-13 2009-03-13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50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396B1 (ko) * 2011-01-18 2012-01-16 곽상근 잠금수단 및 이를 이용한 개폐장치
KR101158778B1 (ko) * 2010-06-25 2012-06-22 고현명 창문 개폐장치
KR101237642B1 (ko) * 2011-02-08 2013-03-04 이병노 미닫이문의 다단 잠금장치
KR200465812Y1 (ko) * 2011-11-08 2013-03-12 주식회사 대현상공 미닫이 창문용 자동 잠금장치
CN106150199A (zh) * 2016-08-12 2016-11-23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三研究所 联动机构及安全门手动解锁装置
KR20200134822A (ko) * 2019-05-23 2020-12-02 (주)다우솔루션 방충망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722Y1 (ko) 2010-11-05 2012-08-02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창문 잠금용 스트라이커
KR101596618B1 (ko) 2015-01-14 2016-02-22 김쌍호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CN106593139B (zh) * 2016-12-21 2018-11-27 亚萨合莱国强(山东)五金科技有限公司 一种提升推拉门锁
CN107939174A (zh) * 2017-10-13 2018-04-20 亚萨合莱国强(山东)五金科技有限公司 一种内置式提升推拉门锁
AU2019283805B1 (en) * 2019-12-17 2021-03-04 Assa Abloy New Zealand Limited Lock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6682B2 (ja) 2004-02-24 2009-07-01 不二サッシ株式会社 引き障子の施錠装置
KR200401167Y1 (ko) 2005-08-27 2005-1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호 잠금장치
KR200409014Y1 (ko) 2005-12-02 2006-02-22 이판대 창문용 자동잠금장치
KR200433927Y1 (ko) 2006-09-29 2006-12-13 안건형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778B1 (ko) * 2010-06-25 2012-06-22 고현명 창문 개폐장치
KR101104396B1 (ko) * 2011-01-18 2012-01-16 곽상근 잠금수단 및 이를 이용한 개폐장치
KR101237642B1 (ko) * 2011-02-08 2013-03-04 이병노 미닫이문의 다단 잠금장치
KR200465812Y1 (ko) * 2011-11-08 2013-03-12 주식회사 대현상공 미닫이 창문용 자동 잠금장치
CN106150199A (zh) * 2016-08-12 2016-11-23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三研究所 联动机构及安全门手动解锁装置
CN106150199B (zh) * 2016-08-12 2018-06-22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三研究所 联动机构及安全门手动解锁装置
KR20200134822A (ko) * 2019-05-23 2020-12-02 (주)다우솔루션 방충망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8504B1 (ko) 201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504B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KR100938505B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CA2830421C (en) Locking mechanism
KR101205211B1 (ko) 솔레노이드에 의해 해제되는 래치를 이용한 버티컬 도어잠금장치
KR200477585Y1 (ko) 록킹기능을 갖춘 창호 도어용 핸들장치
KR20080038667A (ko) 창문 자동잠금장치
KR20210066762A (ko) 도어 개방이 용이한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EP0550627A4 (ko)
KR200396665Y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KR100647860B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KR101286470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US8495897B1 (en) Overhead door lock
KR101122312B1 (ko) 여닫이문의 3지점 잠금장치
KR20210106399A (ko)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200390738Y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US5152563A (en) Door security lock
JPH0137095Y2 (ko)
JP4181787B2 (ja) 錠付ドアガード
KR200480524Y1 (ko)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
KR101115424B1 (ko) 창호용 버튼식 자동잠금장치
KR200402849Y1 (ko) 미닫이창문용 잠금장치
KR200433833Y1 (ko) 샷시문의 도어록 각도 조절장치
KR200448881Y1 (ko) 여닫이문의 방범구조
JPH0118771Y2 (ko)
JP4389203B2 (ja) シャッターの防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