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738Y1 -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738Y1
KR200390738Y1 KR20-2005-0012292U KR20050012292U KR200390738Y1 KR 200390738 Y1 KR200390738 Y1 KR 200390738Y1 KR 20050012292 U KR20050012292 U KR 20050012292U KR 200390738 Y1 KR200390738 Y1 KR 2003907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ash
hook
sash door
vert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2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Priority to KR20-2005-00122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7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7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7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0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샷시문을 닫는 것과 별도로 항시 도어록을 괘정시켜야만 하므로 외출시 항시 샷시문의 닫힌 상태 확인뿐만 아니라 도어록을 잠그는데도 신경을 써야만 하며, 부주의로 샷시문만 닫고 도어록은 괘정시키지 않은 상태로 외출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문틀 세로부재(100)의 레일베이스(101) 선단에는 전면에 훅공(111)과 걸림단(112)이 구비된 걸림구(110)를 설치하고, 샷시문 세로부재(200)의 요입부(201) 내에는 스프링(232)의 장력을 받아 벌어지려는 양쪽 훅크(230)의 선단 걸고리(231)가 구멍(211) 외부로 돌출된 록본체(210)를 설치하여 샷시문을 닫으면 상기 돌출된 걸고리(231)가 상기 훅공(111)의 걸림단(112)에 항시 끼워져 괘정되게 하고, 괘정된 샷시문을 열 때는 샷시문 세로부재(200) 외면에 설치된 핸들캐치(300)의 핸들(400)을 샷시문을 열고자 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밀기만 하면 상기 훅크(230)의 걸고리(231)가 훅공(111)에서 빠져 해정됨과 동시에 샷시문이 열리게 한 것으로서, 매우 간편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샷시문을 닫는 것만으로 괘정이 항시 이루어지므로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Door lock device of sash door}
본 고안은 건물의 샷시문에 사용되는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건물의 출입용 미닫이문이나 방범용 창문 등의 샷시문에 도어록을 설치한 후 그 샷시문을 여닫을 때마다 도어록을 보다 간편하게 괘/해정할 수 있는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 건물의 출입용 미닫이문이나 베란다의 방범용 창문 등의 샷시문(이하 "샷시문" 이라 총칭함)는 대부분 사방이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문틀과 그 문틀의 레일을 따라 여닫히는 내/외 양쪽 샷시문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문틀의 하측 가로부재에는 양쪽 가이드림 사이에 한쌍의 레일이 형성되고, 내/외 샷시문의 아래쪽 가로부재에는 상기 레일에 얹혀지는 호차를 설치하여 내/외 샷시문이 상기 문틀의 레일을 따라 각각 여닫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문틀의 세로부재에는 상기 레일과 같은 선상이면서 동일 형상으로 돌출된 레일베이스를 형성하고, 양쪽 샷시문의 세로부재 선단에는 상기 레일베이스가 끼워지도록 요입부를 구비하며 그 요입부의 선단 양쪽 내면에는 레일베이스에 밀착되어 방음/방풍 기능을 발휘하는 가스켓이 끼워질 수 있도록 가스켓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샷시문에는 외부에서 함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록을 설치하는데, 종래의 도어록은 양쪽 샷시문의 서로 마주하는 세로부재 중 내측 샷시문의 세로부재에는 핸들에 의해 회전되는 훅크를 설치하고, 외측 샷시문의 세로부재에는 상기 훅크의 걸림구를 설치하여 양쪽 샷시문을 모두 닫은 후 상기 훅크를 걸림구에 걸어주도록 되어 있다.
즉, 종래의 도어록은 샷시문을 닫는 것과는 별도로 항시 도어록을 인위적으로 괘정시켜야만 잠김상태가 유지되고, 도어록이 괘정된 샷시문을 열려면 도어록을 먼저 해정시킨 후 다시 샷시문을 잡고 열어 주어야만 하는 것으로서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많고, 특히 외출시 항시 샷시문의 닫힌 상태 확인뿐만 아니라 도어록을 잠그는데도 신경을 써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샷시문이 닫혀 있기만 하면 부주의하거나 깜박하여 도어록의 잠금상태를 확인하지 않게 되는 경향이 많으며, 샷시문이 열려 있는 때는 그 열린 샷시문을 닫기만 한 상태에서 외출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외출 후 샷시문을 미처 잠그지 않은 것이 생각나게 되면 집에 돌아올 때까지 계속 마음이 편치 못하여 안절부절하게 되며, 심한 경우에는 한 번의 부주의로 인해 그 괘정되지 않은 샷시문을 통해 외부에서 도둑이 쉽게 침입하여 귀중품 등을 도난당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양쪽 샷시문을 닫기만 하면 도어록이 자동으로 잠기도록 하므로서 샷시문을 닫는 것과는 별도로 매번 도어록을 괘정하여여만 하는 종래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샷시문을 열 때 핸들을 샷시문의 열림방향으로 밀기만 하면 도어록의 잠김상태가 저절로 해제되면서 샷시문이 열리도록 하므로서 보다 사용이 간편한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기술구성 및 작용을 실시예로 첨부한 별첨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은 본 고안의 도어록 장치가 문틀 세로부재와 샷시문 세로부재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2 는 본 고안의 도어록 장치가 문틀 세로부재와 샷시문 세로부재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본 고안의 구성 중 문틀의 레일을 따라 양쪽 샷시문이 여닫힐 때 문틀 세로부재(100)에는 레일베이스(101)를 형성하고, 이와 마주하는 양쪽의 샷시문 세로부재(200) 선단에는 상기 레일베이스(101)가 끼워지도록 요입부(201)를 구비하여 된 것은 종래의 샷시문 구성과 같다고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 문틀 세로부재(100)의 레일베이스(101) 선단에는 훅공(111)과 걸림단(112)이 일체로 구비된 걸림구(110)를 설치하며, 간격이 오므려질 때는 상기 걸림구(110)의 훅공(111)에 끼워지고 간격이 벌어질 때는 걸림단(112)에 걸리도록 한쌍의 훅크(230)가 설치된 록본체(210)를 상기 샷시문 세로부재(200)의 요입부(201) 내에 설치하여 샷시문을 닫기만 하면 저절로 괘정되게 한 것에 있다.
도3a 내지 도3d 는 상기 걸림구(110)와 록본체(210)의 양쪽에 나사공이 있는 플랜지(113)(214)를 구비하여 문틀 세로부재(100)의 레일베이스(101)와 샷시문 세로부재(200)의 요입부(201)에 설치된 것을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플랜지(113)(214)를 이용한 설치수단은 문틀 세로부재(100)와 샷시문 세로부재(200)에 설치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느 것으로 변경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록본체(21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록본체(210) 내부에는 양쪽 구멍(211)을 통해 선단 외주면이 경사진 걸고리(231)가 외부로 돌출된 한쌍의 훅크(230)가 서로 대향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한쌍의 훅크(230) 사이에는 스프핑(232)을 설치하여 양쪽 걸고리(231) 사이가 중앙의 힌지핀(233)을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벌어지게 설치된다.
또한, 양쪽 훅크(230)의 후미 내측에는 캠접촉면(234)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는 회전축(250)의 일단이 끼우져 함께 회전되는 캠(220)을 설치하여 캠(220)의 회동에 따라 양쪽 훅크(230)의 후미 간격이 벌어지면 선단의 양쪽 걸고리(231)가 오므려지도록 하며, 록본체(210) 측면에는 상기 캠(220)에 회전축(25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축삽입공(2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록을 해정시키기 위해 상기 록본체(210)의 양쪽 훅크(230) 간격을 인위적으로 오므려주기 위한 수단은 다음과 같다. 즉, 샷시문 세로부재(200)의 표면에는 핸들캐치(300)를 설치하고, 그 핸들캐치(300)에는 상기 회전축(250)이 일측 축공(311)에 끼워지면서 타측에 핸들(400)이 결합되는 로테이터 피봇(310)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 피봇(310)의 끝단에는 스프링(321)을 권회하면서 회전되는 로테이터 스톱퍼(320)를 설치하고, 핸들캐치(300)의 일측 또는 양쪽 내면에는 상기 로테이터 스톱퍼(320)의 회전을 제어하는 걸림턱(301)을 형성하여 핸들(400)의 회전각도 제어 및 원위치로의 복귀가 되게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02)는 샷시문 세로부재(200)의 요입부(201) 선단 양쪽 내면에 방음/방풍 기능의 가스켓을 설치하기 위한 가스켓홀 이고, (213)은 록본체(210)의 커버 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을 도어록의 동작 과정도로 첨부한 도3a 내지 도3d 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a 는 본 고안의 도어록이 설치된 샷시문이 열려 있는 상태일 때 걸림구(110)와 록본체의 내부 구조를 보인 횡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샷시문이 열려서 문틀의 레일베이스(101)에 설치된 걸림구(110)와 샷시문의 요입부(201)에 설치된 록본체(210)가 도3a 와 같이 서로 떨어져 있을 때는 양쪽 훅크(230)가 스프핑(232)의 탄력을 받아 구멍(211) 내에서 간격이 벌어져 서로 수평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샷시문을 닫으면 도3b 와 같이 샷시문의 요입부(201)에 설치된 록본체(210)의 양쪽 훅크(230)는 돌출된 선단의 걸고리(231)가 걸림구(110)의 훅공(111)으로 진입되어 끼워지게 되는데, 이때 양쪽 훅크(230)는 걸고리(231)의 간격이 수평으로 최대한 벌어진 상태이므로 훅공(111)으로 진입할 때 훅공(111)의 외측 걸림단(112)에 양쪽 훅크(230)의 걸고리(231)가 접촉하게 되며, 그 접촉된 걸고리(231)는 외주면이 경사져 있으므로 스프핑(232)을 압축하면서 점차 오므려짐에 따라 결국은 훅공(111)으로 완전히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걸림구(110)의 훅공(111)으로 양쪽 훅크(230)의 걸고리(231)가 완전히 삽입되면 그 즉시 압축되었던 스프핑(232)의 탄력을 받아 양쪽 훅크(230)의 걸고리(231)는 수평으로 벌어지면서 도3c 와 같이 양쪽 걸고리(231)가 걸림구(110)의 양쪽 걸림단(112)에 걸린 상태가 된다.
즉, 본 고안은 샷시문을 닫기만 하면 샷시문의 요입부(201)에 설치된 록본체(210)의 훅크(230)가 문틀에 설치된 걸림구(110)의 훅공(111)에 끼워져 자동으로 괘정되므로 종래처럼 샷시문을 닫은 후 일일이 도어록을 괘정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것이다.
그 후 상기와 같이 도어록이 괘정되어 있는 샷시문을 열고자 할 때는 도3d 와 같이 샷시문의 열리는 방향으로 핸들(400)을 옆으로 제끼면서 밀면 로테이터 피봇(310)에 결합된 회전축(250)이 캠(220)을 회전시킴에 따라 캠접촉면(234)이 접촉되어 있던 훅크(230)의 후미는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이때 힌지핀(233)을 중심으로 그 앞쪽에 위치한 선단의 걸고리(231)는 반대로 서로의 간격이 오므려지게 되므로 걸림구(110)의 걸림단(112)을 벗어나 훅공(111)으로부터 빠져 나올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샷시문은 도어록이 괘정상태에서 해정상태로 변하면서 곧바로 열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핸들(400)을 옆으로 밀어 제낄 때 로테이터 피봇(310)과 일체로 회전되는 로테이터 스톱퍼(320)는 스프링(321)을 권회하면서 회전되다가 핸들캐치(300) 내면의 일측 걸림턱(301)에 걸리게 되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핸들(400)은 과도하게 회전되지 않고 항시 적당한 각도로만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핸들(400)로 해정시킨 샷시문을 원하는 만큼 열은 후 핸들(400)을 놓아주면 로테이터 스톱퍼(320)는 권회되었던 스프링(321)이 풀리는 탄력에 의해 로테이터 피봇(310)과 함께 원위치로 회전되어 복귀되므로 핸들(400)도 다시 도3a 와 같이 원위치로 복귀되며, 이때 로테이터 피봇(310)과 회전축(250)으로 연결된 캠(220) 역시 원위치로 회전되어 복귀되므로 양쪽 훅크(230)는 후미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선단의 걸고리(231) 간격이 다시 수평으로 벌어지는 도3a 의 상태가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핸들캐치(300)의 내면 양쪽에 걸림턱(30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래야만 핸들캐치(300)와 핸들(400)을 좌측 샷시문과 우측 샷시문에 설치할 때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샷시문을 닫기만 하면 언제든지 샷시문에 설치된 록본체의 훅크가 문틀에 설치된 걸림구의 훅공에 자동으로 끼워지면서 괘정상태가 되고, 괘정된 샷시문을 열고자 할 때는 샷시문의 핸들을 옆으로 제끼면서 밀기만 하면 도어록이 해정됨과 동시에 곧바로 샷시문이 열리게 되므로 샷시문을 여닫는 과정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한 것이다.
또한, 외출할 때도 종래처럼 샷시문의 닫힌 상태 확인 뿐만 아니라 도어록을 잠그는데 신경을 써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샷시문을 닫는 것만으로 도어록의 괘정이 명확하게 이루어지므로 외출시 샷시문의 닫힌 상태만 확인하면 도어록의 괘정이 되었음을 알 수 있어 안심하고 외부 일에 몰두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보다 안전한 방범 효과가 있다.
도1 은 본 고안의 도어록 장치가 문틀 세로부재와 샷시문 세로부재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2 는 본 고안의 도어록 장치가 문틀 세로부재와 샷시문 세로부재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3a 내지 도3d 는 본 고안의 도어록 장치가 괘/해정되는 과정을 차례로 보인 횡단면도
도4 는 본 고안에서 핸들캐치에 설치된 로테이터 스톱퍼가 동작되는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문틀 세로부재 101 : 레일베이스
110 : 걸림구 111 : 훅공
112 : 걸림단 200 : 샷시문 세로부재
201 : 요입부 210 : 록본체
220 : 캠 230 : 훅크
232,321 : 스프링 234 : 캠접촉면
250 : 회전축 300 : 핸들캐치
301 : 걸림턱 310 : 로테이터 피봇
320 : 로테이터 스톱퍼 400 : 핸들

Claims (2)

  1. 문틀의 레일을 따라 양쪽 샷시문이 여닫히면서 문틀 세로부재(100)에는 레일베이스(101)를 형성하고, 이와 마주하는 양쪽의 샷시문 세로부재(200)에는 상기 레일베이스(101)가 끼워지도록 요입부(201)를 구비하여 된 샷시문에 도어록을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문틀 세로부재(100)의 레일베이스(101) 선단에 설치되고, 양쪽에 걸림단(112)이 구비된 훅공(111)이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구(110)와;
    상기 샷시문 세로부재(200)의 요입부(201) 내에 설치되고, 전면 양쪽에 훅크용 구멍(211)이 형성되며, 측면에 축삽입공(212)이 형성된 록본체(210)와;
    상기 록본체(210) 내부에 설치되며, 양쪽 구멍(211)을 통해 선단의 외주면이 경사진 걸고리(231)가 외부로 대향되게 돌출되고, 스프핑(232)에 의해 양쪽 걸고리(231) 사이가 중앙의 힌지핀(233)을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벌어지게 설치되며, 후미 내측에 캠접촉면(234)이 형성된 한쌍의 훅크(230)와;
    회전축(250)의 일단이 끼우져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양쪽 훅크(230)의 후미 캠접촉면(234)과 접촉되어 양쪽 걸고리(231)를 오므려주는 캠(220)과;
    상기 샷시문 세로부재(200)의 표면에 고정 설치되며, 축공(311)이 구비된 로테이터 피봇(310)으로 핸들(400)과 회전축(250)을 연결하는 핸들캐치(30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캐치(300)의 내면에는 일측 또는 양측에 걸림턱(301)을 형성하고,
    상기 로테이터 피봇(310) 끝단에는 걸림턱(301)에 걸려 회전이 제어되면서 스프링(321) 장력에 의해 윈위치로 복귀되는 로테이터 스톱퍼(320)를 설치하여
    로테이터 피봇(310)과 이에 설치되는 핸들(400)의 회전 각도 제어 및 원위치로의 복귀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KR20-2005-0012292U 2005-05-02 2005-05-02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KR2003907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292U KR200390738Y1 (ko) 2005-05-02 2005-05-02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292U KR200390738Y1 (ko) 2005-05-02 2005-05-02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738Y1 true KR200390738Y1 (ko) 2005-07-25

Family

ID=43691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292U KR200390738Y1 (ko) 2005-05-02 2005-05-02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73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670Y1 (ko) 2008-06-30 2011-01-05 신영주 창문의 걸림 장치
KR101397611B1 (ko) 2012-12-17 2014-05-27 주식회사 태광인텍 도어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670Y1 (ko) 2008-06-30 2011-01-05 신영주 창문의 걸림 장치
KR101397611B1 (ko) 2012-12-17 2014-05-27 주식회사 태광인텍 도어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3596A (en) Lock assembly for a sliding window, or the like
KR20090099029A (ko)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US9194166B1 (en) Modified door hinge comprising locking mechanism
KR100938505B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US20220112751A1 (en) Poly-axial closure hinge mechanism
KR200390738Y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KR200396665Y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KR100647860B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US3608940A (en) Slidable door safety lock
KR20180041841A (ko) 유격방지구조가 적용된 창호용 잠금장치
JPH10299315A (ja) 引き戸用施錠機構及び引き戸構造
TWM577888U (zh) Door and window lock construction
USRE29162E (en) Abutment swivel doorstop
US3322453A (en) Door check means
KR200248521Y1 (ko) 창문잠금장치
KR100696202B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KR102064641B1 (ko) 환기 및 방범 기능이 구비된 미서기 창호
EP1529909B1 (en) An anti-burglary safety device for doors and windows
CN220378118U (zh) 一种带锁具的无立柱转角推拉门
GB2041437A (en) Hasp door latch
KR101115424B1 (ko) 창호용 버튼식 자동잠금장치
US4148509A (en) Hasp door latch
JPH052768Y2 (ko)
KR100352664B1 (ko) 개폐간격이 조절되는 창문
JP4210776B2 (ja) 煙返しを持つ引違い扉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