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722Y1 - 창문 잠금용 스트라이커 - Google Patents

창문 잠금용 스트라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722Y1
KR200461722Y1 KR2020100011500U KR20100011500U KR200461722Y1 KR 200461722 Y1 KR200461722 Y1 KR 200461722Y1 KR 2020100011500 U KR2020100011500 U KR 2020100011500U KR 20100011500 U KR20100011500 U KR 20100011500U KR 200461722 Y1 KR200461722 Y1 KR 2004617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er
window
housing
piece
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638U (ko
Inventor
이교순
Original Assignee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15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722Y1/ko
Publication of KR201000126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6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7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7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0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0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짝에 장착되며 핸들에 의해 연동하여 개폐되는 스트라이커의 구조를 개량하여서 된 창문 잠금용 스트라이커에 관한 것이다.
구성적 특징은 스트라이커(100)를 구성하는 하우징(1)의 내부 중심부에는 중앙의 버튼(41)이 노출되고 양측부분에는 날개형상의 걸림편(42)을 가진 작동판(4)이 압축스프링(5)에 의해 장착되며,
하우징(1)의 내부 양측에는 토션스프링(3)(3')에 의해 훅크(21)가 항상 개방 위치로 작용하게끔 구성한 잠금쇠(2)(2')를 장착 구성하되, 상기 잠금쇠(2)는 내측 방향으로 저면에 걸림홈(22)을 가진 제어편(24)을 형성하고 측면에는 일정한 각도 이상은 개방되지 않도록 제어턱(23)을 형성하여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그 구성이 지극히 간단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이 뛰어나 원가 절감효과가 뛰어나고 고장이 없어 신뢰성이 극대화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키퍼, 스트라이커, 잠금장치, 시건장치, 창문용 자물쇠

Description

창문 잠금용 스트라이커{a striker for windows lock}
본 고안은 창문 즉 창짝에 장착되어 핸들에 의해 연동하여 개폐작용을 하게 되는 창문 잠금용 스트라이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틀 즉 창짝에는 창문을 여닫기 편하게끔 실내 측으로 레버, 또는 그립형의 핸들이 노출된 형태로 장착되고, 창문틀의 프레임 내부에는 상기 핸들의 축과 연결되어 작용하는 한 쌍의 훅을 가진 키퍼가 장착되며, 창틀에는 상기 창문에 장착된 키퍼의 훅이 작용하는 위치에 스트라이커가 장착 고정되어 창문을 닫을 때는 키퍼의 훅이 스트라이커의 걸림부에 자동으로 걸리게 되고, 열 때는 레버 또는 그립형 핸들의 작용에 의해 걸림부에서 훅이 벌어져 이탈됨으로서 개방이 가능해지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스트라이커의 경우 서로 대향 설치된 한 쌍의 훅이 통상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잡한 연동구조로 되어 있어 제조 및 조립이 매우 번거롭고 제조원가 또한 많이 들어 상품경쟁력이 떨어지는 등의 폐단이 따랐다.
즉,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스트라이커(100a)는 하우징(1a) 내부에 훅크(21a)를 가진 잠금쇠(2a)(2a')와, 상기 잠금쇠(2a)(2a')를 제어하는 작동캠 (3a)(3a'), 그리고 사각의 핸들축이 조립되며 상기 작동캠(3a)(3a')을 작동시켜 창문을 개방시키는 작용을 하는 개방캠(4a)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잠금쇠(2a)(2a')는 중심축(22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일 측에 돌출편(23a)이 형성되어 하우징(1a)과의 사이에 압축스프링(24a)이 장착됨으로서 훅크(21a)가 항상 원복 되게끔 구성되고 또 돌출편(23a)과 반대 위치에는 작동캠(3a)또는 (3a')가 끼워져 작용하는 홈(25a)이 형성되어 있다. 작동캠(3a)(3a')은 압축스프링(31a)에 의해 항상 잠금쇠(2a)(2a')의 홈에 작용하는 캠편(32a)(32a')과 핸들에 의해 작동하는 개방캠(4a)의 제어돌부(41a)(41a')에 의해 연동하는 제어편(33a)(33a')으로 이루어져 있다. 개방캠(4a)은 핸들축이 끼워지는 구멍과 더불어 상기 작동캠(3a)(3a')의 제어편(33a)(33a')을 개방시키는 제어돌부(41a)(41a')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창문을 개방시키기 위해 핸들을 잡고 열고자 하는 방향으로 밀면 개방캠(4a)이 핸들과 함께 회전하면서 제어돌부(41a)(41a')가 작동캠(3a)(3a')의 제어편(33a)(33a')을 재껴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캠(3a)(3a')의 캠편(32a)(32a')이 잠금쇠(2a)(2a')의 홈(25a)에서 이탈되면서 압축스프링(24a)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쇠(2a)(2a')가 회전되게 됨으로 잠금쇠(2a)(2a')와 일체로 형성된 훅크(21a)가 재껴지면서 키퍼로부터 이탈되게 됨으로서 창문이 개방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스트라이커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즉, 잠금쇠(2a)(2a')를 작동시키기 위해 개방캠(4a)과 함께 한 쌍의 작동캠 (3a)(3a')이 구비되어야 함에 따라 제조원가가 과다하게 듦은 물론 부품수가 많아 조립성 및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는 등의 많은 폐단이 따랐던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고안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따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즉, 잠금쇠를 작동시키기 위해 개방캠과 함께 한 쌍의 작동캠이 구비되어야 함에 따라 제조원가가 과다하게 듦은 물론 부품수가 많아 조립성 및 생산성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고 더불어 핸들의 작용이 잠금쇠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반드시 한 쌍의 작동캠을 통하여 전달되어야 함에 따라 기구적으로 매우 복잡하여 사용과정에서 고장이 잦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등의 폐단이 야기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스트라이커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조원가절감과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아울러 잔고장이 없고 신뢰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스트라이커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창문 즉, 창짝의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트라이커(100)를 구성하는 하우징(1)의 내부 중심부에는 중앙의 버튼(41)이 노출되고 양측부분에는 날개형상의 걸림편(42)을 가진 작동판(4)이 압축스프링(5)에 의해 장착되며,
하우징(1)의 내부 양측에는 토션스프링(3)(3')에 의해 훅크(21)가 항상 개방 위치로 작용하게끔 구성한 잠금쇠(2)(2')를 장착 구성하되, 상기 잠금쇠(2)는 내측 방향으로 저면에 걸림홈(22)을 가진 제어편(24)을 형성하고 측면에는 일정한 각도 이상은 개방되지 않도록 제어턱(23)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작동판(4)의 표면 중앙의 버튼을 누르면 작동판(4)이 하강하면서 작동판(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던 걸림편(42)이 잠금쇠(2)(2')의 걸림홈(22)에서 이탈되게 됨으로서 키퍼로부터 스트라이커가 분리되도록 된 구성이기에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하고 작용 또한 매우 뛰어게 되며, 더불어 부품수가 적고 간단하여 제조 및 조립이 매우 원활하게 원가절감효과가 뛰어난 등의 효과가 따른다.
본 고안의 스트라이커(100)는 창문 즉, 창짝의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며 창틀 내측에 장착되는 키퍼(keeper)와 한 조를 이루는 물품이다. 또, 스트라이커에는 푸쉬버튼 방식으로 키퍼로부터 스트라이커가 해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버튼을 누르며 창문을 열면 손쉽게 창문을 개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스트라이커에 핸들이 조립되지 않아 디자인의 다변화 및 다양화를 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스트라이커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스트라이커(100)의 하우징(1) 내부 중앙에는 중앙의 버튼(41)이 노출되고 양측부분에는 날개형상의 걸림편(42)을 가진 작동판(4)이 압축스프링(5)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판(4)은 압축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상승되어 있 게 됨으로 자연이 버튼(41)도 창틀의 표면으로 노출되게 된다.
또, 하우징(1)의 내부 양측에는 토션스프링(3)(3')에 의해 훅크(21)가 항상 개방위치로 작용되게끔 구성된 잠금쇠(2)(2')가 장착 구성되는데, 상기 잠금쇠(2)는 내측방향으로 저면에 걸림홈(22)을 가진 제어편(24)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일정한 각도 이상은 개방되지 않도록 제어턱(23)을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편(24)의 저면 걸림홈(22)에 작동판(4)의 걸림편(42)이 위치하게 되어 잠금쇠(2)(2')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창문을 개방하고자 할 때는 버튼(41)을 누르면서 개방하면 되는데 이때 버튼(41)을 누르게 되면 제어편(24)의 저면 걸림홈(22)에 걸려 잠금쇠(2)(2')를 제어하던 걸림편(42)도 함께 눌리게 되어 걸림홈(22)으로부터 이탈되게 됨으로서 잠금쇠(2)(2')가 토션스프링(3)에 의해 회전 이송되어 키퍼로부터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창문을 닫게 되면 키퍼의 걸림편이 잠금쇠(2)(2')의 몸통을 밀게 되어 자연적으로 훅크(21)(21')가 회전되게 되며 이때 걸림편(42)이 압축스프링(5)에 의해 항상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려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어편(24)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걸림편(42)이 제어편(24)의 저면 경사면에 작용하다가 걸림홈(22)에 다다르면 튀어 올라오게 되며 이때 키퍼의 걸림편을 물게 됨으로서 창문이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버튼(41)를 누르는 간단한 동작으로 창문을 해정시킬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이 지극히 간단하고 동시에 그 작용도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조립성, 생산성이 뛰어나 원가절감효과가 탁월하고 더불어 신뢰 성이 크게 높은 등의 효과가 따르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미설명부호 7은 키퍼이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Claims (1)

  1. 창문 즉, 창짝의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트라이커(100)를 구성하는 하우징(1)의 내부 중심부에는 중앙의 버튼(41)이 노출되고 양측부분에는 날개형상의 걸림편(42)을 가진 작동판(4)이 압축스프링(5)에 의해 장착되며,
    하우징(1)의 내부 양측에는 토션스프링(3)(3')에 의해 훅크(21)가 항상 개방 위치로 작용하게끔 구성한 잠금쇠(2)(2')를 장착 구성하되, 상기 잠금쇠(2)는 내측 방향으로 저면에 걸림홈(22)을 가진 제어편(24)을 형성하고 측면에는 일정한 각도 이상은 개방되지 않도록 제어턱(23)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
KR2020100011500U 2010-11-05 2010-11-05 창문 잠금용 스트라이커 KR2004617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500U KR200461722Y1 (ko) 2010-11-05 2010-11-05 창문 잠금용 스트라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500U KR200461722Y1 (ko) 2010-11-05 2010-11-05 창문 잠금용 스트라이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638U KR20100012638U (ko) 2010-12-21
KR200461722Y1 true KR200461722Y1 (ko) 2012-08-02

Family

ID=44485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500U KR200461722Y1 (ko) 2010-11-05 2010-11-05 창문 잠금용 스트라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72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949B1 (ko) * 2011-05-12 2013-02-01 김기석 버튼식 록킹장치
KR102407288B1 (ko) * 2021-04-12 2022-06-08 최상운 창호 잠금장치용 키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402B1 (ko) 2005-12-09 2007-02-02 윤대혁 창호용 자동 잠금 장치
KR100938504B1 (ko) 2009-03-13 2010-01-25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KR200457729Y1 (ko) 2008-10-27 2012-01-06 이재민 창문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402B1 (ko) 2005-12-09 2007-02-02 윤대혁 창호용 자동 잠금 장치
KR200457729Y1 (ko) 2008-10-27 2012-01-06 이재민 창문잠금장치
KR100938504B1 (ko) 2009-03-13 2010-01-25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638U (ko) 201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5979B1 (ko) 잠금 여부 표시 기능이 구비된 창호용 잠금장치
KR101668632B1 (ko) 방범·방충창용 자동 록킹장치
KR101012497B1 (ko) 창문 자동잠금장치
KR101237642B1 (ko) 미닫이문의 다단 잠금장치
KR200461722Y1 (ko) 창문 잠금용 스트라이커
US2634997A (en) Spring latch mechanism
KR200409479Y1 (ko) 버튼식 창문용 자동잠금장치
JP3880661B2 (ja) 電気錠
KR101256040B1 (ko) 슬라이딩 도어 핸들
KR200461723Y1 (ko) 창문 잠금용 스트라이커
JPS60105776A (ja) 組合わせ錠を備えるトランク等用鎖錠装置
KR200457729Y1 (ko) 창문잠금장치
KR100911950B1 (ko) 도어 자동 잠금장치
KR101599896B1 (ko) 방충망 도어의 잠금장치
KR100633005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0934321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0840141B1 (ko)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KR200457002Y1 (ko) 미닫이창문용 잠금장치
KR100706762B1 (ko)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KR101683129B1 (ko) 창호용 창 잠금장치
KR102211878B1 (ko)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KR101902494B1 (ko) 미닫이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KR200419785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1770042B1 (ko) 폴딩 도어 손잡이
KR102149269B1 (ko) 도어 결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