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729Y1 - 창문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창문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729Y1
KR200457729Y1 KR2020080014251U KR20080014251U KR200457729Y1 KR 200457729 Y1 KR200457729 Y1 KR 200457729Y1 KR 2020080014251 U KR2020080014251 U KR 2020080014251U KR 20080014251 U KR20080014251 U KR 20080014251U KR 200457729 Y1 KR200457729 Y1 KR 2004577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catch
latch
blocking plat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606U (ko
Inventor
이재민
Original Assignee
이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민 filed Critical 이재민
Priority to KR2020080014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72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6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6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7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7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0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 E05C9/12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with rack and pinion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8Hasps; Hasp fastenings; Spring catch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닫이 창문용 창문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 하 2개의 걸림쇠가 상 하 2개의 캐치부에 삽입되어 창문을 잠그는 것이다. 이는 현재 창문잠금장치들이 2개의 캐치부를 갖으나, 한 방향으로만 잠기는 것이 반하여 상부의 걸림쇠는 상부를 향하여 잠기고, 하부의 걸림쇠는 하부를 향하여 잠기도록 고안하였다. 이는 창문 내부에 설치된 이동용 호차의 처짐이나 창문틀의 처짐 또는, 창문틀의 변형이 발생되었을 경우 대부분의 창문잠금장치들이 캐치부의 걸림쇠 삽입을 아래에서 위로 밀어 올리는 방법을 택한 것들이 유격이 발생하는 것에 반하여, 본 고안은 캐치부에 걸림쇠를 아래 위로 걸어주어 창문의 변형시에도 창문잠금장치의 기능을 정확히 수행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는 창문의 잠김 방법이 핸들의 회전에 의한 잠김 방법이 아니라 걸림케이스부의 데드가 캐치부의 닫으면서 걸림쇠가 회전함으로써, 걸림쇠가 회전하게 되고 걸림쇠가 캐치부에 삽입되면 막음판이 걸림쇠의 뒤를 막아 창문을 창문틀에 밀착시키는 동작만으로도 창문이 잠기도록 하였다.
Figure R2020080014251
락, 창문, 훅, 윈도우즈, 창문잠금장치

Description

창문잠금장치{window of lock}
본 고안은 미닫이 창문용 창문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잠금장치에 있어서 한 방향으로만 걸림쇠를 캐치에 걸어 창문을 잠그는 것이 아니라 걸림쇠를 대칭 하여 양방향으로 캐치에 걸어 창문틀에 창문을 밀착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창문 시공 후 창문이 주저앉거나 변형이 생겨 창문틀에 고정된 캐치부와 창문에 설치된 걸림쇠 사이의 유격이 벌어져 창문이 잠기지 않거나 걸림쇠의 일부면 만 캐치부에 걸려 창문잠금장치의 기능을 잃거나, 걸림쇠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미닫이 창문용 창문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배경기술로는 여러 기술이 존재한다. 특히 등록 실용 20-0433867에서 살펴보면 한 방향으로 구성된 두 개의 훅이 피니언(본 고안의 회전기어와 유사한 기능)으로 회전 작동하여 슬라이드판(본 고안의 상 하부 이동쇠 기능과 유사)에 구비되고, 슬라이드판의 이동으로 스트라이크(본 고안의 캐치부 기능과 유사)에 삽입되어 훅(본 고안의 걸림쇠 기능과 유사)이 걸려 창문이 고정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대부분의 미닫이 창문의 창문잠금장치의 걸림구조가 두 개의 걸림쇠 기능을 구비하였지만, 주로 훅 자체의 견고도 내지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한 기능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이러한 일 방향성 창문잠금장치의 경우 건물을 지으면서, 창문을 설치하고 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창문이 내려앉거나, 창문 자체의 변형이 발생하면 창문틀에 고정된 캐치부와 창틀에 설치된 걸림쇠와의 유격이 발생하게 된다.
창문잠금장치의 지속적인 사용 및 시간이 지날수록 캐치부와 걸림쇠와의 유격은 더욱더 멀어지게 된다. 그리고 유격의 발생이 심하면 창문잠금장치의 기능 또한 상실하게 된다. 또한, 유격이 커진 창문은 창문과 창문틀 사이가 벌어지게 되고, 그로 인하여 창문의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는 창문과 창문틀의 간격이 넓어짐으로 인하여, 외부의 바람이나 오염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이는 한 개의 슬라이드 판에 구비된 두 개의 걸림쇠가 같은 상황과 같은 시기에 유격이 발생함으로써 내구성과 견고성 또한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미닫이 창문용 창문잠금장치가 갖는 제반의 문제점을 해결코자 안출된 것이다.
창문이 닫치면서 창문 내부인 창틀기밀음각부에 설치된 걸림쇠가 데드의 캐 치부의 캐치데드받음부에 밀리면서 걸림쇠가 회전하면서 캐치부에 삽입되고, 회전된 걸림쇠의 공간을 막음판이 막으면서 걸림쇠가 복귀되지 못하면서 창문이 잠기는 구조이다.
상기 기능구조를 창틀의 내부인 창틀기밀음각부에 위, 아래의 대칭 하여 위치하도록 하고, 이를 이용하여 창문의 잠김을 캐치부의 내부에 걸림쇠를 위 아래 방향으로 걸어주어 창문틀에 고정된 캐치부에 창문이 잠김으로 인하여, 창문의 유격발생시에도 걸림쇠가 캐치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창문의 처짐이나 변형으로 창문잠금장치가 캐치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잠금장치를 제공하고 자 한다.
또한, 상기 창문잠금장치 구조에 있어서 회전기어가 핸들에 고정된 핸들각심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회전기어의 좌우에 구비된 상부이동쇠와 하부이동쇠가 대칭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막음판걸림쇠에 막음판걸림쇠거치홀을 이용하여 상부와 하부의 막음판을 중앙으로 당겨주고 핸들이 본 위치로 복귀하여도, 막음판스프링에 의하여 막음판이 상시 위 또는 아래의 한 방향으로 복귀하여, 걸림쇠가 회전하여 공간이 생기면 상시 그 공간을 막아주는 역활을 수행한다. 이는 핸들의 회전이 한 방향이어도 서로 대칭인 상부이동쇠와 하부이동쇠를 갖고 막음판걸림쇠거치홀이 막음판의 막음판걸림쇠의 위치를 제어하여, 핸들의 작동 없이도 창문이 잠기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미닫이 창문의 이중 창문장치로서, 기존의 창문잠금장치가 한 방 향성 잠금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창문의 처짐 방생시 잠금장치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에 반하여 창문문금장치가 창문틀에서 창틀을 위에서 아래로, 아래서 위로 감쌈으로써 창문의 처짐 발생시나, 창틀의 변형에 대하여도 안전하게 창문을 잠그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을 좀더 구체적으로 서술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의 구조는 사각의 창문틀(2)과 2개 내지 3개로 구성된 사각의 창틀(1)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의 상기 창문틀단면(22)에는 창문의 이동 내지 창문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레일 형태의 창문틀기밀돌출부(21)를 갖는다.
창틀단면(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창틀(1)의 내부에는 창문틀기밀돌출부(21)에 밀착되어 창틀(1)과 창문틀(2)의 사이가 좁혀지면서 기밀성을 높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창문틀기밀돌출부(21) 부분에는 본 고안의 잠금 장치 중 걸림편 내지 스트라이크 구조를 가진 캐치부(3)가 위치하게 된다. 이 캐치부(3)는 캐치고정홀(31)에 캐치고정볼트(34)를 삽입하여 창문틀기밀돌출부(2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창틀(1)의 창틀기밀음각부(11)에는 본 고안의 창문 잠금장치가 위치하게 된다. 창틀기밀음각부(11)에 위치한 잠금장치의 단면은 도 3의 부품을 결합하여 평면으로 도시한 것(AA)을 참조하면 된다. 또한, 창틀(1)의 외부 표면에는 핸들(14) 뭉치가 위치하게 된다.
창틀(1)의 외부 표면에는 회전기어(94)의 각심삽입홀(94a)에 핸들각심(141) 이 삽입되도록 창틀(1)의 외부 표면에 일정 크기의 구멍을 내고, 그 구멍을 중심으로 부착판고정홀(131)에 부착판고정볼트(132)를 삽입하여 핸들부착판(13)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부착판고정볼트(132)의 형상의 감추기 위하여 핸들부착판(13)의 위에 핸들삽입구(133)를 통하여 부착판카바(134)를 설치하고 그 위에 핸들(14)을 설치하면 된다.
핸들(14)의 회전에 의하여 핸들각심(141)이 같이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회전기어(94)가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기어(94)에 의하여, 상부이동쇠(8)와 하부이동쇠(8a)가 상 하 대칭으로 각 기 상 하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이는 이동쇠스프링(85)의 복귀력이 의하여, 핸들(14)과 상부이동쇠(8), 하부이동쇠(8a)가 항상 지정된 위치로 복귀하고자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의 구성 상태를 좀더 자세하게 살펴보기 위하여, 도 2의 구성 부품 도를 보면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대표도로 각 구성 부품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의 서술의 보면, 창문기밀음각부(11)에 설치된 본 고안의 구성은 창문의 크기에 적응하기 위하여, 부품거치판(10)의 길이가 선택되어지고, 그 위에 위치하게되는 상부이동쇠(8)와 하부이동쇠(8a)의 길이도 선택되어진다. 부품거치판(10)의 상부에는 상부이동쇠(8)와 하부이동쇠(8a)가 위치하게 되고 그 위에는 중앙에 작동케이스(9)와 부품거치판(10)의 상부와 하부에는 걸림케이스부(4)와 하부걸림케이스부(4a)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걸림케이스고정홀(101)를 통하여 걸림케이스장착볼트(102)가 걸림케이스부(4)의 걸림케이스장착홀(도 3의 47)에 고정되 어 진다.
걸림케이스부(4)의 내부에는 데드삽입부(43)에 데드(5)가 데드스프링(51)과 함께 삽입되게 되고, 걸림쇠(6)의 걸림쇠회전부(62)가 걸림케이스부(4)의 걸립쇠삽입홀(44)과 걸림케이스카바(11)의 걸림쇠회전부삽입홀(111)에 위치하여, 데드(5)의 데드기어(52)가 걸림쇠(6)의 걸림쇠기어(61)에 맞물리면서, 데드(5)가 항상 돌출되도록 데드스프링(51)에 의하여 밀려나옴으로 인하여, 도 4의 삽입걸림쇠(6A)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창틀(1)이 창문틀(2)에 밀착되어, 창문이 닫쳐지게 되면, 캐치부(3)의 캐치데드받음부(32)와 데드(5)가 맞다으게 되고, 데드(5)는 부품거치판(10)의 방향으로 밀려들어 가게 된다. 데드(5)가 걸림케이스부(4)의 데드삽입부(43)에서 데드가이드(53)의 도움을 받아, 밀려들어 가면서 데드기어(52)가 걸림쇠기어(61)를 회전시켜 걸림쇠(6)를 도 4의 걸림쇠(6) 위치로 회전시키고, 그로인하여 걸림쇠(6)는 캐치부(3)의 걸림쇠삽입부(33)에 삽입되면서, 캐치부(3)의 캐치데드받음부(32)의 뒤편에 위치하여 창틀(1)이 창문틀(2)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걸림쇠(6)가 회전하여, 만들어진 빈 공간에 막음판(7)이 막음판스프링(71)에 의하여, 항상 위로 올라가려고 하기 때문에 그 빈공간으로 막음판(7)이 삽입되면서, 걸림쇠(6)의 복귀를 막게 되고 그로 인하여 창문이 잠기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와 동작의 원리는 상하 대칭이 되는 하부걸림케이스부(4a)에서도 같이 이루어진다. 본 서술에서는 하부걸림케이스부(4a)의 작동 상태는 생략하였다.
걸림케이스부(4)의 내부에서만 상기와 같은 작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부이동쇠(8)의 막음판걸림쇠거치홀(81)은 긴 장 공의 형태로 구성되어, 막음판(7)의 막음판걸림쇠(72)를 하부로만 당길 수 있고, 상부에 위치할 경우에는 막음판(7)의 작동에 간섭을 주지않도록 유도하였다. 따라서, 창문의 닫침 작동은 막음판걸림쇠거치홀(81) 내부에서 막음판(7)의 막음판걸림쇠(72)가 간섭없이 작동하고 창문을 열리 위하여 핸들(14)을 회전시켜 회전기어(94)가 상부이동쇠(8)를 아래로 당기면 막음판걸림쇠거치홀(81)의 폐쇄된 상부가 막음판걸림쇠(72)을 당겨 막음판(7)이 아래로 내려오게 되고, 그 내려온 공간으로 걸림쇠(6)가 복귀하여 창문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는 상하가 대칭인 걸림쇠케이스부(4)와 하부걸림쇠케이스부(4a)가 같이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상하 대칭 구조로, 창문이 닫치면서 창문 내부인 창틀기밀음각부(11)에 설치된 걸림쇠(6)가 데드(5)의 캐치부(3)의 캐치데드받음부(32)에 밀리면서 걸림쇠(6)가 회전하면서 캐치부(3)에 삽입되고, 회전된 걸림쇠(6)의 공간을 막음판(7)이 막으면서 걸림쇠(6)가 복귀되지 못하면서 창문이 잠기는 구조이다.
상기 기능구조를 창틀(1)의 내부인 창틀기밀음각부(11)에 위, 아래의 대칭 하여 위치하도록 하고, 이를 이용하여 창문의 잠김을 캐치부(3)의 내부에 걸림쇠(6)를 위 아래 방향으로 걸어주어 창문틀(2)에 고정된 캐치부(3)에 창문(1)이 잠김으로 인하여, 창문의 유격발생시에도 걸림쇠(6)가 캐치부(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창문의 처짐이나 변형으로 창문잠금장치가 캐치부(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잠금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창문잠금장치 구조에 있어서 회전기어(94)가 핸들(14)에 고정된 핸들각심(141)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회전기어(94)의 좌우에 구비된 상부이동쇠(8)와 하부이동쇠(8a)가 대칭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막음판걸림쇠(72)에 막음판걸림쇠거치홀(81)을 이용하여 상부와 하부의 막음판(7)을 중앙으로 당겨주고 핸들(14)이 본 위치로 복귀하여도, 막음판스프링(71)에 의하여 막음판(7)이 상시 위 또는 아래의 한 방향으로 복귀하여, 걸림쇠(6)가 회전하여 공간이 생기면 상시 그 공간을 막아주는 역활을 수행한다. 이는 핸들(14)의 회전이 한 방향이어도 서로 대칭인 상부이동쇠(8)와 하부이동쇠(8a)를 갖고 막음판걸림쇠거치홀(81)이 막음판(7)의 막음판걸림쇠(72)의 위치를 제어하여, 핸들(14)의 작동 없이도 창문이 잠기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잠금장치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기능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2의 구성 부품도를 평면으로 도시한 것이 도 3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각 구성품을 평면화 한 것이다.
여기서 AA는 본 고안의 부품을 결합하여 평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평면도임에도 불구하고 주요부호는 동일하게 표기하였다.
본 고안의 부품을 결합하여 평면으로 도시한 것(AA)을 살펴보면, 부품거치판(10)에 상부이동쇠(8)와 하부이동쇠(8a)가 위치하게 되고 그의 중간에는 작동케이스(9)가 위치하게 된다. 이 작동케이스(9)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스고정리벳(92)이 케이스고정리벳홀(91)에 삽입되고 상부이동쇠(8)의 케이스리벳삽입이동홀(82)에 삽입되고 다시 부품거치판(10)의 케이스고정리벳삽입홀(104)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부이동쇠(8)의 원활한 상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하여, 작동케이스(9)에는 이동쇠이동홀(96)을 구비하고 있어 이동쇠의 이동을 원활하게 해준다. 이 구조 또한, 회전기어삽입홀1(93)과 작동케이스카바(12)의 회전기어삽입홀2(121)을 기준으로 상 하 대칭되게 구성되도록 하였다.
상부이동쇠(8)와 하부이동쇠(8a)의 각 상부와 하부에는 걸림케이스부(4)와 하부걸림케이스부(4a)가 위치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4도는 상 하 대칭으로 작동하는 구조를 상기에서 서술하였기에, 상부의 작동상태 만을 갖고 서술하고자 한다.
본 4도의 좌측도와 우측 도에서 나타나 보이듯, 좌측 도는 창문이 잠긴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우측 도는 창문이 열려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핸들(14)의 회전에 따라 회전기어(94)가 회전하게 되고, 회전한 작동회전기어(94A)는 상부이동쇠(8)를 작동상부이동쇠(8A) 처럼 아래로 이동시킨다. 상부이동쇠(8)의 막음판걸림쇠거치홀(도 2의 81)은 막음판(7)을 아래로 당기어 이탈막음판(7A)의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걸림쇠(6)는 데드(5) 내부에 위치한 데드스프링(51)에 의하여, 밀려나가게 되면서 걸림쇠(6)를 삽입걸림쇠(6A) 위치로 복귀시키게 도면서 창문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를 다시 살펴보면, 창문이 열려있는 상태인 우측 도와 같은 상태에서 회전기어(94)가 이동쇠스프링(85)에 의하여 복귀하여도, 이탈막음판(7A)은 삽입걸립쇠(6A)에 의하여 올라가지 못하게 되므로 창문이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써 핸들(14)은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창문을 이동시켜 데드(5)를 캐치부(3)에 밀착시키면, 데드(5)는 뒤로 밀리면서 걸림쇠(6)를 회전시키게 되고 걸리쇠가 이탈된 빈 공간을 막음판(7)이 막으면서 창문이 잠기게 되는 것이다. 창문이 잠긴 상태를 도시한 것이 도 4의 좌측도면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의 작동원리와 기능을 살펴보면,
창문이 닫치면서 창문 내부인 창틀기밀음각부(11)에 설치된 걸림쇠(6)가 데드(5)의 캐치부(3)의 캐치데드받음부(32)에 밀리면서 걸림쇠(6)가 회전하면서 캐치부(3)에 삽입되고, 회전된 걸림쇠(6)의 공간을 막음판(7)이 막으면서 걸림쇠(6)가 복귀되지 못하면서 창문이 잠기는 구조이다.
상기 기능구조를 창틀(1)의 내부인 창틀기밀음각부(11)에 위, 아래의 대칭 하여 위치하도록 하고, 이를 이용하여 창문의 잠김을 캐치부(3)의 내부에 걸림쇠(6)를 위 아래 방향으로 걸어주어 창문틀(2)에 고정된 캐치부(3)에 창문(1)이 잠김으로 인하여, 창문의 유격발생시에도 걸림쇠(6)가 캐치부(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창문의 처짐이나 변형으로 창문잠금장치가 캐치부(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잠금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창문잠금장치 구조에 있어서 회전기어(94)가 핸들(14)에 고정된 핸들각심(141)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회전기어(94)의 좌우에 구비된 상부이동쇠(8)와 하부이동쇠(8a)가 대칭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막음판걸림쇠(72)에 막음판걸림쇠거치홀(81)을 이용하여 상부와 하부의 막음판(7)을 중앙으로 당겨주고 핸들(14)이 본 위치로 복귀하여도, 막음판스프링(71)에 의하여 막음판(7)이 상시 위 또는 아래의 한 방향으로 복귀하여, 걸림쇠(6)가 회전하여 공간이 생기면 상시 그 공간을 막아주는 역활을 수행한다. 이는 핸들(14)의 회전이 한 방향이어도 서로 대칭인 상부이동쇠(8)와 하부이동쇠(8a)를 갖고 막음판걸림쇠거치홀(81)이 막음판(7)의 막음판걸림쇠(72)의 위치를 제어하여, 핸들(14)의 작동 없이도 창문이 잠기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잠금장치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대표도로 각 구성 부품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각 구성품을 평면화 한 것이다.
여기서 AA는 본 고안의 부품을 결합하여 평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평면도임에도 불구하고 주요부호는 동일하게 표기하였다.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창틀, 2: 창문틀
11: 창틀기밀음각부, 12: 창틀단면, 21: 창문틀기밀돌출부, 22: 창문틀단면
3: 캐치부, 3a: 하부캐치부
31: 캐치고정홀, 32: 캐치데드받음부, 33: 걸림삽입부, 34: 캐치고정볼트
4: 걸림케이스부, 4a: 하부걸림케이스부
41: 케이스고정홀, 42: 케이스고정볼트, 43: 데드삽입부, 44: 걸림쇠삽입홀
45: 막음판삽입홀, 46: 걸림쇠카바고정볼트홀, 47: 걸림케이스장착홀
5: 데드, 5A: 돌출데드
51: 데드스프링, 52: 데드기어, 53: 데드가이드
6: 걸림쇠, 6a: 하부걸림쇠, 6A: 삽입걸림쇠
61: 걸림쇠기어, 62: 걸림쇠회전부
7: 막음판, 7A: 이탈막음판
71: 막음판스프링, 72: 막음판걸림쇠, 73: 스프링삽입홀
8: 상부이동쇠, 8a: 하부이동쇠, 8A: 작동상부이동쇠
81: 막음판걸림쇠거치홀, 82: 케이스리벳삽입이동홀, 83: 회전기어거치홀
84: 스프링거치돌출부, 85: 이동쇠스프링, 85A: 압축이동쇠스프링
9: 작동케이스
91: 케이스고정리벳홀, 92: 케이스고정리벳, 93: 회전기어삽입홀1
94: 회전기어, 94a: 각심삽입홀, 94A: 작동회전기어
95: 케이스고정볼트삽입대, 96: 이동쇠이동홀
10: 부품거치판, 101: 걸림케이스고정홀
102: 걸림케이스장착볼트, 103: 케이스고정볼트삽입홀
104: 케이스고정리벳삽입홀
11: 걸림케이스카바
111: 걸림쇠회전부삽입홀, 112: 걸림카바고정볼트거치홀
113: 걸림케이스고정볼트
12: 작동케이스카바
121: 회전기어삽입홀2, 122: 작동카바고정볼트, 123: 작동카바고정홀
13: 핸들부착판, 131: 부착판고정홀
132: 부착판고정볼트, 133: 핸들삽입구, 134: 부착판카바
14: 핸들, 141: 핸들각심, 142: 이탈방지스냅링삽입홀

Claims (2)

  1. 삭제
  2. 창문잠금장치 구조에 있어서 회전기어(94)가 핸들(14)에 고정된 핸들각심(141)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회전기어(94)의 좌우에 구비된 상부이동쇠(8)와 하부이동쇠(8a)가 대칭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막음판걸림쇠(72)에 막음판걸림쇠거치홀(81)을 이용하여 상부와 하부의 막음판(7)을 중앙으로 당겨주고 핸들(14)이 본 위치로 복귀하여도, 막음판스프링(71)에 의하여 막음판(7)이 상시 위 또는 아래의 한 방향으로 복귀하여, 걸림쇠(6)가 회전하여 공간이 생기면 상시 그 공간을 막아주는 역활을 수행하며, 이는 핸들(14)의 회전이 한 방향이어도 서로 대칭인 상부이동쇠(8)와 하부이동쇠(8a)를 갖고 막음판걸림쇠거치홀(81)이 막음판(7)의 막음판걸림쇠(72)의 위치를 제어하여 핸들(14)의 작동 없이도 창문이 잠기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잠금장치.
KR2020080014251U 2008-10-27 2008-10-27 창문잠금장치 KR2004577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251U KR200457729Y1 (ko) 2008-10-27 2008-10-27 창문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251U KR200457729Y1 (ko) 2008-10-27 2008-10-27 창문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606U KR20100004606U (ko) 2010-05-07
KR200457729Y1 true KR200457729Y1 (ko) 2012-01-06

Family

ID=44199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251U KR200457729Y1 (ko) 2008-10-27 2008-10-27 창문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7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723Y1 (ko) 2010-11-05 2012-08-02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창문 잠금용 스트라이커
KR200461722Y1 (ko) 2010-11-05 2012-08-02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창문 잠금용 스트라이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323B1 (ko) * 2013-12-20 2015-04-13 강인자 창호용 잠금장치
KR200482585Y1 (ko) * 2016-06-13 2017-02-09 주식회사 그린한옥공간 록킹장치가 구비된 여닫이 창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4091A (ja) * 1996-03-29 1997-10-07 Midorikawa Kasei Kogyo Kk 両開き押しドア
KR20040037466A (ko) * 2002-10-28 2004-05-07 삼성전기주식회사 파워 엠프 모듈 조립체
KR20040040269A (ko) * 2002-12-03 2004-05-12 박종호 직결식 3중 찌꺼기 걸름받이 육가.
KR200437466Y1 (ko) 2007-02-25 2007-12-04 이재민 창문잠금장치
KR20080016387A (ko) * 2006-08-17 2008-02-21 이재민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
KR200440269Y1 (ko) * 2007-03-28 2008-06-03 이재민 창문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4091A (ja) * 1996-03-29 1997-10-07 Midorikawa Kasei Kogyo Kk 両開き押しドア
KR20040037466A (ko) * 2002-10-28 2004-05-07 삼성전기주식회사 파워 엠프 모듈 조립체
KR20040040269A (ko) * 2002-12-03 2004-05-12 박종호 직결식 3중 찌꺼기 걸름받이 육가.
KR20080016387A (ko) * 2006-08-17 2008-02-21 이재민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
KR200437466Y1 (ko) 2007-02-25 2007-12-04 이재민 창문잠금장치
KR200440269Y1 (ko) * 2007-03-28 2008-06-03 이재민 창문잠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723Y1 (ko) 2010-11-05 2012-08-02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창문 잠금용 스트라이커
KR200461722Y1 (ko) 2010-11-05 2012-08-02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창문 잠금용 스트라이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606U (ko) 201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7845Y1 (ko) 슬라이드식 창문의 잠금장치
KR200457729Y1 (ko) 창문잠금장치
EP2935741A1 (en) Latch mechanism
KR101012497B1 (ko) 창문 자동잠금장치
KR200440269Y1 (ko) 창문잠금장치
KR20160052486A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1237642B1 (ko) 미닫이문의 다단 잠금장치
KR101256040B1 (ko) 슬라이딩 도어 핸들
KR100877568B1 (ko) 창문 자동 잠금 장치
KR100382892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0934321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1206563B1 (ko) 창호용 잠금장치
KR100866997B1 (ko) 건물용 현관문
KR200393226Y1 (ko) 모티스 록 장치
KR101053302B1 (ko) 창문의 잠금장치
KR200461722Y1 (ko) 창문 잠금용 스트라이커
KR100393016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100011369U (ko)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200419785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386711Y1 (ko) 창문용 잠금장치
JP4251354B2 (ja) シャッターの持ち上げ防止構造
KR101053339B1 (ko) 창문의 잠금장치
JP4541716B2 (ja) 引戸用錠
KR200473054Y1 (ko) 락킹 기능이 개선된 도어용 잠금장치
KR200241005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