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402B1 - 창호용 자동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창호용 자동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402B1
KR100678402B1 KR1020050120311A KR20050120311A KR100678402B1 KR 100678402 B1 KR100678402 B1 KR 100678402B1 KR 1020050120311 A KR1020050120311 A KR 1020050120311A KR 20050120311 A KR20050120311 A KR 20050120311A KR 100678402 B1 KR100678402 B1 KR 100678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slide
locking member
housing
hoo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0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정태
이재선
윤대혁
Original Assignee
윤대혁
이재선
권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대혁, 이재선, 권정태 filed Critical 윤대혁
Priority to KR1020050120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4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4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with a bifurcated la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용 자동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자동 잠금 장치는 일반 미서기창의 잠금장치로서 30°~45°의 손잡이 회전만으로 열림이 가능하고 내부 스프링에 의하여 손잡이가 자동으로 원 상태로 위치되고, 잠금 시에는 창문 프레임을 창틀 프레임에 밀착시키기만 하면 제1 잠금 부재 및 제2 잠금 부재가 직선 왕복 운동을 하여 창틀 프레임의 걸편에 걸림으로써 자동으로 잠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창호, 잠금 장치, 걸편, 잠금 부재, 스프링

Description

창호용 자동 잠금 장치 {Auto multi locking for sliding windows}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 잠금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 잠금 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자동 잠금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돌출형 자동 잠금 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매립형 자동 잠금 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6a 및 도 6b에서부터 도 9a 및 도 9b까지는 창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와 이 각각의 상태에 대응되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잠금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걸편 102: 걸림턱
104: 핸들 110: 하우징
111,112: 하우징 114: 가이드 벽
116: 나사결합부 120: 제1 잠금부재
121: 걸고리부 122: 제1 스프링 압축부재
123: 슬라이드 접촉부재 130: 제2 잠금부재
131: 걸고리부 132: 제2 스프링 압축부재
133: 기어 접촉부재 140: 기어
141: 축 구멍 142: 제2 잠금부재 작동돌기
143: 슬라이드 작동돌기 150: 슬라이드
152: 통공 160: 제1 스프링
161: 제2 스프링 162: 복귀 스프링
본 발명은 창호용 자동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미서기창의 잠금장치로서 30°~45°의 손잡이 회전만으로 열림이 가능하고 잠금 시에는 창문 프레임을 창틀 프레임에 밀착시키기만 하면 자동으로 잠금이 이루어지는 창호용 자동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0025316호의 종래의 자동 잠금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잠금장치는 개폐문(1)의 고정부에 부착되고 양측으로 걸림턱(2a)(2b)이 형성된 걸편(2)과 걸편(2)과 대향하는 문틀에 부착되고 직육면체로 되는 고정자(4)와 고정자 외측면에 걸편(2)을 수용할 수 있는 간격에 형성된 안내공(40)(41)과 안내공을 통해 삽입되어 외측돌부에 걸고리(5a)(6a)가 있고 내측단부에는 상하로 지지축(50)(60)이 형성되어 고정자(4)에 형성한 지지공(4a)(4b)에 지지축이 축이음되고 고정자 내측벽과 캣취 사이에 코일스프링(7)(8)이 장치되는 한쌍의 켓취(5)(6)와 두 캣취 사이에 개입되고 중앙부에 회전축(90)이 형성되어 회전축 중심에 각형구멍(91)이 천공되고 양측으로 연결대(9a)(9b)가 형성되어 그 내측과 외측이 경사면(9c)(9d)으로 된 회전자(9)가 켓취(5)(6) 내면에 접촉하고 일측연결대(9b)는 켓취(5) 내면에 접촉하고 타측연결대(9b)는 켓취(6) 내측돌기(6b)에 접촉되게 하여 회전자(9)의 회전축 중심각형구멍(91)에 문틀(3) 외면에 설치된 핸들(10)의 각형 작동봉(11)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자동 잠금 장치는 핸들과 자동 잠금 장치가 직접 조립 연결되지 않아 핸들이나 자동 잠금 장치의 흔들림이 발생하면 작동상의 에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핸들의 구성이 일체형이 아닌 분리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조립의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고,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킨 핸들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하는 스프링이 핸들 내부에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의 표준화가 어렵고 자동 잠금 장치에 필요한 별도의 핸들을 추가로 개발하여야 하므로 이로 인한 금형 및 재고 부담이 가중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쌍의 켓취가 회전운동을 하게 되는데, 켓취의 회전운동에 따라 켓취와 연결된 코일 스프링이 휘어지면서 수축된다. 그런데 켓취가 회전함에 따라 걸편과 닿게 되는 켓취의 경사면의 각도가 점점 작아지기 때문에 걸고리가 걸편의 걸림턱에 걸리게 하려면 힘이 많이 소요되거나 잘 닫히지 않고, 코일 스프링의 휘어지는 형태가 매번 동일하지는 않으므로 작동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등 락(Lock)의 회전 운동 구조로 인한 오작동이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별도의 핸들 개발의 필요 없이 기존의 규격화된 핸들 제품을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고, 자동 잠금 장치의 본체와 핸들이 직접적으로 조립 연결되어 조립체가 단단하게 고정되고, 창호 프레임을 창틀 프레임에 밀착할 때 자동으로 잠금이 이루어지는 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도록 하는 구조 및 작동 방식을 가진 창호용 자동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틀 프레임에 부착되고 그 길이 방향의 양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걸편과, 상기 걸편과 대향하는 위치의 창문 프레임에 부착되고 상기 걸편과 마주 보는 면의 상기 걸편 양단의 걸림턱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한 길이의 제1 안내공 및 제2 안내공이 형성되며, 핸들의 회전축이 통과될 수 있도록 축 구멍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및 외부에 걸쳐 설치되는 제1 잠금부재로서 상기 제1 잠금부재는 열려 있던 창문을 닫는 도중 상기 걸편에 닿게 되면 상기 걸편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하고 창문이 완전히 닫히면 움직이기 전의 위치로 돌아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걸편의 걸림턱에 걸리도록 그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제1 안내공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끝부분이 상기 걸편의 걸림턱에 걸릴 수 있도록 구부러지고 구부러진 부분 중 상기 걸편을 향하는 쪽의 상기 걸편과 닿는 부분에 경사가 형성된 걸고리부와, 상기 걸고리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고리부를 기준으로 상기 걸편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걸고리부의 구부러진 부분의 구부러진 방향과 반 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스프링 압축 부재와 상기 걸고리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고리부를 기준으로 상기 걸편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걸고리부의 구부러진 부분의 구부러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드 접촉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 잠금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및 외부에 걸쳐 설치되는 제2 잠금부재로서 상기 제2 잠금부재는 열려 있던 창문을 닫는 도중 상기 걸편에 닿게 되면 상기 걸편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하고 창문이 완전히 닫히면 움직이기 전의 위치로 돌아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걸편의 걸림턱에 걸리도록 그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제2 안내공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끝부분이 상기 걸편의 걸림턱에 걸릴 수 있도록 구부러지고 구부러진 부분 중 상기 걸편을 향하는 쪽의 상기 걸편과 닿는 부분에 경사가 형성된 걸고리부와 상기 걸고리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고리부를 기준으로 상기 걸편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걸고리부의 구부러진 부분의 구부러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스프링 압축 부재와 상기 걸고리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고리부를 기준으로 상기 걸편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걸고리부의 구부러진 부분의 구부러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 기어 접촉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 잠금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그 중심부에는 상기 걸편의 길이 방향 및 창문의 이동 방향 각각에 수직한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핸들의 각형 회전축이 결합되도록 각형 축 구멍이 형성되고 핸들의 회전축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로서 상기 제2 잠금부재의 기어 접촉 부재의 말단과 접하여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잠금부재를 밀어서 직선 이동시키는 제2 잠금부재 작동 돌기가 형성 되고 핸들의 회전축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로서 회전축의 중심을 지나는 상기 걸편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직선을 경계로 할 때 상기 제2 잠금부재 작동 돌기가 위치하는 편의 반대편에서 돌출된 복수개의 슬라이드 작동 돌기가 형성되는 기어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걸편의 길이 방향으로 뻗은 직선형 판재에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기어의 슬라이드 작동 돌기가 상기 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통공에 삽입되어 맞물리거나 빠짐으로써 직선 운동을 하는 제1 슬라이드부와 상기 제1 잠금부재와 상기 기어 사이를 지나도록 뻗어 한쪽 말단부는 상기 제1 슬라이드부의 말단부와 결합되고 다른 한쪽 말단부는 상기 제1 잠금부재의 슬라이드 접촉 부재와 접하는 제2 슬라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슬라이드와, 상기 제1 잠금부재의 제1 스프링 접촉 부재의 말단과 하우징의 내벽 사이에 끼어져 설치되는 제1 스프링과, 상기 제2 잠금부재의 제2 스프링 접촉 부재의 말단과 하우징의 내벽 사이에 끼어져 설치되는 제2 스프링과, 한쪽 말단은 상기 제1 슬라이드부의 말단부 중 제2 슬라이드부와 연결된 쪽의 반대쪽 말단에 결합되고 다른 한쪽 말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의 이동으로 스프링의 길이가 늘어나면 슬라이드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도록 힘을 가하는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잠금부재 및 제2 잠금부재, 상기 슬라이드, 상기 제1 스프링 및 제2 스프링이 상기 걸편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직선 운동만 할 수 있도록 가이드 구조물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자동 잠금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걸편(101)은 창틀 프레임(100)에 나사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부품으로서 가운데 부분이 'ㄷ'자 형태로 구부러져 있어 상단과 하단에 각각 걸림턱(102)이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걸편(101)의 길이 방향이란 도 3에서와 같은 경우 수직 방향을 의미한다.
창틀 프레임(100)에 고정된 걸편(101)과 마주 보는 창문 프레임(103)의 부분에는 직육면체의 하우징(110)이 나사에 의해 고정 결합되된다. 하우징(110) 내부로부터 하우징(110)에 형성된 안내공(111,112)을 관통하여 하우징(110) 외부로 돌출된 제1 잠금부재(120)의 걸고리부(121)와 제2 잠금부재(130)의 걸고리부(131)는 걸편(10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수평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구성된다. 제1 잠금부재의 걸고리부(121)와 제2 잠금부재의 걸고리부(131)의 끝부분은 각각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구부러져서 갈고리 모양을 이룬다. 제1 잠금부재의 걸고리부(121)와 제2 잠금부재의 걸고리부(131)의 마주 보는 뾰족한 끝부분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걸편(101)의 길이 방향의 양단 사이의 길이보다 짧으므로 창문이 닫히면서 제1 잠금부재의 걸고리부(121)와 제2 잠금부재의 걸고리부(131) 사이에 걸편(101)이 끼어지기 위해서는 제1 잠금부재(120)와 제2 잠금부재(130)가 서로에 대해 벌어지도록 이동됐다가 다시 원 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핸들(104)의 회전축(105)은 하우징(110)의 축 구멍(113)을 통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구성요소와 결합된다.
도 4는 돌출형 잠금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매립형 잠금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돌출형 잠금장치와 매립형 잠금장치의 차이점은 하우징(110)의 나사 결합부(116)의 위치가 서로 다름으로써 돌출형 잠금장치는 하우징(110)이 창문 프레임의 바깥에 돌출된 형태로 결합되는 반면, 매립형 잠금장치는 창문 프레임에 형성된 하우징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에 하우징(110)을 끼워넣어서 부착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돌출형 잠금장치는 창문 프레임의 홈이 깊은 경우에 적용되고, 매립형 잠금장치는 창문 프레임의 홈이 얕은 경우에 적용된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기어(140)와, 슬라이드(150)와, 제1 잠금부재(120)와, 제2 잠금부재(130)와, 제1 스프링(160)과, 제2 스프링(161)과, 복귀 스프링(162)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치된다.
기어(140)의 중심에는 핸들(104)의 사각형 축(105)이 끼워지도록 사각형 축 구멍(113)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 상태에서 기어(140)의 걸편을 향하는 면에는 제2 잠금부재 작동 돌기(142)가 돌출 형성되고, 기어(140)의 걸편을 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는 2개의 슬라이드 작동 돌기(143)가 돌출 형성된다.
제1 잠금부재의 걸고리부(121) 및 제2 잠금부재의 걸고리부(131)는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외부까지 걸쳐 있으며 양 걸고리부(121,131)의 갈고리 모양으로 구부러진 부분 중 창문을 닫는 도중에 걸편과 닿게 되는 부분에는 각각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경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양 걸고리부(121,131)가 걸편에 닿게 되는 순간부터 양 걸고리부(121,131)가 걸편 양단의 걸림턱에 걸리기 전까지의 동안에는 제1 잠금부재(120)와 제2 잠금부재(130)가 서로에 대해 벌어지게 된다.
제1 잠금부재(120)는 걸고리부(121)와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스프링 압축 부재(122)와 슬라이드 접촉 부재(123)가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스프링 압축 부재(122)란 걸고리부(121)의 위쪽으로 연장된 부분을 말하며, 슬라이드 접촉 부재(123)란 제1 스프링 압축 부재(122)와 일직선을 이루며 걸고리부(121)의 아래쪽으로 연장된 부분을 말한다. 제1 스프링 압축 부재(122)의 말단과 하우징(110)의 내측 벽면 사이에는 제1 스프링(160)이 끼워지며, 제1 잠금부재(120)와 제1 스프링(160)이 일정한 영역에서 직선 운동만 하도록 제1 잠금부재(120)와 제1 스프링(160)과 접하는 가이드 벽(114)이 하우징(110)과 일체로 형성된다.
제2 잠금부재(130) 및 제2 스프링(161)은 상기 제1 잠금부재(120) 및 제1 스프링(160)을 기어(140)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대칭시킨 것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다만, 제2 잠금부재(130)에서 제1 잠금부재의 슬라이드 접촉 부재(123)에 해당하는 부분은 기어 접촉 부재(133), 제2 잠금부재(130)에서 제1 잠금부재의 제1 스프링 압축 부재(122)에 해당하는 부분은 제2 스프링 압축 부재(132)라고 명명된다. 제2 잠금부재의 기어 접촉 부재(133)는 잠금 상태에서 기어(140)의 제2 잠금부재 작동 돌기(142)의 하면과 맞닿은 상태에 있게 구성된다.
슬라이드(150)는 'ㄴ'자 형태로 구부러진 판재로서 제1 슬라이드부(151)와 제2 슬라이드부(153)로 구성되는데 제1 슬라이드부(151)는 도 4 및 도 5에서 슬라이드(150)의 수직하게 뻗은 부분을 말하고, 제2 슬라이드부(153)는 도 4 및 도 5에 서 슬라이드(150)의 수평하게 뻗은 부분을 말한다. 제1 슬라이드부(151)에는 기어의 슬라이드 작동 돌기(143)가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두 개의 통공(152)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제1 슬라이드부(151)는 기어(140)와 하우징(110)의 내측 벽면 사이에 끼어져 있게 되고 두 개의 슬라이드 운동 제한 돌기(115) 사이에서 기어(140)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드 운동되도록 구성된다. 제2 슬라이드부(153)는 한쪽 말단은 제1 슬라이드부(151)의 말단과 결합되고 다른 한쪽 말단은 제1 슬라이드부(151)가 맞닿아있는 하우징(110)의 내측 벽면의 반대쪽 하우징(110) 내측 벽면에 닿는 한편 잠금 상태에서 제1 잠금부재(120)의 슬라이드 접촉 부재(123)의 말단과 접한 상태로 있게 된다.
제1 슬라이드부(151)의 하단에는 복귀 스프링(162)의 상단이 걸려져서 결합되고 복귀 스프링(162)의 하단은 하우징(110)에 형성된 스프링 걸이 구멍(117)에 걸려져서 결합된다. 잠금 상태일 때는 복귀 스프링(162)이 탄성을 가지지 않는 상태이나 슬라이드(150)가 위로 움직이게 되면 복귀 스프링(162)이 슬라이드(150)를 끌어당기는 힘을 가지게 된다.
도 6a 및 도 6b에서부터 도 9a 및 도 9b까지는 창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와 이 각각의 상태에 대응되는 잠금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잠금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핸들(104)의 손잡이가 전혀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모습이다.
도 7a 및 도 7b는 잠금 풀림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창을 열기 위해 핸들(104)의 손잡이를 30° 내지 45°정도 돌려서 기어(140)를 회전시키면 기어의 슬라 이드 작동 돌기(143)는 슬라이드(150)를 밀어 올리고 슬라이드(150)는 제1 잠금부재(120)를 밀어 올리며, 기어의 제2 잠금부재 작동 돌기(142)는 제2 잠금부재(130)를 밀어 내림으로써 제1 잠금부재(120)와 제2 잠금부재(130)가 서로에 대해 벌어지도록 동시에 움직이면서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도 8a 및 도 8b는 제1 잠금부재(120) 및 제2 잠금부재(130)가 원 위치된 상태로 사용자가 손으로 핸들(104)의 손잡이를 돌려서 창문을 연 다음에 핸들(104)을 놓으면 슬라이드(150)에 연결된 복귀 스프링(162)에 의해서 슬라이드(150)가 원 위치로 돌아오고 이에 따라 기어(140)도 회전되어 원 위치로 돌아가며 제1 잠금부재(120)는 제1 스프링(160)에 의해, 제2 잠금부재(130)는 제2 스프링(161)에 의해 밀려남으로써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도 9a 및 도 9b는 창문이 닫힘에 따른 잠금 순간을 나타낸 것으로서, 슬라이드(150)와 기어(140)는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제1 잠금부재(120)와 제2 잠금부재(130)만 걸편의 걸림턱을 넘기 위해 벌어졌다가 다시 원 위치하면서 걸편에의 잠금이 완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자동 잠금 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제품과는 달리 핸들을 복귀시키는 스프링 장치가 잠금 장치 내부에 구비되어 있어 기존 규격화된 시스템 창호 및 반자동 핸들의 사용이 가능하고, 핸들의 고정 방법이 핸들 하우징과 직접 조립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고 조립이 편리하며, 걸편에걸리는 잠금부재의 운동이 회전 운동이 아닌 직선 운동이고 스프링도 모두 직선 방 향으로만 수축 또는 팽창되므로 동작이 정확하고 개폐가 손쉽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

  1. 창틀 프레임에 부착되고 그 길이 방향의 양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걸편;
    상기 걸편과 대향하는 위치의 창문 프레임에 부착되고, 상기 걸편과 마주 보는 면의 상기 걸편 양단의 걸림턱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한 길이의 제1 안내공 및 제2 안내공이 형성되며, 핸들의 회전축이 통과될 수 있도록 축 구멍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및 외부에 걸쳐 설치되는 제1 잠금부재로서, 상기 제1 잠금부재는 열려 있던 창문을 닫는 도중 상기 걸편에 닿게 되면 상기 걸편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하고 창문이 완전히 닫히면 움직이기 전의 위치로 돌아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걸편의 걸림턱에 걸리도록 그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제1 안내공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끝부분이 상기 걸편의 걸림턱에 걸릴 수 있도록 구부러지고 구부러진 부분 중 상기 걸편을 향하는 쪽의 상기 걸편과 닿는 부분에 경사가 형성된 걸고리부와, 상기 걸고리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고리부를 기준으로 상기 걸편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걸고리부의 구부러진 부분의 구부러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스프링 압축 부재와, 상기 걸고리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고리부를 기준으로 상기 걸편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걸고리부의 구부러진 부분의 구부러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드 접촉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 잠금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및 외부에 걸쳐 설치되는 제2 잠금부재로서, 상기 제2 잠금부재는 열려 있던 창문을 닫는 도중 상기 걸편에 닿게 되면 상기 걸편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하고 창문이 완전히 닫히면 움직이기 전의 위치로 돌아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걸편의 걸림턱에 걸리도록 그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제2 안내공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끝부분이 상기 걸편의 걸림턱에 걸릴 수 있도록 구부러지고 구부러진 부분 중 상기 걸편을 향하는 쪽의 상기 걸편과 닿는 부분에 경사가 형성된 걸고리부와, 상기 걸고리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고리부를 기준으로 상기 걸편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걸고리부의 구부러진 부분의 구부러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스프링 압축 부재와, 상기 걸고리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고리부를 기준으로 상기 걸편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걸고리부의 구부러진 부분의 구부러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 기어 접촉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 잠금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그 중심부에는 상기 걸편의 길이 방향 및 창문의 이동 방향 각각에 수직한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핸들의 각형 회전축이 결합되도록 각형 축 구멍이 형성되고, 핸들의 회전축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로서 상기 제2 잠금부재의 기어 접촉 부재의 말단과 접하여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잠금부재를 밀어서 직선 이동시키는 제2 잠금부재 작동 돌기가 형성되고, 핸들의 회전축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로서 회전축의 중심을 지나는 상기 걸편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직선을 경계로 할 때 상기 제2 잠금부재 작동 돌기가 위치하는 편의 반대편에서 돌출된 복수개의 슬라이드 작동 돌기가 형성되는 기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걸편의 길이 방향으로 뻗은 직선형 판재에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기어의 슬라이드 작동 돌기가 상기 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통공에 삽입되어 맞물리거나 빠짐으로써 직선 운동을 하는 제1 슬라이드부와 상기 제1 잠금부재와 상기 기어 사이를 지나도록 뻗어 한쪽 말단부는 상기 제1 슬라이드부의 말단부와 결합되고 다른 한쪽 말단부는 상기 제1 잠금부재의 슬라이드 접촉 부재와 접하는 제2 슬라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상기 제1 잠금부재의 제1 스프링 접촉 부재의 말단과 하우징의 내벽 사이에 끼어져 설치되는 제1 스프링;
    상기 제2 잠금부재의 제2 스프링 접촉 부재의 말단과 하우징의 내벽 사이에 끼어져 설치되는 제2 스프링;
    한쪽 말단은 상기 제1 슬라이드부의 말단부 중 제2 슬라이드부와 연결된 쪽의 반대쪽 말단에 결합되고 다른 한쪽 말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의 이동으로 스프링의 길이가 늘어나면 슬라이드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도록 힘을 가하는 복귀 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잠금부재 및 제2 잠금부재, 상기 슬라이드, 상기 제1 스프링 및 제2 스프링이 상기 걸편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직선 운동만 할 수 있도록 가이드 구조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자동 잠금 장치.
KR1020050120311A 2005-12-09 2005-12-09 창호용 자동 잠금 장치 KR100678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311A KR100678402B1 (ko) 2005-12-09 2005-12-09 창호용 자동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311A KR100678402B1 (ko) 2005-12-09 2005-12-09 창호용 자동 잠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8402B1 true KR100678402B1 (ko) 2007-02-02

Family

ID=38105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0311A KR100678402B1 (ko) 2005-12-09 2005-12-09 창호용 자동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40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338B1 (ko) 2007-02-05 2007-06-07 케이에스스크린(주) 롤식 방충망 로킹장치
KR100886036B1 (ko) 2007-07-27 2009-02-26 김재식 미닫이 창호의 잠금장치
WO2009116843A2 (ko) * 2008-03-21 2009-09-24 (주) 엘지화학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KR200446666Y1 (ko) 2007-12-27 2009-11-19 안건형 창호의 자동 로킹장치
KR200458458Y1 (ko) 2009-10-27 2012-02-20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창문용 손잡이식 자동잠금장치
KR200461722Y1 (ko) 2010-11-05 2012-08-02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창문 잠금용 스트라이커
KR101641021B1 (ko) 2015-05-12 2016-07-20 주식회사 윈스터 창호 잠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835A (ja) * 1994-11-29 1996-06-11 Miwa Lock Co Ltd 扉の錠装置
KR200169262Y1 (ko) 1999-09-02 2000-02-15 영남금속공업주식회사 발코니용 창의 잠금장치
KR200371733Y1 (ko) 2004-09-03 2005-01-07 윤원종 문 자물쇠
KR200396665Y1 (ko) 2005-04-29 2005-09-26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835A (ja) * 1994-11-29 1996-06-11 Miwa Lock Co Ltd 扉の錠装置
KR200169262Y1 (ko) 1999-09-02 2000-02-15 영남금속공업주식회사 발코니용 창의 잠금장치
KR200371733Y1 (ko) 2004-09-03 2005-01-07 윤원종 문 자물쇠
KR200396665Y1 (ko) 2005-04-29 2005-09-26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338B1 (ko) 2007-02-05 2007-06-07 케이에스스크린(주) 롤식 방충망 로킹장치
KR100886036B1 (ko) 2007-07-27 2009-02-26 김재식 미닫이 창호의 잠금장치
KR200446666Y1 (ko) 2007-12-27 2009-11-19 안건형 창호의 자동 로킹장치
WO2009116843A2 (ko) * 2008-03-21 2009-09-24 (주) 엘지화학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WO2009116843A3 (ko) * 2008-03-21 2009-12-23 (주) 엘지화학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CN101970781A (zh) * 2008-03-21 2011-02-09 乐金华奥斯株式会社 用于窗和门的数字锁定装置
KR200458458Y1 (ko) 2009-10-27 2012-02-20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창문용 손잡이식 자동잠금장치
KR200461722Y1 (ko) 2010-11-05 2012-08-02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창문 잠금용 스트라이커
KR101641021B1 (ko) 2015-05-12 2016-07-20 주식회사 윈스터 창호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402B1 (ko) 창호용 자동 잠금 장치
US4480862A (en) Latching and locking mechanism for sliding door
US9404297B2 (en) Lever actuated compression latch
KR20140016751A (ko) 멀티타입 래치볼트
WO2005038177A1 (en) Opening and closing latch device for furniture
KR101918592B1 (ko) 창호용 무락핸들
US6709031B1 (en) Window and sliding glass door having push button locking mechanism
KR101627578B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의 록킹조립체
US20070046036A1 (en) Slidable and rotatable lock for a window or door
JP4814978B2 (ja) 戸当り装置
JPH049833Y2 (ko)
JP4566225B2 (ja) ドア錠
KR20060023498A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JP6251140B2 (ja) 施錠装置
US20160168886A1 (en) Screwless Mounted Short-Throw Lock for Sliding Windows and Doors
KR101772127B1 (ko) 매립형 잠금장치
KR200194167Y1 (ko) 도어 잠금장치의 연결구
KR200478262Y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
CN220565887U (zh) 一种按压式的推拉钩锁
KR20210147775A (ko) 창호용 샤시 잠금 장치의 구성원리
JP5829528B2 (ja) 建具
CN112443200B (zh) 门锁的推拉模块
US20150292247A1 (en) Locking system
JPS597493Y2 (ja) ドア−キヤツチヤ−
JPH054117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