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262Y1 -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262Y1
KR200478262Y1 KR2020140003487U KR20140003487U KR200478262Y1 KR 200478262 Y1 KR200478262 Y1 KR 200478262Y1 KR 2020140003487 U KR2020140003487 U KR 2020140003487U KR 20140003487 U KR20140003487 U KR 20140003487U KR 200478262 Y1 KR200478262 Y1 KR 200478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nterlocking member
rotating body
supporting
l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4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Priority to KR20201400034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2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2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징의 협소한 내부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여 동작이 안정하고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각 부품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구성이 하우징의 구조적 강도를 높이는 보강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하여 하우징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창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와, 스트라이커와 마주하는 창문틀에 설치된 록킹조립체로 이루어지며, 록킹조립체는 스트라이커에 록킹 또는 록킹해제되는 록커와, 창문틀에 설치되는 창문손잡이의 축과 결합되는 축구멍이 형성된 회전체와, 회전체와 록커 사이에 설치되고 회전체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록커의 작동을 제한하는 연동부재와, 록커가 스트라이커로부터 록킹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 탄성부재를 하우징 내에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연동부재에는, 제1 내지 제3 지지면을 구비하고, 하우징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 지지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하우징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는 내벽, 제1 및 보강지지부를 형성한 구성이다.

Description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Auto Locking Device for Sliding Window}
본 고안은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을 닫는 동작에 의해 창문이 창틀에 자동적으로 록킹되어 잠기고 창문손잡이를 조작하여 창문을 여는 동작에 의해 록킹상태를 해제시켜 창문을 열 수 있도록 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창호는, 사각형상의 창틀에 창문이 직선이동하도록 설치되어 미닫이식으로 도어를 개폐하는 방식이고, 창문틀의 일측이 창틀에 접촉 또는 이격되는 것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는 창문틀의 일측이 창틀에 접촉되어 닫힐 때 자동적으로 록킹되고, 창문을 열기 위해 창문손잡이를 여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킬 때, 록킹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도어를 열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의 종래기술로서,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6576호의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에 고정되는 로킹키퍼(200)와, 창문틀에 고정되는 로킹수단(100)으로 이루어지고, 로킹수단(100)은, 창문손잡이의 축이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로우터(10)와, 로킹키퍼(200)에 록킹 또는 록킹해제되는 작동구(30)와, 상기 로우터(10)와 작동구(30) 사이에 설치되어 로우터(10)의 회전동작을 작동구(30)에 전달함으로써 작동구(30)의 동작을 제한하는 연동구(20)를 하우징(2)내에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창문을 닫게 되면, 작동구(30)가 로킹키퍼(200)에 록킹되어 자동적으로 창문이 잠기고, 창문손잡이를 조작하여 로우터(10)를 회전시키면, 연동구(20)가 연동하여 작동구(30)를 로킹키퍼(200)로부터 록킹해제시킴으로써 창문을 열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는, 연동구(20)가 회전운동하여 연동하는 것이므로, 하우징(2) 내에 폭 방향으로 넓은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하우징(2)의 협소한 공간 내에서 연동구(20)의 작동공간이 넓게 사용되므로, 그만큼 구조적 강도를 위한 보강구성이 부족하여 하우징(2)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이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등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우징(2) 내에 설치되는 각 부품은, 축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것이므로 지지력이 약하여 작동시 유동 되기 쉽고, 이로써 각 부품 상호 간에 안정되고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심하게는 부품이 이탈하여 작동불량을 유발하는 등 그 기능 및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고, 각 부품을 하우징 내에 차례로 조립하는 과정에서도 각 부품을 견고하게 유지하면서 조립할 수 없어 유동 및 위치 이탈로 인해 조립성이 나쁘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하우징의 협소한 내부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여 동작이 안정하고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각 부품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구성이 하우징의 구조적 강도를 높이는 보강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하여 하우징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창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와, 상기 스트라이커와 마주하는 창문틀에 설치된 록킹조립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조립체는 상기 스트라이커에 록킹 또는 록킹해제되는 록커와, 창문틀에 설치되는 창문손잡이의 축과 결합되는 축구멍이 형성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와 록커 사이에 설치되고 회전체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록커의 작동을 제한하는 연동부재와, 상기 록커가 스트라이커로부터 록킹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 탄성부재를 하우징 내에 설치하여 이루어진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되어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제1 지지면과, 상기 회전체측에 형성되고 회전체에 형성한 경사돌기와 접촉하여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연동부재를 직선방향으로 연동시키는 경사부와, 상기 록커측에 형성되고 록커가 스트라이커와 록킹된 위치에서 연동부재의 직선운동에 따라 록커에 형성한 걸림턱에 걸림유지 또는 걸림해제되는 걸림부와, 상기 경사부와 걸림부 사이에 형성되고 연동부재의 직선이동을 지지하는 제2 지지면을 가지는 지지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연동부재의 지지홈부 내에 위치하여 연동부재의 직선이동시 제2 지지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하우징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는 제1 보강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동부재의 경사부와 하우징의 제1 보강지지부 사이에는 상기 연동부재의 걸림부가 록커의 걸림턱에 걸림유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 탄성부재를 탄력설치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연동부재의 경사부에 제3 지지면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연동부재의 직선이동시 제3 지지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하우징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는 제2 보강지지부를 형성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회전체의 바깥둘레면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하우징의 내벽에는 상기 회전체의 일측 바깥둘레면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회전지지면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제2 보강지지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지지면에 의해 지지된 회전체의 반대쪽 바깥둘레면을 지지하는 제3 회전지지면을 형성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회전체의 경사돌기, 연동부재, 하우징의 제1 및 제2 보강지지부, 록커, 제1 및 제2 탄성부재를 상기 회전체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에 대칭되게 설치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회전체와 록커 사이에 설치된 연동부재를 직선이동시킴에 있어, 하우징의 내벽과 제1 보강지지부가 연동부재의 제1 및 제2 지지면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므로, 연동부재의 동작이 안정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제1 보강지지부를 연동부재의 지지홈부에 위치시킴으로써 하우징의 협소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하우징의 보강 기능을 겸하게 되므로, 하우징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수명이 더욱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연동부재의 직선이동시 경사부에 형성된 제3 지지면이 하우징의 제2 보강지지부에 지지되어 연동부재의 동작을 더욱 안정하고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제2 보강지지부에 의해서도 하우징의 보강 기능을 겸하게 되므로, 하우징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연동부재의 제1 내지 제3 지지면이 하우징의 내벽과 제1 및 제2 보강지지부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고, 회전체는 하우징에 형성한 제1 내지 제3 회전지지부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각 부품의 상호 연동 동작이 안정되고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각 부품을 하우징에 조립할 때에도 각 부품을 유동이나 이탈 없이 차례로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a) 및 (b)는 종래의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에서 록킹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록킹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록킹조립체에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록킹조립체의 정면도.
도 6의 (a) 및 (b)는 도 5에 나타낸 록킹조립체의 조립상태도.
도 7의 (a) 내지 (d)는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의 록킹해제시 동작상태도.
도 8의 (a) 내지 (c)는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의 자동 록킹시 동작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는, 도 7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301)에 설치된 스트라이커(302)와, 상기 스트라이커(302)와 마주하는 창문틀(303)에 설치된 록킹조립체(300)를 구비한다.
록킹조립체(3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틀(303)에 고정되는 하우징(350)과, 하우징(350) 내에 설치되는 록커(310), 회전체(320) 및 연동부재(330)를 구비한다.
하우징(350)은 내부에 상기 부품들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쪽면이 개방되어 커버(358)로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350) 내부에 설치되는 록커(310)는, 창틀(301)에 설치된 스트라이커(302)와 록킹 또는 록킹해제시키기 위한 것으로, 스트라이커(302)의 일단에 록킹 또는 록킹해제되는 록킹홈(312)이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350)에 축지지되어 상기 록킹홈(312)이 스트라이커(302)에 록킹되는 위치와 록킹해제되는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록커(310)와 하우징(350) 사이에는 제1 탄성부재(340)(도 5 참조)가 설치되어 록커(310)의 록킹홈(312)이 스트라이커(302)로부터 걸림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제1 탄성부재(340)로는 토션스프링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토션스프링의 일단은 록커(310)에 고정하고 타단은 하우징(350)에 고정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회전체(320)는 창문틀(303)에 설치되는 창문손잡이(304)의 축과 결합되는 축구멍(321)이 형성되어 있고, 바깥둘레면에 후술하는 연동부재(330)를 연동시키기 위한 경사돌기(322)가 형성되어 있다.
연동부재(330)는 록커(310)와 회전체(320) 사이에 설치되고 회전체(320)의 회전운동에 의해 직선이동 방향으로 연동하여 록커(310)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350)의 내벽(351)에 지지되어 연동부재(330)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제1 지지면(331)을 구비한다.
또한 연동부재(330)는 회전체(320)측에 회전체(320)의 경사돌기(322)와 접촉하는 경사부(332)가 형성되고, 경사부(332)는 회전체(320)의 회전에 따라 연동부재(330)가 직선이동하도록 연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연동부재(330)의 경사부(332)와 회전체(320)의 경사돌기(322)는 회전체(320)의 회전시 연동부재(330)가 회전체(320)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방향이 설정된다.
또한 연동부재(330)는 록커(310)측에 록커(310)의 록킹홈(312)이 스트라이커(302)에 록킹된 위치에서, 록커(310)에 형성한 걸림턱(311)에 걸림유지 또는 걸림해제되는 걸림부(333)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체(320)의 회전조작에 의해 연동부재(330)가 직선이동하는 것에 의해 연동부재(330)의 걸림부(333)가 록커(310)의 걸림턱(311)에 걸림유지 또는 걸림해제되어 록커(310)의 작동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다.
연동부재(330)의 경사부(332)와 걸림부(333) 사이에는 연동부재(330)의 직선이동을 지지하는 제2 지지면(335)을 가지는 지지홈부(334)를 구비하고, 하우징(350)에는, 상기 연동부재(330)의 지지홈부(334) 내에 위치하여 연동부재(330)의 직선이동시 제2 지지면(335)을 지지함과 동시에, 하우징(350)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는 제1 보강지지부(352)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연동부재(330)의 직선이동시 연동부재(330)의 제1 및 제2 지지면(331,335)을 하우징(350)의 내벽(351)과 제1 보강지지부(352)가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연동부재(330)의 경사부(332)와 하우징(350)의 제1 보강지지부(352) 사이에는 상기 연동부재(330)의 걸림부(333)가 록커(310)의 걸림턱(311)에 걸림유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 탄성부재(360)(도 5 참조)가 탄력설치되고, 제2 탄성부재(360)는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연동부재(330)의 경사부(332)에 제3 지지면(336)을 더욱 구비하고, 하우징(350)에는 상기 연동부재(330)의 직선이동시 제3 지지면(336)을 지지함과 동시에, 하우징(350)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는 제2 보강지지부(353)를 더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연동부재(330)의 직선이동시 연동부재(330)의 제1 내지 제3 지지면(331,335,336)을 하우징(350)의 내벽(351)과 제1 및 제2 보강지지부(352,353)가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안정되고 원활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회전체(320)는 바깥둘레면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하우징(350)의 내벽(351)에는 상기 회전체(320)의 일측 바깥둘레면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회전지지면(355,356)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350)의 제2 보강지지부(353)에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지지면(355,356)에 의해 지지된 회전체(320)의 반대쪽 바깥둘레면을 지지하는 제3 회전지지면(357)을 형성한다.
따라서 회전체(320)의 회전동작을 하우징(350)의 제1 내지 제3 회전지지면(355,356,357)이 양쪽에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회전체(320)의 동작을 안정하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350) 내에 설치되는 회전체(320)의 경사돌기(322), 연동부재(330), 하우징(350)의 제1 및 제2 보강지지부(352,353), 록커(310), 제1 및 제2 탄성부재(340,360)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체(320)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에 대칭되게 설치함으로써 스트라이커(302)의 양단에 한 쌍의 록커(310)가 록킹 및 록킹해제 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하우징(350) 내에 각 부품을 차례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즉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320)를 하우징(350)의 제1 내지 제3 회전지지면(355,356,357) 사이에 위치시켜 삽입하게 되면, 하우징(350)의 제1 내지 제3 회전지지면(355,356,357)이 회전체(320)의 바깥둘레면을 양쪽의 삼각지점에서 견고하게 지지하므로, 회전체(320)를 하우징(350) 내에 유동이나 이탈 없이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부재(330)의 제1 및 제2 지지면(331,335)을 하우징(350)의 내벽(351)과 제1 보강지지부(352) 사이에 위치시켜 삽입함과 동시에, 연동부재(330)의 경사부(332)를 회전체(320)의 경사돌기(322)와 접촉시키게 되면, 연동부재(330)를 하우징(350)의 내벽(351)과 제1 보강지지부(352)가 양쪽에서 지지하고, 회전체(320)의 경사돌기(322)가 연동부재(330)의 경사부(332)를 지지하게 되므로, 연동부재(330)를 하우징(350) 내에 유동이나 이탈 없이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연동부재(330)의 제3 지지면(336)은 하우징(350)의 제2 보강지지부(353)에 지지되어 연동부재(330)를 내벽(351) 및 제1 보강지지부(352)와 함께 더욱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커(310)를 하우징(350)에 축지지시켜 설치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 탄성부재(340,360)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하우징(350) 내에 각 부품을 차례로 조립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고안의 록킹조립체(300)는, 스트라이커(302)와의 록킹 또는 록킹해제시 작동이 안정되고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즉, 도 7의 (a)에서와 같이 록커(310)의 록킹홈(312)이 스트라이커(302)에 록킹되어 창문이 잠긴 상태에서는 연동부재(330)의 걸림부(333)가 록커(310)의 걸림턱(311)에 걸림유지되어 록커(310)가 회전하지 못하게 되고, 제2 탄성부재(360)의 탄성력은 연동부재(330)를 회전체(320)쪽, 다시 말해서 걸림부(333)를 걸림턱(311)에 걸림유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록킹하여 창문을 잠근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도 7의 (b)에서와 같이 창문을 열기 위해 창문손잡이(304)를 회전조작하게 되면 록킹조립체(300)의 회전체(320)가 회전하게 되고, 회전체(320)의 경사돌기(322)와 연동부재(330)의 경사부(332)의 접촉에 의해 연동부재(330)는 회전체(3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되므로, 연동부재(330)의 걸림부(333)는 록커(310)의 걸림턱(311)으로부터 걸림해제 된다. 이때, 제2 탄성부재(360)는 더욱 압축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7의 (c)에서와 같이, 록커(310)는 제1 탄성부재(340)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해제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해, 록킹홈(312)이 스트라이커(302)로부터 록킹해제 되므로, 도 7의 (d)에서와 같이 창문틀(303)을 창틀(301)로부터 이격시켜 열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창문손잡이(304)를 놓게 되면, 창문손잡이(304)와 회전체(320)는 원위치되어도 연동부재(330)와 록커(310)는 걸림부(333)가 록킹해제 위치에 있는 록커(310)의 일측에 걸려 원위치되지 않으며, 제2 탄성부재(360)도 압축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창문을 닫게 되면, 도 8의 (a) 및 (b)에서와 같이 록커(310)가 스트라이커(302)에 접촉하여 록킹위치로 회전하면서 록커(310)의 록킹홈(312)이 스트라이커(302)에 록킹되고, 이와 동시에 도 8의 (c)에서와 같이 압축되어 있던 제2 탄성부재(3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연동부재(330)가 회전체(320)쪽으로 직선이동하게 되므로, 연동부재(330)의 걸림부(333)가 록커(310)의 걸림턱(311)에 걸림유지되어 록커(310)가 회전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록커(310)의 록킹상태를 유지하여 창문이 자동적으로 잠기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본 고안의 록킹조립체(300)는 도 5에서와 같이 연동부재(330)가 직선이동하는 과정에서 연동부재(330)의 제1 내지 제3 지지면(331,335,336)이 하우징(350)의 내벽(351)과 제1 및 제2 보강지지부(352,353)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고, 회전체(320)의 바깥둘레면은 하우징(350)의 제1 내지 제3 회전지지면(355,356,357)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됨에 따라, 각 부품이 상호 연동함에 있어 유동이나 이탈 없이 안정되고 정확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연동부재(330)와 회전체(320)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된 제1 및 제2 보강지지부(352,353)는 하우징(350)의 협소한 공간 내에서 하우징(350)의 구조적 강도를 높이는 보강 기능을 겸하게 되어 하우징(35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300 : 록킹조립체 301 : 창틀
302 : 스트라이크 303 : 창문틀
310 : 록커 320 : 회전체
330 : 연동부재 331,335,336 : 제1 내지 제3 지지면
334 : 지지홈부 340,360 : 제1 및 제2 탄성부재
350 : 하우징 351 : 내벽
352,353 : 제1 및 제2 보강지지부
355,356,357 : 제1 내지 제3 회전지지면

Claims (4)

  1. 창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와, 상기 스트라이커와 마주하는 창문틀에 설치된 록킹조립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조립체는 상기 스트라이커에 록킹 또는 록킹해제되는 록커와, 창문틀에 설치되는 창문손잡이의 축과 결합되는 축구멍이 형성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와 록커 사이에 설치되고 회전체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록커의 작동을 제한하는 연동부재와, 상기 록커가 스트라이커로부터 록킹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 탄성부재를 하우징 내에 설치하여 이루어진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되어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제1 지지면과, 상기 회전체측에 형성되고 회전체에 형성한 경사돌기와 접촉하여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연동부재를 직선방향으로 연동시키는 경사부와, 상기 록커측에 형성되고 록커가 스트라이커와 록킹된 위치에서 연동부재의 직선운동에 따라 록커에 형성한 걸림턱에 걸림유지 또는 걸림해제되는 걸림부와, 상기 경사부와 걸림부 사이에 형성되고 연동부재의 직선이동을 지지하는 제2 지지면을 가지는 지지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연동부재의 지지홈부 내에 위치하여 연동부재의 직선이동시 제2 지지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하우징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는 제1 보강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동부재의 경사부와 하우징의 제1 보강지지부 사이에는 상기 연동부재의 걸림부가 록커의 걸림턱에 걸림유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 탄성부재를 탄력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동부재의 경사부에 제3 지지면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연동부재의 직선이동시 제3 지지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하우징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는 제2 보강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의 바깥둘레면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하우징의 내벽에는 상기 회전체의 일측 바깥둘레면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회전지지면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제2 보강지지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지지면에 의해 지지된 회전체의 반대쪽 바깥둘레면을 지지하는 제3 회전지지면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체를 삼각지점에서 회전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경사돌기, 연동부재, 하우징의 제1 및 제2 보강지지부, 록커, 제1 및 제2 탄성부재를 상기 회전체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에 대칭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
KR2020140003487U 2014-05-01 2014-05-01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 KR2004782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487U KR200478262Y1 (ko) 2014-05-01 2014-05-01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487U KR200478262Y1 (ko) 2014-05-01 2014-05-01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262Y1 true KR200478262Y1 (ko) 2015-09-11

Family

ID=54341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487U KR200478262Y1 (ko) 2014-05-01 2014-05-01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2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578B1 (ko) * 2016-03-03 2016-06-07 이재선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의 록킹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812Y1 (ko) * 2011-11-08 2013-03-12 주식회사 대현상공 미닫이 창문용 자동 잠금장치
KR200469307Y1 (ko) * 2012-06-08 2013-10-04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812Y1 (ko) * 2011-11-08 2013-03-12 주식회사 대현상공 미닫이 창문용 자동 잠금장치
KR200469307Y1 (ko) * 2012-06-08 2013-10-04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578B1 (ko) * 2016-03-03 2016-06-07 이재선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의 록킹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89987A1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push/pull handles
KR101453945B1 (ko) 멀티타입 래치볼트
RU2728397C2 (ru) Ручка для универсальной сборки
KR101168835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1627578B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의 록킹조립체
KR101467285B1 (ko) 래치볼트의 고정구조체
KR101533194B1 (ko)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200478262Y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
KR101802408B1 (ko) 도어용 로크핸들장치
KR101805053B1 (ko) 레버형 손잡이
KR200456588Y1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KR102452891B1 (ko) 창호용 잠금장치
KR200469307Y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100848878B1 (ko) 도어락 장치
KR101887640B1 (ko)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KR101683129B1 (ko) 창호용 창 잠금장치
KR20150027871A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KR101929683B1 (ko) 창호잠금장치용 키퍼
KR101407437B1 (ko) 푸쉬-풀 타입 도어록
KR101467284B1 (ko)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KR100533059B1 (ko) 도어록 장치
KR101230464B1 (ko) 홈바 도어 잠금장치
JP2006288487A (ja) キー変換式錠
JP4748715B2 (ja) 引戸などの錠装置
KR101569991B1 (ko) 사물함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