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822A - 방충망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방충망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822A
KR20200134822A KR1020190060887A KR20190060887A KR20200134822A KR 20200134822 A KR20200134822 A KR 20200134822A KR 1020190060887 A KR1020190060887 A KR 1020190060887A KR 20190060887 A KR20190060887 A KR 20190060887A KR 20200134822 A KR20200134822 A KR 20200134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pur gear
locking lever
lock lever
uppe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3586B1 (ko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주)다우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우솔루션 filed Critical (주)다우솔루션
Priority to KR1020190060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586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05C9/041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with rack and pinion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6Screens; Insect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둔다.
잠금봉;
상기 잠금봉을 동작하는 잠금레버장치의 구성을 가지고 있는 방충망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금레버장치를 내부에 장착 구성하는 잠금레버몸체부;
상기 잠금레버몸체부의 공간부에 구성한 하부이동간과 상부이동간;
상기 상부이동간의 일단부에 구성한 제1평기어와 상기 하부이동간의 일단부에 구성한 제2평기어;
상기 제1평기어와 상기 제2평기어 사이에 구성한 아이들기어;
상기 제1평기어가 이동하면 상기 제2평기어가 연동하여 이동하되,
상기 아이들기어로 인하여 상기 제1평기어와 상기 제2평기어의 방향이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잠금레버장치는 잠금레버연동장치와 잠금레버로 구성되되,
상기 잠금레버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잠금레버연동장치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잠금레버연동장치의 상단부가 상기 상부이동간선단부를 밀게되는 경우 상기 잠금봉이 상부수평프레임과 하부수평프레임에 각각 잠그도록 이동하고,
상기 잠금레버연동장치의 하단부가 상부이동간선미부를 밀게되는 경우 상기 잠금봉이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에서 상기 잠금봉이 잠금을 해제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충망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충망잠금장치{Insect screen lock}
본 발명은 안전 방충망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 방충망의 상하에 잠금장치를 장착하여 창틀 프레임에 고정시키므로 외부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안전 방충망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해당되는 도5에 의하면 잠금쇠(10)에 의하여 잠금봉(21)이 상하로 이동함으로 방충망을 잠금과 해제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상부의 프레임(51)에만 잠금을 실시하고 하부프레임(51a)에는 잠금이 이뤄지지 않아 신뢰성있는 잠금쇠 역할을 하지 못하여 안전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또한 빈번하게 사용하게되는 경우 상부에는 고정되고 하부에는 고정되어있지 않아 방충망이 전체적으로 휘어지게 되어 장기간 사용할 수 없어 자원낭비를 가져오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게 일어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하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청등록특허번호 10-1599896(2016.03.04) 대한민국특허청등록특허번호 10-1787667(2017.10.18) 대한민국특허청등록특허번호 10-1691927(2017.01.02)
본 발명은 원터치로 접이식문을 안전하게 잠금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잠금봉이 상하로 동시에 이동하여 잠금과 해제를 실시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둔다.
잠금봉;
상기 잠금봉을 동작하는 잠금레버장치의 구성을 가지고 있는 방충망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금레버장치를 내부에 장착 구성하는 잠금레버몸체부;
상기 잠금레버몸체부의 내부에 구성한 하부이동간과 상부이동간;
상기 상부이동간의 일단부에 구성한 제1평기어와 상기 하부이동간의 일단부에 구성한 제2평기어;
상기 제1평기어와 상기 제2평기어 사이에 구성한 아이들기어;
상기 제1평기어가 이동하면 상기 제2평기어가 연동하여 이동하되,
상기 아이들기어로 인하여 상기 제1평기어와 상기 제2평기어의 방향이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잠금레버장치는 잠금레버연동장치와 잠금레버로 구성되되,
상기 잠금레버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잠금레버연동장치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잠금레버연동장치의 상단부가 상기 상부이동간선단부를 밀게되는 경우 상기 잠금봉이 상부수평프레임과 하부수평프레임에 각각 잠그도록 이동하고,
상기 잠금레버연동장치의 하단부가 상부이동간선미부를 밀게되는 경우 상기 잠금봉이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에서 상기 잠금봉이 잠금을 해제하도록 이동하는 장충망잠금장치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이동간선단부와 상기 상부이동간선미부는 각각 상기 상부이동간의 중간부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평기어와 상기 제2평기어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부에 중간판재부를 개재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잠금봉은 각각 상기 상부이동간 및 상기 하부이동간의 타단부에 결착돌기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원터치로 접이식문을 안전하게 잠금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잠금봉이 상하로 동시에 이동하여 잠금과 해제를 완벽하게 실행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제1도는 방충망에 본 발명의 방충망잠금장치를 적용한 것을 보이는 개요도이다.
제2도는 방충망이 잠금상태를 보이기 위하여 일부도면만을 발췌한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방충망잠금장치를 상세하게 보이는 구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방충망잠금장치가 상하를 동시에 이동하게 하는 것에 대하여 보이는 도이다.
제5도는 종래의 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면1은 접이식문 방충망(100)에 방충망잠금장치(200)를 구성한 것이다.
도면2는 도면1에서 잠금장치(200)와 상부수평프레임(400) 및 하부수평프레임 (500)에 잠금봉(310,320)이 잠기는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도3 및 도4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잠금봉(310,320)을 동작하는 잠금레버장치(210)의 구성을 가지고 있는 방충망잠금장치(200)에 있어서,
상기 잠금레버장치(210)를 내부에 장착 구성하는 잠금레버몸체부(220)를 구성한다.
상기 잠금레버몸체부(220)내부에 구성한 하부이동간(230)과 상부이동간(260)을 배치구성한다.
잠금레버몸체부(220)의 내부에는 요부(225)로 구성되어 상부이동간(260)과 하부이동간(230)의 케이스 두께(264)에 해당하는 것과 동일하게 상기 요부(225)가 구성되어 미끄럼마찰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이동간(260)의 일단부에 구성한 제1평기어(266)와 상기 하부이동간(230)의 일단부에 구성한 제2평기어(236)를 구성한다.
상기 제1평기어(266)와 상기 제2평기어(236) 사이에 아이들기어 (273)를 구성한다.
상기 제1평기어(266)가 이동하면 아이들기어(270)가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2평기어(236)가 연동하여 이동한다.
상기 아이들기어의 회전치차(273)로 인하여 상기 제1평기어(266)와 상기 제2평기어(236)의 방향이 정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평기어(266)에는 제1평기어치차(263)이 구성되고 제2평기어(236)에는 제2평기어치차(233)가 구성되어있다.
이렇게 하여 잠금레버(211)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와 연동하여 상하부로 동시에 잠금봉(310,320)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잠금레버장치(210)는 잠금레버연동장치(214)와 잠금레버(211)로 구성된다.
상기 잠금레버(211)의 상하 이동 동작에 의하여 상기 잠금레버연동장치(214)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잠금레버연동장치(214)의 상단부(212)가 상기 상부이동간선단부(262)를 밀게되는 경우 상기와 같은 평기어와 아이들기어의 구조로 인하여 상기 잠금봉(310,320)이 상부수평프레임(400)과 하부수평프레임(500)에 각각 잠그도록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부이동간(260)이 이동함으로 이와 연동된 하부이동간(230)도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잠금레버연동장치(214)의 하단부(213)가 상부이동간선미부(261)를 밀게되는 경우 상기 잠금봉(310,320)이 상기 상부수평프레임(400)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500)에서 상기 잠금봉(310,320)이 잠금을 해제하도록 후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충망잠금장치(200)를 구성한다.
상기 상부이동간선단부(262)와 상기 상부이동간선미부(261)는 각각 상기 상부이동간(260)의 중간부의 상하에 구성한다.
상기 제1평기어(266)와 상기 제2평기어치차(236)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상부에 중간판재부(280)를 개재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봉(310,320)은 각각 상기 상부이동간(260) 및 상기 하부이동간(230)의 타단부에 결착돌기부(239,269)를 구성하여 원터치로 삽입하거나 탈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방충망
200:방충망잠금장치 210:잠금레버장치 211:잠금레버
212:상단부 213:하단부 214:잠금레버연동장치
220:잠금레버몸체부 230:하부이동간 232:하부이동간선단부
233:제2평기어치차 236:제2평기어 239,269:결착돌기부
260:상부이동간 261:상부이동간선미부
262:상부이동간선단부 263:제1평기어치차 265:공간부
266:제1평기어
270:아이들기어 273:회전기어치차 280:중간판재부
310,320:잠금봉 319,329:결착홈부
400:상부수평프레임 410:상부수평프레임레일단부
500:하부수평프레임
600:스톱퍼 610:스톱퍼상부 620:탄성부 630:로킹부

Claims (4)

  1. 잠금봉;
    상기 잠금봉을 동작하는 잠금레버장치의 구성을 가지고 있는 방충망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금레버장치를 내부에 장착 구성하는 잠금레버몸체부;
    상기 잠금레버몸체부 내부에 구성한 하부이동간과 상부이동간;
    상기 상부이동간의 일단부에 구성한 제1평기어와 상기 하부이동간의 일단부에 구성한 제2평기어;
    상기 제1평기어와 상기 제2평기어 사이에 구성한 아이들기어;
    상기 제1평기어가 이동하면 상기 제2평기어가 연동하여 이동하되,
    상기 아이들기어로 인하여 상기 제1평기어와 상기 제2평기어의 방향이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잠금레버장치는 잠금레버연동장치와 잠금레버로 구성되되,
    상기 잠금레버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잠금레버연동장치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잠금레버연동장치의 상단부가 상기 상부이동간선단부를 밀게되는 경우 상기 잠금봉이 상부수평프레임과 하부수평프레임에 각각 잠그도록 이동하고,
    상기 잠금레버연동장치의 하단부가 상부이동간선미부를 밀게되는 경우 상기 잠금봉이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에서 상기 잠금봉이 잠금을 해제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충망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이동간선단부와 상기 상부이동간선미부는 각각 상기 상부이동간의 중간부에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충망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평기어와 상기 제2평기어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부에 중간판재부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충망잠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봉은 각각 상기 상부이동간 및 상기 하부이동간의 타단부에 결착돌기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충망잠금장치.




KR1020190060887A 2019-05-23 2019-05-23 방충망잠금장치 KR102293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887A KR102293586B1 (ko) 2019-05-23 2019-05-23 방충망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887A KR102293586B1 (ko) 2019-05-23 2019-05-23 방충망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822A true KR20200134822A (ko) 2020-12-02
KR102293586B1 KR102293586B1 (ko) 2021-08-26

Family

ID=73791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887A KR102293586B1 (ko) 2019-05-23 2019-05-23 방충망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58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9029A (ko) * 2009-03-13 2009-09-21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KR101599896B1 (ko) 2014-07-01 2016-03-04 김동규 방충망 도어의 잠금장치
KR101691927B1 (ko) 2016-05-21 2017-01-02 강민성 가로형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출입문용 접이식 방충망
US20170058578A1 (en) * 2015-08-31 2017-03-02 Truth Hardware Locking bolt with surface-mounted transmission
KR101787667B1 (ko) 2017-05-24 2017-10-18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안전 방충망 잠금장치
KR20180038172A (ko) * 2016-10-06 2018-04-16 주식회사 지에스윈도어 접이식 도어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9029A (ko) * 2009-03-13 2009-09-21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KR101599896B1 (ko) 2014-07-01 2016-03-04 김동규 방충망 도어의 잠금장치
US20170058578A1 (en) * 2015-08-31 2017-03-02 Truth Hardware Locking bolt with surface-mounted transmission
KR101691927B1 (ko) 2016-05-21 2017-01-02 강민성 가로형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출입문용 접이식 방충망
KR20180038172A (ko) * 2016-10-06 2018-04-16 주식회사 지에스윈도어 접이식 도어용 잠금장치
KR101787667B1 (ko) 2017-05-24 2017-10-18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안전 방충망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586B1 (ko)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4635B2 (en) Multifunctional lock
KR101916103B1 (ko) 잠금장치를 포함한 창호용 그립 손잡이
US8491065B2 (en) Showcase-forming cabinet with locking for at least one sliding glass door
DE102015111197A1 (de) Fahrzeugkonsolensicherheitssystem mit elektrisch verriegelbarer Abdeckung
CN106460420A (zh) 车辆的锁闩组件
KR20200134822A (ko) 방충망잠금장치
KR200410238Y1 (ko) 슬라이드 도어의 록킹장치
KR101642051B1 (ko) 조립식 마방의 출입문
CN103998292A (zh) 座间储物箱的门
RU180737U1 (ru) Дверной замок
KR200475377Y1 (ko) 도어 잠금장치
JPH0242997B2 (ko)
KR200486599Y1 (ko) 창문 안전 잠금장치
KR200495175Y1 (ko) 미닫이 창문용 열림방지장치
CN218644074U (zh) 移窗安全锁
KR20100008308U (ko) 창문용 그립핸들
EP2348176B1 (de) Verschluss eines Treibstangenbeschlages
KR101909173B1 (ko) 도어용 래치유닛
KR200462175Y1 (ko) 폴딩 도어용 경첩
KR20010037769A (ko) 안전 도어 및 창문
JP2004169395A (ja) 開閉装置における開錠装置
JP2589195Y2 (ja) 家具等における施錠機構
KR200268503Y1 (ko) 도어잠금장치
JP2510462Y2 (ja) 面格子
SU59947A1 (ru) Дверной затв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