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7769A - 안전 도어 및 창문 - Google Patents

안전 도어 및 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7769A
KR20010037769A KR1019990045455A KR19990045455A KR20010037769A KR 20010037769 A KR20010037769 A KR 20010037769A KR 1019990045455 A KR1019990045455 A KR 1019990045455A KR 19990045455 A KR19990045455 A KR 19990045455A KR 20010037769 A KR20010037769 A KR 20010037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eans
window
door
safety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영
Original Assignee
김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영 filed Critical 김세영
Priority to KR1019990045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37769A/ko
Publication of KR20010037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76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8Details of fastening means or of fixed retaining means for the ends of bars
    • E05C9/1825Fastening means
    • E05C9/1833Fastening means performing slid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0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 E05C9/12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with rack and pinion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도어 및 창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의 상단 및 하단면에 제 2잠금수단을 구비하여 문을 닫음과 동시에 도어가 자동으로 쇠정되도록 하는 안전 도어 및 창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창문에 있어서, 창문의 측면에 버튼에 의하여 유동가능한 제 2잠금수단을 적어도 하나이상 장착하고, 창틀의 내측면에 상기 각 제 2잠금수단와 접할 수 있는 제 1잠금수단을 장착하므로서, 상기 창문이 닫히면서 상기 창문에 장착된 상기 제 2잠금수단이 상기 제 1잠금수단에 접하게 되고, 상기 제 2잠금수단이 상기 제 1잠금수단 상에서 역회전 되지 않으므로서 상기 창문이 쇠정되며, 상기 버튼을 당겨서 상기 제 2잠금수단을 상기 제 1잠금수단 상에서 이탈시키므로서 상기 창문의 쇠정이 해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창문을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에 있어서, 도어의 측면에 버튼에 의하여 유동가능한 제 2잠금수단을 적어도 하나이상 장착하고, 문틀의 내측면에 제 1잠금수단을 장착하므로서, 상기 도어가 닫히면서 상기 도어에 장착된 상기 제 2잠금수단이 상기 제 1잠금수단에 접하게 되고, 상기 제 2잠금수단이 상기 제 1잠금수단 상에서 역회전 되지 않으므로서 상기 도어가 쇠정되며 상기 버튼을 당겨서 상기 제 2잠금수단을 상기 제 1잠금수단 상에서 이탈시키므로서 상기 도어의 쇠정이 해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도어를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안전 도어 및 창문{Security door}
본 발명은 안전 도어 및 창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의 상단 및 하단면에 제 2잠금수단을 구비하여 문을 닫음과 동시에 도어가 자동으로 쇠정되도록 하는 안전 도어 및 창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가 닫힌 후에 자물쇠에 의하여 열리지 않도록 하며, 최근에는 여려개의 보조키를 이용하거나 내부에서 걸쇠 등을 이용하여 문을 잠그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절도범들이 각종의 장비를 이용하여 시중에 나와있는 대부분의 자물쇠를 열 수 있다. 또한 주택이나 아파트의 창문의 경우에 일층이나, 반지하의 경우에는 보안용 창살을 설치하여 절도를 예방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는 2층이상의 층에서는 보안용 창살을 설치하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절도범들의 수법이 발달하여 2층 이상의 창문도 열고, 들어가고 있으며, 심지어는 작은 화장실 창문도 열고 들어 가는 경우도 있다.
한편, 최근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창문은 주로 알루미눔 샤시가 이용되고 있으며, 알루미늄 샤시의 경우에는 창문과 문틀 사이에 틈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문을 지그재그로 흔들면서 드러이버 등으로 들면, 안에서 쇠정이 되어 있어도 창문을 열수 있다.
따라서, 창문이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현관문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여 시민의 안전을 도모 할수 있는 안전도어 및 창문의 개발이 시급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문을 닫으면 자동으로 쇠정됨은 물론 보조키를 열여도 문이 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자동으로 쇠정되는 안전도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창문에 있어서, 창문의 측면에 버튼에 의하여 유동가능한 제 2잠금수단을 적어도 하나이상 장착하고, 창틀의 내측면에 상기 각 제 2잠금수단와 접할 수 있는 제 1잠금수단을 장착하므로서, 상기 창문이 닫히면서 상기 창문에 장착된 상기 제 2잠금수단이 상기 제 1잠금수단에 접하게 되고, 상기 제 2잠금수단이 상기 제 1잠금수단 상에서 역회전 되지 않으므로서 상기 창문이 쇠정되며, 상기 버튼을 당겨서 상기 제 2잠금수단을 상기 제 1잠금수단 상에서 이탈시키므로서 상기 창문의 쇠정이 해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창문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술한 목적은 도어에 있어서, 도어의 측면에 버튼에 의하여 유동가능한 제 2잠금수단을 적어도 하나이상 장착하고, 문틀의 내측면에 제 1잠금수단을 장착하므로서, 상기 도어가 닫히면서 상기 도어에 장착된 상기 제 2잠금수단이 상기 제 1잠금수단에 접하게 되고, 상기 제 2잠금수단이 상기 제 1잠금수단 상에서 역회전 되지 않으므로서 상기 도어가 쇠정되며 상기 버튼을 당겨서 상기 제 2잠금수단을 상기 제 1잠금수단 상에서 이탈시키므로서 상기 도어의 쇠정이 해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도어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창문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창문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a)는 도 1(a)의 A-A'면을 단면처리한 상태에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b)는 도 1(a)의 A-A'면을 단면처리한 상태에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창문의 또다른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창문의 또다른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창문의 또다른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a)는 도 4(a)의 A-A'면을 단면처리한 상태에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b)는 도 4(a)의 A-A'면을 단면처리한 상태에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는 도 5(b)의 C-C'면을 단면처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b)는 창문이 잠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c)는 창문이 열릴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b)는 도 7(a)의 D-D'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7(c)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을 도어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창틀 20: 창문
30,30a: 제 1잠금수단(래크기어) 30b: 기어부
30c: 이동부 40,40a: 제 2잠금수단(라쳇기어)
41,42: 버튼 43: 로드
44: 탄성수단 43a: 돌기부
43b: 홈 50: 문짝
60: 문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어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잠금수단을 구비하고, 제 2잠금수단에 대응하는 제 1잠금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일반적인 현관문 또는 창문 등 각종의 도어에 적용가능한 발명이다. 한편, 제 2잠금수단은 라쳇기어이고, 제 1잠금수단은 래크기어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창문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창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a)는 도 1(a)의 A-A'면을 단면처리한 상태에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도 1(a)의 A-A'면을 단면처리한 상태에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잠금수단(40)은 창문(20)의 측면(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장착되는데, 제 2잠금수단(40)에 대응하여 창틀(10)의 내측 벽면에 제 1잠금수단(30)이 고정된다. 제 1잠금수단(30)의 중심은 볼록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제 2잠금수단(40)는 버튼(41)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유동가능 하도록 장착된다. 한편, 제 2잠금수단(40)은 일방향으로는 공회전이 되고, 역방향으로는 공회전되지 않는 기어이다. 한편, 상술한 제 2잠금수단(40)은 창문(2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적어도 하나이상 장착되어지며, 각각의 제 2잠금수단(40)이동하는 경로에는 각각 제 1잠금수단(30)이 고정되어진다.
창문이 열린 후에 슬라이딩되어 닫힐 경우에 제 2잠금수단(40)이 제 1잠금수단(30)에 접하게 되고, 제 2잠금수단(40)은 제 1잠금수단(30) 상에서 회전되면서 창문(20)이 닫힌다. 이때, 제 2잠금수단(40)은 제 1잠금수단(30) 상에서 맏물려서 공회전되고, 문이 닫힌 후에 제 2잠금수단인 라쳇기어(40)가 역회전 되지 않기 때문에 문은 자동으로 쇠정 된다. 문을 열때는 버튼(41)을 움직여서 제 2잠금수단(40)이 제 1잠금수단(30) 상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제 2잠금수단(40)이 제 1잠금수단(30) 상에서 이탈되면 도어를 열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창문의 또다른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 1잠금수단(30)의 위치를 중심으로 약간 이동시킨 상태로서, 창문(20)을 닫게 되면 제 2잠금수단(40)은 제 1잠금수단(30)로부터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이상태에서 제 2잠금수단(40)은 손에 힘을 들이지 않고도, 버튼(41)을 잡아 당기므로서 제 1잠금수단(30)와 제 2잠금수단(40)이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버튼(41)을 당기므로서 창문(20)을 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창문의 또다른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창문의 또다른 제 2실시에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a)는 도 4(a)의 A-A'면을 단면처리한 상태에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도 4(a)의 A-A'면을 단면처리한 상태에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a)는 도 5(b)의 C-C'면을 단면처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는 창문이 잠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c)는 창문이 열릴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실시예는 제 1잠금수단(30a) 및 제 2잠금수단(40a)의 형태를 달리한 구성으로서, 제 1잠금수단(30a)의 일측에는 기어부(30b)를 형성하고, 일측에는 기어를 형성하지 않는 이동부(30c)를 형성한 것이다.
제 2실시예에 의한 제 2잠금수단(40a)의 후단에는 탄성수단(44)이 장착되어지며, 제 2잠금수단(40a)에는 로드(43)이 수평방향으로 고정되어 그 단부가 창문의 몸체 밖으로 노출되어진다. 한편, 로드(43)의 단부 외측에는 버튼(42)이 장착되어진다. 한편, 탄성수단(44)은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로드(43)에는 돌기부(43a)가 형성되어 있으며, 로드(43)가 후진 될 때 돌기부(43a)가 접할 수 있는 홈(43b)이 창문(20)의 몸체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6(b)의 상태는 창문이 잠겨져 있는 상태로서, 제 1잠금수단(30a)의 기어부(30b)와 제 2잠금수단(40a)가 맞물려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제 2잠금수단(40a)가 후진하지 않으므로 창문(20)이 잠겨지는 상태가 된다.
도 6(c)의 상태는 창문이 열릴 수 있는 상태로서, 제 1잠금수단(30a)의 이동부(30b)와 제 2잠금수단(40a)이 접하게 되는데, 이동부(30b)에는 기어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 2잠금수단(40a)은 이동로에서 이동되어 질 수 있고, 창문도 함께 열릴 수 있는 상태이다. 한편, 돌기부(43a)는 버튼(42)을 당긴후 돌기부(43a)가 홈(43b)에 접하여 진후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데, 이로 인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한번 당겨긴 버튼(42)은 당겨진 상태를 유지 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에 사용자가 버튼(42)을 누르게 되면 탄성수단(44)의 당기는 힘과 사용자가 누르는 힘에 의하여 돌기부(43a)가 홈(43b)에서 이탈되어짐과 동시에 제 2잠금수단(40a)은 기어부(30b)와 일직선상에 한다. 이 상태에서 창문(20)을 닫으면 창문(20)이 잠겨진다.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의 D-D'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 1잠금수단(30) 및 제 2잠금수단(40)의 장착방식을 달리한 것이다. 제 1잠금수단(30)은 전면에서 봤을때, 기어가 전면에서 보일 수 있도록 고정하고, 라켓기어(40)는 중심축이 수평상태로 장착하던 것을 중심축이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장착한 것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 1잠금수단(30) 대신 창틀(10)의 하부면에도 제 2잠금수단(40)을 장착한 것으로서, 창문(20)에 있는 제 2잠금수단(40)과 창틀(10)에 장착된 제 2잠금수단(40)이 서로 회전되어 닫힌 후, 역회전 되지 않으므로서 창문이 닫히도록 한다. 다시말해서, 도 7(c)는 두개의 제 2잠금수단(40)을 창틀(10)과 창문(20)에 각각 장착한 상태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도어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안전도어는 상술한 제 2잠금수단(30)을 문짝(50)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게 된다. 또한 문틀(60)의 내측벽면에 제 1잠금수단(30)을 고정한다. 제 1잠금수단(30)의 위치는 제 2잠금수단(30)이 이동되는 경로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도둑이 만등키나 기타 첨단 장비를 이용하여 문을 열어도 문이 열리지 않으며, 문을 닫으면 문이 자동으로 잠기어 절도를 예방할 수 있는 우수한 발명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샤시로 이루어진 창문의 틈새를 제 1잠금수단 및 제 2잠금수단에 의하여 보충하므로서 창문을 밖에서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열수 없다. 또한 창문을 잠그기 위하여 별도의 조치가 필요하지 않고, 단지 버튼을 누른 후 창문을 닫기만 하면 창문이 견고하게 닫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밖에서 도어의 자물쇠를 도둑이 장비를 이용하여 열어도 도어가 열리지 않으므로 가정의 방범에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창문에 있어서, 창문의 측면에 버튼에 의하여 유동가능한 제 2잠금수단을 적어도 하나이상 장착하고, 창틀의 내측면에 상기 각 제 2잠금수단과 접할 수 있는 제 1잠금수단을 장착하므로서, 상기 창문이 닫히면서 상기 창문에 장착된 상기 제 2잠금수단이 상기 제 1잠금수단에 접하게 되고, 상기 제 2잠금수단이 상기 제 1잠금수단 상에서 역회전 되지 않으므로서 상기 창문이 쇠정되며, 상기 버튼을 당겨서 상기 제 2잠금수단을 상기 제 1잠금수단 상에서 이탈시키므로서 상기 창문의 쇠정이 해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창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잠금수단는 중심으로 갈수록 볼록한 구조를 가지므로서 상기 제 2잠금수단이 제 1잠금수단 상에서 쉽게 후진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창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잠금수단 대신 제 2잠금수단을 장착하여 상기 창문에 장착된 제 2잠금수단과 접하여 회전된 후에 상기 각각의 제 2 잠금수단이 역회전 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상기 창문이 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창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잠금수단은 래크기어이고, 상기 제 2잠금수단은 라쳇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창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잠금수단의 기어 이빨이 전면에서 보이도록 창틀의 하부면에 고정하고, 상기 제 2잠금수단의 중심축이 수직방향이 되도록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안전창문.
  6. 제 1항의 상기 제 1잠금수단 하부면 일측에는 길이 으로 기어부를 형성하고, 기어부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부를 형성하되,
    상기 기어부 및 상기 이동부 사이를 횡으로 가로질러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제 2잠금수단을 장착하므로서, 상기 제 2잠금수단이 상기 기어부에 접할 때에는 창문을 잠글 수 있고, 상기 제 2잠금수단이 이동부에 위치할 때에는 창문을 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창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잠금수단의 일측 벽면에는 탄성수단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 2잠금수단의 타측 벽면에는 로드가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창문의 몸체부 외측으로 노출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안전창문.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가 접하여 상기 로드가 탄성수단의 탄성에 의하여 이동하지 않도록하기 위하여 상기 창문의 몸체부에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창문.
  9. 제 6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에는 돌기부를 형성하지 않으므로서 상기 로드를 사용자가 잡고 있다가 놓으면 상기 탄성수단의 인장력에 의하여 로드가 후진하게 되고, 제 2잠금수단이 기어부에 접하게 되므로서 창문이 잠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안전창문.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잠금수단은 래크기어이고, 상기 제 2잠금수단은 라쳇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창문,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창문.
  12. 도어에 있어서, 도어의 측면에 버튼에 의하여 유동가능한 제 2잠금수단을 적어도 하나이상 장착하고, 상기 각 제 2잠금수단과 접할 수 있는 제 1잠금수단을 장착하므로서, 상기 도어가 닫히면서 상기 도어에 장착된 상기 제 2잠금수단이 상기 제 1잠금수단에 접하게 되고, 상기 제 2잠금수단이 상기 제 1잠금수단 상에서 역회전 되지 않으므로서 상기 도어가 쇠정되며 상기 버튼을 당겨서 상기 제 2잠금수단을 상기 제 1잠금수단 상에서 이탈시키므로서 상기 도어의 쇠정이 해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도어.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잠금수단는 중심으로 갈수록 볼록한 구조를 가지므로서 상기 제 2잠금수단이 제 1잠금수단 상에서 쉽게 후진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도어.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잠금수단 대신 제 2잠금수단를 장착하여 문짝에 장착된 제 2잠금수단과 접하여 회전된 후에 각각의 제 2잠금수단이 역회전 되지않도록 하므로서 상기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도어.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잠금수단은 래크기어이고, 상기 제 2잠금수단은 라쳇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도어.
KR1019990045455A 1999-10-19 1999-10-19 안전 도어 및 창문 KR20010037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455A KR20010037769A (ko) 1999-10-19 1999-10-19 안전 도어 및 창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455A KR20010037769A (ko) 1999-10-19 1999-10-19 안전 도어 및 창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769A true KR20010037769A (ko) 2001-05-15

Family

ID=19616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455A KR20010037769A (ko) 1999-10-19 1999-10-19 안전 도어 및 창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3776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610A (ko) * 2000-05-31 2000-09-05 임선용 항상 잠긴 창문-2
KR20000054609A (ko) * 2000-05-31 2000-09-05 임선용 항상 잠긴 창문-1
KR101146909B1 (ko) * 2009-03-25 2012-05-22 안종섭 창 잠금장치
KR101218740B1 (ko) * 2011-10-26 2013-01-09 강은석 방범용 방화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610A (ko) * 2000-05-31 2000-09-05 임선용 항상 잠긴 창문-2
KR20000054609A (ko) * 2000-05-31 2000-09-05 임선용 항상 잠긴 창문-1
KR101146909B1 (ko) * 2009-03-25 2012-05-22 안종섭 창 잠금장치
KR101218740B1 (ko) * 2011-10-26 2013-01-09 강은석 방범용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6517B2 (en) Padlock with a status indicator
KR20080095832A (ko) 출입문용 보안 장치
HK1053344A1 (en) Door locking handle assembly of double lock type
US3820285A (en) Blocking device for locking sliding closures
KR20010037769A (ko) 안전 도어 및 창문
US5669256A (en) Door lock mechanism with a release button
US4709566A (en) Single cylinder deadbolt lock mechanism
US3343387A (en) Door knob shield and lock
GB2241282A (en) Door handle assemblies
WO2011131971A1 (en) Rotatable or pivotable door handle locking device
JPH1193482A (ja) ドア、引戸等の建具
WO2003091518A1 (en) A combination lock
KR100277199B1 (ko) 방범창
JPH11148259A (ja) ハンドル錠
JP3975216B2 (ja) 非常用開放機構付き開き戸
JP2005036403A (ja) フラットロック機構
JP2006063789A (ja) 扉装置
KR200302612Y1 (ko) 미닫이 도어 잠금장치
KR200293324Y1 (ko) 도어랫치의 잠금 해제장치
ES2172289T3 (es) Cierre automatico para puertas.
WO1999004118A1 (en) A locking arrangement for sliding doors or shutters
JP2510462Y2 (ja) 面格子
JPH0751596Y2 (ja) 面格子
JPH0849453A (ja) 錠つきドアノブカバー
JP2003184388A (ja) 出入口用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