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513A - 도어 자동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자동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513A
KR20100011513A KR1020080072765A KR20080072765A KR20100011513A KR 20100011513 A KR20100011513 A KR 20100011513A KR 1020080072765 A KR1020080072765 A KR 1020080072765A KR 20080072765 A KR20080072765 A KR 20080072765A KR 20100011513 A KR20100011513 A KR 20100011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clasp
protrusion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0525B1 (ko
Inventor
최경호
최홍기
김종길
Original Assignee
(주)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진 filed Critical (주)명진
Priority to KR1020080072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525B1/ko
Publication of KR20100011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개폐식 창문이나 출입문 등에 설치되는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된 회동식 걸쇠(20)가 구비되는 잠금장치 본체(10)와, 도어 또는 창문(2)과 창틀(1)의 어느 타측에 설치되며 단부에는 상기 걸쇠(20)가 삽입되는 잠금홈(42)이 형성된 걸이구(40)를 포함하며, 상기 걸쇠(20)는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둘레부에는 잠금돌부(22)와 가압돌부(24)와 걸림홈(25)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걸쇠(20)에 인접한 위치에는 스프링(38)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해제구(30)가 조작부재(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해제구(30)는 회전 위치에 따라 걸쇠(20)를 회동가능하게 하거나 고정시킨다.
도어, 잠금장치, 걸쇠, 스톱퍼, 해제구

Description

도어 자동잠금장치 {A SELF-ACTING CATCH FOR A DOOR}
본 발명은 슬라이드 개폐식 창문이나 출입문 등에 설치되는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아서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개폐작동시에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작동가능하며, 개폐작동각도를 임의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도어 자동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개폐식(미닫이식) 출입문이나 창문에 도어를 닫으면 자동으로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자동 잠금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자에 의해 제안된 도어 자동잠금장치로서, 도어(20)와 문틀(10)에 각각 설치되는 잠금장치 본체(100)와 걸이구(170)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0)의 양측에 외부로 돌출된 걸쇠(110)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구(170)의 상하 양측에 각 걸쇠(110)가 체결되는 잠금홈(171)이 형성된다. 본체(100)에는 하우징(101)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잠금홈(171)에 삽입되는 잠금돌부(111)가 구비되며, 이 잠금돌부(111)가 잠금홈(171)에 대해 이탈되는 방향으로 스프링(153)에 의해 탄성지지된 걸쇠(1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양측 걸쇠(110)에 인접한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프링(151)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그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걸쇠(110)를 회동 가능하게 하거나 고정시키는 스톱퍼(120)가 구비된다. 또한 양측 스톱퍼(120)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중심축(139)에는 미도시된 레버 등의 손잡이가 결합되어 그 회전 위치에 따라 양측 스톱퍼(120)를 고정되도록 지지하거나 회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해제구(130)가 구비된다.
상기 걸쇠(110)에는 상기 걸이구(170)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 가압돌부(119), 상기 스톱퍼(120)와 접촉된 상태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슬라이드면(115), 및 상기 스톱퍼(120)에 의한 고정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홈(1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120)에는 상기 걸림홈(113)에 삽입되어 걸쇠(110)에 고정력을 가하도록 형성된 걸림돌부(121) 및 상기 해제구(130)에 연접되는 지지돌부(123)가 구비되며, 상기 해제구(130)에는 상기 지지돌부(123)에 접촉되어 스톱퍼(120)를 지지하거나 회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지지부(131, 133)가 형성된다.
이러한 도어 잠금장치는 걸쇠(110)의 잠금위치가 종래와 같이 강한 탄성력을 가진 스프링에 의해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회전되는 스토퍼(120)에 의해 유지되고, 해제시에는 상기 걸림돌부(121)가 걸림홈(113)에서 빠져 나올 정도의 힘만 가하면 도어(20)의 잠금이 해제되므로, 역시 작은 힘으로도 작동이 가능하고 작동소음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도어 잠금장치는 상대적으로 부품수가 많아서 구조가 복잡하고, 여러 부품들의 작동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불가피하게 본체(100)의 부피나 폭이 상대적으로 커져서, 슬림한 구조의 창문섀시 등에는 설치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이러한 도어 잠금장치는 해제구(130)의 중심축(139)에 결합되는 레버가 약간 회전하면서 지지부(131,133)가 스톱퍼(120)의 지지돌부(123)를 타고 넘으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데, 이와 같이 잠금이 해제되는 레버의 회동각도가 상대적으로 작아서, 사용자가 약간만 레버를 건드리면 본의 아니게 도어가 개방되기도 하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사용자가 의식할 수 있는 정도의 충분한 회동각도만큼 레버를 회동시켜서 조작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작동에 대한 확실하고 적절한 감각을 느낄 수 없어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도어 자동잠금장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부품수가 적어서 구조가 간단하면서 부피나 폭이 상대적으로 작아서 설치공간이 좁은 두께가 작고 슬림한 구조의 창문섀시에는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도어 자동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적절하고 충분한 각도만큼 레버를 회동조작하여 도어를 개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작동에 대한 적절한 감각을 느낄 수 있고, 실수로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도어 자동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슬라이드식 도어 또는 창문(2)과 문틀 또는 창틀(1)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며 외부로 돌출된 회동식 걸쇠(20)가 구비되는 잠금장치 본체(10)와, 도어 또는 창문(2)과 창틀(1)의 어느 타측에 설치되며 단부에는 상기 걸쇠(20)가 삽입되는 잠금홈(42)이 형성된 걸이구(40)를 포함하며,
상기 걸쇠(20)는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둘레부에는 상기 잠금홈(42)에 삽입되는 잠금돌부(22)와, 상기 걸이구(40)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 가압돌부(24)와, 걸림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돌부(22)가 잠금홈(42)에 대해 이탈되는 방향으로 스프 링(23)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상기 본체(10)의 걸쇠(20)에 인접한 위치에는 스프링(38)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해제구(30)가 조작부재(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해제구(30)의 둘레부에는 걸림돌부(35)를 구비하여 그 회전 위치에 따라 이 걸림돌부(35)가 상기 걸쇠(20)의 걸림홈(25)으로부터 이탈하여 걸쇠(20)를 회동가능하게 하거나 이 걸림돌부(35)가 걸쇠(20)의 걸림홈(25)에 삽입되어 걸쇠(20)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자동잠금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해제구(30)는 상기 걸림돌부(35)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38)이 탄성지지되는 지지부(36)가 형성되며 내부에 원형공(34)이 형성된 외부체(31)와, 상기 원형공(34) 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조작부재(6)가 결합되는 내부체(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체(31)의 내주면과 상기 내부체(32)의 외주면의 어느 일측에는 결합요부(37)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요부(37)에 끼워져서 결합요부(37)의 측벽에 맞닿아 외부체(31)를 회전시키는 결합돌부(39)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요부(37)와 상기 결합돌부(39) 사이에는 상기 조작부재(6)가 공회전하도록 여유를 주는 간격부(4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자동잠금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자동잠금장치의 본체(10) 내부에는 걸이구(40)에 걸리도록 된 걸쇠(20)와, 이 걸쇠(20)에 인접배치되며 레버와 같은 조작부재(6)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걸쇠(12)를 회동가능하게 하거나 고정시키는 해제구(30)만으로 이루어지므로, 부품수가 작아서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의 회동작동공간도 적게 소요되므로 장치의 크기가 작고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어서, 설치공간이 좁은 두께가 작고 슬림한 구조의 도어 또는 창호섀시에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어나 창문을 강하고 빨리 닫는 경우에, 걸이구(40)가 신속하게 걸쇠(20)의 가압돌부(24)에 부딪히는 만큼 걸쇠(20)가 신속하게 회동되어 잠금돌부(22)가 걸이구(40)에 걸리므로, 도어나 창문을 강하고 빨리 닫더라도 도어의 잠김이 확실하게 보장된다.
또한, 해제구(30)를 걸림돌부(35)가 형성된 외부체(31)와 이 외부체(31)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한 내부체(32)로 분리제작하고, 이 외부체(31)와 내부체(32)가 충분한 유격을 갖도록 간격부(48)를 가진 결합요부(37)와 결합돌부(39)에 의해 서로 맞물려 회전되므로,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서 레버와 같은 조작부재(6)를 회전조작하는 경우에, 초기에는 결합돌부(39)가 상당한 각도만큼 공회전을 한 후에, 결합요부(37)의 측벽에 맞닿아 해제구(30)의 외부체(31)가 회동조작되므로, 도어의 잠금해제에 필요한 조작부재(6)의 회동각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도어 개방작동에 대한 적절한 감각을 느낄 수 있고 조작부재를 약간 건드려서 본의 아니게 도어나 창문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어가 닫히기 직전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어가 잠긴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와 도 6은 도어를 개방작동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드 개폐식 도어 또는 창문(2)에는 회동식 걸쇠(20)가 구비되는 자동 잠금장치 본체(10)가 내장되고, 이에 대응하는 문틀 또는 창틀(1)에는 상단에 잠금홈(42)이 형성된 걸이구(40)가 장착된다. 본체(10)와 걸이구(40)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서로 바뀔 수도 있다. 상기 걸쇠(20)는 본체(10)의 상측에 축부재(2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회동에 따라 상기 걸이구(40)의 상단 잠금홈(42)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잠금돌부(22)와, 상기 걸이구(40)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 가압돌부(24)와, 후술하는 해제구(30)에 의한 고정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홈(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걸쇠(20)의 잠금돌부(22)가 잠금홈(42)에 대하여 이탈되는 방향으로 스프링(23)이 걸쇠(20)의 일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한편, 이 걸쇠(20)에 인접한 본체(10)에는 레버나 기타의 조작부재(6)가 직접 결합되어 이 조작부재(6)에 의해 회동되도록 설치된 해제구(30)가 구비된다. 이 해제구(30)는 스프링(38)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그 둘레부에는 걸림돌부(35)가 형성된다. 이 해제구(30)는 그 회전위치에 따라 이 걸림돌기(35)가 걸쇠(22)의 걸림홈(25)과의 결합이 해제되어 걸쇠(12)를 회동가능한 상태로 하거나, 걸림돌기(35)가 걸쇠(22)의 걸림홈(25)과 결합되어 걸쇠(20)를 고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자동잠금장치는 종래의 구조와 달리, 본체(10) 내에 걸쇠(20)와 이 걸쇠(20)에 직접 맞물리거나 해제되는 해제구(30)로 구성되므로, 부품수가 줄어들어서 구조가 간단하고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 해제구(30)는 내부에 원형공(24)이 형성된 외부체(31)와, 이 외부체(31)의 원형공(24)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내부체(32)로 이루어진다. 외부체(31)의 둘레부에는 상기 걸림돌부(35)와 스프링(38)이 탄지되는 지지부(36)가 돌출형성되어 외부체(31)의 윤곽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내부체(32)에는 레버 등의 조작부재(6)의 회전축부재가 삽입되는 사각형 축공(46)이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체(31)의 내주면에는 오목한 공간형태의 결합요부(37)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내부체(32)의 둘레부에는 상기 결합요부(37)에 끼워지는 결합돌부(39)가 형성된다. 이 결합요부(37)의 둘레방향 폭은 상기 결합돌부(39)의 둘레방향 두께에 비해 상당히 크게 제작되어, 결합요부(37)와 결합돌부(39) 사이에는 간격부(48)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내부체(32)가 외부체(31)에 대하여 회전할 때 결합돌부(39)가 초기의 일정한 각도만큼은 결합요부(37)의 내부공간에서 회전하고, 결합돌부(39)가 결합요부(37)의 내벽에 맞닿으면 비로소 내부체(32)와 외부체(31)가 함께 회전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2)이 창틀(1)에 접촉하기 직전에는 본체(10)에 돌출된 걸쇠(20)가 스프링(23)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돌부(22)가 상승된 위치에 놓인다. 창문을 닫아서 창문(2)이 창 틀(1)에 접촉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구(40)가 걸쇠(20)의 가압돌부(24)를 스프링(23)의 탄성력에 반하여 가압하여 회동시키며, 이에 따라 잠금돌부(22)가 하강하여 걸이구(40)의 상단 잠금홈(42)에 삽입되어 잠금작동이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창문(2)을 열기 위해 레버 등의 조작부재(6)를 회전시키면, 초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체(32)가 회전을 개시하여 내부체(32)의 결합돌부(39)가 외부체(31)의 결합요부(37) 내의 간격부(48)만큼 이동할 때까지 외부체(31)의 걸림돌부(35)는 걸쇠(20)의 걸림홈(25)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내부체(32)이 결합돌부(39)가 외부체(31)의 결합요부(37)에 맞닿은 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체(32)와 외부체(31)가 함께 회전하면서 해제구(30)의 걸림돌부(35)가 걸쇠(20)를 밀어 내면서 걸림홈(25)에서 이탈하므로, 걸쇠(20)는 구속이 해제되면서 스프링(23)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하여 잠금돌부(22)가 상승하여 창문의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자동잠금장치는 종래와 달리 본체(10) 내부에 걸쇠(20)와 해제구(30)만으로 이루어져서 작동되므로, 부품수가 적어서 구조가 간단하고 동작이 확실하며, 부품들의 회동에 필요한 공간도 그만큼 줄어들므로, 장치의 부피도 줄어들므로, 작거나 슬림한 구조의 창호나 도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해제구(30)가 상대적으로 공회전가능한 내부체(32)와 외부체(31)로 이루어지므로, 레버 등을 조작하는 경우에 초기의 레버동작은 공회전을 하고 이어서 이후의 레버동작은 도어의 잠금해제에 사용되므로, 도어의 개방에 상대적으로 큰 회전각도를 얻을 수 있어서, 사용자가 도어의 잠금해제 작동에 대한 적절하고 충분한 회전각도만큼 회전시키게 되어, 실수로 도어를 개방하는 일이 방지되고, 도어의 개방동작을 확실하고 분명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해제구(30)의 결합요부(37)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하므로, 도어개방시의 레버 등의 조작부재(6)의 개방에 필요한 회동각도를 적절하게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외부체(31)에 결합요부(37)를 형성하고 내부체(32)에 결합돌부(39)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외부체(31)에 결합돌부(39)를 형성하고 내부체(32)에는 결합요부(37)를 형성하여도 좋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도어 자동잠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어가 닫히기 직전의 단면도
도 4는 도어가 잠긴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어 개방작동 초기의 공회전작동 상태 단면도
도 6은 도어 개방작동 후기의 작동상태 단면도

Claims (2)

  1. 슬라이드식 도어 또는 창문(2)과 문틀 또는 창틀(1)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며 외부로 돌출된 회동식 걸쇠(20)가 구비되는 잠금장치 본체(10)와, 도어 또는 창문(2)과 창틀(1)의 어느 타측에 설치되며 단부에는 상기 걸쇠(20)가 삽입되는 잠금홈(42)이 형성된 걸이구(40)를 포함하며,
    상기 걸쇠(20)는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둘레부에는 상기 잠금홈(42)에 삽입되는 잠금돌부(22)와, 상기 걸이구(40)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 가압돌부(24)와, 걸림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돌부(22)가 잠금홈(42)에 대해 이탈되는 방향으로 스프링(23)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상기 본체(10)의 걸쇠(20)에 인접한 위치에는 스프링(38)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해제구(30)가 조작부재(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해제구(30)의 둘레부에는 걸림돌부(35)를 구비하여 그 회전 위치에 따라 이 걸림돌부(35)가 상기 걸쇠(20)의 걸림홈(25)으로부터 이탈하여 해제구(30)를 회동가능하게 하거나 이 걸림돌부(35)가 걸쇠(20)의 걸림홈(25)에 삽입되어 걸쇠(20)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자동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구(30)는 상기 걸림돌부(35)가 형성되고 상기 스 프링(38)이 탄성지지되는 지지부(36)가 형성되며 내부에 원형공(34)이 형성된 외부체(31)와, 상기 원형공(34) 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조작부재(6)가 결합되는 내부체(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체(31)의 내주면과 상기 내부체(32)의 외주면의 어느 일측에는 결합요부(37)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요부(37)에 끼워져서 결합요부(37)의 측벽에 맞닿아 외부체(31)를 회전시키는 결합돌부(39)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요부(37)와 상기 결합돌부(39) 사이에는 상기 조작부재(6)가 공회전하도록 여유를 주는 간격부(4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자동잠금장치.
KR1020080072765A 2008-07-25 2008-07-25 도어 자동잠금장치 KR101020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765A KR101020525B1 (ko) 2008-07-25 2008-07-25 도어 자동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765A KR101020525B1 (ko) 2008-07-25 2008-07-25 도어 자동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513A true KR20100011513A (ko) 2010-02-03
KR101020525B1 KR101020525B1 (ko) 2011-03-09

Family

ID=42085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765A KR101020525B1 (ko) 2008-07-25 2008-07-25 도어 자동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05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324B1 (ko) * 2012-05-02 2013-11-27 안건형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KR20160122058A (ko) * 2015-04-13 2016-10-21 주식회사 에어텍 원터치 스위치 행거
US11303504B2 (en) * 2020-06-09 2022-04-12 T-Mobile Usa, Inc. Data link error feedback signal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293Y1 (ko) 2012-11-20 2014-09-03 박덕교 컴팩트 핸들 시스템
KR102127353B1 (ko) 2019-04-09 2020-06-26 정영호 알루미늄제 도어의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254B1 (ko) * 2000-09-25 2003-03-15 안종섭 미닫이문용 록킹장치
KR100382892B1 (ko) 2000-12-04 2003-05-12 이병노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409476Y1 (ko) 2005-12-13 2006-02-24 주식회사 대진조명 슬라이딩 잠금구에 의한 상부 개방구조를 갖는 벽면 설치용조명등
KR100790939B1 (ko) 2007-09-10 2008-01-04 장공익 창문 잠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324B1 (ko) * 2012-05-02 2013-11-27 안건형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KR20160122058A (ko) * 2015-04-13 2016-10-21 주식회사 에어텍 원터치 스위치 행거
US11303504B2 (en) * 2020-06-09 2022-04-12 T-Mobile Usa, Inc. Data link error feedback signa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0525B1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277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자동잠금장치
KR101020525B1 (ko) 도어 자동잠금장치
KR101012497B1 (ko) 창문 자동잠금장치
KR200456588Y1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KR101331895B1 (ko) 여닫이문 잠금장치
JP6113765B2 (ja) 打掛錠
KR100895900B1 (ko) 회동식 도어용 잠금장치
KR101862511B1 (ko) 잠금 기능을 갖춘 창호용 레버
KR100934321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0911950B1 (ko) 도어 자동 잠금장치
KR200396665Y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KR100647860B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KR200479071Y1 (ko) 미닫이 도어용 잠금장치
KR200203653Y1 (ko) 창문 자동 잠금장치
KR200384262Y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 장치
JP3093332U (ja) ピッキング防止装置
KR102290788B1 (ko) 누름 방식으로 개방하는 창호용 잠금장치
KR101401653B1 (ko) 창호용 잠금장치
JP6384855B2 (ja) 引き戸装置およびセーフティーストッパー
KR200436887Y1 (ko) 창문 자동잠금장치
JP3232458U (ja) 新規ロック付家具用引戸
KR20140000485U (ko)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20180026192A (ko) 미닫이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KR200480524Y1 (ko)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
JPH035661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