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293Y1 - 컴팩트 핸들 시스템 - Google Patents

컴팩트 핸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293Y1
KR200474293Y1 KR2020120010633U KR20120010633U KR200474293Y1 KR 200474293 Y1 KR200474293 Y1 KR 200474293Y1 KR 2020120010633 U KR2020120010633 U KR 2020120010633U KR 20120010633 U KR20120010633 U KR 20120010633U KR 200474293 Y1 KR200474293 Y1 KR 200474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uide
handle system
fastener
hollow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6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154U (ko
Inventor
박덕교
Original Assignee
박덕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덕교 filed Critical 박덕교
Priority to KR20201200106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293Y1/ko
Publication of KR201400031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1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2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4Form stability
    • E05Y2800/342Deformable
    • E05Y2800/344Deformable elas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탄성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가이드의 길이를 달리하고, 특히 그 중에서 길이가 긴 가이드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게 함으로써,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가이드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만큼 핸들 시스템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게 한 컴팩트 핸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항상 탄성지지를 받는 고정구가 맞닿는 하우징 내부에 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고정구의 작동시 하우징과의 접촉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컴팩트 핸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가이드의 단부를 절곡하여 고정구가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만 하우징 안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함으로써, 스톱퍼 기능을 함께 할 수 있도록 한 컴팩트 핸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컴팩트 핸들 시스템{COMPACT HANDLE SYSTEM}
본 고안은 컴팩트 핸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스프링의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짧게 형성하고 다른 하나가 하우징의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핸들 시스템의 전체 크기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소음 저감을 통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나 윈도우에는 개폐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핸들 시스템이 구비된다. 특히, 이러한 핸들 시스템은 도어나 윈도우의 일측으로 돌출된 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그 내부의 고정구가 움직이면서 잠금 및 해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특히, 이러한 핸들 시스템은 핸들의 조작시 실질적으로 잠금과 해제되는 고정구가 자체적으로 움직여질 수 있도록 탄성지지를 하게 된다. 즉, 고정구는 탄성스프링의 탄성지지를 받아 항상 잠금 위치에 있게 하고, 이 상태에서 핸들로 고정구를 작동하게 하여 잠금이 해제되게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고정구에는 탄성스프링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압축과 신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가 구비된다. 가이드는 통상적으로 원형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탄성스프링의 교체나 유지보수를 위하여 한 쌍의 가이드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핸들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1) 한 쌍의 가이드의 길이가 같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구가 작동됨에 따라 가이드도 함께 동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고정구를 수용하는 하우징의 크기 또한 이러한 가이드를 수용할 수 있는 만큼 공간부를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핸들 시스템의 전체 크기가 커지게 되었다.
(2) 크기가 커짐에 따라 그만큼 소재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제조단가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3) 고정구나 하우징의 경우 잠금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 이상의 강도 등이 요구되기 때문에 금속 재질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 금속재끼리 서로 부딛히면서 소음을 발생시키게 되어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탄성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가이드의 길이를 달리하고, 특히 그 중에서 길이가 긴 가이드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게 함으로써,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가이드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만큼 핸들 시스템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게 한 컴팩트 핸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항상 탄성지지를 받는 고정구가 맞닿는 하우징 내부에 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고정구의 작동시 하우징과의 접촉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컴팩트 핸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가이드의 단부를 절곡하여 고정구가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만 하우징 안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함으로써, 스톱퍼 기능을 함께 할 수 있도록 한 컴팩트 핸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다른 컴팩트 핸들 시스템은,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며, 양측에 체결구멍이 형성된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중공부에 끼워져서 장착되는 핸들의 샤프트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중공부에 장착되는 캠부; 탄성스프링의 탄성지지를 받으며 상기 캠부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되도록 중공부 내부에 설치되고, 걸림고리부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고정구; 및 상기 캠부의 회전 동작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고정구의 걸림고리부에 의해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게 설치되는 스톱퍼 뭉치;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에는 탄성스프링이 일정한 방향으로 압축과 인장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며 그 단부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된 제1가이드와, 이 제1가이드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되며 중공부 내에서 동작하는 제2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지지를 받는 고정구와 맞닿는 위치에 소음방지를 위한 탄성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는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단부가 절곡되어 스톱퍼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컴팩트 핸들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핸들 시스템의 전체 크기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가이드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만큼 줄어들게 된다. 이에 줄어든 크기만큼 소재를 절감할 수 있다.
(2) 탄성지지를 받는 고정구가 맞닿는 하우징의 내측면에 탄성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이들이 서로 맞닿으면서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미연에 없앨 수 있게 되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3)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는 가이드가 고정구의 동작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스톱퍼 기능을 함께 하기 때문에, 고정구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전면판을 제거한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들 시스템에서 스톱퍼 뭉치가 분리되고 나머지 부분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전면판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들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a)는 잠금 상태를 보여주고 (b)는 해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도어 또는 윈도우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핸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질적으로 잠금과 해제 기능을 하는 고정구(300)가 안정적으로 탄성지지되면서도 핸들 시스템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탄성스프링(310)을 안내하기 위하여 고정구(300)에 제1가이드(320a)와 제2가이드(320b)로 구성되는 가이드(320)의 길이를 달리함으로써, 길이가 긴 제1가이드(320a)가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하여, 돌출되는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만큼 하우징(1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핸들 시스템은, 도어나 윈도우에 장착되는 하우징(100), 하우징(100) 내부에 핸들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캠부(200), 캠부(200)에 의해 슬라이딩되도록 하우징(100) 내부에 장착된 고정구(300), 그리고 고정구(300)에 의해 실질적으로 잠금 및 해제동작이 이루어지게 하는 스톱퍼 뭉치(4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중공부(120)를 갖는 블럭체로서, 일측면에는 플랜지(110)가 일체로형성된다. 그리고, 이 플랜지(110)에는 하우징(100)을 도어 프레임이나 윈도우 프레임에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구멍(1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에는 플랜지(110)와 마주보는 부분에 개방부(130)가 형성되며, 이 개방부(130)에는 후술하게 될 고정구(300)의 걸림고리부(330)가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에는 플랜지(110)와 인접한 일면에 안내구멍(140)이 형성된다. 이 안내구멍(140)에는 후술하게 될 고정구(300)의 제1가이드(320a)가 끼워져서 고정구(300)의 동작에 따라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될 수 있게 안내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중공부(120)에는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이 중공부(120)에 장착되는 고정구(300)와 맞닿는 부분에 탄성부재(121)가 더 구비된다. 탄성부재(121)는 중공부(120)와 고정구(300) 사이에서 소음 발생을 억제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캠부(200)는 중공부(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캠부(200)는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끼워지는 샤프트에 의해 회전되게 한다. 여기서, 샤프트는 도어나 윈도우의 개폐 동작에 필요로 하는 핸들의 회전 중심이 되는 축을 말한다.
이러한 캠부(200)는 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제자리에서 회전하며 탄성지지된 고정구(300)를 가압하여 슬라이딩시켜 주게 된다.
고정구(300)는 일종의 블럭체로서 상기 캠부(200)의 회전에 의해 간섭을 받아서 슬라이딩되도록 중공부(120) 내에 설치된다. 이때, 고정구(300)는 항상 탄성스프링(310)의 탄성지지를 받도록 중공부(120) 내에 설치되며, 이처럼 탄성지지를 받는 상태에서 잠금 위치에 있게 한다. 특히, 상기 고정구(300)에는 이 탄성스프링(310)을 안내할 수 있도록 가이드(320)가 구비된다.
가이드(320)는 길이가 서로 다른 제1가이드(320a)와 제2가이드(320b)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길이가 간 제1가이드(320a)는 그 단부가 상술한 안내구멍(140)을 통하여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될 수 있게 장착된다. 이때, 제2가이드(320b)는 중공부(120) 내부에서만 움직이도록 장착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가이드(320a)에는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된 단부를 절곡하여 스톱퍼(321)를 형성함으로써, 고정구(300)가 움직일 수 있는 거리를 한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구(300)에는 일측에 걸림고리부(330)가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이 걸림고리부(330)는 상술한 개방부(130)를 통하여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고정구(300)는, 통상적으로 같은 길이로 제작되는 가이드의 경우 각 가이드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하우징의 중공부를 형성하여야 하나, 본 고안의 경우 가이드(320)의 길이를 달리함으로써, 길이가 짧은 제2가이드(320b)의 수용공간만큼 중공부(120)를 형성하기 때문에 하우징(100)의 전체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종래의 고정구는 길이가 긴 가이드가 동작할 수 있는 크기의 하우징을 필요로 하게 되나, 본 고안은 길이가 짧은 가이드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하우징을 제작하면 되기 때문에 가이드의 길이 차이만큼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스톱퍼 뭉치(400)는 상기 걸림고리부(33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중공으로 이루어진 블럭체이며, 중공부에는 고정구(330)가 움직임에 따라 이 걸림고리부(330)가 선택적으로 걸림 해제될 수 있도록 걸림턱(41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핸들 시스템은, 하우징(100) 외부에 구비된 핸들(미도시됨)을 회전시킴에 따라 캠부(20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캠부(200)는 탄성스프링(310)의 탄성지지를 받는 고정구(300)를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걸림고리부(330)가 걸림턱(410)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잠금이 해제되게 되는 것이다.
이어, 핸들을 놓게 되면, 가압되었던 고정구(300)가 가압되었던 탄성스프링(310)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되돌아 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핸들 시스템은 도어나 윈도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가이드의 길이의 차이만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되어 핸들 시스템 전체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하우징
110 : 플랜지
111 : 체결구멍
120 : 중공부
121 : 탄성부재
130 : 개방부
140 : 안내구멍
200 : 캠부
300 : 고정구
310 : 탄성스프링
320 : 가이드
320a : 제1가이드 320b : 제2가이드
321 : 스톱퍼
330 : 걸림고리부
400 : 스톱퍼 뭉치

Claims (3)

  1. 내부에 중공부(120)가 구비되며, 양측에 체결구멍(111)이 형성된 플랜지(110)가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중공부(120)에 끼워져서 장착되는 핸들의 샤프트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중공부(120)에 장착되는 캠부(200); 탄성스프링(310)의 탄성지지를 받으며 상기 캠부(200)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되도록 중공부(120) 내부에 설치되고, 걸림고리부(330)가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된 고정구(300); 및 상기 캠부(20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고정구(300)의 걸림고리부(330)에 의해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게 설치되는 스톱퍼 뭉치(40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구(300)에는 탄성스프링(310)이 일정한 방향으로 압축과 인장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320)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320)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며 그 단부가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된 제1가이드(320a)와, 이 제1가이드(320a)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되며 중공부(120) 내에서 동작하는 제2가이드(320a)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120)에는, 상기 탄성스프링(310)의 탄성지지를 받는 고정구(300)와 맞닿는 위치에 소음방지를 위한 탄성부재(12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 핸들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320a)는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된 단부가 절곡되어 스톱퍼(321)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 핸들 시스템.
KR2020120010633U 2012-11-20 2012-11-20 컴팩트 핸들 시스템 KR200474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633U KR200474293Y1 (ko) 2012-11-20 2012-11-20 컴팩트 핸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633U KR200474293Y1 (ko) 2012-11-20 2012-11-20 컴팩트 핸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154U KR20140003154U (ko) 2014-05-28
KR200474293Y1 true KR200474293Y1 (ko) 2014-09-03

Family

ID=52000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633U KR200474293Y1 (ko) 2012-11-20 2012-11-20 컴팩트 핸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29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816Y1 (ko) * 2016-08-12 2017-10-30 이동혁 창호용 잠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644Y1 (ko) 1997-04-14 1999-10-01 이용호 창문용 2중 잠금구조
KR20100009998U (ko) * 2009-04-02 2010-10-12 (주)성림금속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20100010031U (ko) * 2009-04-03 2010-10-13 양원돈 미닫이창문 자동잠금장치
KR101020525B1 (ko) 2008-07-25 2011-03-09 (주)명진 도어 자동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644Y1 (ko) 1997-04-14 1999-10-01 이용호 창문용 2중 잠금구조
KR101020525B1 (ko) 2008-07-25 2011-03-09 (주)명진 도어 자동잠금장치
KR20100009998U (ko) * 2009-04-02 2010-10-12 (주)성림금속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20100010031U (ko) * 2009-04-03 2010-10-13 양원돈 미닫이창문 자동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154U (ko)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1429B2 (en) Mounting apparatus for disk drive
US20150181745A1 (en) Mounting Latch
KR20140066703A (ko) 회전 커넥터 장치
KR101575929B1 (ko) 이중 도어방식을 갖는 내부도어의 버튼 래치장치
KR101533194B1 (ko)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200474293Y1 (ko) 컴팩트 핸들 시스템
KR101627578B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의 록킹조립체
JP2014503887A (ja) 挿入組立体用の取付けレール
US20160060953A1 (en) Waterproof door structures and devices with the same
KR200410238Y1 (ko) 슬라이드 도어의 록킹장치
KR101593118B1 (ko) 차량의 연료주입구 도어 잠금장치
KR101409958B1 (ko) 세탁물 건조기용 도어 래치
JP4127712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200468244Y1 (ko) 도난방지 기능이 강화된 창문용 잠금장치
JP6583749B2 (ja) フック装置
CN107346809B (zh) 电子装置的电池装卸结构
KR101397972B1 (ko) 도어 개폐장치
KR20160109414A (ko) 창호용 창 잠금장치
KR101963357B1 (ko) 도어 잠금장치
KR101315492B1 (ko) 도어래치장치
KR101021639B1 (ko) 디지털 도어록
KR200485299Y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200478262Y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
KR20140126580A (ko) 도어락 모티스의 에지볼트 조립체
CN215435671U (zh) 防拆卸印章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