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972B1 -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972B1
KR101397972B1 KR1020130015159A KR20130015159A KR101397972B1 KR 101397972 B1 KR101397972 B1 KR 101397972B1 KR 1020130015159 A KR1020130015159 A KR 1020130015159A KR 20130015159 A KR20130015159 A KR 20130015159A KR 101397972 B1 KR101397972 B1 KR 101397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latch
unit
door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트브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트브레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트브레인
Priority to KR1020130015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9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에는, 도어의 일측에 푸쉬 가능하게 제공되는 푸쉬 유닛; 상기 푸쉬 유닛과 결합되며, 당김이 이루어질 수 있는 풀 유닛; 상기 푸쉬 유닛 및 풀 유닛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가 장착되는 벽면에 선택적으로 걸림이 이루어지는 래치가 구비되는 래치 어셈블리; 상기 푸쉬 유닛에 제공되어 상기 래치의 이동을 가이드 하며, 설정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가지는 제 1 가이드 장치; 상기 풀 유닛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가이드 장치와 일체로 움직이는 제 2 가이드 장치; 및 상기 경사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 돌기가 포함된다.

Description

도어 개폐장치 {A device for opening door}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어 개폐장치는 도어에 제공되는 핸들 타입의 장치로서, 사용자가 문을 개폐하고자 할 때 조작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폐장치에는, 사용자가 조작을 위하여 파지 가능한 파지부와,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벽면등에 고정되도록 하는 래치부 및 상기 도어가 벽면등에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잠금 장치등이 포함될 수 있다.
종래의 도어 개폐장치는, 상기 파지부가 구형의 손잡이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밀거나 당김으로써 도어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도어 개폐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이 자유롭지 못한 경우, 즉 사용자가 양 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에는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물건을 내려 놓고 상기 파지부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손이 불편한 환자나 힘이 없는 유아들 또한 상기 도어 개폐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푸쉬 동작 또는 풀 동작만으로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종래에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문헌 KR10-0934781에는, 도어의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면 래치 볼트가 도어 내측으로 삽입되어 개방될 수 있는 도어록 장치가 개시된다.
그러나, 위 특허문헌에 소개된 기술은 도어록 장치의 구조 및 그 작용이 복잡하여 고장이 잦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이 간편한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에는, 도어의 일측에 푸쉬 가능하게 제공되는 푸쉬 유닛; 상기 푸쉬 유닛과 결합되며, 당김이 이루어질 수 있는 풀 유닛; 상기 푸쉬 유닛 및 풀 유닛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가 장착되는 벽면에 선택적으로 걸림이 이루어지는 래치가 구비되는 래치 어셈블리; 상기 푸쉬 유닛에 제공되어 상기 래치의 이동을 가이드 하며, 설정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가지는 제 1 가이드 장치; 상기 풀 유닛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가이드 장치와 일체로 움직이는 제 2 가이드 장치; 및 상기 경사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 돌기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밀고 당기는 동작에 의하여 도어 개폐장치가 작동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도어의 내측 및 외측에 풀 유닛과 푸쉬 유닛이 각각 제공되므로, 사용자는 도어 내측에서는 풀 유닛을 당기는 동작에 의하여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고, 도어 외측에서는 푸쉬 유닛을 미는 동작에 의하여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푸쉬 유닛측에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 1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여 래치 어셈블리의 가이드 돌기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의 염려가 적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풀 유닛측에 걸림턱을 포함하는 제 2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여, 푸쉬 유닛 및 풀 유닛이 복원되는 과정에서 걸림턱과 가이드 돌기가 간섭될 수 있으므로, 상기 푸쉬 유닛과 풀 유닛이 정확한 위치에 복원되고 이에 따라 작동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가 도어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어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푸쉬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풀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푸쉬 유닛이 이동한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가 도어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어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푸쉬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풀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벽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20)와, 상기 도어(20)의 회동 중심을 제공하는 다수의 힌지부(30) 및 상기 도어(20)가 상기 벽면(10)에 대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도어 개폐장치(10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도어 개폐장치(100)에는, 상기 도어(20)의 외측에 배치되며 푸쉬 동작이 가능한 푸쉬 유닛(110)과, 상기 도어(20)의 내측에 배치되며 당김 조작이 가능한 풀 유닛(150) 및 상기 푸쉬 유닛(110)과 풀 유닛(150)의 사이에 제공되는 래치 어셈블리(200)가 포함된다.
상기 푸쉬 유닛(110)에는, 푸쉬 조작이 이루어지는 푸쉬부(111) 및 상기 푸쉬부(11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푸쉬 케이싱(112)이 포함된다.
상기 푸쉬 케이싱(112)의 내부에는, 상기 푸쉬부(111)가 탄성 이동되도록 하는 제 1 탄성부재(113 : 도 7 참조)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탄성부재(113)는 상기 푸쉬부(111)의 내측에 지지되며, 상기 푸쉬부(111)가 조작된 이후에 원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제 1 탄성부재(113)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푸쉬 유닛(110)에는,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의 래치(22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 1 가이드 장치(120)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이드 장치(120)에는,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의 가이드 돌기(240)와 작용하는 경사부(121)가 포함된다. 상기 경사부(121)는 상기 제 1 가이드 장치(120)의 일면으로서 라운드지게 경사지는 "경사면"을 규정한다.
상기 푸쉬 유닛(110)에는, 상기 푸쉬 유닛(110)과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의 결합을 가이드 하는 복수의 가이드 축(115) 및 상기 푸쉬 유닛(110)이 상기 풀 유닛(150)에 결합되도록 하는 복수의 결합 축(116)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부(111)에는, 제 1 작동바(117 : 도 7 참조)가 제공된다. 상기 푸쉬부(111)의 푸쉬력(pushing power)은 상기 제 1 작동바(117)를 통하여 상기 제 1 가이드 장치(120)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가이드 장치(120)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풀 유닛(150)에는, 당김 조작이 이루어지는 당김부(151) 및 상기 당김부(15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풀 케이싱(152)이 포함된다.
상기 당김부(151)의 내부에는, 상기 당김부(151)가 탄성 이동되도록 하는 제 2 탄성부재(153 : 도 7 참조)가 제공된다. 상기 제 2 탄성부재(153)는 상기 당김부(151)의 내측에 지지되며, 상기 당김부(151)가 조작된 이후에 원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제 2 탄성부재(153)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풀 유닛(150)에는, 상기 결합 축(116)이 결합되는 결합 보스(156)가 포함된다. 상기 결합 축(116)이 상기 결합 보스(156)에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푸쉬 유닛(110)과 풀 유닛(150)은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의 양측에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푸쉬 유닛(110) 및 풀 유닛(150) 중 적어도 하나가 조작되면, 상기 푸쉬 유닛(110)과 풀 유닛(150)은 일체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푸쉬 유닛(110)과 풀 유닛(150)의 결합 방법은 결합 축과 결합 보스인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상기 푸쉬 유닛(110)과 풀 유닛(150)이 결합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체결 방법이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풀 유닛(150)에는, 상기 제 1 가이드 장치(120)에 의하여 가압되는 제 2 가이드 장치(160)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가이드 장치(160)에는, 상기 푸쉬 유닛(110)과 풀 유닛(150)이 복원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240)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 턱(162)이 포함된다. 상기 걸림 턱(162)은 상기 푸쉬 유닛(110) 또는 풀 유닛(15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걸림 턱(162)은, 상기 가이드 돌기(24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경사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 턱(162)의 경사면의 경사진 정도(경사 각도)은 상기 경사부(121)의 경사 각도에 비하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21)는 상기 가이드 돌기(240)의 일측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걸림 턱(162)은 상기 가이드 돌기(240)의 타측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당김부(151)와 제 2 가이드 장치(160)의 사이에는, 제 2 작동바(157:도 7 참조)가 제공된다.
상기 당김부(151)의 당김력(pulling force)은 상기 제 2 작동바(157)를 통하여 상기 제 2 가이드 장치(160)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2 가이드 장치(160)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이드 장치(16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가이드 장치(120)는 상기 제 2 가이드 장치(16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200)에는, 상하로 결합되는 제 1 케이싱(210)과, 상기 제 1 케이싱(2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 2 케이싱(211) 및 상기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1)의 사이에 배치되는 래치(220)가 포함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1)을 합하여, "케이싱"이라 이름한다.
상기 래치(220)는 상기 하우징(210)의 일측에 제공되어, 벽면(10)등에 걸림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케이싱(210)에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 축(115) 중 일 가이드 축(115)이 안착되는 안착 홈(213)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 2 케이싱(210)에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 축(115) 중 타 가이드 축(115)이 안착되는 안착 홈(213)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 축(115)이 상기 제 1 케이싱(210) 및 제 2 케이싱(211)에 안착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푸쉬 유닛(110)은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에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래치(220)의 후측에는, 연장부(230)가 연장된다. 상기 연장부(230)는 상기 래치(220)와 결합되어, 상기 래치(220)와 일체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230)는 상기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1)이 이루는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케이싱(211)에는, 상기 연장부(230)의 적어도 일부분이 안착되는 안착부(216)가 제공된다. 상기 래치(220)는 상기 안착부(216)에 안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에는, 상기 래치(220)의 탄성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 3 탄성부재(2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3 탄성부재(270)의 일측 단부는 상기 래치(220)에 결합되어, 상기 래치(220)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일례로, 상기 탄성부재(270)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케이싱(211)에는, 상기 제 3 탄성부재(270)의 타측 단부가 지지되는 지지부(217) 및 상기 제 3 탄성부재(270)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218)이 포함된다.
즉, 상기 제 3 탄성부재(270)는, 상기 수용 공간(218)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래치(220)와 지지부(217)의 사이에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30)에는, 가이드 돌기(240)가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240)는 상기 연장부(230)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 또는 돌출되며, 설정된 곡률을 가지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 돌기(240)는 대략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싱(210)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240)가 삽입되는 삽입공(215)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215)은 상기 제 1 케이싱(21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케이싱(210)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240)는 상기 삽입공(215)을 통하여 상기 제 1 케이싱(2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돌기(240)는 상기 삽입공(2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래치(220)와 연장부(23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240)는 상기 삽입공(215)의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215)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240)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 돌기(240)를 지지하는 제 1 단부(215a) 및 상기 가이드 돌기(240)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 돌기(240)를 지지하는 제 2 단부(215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걸립부(220)가 상기 제 1,2 케이싱(210,211)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벽면(10)에 걸림이 이루어질 때의 위치에 대응한다. 반면에,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래치(220)가 상기 제 1,2 케이싱(210,211)의 내부에 인입되어 상기 벽면(10)에의 걸림이 해제될 때의 위치에 대응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푸쉬 유닛이 이동한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푸쉬 유닛(110)가 풀 유닛(150)은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의 양측에서 결합된다.
상기 푸쉬 유닛(110)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240)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하여 경사부(121)를 포함하는 제 1 가이드 장치(120)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240)는 상기 경사부(121)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21)는 라운드진 경사면을 포함한다.
상기 래치(220)가 상기 벽면(10)에 걸림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래치(220)는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의 외측, 즉 상기 제 1,2 케이싱(210,21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 돌기(240)는 상기 삽입공(215)의 제 1 단부(215a)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부(121)의 일측(도 8에서, 하단부)에 접촉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탄성부재(270)는 인장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푸쉬 유닛(110)을 밀거나 상기 풀 유닛(150)을 당길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푸쉬 유닛(110)을 미는 경우 상기 제 1 탄성부재(113)가 압축되며, 상기 풀 유닛(150)을 당기는 경우 상기 제 2 탄성부재(153)가 압축될 수 있다.
물론, 이 때 상기 푸쉬 유닛(110)과 풀 유닛(150)은 서로 결합된 상태이므로, 이 중 하나만 이동되더라도 다른 하나는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푸쉬 유닛(110) 또는 풀 유닛(150)이 이동되면, 상기 제 1 가이드 장치(120)는 상기 가이드 돌기(240)가 위치하는 방향(즉, 도 8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경사부(121)는 상기 가이드 돌기(240)를 가압하여 상기 가이드 돌기(240)를 상기 제 2 단부(215b)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 유닛(110)은, 상기 가이드 돌기(240)가 상기 제 2 단부(215b)에 접할 때까지 이동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경사부(121)가 일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 돌기(240)는 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타방향은 상기 일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타방향은 상기 삽입공(215)이 연장 또는 형성되는 방향에 대응된다.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돌기(240)가 상기 경사부(121)에 의하여 가압되어 상기 제 2 단부(215b)까지 이동되면 상기 푸쉬 유닛(110)은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 돌기(240)는 상기 경사부(121)의 타측(도 9에서, 상단부)에 접촉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탄성부재(270)는 압축된 상태에 있게 되며, 상기 래치(220)는 상기 제 1,2 케이싱(210,211)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래치(220)는 상기 벽면(10)에의 걸림이 해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도어(20)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를 개방한 후 사용자가 상기 푸쉬 유닛(110) 또는 풀 유닛(150)의 조작을 중지한 경우, 즉 상기 푸쉬 유닛(110)의 미는 동작을 멈추거나 상기 풀 유닛(150)의 당김 동작을 멈추면, 상기 푸쉬 유닛(110) 및 풀 유닛(150)은 상기 제 1 탄성부재(113) 또는 제 2 탄성부재(153)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복원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풀 유닛(150)은, 상기 제 2 가이드 장치(160)의 걸림 턱(162)이 상기 가이드 돌기(240)에 간섭될 때까지 이동된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하여, 상기 푸쉬 유닛(110)과 풀 유닛(150)은,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래의 정확한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 푸쉬 유닛(110)이 원래 위치로 복원되면, 상기 가이드 돌기(240)는 상기 경사부(121)를 따라 이동되며, 도 8과 같이 상기 삽입공(215)의 제 1 단부(215a)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돌기(240)는 상기 경사부(121)의 일측 단부에 접촉한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연장부(230)는 상기 가이드 돌기(240)와 함께 이동되며, 상기 래치(220)는 상기 제 1,2 케이싱(210,21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 3 탄성부재(270)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상기 래치(220)는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들은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일부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푸쉬 유닛(110)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24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 1 가이드 장치(32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이드 장치(320)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240)와 접촉되는 경사부(321)가 포함된다.
상기 경사부(321)는 리니어하게 경사진 경사면을 가진다. 상기 푸쉬 유닛(110)의 푸시 또는 복원 동작시, 상기 가이드 돌기(240)는 상기 경사부(321)의 경사면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이동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푸쉬 유닛(110)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24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 1 가이드 장치(42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이드 장치(420)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240)와 접촉되는 경사부(421)가 포함된다.
상기 경사부(321)는 라운드지게 경사진 경사면을 가진다. 제 1 실시예의 경사부(121)와 비교할 때, 상기 경사부(321)는 상기 래치(220)를 기준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도록 형성된다. 반면에, 제 1 실시예의 경사부(121)는 상기 래치(220)를 기준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푸쉬 유닛(110)의 푸시 또는 복원 동작시, 상기 가이드 돌기(240)는 상기 경사부(321)의 경사면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이동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200)에는, 상기 래치(220)의 후측에 결합되는 연장부가 포함된다.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240)가 구비되는 제 1 결합부(276)와, 상기 제 1 결합부(276)의 일측에 결합되며 소정 크기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와이어(275) 및 상기 와이어(275)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277)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결합부(277)는 상기 래치(220)의 후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275)는 상기 제 1 결합부(276)와 제 2 결합부(277)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240)가 상기 제 1 가이드 장치(120)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래치(220)는 상기 와이어(275) 및 제 2 결합부(277)와 함께 상기 가이드 돌기(240)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 돌기(240)의 이동력은 상기 와이어(275)를 통하여 상기 래치(220)에 전달될 수 있으므로, 상기 래치(22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의 파손 염려가 줄어들게 된다.
100 : 도어 개폐장치 110 : 푸쉬 유닛
113 : 제 1 탄성부재 116 : 결합 축
120 : 제 1 가이드 장치 121 : 경사부
150 : 풀 유닛 153 : 제 2 탄성부재
160 : 제 2 가이드 장치 162 : 걸림턱
200 : 래치 어셈블리 215 : 삽입공
220 : 래치 230 : 연장부
240 : 가이드 돌기 270 : 제 3 탄성부재

Claims (9)

  1. 도어의 일측에 푸쉬 가능하게 제공되는 푸쉬 유닛;
    상기 푸쉬 유닛과 결합되며, 당김이 이루어질 수 있는 풀 유닛;
    상기 푸쉬 유닛 및 풀 유닛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가 장착되는 벽면에 선택적으로 걸림이 이루어지는 래치가 구비되는 래치 어셈블리;
    상기 푸쉬 유닛에 제공되어 상기 래치의 이동을 가이드 하며, 설정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가지는 제 1 가이드 장치;
    상기 풀 유닛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가이드 장치와 일체로 움직이는 제 2 가이드 장치; 및
    상기 경사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 돌기가 포함되며,
    상기 래치 어셈블리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래치에 결합되는 연장부가 포함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연장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삽입공을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도어 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에는,
    상기 래치가 상기 벽면에 걸림이 이루어질 때, 상기 가이드 돌기가 지지되는 제 1 단부; 및
    상기 래치가 상기 벽면으로부터 걸림이 해제될 때, 상기 가이드 돌기가 지지되는 제 2 단부가 포함되는 도어 개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가이드 돌기는 타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삽입공이 형성되는 방향은 상기 타방향에 대응되는 도어 개폐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 장치에 제공되며,
    상기 풀 유닛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와 간섭되어 상기 푸쉬 유닛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 턱이 포함되는 도어 개폐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턱은 상기 가이드 돌기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도어 개폐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경사면 및 리니어하게 연장되는 경사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어 개폐장치.
KR1020130015159A 2013-02-13 2013-02-13 도어 개폐장치 KR101397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159A KR101397972B1 (ko) 2013-02-13 2013-02-13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159A KR101397972B1 (ko) 2013-02-13 2013-02-13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7972B1 true KR101397972B1 (ko) 2014-05-27

Family

ID=50894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159A KR101397972B1 (ko) 2013-02-13 2013-02-13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9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651A (ko) 2014-08-13 2016-02-24 (주)해밀 스윙도어용 잠금해제장치
KR101860118B1 (ko) * 2016-10-20 2018-05-23 송승환 밖에서 잠글 수 있는 미닫이 창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58797A1 (en) * 1998-05-08 1999-11-18 Budev B.V. Lock
KR101176797B1 (ko) * 2012-03-22 2012-08-24 주식회사 터치하우스코리아 도어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손잡이
KR101188995B1 (ko) * 2009-10-01 2012-10-08 안재옥 도어락
KR20120115664A (ko) * 2011-04-11 2012-10-19 김신화 출입문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58797A1 (en) * 1998-05-08 1999-11-18 Budev B.V. Lock
KR101188995B1 (ko) * 2009-10-01 2012-10-08 안재옥 도어락
KR20120115664A (ko) * 2011-04-11 2012-10-19 김신화 출입문 개폐장치
KR101176797B1 (ko) * 2012-03-22 2012-08-24 주식회사 터치하우스코리아 도어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손잡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651A (ko) 2014-08-13 2016-02-24 (주)해밀 스윙도어용 잠금해제장치
KR101860118B1 (ko) * 2016-10-20 2018-05-23 송승환 밖에서 잠글 수 있는 미닫이 창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3205B2 (ja) サーバーケース用ガイドレール装置
KR101434980B1 (ko) 래치장치
US20110291427A1 (en) Door lock device for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with movable latch
TW201337139A (zh) 一種閂鎖裝置及使用此閂鎖裝置的擴充座
KR20180016643A (ko) 로크 기구 및 개폐 장치
US11674341B2 (en) Vehicle door latch apparatus
JP4825287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101463514B1 (ko) 푸시 앤 푸시 도어락 장치
KR101524131B1 (ko) 도어 래치장치
KR200448297Y1 (ko) 사물함용 손잡이형 잠금장치
WO2014196755A1 (en) Button latch device of dual door type inner door
KR101397972B1 (ko) 도어 개폐장치
KR20140138619A (ko) 가전제품의 도어를 위한 도어록 장치
JP2011169036A (ja) インサイド操作装置
KR20140064289A (ko) 레버타입 커넥터
KR101943733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JP3216123U (ja) モバイルデバイスのセキュリティロック
KR101808850B1 (ko) 래치 헤드의 회전이 가능한 푸쉬풀 도어 로킹 장치
CN108092342B (zh) 充电座及其电池连接模块
KR100809810B1 (ko) 도어 록
KR101411888B1 (ko) 잠금 및 해제가 용이한 수갑
KR101793543B1 (ko) 기중차단기 투입 잠금장치
US20160356062A1 (en) Latching System and Handle for Enclosures
KR200474293Y1 (ko) 컴팩트 핸들 시스템
KR101458924B1 (ko) 도어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