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131B1 - 도어 래치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래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131B1
KR101524131B1 KR1020130131856A KR20130131856A KR101524131B1 KR 101524131 B1 KR101524131 B1 KR 101524131B1 KR 1020130131856 A KR1020130131856 A KR 1020130131856A KR 20130131856 A KR20130131856 A KR 20130131856A KR 101524131 B1 KR101524131 B1 KR 101524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ever
base
foul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0268A (ko
Inventor
이병국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주) filed Critical 평화정공(주)
Priority to KR1020130131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131B1/ko
Publication of KR20150050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03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locking a plurality of wings, e.g. simultaneously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도어 래치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도어 래치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된 베이스와, 개구부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마운팅홈부를 구비하며 베이스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기어와, 베이스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과, 베이스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파울의 몸체에 연결되어 파울과 함께 회전하는 연결레버부와, 연결레버부와 함께 베이스에 축 연결되며 조작력을 입력받아 회전하는 해제레버부 및 락킹케이블에 연결되어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락킹케이블의 이동에 연동하여 연결레버부와 해제레버부의 회전을 동기화시키는 락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 래치장치{DOOR LATCH APPARATUS}
본 발명은 도어 래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래치장치의 잠금해제 동작만으로도 이웃한 래치장치의 잠금을 자동 해제할 수 있는 도어 래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 래치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운팅홈부가 형성된 래치기어와, 래치기어의 걸림단을 구속하는 파울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파울은 손잡이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래치기어의 구속을 해제하여 도어의 개방을 행한다.
래치기어에는 제1걸림돌기부와 제2걸림돌기부가 형성되어 스트라이커를 구속한 래치기어가 파울에 의해 2단 구속상태를 형성한다.
스트라이커가 래치기어의 마운팅홈부에 진입하면 래치기어는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파울은 래치기어의 제1걸림돌기부에 걸리므로 1단 구속상태를 형성한다.
스트라이커에 밀려서 래치기어가 완전히 회전되면, 파울은 래치기어의 제2걸림돌기부에 걸리므로 2단 구속상태를 형성한다.
래치기어를 2단 구속상태에 있는 잠금위치에서 잠금해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파울에 해제력을 전달하면, 래치기어에서 파울이 이격된다.
핸들의 조작력을 전달받는 파울이 래치기어에서 분리되면, 개방력이 도어에 인가될 때 래치기어가 분리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트라이커가 래치기어에서 분리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0018831호(1998.06.05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 백도어용 도어 래치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도어 래치장치와 이웃한 래치장치의 잠금해제를 위해 각각의 조작력이 필요하므로 도어의 잠금해제시 불편함이 가중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래치장치의 잠금해제 동작만으로도 이웃한 래치장치의 잠금을 자동 해제할 수 있는 도어 래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래치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된 베이스와, 개구부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마운팅홈부를 구비하며 베이스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기어와, 베이스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과, 베이스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파울의 몸체에 연결되어 파울과 함께 회전하는 연결레버부와, 연결레버부와 함께 베이스에 축 연결되며 조작력을 입력받아 회전하는 해제레버부 및 락킹케이블에 연결되어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락킹케이블의 이동에 연동하여 연결레버부와 해제레버부의 회전을 동기화시키는 락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파울과 연결레버부와 해제레버부의 회전중심은 동일 축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레버부는, 파울을 관통하는 제1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레버몸체와, 연결레버몸체에서 돌출되어 파울에 삽입되는 연결돌기와, 연결레버몸체에서 연장되어 전달케이블이 연결되는 제1연결바 및 연결레버몸체에서 돌출되며 락킹부에 걸리는 걸림부재와 락킹부에 걸리지 않는 안내홈부를 구비하는 제1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걸림부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안내홈부는 연결레버몸체의 외측을 따라 상기 제1걸림부의 내측으로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제레버부는, 제1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제레버몸체와, 해제레버몸체에서 연장되어 작동케이블이 연결되는 제2연결바 및 해제레버몸체에서 돌출되며 걸림부재 또는 안내홈부에 락킹부가 위치하도록 락킹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걸림부는 제1지지축을 향하여 직선 형상의 홈을 형성하는 가이드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락킹부는,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락킹케이블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락킹몸체 및 일측은 락킹몸체에 연결되며 타측은 제2걸림부로 삽입되어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되는 연결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링크부는, 락킹몸체에 삽입되는 제1락킹돌기와, 가이드홈부로 삽입되어 걸림부재에 걸리거나 안내홈부를 따라 이동되는 제2락킹돌기 및 제1락킹돌기와 제2락킹돌기를 연결하는 연결링크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래치장치는, 해제레버부의 회전과 함께 연결레버부가 회전하면서 이웃한 래치장치에 연결된 작동케이블이 이동되므로, 도어 래치장치의 잠금해제 동작만으로도 이웃한 래치장치의 잠금을 자동 해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장치의 전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장치의 후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장치에서 커버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장치에서 베이스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장치에서 래치기어와 파울을 포함한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부의 제2락킹돌기가 걸림부재에 걸리는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부의 제2락킹돌기가 내측홈부에 연통된 가이드홈부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장치의 요부구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과 연결레버부와 해제레버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부의 이동으로 제2락킹돌기가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장치에서 래치기어와 파울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레버가 회전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레버가 회전되어 감지센서부가 동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레버가 래치기어의 측면에 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장치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동차용 도어에 설치된 도어 래치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장치의 전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장치의 후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장치에서 커버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장치에서 베이스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장치에서 래치기어와 파울을 포함한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부의 제2락킹돌기가 걸림부재에 걸리는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부의 제2락킹돌기가 내측홈부에 연통된 가이드홈부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장치의 요부구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과 연결레버부와 해제레버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부의 이동으로 제2락킹돌기가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장치에서 래치기어와 파울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레버가 회전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레버가 회전되어 감지센서부가 동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레버가 래치기어의 측면에 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장치(1)는, 개구부(32)가 형성된 베이스(30)와, 베이스(3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40)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40)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50)과, 파울(50)에 걸려서 회전이 구속되며 개구부(32)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10)를 구속하는 마운팅홈부(44)를 구비하며 베이스(3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기어(40)와, 베이스(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4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스위치레버(90)와, 스위치레버(90)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부(100)와, 감지센서부(10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스위치레버(90)를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공급하는 레버스프링(110)과, 베이스(30)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파울(50)의 몸체에 연결되어 파울(50)과 함께 회전하는 연결레버부(60)와, 연결레버부(60)와 함께 베이스(30)에 축 연결되며 조작력을 입력받아 회전하는 해제레버부(70) 및 락킹케이블(20)에 연결되어 베이스(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락킹케이블(20)의 이동에 연동하여 연결레버부(60)와 해제레버부(70)의 회전을 동기화시키는 락킹부(80)를 포함한다.
차량에 고정된 형상으로 설치되는 스트라이커(1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스트라이커(10)는 도어 래치장치(1)에 구속되어 잠금모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스트라이커(10)가 도어 래치장치(1)에서 이격되어 열림모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열림모드는 스트라이커(10)가 래치기어(40)의 마운팅홈부(44)에서 이격된 상태로, 래치몸체(42)의 마운팅홈부(44)가 베이스(30)의 개구부(32)를 향하여 회전된 상태이다.
닫힘모드는 스크라이커(10)가 개구부(32)를 통해 삽입되어 래치기어(40)의 마운팅홈부(44)로 삽입된 후, 래치기어(40)를 회전시키며 래치기어(40)의 제2걸림부(48)가 파울(50)의 걸림돌기(54)에 걸린 상태이다. 닫힘모드에서는 스트라이커(10)가 래치기어(40)의 마운팅홈부(44) 내측에 삽입되어 이동이 구속된 상태로 도어가 닫힌 상태이다.
도어 래치장치(1)의 베이스(30)에는 제1지지축(12)과 제2지지축(14)이 설치되며, 제1지지축(12)을 중심으로 파울(50)과 연결레버부(60)와 해제레버부(70)가 회전한다.
제2지지축(14)을 중심으로는 래치기어(40)와 락킹부(80)의 락킹몸체(8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지지축(12)의 외측에 권선된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1탄성부재(16)는 파울(50)을 일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며, 제2지지축(14)의 외측에 권선된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18)는 파울(50)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래치기어(40)를 탄성 지지한다.
예를 들어 파울(50)이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경우, 래치기어(40)는 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도어 래치장치(1)에는 락킹케이블(20)과 전달케이블(22)과 작동케이블(24)이 연결되어 도어 래치장치(1)의 작동을 제어한다.
락킹케이블(20)은 락킹부(80)의 락킹연결링크(81)에 연결되며, 락킹케이블(20)의 이동에 따라 락킹부(80)가 동작되어 파울(50)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파울(50)의 회전됨을 방지하여 스트라이커(10)가 도어 래치장치(1)에 잠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달케이블(22)의 일측은 연결레버부(60)에 연결되며 전달케이블(22)의 타측은 이웃한 래치장치에 연결된다.
따라서 도어 래치장치(1)의 파울(50)이 회전되어 도어 래치장치(1)가 열림모드가 되는 경우, 연결레버부(60)에 연결된 전달케이블(22)도 이동되어 이웃한 래치장치도 열림모드로 동작된다.
작동케이블(24)은 해제레버부(70)에 연결되어 해제레버부(70)를 회전시키므로, 락킹부(80)가 해제레버부(70)와 연결레버부(60)의 회전을 동기화시키는 경우, 작동케이블(24)의 동작으로 해제레버부(70)와 연결레버부(60)가 회전하면서 파울(50)이 회전되어 도어 래치장치(1)는 열림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도어 래치장치(1)의 몸체를 형성하는 베이스(30)는 본체부(31)와 연장몸체(36)를 포함하며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부(31)에 래치기어(40)와 파울(5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연장몸체(36)에는 락킹부(80)의 락킹연결링크(8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트라이커(10)가 진입되는 개구부(32)가 본체부(31)에 형성되며, 레버돌기(96)의 이동을 안내하는 장공 형상의 안내홈부(34)도 베이스(30)의 본체부(31)에 형성된다.
래치기어(40)는 파울(50)에 걸려서 회전이 구속되며, 개구부(32)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10)를 구속하는 마운팅홈부(44)를 구비하며 베이스(3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40)는 래치몸체(42)와 제1걸림돌기부(46)와 제2걸림돌기부(48)를 포함한다.
래치몸체(42)는 마운팅홈부(44)를 구비하며 베이스(30)의 본체부(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위치레버(90)의 레버돌기(96)에 접하는 측면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마운팅홈부(44)에 연이어 설치된 제1걸림돌기부(46)는 래치몸체(42)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제1잠금위치에서 파울(50)과 접한다.
제1잠금위치는 스크라이커에 밀려서 래치기어(40)가 회전할 때, 스트라이커(10)가 래치기어(40)에 구속되어 잠금위치에 있으나, 래치기어(40)가 잠금모드로 완전히 회전되어 스트라이커(10)를 구속하는 상태는 아니다.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고 덜 닫힌 경우, 도어 래치장치(1)는 안전잠금위치인 제1잠금위치에 위치하며, 파울(50)의 걸림돌기(54)는 래치기어(40)의 제1걸림돌기부(46)에 걸린 상태이다.
제2잠금위치는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의 완전잠금위치이며, 이러한 잠금모드에서는 파울(50)의 걸림돌기(54)가 래치기어(40)의 제2걸림돌기부(48)에 걸린 상태이다.
제2걸림돌기부(48)는 제1걸림돌기부(46)와 이격되어 래치몸체(42)의 측면으로 돌출되며, 제2잠금위치에서 파울(50)과 접하는 상태로 걸린다.
파울(50)은 베이스(3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40)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40)의 회전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50)은 파울몸체(52)와 걸림돌기(54)와 연장돌기(56)를 포함한다.
파울몸체(52)는 제1지지축(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탄성부재(16)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탄성 지지된다.
파울몸체(52)에서 돌출된 걸림돌기(54)는 래치기어(40)의 제1걸림돌기부(46) 또는 제2걸림돌기부(48)에 걸려서 래치기어(40)의 회전을 구속한다.
파울몸체(52)에서 돌출된 연장돌기(56)는 베이스(30)에 접하여 파울(50)의 회전각도를 설정된 범위 내로 구속한다.
연결레버부(60)는 베이스(30)의 본체부(31)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파울(50)의 몸체에 연결되어 파울(50)과 함께 회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레버부(60)는, 연결레버몸체(62)와 연결돌기(64)와 제1연결바(66)와 제1걸림부(67)를 포함한다.
연결레버몸체(62)는 파울(50)을 관통하는 제1지지축(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베이스(30)의 본체부(31)를 사이에 두고 파울(50)과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연결돌기(64)는 연결레버몸체(62)에서 돌출되어 베이스(30)의 본체부(31)를 관통한 후 파울(50)에 삽입된다.
본체부(31)에는 연결돌기(64)의 이동을 안내하는 원호 형상의 홀이 구비되며, 연결레버부(60)가 회전되는 경우, 연결돌기(64)로 연결된 파울(50)도 연결레버부(60)와 함께 회전한다.
제1연결바(66)는 연결레버몸체(62)에서 연장되어 전달케이블(22)이 연결된다.
제1걸림부(67)는 연결레버몸체(62)에서 돌출되며 락킹부(80)에 걸리는 걸림부재(68)와 락킹부(80)에 걸리지 않는 내측홈부(69)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걸림부(67)의 걸림부재(68)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홈부(69)는 연결레버몸체(62)의 외측을 따라 제1걸림부(67)의 내측으로 홈을 형성한다.
내측홈부(69)는 걸림부재(68)의 내측에 원호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므로, 락킹부(80)의 제2락킹돌기(88)가 내측홈부(69)에 위치하는 경우, 해제레버부(70)가 회전할때 제2락킹돌기(88)는 내측홈부(69)를 따라 이동한다.
해제레버부(70)는 연결레버부(60)와 함께 베이스(30)에 축 연결되며, 외부의 조작력을 입력받아 회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레버부(70)는 해제레버몸체(72)와 제2연결바(74)와 제2걸림부(76)와 가이드홈부(78)를 포함한다.
파울(50)과 연결레버부(60)와 해제레버부(70)의 회전중심은 동일 축선상에 위치하며, 그 회전중심에 제1지지축(12)이 설치된다.
해제레버몸체(72)는 제1지지축(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연결바(74)는 해제레버몸체(72)에서 연장되어 작동케이블(24)에 연결된다.
제2걸림부(76)는 해제레버몸체(72)에서 돌출되며, 걸림부재(68) 또는 내측홈부(69)에 락킹부(80)가 위치하도록 락킹부(80)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걸림부(76)는 제1지지축(12)을 향하여 직선 형상의 홈을 형성하는 가이드홈부(78)를 포함한다.
제2걸림부(76)는 해제레버몸체(72)에서 2개의 막대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막대의 사이에는 가이드홈부(78)가 구비되어 제2락킹돌기(88)의 이동을 안내한다.
락킹부(80)는 락킹케이블(20)에 연결되어 베이스(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락킹케이블(20)의 이동에 연동하여 연결레버부(60)와 해제레버부(70)의 회전을 동기화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부(80)는, 락킹연결링크(81), 락킹몸체(82) 및 연결링크부(84)를 포함한다.
락킹연결링크(81)는 베이스(30)의 연장몸체(3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락킹케이블(20)에 연결되어 락킹케이블(20)의 이동으로 회전된다.
락킹몸체(82)는 베이스(30)의 본체부(31)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락킹몸체(82)의 하측에는 락킹연결링크(81)가 연결된다. 따라서 락킹몸체(82)는 락킹케이블(20)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연결링크부(84)의 일측은 락킹몸체(82)에 연결되며 타측은 제2걸림부(76)로 삽입되어 가이드홈부(78)를 따라 이동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연결링크부(8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크부(84)는, 락킹몸체(82)에 삽입되는 제1락킹돌기(86)와, 가이드홈부(78)로 삽입되어 걸림부재(68)에 걸리거나 내측홈부(69)를 따라 이동되는 제2락킹돌기(88) 및 제1락킹돌기(86)와 제2락킹돌기(88)를 연결하는 연결링크바(89)를 포함한다.
연결링크바(89)에서 돌출된 제1락킹돌기(86)는 락킹몸체(82)에 삽입되어 락킹몸체(82)와 함께 이동한다.
스위치레버(90)는 베이스(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4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어 감지센서부(100)를 동작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레버(90)는, 레버몸체(92)와 지지축(94)과 레버돌기(96)를 포함한다.
레버몸체(92)는 베이스(30)의 본체부(31)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지지축(94)은 레버몸체(92)를 관통하여 베이스(30)에 고정되므로 레버몸체(92)는 지지축(94)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레버돌기(96)는 레버몸체(92)에서 돌출되어 지지축(94)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베이스(30)를 관통하여 베이스(3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래치기어(40)의 측면에 접한다.
레버돌기(96)는 베이스(30)의 안내홈부(34)로 삽입되며, 래치기어(40)의 회전시 래치몸체(42)의 측면 형상을 따라 이동되므로, 레버돌기(96)의 이동에 연동하여 래치몸체(42)도 회전한다.
감지센서부(100)는 스위치레버(90)의 회전을 감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센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부(100)는 접촉식으로 동작되며, 베이스(30)의 후면에 설치된다.
감지센서부(100)는 레버몸체(92)에 접하여 동작되므로 래치기어(40)가 회전되어 열림모드에 있는지 잠금모드에 있는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레버스프링(110)은 감지센서부(10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스위치레버(90)를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공급한다.
레버스프링(110)은 베이스(30)의 본체부(31) 후면에 설치되며, 지지축(94)의 외측에 권선되는 형상으로 설치되어 레버돌기(96)를 래치기어(40)의 측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베이스(30)의 본체부(31) 후면에 연결레버부(60)와 해제레버부(70)와 락킹부(80)가 설치된 상태에서 커버부재(120)가 제1지지축(12)과 제2지지축(14)의 후면에 결합되어 도어 래치장치(1)의 후면을 커버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케이블(20)이 락킹연결링크(81)를 회전시키면, 락킹몸체(82)는 제2지지축(14)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락킹몸체(82)에 연결된 연결링크부(84)가 이동되면서 제2락킹돌기(88)는 가이드홈부(78)를 따라 이동되어 연결레버부(60)의 내측홈부(69)로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동케이블(24)이 이동되어 해제레버부(70)를 회전시키는 경우, 해제레버부(70)의 가이드홈부(78)로 삽입된 제2락킹돌기(88)는 가이드홈부(78)를 따라 이동되므로 연결레버부(60)는 회전되지 않으며, 연결레버부(60)와 함께 회전하는 파울(50)도 회전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몸체(82)의 회전으로 락킹몸체(82)와 함께 이동하는 연결링크부(84)의 제2락킹돌기(88)가 가이드홈부(78)를 따라 이동되어 걸림부재(68)와 마주하는 위치로 이동된 경우, 해제레버부(70)의 회전과 연결레버부(60)의 회전은 연동된다.
작동케이블(24)이 당겨져서 해제레버부(70)가 회전되면, 해제레버부(70)의 가이드홈부(78)로 삽입된 제2락킹돌기(88)는 연결레버부(60)의 걸림부재(68)에 걸려서 연결레버부(60)도 같이 회전된다.
연결레버부(60)의 회전으로 연결돌기(64)가 삽입된 파울(50)도 회전되면서 래치기어(40)의 구속을 해제하므로, 래치기어(40)는 제2탄성부재(18)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되어 스트라이커(10)의 구속을 해제한다.
또한 연결레버부(60)의 회전으로 제1연결부에 연결된 전달케이블(22)이 이동되어 이웃한 래치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므로 이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래치기어(40)가 회전하는 경우, 래치몸체(42)의 측면 형상이 굴곡을 형성하므로, 래치몸체(42)에 접한 레버돌기(96)가 베이스(30)의 안내홈부(34)를 따라 이동된다.
레버돌기(96)의 이동으로 레버몸체(92)는 지지축(94)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감지센서부(100)를 가압하여 감지센서부(100)를 동작시킨다.
감지센서부(100)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만 가압이 이루어지므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가압되는 센서에 비해 내구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치기어(40)의 회전에 연동하는 스위치레버(90)가 감지센서부(100)에 접촉되어 감지센서부(100)를 동작시키므로 열림모드와 닫힘모드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래치기어(40)의 후측에 스위치레버(90)와 감지센서부(100)가 설치되어 제품의 외형이 축소될 수 있으며, 부품수 감소에 따라 생산원가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래치기어(40)에 직접 접한 상태로 설치된 스위치레버(90)가 래치기어(40)의 회전으로 이동하여 감지센서부(100)를 동작시키므로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해제레버부(70)의 회전과 함께 연결레버부(60)가 회전하면서 이웃한 래치장치에 연결된 작동케이블(24)이 이동되므로, 도어 래치장치(1)의 잠금해제 동작만으로도 이웃한 래치장치의 잠금을 자동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자동차용 도어에 설치된 도어 래치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기 위한 다른 기계장치에서도 본 발명에 의한 도어 래치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도어 래치장치 10: 스트라이커
12: 제1지지축 14: 제2지지축
16: 제1탄성부재 18: 제2탄성부재
20: 락킹케이블 22: 전달케이블
24: 작동케이블 30: 베이스
31: 본체부 32: 개구부
34: 안내홈부 36: 연장몸체
40: 래치기어 42: 래치몸체
44: 마운팅홈부 46: 제1걸림돌기부
48: 제2걸림돌기부 50: 파울
52: 파울몸체 54: 걸림돌기
56: 연장돌기 60: 연결레버부
62: 연결레버몸체 64: 연결돌기
66: 제1연결바 67: 제1걸림부
68: 걸림부재 69: 내측홈부
70: 해제레버부 72: 해제레버몸체
74: 제2연결바 76: 제2걸림부
78: 가이드홈부 80: 락킹부
81: 락킹연결링크 82: 락킹몸체
84: 연결링크부 86: 제1락킹돌기
88: 제2락킹돌기 89: 연결링크바
90: 스위치레버 92: 레버몸체
94: 지지축 96: 레버돌기
100: 감지센서부 110: 레버스프링
120: 커버부재

Claims (8)

  1. 개구부가 형성된 베이스;
    상기 개구부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마운팅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기어;
    상기 베이스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상기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
    상기 베이스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울의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파울과 함께 회전하는 연결레버부;
    상기 연결레버부와 함께 상기 베이스에 축 연결되며, 조작력을 입력받아 회전하는 해제레버부; 및
    락킹케이블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락킹케이블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연결레버부와 상기 해제레버부의 회전을 동기화시키는 락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레버부는, 상기 파울을 관통하는 제1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레버몸체;
    상기 연결레버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파울에 삽입되는 연결돌기;
    상기 연결레버몸체에서 연장되어 전달케이블이 연결되는 제1연결바; 및
    상기 연결레버몸체에서 돌출되며, 상기 락킹부에 걸리는 걸림부재와, 상기 락킹부에 걸리지 않는 안내홈부를 구비하는 제1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해제레버부는, 상기 제1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제레버몸체;
    상기 해제레버몸체에서 연장되어 작동케이블이 연결되는 제2연결바; 및
    상기 해제레버몸체에서 돌출되며, 상기 걸림부재 또는 상기 안내홈부에 상기 락킹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락킹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래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울과 상기 연결레버부와 상기 해제레버부의 회전중심은 동일 축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래치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부는 상기 연결레버몸체의 외측을 따라 상기 제1걸림부의 내측으로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래치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제1지지축을 향하여 직선 형상의 홈을 형성하는 가이드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래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락킹케이블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락킹몸체; 및
    일측은 상기 락킹몸체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제2걸림부로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되는 연결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래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부는, 상기 락킹몸체에 삽입되는 제1락킹돌기;
    상기 가이드홈부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재에 걸리거나 상기 안내홈부를 따라 이동되는 제2락킹돌기; 및
    상기 제1락킹돌기와 상기 제2락킹돌기를 연결하는 연결링크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래치장치.
KR1020130131856A 2013-10-31 2013-10-31 도어 래치장치 KR101524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856A KR101524131B1 (ko) 2013-10-31 2013-10-31 도어 래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856A KR101524131B1 (ko) 2013-10-31 2013-10-31 도어 래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268A KR20150050268A (ko) 2015-05-08
KR101524131B1 true KR101524131B1 (ko) 2015-05-29

Family

ID=53388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856A KR101524131B1 (ko) 2013-10-31 2013-10-31 도어 래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1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2369B1 (ko) * 2015-07-08 2017-11-28 평화정공(주) 자동차용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547B1 (ko) * 2015-06-26 2017-12-13 주식회사 우보테크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808548B1 (ko) 2015-12-28 2017-12-13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821243B1 (ko) 2015-12-28 2018-01-24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WO2018034440A1 (en) * 2016-08-19 2018-02-22 Woobo Tech Co., Ltd. Vehicle door latch system
WO2018169258A1 (en) * 2017-03-14 2018-09-20 Woobo Tech Co., Ltd. Vehicle door latch system
KR101971149B1 (ko) * 2017-11-24 2019-04-22 주식회사 우보테크 도어 래치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6884A (ko) * 2008-08-05 2010-02-16 평화정공 주식회사 마스터 링크구조를 갖는 차량용 도어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6884A (ko) * 2008-08-05 2010-02-16 평화정공 주식회사 마스터 링크구조를 갖는 차량용 도어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2369B1 (ko) * 2015-07-08 2017-11-28 평화정공(주) 자동차용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268A (ko) 2015-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4131B1 (ko) 도어 래치장치
KR101560979B1 (ko) 2단 해제용 후드래치
EP2312098B1 (en) Door lock device
JP6178918B2 (ja) ドアラッチシステム
US8844984B2 (en) Door lock device
EP2396487B1 (en) Door lock device for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with movable latch
US8833810B2 (en) Vehicle door handle apparatus
KR101524132B1 (ko) 도어 래치장치
JP4892288B2 (ja) 遊技機の施錠装置
JP4185141B2 (ja) 射出成形機の安全扉
KR20150106292A (ko) 후드래치장치
KR101643468B1 (ko)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US20170342751A1 (en) Opening control device
EP3748110B1 (en) Inside handle device
KR101943733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101613018B1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1573144B1 (ko) 더블풀 후드래치
KR101541251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
KR101603836B1 (ko)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KR101371255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1882745B1 (ko) 후드래치 장치
KR20160034506A (ko) 2단 해제용 후드래치
JP2005213818A (ja) 車両用ドア操作装置
KR101542692B1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1595332B1 (ko)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