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149B1 - 도어 래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어 래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149B1
KR101971149B1 KR1020170158098A KR20170158098A KR101971149B1 KR 101971149 B1 KR101971149 B1 KR 101971149B1 KR 1020170158098 A KR1020170158098 A KR 1020170158098A KR 20170158098 A KR20170158098 A KR 20170158098A KR 101971149 B1 KR101971149 B1 KR 101971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oor
lever
chil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5782A (ko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to KR1020170158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149B1/ko
Publication of KR20170135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8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for anti-theft purposes, e.g. double-locking or super-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래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메인 로킹부재와 슬라이딩 부재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걸림레버부와, 상기 메인 로킹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턱과,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레버부를 회동시키는 로킹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로킹플레이트에는 레버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레버부에는 가이드바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안내부가 상기 가이드바를 안내함에 따라 상기 걸림레버부의 회동이 이루어져서, 상기 로킹플레이트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걸림레버부가 상기 걸림턱에 걸리면 상기 메인 로킹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함께 슬라이딩 되고, 상기 로킹플레이트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걸림레버부가 상기 걸림턱에서 이탈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만 슬라이딩 되어, 상기 메인 로킹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연결하는 구조가 단순해지고, 장치의 내구성도 향상되는 도어 래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래치 시스템{Latch system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 래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메인 로킹부재와 슬라이딩 부재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걸림레버부와, 상기 메인 로킹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턱과,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레버부를 회동시키는 로킹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로킹플레이트에는 레버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레버부에는 가이드바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안내부가 상기 가이드바를 안내함에 따라 상기 걸림레버부의 회동이 이루어져서, 상기 로킹플레이트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걸림레버부가 상기 걸림턱에 걸리면 상기 메인 로킹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함께 슬라이딩 되고, 상기 로킹플레이트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걸림레버부가 상기 걸림턱에서 이탈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만 슬라이딩 되는 도어 래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래치 시스템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535053호에 제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도어의 개폐 또는 자동차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 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도어 래치 시스템은 도어가 잠금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도어 레버를 잡아당길 경우, 도어 레버와 연결된 래치 등의 여러 부품들에게 불필요한 힘이 가해지게 되므로 도어 래치 시스템을 구성하는 여러 부품들의 파손이 쉽게 일어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보수 비용이 과도하게 들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도어 래치 시스템은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535053호 한국특허출원 제2015-006945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메인 로킹부재와 슬라이딩 부재를 연결하는 구조가 단순해지고, 장치의 내구성도 향상되는 도어 래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 래치 시스템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와,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래치를 로킹시키는 메인 로킹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 로킹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메인 로킹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걸림레버부와, 상기 메인 로킹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턱과,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레버부를 회동시키는 로킹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로킹플레이트에는 레버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레버부에는 가이드바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안내부가 상기 가이드바를 안내함에 따라 상기 걸림레버부의 회동이 이루어져서, 상기 로킹플레이트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걸림레버부가 상기 걸림턱에 걸리면 상기 메인 로킹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함께 슬라이딩 되고, 상기 로킹플레이트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걸림레버부가 상기 걸림턱에서 이탈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만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레버부의 걸림레버축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레버안내부는 상기 걸림레버부 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레버안내부에는 상기 가이드바와 접촉하는 면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래치를 회전시키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구동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 로킹부재에는 상기 걸림부를 누르는 걸림부 누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걸림부를 원위치로 리턴시키는 걸림부 리턴스프링이 더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래치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 누름부에는 금속소재의 누름부 보강부재가 인서트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 메뉴얼 로킹부재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뉴얼 로킹부재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걸리는 제1걸림부와, 상기 로킹플레이트에 걸리는 제2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래치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메인 로킹부재를 슬라이딩시키는 회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메인 로킹부재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메인 로킹부재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로킹부재 후방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삽입되는 슬라이딩 부재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킹플레이트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로킹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킹구동부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구동부와 상기 로킹플레이트는 랙과 피니언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로킹구동부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와 상기 로킹플레이트는 웜과 웜기어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상기 로킹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모터의 축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상기 로킹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모터의 축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킹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와 상기 메인기어는 웜과 상기 웜에 치합되는 웜기어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모터는 상기 로킹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모터의 축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래치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와 상기 메인기어는 평기어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메인기어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모터는 축이 전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래치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와 상기 메인기어는 제1웜과, 상기 제1웜에 치합되는 제1웜기어와, 상기 제1웜기어에 설치되는 제2웜과, 상기 제2웜에 치합되는 제2웜기어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기어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모터의 축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기어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모터의 축도 전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래치를 회동시키거나 상기 로킹플레이트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킹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와 상기 메인기어는 웜과 상기 웜에 치합되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에 설치되는 중간평기어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래치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일드 로킹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차일드 로킹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기어에는 상기 래치를 회전시키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기어에는 상기 차일드 로킹부재를 슬라이딩시키는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일드 로킹부재에는 돌기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레버부에는 차일드 락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안내부가 상기 차일드 락 돌기를 안내함에 따라 상기 걸림레버부의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일드 로킹부재와, 상기 차일드 로킹부재를 이동시키는 차일드 로킹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일드 로킹부재에는 돌기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레버부에는 차일드 락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안내부가 상기 차일드 락 돌기를 안내함에 따라 상기 걸림레버부의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일드 로킹부재와, 상기 차일드 로킹부재를 이동시키는 차일드 로킹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일드 로킹부재와 상기 차일드 로킹 구동부는 차일드 랙과 차일드 피니언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일드 로킹부재와, 상기 차일드 로킹부재를 이동시키는 차일드 로킹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일드 로킹부재와 상기 차일드 로킹 구동부는 차일드 웜과 차일드 웜기어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로킹플레이트에는 잠금해제케이블이 설치되며, 상기 잠금해제케이블과 노브 사이에는 방향전환부가 설치되며, 상기 방향 전환부는 방향전환하우징과, 상기 방향전환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환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노브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환레버의 타측에는 상기 잠금해제케이블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환레버의 회전축은 상기 전환레버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하우징에는 상기 노브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홈과, 상기 잠금해제케이블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방향전환하우징에는 상기 제1,2가이드홈에 연통되도록 상기 전환레버가 이동될 수 있는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도어 래치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메인 로킹부재와 슬라이딩 부재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걸림레버부와, 상기 메인 로킹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턱과,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레버부를 회동시키는 로킹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로킹플레이트에는 레버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레버부에는 가이드바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안내부가 상기 가이드바를 안내함에 따라 상기 걸림레버부의 회동이 이루어져서, 상기 로킹플레이트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걸림레버부가 상기 걸림턱에 걸리면 상기 메인 로킹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함께 슬라이딩 되고, 상기 로킹플레이트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걸림레버부가 상기 걸림턱에서 이탈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만 슬라이딩 되어, 상기 메인 로킹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연결하는 구조가 단순해지고, 장치의 내구성도 향상된다.
상기 걸림레버부의 걸림레버축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레버안내부는 상기 걸림레버부 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레버안내부에는 상기 가이드바와 접촉하는 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구조가 더욱 단순해지며 내구성도 향상된다.
상기 래치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래치를 회전시키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구동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 로킹부재에는 상기 걸림부를 누르는 걸림부 누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걸림부를 원위치로 리턴시키는 걸림부 리턴스프링이 더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래치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구동부를 통해 도어를 닫는 중 또는 도어를 닫은 후에 구동부가 고장나더라도 도어레버를 잡아당기게 되면 수동으로 도어를 열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 누름부에는 금속소재의 누름부 보강부재가 인서트되어, 상기 걸림부 누름부의 강성이 증대된다.
상기 하우징에 메뉴얼 로킹부재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뉴얼 로킹부재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걸리는 제1걸림부와, 상기 로킹플레이트에 걸리는 제2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구조가 단순한 동시에 도어 잠금 상태에서 사용자가 차안에서 도어인레버를 한번 잡아당기면 도어 잠금이 해제되고 도어인레버를 한번 더 잡아당기면 도어가 열리게 된다.
상기 래치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메인 로킹부재를 슬라이딩시키는 회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메인 로킹부재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메인 로킹부재 후방에 배치되어, 도어 래치 시스템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도어 래치 시스템의 좌우폭을 더욱 축소시킬 수 있어서 다양한 디자인의 도어에 공통으로 적용가능하다.
상기 메인 로킹부재 후방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삽입되는 슬라이딩 부재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좌우방향으로 이동시 가이드될 수 있으며, 도어 래치 시스템의 좌우폭 및 전후폭이 더욱 축소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로킹부재의 강성도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로킹플레이트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로킹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킹구동부와 상기 로킹플레이트는 랙과 피니언이나 웜과 직선형상의 웜기어(랙)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로킹구동부가 고장나더라도 사용자가 잠금해제케이블 등을 통해 상기 로킹플레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한편, 모터의 축이 메인기어의 축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웜기어를 통해 연결될 경우 모터가 고장났을 때 외부 힘에 의해 웜기어의 역회전이 어렵다.
상기 모터는 상기 로킹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모터의 축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도어의 다른 부재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상기 로킹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모터의 축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전후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로킹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와 상기 메인기어는 웜과 상기 웜에 치합되는 웜기어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모터는 상기 로킹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모터의 축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도어 래치 시스템을 컴팩트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구조도 단순화될 수 있다.
상기 래치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래치는 상기 모터에 의해 회동되며, 상기 모터와 상기 래치는 여러개의 평기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가 고장나더라도 사용자가 도어레버를 잡아당긴 상태로 도어를 열게 되면 스트라이커에 의해 래치가 도어 열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어서 안전성이 향상된다.
상기 메인기어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모터는 축이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으며, 모터 고장시 평기어가 원활하게 역회전 될 수 있다.
상기 래치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와 상기 메인기어는 제1웜과, 상기 제1웜에 치합되는 제1웜기어와, 상기 제1웜기어에 설치되는 제2웜과, 상기 제2웜에 치합되는 제2웜기어를 통해 연결되어, 모터의 속도가 대폭 감속되어 모터를 통한 도어 닫힘시 부드럽게 구동이 되고 구동 토크도 확보된다. 또한, 도어 닫힘시 속도가 감소되어 신체나 옷이 도어에 끼는 경우, 도어를 수동으로 열 수 있다.
상기 메인기어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모터의 축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거나, 상기 메인기어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모터의 축도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장치의 구조가 단순해진다.
상기 래치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일드 로킹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차일드 로킹부재를 이동시켜서, 차일드 로킹부재를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는 버튼 등을 통해 이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장치를 단순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로킹플레이트에는 잠금해제케이블이 설치되며, 상기 잠금해제케이블과 노브 사이에는 방향전환부가 설치되어, 도어 래치 시스템을 도어에 설치할 때 PCB 및 모터가 상부에 배치될 수 있어서 물이 스트라이커삽입홈으로 유입되더라도 PCB 및 모터가 침수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방향 전환부는 방향전환하우징과, 상기 방향전환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환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노브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환레버의 타측에는 상기 잠금해제케이블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환레버의 회전축은 상기 전환레버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방향 전환부의 구성을 단순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방향 전환부를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도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하우징에는 상기 노브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홈과, 상기 잠금해제케이블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방향전환하우징에는 상기 제1,2가이드홈에 연통되도록 상기 전환레버가 이동될 수 있는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노브의 누름 방향이 원활하게 전환될 수 있으며, 상기 방향 전환부가 더욱 컴팩트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3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3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배면도.(메인기어의 금속부 제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1하우징의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3하우징의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2하우징의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래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메인 로킹부재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걸림레버부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슬라이딩 부재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로킹플레이트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구동부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메인기어 배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메인기어 분리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로킹부재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2하우징 및 메인 로킹부재 및 차일드 로킹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닫힘 동작의 첫번째 단계를 도시한 정면도(하우징 생략).
도 2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닫힘 동작의 두번째 단계를 도시한 정면도(하우징 생략).
도 2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닫힘 동작의 세번째 단계를 도시한 정면도(하우징 생략).
도 2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닫힘 동작의 네번째 단계를 도시한 정면도(하우징 생략).
도 2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잠김 동작의 첫번째 단계를 도시한 정면도(위)와 A-A 단면도(아래)(하우징 및 래치 생략).
도 2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잠김 동작시 걸림레버부가 슬라이딩 부재에 걸린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메인 로킹부재 생략).
도 2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잠김 동작의 두번째 단계를 도시한 정면도(위)와 A-A 단면도(아래)(하우징 및 래치 생략).
도 2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잠김 동작시 걸림레버부가 레버안내부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잠김 동작의 세번째 단계를 도시한 정면도(위)와 A-A 단면도(아래)(하우징 및 래치 생략).
도 2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잠김 해제 동작을 도시한 정면도(위)와 A-A 단면도(아래)(하우징 및 래치 생략).
도 2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인레버를 이용한 도어 잠김 해제 동작의 첫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인레버를 이용한 도어 잠김 해제 동작의 두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인레버를 이용한 도어 잠김 해제 동작의 세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로킹부재를 이용한 내측 도어 잠금 동작의 첫번째 단계를 도시한 정면도와 부분 평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로킹부재를 이용한 내측 도어 잠금 동작의 두번째 단계를 도시한 정면도와 부분 평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모터 고장시 도어 열림 동작의 첫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위)와 부분 배면 사시도(아래).
도 3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모터 고장시 도어 열림 동작의 두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위)와 부분 배면 사시도(아래).
도 3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모터 고장시 도어 열림 동작의 세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위)와 부분 배면 사시도(아래).
도 3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을 차량 도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 평면도(차량에 장착되는 상태).
도 3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을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4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3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배면도(도어 잠금 상태).
도 4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3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배면도(도어 잠금 해제 상태).
도 4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도 4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3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배면도.
도 4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3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배면도.
도 4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3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배면 사시도(메인기어의 금속부 제거).
도 4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3하우징을 제거하고 메인기어와 차일드 로킹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배면 사시도.
도 4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로킹부재 사시도.
도 4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배면도.
도 4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도 5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로킹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배면도.
도 5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로킹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도 5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도 5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3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배면도(모터 생략).
도 5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모터 고장시 도어 열림 과정을 보여주는 부분 정면도.
도 5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도 5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3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배면도.
도 5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3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배면 사시도(로킹플레이트 및 메인기어 분리).
도 5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로킹플레이트와 메인기어 정면 사시도.
도 5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잠금 상태(상), 도어 잠금 해제 상태(중), 도어 잠금 해제 후 메인기어가 복귀되는 상태(하)를 나타내는 배면도 및 제1,2,3전선 개략도.
도 6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부분 단면도.
도 61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3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배면도.
도 62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3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배면 사시도.
도 63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3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배면도.
도 64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로킹부재 배면 사시도.
도 65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부분 수평 단면도(상부에서 본 상태).
도 66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부분 수평 단면도(하부에서 본 상태).
도 67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도 68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로킹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도 69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3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배면도.
도 70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방향전환부 분리 배면 사시도.
도 71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을 차량 도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72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3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배면도.
도 73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을 차량 도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도 1 내지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도어 래치 시스템(5)은, 하우징(1100)과, 상기 하우징(1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1200)와, 상기 하우징(1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래치(1200)를 로킹시키는 메인 로킹부재(1300)와, 상기 하우징(1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 로킹부재(1300)의 일측에 배치되는 슬라이딩 부재(1400)와, 상기 메인 로킹부재(1300)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1400)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림돌기(1455)가 형성되는 걸림레버부(1450)와, 상기 메인 로킹부재(1300)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140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455)가 걸리는 걸림턱(1405)과, 상기 하우징(1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레버부(1450)를 회동시키는 로킹플레이트(1500)를 포함하되, 상기 로킹플레이트(1500)에는 레버안내부(1507)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레버부(1450)에는 가이드바(1457)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안내부(1507)가 상기 가이드바(1457)를 안내함에 따라 상기 걸림레버부(1450)의 회동이 이루어져서, 상기 로킹플레이트(1500)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걸림레버부(1450)가 상기 걸림턱(1405)에 걸리면 상기 메인 로킹부재(1300)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1400)가 함께 슬라이딩 되고, 상기 로킹플레이트(1500)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걸림레버부(1450)가 상기 걸림턱(1405)에서 이탈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1400)만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은 하우징(1100)에서 제2하우징(1130)쪽을 의미하며, 후방은 제3하우징(1150) 쪽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서술되는 좌측 및 우측은 전방에서 보았을 때 좌측 및 우측을 의미한다. 후면에 형성된 부재의 위치를 설명할 때의 좌측 및 우측도 부재의 전방에서 보았을 때 좌측 및 우측을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0)은 제1하우징(1110)과, 제1하우징(1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하우징(1130)과, 제1하우징(1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3하우징(1150)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0)의 상부 및 전방에는 차체에 연결된 스트라이커(1101)가 삽입되는 스트라이커삽입홈(1105)이 형성된다.
따라서, 스트라이커삽입홈(1105)은 제1하우징(1110)과 제2하우징(1130)에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1110)은 블럭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이하 서술되는 래치(1200)가 안착되는 래치안착홈(1111)과, 이하 서술되는 메인 로킹부재(1300)와 슬라이딩 부재(1400)가 안착되는 로킹부재안착홈(1112)이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은 플라스틱소재로 형성되어 사출로 성형될 수 있다. 제2하우징(1130)은 철판과 같은 강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래치안착홈(1111)의 전방 및 상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스트라이커삽입홈(1105)과 연통된다.
나아가, 제1하우징(1110)의 전방에는 스프링삽입홈(1113)이 형성된다.
스프링삽입홈(1113)은 래치안착홈(1111)의 후방에 배치되어 래치안착홈(1111)에 연통된다. 스프링삽입홈(1113)에는 이하 서술되는 제1복귀스프링(1250)이 삽입되어 제1복귀스프링(1250)의 타단이 래치(12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제1하우징(1110)에는 래치안착홈(1111)에 연통되도록 이하 서술되는 제6센서(1910)가 삽입되는 제6센서삽입공(1129)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6센서삽입공(1129)은 스트라이커삽입홈(1105) 하부에 배치된다.
제1하우징(1110)에는 스프링삽입홈(1113) 및 래치안착홈(1111)에 연통되도록 좌측에 걸림부가이드홈(1115)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걸림부가이드홈(1115)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로킹부재안착홈(1112)은 래치안착홈(1111)에 연통되도록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로킹부재안착홈(1112)은 래치안착홈(1111)보다 후방으로 깊게 형성된다.
로킹부재안착홈(1112)은 메인 로킹부재(1300)와 슬라이딩 부재(1400)가 좌우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은 로킹부재안착홈(1112)에서 슬라이딩 부재(1400)가 안착되는 부분의 후방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이하 서술할 레버안내부(1507)가 삽입된다.
제1하우징(1110)의 전방에는 로킹부재안착홈(1112)에 연통되도록 좌우방향으로 로드가이드홈(1116)이 형성된다.
로드가이드홈(1116)은 래치안착홈(1111)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1하우징(1110)의 전방에는 로킹부재안착홈(1112) 및 로드가이드홈(1116)에 연통되도록 좌우방향으로 제1감지부재삽입홈(1128)이 형성된다.
제1감지부재삽입홈(1128)은 로킹부재안착홈(1112)의 좌측 하부에 배치된다.
제1감지부재삽입홈(1128)은 상부 및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의 전방 우측에는 제1스프링안착홈(1117), 제2스프링안착홈(1119)이 형성된다. 제1스프링안착홈(1117), 제2스프링안착홈(1119)은 로킹부재안착홈(1112)의 우측에 배치되며, 로킹부재안착홈(1112)에 연통된다. 제1스프링안착홈(1117), 제2스프링안착홈(1119)의 우측에는 도어인레버 또는 도어아웃레버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인출되는 인출공이 각각 연통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프링안착홈(1117)과 제2스프링안착홈(1119) 사이에 메뉴얼 로킹부재(1560)가 삽입되는 메뉴얼 로킹부재 삽입공(1118)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메뉴얼 로킹부재 삽입공(1118)은 로킹부재안착홈(1112)에 연통된다.
제1하우징(1110)의 전방에는 이하 서술되는 차일드 로킹부재(1700)가 안착되는 차일드 로킹부재안착홈(1122)이 로킹부재안착홈(1112)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차일드 로킹부재안착홈(1122)은 로킹부재안착홈(1112)의 상부에 배치된다. 차일드 로킹부재안착홈(1122)은 로킹부재안착홈(1112)에 연통된다.
제1하우징(1110) 하부 및 상부에는 래치안착홈(1111)에 연통되도록 범퍼부재(1360)가 각각 삽입되는 범퍼부재삽입홈(1123)이 형성된다.
하부에 배치되는 범퍼부재삽입홈(1123)은 범퍼부재(136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상부에 배치되는 범퍼부재삽입홈(1123)은 상부 및 전방이 개방되고, 우측부는 래치안착홈(1111)에 연통된다.
상부에 배치되는 범퍼부재삽입홈(1123)은 후방의 직경이 전방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상부에 배치되는 범퍼부재(1360)는 상부에 배치되는 범퍼부재삽입홈(112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범퍼부재(1360)를 상부에 배치되는 범퍼부재삽입홈(1123)에 위에서 삽입하게 되면 삽입후에는 전후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조립이 완성된 후에는 상부에 배치되는 범퍼부재삽입홈(1123)의 상부가 이하 서술되는 제2하우징(1130)에 의해 막힌다. 이와 같이 상부에 배치되는 범퍼부재삽입홈(1123)이 형성되어 조립이 용이해지게 된다.
하부에 배치되는 범퍼부재(1360)는 래치(1200)가 메인 로킹부재(1300)에 의해 로킹상태에 있을 때 래치(1200)를 지지하여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상부에 배치되는 범퍼부재(1360)는 래치(1200)가 메인 로킹부재(1300)와의 걸림이 해제되어 제1복귀스프링(1250)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래치(1200)를 지지하여 래치(1200)가 일정 각도 이내에서만 회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유격과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한다.
제1하우징(1110)의 전면에는 제2하우징(1130)의 하부의 수평부분 또는 수직부분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돌출부(1103)가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돌출부(1103)로 인해 제1하우징(1110)과 제2하우징(1130)의 가조립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공정이 용이해진다.
제1하우징(1110)의 상면에는 오목부(1124)가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의 후면 우측 하부에는 메뉴얼 로킹부재 안착홈(1125)이 형성된다. 메뉴얼 로킹부재 안착홈(1125)은 메뉴얼 로킹부재 삽입공(1118)에 연통된다.
메뉴얼 로킹부재 안착홈(1125)에는 후술할 메뉴얼 로킹부재 축(1561)이 삽입된다.
제1하우징(1110)의 상면 및 측면 후방에 제3하우징(1150)과의 체결을 위한 잠금후크걸림부(1126)가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의 후면 하부 중간에는 제1키 커넥트설치부(1127)가 상하부 및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의 후면 좌측에는 이하 서술되는 메인기어(1630)의 삽입공(1636)에 끼워지는 메인기어축(1114)이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의 후면 하부에는 이하 서술되는 로킹플레이트(1500)가 안착되는 로킹플레이트안착홈이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로킹플레이트안착홈은 걸림부가이드홈(1115)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는 우측에 이하 서술되는 서브기어(1620)가 안착되는 서브기어안착홈이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는 상기 서브기어안착홈의 우측에 모터(1610)의 전방이 안착되는 제1모터안착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모터안착홈은 상기 서브기어안착홈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는 상기 로킹플레이트안착홈의 하부에 이하 서술되는 PCB(1900)의 전방이 끼워지는 제1피씨비끼움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피씨비끼움홈은 제1감지부재삽입홈(1128)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1하우징(1110) 후면에는 제5센서(1911)가 안착되는 제5센서안착홈(1106)이 형성된다. 따라서, 조립시에 제5센서(1911)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5센서안착홈(1106)은 걸림부가이드홈(1115)의 외측에 배치된다.
나아가, 제1하우징(1110)에는 PCB(1900)와 센서(제5센서(1911) 및 제6센서(1910)) 또는 상기 구동부(모터(1610))를 연결하는 전선이 인서트되어 설치된다. 이로 인해 전선 길이가 축소될 수 있다.
상기 전선은 센서 또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부분 및 PCB(1900)와 연결되는 부분이 제1하우징(1110)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센서 또는 상기 구동부를 제1하우징(1110)에 형성된 안착홈에 끼워넣기만 하면 센서 또는 상기 구동부 또는 PCB(1900)가 상기 전선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이 더욱 용이해진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하우징(1130)은 수직한 판 형상의 수직부재(1131)와, 수직부재(1131)의 상단에서 후방 측으로 절곡된 수평부재(1132)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재(1131)에는 리벳으로 구비되는 래치회동축(1230)이 삽입되는 축삽입공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수직부재(1131)에는 상기 축삽입공 둘레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함몰되어 제1돌출부(1135)와 제2돌출부(1136)가 형성된다. 제1돌출부(1135)와 제2돌출부(1136)는 수직부재(1131)의 후면 다른 부분보다 후방으로 돌출된다.
제1돌출부(1135)는 이하 서술되는 래치(1200)의 전면 및 회동부재(1370)의 전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조립시 래치(1200) 및 회동부재(1370)는 전후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는 동시에 래치(1200) 및 회동부재(1370)와 제2하우징(1130) 사이의 마찰은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제2하우징(1130)의 후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어 제2하우징(1130)에 대해 회전하는 부재와의 마찰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제1돌출부(1135)는 사람인(人)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돌출부(1135)는 래치(1200) 및 회동부재(1370)의 회전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다.
제2돌출부(1136)는 상기 축삽입공 둘레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래치(1200)의 전면에 접촉된다.
또한, 이하 서술되는 제3하우징(1150)의 전면에도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어 제3하우징(1150)에 대해 회전하는 부재(메인 기어)와의 마찰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부재(1131)에는 우측에 이하 서술되는 차일드 로킹작동돌기(1710)가 삽입되는 작동돌기장공(1134)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작동돌기장공(1134)은 차일드 로킹작동돌기(1710)의 좌우폭보다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 및 제2하우징(1130)에는 도어(1)에 볼팅체결할 수 있도록 설치공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공은 제1하우징(1110) 및 제2하우징(1130)의 좌측 상하부와 스트라이커삽입홈(1105)의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설치공으로 인해 본 실시예의 도어 래치 시스템(5)을 도어(1)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하우징(1130)에는 리벳으로 구비되는 제1복귀스프링걸림축(1251), 회동축(1380), 회동스프링걸림축(1391)이 삽입되는 리벳삽입공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1복귀스프링걸림축(1251)에는 제1복귀스프링(1250)의 일단이 걸린다.
제2하우징(1130)의 우측에는 도어레버연결부(1800)가 인출되는 제1하우징(1110)의 우측면을 감싸서 지지하는 수직지지부재(1138)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지지부재(1138)로 인해 하우징(1100)에서 도어레버연결부(1800)를 지지하는 부분의 강도가 보강된다. 수직지지부재(1138)에는 도어레버연결부(1800)가 인출되는 인출공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지지부재(1138)로 인해 충격시에도 제1하우징(1110)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재(1131)는 제1하우징(1110)의 전면에 복수개의 볼트(1133) 등을 통해 설치되고, 수평부재(1132)는 제1하우징(1110)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1124) 상에 배치된다. 복수개의 볼트(1133)는 스트라이커삽입홈(1105)의 양측과 제2하우징(1130)과 제1하우징(1110)의 하부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수직부재(1131)와 수평부재(1132)에 걸쳐 스트라이커삽입홈(1105)이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하우징(115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사각통의 형상이다. 제3하우징(1150)은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3하우징(1150)의 내부에는 PCB(1900)의 후방이 끼워지는 제2피씨비끼움홈(1154)이 형성된다. 제3하우징(1150)의 내부에는 모터(1610)의 후방이 안착되는 제2모터안착홈(1151)이 형성된다.
제3하우징(1150)의 상부와 양측에는 잠금후크(1153)가 형성된다.
각각의 잠금후크(1153)는 제1하우징(1110)에 형성된 잠금후크걸림부(1126) 중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잠금후크걸림부(1126)와 체결된다. 이로 인해 제1하우징(1110)과 제3하우징(1150)이 결합된다. 추가로, 볼트 등을 통해 제1하우징(1110)과 제3하우징(1150)은 결합된다.
제3하우징(1150)의 하부에는 제2키 커넥트설치부(1152)가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의 제1키 커넥트설치부(1127)와 제2키 커넥트설치부(1152)에는 후술할 키 커넥트(1550)가 설치된다.
제3하우징(1150)의 후면에는 좌측에 좌우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1155)가 형성된다.
PCB(1900)는 제1피씨비끼움홈과 제2피씨비끼움홈(1154)에 끼워져서 하우징(1100)에 설치된다. PCB(1900)는 하우징(1100) 내부의 하부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PCB(1900)에는 제1센서(1901), 제2센서(1903), 제3센서(1905), 제4센서(1907)가 설치된다. 제1센서(1901), 제2센서(1903), 제3센서(1905), 제4센서(1907)는 자석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비된다.
제1센서(1901)와 제2센서(1903)는 좌우방향으로 같은 선상에 배치되고, 제3센서(1905)와 제4센서(1907)는 좌우방향으로 같은 선상에 배치된다.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제1센서(1901)는 제2센서(1903)의 좌측에 배치된다.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제3센서(1905)는 제4센서(1907)의 좌측에 배치된다.
제1센서(1901)와 제2센서(1903)는 메인 로킹부재(1300)에 형성된 제1감지부(1351)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도어(1)의 열림과 닫힘에 관여하는 센서이다.
제3센서(1905)와 제4센서(1907)는 로킹플레이트(1500)에 형성된 제2감지부(1521)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도어(1)의 잠금과 잠금해제에 관여하는 센서이다.
또한, PCB(1900)에는 제5센서(1911)와 제6센서(1910)가 연결된다. 제5센서(1911)와 제6센서(1910)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
제5센서(1911)는 제1하우징(1110)과 제3하우징(1150) 사이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제5센서(1911)는 걸림부가이드홈(1115)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제5센서(1911)는 메인기어(1630)가 다시 원위치(기본위치)로 복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제6센서(1910)는 래치(1200)가 스트라이커(1101)에 의해 눌려서 회전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1200)는 래치안착홈(1111) 내부에 배치되도록 제1하우징(1110)에 설치된다.
래치(1200)는 제2하우징(1130)에 설치되는 래치회동축(1230)을 통해 제1하우징(1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래치(120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래치(1200)의 외주면에는 로킹홈(1201)이 형성된다.
로킹홈(1201)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진다.
로킹홈(1201)은 평편하게 형성되는 제1면(1203)과, 제1면(1203)의 좌측단에서 연장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면(1205)과, 제2면(1205)의 좌측단에서 연장되고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트라이커(1101)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3면(1207)과, 제3면(1207)의 상부 우측단에서 연장되는 제4면(1209)과, 제4면(1209)의 우측단에서 연장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5면(1211)에 의해 둘러싸인다.
로킹홈(1201)은 전후로 관통되고, 외측 단부 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래치(1200)에는 로킹홈(1201)의 하부에 보조로킹홈(1202)이 형성된다. 보조로킹홈(1202)은 로킹홈(1201)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로킹홈(1201)보다 깊이가 얕게 형성된다.
래치(1200) 외주면에는 스프링끼움부(1213)가 형성된다.
스프링끼움부(1213)는 홈형상이나 구멍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래치(1200)에는 좌측 외주면에 돌기(1215)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기(1215)는 걸림부가이드홈(1115)의 전방에 배치된다.
래치(1200)의 도어 닫힘시 회전하는 방향(시계방향)을 따라 로킹홈(1201), 보조로킹홈(1202), 스프링끼움부(1213), 돌기(1215)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로킹해제시 래치(1200)가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제1복귀스프링(1250)이 구비된다.
제1복귀스프링(1250)의 일단은 제2하우징(1130)의 제1복귀스프링걸림축(1251)에 걸리고, 중간은 래치회동축(1230)에 감겨지고, 타단은 스프링끼움부(1213)에 끼워진다.
따라서, 래치(1200)가 회전할 때, 제1복귀스프링(1250)의 타단은 래치(12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로킹부재(1300)는 제1하우징(1110)에 형성된 로킹부재안착홈(1112)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메인 로킹부재(1300)는 몸체(1310)와, 수평바(1340)와, 걸림부 누름부(1330)와, 제1감지부재(1350)로 이루어진다. 메인 로킹부재(1300)는 몸체(1310)와, 수평바(1340)와, 걸림부 누름부(1330)와 제1감지부재(1350)가 일체로 형성된다.
나아가, 메인 로킹부재(1300)는 래치(1200)에 의해 회동하여 메인 로킹부재(1300)를 슬라이딩시키는 회동부재(1370)를 더 포함한다.
몸체(1310)는 제1부분(1311)과, 전면이 제1부분(1311)의 전면보다 전방에 배치되도록 제1부분(1311)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부분(1313)으로 이루어진다.
제1부분(1311)은 몸체(1310)의 좌측 상부를 이루며, 제2부분(1313)은 몸체(1310)의 나머지를 이룬다.
제2부분(1313)의 상부에는 후술할 회동부재(1370)의 일부분이 끼워지는 회동부재삽입홈(1317)이 형성된다.
회동부재삽입홈(1317)은 상부 및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회동부재삽입홈(1317)은 전방은 제2하우징(1130)의 설치로 폐쇄된다.
회동부재삽입홈(1317)을 형성하는 좌측면과 우측면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회동부재삽입홈(1317)을 형성하는 좌측면은 회동부재삽입홈(1317)을 형성하는 우측면보다 경사진 길이가 짧다.
회동부재삽입홈(1317)을 형성하는 하면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몸체(1310)의 좌측은 회전되는 래치(1200)와 간섭되지 않도록 굴곡지거나 경사지게 형성된다.
회동부재(1370)의 하부는 메인 로킹부재(1300)의 제1부분(1311)의 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회동부재(1370)의 적어도 일부가 메인 로킹부재(1300)의 전방에 배치된다.
회동부재(1370)는 제1하우징(1110)의 전방 측에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회동축(1380)에 의해 제2하우징(1130)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회동축(1380)은 회동부재(1370)의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회동축(1380)은 리벳으로 구비되어 제2하우징(1130)에 리벳팅된다.
회동부재(1370)는 회동축(138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다.
또한, 회동부재(1370)를 복귀시키는 회동스프링(1390)이 구비될 수 있다.
회동스프링(1390)의 일단은 제2하우징(1130)에 리벳팅된 회동스프링걸림축(1391)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회동부재(1370)의 우측에 걸려서 연결된다. 회동스프링(1390)의 중간 부분은 회동축(1380)에 끼워진다.
회동스프링(1390)은 회동부재(1370)에 힘을 가해 반시계방향으로 밀었다가 놓을 경우, 회동부재(1370)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력을 부여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회동부재(1370)는 로킹부(1371)와 삽입돌기(1373)로 이루어진다.
로킹부(1371)는 좌측 하부가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로킹부(1371)의 하부에는 도어 닫힘시 래치(1200)의 끝단 일부가 삽입되는 래치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래치삽입홈은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로킹부(1371)는 래치(1200)의 위치를 구속(로킹)하는 역할을 한다.
로킹부(1371)의 하부에는 도어 닫힘시 래치(1200)의 끝단 일부(제1면(1203))가 삽입되는 래치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래치삽입홈은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로킹부(1371)의 하면 우측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삽입돌기(1373)가 형성된다.
삽입돌기(1373)는 회동부재삽입홈(1317) 내에 위치한다.
이러한 이유는 래치(1200)의 회동에 의해 회동부재(1370)가 메인 로킹부재(1300)를 슬라이딩시킬 경우, 회동부재(1370)의 삽입돌기(1373)가 회동부재삽입홈(1317) 내에서 이탈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삽입돌기(1373)는 회동부재(1370)의 회동에 따라 메인 로킹부재(1300)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는 역할을 한다.
삽입돌기(1373)의 좌우 폭은 회동부재삽입홈(1317)의 좌우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로킹부재(1300)는 제1하우징(1110)에 설치되어 회동부재(1370)를 통해 래치(1200)를 로킹시킨다.
몸체(1310)의 후면 좌측에는 이하 서술되는 걸림레버부(1450)가 안착되는 걸림레버 안착홈(1314)이 형성된다. 걸림레버 안착홈(1314)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걸림레버 안착홈(1314)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몸체(1310)의 좌측 후방에는 상하방향으로 걸림레버축(1470)이 끼워지는 걸림레버축 삽입공(1316)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걸림레버축 삽입공(1316)은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하부는 막히도록 형성되어, 조립시 걸림레버축(1470)이 걸림레버축 삽입공(1316)에 상부에서 끼워진다. 걸림레버축 삽입공(1316)은 상하부에 배치되는 걸림레버 안착홈(1314)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몸체(1310)의 후면 좌측에는 제2복귀스프링(1460)이 안착되는 제2복귀스프링 안착홈(1318)이 형성된다. 제2복귀스프링 안착홈(1318)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2복귀스프링 안착홈(1318)은 상하부에 배치된 걸림레버 안착홈(1314) 사이에 배치된다.
몸체(1310)의 좌측 후면 중간에는 이격돌기(1312)가 형성된다.
이격돌기(1312)는 제2복귀스프링 안착홈(1318)의 중간에 배치되어, 제2복귀스프링(1460)의 제1,2스프링부(1460a, 1460b)를 이격시킨다.
몸체(1310)의 우측 후면에는 슬라이딩 부재(1400)가 삽입되는 슬라이딩 부재 삽입홈(1315)이 형성된다. 슬라이딩 부재 삽입홈(1315)은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며, 우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부재 삽입홈(1315)으로 인해 슬라이딩 부재(140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시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몸체(1310)의 우측 후면에는 걸림돌기(1455)가 삽입되는 걸림돌기 삽입공(1319)이 형성된다. 걸림돌기 삽입공(1319)은 슬라이딩 부재 삽입홈(1315)에 연통된다.
이와 같이 몸체(1310)가 형성되어, 슬라이딩 부재(1400)는 메인 로킹부재(1300) 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어 래치 시스템(5)은 강도가 향상되는 동시에 컴팩트해질 수 있어서 다양한 디자인의 도어(1)에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몸체(1310)의 후면에는 걸림레버부(145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걸림레버부가 슬라이딩 부재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레버부(1450)는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1걸림레버부(1450a)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걸림레버부(1450b)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는 선택적으로 메인 로킹부재(1300)와 후술할 슬라이딩 부재(1400)를 함께 슬라이딩시키거나 슬라이딩 부재(1400)만을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연결수단이다.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는 바형상으로 형성되며, 우측 끝단에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455)가 형성된다.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는 좌측 끝단에 걸림레버축(1470)이 관통되는 구멍(1451)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는 몸체(1310)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걸림레버축(1470)을 통해 몸체(13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는 우측에 가이드바(1457)가 형성된다.
제1걸림레버부(1450a)에 형성된 제1가이드바(1457a)는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2걸림레버부(1450b)에 형성된 제2가이드바(1457b)는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가이드바(1457a)와 제2가이드바(1457b)는 후술할 로킹플레이트(1500)에 형성된 경사면(1511)의 안내를 받아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가 각각 회동 되도록 한다.
제1걸림레버부(1450a)의 우측 상부에는 차일드 락 돌기(1453)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차일드 락 돌기(1453)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차일드 락 돌기(1453)는 가이드바(1457)와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차일드 락 돌기(1453)는 후술할 차일드 로킹부재(1700)와 제1걸림레버부(1450a) 간의 연동을 위해 형성된다.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에는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복귀스프링(1460)이 설치된다.
제2복귀스프링(1460)은 제1,2스프링부(1460a, 1460b)와, 제1,2스프링부(1460a, 1460b)를 연결하는 스프링연결부(1465)를 포함한다.
제1스프링부(1460a)는 제2스프링부(1460b)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1,2스프링부(1460a, 1460b)는 코일형상의 코일부(1461)와 직선형상의 자유단부를 각각 포함한다.
코일부(1461)는 걸림레버축(1470)에 끼워져서 위치가 고정된다. 코일부(1461)는 제1걸림레버부(1450a)의 하부와 제2걸림레버부(1450b)의 상부에 각각 배치된다.
코일부(1461) 및 스프링연결부(1465)는 제2복귀스프링 안착홈(1318)에 안착된다.
제1,2스프링부(1460a, 1460b)의 자유단부는 후방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1462)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절곡부(1463)와, 전방으로 절곡된 제3절곡부(1464)를 포함한다.
제3절곡부(1464)는 제1,2가이드바(1457a, 1457b)에 각각 걸리게 되어, 제1,2스프링부(1460a, 1460b)는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에 각각 연결된다.
스프링연결부(1465)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스프링연결부(1465)는 각각의 코일부(1461)에서 상기 자유단부의 반대편 끝단에 연결된다.
스프링연결부(1465)는 제2복귀스프링 안착홈(1318)에 안착되어, 메인 로킹부재(1300)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제1,2스프링부(1460a, 1460b)는 일단은 제1,2걸림레버부(1450a, 1450b)에 걸리고, 타단은 메인 로킹부재(1300)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제1걸림레버부(1450a) 및 제2걸림레버부(1450b)에 힘을 가해 회동시켜서 걸림돌기(1455)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한 후,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에 가하는 힘을 제거하면 제2복귀스프링(14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걸림레버부(1450a) 및 제2걸림레버부(1450b)는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걸림돌기(1455)는 원상태로 복귀(전방으로 이동)된다.
즉, 제2복귀스프링(1460)의 탄성복원력은 전방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수평바(1340)는 몸체(1310)의 좌측 하부에서 좌측으로 길게 형성된다.
수평바(1340)는 로드가이드홈(1116) 내에서 슬라이딩 되어 메인 로킹부재(1300)의 슬라이딩을 보다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
걸림부 누름부(1330)는 수평바(1340)에 일체로 형성되며, 수평바(1340) 좌측 끝단에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걸림부 누름부(1330)는 원호형상으로 굴곡진 바형상으로 형성된다.
걸림부 누름부(1330)는 래치(1200)의 외측에 배치되어, 래치(1200)가 회동될 때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수평바(1340)의 우측단 하부에는 제1감지부재(1350)가 아래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감지부재(1350)의 하면에는 자석과 같은 제1감지부(1351)가 설치된다.
제1감지부(1351)는 PCB(1900) 상의 제1감지부(1351)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센서(1901) 또는 제2센서(1903)에 의해 감지된다. 이러한 감지 신호를 제어부(미도시)는 전달받아서 후술할 모터(1610)를 제어한다.
메인 로킹부재(1300)의 우측 후방에는 슬라이딩 부재(1400)가 배치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1400)는 메인 로킹부재(1300)의 슬라이딩 부재 삽입홈(1315)에 삽입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1400)는 메인 로킹부재(1300)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슬라이딩 부재(1400)는 메인 로킹부재(1300)와 마찬가지로 제1하우징(1110)에 형성된 로킹부재안착홈(1112)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슬라이딩 부재(1400)에는 도어레버연결부(1800)가 연결된다.
슬라이딩 부재(1400)는 블럭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슬라이딩 부재(1400a)와 제2슬라이딩 부재(1400b)를 포함한다. 제1슬라이딩 부재(1400a)와 제2슬라이딩 부재(1400b)는 좌측 상하부 모서리가 라운드처리 되어 메인 로킹부재(1300)에 대해 원활하게 좌우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어레버연결부(1800)는 도어인레버(미도시)와 연결되는 도어인레버연결부(1800a) 및 도어아웃레버(미도시)와 연결되는 도어아웃레버연결부(1800b)를 포함한다. 도어인레버연결부(1800a) 및 도어아웃레버연결부(1800b)는 와이어로 구비된다.
제1슬라이딩 부재(1400a)는 제2슬라이딩 부재(1400b)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1슬라이딩 부재(1400a)에는 도어인레버연결부(1800a)가 연결된다.
제1슬라이딩 부재(1400a)는 제1걸림부재안착홈(1401a)과, 제1스프링 끼움돌기(1402a)와, 제1걸림턱(1405a)과, 메뉴얼 로킹부재 누름부(1407)를 포함한다.
제2슬라이딩 부재(1400b)는 제2걸림부재안착홈(1401b)과, 제2스프링 끼움돌기(1402b)와, 제2걸림턱(1405b)을 포함한다.
제1걸림부재안착홈(1401a)과 제2걸림부재안착홈(1401b)은 전방이 개방되어 있다.
제1걸림부재안착홈(1401a)과 제2걸림부재안착홈(1401b)은 상하로 긴 원통형상의 제1,2걸림부재(1801a, 1801b)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인레버 또는 도어아웃레버를 잡아당겨도 제1,2걸림부재(1801a, 1801b)가 슬라이딩 부재(14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1걸림부재안착홈(1401a)에는 도어인레버연결부(1800a)의 끝단에 형성된 제1걸림부재(1801a)가 안착된다.
제1걸림부재안착홈(1401a)에 위치한 도어인레버연결부(1800a)의 제1걸림부재(1801a)는 메인 로킹부재(1300)의 몸체(1310)에 의해 전방 측으로 이탈하지 않는다.
제2걸림부재안착홈(1401b)에는 도어아웃레버연결부(1800b)의 끝단에 형성된 제2걸림부재(1801b)가 안착된다.
제2걸림부재안착홈(1401b)에 위치한 도어아웃레버연결부(1800b)의 제2걸림부재(1801b)는 메인 로킹부재(1300)의 몸체(1310)에 의해 전방 측으로 이탈하지 않는다.
제1걸림부재안착홈(1401a)의 우측단에는 도어인레버연결부(1800a)가 인출되는 제1인출공(1403a)이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제1인출공(1403a)은 제1걸림부재(1801a)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도어인레버연결부(1800a)를 우측으로 잡아당기더라도 제1걸림부재(1801a)가 제1인출공(1403a)으로 빠져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제1슬라이딩 부재(1400a)는 도어인레버연결부(1800a)를 우측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제2걸림부재안착홈(1401b)의 우측단에는 도어아웃레버연결부(1800b)가 인출되는 제2인출공(1403b)이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제2인출공(1403b)은 제2걸림부재(1801b)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도어아웃레버연결부(1800b)를 우측으로 잡아당기더라도 제2걸림부재(1801b)가 제2인출공(1403b)으로 빠져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제2슬라이딩 부재(1400b)는 도어아웃레버연결부(1800b)를 우측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도어인레버연결부(1800a)에는 제1걸림부재(1801a)에 근접하게 제1스프링(1803a)이 끼워진다.
제1,2슬라이딩 부재(1400a, 1400b)의 우측단에 제1,2인출공(1403a, 1403b)의 상하부에 제1,2스프링 끼움돌기(1402a, 1402b)가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2스프링 끼움돌기(1402a, 1402b)에는 제1,2스프링(1803a, 1803b)의 좌측단이 끼워진다.
제1스프링(1803a)은 제1슬라이딩 부재(1400a)의 우측단과 제1하우징(1110)의 제1스프링안착홈(1117) 사이에 배치된다. 제1스프링(1803a)은 외부힘에 의해 우측으로 슬라이딩된 제1슬라이딩 부재(1400a)를 외부힘이 제거되었을 때 제1스프링(1803a)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좌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어아웃레버연결부(1800b)에는 제2스프링(1803b)이 끼워진다.
제2스프링(1803b)은 제2슬라이딩 부재(1400b)의 우측단과 제1하우징(1110)의 제2스프링안착홈(1119)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2스프링(1803b)은 외부힘에 의해 우측으로 슬라이딩된 제2슬라이딩 부재(1400b)를 외부힘이 제거되었을 때 제2스프링(1803b)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좌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슬라이딩 부재(1400)에는 걸림레버부(1450)의 걸림돌기(1455)가 걸리는 걸림턱(1405)이 형성된다. 걸림턱(1405)은 제1걸림턱(1405a)과 제2걸림턱(1405b)을 포함한다.
제1슬라이딩 부재(1400a)의 후방 측에는 제1걸림턱(1405a)이 형성되고, 제2슬라이딩 부재(1400b)의 후방 측에는 제2걸림턱(1405b)이 형성된다.
제1걸림턱(1405a)과 제2걸림턱(1405b)은 제1슬라이딩 부재(1400a)와 제2슬라이딩 부재(1400b)의 좌측 후방이 우측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2걸림턱(1405a, 1405b)은 우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걸림돌기(1455)가 걸린 후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제1걸림턱(1405a)에는 제1걸림레버부(1450a)의 걸림돌기(1455)가 걸리거나 이탈할 수 있고, 제2걸림턱(1405b)에는 제2걸림레버부(1450b)의 걸림돌기(1455)가 걸리거나 이탈할 수 있다.
제1걸림레버부(1450a), 제2걸림레버부(1450b), 제1걸림턱(1405a) 및 제2걸림턱(1405b)은 메인 로킹부재(1300)와 슬라이딩 부재(1400)가 함께 슬라이딩 되도록 하거나 슬라이딩 부재(1400)만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연결수단이다.
제1걸림턱(1405a)에 제1걸림레버부(1450a)가 걸려 있고, 제2걸림턱(1405b)에 제2걸림레버부(1450b)가 걸려 있는 상태일 때, 도어인레버(미도시) 또는 도어아웃레버(미도시)를 당기면 메인 로킹부재(1300)와 슬라이딩 부재(1400)는 좌측으로 함께 슬라이딩 된다.
즉, 이러한 상태는 도어(1) 잠금해제 상태이다.
반대로 제1걸림턱(1405a)에서 제1걸림레버부(1450a)가 이탈되어 있고, 제2걸림턱(1405b)에서 제2걸림레버부(1450b)가 이탈되어 있는 상태일 때, 도어인레버(미도시) 또는 도어아웃레버(미도시)를 당기면 메인 로킹부재(1300)는 제자리에 있고, 슬라이딩 부재(1400)만 좌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즉, 이러한 상태는 도어(1) 잠금 상태이다.
제1슬라이딩 부재(1400a)는 우측면 하부에서 외측인 우측으로 연장되는 메뉴얼 로킹부재 누름부(1407)를 구비한다.
메뉴얼 로킹부재 누름부(1407)는 수평한 판으로 구비되며, 전면이 제1슬라이딩 부재(1400a)의 전면보다 돌출된다.
메뉴얼 로킹부재 누름부(1407)는 제1하우징(1110)의 제1스프링안착홈(1117)과 제2스프링안착홈(1119) 사이에 위치하여 제1슬라이딩 부재(1400a)와 동시에 좌우로 슬라이딩 된다.
메뉴얼 로킹부재 누름부(1407)는 후술할 메뉴얼 로킹부재(1560)의 제1걸림부(1563)와 서로 접촉하게 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플레이트(1500)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로킹플레이트(1500)는 제1하우징(1110)의 후면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로킹플레이트(1500)는 걸림레버부(1450)를 회동시킨다.
로킹플레이트(1500)는 잠금해제케이블연결부(1501), 레버안내부(1507), 메뉴얼 로킹 가이드장공(1515) 및 제2감지부재(1519)를 포함한다.
잠금해제케이블연결부(1501)는 로킹플레이트(1500)의 맨 좌측에 위치한다.
잠금해제케이블연결부(1501)의 좌측단에는 잠금해제케이블(1810)이 연결되어 노브(미도시) 등을 작동시키면 잠금해제케이블(181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당겨져 로킹플레이트(15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잠금해제케이블연결부(1501) 후면에는 잠금해제케이블(1810)의 끝단이 안착되는 걸림부재안착홈이 후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로킹플레이트(1500)에 잠금해제케이블(1810)을 조립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진다.
잠금해제케이블(1810)의 걸림부재도 상하로 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로킹플레이트(1500)는 잠금해제케이블연결부(1501)의 우측 하부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절곡부재(1503)가 형성된다.
절곡부재(1503)는 수평한 판 형상이다.
절곡부재(1503)의 하부에는 걸림돌기(1506)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걸림돌기(1506)는 원형 돌기이고, 키 커넥트(1550)에 의해 수동으로 로킹플레이트(1500)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것이다.
키 커넥트(1550)는 십자형 홈이 형성된 헤드(1551)와, 상기 헤드(155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원판에서 일부분이 잘려나간 키 커넥트 절개부(1555)를 가지는 날개부(1553)와, 날개부(1553)의 중심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상부돌기(1557)로 이루어진다.
키 커넥트(1550)는 하우징(110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키 커넥트(1550)의 키 커넥트 절개부(1555) 내에는 걸림돌기(1506)가 위치한다.
이때, 키 커넥트(1550)의 헤드(1551)를 키나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이용해 수동으로 회전시키면 구동부(1600)를 작동시키지 않더라도 로킹플레이트(1500)를 좌우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키 커넥트(1550)의 헤드(1551)를 회전시키면 키 커넥트 절개부(1555) 내에 위치하는 걸림돌기(1506)를 키 커넥트 절개부(1555) 내의 양측면이 밀게 되어 로킹플레이트(1500)는 좌우로 이동된다.
즉, 키 커넥트(1550)의 회전운동으로 인해 로킹플레이트(1500)가 직선운동한다
따라서, 키 커넥트(1550)를 이용하면 수동으로 도어(1)를 잠금 상태로 만들거나 잠금 해제 상태로 만들 수 있게 된다.
또한, 로킹플레이트(1500)의 상부에는 잠금해제케이블연결부(1501)와 걸림돌기(1506) 사이에 메인기어걸림부(1502)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나아가, 로킹플레이트(1500)는 메인기어걸림부(1502)의 우측에 판형상의 보강리브가 형성되어 작동시 로킹플레이트(15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서술되는 모터(1610)의 작동으로 메인기어(1630)가 회전할 때, 메인기어(1630)에 형성된 제1걸림부(1633)와 제2걸림부(1635)에 메인기어걸림부(1502)는 밀린다. 따라서, 로킹플레이트(1500)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메인기어(1630)가 회전할 때 로킹플레이트(1500)의 다른 부분은 걸리지 않고 메인기어걸림부(1502)만 걸리도록 메인기어(1630)는 메인기어걸림부(1502)의 상부에 배치된다.
로킹플레이트(1500)는 절곡부재(1503)의 우측에 레버안내부(1507)가 형성된다.
레버안내부(1507)는 로킹플레이트(1500)의 우측 전면에 전방(걸림레버부(1450) 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레버안내부(1507)는 띠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으로 돌출된 후에 우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레버안내부(1507)와 로킹플레이트(1500)의 전면 사이에는 가이드바(1457)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509)이 형성된다. 삽입공간(1509)은 상하부 및 우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레버안내부(1507)의 내측면(가이드바(1457)와 접촉하는 면)에는 경사면(1511)이 형성되어, 구조가 더욱 단순해지며 내구성도 향상된다. 이러한 경사면(1511)으로 인해 레버안내부(1507)의 우측의 전후 두께는 좌측으로 향할수록 두꺼워진다.
레버안내부(1507)의 상부는 제1걸림레버부(1450a)의 제1가이드바(1457a)를 안내하고, 레버안내부(1507)의 하부는 제2걸림레버부(1450b)의 제2가이드바(1457b)를 안내한다.
레버안내부(1507)가 가이드바(1457)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안내함에 따라 걸림레버부(1450)의 회동이 이루어져서, 로킹플레이트(1500)의 슬라이딩에 의해 걸림레버부(1450)가 걸림턱(1405)에 걸리면 메인 로킹부재(1300)와 슬라이딩 부재(1400)가 함께 슬라이딩(도어 잠금 해제) 되고, 로킹플레이트(1500)의 슬라이딩에 의해 걸림레버부(1450)가 걸림턱(1405)에서 이탈하면 슬라이딩 부재(1400)만 슬라이딩(도어 잠금) 된다.
상세하게는, 제1가이드바(1457a)와 제2가이드바(1457b)가 레버안내부(1507)에 의해 삽입공간(1509)에 배치될 경우에는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가 각각 제1슬라이딩 부재(1400a)의 제1걸림턱(1405a)과 제2슬라이딩 부재(1400b)의 제2걸림턱(1405b)에서 이탈한 상태로써 도어(1)가 잠금 상태이다.
제1가이드바(1457a)와 제2가이드바(1457b)가 삽입공간(1509)으로부터 이탈할 경우에는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가 각각 제1슬라이딩 부재(1400a)의 제1걸림턱(1405a)과 제2슬라이딩 부재(1400b)의 제2걸림턱(1405b)에 걸린 상태로써 도어(1)가 잠금 해제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레버안내부(1507)는 로킹플레이트(1500)의 좌우 슬라이딩에 따라 제1걸림레버부(1450a) 및 제2걸림레버부(1450b)를 회동시켜 도어(1)를 잠금 상태로 만들거나 도어(1)를 잠금 해제 상태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로킹플레이트(1500)는 우측단 상부에 메뉴얼 로킹 가이드장공(1515)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메뉴얼 로킹 가이드장공(1515)은 전후 및 우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로킹플레이트(1500)의 전면에는 메뉴얼 로킹 가이드장공(1515)에 근접하게 덧살이 형성되어, 로킹플레이트(1500)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메뉴얼 로킹 가이드장공(1515)에는 후술되는 메뉴얼 로킹부재(1560)의 제2걸림부(1562)가 삽입된다.
메뉴얼 로킹부재(1560)는 중심부에 메뉴얼 로킹부재 축(1561)이 관통되는 축관통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메뉴얼 로킹부재 축(1561)은 메뉴얼 로킹부재 안착홈(1125)에 안착된다.
메뉴얼 로킹부재 축(1561)의 후방에 배치되는 메뉴얼 로킹부재 덮개(1564)에 의해 메뉴얼 로킹부재 안착홈(1125)의 후방이 막혀서 메뉴얼 로킹부재 축(1561)은 메뉴얼 로킹부재 안착홈(1125)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메뉴얼 로킹부재 덮개(1564)에는 제2걸림부(1562)가 인출되는 제2걸림부 인출공이 형성된다.
메뉴얼 로킹부재(1560)는 메뉴얼 로킹부재 삽입공(1118)에 삽입된다. 따라서, 메뉴얼 로킹부재(1560)는 제1하우징(1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메뉴얼 로킹부재(1560)의 전방에는 제1슬라이딩 부재(1400a)의 메뉴얼 로킹부재 누름부(1407)에 걸리는 제1걸림부(1563)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로킹플레이트(1500)에 걸리는 제2걸림부(156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걸림부(1563)와 상기 제2걸림부(1562)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걸림부(1563)와 상기 제2걸림부(1562)의 끝단의 모서리는 라운드처리 된다.
이와 같은 메뉴얼 로킹부재(1560)로 인해 구조가 단순한 동시에 도어 잠금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인레버를 한번 잡아당기면 도어 잠금이 해제되고 도어인레버를 한번 더 잡아당기면 도어(1)가 열리게 된다.
로킹플레이트(1500)는 걸림돌기(1506)와 레버안내부(1507) 사이의 하부에 제2감지부재(1519)가 아래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2감지부재(1519)는 하부가 후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제2감지부재(1519)에는 후방으로 절곡된 부분의 하면에 자석과 같은 제2감지부(1521)가 설치되어 있다.
제2감지부(1521)는 PCB(1900) 상의 제2감지부(1521)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3센서(1905) 및 제4센서(1907)에 의해 감지된다. 이러한 제3센서(1905) 및 제4센서(1907)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차량의 알림 장치에 전달되어 운전자는 도어(1)의 잠금 및 잠금해제 상태를 알 수 있다.
로킹플레이트(1500)와 상기 하우징(1100) 중 하나에는 제1스토퍼돌기(1107)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제1스토퍼돌기(1107)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제1스톱스프링(1570)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스토퍼돌기(1107)는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스톱스프링(1570)은 로킹플레이트(1500)의 우측 후면에 설치된다.
로킹플레이트(1500)의 우측 하부에는 제1스토퍼돌기(1107)가 관통되는 스토퍼장공(1571)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로킹플레이트(1500) 후면에는 스토퍼장공(1571)의 좌측에 제1스톱스프링(1570)의 일측이 끼워지는 제1고리(1573)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로킹플레이트(1500) 후면에는 스토퍼장공(1571)의 우측에 제1스톱스프링(1570)의 타측(끝단)이 끼워지는 제2고리(1572)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스톱스프링(1570)은 금속소재의 와이어의 중간부분을 절곡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제1스톱스프링(1570)은 대체로 핀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스톱스프링(1570)은 이형스프링으로 구비된다.
제1스톱스프링(1570) 일측에는 제1고리(1573)에 끼워지는 제1끼움부(1578)가 형성된다. 제1끼움부(1578)는 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스톱스프링(1570)은 제1끼움부(1578)의 우측에 상하부가 제1스토퍼돌기(1107)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제1정지부(1577)가 형성된다. 제1스토퍼돌기(1107)는 로킹플레이트(1500)가 도어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제1정지부(1577)에 안착된다.
제1스톱스프링(1570)은 제1정지부(1577)의 우측에 상부 및 하부가 제1스토퍼돌기(1107)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각각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제2정지부(1575)가 형성된다. 제1스토퍼돌기(1107)는 로킹플레이트(1500)가 도어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제2정지부(1575)에 안착된다.
제1스톱스프링(1570)은 제1정지부(1577)와 제2정지부(1575) 사이에 상하폭이 제1정지부(1577) 및 제2정지부(1575)보다 작은 탄성변형부(1576)가 형성된다. 즉, 탄성변형부(1576)의 상하폭은 제1스토퍼돌기(1107)의 상하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탄성변형부(1576)는 상부는 아래로 오목하고, 하부는 위로 볼록하게 굴곡지게 형성된다.
제1스톱스프링(1570)의 우측 끝단에는 스프링끝단부(1574)가 형성된다. 스프링끝단부(1574)는 상하폭이 제2정지부(1575)보다 좁게 형성된다. 스프링끝단부(1574)는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며 직선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스토퍼돌기(1107)는 단면형상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로킹플레이트(1500)가 연결위치에서 연결해제위치로 이동(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해서는 탄성변형부(1576)의 상하 사이간격이 벌어지도록 탄성변형된 후에 이동된다. 즉, 로킹플레이트(1500)를 도어 잠금 해제 위치에서 도어 잠금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로킹플레이트(1500)를 도어 잠금 위치에서 도어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제1스톱스프링(1570)의 탄성변형부(1576)를 탄성변형시킬 수 있을 만큼의 힘으로 로킹플레이트(1500)를 슬라이딩시켜야 한다.
또한, 로킹플레이트(1500)를 슬라이딩시킬 때에는 제1스톱스프링(1570)의 탄성변형부(1576)가 제1스토퍼돌기(1107)에 접촉되어 마찰력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로킹플레이트(1500)가 연결위치 또는 연결해제위치에 있을 때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져도 로킹플레이트(1500)가 연결위치 또는 연결해제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외부 충격에 의해 로킹플레이트(1500)가 오작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는 래치(1200)를 회동시키거나 로킹플레이트(1500)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구동부(1600)를 더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600)는 모터(1610)와, 모터(1610)에 의해 회전되는 서브기어(1620)와, 서브기어(1620)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메인기어(1630)를 포함한다.
구동부(1600)는 제1하우징(1110)의 후면과 제3하우징(1150)의 전면에 설치된다.
구동부(1600)는 제1하우징(1110)의 후면과 제3하우징(1150)의 전면 사이에 배치된다.
모터(1610)는 PCB(1900)의 신호를 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거나 구동력의 발생을 멈출 수 있도록 PCB(1900)와 연결된다.
모터(1610)의 축(1611)과 하우징(1100)의 전면 사이의 각이 0도(수평) 이거나 원하는 각도(경사)가 되도록 모터(1610)는 배치된다.
모터(1610)의 축(1611)에는 웜(1613)이 설치되어 있다.
서브기어(1620)는 직경이 작은 기어와 직경이 큰 기어가 동축으로 연결되어 있다. 서브기어(1620)는 직경이 작은 기어와 직경이 큰 기어가 일체로 형성된다.
서브기어(1620)의 직경이 큰 웜기어에는 웜(1613)이 치합된다.
서브기어(1620)의 직경이 작은 중간평기어에는 메인기어(1630)가 치합된다.
메인기어(1630)는 평기어로 구비되며, 모터(1610)의 구동력을 서브기어(1620)를 거쳐 전달 받는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기어(1630)는 외주면의 일부에 기어 이(1638)가 형성된 기어부(1632)와 상기 외주면의 나머지 일부에 기어 이(1638)가 형성되지 않는 비기어부(1643)가 형성된다.
기어부(1632)는 메인기어(1630)의 우측 일부에만 형성된다.
비기어부(1643)는 기어부(1632)가 아닌 메인기어(1630)의 나머지 부분에 형성된다. 비기어부(1643)는 밋밋하거나 굴곡지게 형성된다.
즉, 메인기어(1630)는 기어 이(1638)가 모든 둘레에 형성되지 않고 일부에만 형성된다. 따라서, 메인기어(1630)의 내구성은 유지하면서 전후 두께를 줄일 수 있다.
기어부(1632)는 비기어부(1643)보다 전후방향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다. 따라서, 기어부(1632)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메인기어(1630)는 플라스틱부(1634)와 플라스틱부(1634)에 인서트되는 금속부(1642)를 포함한다. 메인기어(1630)는 금속부(1642)가 플라스틱부(1634)에 인서트되어 형성된다.
플라스틱부(1634)는 판형상으로 된 플라스틱판부(1645)와 플라스틱판부(1645)의 외주면 일부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기어부(1632)를 포함한다.
플라스틱판부(1645)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면에 인서트돌기(1637)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인서트돌기(1637)는 메인기어축(1114)이 삽입되는 삽입공(1636) 주위에 4개 형성된다.
플라스틱판부(1645) 전면 좌측 하부에는 래치(1200)를 회전시키는 걸림부(1631)가 형성된다. 걸림부(1631)는 바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걸림부(1631)는 플라스틱판부(1645)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된 외통(1649)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외통(1649)은 속이 비고,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외통(1649)의 좌우측에는 슬라이딩 가이드장공(1649a)이 형성된다. 가이드장공(1649a)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가이드장공(1649a)은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걸림부(1631)는 머리부(1631a)와, 머리부(1631a) 후방에 형성되는 내통부(1631b)를 포함한다.
머리부(1631a)는 전면 좌측에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경사면으로 인해 걸림부 누름부(1330)가 머리부(1631a)를 원활하게 누를 수 있다.
머리부(1631a)의 외측단은 래치(1200)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걸림부 누름부(1330)로 머리부(1631a)를 누르더라도 회전되는 래치(1200)와 걸림부 누름부(1330)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내통부(1631b)는 외통(1649) 내부에 삽입된다.
내통부(1631b)의 후방 외주면 양측에는 외통 걸림돌기(1631c)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외통 걸림돌기(1631c)는 가이드장공(1649a)에 삽입된다.
내통부(1631b)는 속이 비고,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내통부(1631b)와 외통(1649) 사이에는 걸림부(1631)를 원위치로 리턴시키는 걸림부 리턴스프링(1648)이 배치된다.
리턴스프링(1648)은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된다. 리턴스프링(1648)의 전단은 내통부(1631b)에 삽입된다.
이러한, 걸림부(1631)로 인해, 구동부(1600)를 통해 도어(1)를 닫는 중 이나 닫고 난 다음에 구동부(1600)가 고장나더라도 도어인레버 또는 도어아웃레버를 잡아당기게 되면 수동으로 도어(1)를 열수 있게 된다.
걸림부(1631)는 평상시에는 사용자가 도어(1)를 닫을 때, 도어(1)를 완전히 닫지 않더라도 도어(1)가 어느 정도 닫히면 모터(1610)의 구동력에 의해 래치(1200)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래치(1200)를 메인 로킹부재(1300)에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플라스틱판부(1645) 외주면에는 걸림부(1631)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제5센서감지부(1641)가 형성된다. 제5센서감지부(1641)는 메인기어(1630)가 기본위치로 복귀하면 리미트 스위치로 구비되는 제5센서(1911)를 누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기어(1630)가 로킹플레이트(1500)를 이동시키거나 래치(1200)를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한 후, 다시 원위치(기본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플라스틱부(1634)의 하부 일부는 절개된다. 플라스틱부(1634)의 절개된 공간에는 메인기어걸림부(1502)가 삽입된다. 이로인해, 플라스틱부(1634)의 하부에는 로킹플레이트(1500)를 슬라이딩시키는 제1걸림부(1633) 및 제2걸림부(1635)가 형성된다. 제1걸림부(1633)는 기어부(1632)의 하단에 연속되도록 형성된다.
제1걸림부(1633) 및 제2걸림부(1635)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제1걸림부(1633) 및 제2걸림부(1635)는 메인기어(1630)의 회전에 따라 메인기어걸림부(1502)를 밀어서 로킹플레이트(150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메인기어걸림부(1502)는 금속부(1642) 전방에 배치된다.
금속부(1642)는 판형상으로 된 판부(1644)와, 상기 판부(1644)의 둘레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출부(1639)를 포함한다.
판부(1644)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된다. 판부(1644)의 중앙부분에는 래치회동축(1230)이 삽입되는 삽입공(1636) 주위에 인서트돌기홈(1646)이 형성된다. 인서트돌기홈(1646)에는 인서트돌기(1637)가 삽입된다.
돌출부(1639)는 플라스틱부(1634)의 기어부(1632) 및 걸림부(1631) 내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기어부(1632) 및 걸림부(1631)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기어부(1632)에 삽입되는 돌출부(1639)는 복수개로 나뉘어져서 형성되고, 걸림부(1631) 내부에 배치되는 돌출부(1639)는 기어부(1632) 내부의 돌출부(1639)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래치(1200)를 이용한 도어(1)의 열림 및 닫힘과 로킹플레이트(1500)를 이용한 도어(1)의 잠금 및 잠금해제는 하나의 구동부(1600)에 의해서 가능하므로 구조가 단순하고,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일드 로킹부재(1700)는 슬라이딩 부재(140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우징(1100)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일드 로킹부재(1700)는 제1슬라이딩 부재(1400a)의 상부에 배치된다.
차일드 로킹부재(170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하우징(1110)의 차일드 로킹부재안착홈(1122) 내에 안착된다. 따라서, 차일드 로킹부재(1700)는 하우징(1100)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다.
차일드 로킹부재(1700)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로킹돌출부(1722)가 형성된다. 로킹돌출부(1722)의 좌측면 경사지게 형성된다.
차일드 로킹부재(1700) 전면 우측에는 차일드 로킹작동돌기(1710)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차일드 로킹작동돌기(1710)는 제2하우징(1130)에 형성된 작동돌기장공(1134)에 삽입된다.
차일드 로킹부재(170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제1걸림레버부(1450a)의 차일드 락 돌기(1453)가 로킹돌출부(1722)에 의해 후방으로 밀린다. 이와같이, 제1걸림레버부(1450a)의 우측이 후방으로 이동되면 제1걸림레버부(1450a)는 제1걸림턱(1405a)으로부터 이탈된다. 또한, 차일드 로킹부재(170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제1걸림레버부(1450a)는 원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제1걸림레버부(1450a)는 제1걸림턱(1405a)에 걸린다.
이와 같이, 제1걸림레버부(1450a)는 차일드 로킹부재(1700)의 이동에 의해 제1걸림턱(1405a)에 걸리거나 이탈될 수 있다.
나아가, 차일드 로킹부재(1700)와 제1하우징(1110) 중 하나에는 제2스토퍼돌기(1721)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제2스토퍼돌기(1721)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2스톱스프링(1730)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스토퍼돌기(1721)는 차일드 로킹부재(1700)의 우측 상부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2스톱스프링(1730)은 제1하우징(1110)의 전면에 설치된다. 제2스톱스프링(1730)은 차일드 로킹부재(1700)의 후방에 배치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1110)의 전면에는 차일드 로킹부재안착홈(1122)에 연통되며 차일드 로킹부재안착홈(1122)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스톱스프링안착홈(1104)이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스톱스프링안착홈(1104)은 제2스톱스프링(17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이하 서술되는 탄성변형부(1732)가 안착되는 부분은 탄성변형부(1732)의 상하폭보다 상하폭이 길게 형성되어 탄성변형부(1732)가 탄성변형이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2스톱스프링(1730)은 금속소재의 와이어의 중간부분을 절곡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제2스톱스프링(1730)은 대체로 핀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스톱스프링(1730)은 이형스프링으로 구비된다.
제2스톱스프링(1730)은 우측단에 제2스토퍼돌기(172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제1정지부(1731)가 형성된다. 제2스토퍼돌기(1721)는 차일드 로킹부재(1700)가 차일드 록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제1정지부(1731)에 안착된다.
제2스톱스프링(1730)은 좌측에 상부 및 하부가 각각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제2정지부(1733)가 형성된다. 제2스토퍼돌기(1721)는 차일드 로킹부재(1700)가 차일드 록 위치에 있을 때 제2정지부(1733)에 안착된다.
제2스톱스프링(1730)은 제1정지부(1731)와 제2정지부(1733) 사이에 상하폭이 제1정지부(1731) 및 제2정지부(1733)보다 작은 탄성변형부(1732)가 형성된다. 즉, 탄성변형부(1732)의 상하폭은 제2스토퍼돌기(1721)의 상하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탄성변형부(1732)는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며 직선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스토퍼돌기(1721)는 단면형상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차일드 로킹부재(1700)가 도어 잠금 해제 위치와 도어 잠금 위치 사이의 적어도 한 부분에 있을 때 제2스톱스프링(1730)은 제2스토퍼돌기(1721)에 의해 탄성변형된다. 즉, 차일드 로킹부재(1700)를 도어 잠금 해제 위치와 도어 잠금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차일드 로킹부재(1700)를 도어 잠금 위치에서 도어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제2스톱스프링(1730)을 탄성변형시킬 수 있을 만큼의 힘으로 차일드 로킹부재(1700)를 슬라이딩시켜야 한다.
또한, 차일드 로킹부재(1700)를 슬라이딩시킬 때에는 제2스톱스프링(1730)의 탄성변형부(1732)가 제2스토퍼돌기(1721)에 접촉되어 마찰력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차일드 로킹부재(1700)가 연결위치 또는 연결해제위치에 있을 때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져도 차일드 로킹부재(1700)가 연결위치 또는 연결해제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외부 충격에 의해 차일드 로킹부재(1700)가 오작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2스톱스프링(1730)의 좌측 끝단에는 스프링끝단부(1734)가 형성된다. 스프링끝단부(1734)는 상하폭이 탄성변형부(1732)보다 좁게 형성된다. 스프링끝단부(1734)는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며 직선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도어 래치 시스템(5)은 도어(1) 잠금 상태에서 도어레버(미도시)를 잡아당기는 도중에 도어 잠금 해제를 실행하여도 기능의 엉킴(잼/JAM) 없이 잠금 해제를 실행할 수 있다.
이를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잠금 상태에 있는 도어(1)의 도어레버(미도시)를 잡아당긴다.
이때, 걸림레버부(1450)는 슬라이딩 부재(1400)에 걸려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잡아당긴 도어레버(미도시)를 따라 슬라이딩 부재(1400)가 메인 로킹부재(1300)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메인 로킹부재(1300)의 반대 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이런 동작을 실행하는 중에 키나 리모콘 등을 이용하여 잠금 해제 동작을 실행하면 걸림레버부(1450)가 슬라이딩 부재(1400)에 연결되기 위해 전방으로 회동한다.
하지만, 도어레버(미도시)를 당기고 있는 상태에서 걸림레버부(1450)가 회동하기 때문에 메인 로킹부재(1300)와 이격되어 있던 슬라이딩 부재(1400)에는 걸림레버부(1450)가 연결되지 않고 메인 로킹부재(1300)와 슬라이딩 부재(14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걸림레버부(1450)가 들어가게 된다.
이때, 당기고 있던 도어레버(미도시)를 놓게 되면 슬라이딩 부재(1400)가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메인 로킹부재(130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걸림레버부(1450) 내측으로 슬라이딩 부재(1400)가 들어와서 걸림레버부(1450)가 슬라이딩 부재(1400)에 체결완료된다.
본 발명의 도어 래치 시스템(5)의 PCB(1900)에 설치된 센서들은 룸램프(미도시), 계기판(미도시) 등과 연결되어, 사용자는 도어(1)의 열림 및 닫힘 상태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5)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어 닫힘>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린 상태의 도어(1)를 사용자가 닫으면 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101)가 래치(1200)를 눌러서 래치(1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래치(12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되다가 제6센서(1910)를 누르게 되고, 상기 제어부는 도어(1)가 닫히고 있다는 것으로 인지하지만, 모터(1610)는 아직 작동하지 않는다. 이때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1200)의 외주면이 메인 로킹부재(1300)의 로킹부(1371)를 밀게 되어, 메인 로킹부재(1300)는 우측으로 밀려난다. 따라서, 제1감지부(1351)가 제1센서(1901)에 의해 감지되지 않게 된다.
이어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어(1)를 닫는 힘에 의해 래치(1200)는 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하게 되어 로킹부(1371)가 보조로킹홈에 삽입되면서 제1감지부(1351)가 제1센서(1901)에 의해 감지된다.
이와 같이, 제6센서(1910)와 제1센서(1901)가 모두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모터(1610)를 작동시킨다.
즉, 스트라이커(1101)가 래치(1200)를 눌러서 래치(1200)가 일정각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후에 모터(1610)가 작동한다.
이 때문에 도어(1)가 열려 있는 경우 모터(1610)가 작동하는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모터(1610)의 작동으로 인해 메인기어(1630)의 전면에 설치된 걸림부(163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1200)의 돌기(1215)를 시계방향 측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래치(1200)의 로킹홈(1201)에 회동부재(1370)의 로킹부(1371)가 삽입되어 도어(1)가 닫히게 된다.
이때, 회동부재(1370)의 로킹부(1371)가 회동스프링(1390)의 탄성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로킹홈(1201) 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로킹부(1371)의 래치삽입홈에 래치(1200)의 제1면이 삽입된다.
모터(1610)에 의해 걸림부(1631)가 회전하면서 상기 도어 닫힘 위치까지 가면, 로킹부(1371)가 로킹홈(1201)에 삽입되어 제1감지부(1351)가 제1센서(1901)에 의해 감지된다. 이와 같이 모터(1610)가 도어 닫힘을 위해 작동하는 중에 제1감지부(1351)가 제1센서(1901)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걸림부(1631)가 도어 닫힘 위치까지 회전되었다고 판단하여 모터(1610)를 통해 걸림부(163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제5센서감지부(1641)가 제5센서(1911)를 누를 때까지 모터(1610)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메인기어(1630)는 기본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메인기어(1630)가 도어 닫힘이나 도어 잠금 작동 후에는 기본위치로 복귀되어 운전자가 수동으로도 도어 잠금 및 도어 닫힘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만약 모터(1610)를 작동시켜 도어(1)를 닫고 있는 도중 도어(1)와 차체 사이에 유아의 손가락이나 옷이 끼는 등과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도어레버(미도시)를 당기면 우측으로 이동한 제1감지부(1351)를 제2센서(1903)가 감지함에 따라 모터(1610)를 역회전시켜 걸림부(1631)를 로킹해제위치(기본위치)로 보내 문이 열릴 수 있게 한다.
<도어잠금>
도 23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해제 상태인 도어(1)가 키/잠금버튼/노브/도어아웃레버센서/차량 속도 임계값에 의한 설정 등으로 인해 잠금 상태가 되는 작동을 설명한다.
모터(1610)를 통한 도어 잠금이 입력되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610)가 작동하여 메인기어(163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메인기어(16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메인기어(1630)의 후면에 있는 제2걸림부(1635)가 로킹플레이트(1500)의 메인기어걸림부(1502)를 밀어서 로킹플레이트(1500)를 슬라이딩시킨다.
이때, 로킹플레이트(1500)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는 레버안내부(1507)의 경사면(1511)을 타고 삽입공간(1509)에 삽입되어 걸림돌기(1455)가 후방으로 이동되며, 걸림돌기(1455)는 제1슬라이딩 부재(1400a)와 제2슬라이딩 부재(1400b)에서 각각 이탈된다. 이로 인해, 도어(1)가 잠금 상태가 되어 도어레버(미도시)를 잡아당기면 메인 로킹부재(1300)에 힘이 전달되지 않는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걸림부(1635)는 로킹플레이트(1500)의 제2감지부(1521)를 제4센서(1907)에서 감지할 때까지 로킹플레이트(1500)를 밀고, 원위치로 복귀한다.
<도어잠금해제>
잠금 상태인 도어(1)가 키/레버 잠금버튼/노브/도어아웃레버센서/차량 속도 임계값에 의한 설정 등으로 인해 잠금 해제 상태가 되는 작동을 설명한다.
모터(1610)를 통한 도어 잠금 해제가 입력되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610)가 작동하여 메인기어(16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메인기어(16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메인기어(1630)의 후면에 있는 제1걸림부(1633)가 메인기어걸림부(1502)를 밀어서 로킹플레이트(1500)를 슬라이딩시킨다.
이때, 로킹플레이트(1500)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는 레버안내부(1507)의 삽입공간(1509)에서 빠져나오고 제2복귀스프링(1460)에 의해 걸림돌기(1455)가 전방으로 이동되며, 걸림돌기(1455)는 제1슬라이딩 부재(1400a)와 제2슬라이딩 부재(1400b)에 각각 걸리게 된다. 이로인해, 도어(1)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어 도어레버(미도시)를 잡아당기면 메인 로킹부재(1300)에 힘이 전달된다.
제1걸림부(1633)는 로킹플레이트(1500)의 제2감지부(1521)를 제3센서(1905)에서 감지할 때까지 로킹플레이트(1500)를 밀고, 원위치로 복귀한다.
<도어인레버를 이용한 내측 도어 잠금해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가 잠금 상태일 때,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인레버(미도시)를 한번 잡아당기면 제1슬라이딩 부재(1400a)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이때, 제1슬라이딩 부재(1400a)의 메뉴얼 로킹부재 누름부(1407)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되는 동시에 메뉴얼 로킹부재(1560)의 제1걸림부(1563)를 우측으로 밀게 된다. 이로 인해 메뉴얼 로킹부재(1560)의 제2걸림부(1562)는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2걸림부(1562)는 로킹플레이트(1500)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플레이트(1500)가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는 레버안내부(1507)의 삽입공간(1509)에서 빠져나오고 제2복귀스프링(1460)에 의해 걸림돌기(1455)가 전방으로 이동되며, 걸림돌기(1455)는 제1슬라이딩 부재(1400a)와 제2슬라이딩 부재(1400b)에 각각 걸리게 된다. 이로인해, 도어(1)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된다.
이때, 도어인레버(미도시)를 다시 한번 잡아당기면 메인 로킹부재(1300)의 로킹부(1371)에서 래치(1200)가 이탈하여 도어(1)가 열리게 된다.
<차일드 로킹부재를 이용한 내측 도어 잠금>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레버부(1450a)는 제1걸림턱(1405a)에 걸려 있고, 제2걸림레버부(1450b)는 제2걸림턱(1405b)에 걸려 있는 도어(1) 잠금해제 상태일 때, 제1걸림레버부(1450a)의 차일드 락 돌기(1453)는 차일드 로킹부재(1700)의 좌측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차일드 로킹부재(1700)에 형성된 차일드 로킹작동돌기(1710)를 좌측으로 밀게 되면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돌출부(1722)가 차일드 락 돌기(1453)를 후방으로 밀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으로 인해 제1걸림레버부(1450a)는 제1걸림턱(1405a)에서 이탈하게 되어 제1슬라이딩 부재(1400a)가 메인 로킹부재(1300)와 함께 슬라이딩하지 않게 된다.
즉, 도어인레버(미도시)를 잡아당길 경우, 제1슬라이딩 부재(1400a) 만이 슬라이딩 가능하므로 내측에서 잠금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잠금 상태는 차일드 로킹부재(1700)를 우측으로 슬라이딩시켜야만 해제가 되며, 차일드 로킹 상태일 때는 차량 내부에서는 도어(1)를 열 수 없고 차량 외부에서만 도어(1)를 열 수 있다. 예상치 않은 도어(1) 개폐로 인한 어린이 및 노약자에 대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일드 로킹부재를 이용한 내측 도어(1) 잠금 기능은 차량의 뒤쪽 좌석에만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 고장시 도어 열림>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610)를 통해 도어(1)를 자동으로 닫기 위해 걸림부(1631)가 상기 도어 닫힘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나 이동 중 또는 기본위치로 복귀중에 모터(1610)가 고장이 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어레버를 잡아당기게 되면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로킹부재(130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걸림부 누름부(1330)도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걸림부 누름부(1330)는 걸림부(1631)의 머리부(1631a)를 누르게 된다. 머리부(1631a)가 눌리게 되면 머리부(1631a)는 래치(1200)의 돌기(1215)보다 후방으로 이동되어 걸림부(1631)와 래치(1200)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후,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어(1)를 잡아당기게 되면 스트라이커(1101)가 래치(12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도어(1)는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이 구동부(1600)를 통해 도어(1)를 닫는 중이나 닫은 후에 구동부(1600)가 고장나더라도 도어레버를 잡아당기게 되면 수동으로 도어(1)를 열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도어레버를 놓게 되면 걸림부(1631)는 리턴스프링(1648)에 의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원위치된다.
<도어 래치 시스템 설치 상태>
도어 래치 시스템(5)은 도어(1)에서 도어가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3)의 반대쪽(4)의 중간 부분에 설치된다. 도어 래치 시스템(5)은 상면이 차량 내부를 향하고 전면이 차체쪽을 향하고 후면이 도어(1)쪽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도어 래치 시스템(5)의 후면 중간 부분은 도어 창문(2)이 내려올 때 도어 창문(2)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도어 창문(2)은 내려올 때 수직하게 아래로 내려오지 않고 경사지게 아래로 내려온다. 이로 인해, 도어 창문(2)이 내려올 때 도어 래치 시스템(5)의 후면 좌측 중간 부분이 도어 창문(2)과 근접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 래치 시스템(5)의 후면 좌측 중간 부분이 후방으로 튀어나오게 되면 내려오는 도어 창문(2)에 걸리게 된다. 그러나, 도어 래치 시스템(5)의 후방 좌측에 배치되는 메인기어(1630)는 기어 이(1638)가 우측 외주면 일부에만 형성되어, 기어 이(1638)는 두껍게 하여 내구성은 유지하면서 메인기어(1630)의 좌측 중간 부분의 두께는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어 래치 시스템(5)을 도어(1)에 장착시 도어 창문(2)과 도어 래치 시스템(5)이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어 래치 시스템 조립방법>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 설치되는 부재들(로킹플레이트 구동부 등)을 설치한다. 이어서 제3하우징(1150)을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 볼트나 리벳을 통해 결합 및 체결한다.
또한, 제1하우징(1110) 전면에 메인 로킹부재(1300)와, 슬라이딩 부재(1400)와 차일드 로킹부재(1700) 등을 설치한다. 제2하우징(1130)의 후면에 래치(1200)와 제1복귀스프링(1250)과 회동부재(1370)와 회동스프링(1390)이 래치회동축(1230)과 제1복귀스프링걸림축(1251)과 회동축(1380)과 회동스프링걸림축(1391)에 의해 설치된다. 이어서, 제1하우징(1110)과 제2하우징(1130)을 볼트나 리벳을 통해 서로 결합 및 체결시켜서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립공정을 통해 도어 래치 시스템의 조립 공정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40 및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은 로킹플레이트(2500)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로킹구동부(26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킹구동부(2650)와 상기 로킹플레이트(2500)는 랙(2653)과 피니언(2652)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로킹구동부(2650)는 모터(2651)와, 모터(2651)의 축에 연결되는 피니언(2652)과, 피니언(2652)에 치합되는 랙(2653)을 포함한다.
모터(2651)는 로킹플레이트(2500)의 하부에 배치된다.
모터(2651)의 축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도어의 다른 부재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로킹구동부(2650)의 모터(2651)는 구동부(2600)의 모터(2610)보다 소형으로 구비된다.
모터(2651)는 제1하우징(2110)의 좌측 후방 하부에 형성된 로킹모터 안착홈에 안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로킹모터 안착홈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랙(2653)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랙(2653)은 로킹플레이트(2500)의 좌측 후방에 설치된다.
랙(2653)에는 기어이의 상부에 설치공이 두개 형성되고, 로킹플레이트(2500)에는 상기 설치공에 삽입되는 설치돌기(2654)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설치공과 설치돌기(2654)로 인해 랙(2653)은 로킹플레이트(2500)에 설치된다.
나아가, 랙(2653) 후방에는 상기 설치공의 상부 및 하부에 좌우방향으로 보강살이 더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2600)의 메인기어(2630)는 로킹플레이트(2500)와 걸리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메인기어(2630)는 회전시 래치만 회동시키고, 로킹플레이트(2500)는 이동시키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상기 래치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2600)와 로킹플레이트(2500)를 이동시키기 위한 로킹구동부(2650)가 별도로 구비된다.
로킹구동부(2650)와 로킹플레이트(2500)는 랙(2653)과 피니언(2652)을 통해 연결되어, 로킹구동부(2650)의 모터(2651)가 고장나더라도 피니언(2652)의 역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모터(2651) 고장시나 차량에 전원이 들어오지 않을 때 사용자가 잠금해제케이블(2810) 등을 통해 로킹플레이트(2500)를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랙(2653)과 피니언(2652)은 웜과 직선형상의 웜기어로 대체할 수도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어 잠금>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해제 상태인 도어가 키/잠금버튼/노브/도어아웃레버센서/차량 속도 임계값에 의한 설정 등으로 인해 잠금 상태가 되는 작동을 설명한다.
모터(2561)를 통한 도어 잠금이 입력되면,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561)가 작동하여 피니언(2652)을 회전시킨다.
피니언(2652)이 회전하면 피니언(2652)에 치합된 랙(2653)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랙(2653)이 이동함에 따라 로킹플레이트(2500)도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걸림돌기는 제1슬라이딩 부재와 제2슬라이딩 부재에서 각각 이탈된다. 이로 인해, 도어가 잠금 상태가 되어 도어레버(미도시)를 잡아당기면 메인 로킹부재에 힘이 전달되지 않는다.
<도어 잠금 해제>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상태인 도어가 키/레버 잠금버튼/노브/도어아웃레버센서/차량 속도 임계값에 의한 설정 등으로 인해 잠금 해제 상태가 되는 작동을 설명한다.
모터(2561)를 통한 도어 잠금 해제가 입력되면,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561)가 작동하여 피니언(2652)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피니언(2652)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피니언(2652)에 치합된 랙(2653)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랙(2653)이 이동함에 따라 로킹플레이트(2500)도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걸림돌기는 제1슬라이딩 부재와 제2슬라이딩 부재에 각각 걸리게 된다. 이로인해,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어 도어레버(미도시)를 잡아당기면 메인 로킹부재에 힘이 전달된다.
<로킹구동부의 모터가 작동되지 않을 때 도어 잠금 해제>
사고 등으로 인해 로킹구동부(2650)의 모터(2651)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로킹구동부의 모터가 고장났을 경우 잠금해제케이블(2810) 또는 도어인레버를 이용한 잠금 해제 상태가 되는 작동을 설명한다.
잠금해제케이블(2810) 또는 도어인레버를 사용자가 잡아당기게 되면 모터(2651)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역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로킹플레이트(2500)는 좌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도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이외에 다른 작동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2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42 및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은, 래치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3600)를 더 포함하며, 구동부(3600)는 모터(3610)와 상기 모터(3610)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3630)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3610)와 상기 메인기어(3630)는 제1웜(3613)과, 상기 제1웜(3613)에 치합되는 제1웜기어(3621)와, 상기 제1웜기어(3621)에 설치되는 제2웜(3622)과, 상기 제2웜(3622)에 치합되는 제2웜기어(3638)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로킹부재(3300)의 걸림부 누름부(3330)에는 금속소재의 누름부 보강부재(3331)가 인서트된다. 누름부 보강부재(3331)는 메인 로킹부재(330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누름부 보강부재(3331)로 인해 메인 로킹부재(3300)의 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누름부 보강부재(3331)는 띠형상의 철판으로 구비되며, 사출물이 통과할 수 있는 사출물 관통공이 여러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누름부 보강부재(3331)는 걸림부 누름부(33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누름부 보강부재(3331)는 걸림부 누름부(3330) 상단부터 제1감지부재(3350) 상부까지 배치된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610)는 축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메인기어(3630)는 모터(3610)에 의해 회전되며, 전방에 래치를 회전시키는 걸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메인기어(3630)도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로킹플레이트와 걸리지 않게 되어 래치만 회전시킨다.
메인기어(3630)는 외주면 일부에 제2웜기어(3638)가 형성된다.
메인기어(3630)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기어축(3114)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모터(3610)와 메인기어(3630)는 모터(3610)의 축에 설치되는 제1웜(3613)과, 상기 제1웜(3613)에 치합되는 제1웜기어(3621)와, 상기 제1웜기어(3621)에 설치되는 제2웜(3622)과, 상기 제2웜(3622)에 치합되며 메인기어(3630)에 형성되는 제2웜기어(3638)를 통해 연결된다.
즉, 모터(3610)와 메인기어(3630) 사이에는 감속기어가 배치된다. 상기 감속기어는 제1웜기어(3621)와, 제1웜기어(3621)에 설치되는 제2웜(3622)을 포함한다. 상기 감속기어는 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웜기어(3621)는 제2웜(3622) 상부에 배치되며,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모터(3610)가 작동하면 제1웜(3613)이 회전하게 되고, 제1웜(3613)이 회전함에 따라 제1웜기어(3621)이 회전되고, 제1웜기어(3621)이 회전되면 제1웜기어(3621)에 일체로 형성된 제2웜(3622)도 회전하게 되고, 제2웜(3622)이 회전함에 따라 메인기어(3630)가 회전된다.
상기 감속기어의 축은 감속기어축 지지판(362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감속기어축 지지판(3623)은 상기 감속기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제1하우징(3110)의 후면 및 제3하우징 전면에는 감속기어축 지지판(3623)이 삽입되는 지지판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감속기어가 하우징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속기어를 구비할 경우, 모터(3610)의 속도가 대폭 감속되어 모터(3610)를 통한 도어 닫힘시 부드럽게 구동이 되고 구동 토크도 확보된다. 또한, 도어 닫힘시 속도가 감소되어 신체나 옷이 도어에 끼는 안전사고 발생 시에 비상으로 도어를 열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2,3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44 내지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은, 래치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4600)와,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일드 로킹부재(47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4600)는 차일드 로킹부재(4700)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부(4600)는 모터(4610)와 모터(4610)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4630)를 포함한다.
모터(4610)는 축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메인기어(4630)는 일측 전방에 래치를 회전시키는 걸림부(4631)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메인기어(4630)를 통해 상기 래치가 회전될 수 있다.
메인기어(463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걸림부(4633) 및 제2걸림부(4635)에는 이하 서술되는 차일드 로킹부재(4700)가 걸린다. 즉, 메인기어(4630)에 의해 차일드 로킹부재(4700)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이동)된다.
모터(4610)와 메인기어(4630) 사이에는 제3실시예와 동일한 감속기어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감속기어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작동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차일드 로킹부재(4700)는 상기 하우징의 제1하우징(4110)의 후면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하우징(4110)의 후면에는 차일드 로킹부재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차일드 로킹부재 안착홈은 로킹부재안착홈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차일드 로킹부재 안착홈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차일드 로킹부재(4700)는 구동부(4600)의 하부에 배치되며, 로킹플레이트(4500)의 후방에 배치된다.
차일드 로킹부재(4700)는 로킹플레이트(4500)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차일드 로킹부재(4700)는 좌측 후방 상부에 제1걸림부(4633) 또는 제2걸림부(4635)에 걸리는 메인기어걸림돌기(4710)가 형성된다. 메인기어걸림돌기(4710)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차일드 로킹부재(4700)는 중간부분 후방에 제3감지부설치부(4740)가 형성된다.
제3감지부설치부(4740)는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바형상으로 구비되며, 하단에 제3감지부(4741)가 설치된다. 제3감지부(4741)는 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다.
PCB(4900)에는 제3감지부(4741)를 감지하는 제7센서(4904)와, 제8센서(4902)가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제7센서(4904)와, 제8센서(4902)는 차일드 로킹 해제상태인지, 차일드 로킹 상태인지 감지한다. 이러한 신호는 차량 ECU 등에 전달되어 운전자에게 차일드 로킹 여부를 점등 등을 통해 알린다.
걸림레버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걸림레버부(4450a)의 상부에는 차일드 락 돌기(4453)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차일드 로킹부재(4700)는 제3감지부설치부(4740)의 우측 전면에 돌기안내부(4720)가 형성된다.
돌기안내부(4720)는 전방(제1걸림레버부(4450a) 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기안내부(4720)는 띠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으로 돌출된 후에 우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돌기안내부(4720)와 차일드 로킹부재(4700)의 전면 사이에는 차일드 락 돌기(4453)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은 상하부 및 우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돌기안내부(4720)의 내측면(차일드 락 돌기(4453)와 접촉하는 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구조가 더욱 단순해지며 내구성도 향상된다. 이러한 경사면으로 인해 돌기안내부(4720)의 우측의 전후 두께는 좌측으로 향할수록 두꺼워진다.
돌기안내부(4720)가 차일드 락 돌기(4453)를 안내함에 따라 상기 걸림레버부의 제1걸림레버부(4450a)의 회동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의 제1하우징(4110) 후면에는 제2스토퍼돌기(4108)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차일드 로킹부재(4700)의 후방에는 제2스토퍼돌기(4108)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제2스톱스프링(4730)이 설치된다.
제2스토퍼돌기(4108)는 제1하우징(4110)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2스톱스프링(4730)은 차일드 로킹부재(4700)의 우측 후면에 설치된다.
차일드 로킹부재(4700)의 우측에는 제2스토퍼돌기(4108)가 관통되는 스토퍼장공(4701)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차일드 로킹부재(4700) 후면에는 스토퍼장공(4701)의 좌측에 제2스톱스프링(4730)의 일측이 끼워지는 제1고리(4703)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차일드 로킹부재(4700) 후면에는 스토퍼장공(4701)의 우측에 제2스톱스프링(4730)의 타측(끝단)이 끼워지는 제2고리(4702)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스톱스프링(4730)은 금속소재의 와이어의 중간부분을 절곡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제2스톱스프링(4730)은 대체로 핀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스톱스프링(4730)은 이형스프링으로 구비된다.
제2스톱스프링(4730) 일측에는 제1고리(4703)에 끼워지는 제1끼움부가 형성된다.
제2스톱스프링(4730)은 제1끼움부의 우측에 상하부가 제2스토퍼돌기(4108)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제1정지부가 형성된다. 제2스토퍼돌기(4108)는 차일드 로킹부재(4700)가 차일드 락 위치에 있을 때 제1정지부에 안착된다.
제2스톱스프링(4730)은 제1정지부의 우측에 상부 및 하부가 제2스토퍼돌기(4108)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각각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제2정지부가 형성된다. 제2스토퍼돌기(4108)는 차일드 로킹부재(4700)가 차일드 락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제2정지부에 안착된다.
제2스톱스프링(4730)은 제1정지부와 제2정지부 사이에 상하폭이 제1정지부 및 제2정지부보다 작은 탄성변형부가 형성된다.
제2스톱스프링(4730)의 우측 끝단에는 스프링끝단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2스톱스프링(4730)은 제1실시예의 제1스톱스프링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스토퍼돌기(4108)는 단면형상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차일드 로킹부재(4700)가 차일드 락 해제 위치에서 차일드 락 위치로 이동(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해서는 탄성변형부의 상하 사이간격이 벌어지도록 탄성변형된 후에 이동된다. 즉, 차일드 로킹부재(4700)를 차일드 락 해제 위치에서 차일드 락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차일드 로킹부재(4700)를 차일드 락 위치에서 차일드 락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제2스톱스프링(4730)의 탄성변형부를 탄성변형시킬 수 있을 만큼의 힘으로 차일드 로킹부재(4700)를 슬라이딩시켜야 한다.
<차일드 로킹부재를 이용한 내측 도어 잠금>
운전자가 차일드 로킹부재(4700)를 이용한 내측 도어 잠금을 버튼 등을 통해 입력하면 구동부(4600)의 모터(4610)가 작동된다. 도 4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4610)가 작동되면 메인기어(4630)도 회전한다. 메인기어(4630)가 회전하면 제2걸림부(4635)에 메인기어걸림돌기(4710)가 걸려서, 차일드 로킹부재(4700)도 우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이와 같이 차일드 로킹부재(4700)가 슬라이딩 되면,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레버부(4450a)의 차일드 락 돌기(4453)가 돌기안내부(4720)에 걸려서 후방으로 안내된다. 이로 인해, 제1걸림레버부(4450a)는 제1슬라이딩 부재의 제1걸림턱에서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제1슬라이딩 부재와 메인 로킹부재(4300)는 분리되어, 제1슬라이딩 부재와 메인 로킹부재(4300)는 함께 슬라이딩하지 않게 된다.
한편, 모터(4610)는 제3감지부(4741)를 제8센서(4902)에서 감지할 때까지 작동된다.
이와 같이 구동부(4600)를 통해 자동으로 차일드 로킹한 후에는 도 4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4610)는 반대로 회전하여 기본위치로 이동한다.
<차일드 로킹부재를 이용한 내측 도어 잠금 해제>
운전자가 차일드 로킹부재(4700)를 이용한 내측 도어 잠금 해제를 버튼 등을 통해 입력하면 구동부(4600)의 모터(4610)가 작동된다. 도 5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4610)가 작동되면 메인기어(4630)도 회전한다. 메인기어(4630)가 회전하면 제1걸림부(4633)에 메인기어걸림돌기(4710)가 걸려서, 차일드 로킹부재(4700)도 좌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이와 같이 차일드 로킹부재(4700)가 슬라이딩 되면,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안내부(4720)에서 제1걸림레버부(4450a)의 차일드 락 돌기(4453)는 빠져나와서, 제1걸림레버부(4450a)의 우측은 제2복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제1걸림레버부(4450a)는 제1슬라이딩 부재의 제1걸림턱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제1슬라이딩 부재와 메인 로킹부재(4300)는 연결되어, 제1슬라이딩 부재와 메인 로킹부재(4300)는 함께 슬라이딩한다.
한편, 모터(4610)는 제3감지부(4741)를 제7센서(4904)에서 감지할 때까지 작동된다.
이와 같이 구동부(4600)를 통해 자동으로 차일드 로킹 해제한 후에는 도 5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4610)는 반대로 회전하여 기본위치로 이동한다.
구동부(4600)를 통해 도어 닫음시 상기 래치를 회전시키는 작동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2,3,4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52 내지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은, 래치(5200)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모터(5610)를 포함하여, 상기 래치(5200)는 상기 모터(5610)에 의해 회동되며, 상기 모터(5610)와 상기 래치(5200)는 평기어를 통해 연결된다.
메인 로킹부재(5300)는 몸체의 좌측에 수평바(5340)만 형성된다. 즉, 제1실시예의 걸림부 누름부는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5610)와, 상기 모터(5610)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563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로킹플레이트(55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모터(5610)는 축이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모터(5610)의 축에는 평기어(5613)가 설치된다. 평기어(5613)의 축도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모터(5610)는 제1하우징(5110)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모터지지돌출부(5102)를 통해 제1하우징(5110)에 설치된다.
모터지지돌출부(5102)는 내측에 상기 모터(56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모터지지면이 형성된다. 상기 모터지지면은 상기 모터(5610)에 접촉된다. 또한, 제3하우징에는 상기 모터지지돌출부(5102) 및 상기 모터(5610)가 삽입되는 모터삽입홈이 형성된다.
메인기어(5630)의 좌측 하부 전방에는 래치(5200)를 회전시키는 걸림부(5631)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메인기어(5630)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기어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메인기어(5630)는 평기어로 구비되며, 기어 이(5638)가 외주면 일부에만 형성된다.
상기 모터(5610)와 메인기어(5630) 사이에는 여러 개의 서브기어(5620)가 배치된다.
서브기어(5620)는 직경이 작은 평기어와 직경이 큰 평기어가 동축으로 연결되어 있다. 서브기어(5620)는 직경이 작은 기어와 직경이 큰 기어가 일체로 형성된다.
서브기어(5620)의 직경이 큰 기어에는 평기어(5613)가 치합된다.
서브기어(5620)의 직경이 작은 기어에는 메인기어(5630)가 치합된다.
직경이 작은 기어와 직경이 큰 기어가 일체로 형성된 서브기어(5620)는 여러개 구비되어 서로 연동될 수 있다.
하나의 서브기어(5620)의 작은 기어에 다른 서브기어(5620)의 큰 기어가 연동되고, 다른 서브기어(5620)의 작은 기어에 또 다른 서브기어(5620)의 큰기어가 치합되어, 복수개의 서브기어(5620)는 감속시킨다.
이와 같이 연동되는 복수개의 평기어를 통해 기어감속비율을 조절할 수 잇다.
이와 같이 평기어(5613)를 통해 상기 모터(5610)와 메인기어(5630)가 연결되어 상기 모터(5610) 고장시에도 메인기어(5630)의 역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5610)가 도어 닫힘 위치까지 이동된 상태에서 고장나더라도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도어를 열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레버를 잡아당기면 회동부재(5370)가 회전되어 래치(5200)의 구속은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여는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들어올려지는 스트라이커(1101)에 의해 래치(5200)가 도어 열림 방향으로 회전되어 도어가 열린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도어 래치 시스템은 상기 모터(5610)의 고장시에도 수동으로 도어를 열 수 있어서 안전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메인기어(5630)에는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로킹플레이트(5500)가 걸리는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5610)의 작동으로 메인기어(5630)가 회전할 때, 로킹플레이트(5500)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는 래치(5200)를 회동시킬 뿐만 아니라 로킹플레이트(550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어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도어 닫음 및 도어 잠금 및 도어 잠금 해제를 자동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2,3,4,5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55 내지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6200)와,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래치(6200)를 로킹시키는 메인 로킹부재(6300)와,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 로킹부재(6300)의 일측에 배치되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메인 로킹부재(6300)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걸림레버부(6450)와, 상기 메인 로킹부재(6300)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턱과,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레버부(6450)를 회동시키는 로킹플레이트(6500)를 포함하되, 상기 로킹플레이트(6500)에는 레버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레버부(6450)에는 가이드바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안내부가 상기 가이드바를 안내함에 따라 상기 걸림레버부(6450)의 회동이 이루어져서 도어 잠금 또는 도어 잠금 해제가 되며, 로킹플레이트(6500)를 이동시켜서 상기 메인 로킹부재(6300)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연결을 해제하거나 상기 메인 로킹부재(6300)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연결하는 로킹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로킹부재(630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되, 몸체의 좌측에 수평바(6340)만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의 메인 로킹부재(6300)는 제1실시예의 걸림부 누름부는 형성되지 않는다.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킹구동부는 모터(6610)와, 모터(6610)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6630)를 포함한다. 상기 로킹구동부는 차량에 설치된 제어부(ECU)에 연결되어, 차량에 설치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모터(6610)는 상기 하우징의 제1하우징(6110)의 후면에 설치된다. 모터(6610)는 제1하우징(6110)의 우측 상부에 배치된다. 모터(6610)는 축이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모터(6610)는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만하는 역할을 하므로 작은 모터로 구비된다. 따라서, 도어 래치 시스템은 컴팩트하게 유지될 수 있고 제조비용을 낮출수 있다.
모터(6610)의 축에는 웜(6613)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웜(6613)은 축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메인기어(6630)는 웜(6613)에 치합되는 웜기어이다. 따라서, 모터(6610)와 메인기어(6630)는 웜(6613)과 웜(6613)에 치합되는 웜기어를 통해 연결된다. 이로 인해, 도어 래치 시스템이 컴팩트하게 유지되는 동시에 구조도 단순화될 수 있다.
메인기어(6630)는 제1하우징(6110)의 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메인기어(6630)는 제1하우징(6110)의 중간에 배치되어 로킹플레이트(6500)의 상부에 배치된다. 메인기어(6630)는 모터(6610)보다 하부에 배치된다.
메인기어(6630)는 외주면의 일부에 기어 이가 형성된 기어부(6632)와 상기 외주면의 나머지 일부에 비기어부가 형성된다.
기어부(6632)는 메인기어(6630)의 상부 및 하부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비기어부는 메인기어(6630)의 하부 일부에 형성된다.
메인기어(6630) 하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는 전후방 및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절개부로 인해, 메인기어(6630)에는 이하 서술되는 로킹플레이트(6500)를 슬라이딩시키는 제1걸림부(6633) 및 제2걸림부(6635)가 형성된다. 제1걸림부(6633)는 상기 절개부의 우측에 배치되고, 제2걸림부(6635)는 상기 절개부의 좌측에 배치된다.
메인기어(6630)에서 축이 삽입되는 삽입공 둘레와 기어부(6632)와 제1,2걸림부(6633, 6635)는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다. 따라서, 메인기어(6630)는 경량으로 유지되는 동시에 내구성이 유지된다.
메인 기어(6630)를 기본위치로 복귀시키는 기어복귀스프링(6650)이 구비된다.
기어복귀스프링(6650)은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기어복귀스프링(6650)은 원호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 기어(6630) 전면에는 기어복귀스프링(6650)이 안착되는 기어복귀스프링홈(6647)이 형성된다. 기어복귀스프링홈(6647)은 원호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즉, 기어복귀스프링홈(6647)은 제1하우징(6110)과 마주보는 부분이 개방된다.
또한, 제1하우징(6110) 후면에는 누름리브(6140)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누름리브(6140)는 상부가 개방된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누름리브(6140)는 메인기어(6630)의 축이 삽입되는 삽입공과 기어부(6632) 및 제1,2걸림부(6633, 6635) 사이에 배치된다.
메인 기어(6630)에서 기어복귀스프링홈(6647)을 형성하는 양측면 각각에는 누름리브(6140)가 삽입되는 리브삽입홈(6648)이 상기 기어복귀스프링홈(6647)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플레이트(6500)는 메인 기어(6630)의 하부에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플레이트(6500)는 잠금해제케이블연결부(6501)와, 잠금해제케이블연결부(6501)의 우측에 배치되는 레버안내부(6507)와, 레버안내부(6507)의 우측에 배치되는 메뉴얼 로킹 가이드장공(6515)과, 제1스톱스프링(6570)을 포함한다.
로킹플레이트(6500) 하부에는 잠금해제케이블연결부(6501)의 우측에 배치되도록 걸림돌기(6506)가 아래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걸림돌기(6506)는 키 커넥트의 키 커넥트 절개부에 삽입된다.
로킹플레이트(6500) 상부에는 걸림돌기(6506)와 레버안내부(6507) 사이에 배치되도록 메인기어걸림부(6502)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메인기어걸림부(6502)는 메인 기어(6630)의 절개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메인기어(6630)가 회전할 때 메인기어걸림부(6502)는 메인기어(6630)에 걸려서 로킹플레이트(6500)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된다. 로킹플레이트(6500)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걸림레버부(6450)가 슬라이딩 부재의 걸림턱에서 빠져서 메인 로킹부재(6300)와 슬라이딩 부재의 연결이 해제된다. 로킹플레이트(650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걸림레버부(6450)가 슬라이딩 부재의 걸림턱에 걸려서, 메인 로킹부재(6300)와 슬라이딩 부재가 연결된다.
제1하우징(6110)과 마주보는 면인 로킹플레이트(6500) 전면에는 전기연결부재(6572)가 설치된다. 전기연결부재(6572)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전기가 통하는 금속소재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하우징(6110)에는 로킹플레이트(6500)의 전면과 마주보는 면인 후면에 제1,2,3전선(921, 922, 923)이 설치된다. 제1,2,3전선(921, 922, 923)은 상기 차량에 설치된 제어부에 연결된다.
제1,2,3전선(921, 922, 923)은 제1하우징(6110)에 인서트되어 설치된다.
제1,2,3전선(921, 922, 923)의 끝단은 제1하우징(6110) 후면 일부가 절개된 부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제1,2,3전선(921, 922, 923)의 끝단은 수평하게 배치된다.
제2전선(922)의 끝단은 제1전선(921) 및 제3전선(923)의 상부에 각각 배치된다.
제1전선(921)과 제3전선(923)의 끝단은 로킹플레이트(6500)가 슬라이딩되는 방향인 수평방향(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로킹플레이트(6500)가 슬라이딩될 때, 전기연결부재(6572)는 제1,2전선(921, 922)을 연결하거나 제2,3전선(922, 923)을 연결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어 닫힘>
열린 상태의 도어를 사용자가 닫으면 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101)가 래치(6200)를 눌러서 래치(6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래치(6200)의 로킹홈에 회동부재(6370)의 로킹부가 삽입되어 도어가 닫히게 된다.
<도어잠금>
잠금 해제 상태인 도어가 키/잠금버튼/노브/도어아웃레버센서/차량 속도 임계값 등에 의한 설정 등으로 인해 잠금 상태가 되는 작동을 설명한다.
모터(6610)를 통한 도어 잠금이 입력되면, 모터(6610)가 작동하여 메인기어(663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메인기어(66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걸림부(6635)가 로킹플레이트(6500)의 메인기어걸림부(6502)를 밀어서 로킹플레이트(6500)를 슬라이딩시킨다.
이때, 로킹플레이트(6500)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걸림레버부(6450)가 슬라이딩 부재의 걸림턱에서 빠져서 메인 로킹부재(6300)와 슬라이딩 부재의 연결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도어가 잠금 상태가 되어 도어레버(미도시)를 잡아당기면 메인 로킹부재(6300)에 힘이 전달되지 않는다.
모터(6610)는 로킹플레이트(6500)에 설치된 전기연결부재(6572)가 제2전선(922)과 제3전선(923)을 연결할때까지 작동된다. 이후 모터(6610)는 작동을 멈춘다.
메인기어(66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누름리브(6140)가 기어복귀스프링(6650)을 눌러서, 기어복귀스프링(6650)은 압축된다. 메인기어(6630)를 회전시키는 힘이 제거되면(모터(6610)의 작동이 멈추면) 압축된 기어복귀스프링(6650)의 복원력에 의해 메인기어(6630)는 원위치로 복귀된다.
<도어잠금해제>
잠금 상태인 도어가 키/잠금버튼/노브/도어아웃레버센서/차량 속도 임계값 등에 의한 설정 등으로 인해 잠금 해제 상태가 되는 작동을 설명한다.
모터(6610)를 통한 도어 잠금 해제가 입력되면, 모터(6610)가 작동하여 메인기어(66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메인기어(66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걸림부(6633)가 메인기어걸림부(6502)를 밀어서 로킹플레이트(6500)를 슬라이딩시킨다.
이때, 로킹플레이트(6500)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걸림레버부(6450)가 슬라이딩 부재의 걸림턱에 걸려서, 메인 로킹부재(6300)와 슬라이딩 부재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어 도어레버를 잡아당기면 메인 로킹부재(6300)에 힘이 전달된다.
도어 잠금 해제시 모터(6610)는 로킹플레이트(6500)에 설치된 전기연결부재(6572)가 제2전선(922)과 제1전선(921)을 연결할때까지 작동된다. 이후 모터(6610)는 작동을 멈춘다.
메인기어(66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누름리브(6140)가 기어복귀스프링(6650)을 눌러서, 기어복귀스프링(6650)은 압축된다. 메인기어(6630)를 회전시키는 힘이 제거되면(모터(6610)의 작동이 멈추면) 압축된 기어복귀스프링(6650)의 복원력에 의해 메인기어(6630)는 원위치로 복귀된다.
<도어 열림>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일 때, 사용자가 도어레버를 잡아당기게 되면, 도어레버연결부가 슬라이딩 부재 및 메인 로킹부재(6300)를 우측으로 잡아당긴다. 이로 인해, 래치(6200)의 로킹홈으로부터 회동부재(6370)의 로킹부가 빠져나온다. 이때 래치(6200)는 제1복귀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스트라이커(1101)는 도어 래치 시스템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이 외에 차일드 로킹부재를 이용한 내측 도어 잠금 과정과 도어인레버를 이용한 내측 도어 잠금해제 과정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2,3,4,5,6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도어 래치 시스템은, 로킹구동부의 메인기어(76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기어복귀스프링이 배제된다.
제7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은 제6실시예에서 기어복귀스프링을 배제한 것 이외에는 모든 구성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하, 제7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어잠금>
잠금 해제 상태인 도어가 키/잠금버튼/노브/도어아웃레버센서/차량 속도 임계값 등에 의한 설정 등으로 인해 잠금 상태가 되는 작동을 설명한다.
모터(7610)를 통한 도어 잠금이 입력되면, 모터(7610)가 작동하여 메인기어(763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메인기어(76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걸림부가 로킹플레이트의 메인기어걸림부(7502)를 밀어서 로킹플레이트를 슬라이딩시킨다.
이때, 로킹플레이트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걸림레버부가 슬라이딩 부재의 걸림턱에서 빠져서 메인 로킹부재와 슬라이딩 부재의 연결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도어가 잠금 상태가 되어 도어레버(미도시)를 잡아당기면 메인 로킹부재에 힘이 전달되지 않는다.
모터(7610)는 로킹플레이트에 설치된 전기연결부재가 제2전선과 제3전선을 연결할 때까지 작동된다. 이후, 모터(7610)는 작동을 멈춘다.
<도어잠금해제>
잠금 상태인 도어가 키/잠금버튼/노브/도어아웃레버센서/차량 속도 임계값 등에 의한 설정 등으로 인해 잠금 해제 상태가 되는 작동을 설명한다.
모터(7610)를 통한 도어 잠금 해제가 입력되면, 모터(7610)가 작동하여 메인기어(76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메인기어(76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걸림부가 메인기어걸림부(7502)를 밀어서 로킹플레이트를 슬라이딩시킨다.
이때, 로킹플레이트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걸림레버부가 슬라이딩 부재의 걸림턱에 걸려서, 메인 로킹부재와 슬라이딩 부재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어 도어레버를 잡아당기면 메인 로킹부재에 힘이 전달된다.
도어 잠금 해제시 모터(7610)는 로킹플레이트에 설치된 전기연결부재가 제2전선과 제1전선을 연결할 때까지 작동된다. 이후, 모터(7610)는 작동을 멈춘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2,3,4,5,6,7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은, 로킹플레이트(8500)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로킹구동부(8650)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구동부(8650)와 상기 로킹플레이트(8500)는 랙(8653)과 피니언(8652)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랙(8653)과 피니언(8652)은 웜과 직선형상의 웜기어로 대체할 수 있다.
로킹구동부(8650)는 모터(8651)와, 모터(8651)의 축에 연결되는 피니언(8652)과, 피니언(8652)에 치합되는 랙(8653)을 포함한다.
모터(8651)는 로킹플레이트(8500)의 중간 하부에 배치된다.
모터(8651)의 축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도어의 다른 부재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로킹구동부(8650)의 모터(8651)는 소형모터로 구비된다.
모터(8651)는 제1하우징의 중간 후방 하부에 형성된 로킹모터 안착홈에 안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로킹모터 안착홈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랙(8653)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랙(8653)은 로킹플레이트(8500)의 중간 후방에 설치된다.
랙(8653)에는 기어이의 상부에 설치공이 두개 형성되고, 로킹플레이트(8500)에는 상기 설치공에 삽입되는 설치돌기(8654)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설치공과 설치돌기(8654)로 인해 랙(8653)은 로킹플레이트(8500)에 설치된다.
나아가, 랙(8653) 후방에는 상기 설치공의 상부 및 하부에 좌우방향으로 보강살이 더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2,3,4,5,6,7,8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은, 로킹플레이트(9500)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로킹구동부(9650)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구동부(9650)와 상기 로킹플레이트(9500)는 랙(9653)과 피니언(9652)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로킹구동부(9650)는 모터(9651)와, 모터(9651)의 축에 연결되는 피니언(9652)과, 피니언(9652)에 치합되는 랙(9653)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랙(9653)과 피니언(9652)은 웜과 직선형상의 웜기어로 대체할 수 있다.
모터(9651)는 로킹플레이트(9500)의 중간 상부에 배치된다.
모터(9651)의 축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전후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로킹구동부(9650)의 모터(9651)는 소형모터로 구비된다.
모터(9651)는 제1하우징(9110)의 중간 후방에 형성된 로킹모터 안착홈에 안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로킹모터 안착홈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하우징(9110) 후면에는 모터(9651)의 양측에 배치되는 모터 지지돌출부(9107)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랙(9653)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랙(9653)은 로킹플레이트(9500)의 중간에 설치된다.
랙(9653)에는 기어이의 전방에 설치공이 형성되고, 로킹플레이트(9500)에는 상기 설치공에 삽입되는 설치돌기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로킹플레이트(9500)의 상부에는 랙(9653)이 안착되는 랙안착홈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돌기는 상기 랙안착홈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설치공과 설치돌기로 인해 랙(9653)은 로킹플레이트(9500)에 설치된다. 또한, 로킹플레이트(9500)에 랙(9653)을 일체로 만들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0실시예>===================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2,3,4,5,6,7,8,9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63 내지 도 6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은,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일드 로킹부재(700)와, 상기 차일드 로킹부재(700)를 이동시키는 차일드 로킹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일드 로킹부재(700)에는 돌기안내부(720)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레버부에는 차일드 락 돌기(453)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안내부(720)가 상기 차일드 락 돌기(453)를 안내함에 따라 상기 걸림레버부의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일드 로킹부재(700)는 상기 하우징의 제1하우징(110)의 후면에 좌우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차일드 로킹부재(700)는 로킹플레이트(5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1하우징(110)의 후면에는 차일드 로킹부재(700)가 안착되는 차일드 로킹부재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차일드 로킹부재 안착홈은 상기 걸림레버부가 안착되는 로킹부재안착홈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차일드 로킹부재 안착홈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림레버부의 제1걸림레버부(450a)의 우측 상부에는 차일드 락 돌기(453)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걸림레버부(450a)는 차일드 로킹부재(700)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일드 로킹부재(700)의 전면에는 돌기안내부(720)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기안내부(720)는 전방으로 돌출된 후 좌측으로 절곡된다. 따라서, 차일드 락 돌기(453)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은 상하부 및 좌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돌기안내부(720)가 차일드 락 돌기(453)를 안내함에 따라 제1걸림레버부(450a)의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차일드 로킹부재(700)와 이하 서술되는 차일드 로킹 구동부의 차일드 락 모터(750)는 차일드 랙(710)과 차일드 피니언(751)을 통해 연결된다.
차일드 로킹부재(700)의 후방에는 차일드 랙(710)이 형성된다.
차일드 랙(710)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차일드 로킹부재(70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차일드 랙(710)은 제1하우징(110) 후방으로 노출된다.
차일드 로킹부재(700)는 우측 상부에 전기연결부재(741)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전기연결부재(741)는 전기가 통할 수 있는 금속 소재 등으로 형성된다. 전기연결부재(741)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차일드 로킹 구동부는 차일드 락 모터(750)를 포함하여, 차일드 로킹부재(700)를 좌우로 이동시킨다.
차일드 락 모터(750)의 축에는 차일드 피니언(751)이 설치된다.
차일드 피니언(751)은 차일드 랙(710)에 치합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차일드 랙(710)과 차일드 피니언(751)은 차일드 웜과 직선형상의 차일드 웜기어로 대체할 수 있다.
나아가, 제1하우징(110)에는 차일드 로킹부재(700)의 상면과 마주보는 면인 내면에 차일드 제1,2,3전선(91, 92, 93)이 설치된다. 차일드 제1,2,3전선(91, 92, 93)은 상기 차일드 로킹부재 안착홈 내부에 배치된다. 차일드 제1,2,3전선(91, 92, 93)은 전기연결부재(741) 상부에 배치된다.
차일드 제1,2,3전선(91, 92, 93)은 상기 차량에 설치된 제어부에 연결된다.
차일드 제1,2,3전선(91, 92, 93)은 제1하우징(110)에 인서트되어 설치된다.
차일드 제1,2,3전선(91, 92, 93)의 끝단은 제1하우징(110) 내면 일부가 절개된 부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차일드 제1,2,3전선(91, 92, 93)의 끝단은 수평하게 배치된다.
차일드 제2전선(92)의 끝단은 차일드 제1전선(91) 및 차일드 제3전선(93)의 전방에 각각 배치된다.
차일드 제1전선(91)과 차일드 제3전선(93)의 끝단은 차일드 로킹부재(700)가 슬라이딩되는 방향인 수평방향(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차일드 로킹부재(700)가 슬라이딩될 때, 전기연결부재(741)는 차일드 제1,2전선(91, 92)을 연결하거나 차일드 제2,3전선(92, 93)을 연결한다.
<차일드 로킹부재를 이용한 내측 도어 잠금>
운전자가 차일드 로킹부재(700)를 이용한 내측 도어 잠금을 버튼 등을 통해 입력하면 차일드 로킹 구동부의 차일드 락 모터(750)가 작동된다. 차일드 락 모터(750)가 작동되면 차일드 피니언(751)도 회전한다. 차일드 피니언(751)이 회전하면 차일드 피니언(751)에 치합되는 차일드 랙(710)은 좌측으로 이동된다. 차일드 랙(710)이 일체로 형성된 차일드 로킹부재(700)도 좌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이와 같이 차일드 로킹부재(700)가 슬라이딩 되면,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레버부(450a)의 차일드 락 돌기(453)가 돌기안내부(720)에 걸려서 후방으로 안내된다. 이로 인해, 제1걸림레버부(450a)는 제1슬라이딩 부재의 제1걸림턱에서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제1슬라이딩 부재와 메인 로킹부재는 분리되어, 제1슬라이딩 부재와 메인 로킹부재는 함께 슬라이딩하지 않게 된다.
한편, 차일드 락 모터(750)는 전기연결부재(741)가 차일드 제2,3전선(92, 93)을 연결할 때까지 작동된다.
<차일드 로킹부재를 이용한 내측 도어 잠금 해제>
운전자가 차일드 로킹부재(700)를 이용한 내측 도어 잠금 해제를 버튼 등을 통해 입력하면 차일드 로킹 구동부의 차일드 락 모터(750)가 작동된다. 차일드 락 모터(750)가 작동되면 차일드 피니언(751)도 회전한다. 차일드 피니언(751)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차일드 피니언(751)에 치합되는 차일드 랙(710)은 우측으로 이동된다. 차일드 랙(710)이 일체로 형성된 차일드 로킹부재(700)도 우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이와 같이 차일드 로킹부재(700)가 슬라이딩 되면, 도 6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안내부(720)에서 제1걸림레버부(450a)의 차일드 락 돌기(453)는 빠져나와서, 제1걸림레버부(450a)의 우측은 제2복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제1걸림레버부(450a)는 제1슬라이딩 부재의 제1걸림턱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제1슬라이딩 부재와 메인 로킹부재는 연결되어, 제1슬라이딩 부재와 메인 로킹부재는 함께 슬라이딩한다.
한편, 차일드 락 모터(750)는 전기연결부재(741)가 차일드 제1,2전선(91, 92)을 연결할 때까지 작동된다.
===================<본 발명의 제11실시예>===================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2,3,4,5,6,7,8,9,10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69 내지 도 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은, 상기 로킹플레이트(4500')에는 잠금해제케이블(4810')이 설치되며, 상기 잠금해제케이블(4810')과 노브(6) 사이에는 방향전환부(20)가 설치된다.
모터(4610')를 포함하는 구동부는 제4실시예에서와 같이 차일드 로킹부재(4700')를 이동시키고, 래치를 회전시켜서 도어(1)를 자동으로 닫는다.
모터(4610')는 차일드 로킹부재(4700')와 로킹플레이트(4500')의 상부에 배치된다. 모터(4610')는 제1하우징(4110')의 우측 후면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래치는 제1하우징(4110')의 좌측 전면에 설치된다.
차일드 로킹부재(4700')는 제1하우징(4110')의 후면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PCB(4900')는 차일드 로킹부재(4700')와 로킹플레이트(4500')의 하부에 배치된다. PCB(4900')는 제1하우징(4110')의 우측 후면 하부에 설치된다.
도 6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플레이트(450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하우징(4110')의 후방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로킹플레이트(4500')는 차일드 로킹부재(4700')의 후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로킹플레이트(4500')의 우측 후면에는 잠금해제케이블(4810')이 설치되는 잠금해제케이블연결부(4501')가 형성된다.
로킹플레이트(4500')는 이하 서술되는 웜기어(4653'), 제2감지부재, 레버안내부, 잠금해제케이블연결부(4501'), 메뉴얼 로킹 가이드장공이 좌측에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다. 이로 인해, 잠금해제케이블(4810')은 도어레버연결부(4800')와 같이 제1하우징(4110')의 우측으로 인출된다.
잠금해제케이블연결부(4501')의 좌측단에는 잠금해제케이블(4810')이 연결되어 노브(6) 등을 작동시키면 잠금해제케이블(481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당겨져 로킹플레이트(45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잠금해제케이블연결부(4501') 후면에는 잠금해제케이블(4810')의 제1걸림부재가 안착되는 제1걸림부재안착홈이 후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로킹플레이트(4500')에 잠금해제케이블(4810')을 조립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진다.
잠금해제케이블(4810')의 제1걸림부재도 상하로 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방향 전환부(20)는 방향전환하우징과, 상기 방향전환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환레버(30)를 포함한다.
도 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향전환하우징은 제1방향전환하우징(21)과, 상기 제1방향전환하우징(21)의 후방을 덮는 제2방향전환하우징(22)을 포함한다.
제1방향전환하우징(21)은 후면에 각각의 부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1방향전환하우징(21)에는 노브(6)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홈(24)과, 상기 잠금해제케이블(4810')에 연결된 케이블블럭(40)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홈(23)이 형성된다.
케이블블럭(40) 후면에는 잠금해제케이블(4810')의 제2걸림부재가 안착되는 제2걸림부재안착홈(41)이 형성된다. 따라서, 잠금해제케이블(4810')은 케이블블럭(40)에 연결된다.
제1가이드홈(24)과, 제2가이드홈(23)은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가이드홈(24)과 제2가이드홈(23)에는 노브(6) 또는 잠금해제케이블(4810')이 인출되는 인출공이 우측과 좌측에 각각 연통되게 형성된다.
제1가이드홈(24)은 제2가이드홈(23)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1가이드홈(24)과, 제2가이드홈(23)에는 노브(6)와 케이블블럭(40)의 전면에 각각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돌출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슬라이딩홈과 상기 슬라이딩돌출부로 인해 노브(6) 및 케이블블럭(40)이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1방향전환하우징(21)에는 제1,2가이드홈(24,23)에 연통되도록 전환레버(30)가 이동될 수 있는 장공(25)이 형성된다. 장공(25)은 제1가이드홈(24)과 제2가이드홈(23) 사이에 배치된다.
장공(25)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장공(25)에는 전환레버(30)가 삽입된다.
제1방향전환하우징(21)에는 장공(25) 내부에 배치되도록 전환레버(30)의 회전축(26)이 형성된다. 회전축(26)은 제1가이드홈(24)과 제2가이드홈(23) 사이에 배치된다.
노브(6)의 후면에는 제1연결돌기(6a)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케이블블럭(40)의 후면에는 제2연결돌기(42)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2연결돌기(6a, 4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전환레버(30)는 긴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전환레버(30)는 일측에 제1연결돌기(6a)가 삽입되는 제1연결돌기 삽입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연결돌기(42)가 삽입되는 제2연결돌기 삽입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전환레버(30)의 일측에는 노브(6)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전환레버(30)의 타측에는 잠금해제케이블(4810')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전환레버(30)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는 회전축(26)이 삽입되는 축삽입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축(26)은 전환레버(30)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된다. 즉, 회전축(26)은 노브(6)와 케이블블럭(40)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전환레버(30)로 인해, 노브(6)를 누르게 되면(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케이블블럭(40)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케이블블럭(40)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로킹플레이트(4500')도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어 잠금이 된다. 또한, 노브(6)를 잡아당기게 되면(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케이블블럭(40)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케이블블럭(40)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로킹플레이트(4500')도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어 잠금 해제가 된다.
이와 같이, 전환레버(30)는 지렛대 원리에 의해 노브(6)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반대로 바꿔서 로킹플레이트(4500')에 전달한다.
따라서, 잠금해제케이블(4810')의 인출방향을 변경하더라도 노브(6)의 동작을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래치 시스템을 도어(1)에 설치할 때에 모터(4610')나 PCB(4900') 같은 전자제품이 차량의 상부로 향하도록 할 수 있어서, 모터(4610')나 PCB(4900')가 침수되는 것이 방지된다.
로킹플레이트(4500')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로킹구동부(4650')를 더 포함한다.
로킹구동부(4650')는 모터(4651')와, 모터(4651')의 축에 연결되는 웜(4652')과, 웜(4652')에 치합되는 웜기어(4653')를 포함한다. 따라서, 모터(4651')와 로킹플레이트(4500')는 웜(4652')과 직선형상의 웜기어(4653')를 통해 연결된다. 이와 같이 웜(4652')을 이용하여 단순한 구성으로도 감속비를 줄 수 있다.
모터(4651')는 로킹플레이트(4500')보다 하부에 배치되며, 제1하우징(4110')의 좌측 후면 하부에 설치된다.
모터(4651')의 축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도어(1)의 다른 부재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로킹구동부(4650')의 모터(4651')는 상기 구동부의 모터(4610')보다 소형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모터(4651')가 고장났을 때에도 모터(4651')의 역회전이 가능해져서 외력으로 로킹플레이트(45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웜기어(4653')는 랙과 같이 직선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웜기어(4653')는 웜(4652')의 상부에 배치된다.
웜기어(4653')는 로킹플레이트(4500')의 좌측에 설치된다. 웜기어(4653')는 로킹플레이트(450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2실시예 >===================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2,3,4,5,6,7,8,9,10,1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72 및 도 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은, 상기 하우징(10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일드 로킹부재(700')와, 상기 차일드 로킹부재(700')를 이동시키는 차일드 로킹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일드 로킹부재(700')와 상기 차일드 로킹 구동부는 차일드 웜(751')과 차일드 웜기어(710')를 통해 연결된다.
차일드 로킹부재(700')는 제10실시예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차일드 로킹부재(700')는 제1하우징(110')의 우측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차일드 로킹 구동부는 차일드 락 모터(750')를 포함한다.
차일드 락 모터(750')는 제1하우징(110')의 후방 중간에 배치된다. 즉, 차일드 락 모터(750')는 하우징(100')의 좌측단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차일드 락 모터(750')는 차일드 로킹부재(700')의 좌측에 배치되며, 축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차일드 로킹부재(700')와 차일드 락 모터(750')는 차일드 웜(751')과 차일드 웜기어(710')를 통해 연결된다.
차일드 락 모터(750')의 축에는 차일드 웜(751')이 설치된다.
차일드 웜기어(710')는 랙과 같이 직선형상으로 형성되며, 차일드 웜(751')에 치합된다.
차일드 웜기어(710')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차일드 웜기어(710')는 차일드 로킹부재(700')의 후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나아가, 차일드 락 센서(790)가 제1하우징(110')의 우측 후방에 구비된다. 차일드 락 센서(790)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비된다. 차일드 락 센서(790)는 차일드 로킹부재(700')의 우측에 배치되어 차일드 로킹부재(700')가 차일드 로킹 해제 위치에 있는지 감지한다. 상세하게는, 차일드 로킹부재(700')가 차일드 락 모터(750')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되면 차일드 로킹부재(700')가 차일드 락 센서(790)의 스위치를 눌러서 차일드 락 센서(790)는 차일드 로킹 해제를 감지한다.
또한, 로킹플레이트(500')는 차일드 로킹부재(70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제1하우징(110')의 후면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잠금해제케이블(810')은 제 11실시예에서와 같이 로킹플레이트(500')의 우측에 연결된다. 잠금해제케이블(810')은 하우징(100')의 우측으로 인출된다. 잠금해제케이블(810')과 노브(6) 사이에는 방향전환부(20)가 설치된다.
로킹플레이트(500')는 로킹구동부(650')에 의해 좌우로 이동된다.
로킹구동부(650')는 제11실시예에서와 같이, 모터(651')와, 모터(651')의 축에 연결되는 웜(652')과, 웜(652')에 치합되는 웜기어(653')를 포함한다.
모터(651')의 축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모터(651')는 로킹플레이트(500')의 하부에 배치된다. 모터(651')는 제1하우징(110')의 후방 중간에 배치된다.
웜기어(653')는 로킹플레이트(500')의 우측 하부에 설치된다. 웜기어(653')는 로킹플레이트(50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로킹플레이트(500')의 좌측에는 센서누름부(521')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센서누름부(521')는 도어 잠금시 로킹센서(907)를 누른다. 로킹센서(907)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로킹센서(907)는 로킹플레이트(500')를 통한 도어 잠금을 감지한다.
로킹센서(907)는 제1하우징(110')의 후면에 설치되되, 제1하우징(110')의 좌측단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각 부품이 배치되어, 도 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래치 시스템을 도어(1)에 설치할 때에, 로킹구동부(650')의 모터(651') 및 상기 차일드 로킹 구동부의 차일드 락 모터(750')는 스트라이커삽입홈보다 차량 상부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침수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0 : 하우징
1200 : 래치
1300 : 메인 로킹부재
1400 : 슬라이딩 부재
1450 : 걸림레버부
1500 : 로킹플레이트
1600 : 구동부
1700 : 차일드 로킹부재
1800 : 도어레버연결부
1900 : PCB

Claims (1)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래치를 로킹시키는 메인 로킹부재;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 로킹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메인 로킹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걸림레버부;
    상기 메인 로킹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레버부의 걸림레버축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걸림레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걸림레버축은 상기 메인 로킹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메인 로킹부재를 가이드하는 부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래치 시스템.
KR1020170158098A 2017-11-24 2017-11-24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971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098A KR101971149B1 (ko) 2017-11-24 2017-11-24 도어 래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098A KR101971149B1 (ko) 2017-11-24 2017-11-24 도어 래치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458A Division KR101808547B1 (ko) 2015-06-26 2015-06-26 도어 래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782A KR20170135782A (ko) 2017-12-08
KR101971149B1 true KR101971149B1 (ko) 2019-04-22

Family

ID=60920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098A KR101971149B1 (ko) 2017-11-24 2017-11-24 도어 래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1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417B1 (ko) 2011-02-16 2012-07-24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KR101513000B1 (ko) * 2013-10-31 2015-04-17 평화정공(주)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053B1 (ko) * 2004-05-13 2005-1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잼 방지형 도어 래치
KR101524131B1 (ko) * 2013-10-31 2015-05-29 평화정공(주) 도어 래치장치
KR20150069453A (ko) 2013-12-13 2015-06-23 김재현 에어콘 보조 분풍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417B1 (ko) 2011-02-16 2012-07-24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KR101513000B1 (ko) * 2013-10-31 2015-04-17 평화정공(주)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782A (ko) 2017-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547B1 (ko)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808548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770249B1 (ko)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821243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972508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860841B1 (ko)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2059334B1 (ko)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
US20160145894A1 (en) Latch system for door
JP2008509303A (ja) パワー解除式二重ロックラッチ
KR102363862B1 (ko) 안전 장치가 있는 차량용 도어래치
KR101633469B1 (ko) 도어 래치 시스템
KR102059335B1 (ko)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101995346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781531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971149B1 (ko) 도어 래치 시스템
JP5017734B2 (ja) 車輌用ドア開閉装置
KR101897186B1 (ko)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20170135783A (ko) 도어 래치 시스템
KR20180105047A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20170134291A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2122714B1 (ko) 비상 해제 가능한 차량용 전동식 도어래치
CN115023527A (zh) 压缩式闩锁
KR101212592B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