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346B1 -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346B1
KR101995346B1 KR1020170176842A KR20170176842A KR101995346B1 KR 101995346 B1 KR101995346 B1 KR 101995346B1 KR 1020170176842 A KR1020170176842 A KR 1020170176842A KR 20170176842 A KR20170176842 A KR 20170176842A KR 101995346 B1 KR101995346 B1 KR 101995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atch
door
disposed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5048A (ko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to PCT/KR2018/00285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169259A1/en
Publication of KR20180105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56Control of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90Manual override in case of power failure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전선이 인서트되는 터미널 패널의 일측에는 상기 전선의 일단이 인출되어 PCB에 접속되어, 인서트된 전선의 휨 불량 및 쇼트를 방지하는 동시에 PCB의 설치가 용이해지고 장치의 부피도 작아지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Vehicle door ratch system}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에 적용되는 전선이 인서트된 터미널 패널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91658호(이하, 인용발명 1이라 함)에 제시된 바와 같이, 래치와 래치를 로킹하는 링크가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인용발명 1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수많은 링크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같이 부품수가 많아서 제조단가가 증가되고, 조립 공정이 복잡해지며, 부피도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래치를 로킹시키는 로킹부재는 하우징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7-0001458호(이하, 인용발명 2라 함)에 제시되어 있다.
인용발명 2는 래치가 설치되는 하우징에 전선이 인서트 되어 사출과정에서 전선이 휘거나 쇼트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87974호(이하, 인용발명 3이라 함)에 전선이 인서트된 터미널 센싱판을 별도로 구비한 것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인용발명 3은 터미널 센싱판에 PCB연결을 위한 구성이 나타나 있지 않아서 PCB연결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87974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91658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77214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013621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7-000145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인서트된 전선의 휨 불량 및 쇼트를 방지하는 동시에 PCB의 설치가 용이해지고, 래치가 설치되는 하우징에 PCB도 설치할 수 있어서 부품수가 감소되어 장치의 부피도 작아지고, PCB가 잘 접속되었는지 여부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와, 상기 래치를 로킹시키는 도어개폐부재와, 각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또는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 및 각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 또는 회전시키는 모터에 접속되는 전선이 인서트된 터미널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 패널의 일측에는 상기 전선의 일단이 인출되어 PCB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개폐부재는 상기 래치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한 메인 열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전면에 상기 래치가 설치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3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 패널은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3하우징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패널에는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부가 관통되는 기어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PCB는 상기 터미널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PCB에 접속되는 상기 전선의 일단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전후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전선이 인서트되는 터미널 패널의 일측에는 상기 전선의 일단이 인출되어 PCB에 접속되어, 인서트된 전선의 휨 불량 및 쇼트를 방지하는 동시에 PCB의 설치가 용이해지고 장치의 부피도 작아진다.
상기 하우징은 전면에 상기 래치가 설치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3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 패널은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3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래치와 상기 터미널 패널이 동일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장치가 더욱 컴팩트해진다.
상기 터미널 패널에는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부가 관통되는 기어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모터의 설치위치를 더욱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상기 PCB는 상기 터미널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PCB에 접속되는 상기 전선의 일단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전후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전선의 일단이 상기 PCB에 원활하게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1하우징의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2하우징의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3하우징의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래치 및 제1복귀스프링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메인 열림부재 및 키 커넥터의 정면 사시도(위) 및 메인 열림부재의 부분 배면 사시도(아래).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걸림레버부 및 제2복귀스프링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서브 열림부재 및 도어레버연결부의 정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정면도.(제2하우징 생략)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이 차량 사이드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이 차량 사이드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1구동부의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오픈 플레이트의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잠금부재 및 제2구동부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3하우징 및 터미널 패널을 제거한 상태의 부분 배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터미널 패널 및 PCB의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18은 도 17의 (a)부분 및 (b)부분 확대도.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1,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부분 정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3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배면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닫힘 동작의 첫번째 단계를 도시한 정면도(하우징 생략).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닫힘 동작의 두번째 단계를 도시한 정면도(하우징 생략).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닫힘 동작의 세번째 단계를 도시한 정면도(하우징 생략).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닫힘 동작의 네번째 단계를 도시한 정면도(하우징 생략).
도 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잠금 동작의 첫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위)와 부분 배면도(아래).
도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잠금 동작의 두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위)와 부분 배면도(아래).
도 2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잠금 동작의 세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위)와 부분 배면도(아래).
도 2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1구동부를 통한 도어 오픈 동작의 첫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위)와 부분 배면 사시도(아래).
도 2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1구동부를 통한 도어 오픈 동작의 두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위)와 부분 배면 사시도(아래).
도 3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1구동부를 통한 도어 오픈 동작의 세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위)와 부분 배면 사시도(아래).
도 3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키를 통한 도어 오픈 동작의 첫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위)와 부분 배면 사시도(아래).
도 3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키를 통한 도어 오픈 동작의 두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위)와 부분 배면 사시도(아래).
도 3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키를 통한 도어 오픈 동작의 세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위)와 부분 배면 사시도(아래).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례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례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좀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도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례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은, 하우징(1100)과, 상기 하우징(1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1200)와, 상기 래치(1200)를 로킹시키는 도어개폐부재와, 각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또는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 및 각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 또는 회전시키는 모터(1610, 1651)에 접속되는 전선(1911)이 인서트된 터미널 패널(1900)을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 패널(1900)의 일측에는 상기 전선(1911)의 일단이 인출되어 PCB(1920)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차량의 사이드 도어에 적용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
이하에서는 하우징(1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은 하우징(1100)에서 제2하우징(1130) 쪽을 의미하며, 후방은 제3하우징(1150) 쪽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서술되는 좌측 및 우측은 전방에서 보았을 때 좌측 및 우측을 의미한다. 후면에 형성된 부재의 위치를 설명할 때의 좌측 및 우측도 부재의 전방에서 보았을 때 좌측 및 우측을 의미한다. 또한, 차량을 기준으로 봤을 때 상부는 차량 내측 방향을 의미하며, 하부는 차량의 외측방향을 의미하고, 전방은 차량의 후방을 의미하고, 후방은 차량의 전방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0)은 제1하우징(1110)과, 제1하우징(1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하우징(1130)과, 제1하우징(1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3하우징(1150)을 포함한다.
제1하우징(1110)의 후면 둘레와 제3하우징(1150)의 전면 둘레(가장자리)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배치되어, 제1,2구동부(1600, 1650) 및 PCB(1920) 등이 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0)의 상부 및 전방에는 차체에 연결된 스트라이커(1101)가 삽입되는 스트라이커 삽입홈(1105)이 형성된다. 스트라이커 삽입홈(1105)은 상부 및 전방이 개방되고, 후방은 막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하우징(1110)에 형성된 스트라이커 삽입홈(1105)은 홈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하우징(1130)에 형성된 스트라이커 삽입홈(1105)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구멍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1110)은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은 전면에 이하 서술되는 래치(1200)가 안착되는 래치안착홈(1111)과, 이하 서술되는 메인 열림부재(1300)와 서브 열림부재(1400)가 안착되는 개폐부재안착홈(1112)이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은 플라스틱소재로 형성되어 사출로 성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치의 제조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래치안착홈(1111)의 전방은 개방되고 후방은 막히도록 형성되어 부품 조립이 용이하다. 래치안착홈(1111)의 전방은 조립시 제2하우징(1130)에 의해 덮인다.
래치안착홈(1111)의 상부는 스트라이커 삽입홈(1105)과 연통된다.
나아가, 제1하우징(1110)의 전방에는 스프링삽입홈(1113)이 형성된다.
스프링삽입홈(1113)은 래치안착홈(1111)의 후방에 배치되어 래치안착홈(1111)에 연통된다. 스프링삽입홈(1113)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프링삽입홈(1113)에는 이하 서술되는 제1복귀스프링(1250)이 삽입되어 제1복귀스프링(1250)의 타단이 래치(12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제1하우징(1110)에는 래치안착홈(1111)에 연통되도록 이하 서술되는 제1센서전달부재와 제2센서전달부재가 삽입되는 센서 전달부재 삽입공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센서 전달부재 삽입공은 스트라이커 삽입홈(1105) 하부에 배치된다.
제1하우징(1110)에는 스프링삽입홈(1113) 및 래치안착홈(1111)에 연통되도록 좌측에 걸림부가이드홈(1115)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걸림부가이드홈(1115)은 스프링삽입홈(1113) 및 래치안착홈(1111) 둘레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개폐부재안착홈(1112)은 메인 열림부재(1300)와 서브 열림부재(1400)가 하우징(1100) 및 래치(1200) 및 회동부재(1370)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개폐부재안착홈(1112)은 래치안착홈(1111)에 연통되도록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개폐부재안착홈(1112)의 적어도 일부는 래치안착홈(1111)보다 후방으로 깊게 형성된다.
개폐부재안착홈(1112)의 중심은 래치안착홈(1111)의 중심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개폐부재안착홈(1112)은 제1하우징(1110)의 우측 상부에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의 개폐부재안착홈(1112)에서 서브 열림부재(1400)가 안착되는 부분의 후방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개폐부재안착홈(1112)에서 후방이 개방된 부분에는 이하 서술할 돌기 안내부(1507) 및 제1감지부재(1350)가 삽입된다.
제1하우징(1110)의 전방에는 개폐부재안착홈(1112)의 좌측에 연통되도록 좌우방향으로 로드가이드홈(1116)이 형성된다.
로드가이드홈(1116)은 래치안착홈(1111)의 하부에 배치되며, 래치안착홈(1111)에 연통된다.
제1하우징(1110)의 전방 우측 상부에는 제1스프링안착홈(1117), 제2스프링안착홈이 형성된다. 제1스프링안착홈(1117), 제2스프링안착홈은 개폐부재안착홈(1112)의 우측에 배치되며, 개폐부재안착홈(1112)에 연통된다. 제1스프링안착홈(1117)의 우측에는 레버(10)에 연결되는 레버연결부(1800)의 와이어가 인출되는 인출공이 연통된다. 따라서, 레버연결부(1800)는 제1하우징(1110)의 우측 상부로 인출된다.
제1하우징(1110)의 우측에는 구동걸림부 관통공(1118)이 형성된다. 구동걸림부 관통공(1118)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의 우측에는 키걸림부 관통공(1119)이 형성된다. 키걸림부 관통공(1119)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키걸림부 관통공(1119)은 구동걸림부 관통공(1118)보다 우측에 배치된다.
제1하우징(1110) 중간 및 상부에는 스트라이커 삽입홈(1105) 또는 래치안착홈(1111)에 연통되도록 범퍼부재(1360)가 각각 삽입되는 범퍼부재삽입홈(1123)이 형성된다.
중간에 배치되는 범퍼부재삽입홈(1123)은 전방 및 상부가 개방되고, 범퍼부재삽입홈(1123)의 상부는 스트라이커 삽입홈(1105)에 연통된다.
상부에 배치되는 범퍼부재삽입홈(1123)은 전방이 개방되고, 우측부는 래치안착홈(1111)에 연통된다.
중간에 배치되는 범퍼부재(1360)는 스트라이커(1101)가 스트라이커 삽입홈(1105)에 삽입될 때 제1하우징(1110)과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 또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제1하우징(1110)의 전면에는 제2하우징(1130)의 수평부분 또는 수직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돌출부(1103)가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돌출부(1103)로 인해 제1하우징(1110)과 제2하우징(1130)의 가조립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공정이 용이해진다.
제1하우징(1110)의 가장자리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제1하우징(1110)의 후방에도 공간이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의 우측 후면 하단에는 키 커넥터설치부(1127)가 상하부 및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의 후면 좌측에는 이하 서술되는 메인기어(1630)의 삽입공(1636)에 끼워지는 메인기어축(1114)이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메인기어축(1114) 둘레에는 리브가 형성되어, 장치를 경량화하는 동시에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하우징(1130)은 두개로 분할되어 구비된다. 분할된 제2하우징(1130)은 각각 판부재로 형성되며,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된다. 제2하우징(1130)은 두개로 분할되지 않고 하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2하우징(1130)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금속 제2하우징(1130a)과,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플라스틱 제2하우징(1130b)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2하우징(1130)은 위치별로 다른 소재로 형성되어 내구성은 유지하는 동시에 장치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금속 제2하우징(1130a)은 장치의 좌측에 배치되고, 플라스틱 제2하우징(1130b)은 장치의 우측에 배치된다.
금속 제2하우징(1130a)에는 래치 및 회동부재 등이 설치된다.
금속 제2하우징(1130a)에는 리벳으로 구비되는 래치회동축(1230)이 삽입되는 축삽입공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금속 제2하우징(1130a)에는 상기 축삽입공 둘레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함몰되어 제1돌출부(1135)와 제2돌출부(1136)가 형성된다. 제1돌출부(1135)와 제2돌출부(1136)는 금속 제2하우징(1130a)의 후면 다른 부분보다 후방으로 돌출된다.
제1돌출부(1135)는 이하 서술되는 래치(1200)의 전면 및 회동부재(1370)의 전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조립시 래치(1200) 및 회동부재(1370)는 전후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는 동시에 래치(1200) 및 회동부재(1370)와 제2하우징(1130) 사이의 마찰은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제2하우징(1130)의 후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어 제2하우징(1130)에 대해 회전하는 부재와의 마찰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제1돌출부(1135)는 사람인(人)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돌출부(1135)는 래치(1200) 및 회동부재(1370)의 회전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다.
제2돌출부(1136)는 상기 축삽입공 둘레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래치(1200)의 전면에 접촉된다.
나아가, 금속 제2하우징(1130a)에는 축이 삽입되는 구멍 둘레도 전방에서 후방으로 함몰되어 돌출부가 형성된다.
나아가, 제2하우징(1130)의 금속 제2하우징(1130a)에는 리벳으로 구비되는 제1복귀스프링걸림축(1251), 회동축(1380), 회동스프링걸림축(1391)이 삽입되는 리벳삽입공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 전면 및 제2하우징(1130)의 금속 제2하우징(1130a)에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을 도어(1)에 볼팅체결할 수 있도록 도어 설치부(1124, 1134)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도어 설치부(1124, 1134)는 제1하우징(1110) 및 제2하우징(1130)의 좌측 상하부와 스트라이커 삽입홈(1105)의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제1하우징(1110)에 형성된 도어 설치부(1124)는 후방으로 함몰된 홈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하우징(1130)에 형성된 도어 설치부(1134)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구멍형상으로 형성된다.
나아가, 금속 제2하우징(1130a)의 후면에는 설치 보스(boss: 1134a)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설치 보스(1134a)는 제1하우징(1110)의 도어 설치부(1124)에 삽입된다. 설치 보스(1134a)는 제2하우징(1130)에 형성된 도어 설치부(1134)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설치 보스(1134a)의 내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로인해 본 실시례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을 도어(1)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금속 제2하우징(1130a)에는 스트라이커 삽입홈(1105)의 전방이 개방되도록 스트라이커 삽입홈(1105)에 대응되는 절개부가 형성된다.
제2하우징(1130)의 플라스틱 제2하우징(1130b)의 우측에는 제1하우징(1110)의 우측면을 감싸서 지지하는 수직지지부재(1138)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레버연결부(1800)는 제1하우징(1110)의 우측면을 통해 인출된다. 이러한 수직지지부재(1138)로 인해 하우징(1100)에서 레버연결부(1800)를 지지하는 부분의 강도가 보강된다. 수직지지부재(1138)에는 레버연결부(1800)가 인출되는 인출공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지지부재(1138)로 인해 충격시에도 제1하우징(1110)과 도어레버 연결부(1800)가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금속 제2하우징(1130a) 및 플라스틱 제2하우징(1130b)은 제1하우징(1110)의 전면에 복수 개의 볼트(1133) 등을 통해 설치된다.
금속 제2하우징(1130a)에는 볼트(1133)가 체결되는 구멍이 스트라이커 삽입홈(1105)을 기준으로 좌측 상하부와 우측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플라스틱 제2하우징(1130b)에는 볼트(1133)가 체결되는 구멍이 좌측 하부와 우측 상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특히, 플라스틱 제2하우징(1130b)의 좌측 하부에 배치되는 구멍은 플라스틱 제2하우징(1130b)의 후면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체결바(1131)의 좌측 끝단에 형성된다. 체결바(1131)의 좌측은 인접한 부분보다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인접한 부분보다 전면이 후방에 배치되고, 인접한 부분보다 후면이 후방으로 돌출된다. 체결바(1131)의 좌측은 금속 제2하우징(1130a)의 후방에 배치된다. 체결바(1131)에 형성된 구멍과 금속 제2하우징(1130a)의 우측 하부에 배치되는 구멍은 연통된다. 이로 인해 조립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제2하우징(1130b)의 좌측 상부에는 하우징 걸림돌기(1132)가 좌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 걸림돌기(1132)는 인접한 부분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의 전면에는 하우징 걸림돌기(1132)가 안착되는 하우징 걸림돌기 안착홈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 걸림돌기(1132)의 전방에는 금속 제2하우징(1130a)이 배치된다. 따라서, 플라스틱 제2하우징(1130b)의 좌측 상부를 볼트(1133)를 통해 체결하지 않더라도 플라스틱 제2하우징(1130b)이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플라스틱 제2하우징(1130b)의 전면에는 격자형상의 리브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하우징(1150)은 가장자리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전면에 공간이 형성된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제3하우징(1150)의 공간은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3하우징(1150)은 래치(1200)가 설치되는 면의 반대면인 제1하우징(1110)의 후면을 덮는다. 즉, 제1하우징(1110)의 전면에 제2하우징(1130)이 결합되고,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 제3하우징(1150)이 결합된다.
제3하우징(1150)은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 볼팅체결된다.
제1하우징(1110)의 후면과 제3하우징(1150)에는 볼팅체결을 위한 제1,2체결부(1121, 1152)가 각각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에 형성된 제1체결부(1121)는 보스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체결부(1121)에 형성된 볼트가 체결되는 구멍은 전방이 막힌다. 제1체결부(1121)의 후단은 제1하우징(1110)의 가장자리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체결부(112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1체결부(1121)는 제1하우징(1110)의 상부 양측 및 하부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좌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제1체결부(1121) 사이의 중간 부분에는 가이드 보스(1122)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좌측 상부에 배치되는 제1체결부(1121) 및 가이드 보스(1122)는 좌측에 배치되는 도어 설치부(1124)와 대응되게 배치된다.
제3하우징(1150)에 형성된 제2체결부(1152)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체결부(1152)는 제1체결부(1121)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제3하우징(1150)에는 양측과 하부에 조립후크(1155)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조립후크(1155)는 제3하우징(1150)의 가장자리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조립후크(1155)는 좌측 상부에 배치되는 제1체결부(1121)와 가이드 보스(1122) 사이에 배치되고, 하부 양측에 배치되는 제1체결부(1121) 사이에 배치되고, 우측 상하부에 배치되는 제1체결부(1121) 사이에 배치된다.
제3하우징(1150)에는 PCB(1920)가 끼워지는 피씨비삽입부(115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PCB(1920)도 래치(1200)가 설치되는 하우징(1100) 내부에 설치되어 장치의 구조가 컴팩트해지고, 장치를 도어(1)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부품수도 감소된다.
피씨비삽입부(1154)는 제3하우징(1150)의 우측 상부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PCB(1920)에 연결된 외부전선은 하우징(1100)의 우측 후방 상부로 인출되므로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을 차량의 사이드 도어(1)에 설치했을 때 외부전선이 물에 닿는 것이 방지되며 유리(30)와 간섭되는 것도 방지된다.
또한, 피씨비삽입부(1154)는 제3하우징(115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피씨비삽입부(1154)는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피씨비삽입부(1154)의 후방에는 피씨비 커버(1156)가 후크체결을 통해 끼워진다.
제3하우징(1150)의 피씨비삽입부(1154)의 내벽에는 PCB(1920)의 양측을 지지하는 피씨비 지지부(1157)가 형성된다. 상기 피씨비 지지부(1157)에는 PCB(1920)의 양측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PCB(1920)는 수평하게 배치된다. PCB(1920)의 상하부와 제3하우징(1150)에서 PCB(1920)의 상하부와 마주보는 면 사이에는 피씨비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이격공간에 배선 연결을 위한 납땜 및 전기적 하드웨어 부품 등이 배치될 수 있어서, PCB(1920)를 더욱 용이하게 하우징(1100)에 설치할 수 있다.
제3하우징(1150)에는 모터(1610)의 후방이 안착되는 모터안착홈(1151)이 형성된다. 모터안착홈(1151)은 제3하우징(1150)의 좌측 상부에 배치된다. 즉, 모터안착홈(1151)은 스트라이커 삽입홈(1105)의 후방에 배치된다.
모터안착홈(1151)은 피씨비삽입부(1154)의 좌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모터(1610)가 하우징(1100)의 좌측 상부에 배치되어,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을 차량의 사이드 도어에 설치했을 때 유리 및 도어 내장 부품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모터안착홈(1151) 내부에 배치되도록 제3하우징(1150)의 내벽에는 모터(1610)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이격돌출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이격돌출부로 인해 제3하우징(1150)의 내벽과 모터(1610) 외주면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모터(1610)의 냉각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제3하우징(1150)과 모터(1610) 사이의 접촉을 최소화(선접촉)하여 진동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추가로, 제3하우징(1150)의 내벽과 모터(1610) 외주면 사이에 스펀지와 같은 제진재(vibration damper)를 배치하여 소음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
제3하우징(1150)의 후면에는 리브가 격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3하우징(115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 래치 >
래치(1200)는 래치안착홈(1111) 내부에 배치되도록 제1하우징(1110)에 설치된다.
래치(1200)는 제2하우징(1130)에 설치되는 래치회동축(1230)을 통해 제1하우징(1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120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래치(1200)의 외주면에는 로킹홈(1201)이 형성된다.
로킹홈(1201)은 전후로 관통되고, 외측 단부 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로킹홈(1201)으로 인해 래치(1200)에는 이하 서술되는 로킹부(1371)가 걸리는 제2로킹 걸림부(1201a)가 형성된다.
로킹홈(1201)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진다.
로킹홈(1201)은 평편하게 형성되는 제1면(1203)과, 제1면(1203)의 좌측단에서 연장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면(1205)과, 제2면(1205)의 좌측단에서 연장되고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트라이커(1101)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3면(1207)에 의해 둘러싸인다.
제1면(1203)은 제2로킹 걸림부(1201a)의 상면을 형성한다.
래치(1200)에는 스트라이커(1101)가 걸리는 스트라이커 걸림돌기(1204)가 형성된다.
스트라이커 걸림돌기(1204)는 로킹홈(1201) 내부에 배치되어, 스트라이커(1101)가 로킹홈(1201)에 삽입된 후 빠지게 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스트라이커 걸림돌기(1204)는 제1면(1203)이 형성된 면(로킹부(1371)가 걸리는 면)의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다.
스트라이커 걸림돌기(1204)에서 스트라이커(1101)가 로킹홈(1201)에 삽입될 때 마주하는 면 및 스트라이커(1101)가 로킹홈(1201)으로부터 빠져나갈 때 마주하는 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스트라이커(1101)가 로킹홈(1201)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래치(1200)에는 로킹홈(1201)의 하부에 보조로킹홈(1202)이 형성된다. 보조로킹홈(1202)은 로킹홈(1201)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로킹홈(1201)보다 깊이가 얕게 형성된다. 즉, 보조로킹홈(1202)와 래치(1200)의 회전중심 사이의 거리는 로킹홈(1201)과 래치(1200)의 회전중심 사이의 거리보다 길다.
도어(1)를 닫을때, 로킹부(1371)는 보조로킹홈(1202)에 1차로 삽입되고, 로킹홈(1201)에 2차로 삽입된다.
로킹부(1371)가 보조로킹홈(1202)에 삽입될 때부터 로킹부(1371)가 로킹홈(1201)에 삽입될 때까지의 스트라이커(1101)의 상하이동거리가 12mm이상 되도록, 로킹홈(1201)과 보조로킹홈(1202)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로 인해, 기존 스트라이커(1101)의 이동거리인 7mm보다 이동거리가 길어져서 탑승자가 더욱 용이하게 도어(1)가 모터(1610)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고 있는 과정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끼임방지 여유공간이 늘어나게 되어 안전성이 더욱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보조로킹홈(1202)으로 인해 래치(1200)에는 이하 서술되는 로킹부(1371)가 걸리는 제1로킹 걸림부(1202a)가 형성된다.
나아가, 래치(1200)는 탄성커버(1206)에 의해 둘러싸인다. 탄성커버(1206)는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래치(1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탄성커버(1206)는 로킹부(1371)에 걸리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탄성커버(1206)는 제1로킹 걸림부(1202a)와 제2로킹 걸림부(1201a)를 제외한 래치(1200)의 나머지 부분을 둘러싼다.
래치(1200) 외주면에는 스프링끼움부(1213)가 형성된다.
스프링끼움부(1213)는 홈 형상이나 구멍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스프링끼움부(1213)는 홈형상으로 형성된다.
래치(1200)에는 좌측 외주면에 돌기(1215)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기(1215)는 걸림부가이드홈(1115)의 전방에 배치된다.
래치(1200)의 도어(1) 닫힘시 회전하는 방향(시계방향)을 따라 로킹홈(1201), 보조로킹홈(1202), 스프링끼움부(1213), 돌기(1215)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로킹해제시 래치(1200)가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제1복귀스프링(1250)이 구비된다.
제1복귀스프링(1250)의 일단 및 타단에는 조립부 형상에 대응되게 절곡된 제1,2절곡부(1252,1253)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절곡부(1252)는 상부를 향해 직각으로 절곡되고, 제2절곡부(1253)는 전방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된다.
제1복귀스프링(1250)의 제1절곡부(1252)는 제1복귀스프링걸림축(1251)에 걸리고, 코일부는 래치회동축(1230)에 감겨지고, 제2절곡부(1253)는 래치(1200)의 스프링끼움부(1213)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제1복귀스프링(1250)에 제1,2절곡부(1252,1253)가 형성되어 조립성이 더욱 개선된다.
래치(1200)가 회전할 때, 제1복귀스프링(1250)의 타단은 래치(1200)와 함께 회전된다.
<도어개폐부재>
이하에서 상기 도어개폐부재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어개폐부재는 래치(1200)를 로킹시켜서 도어(1)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어개폐부재는 레버(10) 또는 버튼 또는 센서(차키가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 등) 등으로 구비되는 구동입력부(미도시)에 연동되어, 필요시 도어(1)가 열릴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례에서 레버(10)는 도어(1)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입력부(미도시)는 도어(1)의 내측 및/또는 외측에 배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레버(10)는 도어(1)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입력부는 도어(1)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도어 손잡이의 안쪽이나 도어(1)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도어 트림 팔걸이 등의 위치에 자유롭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입력부는 위치의 제한을 받지 않고 설치될 수 있어서, 도어(1)의 외관이 더욱 미려해질 수 있다.
상기 도어개폐부재는 상기 래치(1200)를 로킹시키는 회동부재(1370)와, 열림부재와 상기 열림부재를 슬라이딩시키는 오픈 플레이트(1700)를 포함한다.
상기 열림부재는 메인 열림부재(1300)와, 상기 메인 열림부재(1300)에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서브 열림부재(1400)를 포함한다.
메인 열림부재(1300)의 적어도 일부 및 서브 열림부재(1400)는 하우징(1100)의 제1하우징(1110)의 전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하에서 상기 도어개폐부재의 각 부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 회동부재 >
이하에서는 회동부재(137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1370)는 메인 열림부재(1300)와 연동된다.
회동부재(1370)는 제1하우징(1110)의 전방 측에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회동축(1380)에 의해 제2하우징(1130)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회동부재(1370)는 하우징(1100)에서 메인 열림부재(1300)의 몸체(1310)와 동일한 면상에 배치된다.
회동축(1380)은 회동부재(1370)의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회동축(1380)은 리벳으로 구비되어 제2하우징(1130)에 리벳팅된다.
회동부재(1370)는 회동축(138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다.
또한, 회동부재(1370)를 복귀시키는 회동부재 스프링(1390)이 구비될 수 있다.
회동부재 스프링(1390)도 제1복귀스프링(1250)과 같이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되고, 양 끝단에 조립부 형상에 대응되게 절곡된 제1,2절곡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회동부재 스프링(1390)의 일단은 제2하우징(1130)에 리벳팅된 회동스프링걸림축(1391)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회동부재(1370)의 우측에 걸려서 연결된다. 회동부재 스프링(1390)의 중간 부분은 회동축(1380)에 끼워진다.
회동부재 스프링(1390)은 회동부재(1370)에 힘을 가해 반시계방향으로 밀었다가 놓을 경우, 회동부재(1370)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력을 부여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회동부재(1370)는 로킹부(1371)와 삽입돌기(1373)로 이루어진다.
로킹부(1371)는 회동부재(1370)의 좌측 하부가 좌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로킹부(1371)는 래치(1200)의 위치를 구속(로킹)하는 역할을 하여, 도어(1)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로킹부(1371)의 하부에는 도어(1) 닫힘시 래치(1200)의 끝단 일부(제1면)가 삽입되는 래치삽입홈(1372)이 형성된다. 상기 래치삽입홈(1372)은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로킹부(1371)와 삽입돌기(1373)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래치삽입홈(1372)으로 인해 도어(1) 닫음시 래치(1200)가 회동부재(1370)에 로킹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로킹부(1371)의 하면 우측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삽입돌기(1373)가 형성된다.
삽입돌기(1373)는 회동부재삽입홈(1317) 내에 위치한다. 즉, 회동부재(1370)의 적어도 일부(삽입돌기)는 메인 열림부재(1300)의 몸체(1310)의 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회동부재(1370)는 메인 열림부재(1300)의 몸체(131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때 연동되어 회전된다.
삽입돌기(1373)는 메인 열림부재(1300)의 몸체(1310)의 슬라이딩에 따라 회동부재(1370)를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회동부재(1370)에도 전술한 래치(1200)와 같이 탄성커버(1374)가 구비된다.
회동부재(1370)의 탄성커버(1374)는 로킹부(1371)와 회동부재 스프링(1390)이 걸리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회동부재(1370)의 탄성커버(1374)는 삽입돌기(1373)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삽입돌기(1373)와 메인 열림부재(1300)의 몸체(1310) 사이에 발생하는 충격을 회동부재(1370)의 탄성커버(1374)가 흡수하여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회동부재(1370)에는 탄성부재 삽입공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 삽입공에 회동부재(1370)의 탄성커버(1374)가 삽입되어 회동부재(1370)의 탄성커버(1374)가 회동부재(1370)에 설치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메인 열림부재 >
이하에서는 메인 열림부재(13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메인 열림부재(1300)는 제1하우징(1110)에 형성된 개폐부재안착홈(11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메인 열림부재(1300)는 하우징(1100)에서 래치(1200)가 설치된 면과 동일한 면상에 설치된다.
메인 열림부재(1300)는 슬라이딩되는 몸체(1310)와, 수평바(1340)와, 구동걸림부(1330)와, 키걸림부(1320)와, 제1감지부재(1350)로 이루어진다. 메인 열림부재(1300)는 몸체(1310)와, 수평바(1340)와, 구동걸림부(1330)와, 키걸림부(1320)와, 제1감지부재(1350)가 일체로 형성된다.
몸체(1310)의 좌측 하부에는 회동부재(1370)의 일부분이 끼워지는 회동부재삽입홈(1317)이 형성된다.
회동부재삽입홈(1317)은 회동부재(1370)의 삽입돌기(1373)의 좌우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회동부재(1370)는 일정 각도 내에서 메인 열림부재(1300)에 대해 회동가능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회동부재(1370)가 상기 래치(1200)에 의해 눌려서 삽입돌기(1373)가 우측으로 이동될 때 메인 열림부재(1300)는 우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회동부재삽입홈(1317)은 삽입돌기(1373)보다 좌우폭이 크게 형성된다. 즉, 회동부재삽입홈(1317)은 삽입돌기(1373)보다 회동부재(1370)의 회동방향으로의 폭이 크게 형성된다. 그러나, 메인 열림부재(1300)가 우측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회동부재(1370)도 연동되어 우측으로 회전되게 된다.
회동부재삽입홈(1317)은 상부 및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회동부재삽입홈(1317)은 전방은 제2하우징(1130)의 설치로 폐쇄된다.
회동부재삽입홈(1317)을 형성하는 좌우측면은 상부로 향할수록 우측에 배치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회동부재삽입홈(1317)을 형성하는 좌측면에 회동부재(1370)의 삽입돌기(1373)가 걸리게 된다.
회동부재삽입홈(1317)을 형성하는 하면은 수평하게 형성된다.
몸체(1310)의 후면 좌측에는 이하 서술되는 걸림레버부(1450)가 안착되는 걸림레버 안착홈(1314)이 형성된다. 걸림레버 안착홈(1314)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걸림레버 안착홈(1314)은 몸체(1310)의 하단보다 상단에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걸림레버 안착홈(1314)은 회동부재삽입홈(1317)보다 상부에 배치되며, 우측에 배치된다.
또한, 몸체(1310)의 좌측 후방에는 상하방향으로 걸림레버축(1470)이 끼워지는 걸림레버축 삽입공(1316)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걸림레버축 삽입공(1316)은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하부는 막히도록 형성되어, 조립시 걸림레버축(1470)이 걸림레버축 삽입공(1316)에 상부에서 끼워진다. 걸림레버축 삽입공(1316)은 걸림레버 안착홈(1314)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몸체(1310)의 후면 좌측에는 제2복귀스프링(1460)이 안착되는 제2복귀스프링 걸림부(1318)이 형성된다. 제2복귀스프링 걸림부(1318)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2복귀스프링 걸림부(1318)은 걸림레버 안착홈(1314) 하부에 연통된다.
몸체(1310)의 우측 후면에는 서브 열림부재(1400)가 삽입되는 서브 열림부재 삽입홈(1315)이 형성된다. 서브 열림부재 삽입홈(1315)은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며, 우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서브 열림부재 삽입홈(1315)으로 인해 서브 열림부재(140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시 가이드될 수 있다.
서브 열림부재 삽입홈(1315)은 회동부재삽입홈(1317)보다 상부에 배치되며, 우측에 배치된다.
몸체(1310)의 우측의 상부에는 서브 열림부재 가이드홈(1315a)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서브 열림부재 가이드홈(1315a)은 서브 열림부재 삽입홈(1315)의 전방에 배치되며, 서브 열림부재 삽입홈(1315)에 연통된다.
또한, 몸체(1310)의 우측 후면에는 걸림돌기(1455)가 삽입되는 걸림돌기 삽입공(1319)이 형성된다. 걸림돌기 삽입공(1319)은 서브 열림부재 삽입홈(1315)에 연통된다.
이와 같이 몸체(1310)가 형성되어, 서브 열림부재(1400)는 메인 열림부재(1300)의 내부에 배치된다.
몸체(1310)의 우측에는 제2스프링 끼움돌기(1311)가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스프링 끼움돌기(1311)에는 제2스프링(1313)이 끼워진다.
제2스프링(1313)은 몸체(1310)의 우측단과 제1하우징(1110)의 제2스프링안착홈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2스프링(1313)은 이하 서술되는 제1스프링(1803)과 함께 외부힘에 의해 우측으로 슬라이딩된 몸체(1310)를 외부힘이 제거되었을 때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좌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몸체(1310)의 좌측 상부에는 제1감지부재(1350)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감지부재(1350)는 걸림레버 안착홈(1314)보다 좌측에 배치된다.
제1감지부재(1350)의 상면에는 자석과 같은 제1감지부(1351)가 설치된다.
제1감지부(1351)는 개폐부재안착홈(1112)에서 후방이 개방된 부분을 관통하여 PCB(1920) 상의 제1감지부(1351)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5센서(1905)에 의해 감지된다. 이러한 감지 신호를 이하 서술되는 제어부(미도시)는 전달받아서 모터(1610)를 제어한다.
수평바(1340)는 몸체(1310)의 좌측 하부에서 좌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수평바(1340)는 로드가이드홈(1116) 내에서 슬라이딩 되어 메인 열림부재(1300)의 몸체(1310)의 슬라이딩을 보다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
구동걸림부(1330)는 회동부재삽입홈(1317)의 후방에 배치되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구동걸림부(1330)는 바형상으로 형성된다. 구동걸림부(1330)는 구동걸림부 관통공(1118)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구동걸림부(1330)의 후단은 제1하우징(1110)의 후면과 제3하우징(1150)의 전면 사이에 배치된다.
키걸림부(1320)는 구동걸림부(1330)보다 우측에 배치된다. 키걸림부(1320)는 키걸림부 관통공(1119)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키걸림부(1320)의 후단은 제1하우징(1110)의 후면과 제3하우징(1150)의 전면 사이에 배치된다. 키걸림부(1320)는 몸체(1310)에 일체로 형성되고 수평하게 배치되는 판에 형성된다. 상기 판은 제1하우징(1110)의 전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의해 가이드된다.
<연결수단>
이하에서는 상기 연결수단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메인 열림부재(1300)와 상기 서브 열림부재(1400)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림돌기(1455)가 형성되는 걸림레버부(1450)와, 상기 메인 열림부재(1300)와 상기 서브 열림부재(140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455)가 걸리는 걸림턱(1405)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레버(10)를 잡아당길 때 상기 메인 열림부재(1300)와 상기 서브 열림부재(1400)가 함께 이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서브 열림부재(1400)만 이동되도록 한다. 즉, 상기 연결수단은 레버(10)를 잡아당기는 힘을 메인 열림부재(1300)에 전달하거나 전달하지 않도록 하는 클러치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상기 연결수단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082671호에 제시된 것과 같은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메인 열림부재(1300)의 몸체(1310)의 후면에는 걸림레버부(145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걸림레버부(1450)가 서브 열림부재(14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걸림레버부(1450)는 바형상으로 형성되며, 우측 끝단에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455)가 형성된다.
걸림레버부(1450)는 좌측 끝단에 걸림레버축(1470)이 관통되는 구멍(1451)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걸림레버부(1450)는 몸체(1310)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걸림레버축(1470)을 통해 몸체(13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하 서술되는 잠금부재(1500)에는 돌기 안내부(1507)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레버부(1450)에는 잠금돌기(1453)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 안내부(1507)가 잠금돌기(1453)를 안내함에 따라 상기 걸림레버부(1450)의 이동(회동)이 이루진다.
걸림레버부(1450)는 우측에 잠금돌기(1453)가 형성된다. 잠금돌기(1453)는 잠금부재(1500)와 걸림레버부(1450) 간의 연동을 위해 형성된다.
걸림레버부(1450)에 형성된 잠금돌기(1453)는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잠금돌기(1453)는 후술할 잠금부재(1500)에 형성된 경사면(1511)의 안내를 받아 걸림레버부(1450)가 회동 되도록 한다.
걸림레버부(1450)에는 걸림레버부(145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복귀스프링(1460)이 설치된다.
제2복귀스프링(1460)은 코일형상의 코일부(1461)와 직선형상의 일단을 포함한다.
코일부(1461)는 걸림레버축(1470)에 끼워져서 위치가 고정된다. 코일부(1461)는 걸림레버부(1450)의 하부에 배치된다.
코일부(1461)는 걸림레버 안착홈(1314)에 안착된다.
제2복귀스프링(1460)의 일단은 후방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1462)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절곡부(1463)와, 전방으로 절곡된 제3절곡부(1464)를 포함한다.
제3절곡부(1464)는 잠금돌기(1453)에 걸리게 되어, 제2복귀스프링(1460)은 걸림레버부(1450)에 연결된다.
제2복귀스프링(1460)의 타단은 아래로 절곡되어 메인 열림부재(1300)의 제2복귀스프링 걸림부(1318)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제2복귀스프링(1460)의 일단은 걸림레버부(1450)에 걸리고, 타단은 메인 열림부재(1300)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걸림레버부(1450)에 힘을 가해 회동시켜서 걸림돌기(1455)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한 후, 걸림레버부(1450)에 가하는 힘을 제거하면 제2복귀스프링(14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걸림레버부(1450)는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걸림돌기(1455)는 원상태로 복귀(전방으로 이동)된다.
즉, 제2복귀스프링(1460)의 탄성복원력은 전방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서브 열림부재 >
이하에서는 서브 열림부재(14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메인 열림부재(1300)의 우측 후방에는 서브 열림부재(1400)가 배치된다.
서브 열림부재(1400)는 메인 열림부재(1300)의 서브 열림부재 삽입홈(1315)에 삽입된다. 따라서, 서브 열림부재(1400)는 메인 열림부재(1300)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서브 열림부재(1400)의 중심은 래치(1200)의 중심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서브 열림부재(1400)는 메인 열림부재(1300)와 마찬가지로 제1하우징(1110)에 형성된 개폐부재안착홈(1112)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서브 열림부재(1400)는 레버(10)에 의해 이동된다.
서브 열림부재(1400)는 좌측 상하부 모서리가 라운드처리 되어 메인 열림부재(1300)에 대해 원활하게 좌우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열림부재(1400)에는 레버연결부(1800)가 직접 연결된다. 이와 다르게, 서브 열림부재(1400)와 레버연결부(1800) 사이에 다른 부재가 구비되어, 서브 열림부재(1400)와 레버연결부(1800)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레버연결부(1800)는 도어(1) 내측에 배치되는 레버(10)와 연결된다. 레버연결부(1800)는 와이어로 구비된다. 레버연결부(1800)의 끝단에는 걸림부재(1801)가 형성된다.
서브 열림부재(1400)는 걸림부재안착홈(1401)과, 열림부재 가이드돌기(1404)와, 제1스프링 끼움돌기(1402)와, 걸림턱(1405)를 포함한다.
걸림부재안착홈(1401)은 전방이 개방되어 있다. 걸림부재안착홈(1401)에는 걸림부재(1801)가 안착된다.
걸림부재안착홈(1401)은 상하로 긴 원통형상의 걸림부재(180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레버(10)를 잡아당겨도 걸림부재(1801)가 서브 열림부재(14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걸림부재안착홈(1401)에 위치한 걸림부재(1801)는 메인 열림부재(1300)의 몸체(1310)에 의해 전방 측으로 이탈하지 않는다.
걸림부재안착홈(1401)의 우측단에는 레버연결부(1800)가 인출되는 인출공(1403)이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인출공(1403)은 걸림부재(180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레버연결부(1800)를 우측으로 잡아당기더라도 걸림부재(1801)가 인출공(1403)으로 빠져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서브 열림부재(1400)는 레버연결부(1800)를 우측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즉, 레버(10)를 사용자 쪽으로 잡아당기면 서브 열림부재(1400)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서브 열림부재(1400)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열림부재 가이드돌기(1404)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열림부재 가이드돌기(1404)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열림부재 가이드돌기(1404)는 수평하게 배치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열림부재 가이드돌기(1404)는 서브 열림부재 가이드홈(1315a)에 삽입되어 가이드된다. 또한, 열림부재 가이드돌기(1404)는 오조립을 방지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므로 사전에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레버연결부(1800)에는 걸림부재(1801)에 근접하게 제1스프링(1803)이 끼워진다.
서브 열림부재(1400)의 우측단에 인출공(1403)의 상하부에 제1스프링 끼움돌기(1402)가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스프링 끼움돌기(1402)에는 제1스프링(1803)의 좌측단이 끼워진다.
제1스프링(1803)은 서브 열림부재(1400)의 우측단과 제1하우징(1110)의 제1스프링안착홈(1117) 사이에 배치된다.
서브 열림부재(1400)에는 걸림레버부(1450)의 걸림돌기(1455)가 걸리는 걸림턱(1405)이 형성된다.
걸림턱(1405)은 서브 열림부재(1400)의 후면에 형성된다.
걸림턱(1405)은 서브 열림부재(1400)의 좌측 후방이 우측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걸림턱(1405)은 우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걸림돌기(1455)가 걸린 후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걸림턱(1405)에는 걸림레버부(1450)의 걸림돌기(1455)가 걸리거나 이탈할 수 있다.
걸림턱(1405)에 걸림레버부(1450)가 걸려 있는 상태일 때, 레버(10)를 당기면 메인 열림부재(1300)와 서브 열림부재(1400)는 우측으로 함께 슬라이딩 된다.
즉, 이러한 상태는 도어(1) 잠금해제 상태이다.
반대로 걸림턱(1405)에서 걸림레버부(1450)가 이탈되어 있는 상태일 때, 레버(10)를 당기면 메인 열림부재(1300)는 제자리에 있고, 서브 열림부재(1400)만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즉, 이러한 상태는 도어(1) 잠금 상태이다.
한편, 레버연결부(1800)에서 하우징(1100) 외부로 인출된 부분에는 안내튜브(1805)가 끼워진다. 안내튜브(1805)는 레버연결부(1800)의 와이어를 후방으로 가이드해 주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안내튜브(1805)의 좌측단은 제1하우징(1110)의 우측 상부에 설치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안내튜브(1805)로 인해 레버연결부(1800)의 와이어가 레버(10) 방향에 맞게 꼬이지 않고 레버(10)에 원활하게 연결될 수 있다.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를 기준으로 도어(1)의 후면에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의 전면이 설치되고,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의 우측이 도어(1)의 상부를 향하고,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의 좌측이 도어(1)의 하부를 향하고,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의 후면이 도어(1)의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도어(1)에 설치된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의 레버연결부(1800) 및 전선은 도어(1)의 외측면보다 내측면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도어(1)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유리(30)와의 간섭이 방지된다.
<구동부>
이하에서는 구동부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각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 또는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부는 메인 열림부재(1300)의 부품 중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품을 슬라이딩시키는 제1구동부(1600)와, 잠금부재(1500)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1650)를 포함한다.
제1구동부(1600)는 모터(1610)와, 상기 모터(1610)에 연동되는 기어부를 포함한다.
제1구동부(1600)는 래치(1200)를 회전시켜서 상기 도어개폐부재가 래치(1200)에 걸리도록 로킹 하거나 메인 열림부재(1300)를 슬라이딩시켜 래치(1200)를 언로킹 할 수 있다. 즉, 제1구동부(1600)는 두가지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어 장치의 부품수가 감소되고 장치도 컴팩트해진다.
제1구동부(1600)는 제1하우징(1110)의 후면과 제3하우징(1150)의 전면 사이에 배치된다.
모터(1610)는 PCB(19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구동부(1600)의 모터(1610)는 차량 내부 및/또는 외부에 배치되는 상기 구동입력부에 의해 작동된다.
모터(1610)는 하우징(1100)의 좌측상부에 축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모터(1610)의 배치로 인해 장치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동시에 장치가 도어(1)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기어부는 모터(1610)의 회전력을 감속시켜서 전달하는 감속부이다.
상기 기어부는 제1웜(1613)과, 상기 제1웜(1613)에 의해 회전되는 제1웜기어(1621)와, 상기 제1웜기어(1621)에 설치되는 제2웜(1622)과, 상기 제2웜(1622)에 의해 회전되는 제2웜기어를 포함한다.
모터(1610)의 축에는 제1웜(1613)이 설치되어 있다.
제1웜(1613)과 제1웜기어(1621) 사이에는 중간 웜기어(1614)가 배치된다. 즉, 제1웜(1613)은 중간 웜기어(1614)에 치합되고, 중간 웜기어(1614)에 제1웜기어(1621)가 치합된다. 이러한 중간 웜기어(1614)로 인해 모터(1610)를 다양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중간 웜기어(1614)는 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웜기어(1621)와, 제1웜기어(1621)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웜(1622)을 이하에서 감속기어(1620)라 한다.
감속기어(1620)는 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웜기어(1621)는 제2웜(1622) 상부에 배치된다. 제1웜기어(1621)와 제2웜(1622)의 최대 외경은 동일 또는 유사하다.
따라서, 모터(1610)가 작동하면 제1웜(1613)이 회전하게 되고, 제1웜(1613)이 회전함에 따라 제1웜기어(1621)이 회전되고, 제1웜기어(1621)이 회전되면 제1웜기어(1621)에 일체로 형성된 제2웜(1622)도 회전하게 되고, 제2웜(162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웜기어인 메인기어(1630)가 회전된다.
감속기어(1620)의 축은 감속기어축 지지판(162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감속기어축 지지판(1623)에는 감속기어(1620)의 축이 끼워지는 축관통공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감속기어축 지지판(1623)은 감속기어(162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제1하우징(1110)의 후면 및 이하 서술되는 터미널 패널(1900)의 전면에는 감속기어축 지지판(1623)이 삽입되는 지지판 삽입홈이 형성되어 감속기어(1620)가 하우징(1100)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감속기어축 지지판(1623)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축관통공은 감속기어축 지지판(1623)의 후방에 치우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감속기어축 지지판(1623)이 형성되어, 감속기어축 지지판(1623)은 지지판 삽입홈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감속기어축 지지판(1623)을 용이하게 하우징(1100)에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감속기어축 지지판(1623)의 체결력이 더욱 향상된다.
이와 같은 감속기어(1620)를 구비할 경우, 장치의 부피를 작게 유지하는 동시에 모터(1610)의 속도가 대폭 감속되어 모터(1610)를 통한 도어(1) 닫힘 및 도어 열림시 부드럽게 구동이 되고 구동 토크도 확보된다.
메인기어(1630)는 모터(1610)의 구동력을 감속기어(1620)를 거쳐 전달 받는다.
메인기어(1630)의 중심부에는 메인기어축(1114)이 삽입되는 삽입공(1636)이 형성되어, 메인기어(1630)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기어축(1114)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메인기어(1630)의 전면 및 후면에는 삽입공(1636) 둘레에 원형상의 돌기(1637)가 형성된다. 돌기(1637)는 여러개가 형성되어 동심원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1637)로 인해 메인기어(1630)에 인접한 다른 부재와의 마찰력이 최소화될 수 있고, 메인기어(1630)의 강도도 향상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기어(1630)는 외주면 일부에 기어 이가 형성되지 않는 비기어부(1643)가 형성된다.
즉, 메인기어(1630)는 기어 이가 모든 둘레에 형성되지 않고 일부에만 형성된다.
메인기어(1630)의 비기어부(1643)에는 래치(1200)를 회전시키는 걸림부(1631)가 형성된다. 걸림부(1631)는 바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걸림부(1631)는 평상시에는 사용자가 도어(1)를 닫을 때, 도어(1)를 완전히 닫지 않더라도 도어(1)가 어느 정도 닫히면 모터(1610)의 구동력에 의해 래치(1200)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래치(1200)를 회동부재(1370) 및 메인 열림부재(1300)에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메인기어(1630)의 외주면에는 제3센서(1903)에 의해 감지되는 제1메인기어 감지부(1632)와 제2메인기어 감지부(1633)가 구비된다.
제1메인기어 감지부(1632)는 걸림부(1631)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1메인기어 감지부(1632)와 제2메인기어 감지부(1633)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2메인기어 감지부(1633)는 제1메인기어 감지부(1632)보다 우측에 배치된다.
제1메인기어 감지부(1632)와 제2메인기어 감지부(1633)는 상기 메인기어(1630)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메인기어 감지부(1632)와 제2메인기어 감지부(1633)를 단순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제1메인기어 감지부(1632)와 제2메인기어 감지부(1633)는 메인기어(1630)의 비기어부(1643)에 형성된다.
제1메인기어 감지부(1632)와 제2메인기어 감지부(1633)는 중심부로 향할 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외주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리미트 스위치로 구비되는 제3센서(1903)를 원활하게 누를 수 있다.
제1하우징(1110)의 후면과 오픈 플레이트(1700) 사이에 메인기어(1630)가 배치된다. 즉, 메인기어(1630)의 후방에 오픈 플레이트(1700)가 배치된다.
메인기어(1630)의 후면에는 오픈 플레이트(1700)의 구동부 걸림부(1707)가 걸리는 도어개폐부재 걸림부(1635)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어개폐부재 걸림부(1635)는 제1메인기어 감지부(1632)와 제2메인기어 감지부(1633) 사이에 배치되며, 제1메인기어 감지부(1632)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도어개폐부재 걸림부(1635)를 통해 제1구동부(1600)는 오픈 플레이트(1700)를 이동시킨다.
제2메인기어 감지부(1633)는 오픈 플레이트(1700)의 전방에 배치되어 메인기어(1630)가 회전될 때 오픈 플레이트(1700)에 걸리지 않게 된다.
오픈 플레이트(1700)는 메인 열림부재(1300)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하다.
오픈 플레이트(170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오픈 플레이트(1700)의 좌측 하부에는 구동부 걸림부(1707)가 형성된다.
오픈 플레이트(1700)에는 구동부 걸림부(1707)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가이드 구멍(1704)이 형성된다. 가이드 구멍(1704)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구멍(1704)은 좌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구멍(1704)으로 인해 오픈 플레이트(1700)가 원활하게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오픈 플레이트(1700)에는 가이드 구멍(1704)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간섭회피구멍(1703)이 형성된다. 간섭회피구멍(1703)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간섭회피구멍(1703)으로 메인기어축(1114)이 관통된다. 간섭회피구멍(1703)으로 인해 메인기어축(1114)과 오픈 플레이트(1700)와의 간섭이 방지된다. 또한, 간섭회피구멍(1703)은 슬라이딩시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오픈 플레이트(1700)에는 간섭회피구멍(1703) 우측에 굴곡부(1705)가 형성된다. 굴곡부(1705)는 인접한 부분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오픈 플레이트(1700)에는 굴곡부(1705) 우측에 제2감지부(1702)가 형성된다. 제2감지부(1702)는 인접한 부분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오픈 플레이트(1700)에는 제2감지부(1702)의 전방에 잠금부재 접촉부(1706)가 형성된다. 잠금부재 접촉부(1706)는 두개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잠금부재 접촉부(1706)는 좌우방향으로 길고 수평하게 배치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두개의 잠금부재 접촉부(1706)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오픈 플레이트(1700)에는 메인 열림부재(1300)의 구동걸림부(1330)에 걸리는 메인 열림부재 걸림부(1701)가 형성된다. 메인 열림부재 걸림부(1701)는 구동부 걸림부(1707)의 우측에 배치되며, 인접한 부분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메인 열림부재 걸림부(1701)로 인해 오픈 플레이트(1700)가 우측으로 이동되면 메인 열림부재(1300)도 우측으로 이동된다.
<키 커넥터>
이하에서는 키 커넥터(155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키 커넥터(1550)를 통해서도 메인 열림부재(1300)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키 커넥터(1550)는 하우징(1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키 커넥터(1550)는 제1하우징(1110)의 후면과 제3하우징(1150)의 전면 사이에 배치된다. 키 커넥터(1550)는 제1하우징(1110)의 후면과 터미널 패널(1900)의 전면에 형성된 키 커넥터설치부(1127, 1936)에 안착되어 설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커넥터(1550)는 십자형 또는 일자형의 키삽입홈이 형성된 헤드(1551)와, 상기 헤드(155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원판에서 일부분이 잘려나간 키 커넥터 절개부(1555)를 가지는 날개부(1553)로 이루어진다.
헤드(1551)는 키 커넥터(1550)의 하부에 형성된다.
헤드(155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키삽입홈에는 별도로 도어(1)에 설치되는 열쇠뭉치가 연결된다.
헤드(1551) 외주면에는 걸림턱이 온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날개부(1553)는 키 커넥터(1550)의 상부에 형성되며, 헤드(1551)에 일체로 형성된다.
날개부(1553)에서 절개된 면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키 커넥터 절개부(1555)의 중심각은 180도 정도가 될 수 있으며, 고객의 요구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키 커넥터 절개부(1555)의 깊이가 날개부(1553)의 상하 높이보다 깊게 형성된다.
메인 열림부재(1300)의 키걸림부(1320)는 키 커넥터 절개부(1555)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날개부(1553)에는 키 커넥터 절개부(1555)로 인해 양측에 키걸림부(1320)가 걸리는 두개의 회전 걸림부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 걸림부는 제2 회전 걸림부(1554)와 제1 회전 걸림부(1552)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 걸림부로 인해, 키 커넥터(1550)를 회전시킴에 따라 메인 열림부재(13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이와 같이, 키 커넥터(1550)의 헤드(1551)를 키를 통해 회전시키면 날개부(1553)도 회전되어 제1구동부(1600)를 작동시키지 않더라도 메인 열림부재(1300)를 좌우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차량의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제1구동부(1600)가 고장났을 때에도 상기 키를 통해 도어(1)를 열 수 있다.
즉, 키 커넥터(1550)의 회전운동으로 인해 메인 열림부재(1300)가 직선운동한다.
제1,2 회전 걸림부(1552, 1554)의 하부에는 경사면(1556)이 형성된다.
경사면(1556)은 제1,2 회전 걸림부(1552, 1554)의 상하두께가 끝단을 향할수록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2 회전 걸림부(1552, 1554)가 형성되어, 키 커넥터(1550)가 회전할 때 다른 부재에 걸리거나 하는 것이 방지되어, 구동성이 더욱 개선된다.
< 잠금부재 >
이하에서는 잠금부재(15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잠금부재(1500)는 레버(10)를 잡아당겨도 도어(1)가 열리지 않도록 한다.
잠금부재(1500)는 상기 연결수단의 걸림레버부(1450)의 걸림돌기(1455)를 후방으로 이동(회동)시켜서, 서브 열림부재(1400)와 상기 메인 열림부재(1300)를 분리한다.
잠금부재(150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잠금부재(1500)는 제1하우징(1110)의 우측 후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잠금부재(1500)에는 돌기 안내부(1507)와 잠금 걸림부(1502)가 형성된다.
돌기 안내부(1507)는 잠금부재(1500)의 좌측에 배치된다.
돌기 안내부(1507)는 잠금부재(1500)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돌기 안내부(1507)는 걸림레버부(1450) 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기 안내부(1507)는 띠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으로 돌출된 후에 우측으로 절곡된 후 끝단이 다시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돌기 안내부(1507)와 잠금부재(1500)의 전면 사이에는 잠금돌기(1453)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509)이 형성된다. 삽입공간(1509)은 상하부 및 우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돌기 안내부(1507)의 내측면(잠금돌기(1453)와 접촉하는 면)에는 경사면(1511)이 형성되어, 삽입공간(1509)의 전후 간격은 좌측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돌기 안내부(1507)가 잠금돌기(1453)를 원활하게 후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돌기 안내부(1507)가 잠금돌기(1453)를 후방으로 안내함에 따라 걸림레버부(1450)의 회동이 이루어진다. 잠금부재(1500)의 슬라이딩에 의해 걸림레버부(1450)가 걸림턱(1405)에서 이탈하면 레버(10)를 잡아당겨도 서브 열림부재(1400)만 슬라이딩(도어 잠금) 된다.
잠금 걸림부(1502)는 잠금부재(1500)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잠금 걸림부(1502)는 제2구동부(1650)에 걸리는 부분인 동시에 제4센서(1904)에 의해 감지되는 부분이다.
잠금부재(1500)와 상기 하우징(1100)의 제1하우징(1110) 중 하나에는 스토퍼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스토퍼돌기가 삽입되는 스토퍼장공(1571)이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스토퍼돌기는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스토퍼장공(1571)은 잠금부재(1500)의 우측에 형성된다.
잠금부재(1500)의 우측 하부에는 스토퍼장공(1571)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스토퍼장공(1571)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스토퍼장공(1571)의 양측 상하폭은 중심부의 상하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스토퍼장공(1571)의 중심부에는 잘록부(1576)가 형성된다.
스토퍼장공(1571)과 스토퍼돌기로 인해,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으면 잠금부재(1500)는 잠금 위치 또는 잠금 해제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 충격에 의해 잠금부재(1500)가 오작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잠금부재(1500)에는 스토퍼장공(1571)의 잘록부(1576)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슬릿(1578)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슬릿(1578)으로 인해 스토퍼돌기가 스토퍼장공(1571)의 잘록부(1576)를 통과할 때 원활하게 잠금부재(1500)가 탄성변형될 수 있다.
잠금부재(1500)의 전면에는 스토퍼장공(1571)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도록 가이드 편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편은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 편으로 인해 잠금부재(1500)와 제1하우징(1110) 사이의 마찰이 최소화될 수 있는 동시에 잠금부재(1500)가 가이드 된다.
<제2구동부>
이하에서는 잠금부재(1500)를 구동시키는 제2구동부(165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2구동부(1650)는 제1하우징(1110)의 우측 후면 하부에 설치된다.
제2구동부(1650)는 잠금부재(15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2구동부(1650)는 모터(1651)와, 모터(1651)의 축에 설치되는 웜(1652)과, 웜(1652)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 기어(1653)를 포함한다.
모터(1651)의 축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도어(1)의 다른 부재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구동부(1650)의 모터(1651)는 제1구동부(1600)의 모터(1610)보다 소형으로 구비된다.
모터(1651)는 제1하우징(1110)의 우측 후방 하부에 형성된 잠금모터 지지부에 설치된다.
스크류 기어(1653)의 축(1106)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축(1106)은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스크류 기어(1653)의 상부에는 잠금 걸림부(1502)가 관통되는 잠금 걸림부 관통공(1654)이 형성된다. 잠금 걸림부 관통공(1654)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잠금 걸림부 관통공(1654)은 스크류 기어(1653)의 외주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잠금 걸림부 관통공(1654)으로 인해 스크류 기어(1653)에는 잠금 걸림부(1502)에 걸리는 제1걸림부(1655)와 제2걸림부(1656)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2구동부(1650)의 모터(1651)가 작동함에 따라 잠금부재(15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PCB 및 센서>
이하에서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에 구비되는 PCB(1920) 및 센서들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1920)는 피씨비삽입부(1154)에 끼워져서 하우징(1100)에 설치된다. PCB(1920)는 제1하우징(1110)과 제3하우징(1150) 사이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즉, PCB(1920)는 래치(1200)가 설치되는 하우징(1100) 내부에 배치된다.
PCB(192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되어,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을 도어(1)에 설치할 때에 PCB(1920)가 스트라이커 삽입홈(1105)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PCB(1920)가 침수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센서는 각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또는 회전을 감지한다.
상기 센서는 제1센서(1901), 제2센서(1902), 제3센서(1903), 제4센서(1904), 제5센서(1905), 제6센서(1906)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는 PCB(1920)에 각각 접속된다.
제1,2,3,4센서(1901, 1902, 1903, 1904)는 리미트 스위치와 같은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
제1,2,3,4센서(1901, 1902, 1903, 1904)는 제1하우징(1110)의 후면과 제3하우징(1150)의 전면 사이에 배치된다.
제1센서(1901)는 래치(1200)가 스트라이커(1101)에 의해 눌려서 보조로킹홈(1202)에 로킹부(1371)가 걸릴정도로 회전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즉, 제1센서(1901)는 도어(1)의 불완전 닫음 여부를 감지한다.
제1센서(1901)는 스트라이커 삽입홈(1105)보다 하부에 배치된다.
제2센서(1902)는 로킹홈(1201)에 로킹부(1371)가 걸려서 도어(1)가 완전히 닫힌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한다.
제1,2센서(1901, 1902)는 센서누름부재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누름부재는 제1하우징(1110)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센서삽입공(1129)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상기 센서누름부재는 래치(1200)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서 제1,2센서(1901, 1902)를 각각 누르게 된다. 이러한 센서누름부재로 인해 제1하우징(1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래치(1200)가 제1하우징(1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1,2센서(1901, 1902)를 원활하게 누를 수 있게 되어 부품수가 감소되고 장치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래치(1200)의 후면에 접촉되는 상기 센서누름부재의 전면은 하부로 향할수록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래치(1200)가 회전될 때 원활하게 상기 센서누름부재는 후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2센서(1902)의 센서누름부재는 제1센서(1901)의 센서누름부재보다 좌측 하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센서(1901)와 제2센서(1902)를 별도로 구비하여, 이하 서술되는 바와 같은 효과가 있다.
승차자가 도어(1)를 불완전하게 닫았을 경우에는 제1센서(1901)에서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는 도어 자동 닫음 기능(cinching)이 작동되도록 하여 도어(1)가 완전히 닫히도록 한다.
승차자가 도어(1)를 완전하게 닫았을 경우에는 제2센서(1902)에서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는 도어 자동 닫음 기능이 작동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모터(1610)가 작동되지 않아도 된다.
도어 자동 닫음 기능(cinching)이 작동되는 도중에 오작동(쇼트 또는 간섭 등)에 의해 도어(1)를 완전하게 닫지 못했을 경우(즉, 제2센서(1902)에서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모터(1610)를 다시 작동시켜서 제2센서(1902)에서 감지될 때까지 도어(1)를 완전하게 닫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도어(1)를 잠그는 것이 제2센서(1902)에서 래치(1200)가 감지될 경우(도어 완전 닫음 상태)에만 가능하도록 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3센서(1903)는 걸림부가이드홈(1115)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제3센서(1903)는 메인기어(1630)가 다시 원위치(기본위치)로 복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제4센서(1904)는 잠금부재(1500)가 작동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제4센서(1904)는 잠금부재(1500)의 후방에 배치된다. 잠금부재(1500)가 잠금해제 위치에 있을 때 제4센서(1904)에 의해 감지된다.
제5센서(1905)와, 제6센서(1906)는 PCB(1920)에 설치된다. 제5센서(1905)와, 제6센서(1906)는 자석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비된다.
제5센서(1905)와, 제6센서(1906)는 전후방향으로 같은 선상에 배치된다.
제5센서(1905)는 제6센서(1906)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제5센서(1905)와, 제6센서(1906)는 PCB(1920)의 하면에 설치된다.
제5센서(1905)는 메인 열림부재(1300)에 형성된 제1감지부(1351)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제1감지부(1351)가 제5센서(1905)에서 감지되면 도어(1)가 열릴 수 있게 된다.
제6센서(1906)는 이하 서술되는 오픈 플레이트(1700)에 형성된 제2감지부(1702)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제2감지부(1702)가 제6센서(1906)에서 감지되면 도어 열림을 위한 오픈 플레이트(1700)의 슬라이딩이 완료된 상태임을 의미한다.
각 센서의 신호는 차량 ECU 등에 전달되어 운전자에게 점등 등을 통해 알려질 수 있다.
제1,2,3,4,5,6센서(1901, 1902, 1903, 1904, 1905, 1906)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이하 서술되는 제1,2구동부(1600, 1650)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ECU와 통신하여 신호를 전달받아서 필요한 기능에 따라 제1,2구동부(1600, 1650)를 제어한다.
<터미널 패널>
이하에서는 터미널 패널(19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터미널 패널(1900)에는 각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또는 회전을 감지하는 제1,2,3,4센서(1901, 1902, 1903, 1904) 및 각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 또는 회전시키는 모터(1610, 1651)에 접속되는 전선(1911)이 인서트된다.
도 17 및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패널(1900)에는 각각의 전선(1911)을 관통하는 위치 고정 구멍이 다수개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위치 고정 구멍은 각각의 전선(1911)을 따라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위치 고정 구멍의 직경은 전선(1911)의 최대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전선(1911)은 상기 위치 고정 구멍으로 인해 끊기지 않는다. 이러한 위치 고정 구멍에 인서트 사출할 때 전선(1911)의 위치를 지지하는 지지핀이 삽입되어 전선(1911)이 사출압에 의해 이동되거나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7 및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패널(1900)에는 각 전선(1911)을 연결하는 연결선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전선 이격 구멍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선 이격 구멍의 직경은 상기 연결선의 최대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선에 의해 연결되었던 두개 또는 세개의 전선(1911)은 연결이 끊기게 된다. 상기 연결선에 의해 사출시 근접하게 배치되는 여러개의 전선(1911)의 사이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전선 이격 구멍은 사출을 완료한 후에 펀칭하여 형성한다.
이와 같이 터미널 패널(1900)을 하우징(1100)과 별도로 구비하여 사출압으로 인해 전선(1911)이 휘거나 쇼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터미널 패널(1900)은 제1하우징(1110)의 후면과 제3하우징(1150)의 전면 사이에 배치된다.
터미널 패널(1900)은 제1하우징(1110)의 후면 또는 제3하우징(1150)의 전면에 대응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터미널 패널(1900)의 가장자리에는 제1,2체결부(1121, 1152)에 대응되도록 터미널 보스(1951)가 형성된다. 터미널 보스(1951)는 인접한 부분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후방으로도 돌출되게 형성된다. 터미널 보스(1951)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의 내경 및 외경은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의 내경 및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터미널 보스(1951)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제1체결부(1121)가 삽입된다. 터미널 보스(1951)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은 제2체결부(1152)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가조립 및 체결 작업이 더욱 용이해진다.
볼트가 제2체결부(1152)와 터미널 보스(1951)와 제1체결부(1121)에 체결되어 터미널 보스(1951)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하우징(1110)과 제3하우징(1150)을 조립할 때 터미널 패널(1900)도 조립할 수 있어서 조립공정이 단순해진다.
또한, 터미널 패널(1900)에는 가이드 보스(1122)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 보스 안착부(1952)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 보스 안착부(1952)에는 전방이 개방된 홈이 형성된다.
나아가, 터미널 패널(1900)의 가장자리에는 조립후크(1155)에 대응되는 위치에 절개부(1953)가 형성되어 터미널 패널(1900)이 원활하게 후크체결될 수 있다.
터미널 패널(1900)의 전면에는 센서 안착부(1931)가 형성된다.
센서 안착부(1931)는 좌측에 1개, 하부에 2개, 우측에 1개 형성된다.
센서 안착부(1931)에는 전방이 개방된 안착홈이 형성된다.
좌측에 배치되는 센서안착부(1931)에는 제3센서(1903)가 안착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센서안착부(1931)에는 제1,2센서(1901, 1902)가 안착되고, 우측에 배치되는 센서안착부(1931)에는 제4센서(1904)가 안착된다.
각 센서안착부(1931)의 안착홈 내부에는 각 센서에 연결되는 전선(1911)의 타단이 인출되어 있다. 즉, 각 전선(1911)의 타단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센서안착부(1931)에 배치되는 전선(1911)의 타단에는 각 센서에 형성된 연결전선이 끼워지는 전선 끼움홈이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각 센서를 센서안착부(1931)에 안착시키는 것만으로 각 센서와 전선(1911)의 조립이 수월해지고 납땜이 용이하게 된다.
터미널 패널(1900)의 전면에는 메인기어축(1114)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축 지지부(1932)가 전방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터미널 패널(1900)의 전면에는 메인기어(1630)의 후면에 접촉되는 메인기어 접촉부(1939)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메인기어 접촉부(1939)는 직경이 다른 여러개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터미널 패널(1900)의 전면에는 오픈 플레이트(1700)의 좌우방향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933)가 형성된다. 가이드부(1933)는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가이드부(1933)는 축 지지부(1932)의 상부 및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부(1933)는 오픈 플레이트(1700)의 가이드 구멍(1704)에 삽입된다.
터미널 패널(1900)에는 가이드부(1933)보다 우측에 배치되도록 기어 관통공(1942)이 형성된다. 상기 기어부의 중간 웜기어(1614)는 기어 관통공(1942)을 통해 관통된다. 이러한 기어 관통공(1942)으로 인해 모터(1610)와 상기 기어부가 반대면에 배치되더라도 원활하게 설치할 수 있다.
터미널 패널(1900)의 후면에는 중간 웜기어(1614)와 제1웜(1613)이 설치되는 기어 설치부(1938)가 형성된다. 기어 설치부(1938)는 기어 관통공(1942)을 둘러싸도록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터미널 패널(1900)에는 가이드부(1933)보다 우측에 배치되도록 오픈 플레이트(1700)의 굴곡부(1705)가 삽입되는 굴곡부 구멍(1941)이 형성된다. 굴곡부 구멍(1941)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굴곡부 구멍(1941)은 기어 관통공(1942) 하부에 배치된다.
터미널 패널(1900)에는 기어 관통공(1942)의 상부 및 굴곡부 구멍(1941)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지지판 설치부(1935)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지지판 설치부(1935)에는 상기 기어부의 감속기어축 지지판(1623)이 설치된다. 지지판 설치부(1935)에는 감속기어축 지지판(1623)이 삽입되는 지지판 삽입홈이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터미널 패널(1900)에는 후면에 PCB 안착부(1914)가 형성된다. 따라서, PCB(1920)는 터미널 패널(1900)의 후방에 배치된다. PCB(1920)는 제1하우징(1110) 후면과 제3하우징(1150) 전면 사이에 배치된다.
PCB 안착부(1914)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잠금부재(1500)의 잠금 걸림부(1502)를 가이드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PCB 안착부(1914)에 형성된 안착홈은 상부 및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PCB 안착부(1914)에는 PCB(1920)의 앞쪽 및 PCB(1920)에 설치된 커넥터(1921)가 안착된다.
터미널 패널(1900)에는 메인 열림부재(1300)의 제1감지부(1351)와, 오픈 플레이트(1700)의 제2감지부(1702)가 관통되는 제1관통공(1943)이 형성된다. 제1관통공(1943)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기어 관통공(1942)보다 우측에 배치된다. 제1관통공(1943)은 PCB 안착부(1914)에 형성된 안착홈의 좌측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터미널 패널(1900)의 일측에는 PCB(1920)에 접속되는 전선(1911)의 일단이 인출된다.
터미널 패널(1900)에는 제2관통공(1915)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제2관통공(1915)은 PCB 안착부(1914)에 형성된 안착홈에 연통된다. 제2관통공(1915)은 제1관통공(1943)보다 우측에 배치된다.
전선(1911)의 일단은 제2관통공(1915)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인출된다. 제2관통공(1915)을 통해 인출된 전선(1911)의 끝단은 후방으로 절곡되어 PCB 안착부(1914)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관통공(1915)을 통해 사출 성형시 별도의 금형을 통해 전선(1911)에서 인출되는 부분을 잡아줄 수 있게 되어 쇼트가 방지되고, 인출된 전선(1911)이 전방으로 노출되어 커넥터(1921)에 원활하게 접속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터미널 패널(1900)의 후면에는 제1구동부(1600)의 모터(1610)의 전방이 설치되는 모터 설치부(1937)가 형성된다. 모터 설치부(1937)는 기어 설치부(1938)보다 좌측에 배치된다. 모터 설치부(1937)에는 전선(1911)의 타단이 인출되어 모터(1610)에 접속된다.
터미널 패널(1900)의 전면에는 제2구동부(1650)의 모터(1651)에 연결되는 전선(1911)의 타단이 전방으로 인출되어 제2구동부 모터 접속부(1912)가 형성된다.
터미널 패널(1900)의 전면에는 키 커넥터(1550)의 후방이 설치되는 키 커넥터 설치부(1936)가 형성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 도어 닫힘>
도 21 내지 도 24에는 차량의 사이드에 있는 도어(1)가 닫히는 과정이 나타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린 상태의 도어(1)를 사용자가 불완전하게 닫으면 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101)가 래치(1200)를 눌러서 래치(1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래치(12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되다가 제1센서(1901)를 누르게 되고, 회동부재(1370)의 로킹부(1371)가 보조로킹홈(1202)에 삽입된다. 상기 제어부는 제1센서(1901)의 신호를 받아서 제1구동부(1600)의 모터(1610)를 작동시켜서 걸림부(163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걸림부(1631)에 래치(1200)의 돌기(1215)가 걸려서 래치(1200)도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회전되는 래치(1200)의 외주면(보조로킹홈과 로킹홈 사이)은 회동부재(1370)의 로킹부(1371)를 밀게 된다. 따라서, 회동부재(137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나, 회동부재삽입홈(1317)에는 회동부재(1370)의 삽입돌기(1373)가 우측으로 도피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회동부재(137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메인 열림부재(1300)의 몸체(1310)는 우측으로 밀려나지 않고 원위치를 유지한다.
이어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610)에 의해 걸림부(1631)가 회전하면서 상기 도어(1) 닫힘 위치까지 가면, 로킹부(1371)가 회동부재 스프링(1390)의 탄성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로킹홈(1201)에 삽입되고, 제2메인기어 감지부(1633)가 상기 제3센서(1903)에 의해 감지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제3센서(1903)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모터(161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제1메인기어 감지부(1632)가 제3센서(1903)에 의해 감지될 때까지 상기 메인기어(1630)를 역회전시킨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제1메인기어 감지부(1632)가 제3센서(1903)를 누르면 모터(1610)의 작동을 멈춘다.
따라서, 메인기어(1630)는 기본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례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은, 1개의 센서를 통해서 래치(1200)를 도어(1) 닫힘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는 동시에 메인기어(1630)를 기본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로킹부(1371)가 로킹홈(1201)에 걸려서 도어(1)의 닫음이 완료되면 래치(1200)는 제2센서(1902)를 누르게 되어 도어(1)가 완전히 닫혔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 잠금부재를 통한 도어 잠금>
도 25 내지 도 27에는 차량의 사이드에 있는 도어(1)의 잠금 해제된 상태와 잠금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해제 상태인 도어(1)가 키 또는 리모컨 또는 잠금버튼 또는 차량 속도 임계값에 의한 설정 등으로 인해 잠금 상태가 되는 작동을 설명한다.
제2구동부(1650)의 모터(1651)를 통한 도어(1) 잠금이 입력되면, 모터(1651)가 작동하여 웜(1652)을 회전시킨다.
웜(1652)이 회전하면 스크류 기어(165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스크류 기어(1653)가 회전하게 되면, 제1걸림부(1655)가 잠금부재(1500)의 잠금 걸림부(1502)를 우측으로 누르게 된다.
이로 인해 잠금부재(1500)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레버부(1450)의 잠금돌기(1453)는 돌기 안내부(1507)의 경사면(1511)을 타고 삽입공간(1509)에 삽입되어 걸림돌기(1455)가 후방으로 이동되며, 걸림돌기(1455)는 서브 열림부재(1400)에서 이탈된다. 이로 인해, 도어(1)가 잠금 상태가 되어 레버(10)를 잡아당겨도 메인 열림부재(1300)에 힘이 전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잠금부재(1500)는 차일드락 기능을 한다.
모터(1651)는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잠금부재(1500)를 민다.
이후에 상기 제어부는 모터(1651)를 역회전시켜서 스크류 기어(1653)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가 차로부터 멀어질 경우(주차시켜 놓은 경우) 또는 잠금 기능을 사용한 경우에는 제1구동부(16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도어(1)가 잠금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 잠금부재 잠금해제 >
잠금 상태인 도어(1)가 키 또는 리모컨 또는 잠금버튼 또는 차량 속도 임계값에 의한 설정 등으로 인해 잠금 해제 상태가 되는 작동을 설명한다.
제2구동부(1650)의 모터(1651)를 통한 도어(1) 잠금 해제가 입력되면, 잠금할 때와 반대방향으로 모터(1651)가 작동하여 스크류 기어(1653)를 회전시킨다.
스크류 기어(1653)가 회전하게 되면, 제2걸림부(1656)가 잠금부재(1500)의 잠금 걸림부(1502)를 좌측으로 누르게 된다.
이때, 잠금부재(1500)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걸림레버부(1450)는 돌기 안내부(1507)의 삽입공간(1509)에서 빠져나오고 제2복귀스프링(1460)에 의해 걸림돌기(1455)가 전방으로 이동되며, 걸림돌기(1455)는 서브 열림부재(1400)에 걸리게 된다. 이로인해, 도어(1)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어 레버(10)를 잡아당기면 메인 열림부재(1300)에 힘이 전달된다.
모터(1651)는 잠금부재(1500)의 잠금 걸림부(1502)를 제4센서(1904)에서 감지할 때까지 잠금부재(1500)를 민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가 차에 가까워질 경우 또는 잠금해제 기능을 사용한 경우 제1구동부(160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도어(1)를 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오픈 플레이트를 통한 도어 열림>
운전자가 구동입력부를 통해 도어(1)의 오픈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신호를 입력받아 제1구동부(1600)의 모터(1610)를 작동시킨다. 모터(1610)가 작동되면 메인기어(1630)도 회전한다. 메인기어(16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어개폐부재 걸림부(1635)에 구동부 걸림부(1707)가 걸려서, 오픈 플레이트(1700)도 우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즉, 메인기어(1630)가 오픈 플레이트(1700)를 우측으로 밀어준다.
이와 같이 오픈 플레이트(170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되면,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열림부재 걸림부(1701)에 메인 열림부재(1300)의 구동걸림부(1330)가 걸려서 몸체(131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된다. 몸체(131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회동부재(1370)의 삽입돌기(1373)가 몸체(1310)에 걸려서 회동부재(137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회동부재(1370)의 로킹부(1371)가 래치(1200)의 로킹홈(1201)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래치(1200)의 로킹이 해제되어서 래치(1200)는 제1복귀스프링(1250)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도어(1)는 열릴 수 있게 된다.
모터(1610)는 제2감지부(1702)를 제6센서(1906)에서 감지하고, 제1감지부(1351)를 제5센서(1905)에서 감지할 때까지 작동된다. 이후,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610)는 제3감지부(1903)에서 제1메인기어 감지부(1632)를 감지할 때까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메인기어(1630)가 원위치로 복귀되면 메인 열림부재(1300) 및 오픈 플레이트(1700)는 제1,2스프링(1803, 1313)에 의해 좌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키를 통한 도어 열림>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키를 통해 키 커넥터(1550)를 회전시키면 제1 회전 걸림부(1552)에 키걸림부(1320)가 걸려서 메인 열림부재(1300)의 몸체(1310)도 우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즉, 키 커넥터(1550)가 메인 열림부재(1300)를 우측으로 밀어준다.
몸체(131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회동부재(1370)의 삽입돌기(1373)가 몸체(1310)에 걸려서 회동부재(137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1370)의 로킹부(1371)가 래치(1200)의 로킹홈(1201)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래치(1200)의 로킹이 해제되어서 래치(1200)는 제1복귀스프링(1250)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도어(1)는 열릴 수 있게 된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키를 역회전시켜서 원위치로 복귀시키면 메인 열림부재(1300)는 제1,2스프링(1803, 1313)에 의해 좌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도어
5 :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10 : 레버
30 : 유리
1100 : 하우징
1101 : 스트라이커
1103 : 지지돌출부
1105 : 스트라이커 삽입홈
1106 : 축
1110 : 제1하우징
1111 : 래치안착홈
1112 : 개폐부재안착홈
1113 : 스프링삽입홈
1114 : 메인기어축
1115 : 걸림부가이드홈
1116 : 로드가이드홈
1117 : 제1스프링안착홈
1118 : 구동걸림부 관통공
1119 : 키걸림부 관통공
1121 : 제1체결부
1122 : 가이드 보스
1123 : 범퍼부재삽입홈
1124 : 도어 설치부
1127 : 키 커넥터설치부
1129 : 센서삽입공
1130 : 제2하우징
1130a : 금속 제2하우징
1130b : 플라스틱 제2하우징
1131 : 체결바
1132 : 하우징 걸림돌기
1133 : 볼트
1135 : 제1돌출부
1136 : 제2돌출부
1138 : 수직지지부재
1150 : 제3하우징
1151 : 모터안착홈
1152 : 제2체결부
1154 : 피씨비삽입부
1155 : 조립후크
1156 : 피씨비 커버
1157 : 피씨비 지지부
1200 : 래치
1201 : 로킹홈
1201a : 제2로킹 걸림부
1202 : 보조로킹홈
1202a : 제1로킹 걸림부
1203 : 제1면
1204 : 스트라이커 걸림돌기
1205 : 제2면
1206 : 탄성커버
1207 : 제3면
1213 : 스프링끼움부
1215 : 돌기
1230 : 래치회동축
1250 : 제1복귀스프링
1251 : 제1복귀스프링걸림축
1252 : 제1절곡부
1253 : 제2절곡부
1300 : 메인 열림부재
1310 : 몸체
1311 : 제2스프링 끼움돌기
1313 : 제2스프링
1314 : 걸림레버 안착홈
1315 : 서브 열림부재 삽입홈
1315a : 서브 열림부재 가이드홈
1316 : 걸림레버축 삽입공
1317 : 회동부재삽입홈
1318 : 제2복귀스프링 걸림부
1319 : 걸림돌기 삽입공
1320 : 키걸림부
1330 : 구동걸림부
1340 : 수평바
1350 : 제1감지부재
1351 : 제1감지부
1360 : 범퍼부재
1370 : 회동부재
1371 : 로킹부
1372 : 래치삽입홈
1373 : 삽입돌기
1374 : 탄성커버
1380 : 회동축
1390 : 회동부재 스프링
1391 : 회동스프링걸림축
1400 : 서브 열림부재
1401 : 걸림부재안착홈
1402 : 제1스프링 끼움돌기
1403 : 인출공
1404 : 열림부재 가이드돌기
1405 : 걸림턱
1450 : 걸림레버부
1451 : 구멍
1453 : 잠금돌기
1455 : 걸림돌기
1460 : 제2복귀스프링
1461 : 코일부
1462 : 제1절곡부
1463 : 제2절곡부
1464 : 제3절곡부
1470 : 걸림레버축
1500 : 잠금부재
1502 : 잠금 걸림부
1507 : 돌기 안내부
1509 : 삽입공간
1511 : 경사면
1571 : 스토퍼장공
1576 : 잘록부
1578 : 슬릿
1550 : 키 커넥터
1551 : 헤드
1552 : 제1 회전 걸림부
1553 : 날개부
1554 : 제2 회전 걸림부
1555 : 키 커넥터 절개부
1556 : 경사면
1600 : 제1구동부
1610 : 모터
1613 : 제1웜
1614 : 중간 웜기어
1620 : 감속기어
1621 : 제1웜기어
1622 : 제2웜
1623 : 감속기어축 지지판
1630 : 메인기어
1631 : 걸림부
1632 : 제1메인기어 감지부
1633 : 제2메인기어 감지부
1635 : 도어개폐부재 걸림부
1636 : 삽입공
1637 : 돌기
1643 : 비기어부
1650 : 제2구동부
1651 : 모터
1652 : 스크류
1653 : 스크류 기어
1654 : 잠금 걸림부 관통공
1655 : 제1걸림부
1656 : 제2걸림부
1700 : 오픈 플레이트
1701 : 메인 열림부재 걸림부
1702 : 제2감지부
1703 : 간섭회피구멍
1704 : 가이드 구멍
1705 : 굴곡부
1706 : 잠금부재 접촉부
1707 : 구동부 걸림부
1800 : 도어레버연결부
1801 : 걸림부재
1803 : 제1스프링
1805 : 안내튜브
1900 : 터미널 패널
1901 : 제1센서
1902 : 제2센서
1903 : 제3센서
1904 : 제4센서
1905 : 제5센서
1906 : 제6센서
1911 : 전선
1912 : 제2구동부 모터 접속부
1914 : PCB 안착부
1915 : 제2관통공
1920 : PCB
1921 : 커넥터
1931 : 센서안착부
1932 : 축 지지부
1933 : 가이드부
1935 : 지지판 설치부
1936 : 키 커넥터 설치부
1937 : 모터 설치부
1938 : 기어 설치부
1939 : 메인기어 접촉부
1941 : 굴곡부 구멍
1942 : 기어 관통공
1943 : 제1관통공
1951 : 터미널 보스
1952 : 가이드 보스 안착부
1953 : 절개부

Claims (5)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
    상기 래치를 로킹시키는 도어개폐부재;
    상기 래치와 상기 도어개폐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또는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래치와 상기 도어개폐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 또는 회전시키는 모터에 접속되는 전선이 인서트된 터미널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 패널의 일측에는 상기 전선의 일단이 인출되어 PCB에 접속되고,
    상기 래치는 상기 터미널 패널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PCB는 상기 터미널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PCB에 접속되는 상기 전선의 일단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전후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의 일단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인출되어,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PCB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부재는 상기 래치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한 메인 열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면에 상기 래치가 설치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3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 패널은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3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패널에는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부가 관통되는 기어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5. 삭제
KR1020170176842A 2017-03-14 2017-12-21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995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2850 WO2018169259A1 (en) 2017-03-14 2018-03-09 Vehicle door latch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31735 2017-03-14
KR1020170031735 2017-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048A KR20180105048A (ko) 2018-09-27
KR101995346B1 true KR101995346B1 (ko) 2019-07-02

Family

ID=63719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842A KR101995346B1 (ko) 2017-03-14 2017-12-21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3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9951A (ko) 2020-04-21 2021-10-29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전동식 도어래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24464A1 (en) * 2019-01-10 2020-07-16 Magna Closures Inc. Smart latch assembly with actuator modu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974B1 (ko) * 2003-02-24 2005-05-06 평화정공 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멀티펑션 터미널 센싱판
JP2016194197A (ja) * 2015-03-31 2016-11-17 株式会社ユーシン ドアロック装置及びドアロック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658B1 (ko) 2009-11-23 2011-12-08 평화정공 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1577214B1 (ko) 2014-03-14 2015-12-14 주식회사 우보테크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633469B1 (ko) 2014-07-28 2016-06-24 주식회사 우보테크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770249B1 (ko) * 2014-12-30 2017-08-22 주식회사 우보테크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808547B1 (ko) 2015-06-26 2017-12-13 주식회사 우보테크 도어 래치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974B1 (ko) * 2003-02-24 2005-05-06 평화정공 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멀티펑션 터미널 센싱판
JP2016194197A (ja) * 2015-03-31 2016-11-17 株式会社ユーシン ドアロック装置及びドアロック装置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9951A (ko) 2020-04-21 2021-10-29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전동식 도어래치
DE112021000048T5 (de) 2020-04-21 2022-04-28 Woobo Tech Co., Ltd. Elektrisches Schloss für eine Fahrzeugtü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048A (ko)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547B1 (ko)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808548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770249B1 (ko)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821243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577214B1 (ko)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972508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2363862B1 (ko) 안전 장치가 있는 차량용 도어래치
KR102059334B1 (ko)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
KR20170077405A (ko)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1633469B1 (ko)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995346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781531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897186B1 (ko)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20180105047A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971149B1 (ko) 도어 래치 시스템
KR20170134291A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20170135783A (ko) 도어 래치 시스템
KR102122714B1 (ko) 비상 해제 가능한 차량용 전동식 도어래치
CN114096731B (zh) 车门电子锁闩
KR101633470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US20230392418A1 (en) Lock apparatus for vehicle open/close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