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658B1 -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658B1
KR101091658B1 KR1020090113291A KR20090113291A KR101091658B1 KR 101091658 B1 KR101091658 B1 KR 101091658B1 KR 1020090113291 A KR1020090113291 A KR 1020090113291A KR 20090113291 A KR20090113291 A KR 20090113291A KR 101091658 B1 KR101091658 B1 KR 101091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latch
handle
link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6817A (ko
Inventor
이상현
손병삼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3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658B1/ko
Publication of KR20110056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allowing simultaneous actuation of locking or unlocking elements and a handle, e.g. preventing interference between an unlocking and an un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인사이드 핸들에 구비된 스위치 노브를 삭제하고, 인사이드 핸들을 당기고 누르는 동작만으로 도어의 잠금, 잠금해제, 열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어 내부패널상에 당김 또는 눌림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사이드 핸들과, 도어 내부에 설치되는 도어 래치 메카니즘간을 하나의 케이블로 연결하여, 인사이드 핸들을 누르는 동작으로 도어 잠금이 이루어지고, 인사이드 핸들을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 잠금해제 및 도어 열림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자동차, 도어 래치, 어셈블리, 잠금, 잠금해제, 열림, 인사이드 핸들, 노브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Door latch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인사이드 핸들에 구비된 스위치 노브를 삭제하고, 인사이드 핸들을 당기고 누르는 동작만으로 도어의 잠금, 잠금해제, 열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도어의 외부 및 내부에는 각각 도어의 잠금, 잠금해제, 열림 작동을 위한 아웃사이드 핸들과 인사이드 핸들이 구비되어 있다.
첨부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의 내부패널상에 장착되는 인사이드 핸들(12)의 바로 옆에는 도어 잠금용 스위치 노브(80)가 더 장착되는데, 이 스위치 노브(80)는 인사이드 핸들(12)에 대한 잠금 또는 잠금해제 즉,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 작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별도로 구비된 것이다.
즉, 상기 스위치 노브(80)가 잠금방향으로 각회전된 상태에서는 인사이드 핸들(12)을 당겨도 도어가 열리지 않게 되고, 반면에 스위치 노브(80)를 열림방향으 로 각회전시킨 상태에서 인사이드 핸들(12)을 당기게 되면 도어가 열리게 된다.
이렇게 상기 인사이드 핸들 이외에 스위치 노브를 인사이드 핸들의 바로 옆에 더 설치함에 따라, 스위치 노브(80)와 도어래치 메카니즘간에 연결되는 스위치 노브용 케이블(82) 및 그 부속품들이 더 필요하게 되고, 결국 인사이드 핸들 이외에 스위치 노브 및 그 부속품들을 설치함에 따른 제작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도어 인사이드 핸들의 바로 옆에 설치되던 스위치 노브 및 그 부속품들을 삭제하고, 인사이드 핸들을 당기고 누르는 동작만으로 도어의 잠금, 잠금해제, 열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 내부패널상에 당김 또는 눌림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사이드 핸들과, 도어 내부에 설치되는 도어 래치 메카니즘간을 하나의 케이블로 연결하여, 인사이드 핸들을 누르는 동작으로 도어 잠금이 이루어지고, 인사이드 핸들을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 잠금해제 및 도어 열림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로서, 상기 도어 래치 메카니즘은: 도어래치 케이스내의 소정 위치에 상단이 각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단에는 상기 케이블의 끝단이 고정되며, 좌측단부에는 스프링고정단이 돌출 형성된 핸들레버와; 상기 핸들레버와 동시 회전 가능하도록 중앙부가 인사이드 핸들레버의 회전점인 상단에 동축을 이루며 결합되고, 일측단에는 마스터 잠금링크를 밀어주는 제1가압단이 형성되며, 타측단에는 포올 리프터를 밑으로 밀어주는 제2가압단이 일체로 형성된 릴리즈레버와; 도어래치 케이스내에 상하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링크 구조로서, 그 하단부에는 릴리즈레버의 제1가압단과 접촉하는 돌기부와 스프링고정단이 나란히 형성된 마스터 잠금링크와; 상기 핸들레버와 마스터 잠금링크의 스프링 고정단간에 연결된 리턴스프링과; 도어래치 케이스내의 브라켓상에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도어의 닫힘시 스트라이커가 삽입 구속되고, 도어 열림시 스트라이커가 빠져나오는 걸림홈이 형성된 구조의 래치와; 상기 브라켓의 소정 위치에 리턴스프링과 함께 일측단이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단부에는 상기 래치의 하단 일측부에 밀착되어 래치의 각회전을 차단하는 구속단이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단 소정 위치에 포올핀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포올 링크와; 상기 릴리즈레버의 제2가압단의 가압력을 받게 되는 밀림단이 일측단에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포올핀을 당겨주기 위한 후크부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직선안내핀이 형성된 구조로서, 상하 직선 운동을 하게 되는 포올 리프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핸들레버의 우측단부에 형성된 커플러 결합홈과, 상기 릴리즈레버의 타측 소정 위치간을 커플러로 연결시켜, 핸들레버와 릴리즈레버가 동시에 각 회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터 잠금링크의 상단부에는 슬롯이 형성되고, 이 슬롯의 내측벽에는 턴오버 스프링이 내재되며, 도어래치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핀이 슬롯에 삽입되는 동시에 턴오버 스프링에 의하여 조여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 래치 메카니즘은 포올 리프터의 직선안내핀이 삽입되도록 상하방향의 슬롯이 형성된 안내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터 잠금링크가 하한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상기 도어래치 케이스의 표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과 도어 래치 메카니즘간을 하나의 케이블만으로 연결하여, 인사이드 핸들을 누르는 동작으로 도어 잠금이 이루어지고, 인사이드 핸들을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 잠금해제 및 도어 열림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도어 개폐를 위한 작동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도어 내부패널상의 인사이드 핸들 바로 옆에 설치되던 도어 잠금용 스위치 노브 및 그 부속품들을 삭제하여,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제조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내부패널상의 인사이드 핸들 바로 옆에 설치되던 도어 잠금용 스위치 노브(도 10 참조)를 삭제하고,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 내부패널상에 당김 또는 눌림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사이드 핸들(12)과, 도어 내부에 설치되는 도어 래치 메카니즘(10)간을 하나의 케이블(14)로 연결하여, 인사이드 핸들(12)을 누르는 동작으로 도어 잠금(lock)이 이루어지고, 인사이드 핸들(12)을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 잠금해제(unlock) 및 도어 열림(open)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도어 래치 메카니즘(10)에 대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어 래치 메카니즘(10)의 각 구성들은 도어래치 케이스(16)내에 소정의 배열을 이루며 연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 래치 매카니즘(10)의 구성중 핸들레버(20)가 케이블(14)과 연결되면서 도어래치 케이스(16)의 하부쪽 공간에 설치되는 바, 이 핸들레버(20)는 상하로 길다란 링크 구조로서, 상단은 도어래치 케이스(16)내의 소정 위치에 각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하단에는 케이블(14)의 끝단이 고정되며, 좌측단부의 소정 위 치에는 스프링고정단(18)이 돌출 형성되며, 우측단부의 소정 위치에는 커플러 결합홈(58)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핸들레버(20)의 안쪽에 릴리즈레버(26)가 배치되는데, 이 릴리즈레버(26)는 핸들레버(20)와 동시에 각회전되도록 핸들레버(20)와 결합되는 상태가 된다.
즉, 상기 릴리즈레버(26)의 중앙부가 핸들레버(20)의 상단과 동축을 이루며 결합되어 동시에 각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고, 또한 핸들레버(20)의 커플러 결합홈(58) 및 이와 대응되는 릴리즈 레버(26)의 타측 소정 위치가 커플러(60)에 의하여 결합되어, 핸들레버(20)와 릴리즈레버(26)가 일체로 결합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릴리즈레버(26)의 일측단에는 후술하는 마스터 잠금링크(32)를 밑으로 밀어주는 제1가압단(22)이 형성되며, 타측단에는 후술하는 포올 리프터(50, pawl lifter)를 밑으로 밀어주는 제2가압단(24)이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도어 래치 매카니즘(10)의 구성중 마스터 잠금링크(32)가 도어래치 케이스(16)내에 상하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 이 마스터 잠금링크는 상하로 길다란 링크 플레이트 구조로서, 하단부에는 릴리즈레버(26)의 제1가압단(22)과 접촉하는 돌기부(28)가 돌출 형성되고, 돌기부(28)의 바로 옆에는 스프링고정단(30)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스터 잠금링크(32)의 상단부에는 상하로 길다란 슬롯(62)이 형성되고, 이 슬롯(62)의 내측벽에는 곡선형 요철 모양을 갖는 턴오버 스프링(64)이 내재되는 바, 상기 도어래치 케이스(16)에 일체로 형성된 핀(66)이 슬롯(62)에 삽 입되는 동시에 턴오버 스프링(64)에 의하여 조여지는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마스터 잠금링크(32)가 잠금 또는 잠금해제 방향으로 승하강할 때 잠금/잠금해제(LOCK/UNLOCK)에 대한 절도있고 명확한 구분감도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터 잠금링크(32)가 도어 잠금시 하강하고, 도어 잠금 해제시 승강하는 직선 운동을 하게 되는데, 마스터 잠금링크(32)의 하강시 도어래치 케이스(16)에 일체로 형성된 핀(66)이 슬롯(62)의 가장 위쪽에 위치되는 동시에 턴오버 스프링(64)의 상부쪽 요철 구간에 의하여 조여지는 상태가 되어 마스터 잠금링크(32)의 하강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되어지고, 반면에 마스터 잠금링크(32)의 승강시 도어래치 케이스(16)에 일체로 형성된 핀(66)이 슬롯(62)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되는 동시에 턴오버 스프링(64)의 하부쪽 요철 구간에 의하여 조여지는 상태가 되어 마스터 잠금링크(32)의 승강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스터 잠금링크(32)의 하한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마스터 잠금링크(32)의 하강시 그 하단이 닿게 되는 스토퍼(72)가 상기 도어래치 케이스(16)의 표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핸들레버(20)의 스프링고정단(18)과 상기 마스터 잠금링크(32)의 스프링고정단(30)간에는 리턴스프링(34)이 연결된다.
상기 도어래치 케이스(16)의 일측쪽에 배치되는 브라켓(36)에 도어의 실질적인 잠금 및 열림 작동을 위한 래치(40)가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래치(40)의 각회전 지점의 반대측에는 걸림홈(38)이 형성되는 바, 도어의 닫힘시 래치(40)가 닫힘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스트라이커(미도시됨)가 걸림홈(38)내에 삽입 구 속되고, 도어 열림시 래치(40)가 열림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스트라이커가 걸림홈(38)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36)의 소정 위치에 포올 링크(pawl link, 48)가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첨부한 도 8에서 잘 볼 수 있듯이 포올 링크(48)의 일측단은 브라켓(36)에 각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단부에는 상기 래치(40)의 하단 일측부(걸림홈의 입구에서 바깥쪽 부분)에 밀착되어 래치(40)의 각회전을 차단하는 구속단(44)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타측단 소정 위치에 포올핀(pawl pin, 46)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포올 링크(48)의 일측단 즉, 브라켓(36)에 각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각회전 지점에는 리턴코일스프링(42)이 개재되어, 포올 링크(48)가 아래쪽으로 각회전되었을 때 본래 위치로 복원 가능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주된 구성중 또 다른 하나인 포올 리프트(50)가 도어래치 케이스(16)내에서 릴리즈레버(26)와 연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포올 리프터(50)는 릴리즈레버(26)의 제2가압단(24)의 가압력을 받게 되는 밀림단(52)이 일측단에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포올 링크(48)의 포올핀(46)을 당겨주기 위한 후크부(54)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직선안내핀(56)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하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즉, 상기 포올 리프터(50)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안내브라켓(70)의 상하방향 슬롯(68)내에 포올 리프터(50)의 직선안내핀(56)이 삽입된 상태가 되어, 상하 직선 운동을 위한 안내를 받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대한 작동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 잠금해제(unlock)→ 도어 열림(open)
첨부한 도 7, 도 8,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잠금해제상태에서 도어 열림상태로 전환되는 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도이고, 도 8에는 설명의 편의상 포올 리프터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어 잠금해제 상태에서 인사이드 핸들을 당기게 되면, 케이블이 당겨지게 되고, 케이블(14)에 의하여 핸들레버(20)의 하단이 당겨지게 된다.
연이어, 핸들레버(20)가 시계방향(도 7의 붉은색 화살표)으로 각회전을 하는 동시에 커플러(60)에 의하여 연결된 릴리즈레버(26)도 동일한 방향으로 각회전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 릴리즈레버(26)의 제2가압단(24)이 포올 리프터(50)의 밀림단(52)을 위에서 아래로 누르게 되고, 이 가압력에 의하여 포올 리프터(50)의 직선안내핀(50)이 안내브라켓(70)의 슬롯(68)을 따라 직선 안내를 받으며 하강하게 됨에 따라, 포올 리프터(50)의 하방향 직선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포올 리프터(50)가 하강하면서 포올 리프터(50)의 후크부(54)가 포올 링크(48)의 포올핀(46)을 당겨주게 되어, 포올 링크(48)의 타측단부가 일측단부의 회전점을 중심으로 아래쪽(시계방향)을 향해 각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40)의 하단 일측부(걸림홈의 입구에서 바깥쪽 부분)에 밀착되어 래치(40)의 각회전을 차단하고 있던 상기 포올 링크(48)의 구속단(44)도 동 일한 방향으로 각회전을 하게 되어, 래치(40)는 자유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도어를 열림방향으로 밀게 되면, 래치(40)의 걸림홈(38)에 삽입되어 있던 스트라이커(도어와 맞닿는 도어출입구의 외주면에 설치된 사각 고리 형태)가 빠져나오게 되면서 도어의 열림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어 잠금해제(unlock)→ 도어 잠금(lock)
첨부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잠금해제상태에서 잠금상태로 전환되는 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어 잠금해제 상태에서 인사이드 핸들을 밀게 되면, 케이블(14)이 밀리게 되고, 이 케이블(14)에 의하여 핸들레버(20)의 하단부도 밀리게 된다(도 3의 하단우측에 지시된 직선화살표 방향).
연이어, 핸들레버(20)가 시계반대방향(도 3에 지시된 곡선 화살표)으로 각회전을 하는 동시에 커플러(60)에 의하여 연결된 릴리즈레버(26)도 동일한 방향으로 각회전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 릴리즈레버(26)의 제1가압단(22)이 마스터 잠금링크(32)의 돌기부(28)를 위에서 아래로 누르게 되고, 도 4의 우측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가압단(22)의 가압력에 의하여 마스터 잠금링크(32)가 아래쪽으로 직선 이동을 하게 되며, 상기 마스터 잠금링크(32)는 그 하단부가 도어래치 케이스(16)에 형성된 스토퍼(72)에 닿을 때까지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핸들레버(20)의 스프링고정단(18)과 상기 마스터 잠금링크(32)의 스프링고정단(30)간에 연결된 리턴스프링(34)은 단순히 핸들레버(20)쪽 방향으로 병진운동(TRANSLATE)만 하고, 그 운동 중에는 별도의 토션을 발생하지 않지만, 핸들레버(20) 및 마스터 잠금링크(32)가 잠금 위치에 완전하게 도달하게 되면, 핸들레버를 밀어주는 힘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핸들레버(20)를 비롯하여 릴리즈레버(26) 및 마스터 잠금링크(32)가 잠금 위치에서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릴리즈레버(26)가 시계반대방향으로 각회전하여, 제2가압단(24)이 포올 리프터(50)의 밀림단(52)으로부터 이격되는 상태가 되고, 래치(40)의 하단 일측부(걸림홈의 입구에서 바깥쪽 부분)에 포올 링크(48)의 구속단(44)이 밀착되어 래치(40)의 각회전을 차단하는 상태가 유지되며, 결국 래치(40)는 스트라이커를 계속 구속하는 상태가 되어 도어 잠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어 잠금(lock)→ 도어 잠금해제(unlock)
첨부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잠금상태에서 잠금해제상태로 전환되는 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어 잠금상태에서 인사이드 핸들을 당기게 되면, 케이블(14)이 당겨지게 되고, 이 케이블(14)에 의하여 핸들레버(20)의 하단부도 당겨지게 된다(도 5의 하단우측에 지시된 직선화살표 방향).
연이어, 핸들레버(20)가 시계방향(도 5에 지시된 곡선 화살표)으로 각회전을 하는 동시에 커플러(60)에 의하여 연결된 릴리즈레버(26)도 동일한 방향으로 각회전을 하게 된다.
이에, 도 6의 가운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릴리즈레버(26)의 제1가압단(22)이 마스터 잠금링크(32)의 돌기부(28)로부터 이격되며 위로 올라가게 되고, 상기 핸들레버(20)가 당겨지면서 리턴스프링(34)을 압축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리턴스프링(34)이 밀리면서 마스터 잠금링크(32)를 본래의 위치인 위쪽으로 밀어 올리게 되고, 도 6의 우측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사이드 핸들을 놓게 되면 리턴스프링(34)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핸들레버(20) 및 릴리즈밸브( 26)가 중립 위치 즉, 잠금 해제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도어 잠금 해제 상태에서 인사이드 핸들을 다시 한 번 당기게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은 도어 잠금해제(unlock)→ 도어 열림(open)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과 도어 래치 메카니즘간을 하나의 케이블만으로 연결하여, 인사이드 핸들을 누르는 동작으로 도어 잠금이 이루어지고, 인사이드 핸들을 순차적으로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 잠금해제 및 도어 열림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도어 개폐를 위한 작동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존에 인사이드 핸들 바로 옆에 설치되던 도어 잠금용 스위치 노브 및 그 부속품들을 삭제할 수 있게 되어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제조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잠금해제상태에서 잠금상태로 전환되는 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잠금상태에서 잠금해제상태로 전환되는 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7, 도 8,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잠금해제상태에서 도어 열림상태로 전환되는 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10은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 래치 메카니즘 12 : 인사이드 핸들
14 : 케이블 16 : 도어래치 케이스
18 : 스프링고정단 20 : 핸들레버
22 : 제1가압단 24 : 제2가압단
26 : 릴리즈레버 28 : 돌기부
30 : 스프링고정단 32 : 마스터 잠금링크
34 : 리턴스프링 36 : 브라켓
38 : 걸림홈 40 : 래치
42 : 리턴코일스프링 44 : 구속단
46 : 포올핀 48 : 포올 링크
50 : 포올 리프터 52 : 밀림단
54 : 후크부 56 : 직선안내핀
58 : 커플러 결합홈 60 : 커플러
62 : 슬롯 64 : 턴오버 스프링
66 : 핀 68 : 슬롯
70 : 안내브라켓 72 : 스토퍼

Claims (6)

  1. 삭제
  2. 도어 내부패널상에 당김 또는 눌림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사이드 핸들(12)과, 도어 내부에 설치되는 도어 래치 메카니즘(10)간을 하나의 케이블(14)로 연결하여, 인사이드 핸들(12)을 누르는 동작으로 도어 잠금이 이루어지고, 인사이드 핸들(12)을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 잠금해제 및 도어 열림이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도어 래치 메카니즘(10)은:
    도어래치 케이스(16)내의 소정 위치에 상단이 각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단에는 상기 케이블(14)의 끝단이 고정되며, 좌측단부에는 스프링고정단(18)이 돌출 형성된 핸들레버(20)와;
    상기 핸들레버(20)와 동시 회전 가능하도록 중앙부가 핸들레버(20)의 회전점인 상단에 동축을 이루며 결합되고, 일측단에는 마스터 잠금링크를 밀어주는 제1가압단(22)이 형성되며, 타측단에는 포올 리프터를 밑으로 밀어주는 제2가압단(24)이 일체로 형성된 릴리즈레버(26)와;
    도어래치 케이스(16)내에 상하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링크 구조로서, 그 하단부에는 릴리즈레버(26)의 제1가압단(22)과 접촉하는 돌기부(28)와 스프링고정단(30)이 나란히 형성된 마스터 잠금링크(32)와;
    상기 핸들레버(20)의 스프링고정단(18)과 마스터 잠금링크(32)의 스프링고정단(30)간에 연결된 리턴스프링(34)과;
    도어래치 케이스(16)내의 일측쪽에 배치되는 브라켓(36)상에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도어의 닫힘시 스트라이커가 삽입 구속되고, 도어 열림시 스트라이커가 빠져나오는 걸림홈(38)이 형성된 구조의 래치(40)와;
    상기 브라켓(36)의 소정 위치에 리턴코일스프링(42)과 함께 일측단이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단부에는 상기 래치(40)의 하단 일측부에 밀착되어 래치(40)의 각회전을 차단하는 구속단(44)이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단 소정 위치에 포올핀(46)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포올 링크(48)와;
    상기 릴리즈레버(26)의 제2가압단(24)의 가압력을 받게 되는 밀림단(52)이 일측단에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포올핀(46)을 당겨주기 위한 후크부(54)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직선안내핀(56)이 형성된 구조로서, 상하 직선 운동을 하게 되는 포올 리프터(50)와;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핸들레버(20)의 우측단부에 형성된 커플러 결합홈(58)과, 상기 릴리즈레버(26)의 타측 소정 위치간을 커플러(60)로 연결시켜, 핸들레버(20)와 릴리즈레버(26)가 동시에 각회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 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잠금링크(32)의 상단부에는 슬롯(62)이 형성되고, 이 슬롯(62)의 내측벽에는 턴오버 스프링(64)이 내재되며, 도어래치 케이스(16)에 일체로 형성된 핀(66)이 슬롯(62)에 삽입되는 동시에 턴오버 스프링(64)에 의하여 조여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올 리프터(50)의 직선안내핀(56)이 삽입되도록 상하방향의 슬롯(68)이 형성된 안내브라켓(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잠금링크(32)가 하한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72)가 상기 도어래치 케이스(16)의 표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20090113291A 2009-11-23 2009-11-23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1091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291A KR101091658B1 (ko) 2009-11-23 2009-11-23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291A KR101091658B1 (ko) 2009-11-23 2009-11-23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817A KR20110056817A (ko) 2011-05-31
KR101091658B1 true KR101091658B1 (ko) 2011-12-08

Family

ID=44365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291A KR101091658B1 (ko) 2009-11-23 2009-11-23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65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621A (ko) 2014-07-28 2016-02-05 주식회사 우보테크 도어 래치 시스템
KR20180020861A (ko) 2016-08-19 2018-02-28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WO2018169258A1 (en) * 2017-03-14 2018-09-20 Woobo Tech Co., Ltd. Vehicle door latch system
KR20180105048A (ko) 2017-03-14 2018-09-27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967B1 (ko) * 2002-05-02 2004-08-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도어의 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967B1 (ko) * 2002-05-02 2004-08-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도어의 록킹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621A (ko) 2014-07-28 2016-02-05 주식회사 우보테크 도어 래치 시스템
KR20180020861A (ko) 2016-08-19 2018-02-28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WO2018169258A1 (en) * 2017-03-14 2018-09-20 Woobo Tech Co., Ltd. Vehicle door latch system
KR20180105048A (ko) 2017-03-14 2018-09-27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817A (ko) 201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1048C2 (ru) За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ытового прибора
JP4625092B2 (ja) 乗場ドアを介したシャフト内への侵入を検出するエレベータドア用安全ロックおよび該安全ロックを備えたエレベータ
US7770946B2 (en) Door lock device for vehicle
TWI529290B (zh) 多取用方式門鎖機構
US20090205383A1 (en) Vehicle door handle device
KR101868469B1 (ko) 방향 전환이 용이한 푸쉬풀 도어락
CN102199959B (zh) 用于车辆的双锁定门锁装置
KR101091658B1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
EP2792829A2 (en) Vehicle door latch system
CN114829723A (zh) 车辆双拉锁
KR100559568B1 (ko) 자동차의 잼 방지형 도어 래치
KR101273515B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 랫치 어셈블리
US20110101707A1 (en) Vehicle latch and method of operating
JP6683316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1255562B1 (ko) 도어 래치 통합 링크 장치
KR101936332B1 (ko) 푸시풀형 도어 잠금장치
JP6596738B2 (ja) ドアクローズ装置
KR100855307B1 (ko)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
CN111183265B (zh)
KR19990078921A (ko) 자동차용 도어래치 어셈블리
KR101089821B1 (ko)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1053302B1 (ko) 창문의 잠금장치
KR100561766B1 (ko) 자동차용 도어의 록킹 장치
KR102457673B1 (ko) 선로 전환기의 커버 잠금 장치
CN108222700B (zh) 用于双扇门的闭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