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307B1 -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5307B1
KR100855307B1 KR1020070095886A KR20070095886A KR100855307B1 KR 100855307 B1 KR100855307 B1 KR 100855307B1 KR 1020070095886 A KR1020070095886 A KR 1020070095886A KR 20070095886 A KR20070095886 A KR 20070095886A KR 100855307 B1 KR100855307 B1 KR 100855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lock
puller
bolt
d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병용
강태수
Original Assignee
(주)나이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이락 filed Critical (주)나이락
Priority to KR1020070095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도어락의 모티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기능은 유지하면서도 구성이 간소화 된 디지털도어락의 모티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은,
실내 손잡이를 회전조작하면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가 동시에 작동되어 도어락의 잠금상태가 일시에 해제되도록 하는 패닉기능을 갖춘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으로서,
상기 래치볼트의 후미에, 상기 래치볼트가 전진할 때 후퇴되어 있던 데드레버를 함께 끌고가면서 전진되게 하는 풀러가 구비되고,
상기 래치볼트의 전후진에 관여되는 래치레버에는 상기 풀러의 일 구성요소인 후크바를 승강시켜주는 승강안내부재가 구비됨을 포함하는 것이다.
디지털 도어락, 이중잠금, 모티스 락, 패닉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Mortice lock of disital doorlock}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기능은 유지하면서도 구성이 간소화 된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디지털 도어락은 이중잠금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중잠금이란 도어의 기구적인 개폐기능과 전자적인 개폐기능을 동시에 정지시킴에 따라 도어 내부의 특정 버튼(또는 레버)을 눌러서 이중잠금을 해제하지 않는 한 외부나 내부에서 도어를 열 수 없는 상태가 되도록 한 방범강화기능이다.
이와 더불어 실내손잡이를 조작하면 특정 버튼을 조작하지 않고도 이중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이른 바 패닉기능을 갖고 있어서 실내측에서는 이중잠금의 해제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는 국내특허등록 제10-543831호의 요부를 발췌한 도면 으로서, 패닉기능을 갖춘 종래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따르면, 종래의 모티스 락(mortice lock)은 실내손잡이(1)와 연결핀(3), 내측 래치레버(5)가 상호 연결되어 연동가능한 상태에 있으며, 실외손잡이(7)와 연결축(9), 외측 래치레버(11)가 상호 연결되어 연동가능한 상태에 있다.
이에 따라, 도 2에서와 같이 데드볼트(13)가 도면상 우측으로 전진하여 잠금된 상태에서 이중잠금기능을 실행하게 되면 실외측에서는 전자키나 비밀번호를 입력하여도 데드볼트(13)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지 않는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실외손잡이(7)를 회전조작하게 되면 상기 연결축(9)과 이와 결합된 외측 레치레버(11)만이 회전되기 때문에 외측 레치레버와 접선되고 있는 래치볼트(15) 만이 조작될 뿐 데드볼트(13)의 조작에 관여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어의 외부에서는 어떠한 조작을 하여도 데드볼트(13)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반면, 도어의 내측에서는 실내손잡이(1)의 회전조작으로 데드볼트(13)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4에서와 같이 실내손잡이(1)를 회전조작하게 되면 이와 연결된 연결핀(3), 내측 레치레버(5)가 함께 연동회전되며, 회전되는 내측 레치레버(5)는 래치볼트(15)와 접선되면서 래치볼트를 후퇴시킴과 동시에, 데드레버(17)와 접선되면서 데드레버를 강제 회전시킴에 따라 결국 데드레버와 연결되어 있는 데드볼트(13)는 모티스의 내부로 후퇴되면서 이중잠금이 해제되는 패닉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모티스은 기능상으로는 별 문제점이 없으나 구성부품수가 많아서 고장이 잦으며, 단가상승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동일한 기능을 하면서도 단순한 구성을 취하고 있어서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제품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패닉기능을 갖춘 모티스 락에 있어서 단순한 구성을 갖춤에 따라 고장율과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은, 본원의 청구항 1에서와 같이,
실내 손잡이를 회전조작하면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가 동시에 작동되어 도어의 잠금상태가 일시에 해제되는 패닉기능을 갖춘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으로서,
상기 래치볼트의 후미에, 상기 래치볼트가 전진할 때 후퇴되어 있던 데드레버를 함께 끌고가면서 전진되게 하는 풀러가 구비되고,
상기 래치볼트의 전후진에 관여되는 래치레버에는 상기 풀러의 일 구성요소인 후크바를 승강시켜주는 승강안내부재가 구비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이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은, 본원의 청구항 2에서와 같이,
상기 풀러는,
상기 래치레버의 후미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
상기 두 가이드 돌기의 사이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치레버에 구비된 승강안내부재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데드레버를 밀어줌으로써 록킹을 해제시켜주는 후크바;
상기 후크바가 하강되는 방향으로 후크바를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도어락의 모티스 락이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은, 본원의 청구항 3에서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스프링으로서, 상기 후크바에 스프링 걸이돌기를 형성하여 이에 상기 토션스프링의 중앙부위가 감기도록 하며, 상기 각 가이드 돌기에는 상기 토션스프링의 각 단부가 고정돌기로서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도어락의 모티스 락이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은, 본원의 청구항 4에서와 같이,
상기 승강안내부재는, 일단이 상기 래치레버에 나사로써 고정된 텐션 와이어로 되되, 상기 텐션 와이어 상에는 일단이 상기 래치레버에 나사로써 고정된 텐션 와이어로 되되, 상기 텐션 와이어 상에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와 이어진 피크부와, 상기 피크부로 부터 연장되는 연장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이다.
본 발명은 기존과 같은 패닉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구성을 단순화함에 따라 고장율과 제품 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는 것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도어락의 모티스 락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락의 작동 전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락의 실내 손잡이를 회전조작했을 때의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락이 락킹되는 상태도(진행도)이며,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풀러의 작동 전 상태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풀러의 작동 후 상태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은 도 5에서와 같이 실외 손잡이(7)를 회전조작하면 커플링(426)만이 공회전되고, 실내 손잡이(7)를 회전조작하면 래치볼트(300) 및 데드볼트(200)가 동시에 작동되어 도어의 잠금상태가 일시에 해제되는 패닉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기존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 내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데드볼트(200)와, 상기 케이스(100) 내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볼트(300)와, 상기 데드볼트(200)의 전후진에 관여되는 데드레버(410)와 상기 래치볼트(300)의 전후진에 관여되는 래치레버(420:422,424)로 이루어진 레버유닛(400:410,420)도 갖추고 있다.
이로 부터, 본 발명은 상기 래치볼트의 후미에, 상기 래치볼트가 전진할 때 후퇴되어 있던 데드레버(410)도 함께 끌고 가면서 전진 되게 하는 풀러(Puller:500)가 구비되어 있다는 것과, 상기 래치레버(420:422,424)에 상기 풀러(500)의 일 구성요소인 후크바(520)를 승강시켜주는 승강안내부재(6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풀러(500)는 도 9a 및 9b에서와 같이 상기 래치레버(420:422,424)의 후미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510)와, 상기 두 가이드 돌기 사이에서 도면상 위아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바(520)와, 도면상 상기 후크바(520)가 하강되는 방향으로 후크바를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5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돌기(510)는 래치볼트(300)에 일체로 되거나 또는, 체결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도면에는 일체형으로 도시되어 있음).
또한, 상기 후크바(520)는 그 상측에 제 1 후크부(522)를 갖고 있으며, 상기 데드레버(410)에는 제 2 후크부(412)를 갖고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300)가 전진될 때 상기 제 1, 2 후크부(522,412)가 서로 접촉되면서 데드레버(410)의 전진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530)는 토션스프링으로서, 상기 후크바(520)에 스프링 걸이돌기(524)를 형성하여 이에 상기 토션스프링의 중앙부위가 감기도록 하며, 상기 각 가이드 돌기(510)에는 상기 토션스프링의 각 단부가 고정돌기(532)에 의해 고정되게 하였다.
상기 승강안내부재(600)는 도 9a 및 9b에서와 같이 일단이 상기 래치레버(420)에 나사로서 고정된 텐션 와이어이다.
상기 텐션 와이어에는 상기 스프링 걸이돌기(524)와 접촉된 채 이의 상승을 안내하는 만곡부(602)와, 상기 스프링 걸이돌기(524)를 최대로 상승되게 하는 피크부(604)와, 상기 피크부로 부터 연장되는 연장부(606)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 래치레버(420:422,424)는 제 1, 2 래치레버(422,424) 및 이들 래치레버의 사이에 개입되어 실내,외 손잡이(1,7)의 각축(角軸)과 연결되어 있는 커플링(426)으로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 1, 2 래치레버(422,424)와 커플링(426)의 일측에는 공통적으로 키홈(422a,424a,426a)이 형성되고, 상기 키홈으로 키 플레이트(430)가 선택적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키 플레이트(430)는 케이스(100)에 지지된 V형의 와이어 스프링(432)에 의해 구동모터(434)의 스크류(434a)와 연결되어 있어서 키 플레이트(430)가 키홈(422a,424a,426a)으로 진입되거나 진출되는 것이 제어되도록 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최초 상태는 도 6에서와 같이 데드볼트(200)와 래치볼트(300)가 케이스(100)로 부터 돌출된 채 이중잠금이 실행된 상태로 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이 상태에서, 도 7에서와 같이 실내 손잡이(1)를 회전조작하게 되면, 데드볼트(200)와 래치볼트(300)가 동시에 케이스(100) 내로 후퇴되면서 이중잠금이 해제된다(앞서 설명된 패닉기능임).
즉, 실내 손잡이(1)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는 키 플레이트(430)가 키홈(422a,424a,426a)에 진입된 상태가 되므로 래치레버(420)와 커플러(426)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래치레버(제 1, 2 래치레버를 모두 지칭함)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래치레버의 도면상 상단과 접촉되어 있던 데드레버(410)는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연동 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래치레버(420:422,424)의 시계방향 회전으로 인해, 래치레버(420:422,424)와 연결되어 있는 래치볼트(300)는 케이스(100)의 안쪽으로 후퇴되며, 상기 데드레버(410)의 반시계방향 회전으로 인해, 데드레버(410)와 연결되어 있는 데드볼트(200)도 케이스(100)의 안쪽으로 후퇴됨으로써 이중잠금이 일시에 해제된다. 이로써 도어의 락킹이 해제된 상태가 되므로 실내의 사용자가 도어 바깥으로 나갈 수 있게 된다.
한편, 실내 손잡이(1)를 놓고 도어를 닫으면, 래치레버(420:422,424)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이에 연결되어 있는 래치레버(420:422,424)를 전진시킴에 따라 래치레버는 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래치볼트(300)의 후미에 구비된 풀러(500)가 데드레버(410)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강제 회전시켜줌에 따라 데드볼트(200)도 래치볼트(300)에 연동하여 케이스(100)로 부터 돌출되는 상태가 된다.
즉,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래치레버(420:422,424)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래치레버(420:422,424)에 결합되어 있는 승강안내부재(600)도 함께 회전되면서 피크부(604)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530) 및 후크바(520)를 밀어 올려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바(520)가 상승하게 되면, 제 1 후크부(522)와 데드레버(410)의 제 2 후크부(412)가 접촉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후크바(520)의 전진력에 편승하여 데드레버(410)의 제 2 후크부(412)를 밀어주게 됨으로써 결국, 래치레버(420:422,424)와 데드레버(410)의 연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패닉기능을 갖는 모티스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모티스의 이중잠금상태도
도 3은 종래 모티스의 실외 손잡이를 회전조작했을 때의 상태도
도 4는 종래 모티스의 실내 손잡이를 회전조작했을 때의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도어락의 모티스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의 작동 전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의 실내 손잡이를 회전조작했을 때의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이 락킹되는 상태도(진행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풀러의 작동 전 상태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풀러의 작동 후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스 200 : 데드볼트
300 : 래치볼트 410 : 데드레버
420 : 래치레버
500 : 풀러
510 : 가이드 돌기 520 : 후크바
530 : 탄성부재
500 : 승강안내부재

Claims (4)

  1. 실내 손잡이를 회전조작하면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가 동시에 작동되어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패닉기능을 갖춘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으로서,
    상기 래치볼트의 후미에, 상기 래치볼트가 전진할 때 후퇴되어 있던 데드레버를 함께 끌고가면서 전진되게 하는 풀러가 구비되고,
    상기 래치볼트의 전후진에 관여되는 래치레버에는 상기 풀러의 일 구성요소인 후크바를 승강시켜주는 승강안내부재가 구비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러는,
    상기 래치레버의 후미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
    상기 두 가이드 돌기의 사이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치레버에 구비된 상기 승강안내부재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데드레버를 밀어줌으로써 록킹을 해제시켜주는 후크바;
    상기 후크바가 하강되는 방향으로 후크바를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스프링으로서, 상기 후크바에 스프링 걸이돌기를 형성하여 이에 상기 토션스프링의 중앙부위가 감기도록 하며, 상기 각 가이드 돌기에는 상기 토션스프링의 각 단부가 나사에 의해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안내부재는,
    일단이 상기 래치레버에 나사로써 고정된 텐션 와이어로 되되, 상기 텐션 와이어 상에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와 이어진 피크부와, 상기 피크부로 부터 연장되는 연장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
KR1020070095886A 2007-09-20 2007-09-20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 KR100855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886A KR100855307B1 (ko) 2007-09-20 2007-09-20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886A KR100855307B1 (ko) 2007-09-20 2007-09-20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5307B1 true KR100855307B1 (ko) 2008-08-29

Family

ID=39878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886A KR100855307B1 (ko) 2007-09-20 2007-09-20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53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642B1 (ko) 2008-09-02 2009-07-14 이상옥 데드볼트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모티스 잠금장치
KR200459912Y1 (ko) 2009-10-14 2012-04-20 주식회사 이랜시스 패닉 기능을 갖는 도어록
CN110118026A (zh) * 2019-06-27 2019-08-13 广东坚士制锁有限公司 一种插芯门锁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3754A (ja) 2002-10-23 2004-05-20 Takigen Mfg Co Ltd 電気錠
KR100543831B1 (ko) 2005-04-25 2006-01-20 (주)동광알파 패닉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KR200423328Y1 (ko) 2006-05-24 2006-08-04 함덕주 패 닉 기능이 내장된 모 티 스 장치
KR100609787B1 (ko) 2004-07-16 2006-08-10 김상민 도어록 메커니즘
KR100623160B1 (ko) 2006-05-24 2006-09-13 비앤비쏠루션주식회사 디지털 도어록
KR100638246B1 (ko) 2004-12-30 2006-10-24 문영택 도어의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3754A (ja) 2002-10-23 2004-05-20 Takigen Mfg Co Ltd 電気錠
KR100609787B1 (ko) 2004-07-16 2006-08-10 김상민 도어록 메커니즘
KR100638246B1 (ko) 2004-12-30 2006-10-24 문영택 도어의 잠금장치
KR100543831B1 (ko) 2005-04-25 2006-01-20 (주)동광알파 패닉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KR200423328Y1 (ko) 2006-05-24 2006-08-04 함덕주 패 닉 기능이 내장된 모 티 스 장치
KR100623160B1 (ko) 2006-05-24 2006-09-13 비앤비쏠루션주식회사 디지털 도어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642B1 (ko) 2008-09-02 2009-07-14 이상옥 데드볼트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모티스 잠금장치
KR200459912Y1 (ko) 2009-10-14 2012-04-20 주식회사 이랜시스 패닉 기능을 갖는 도어록
CN110118026A (zh) * 2019-06-27 2019-08-13 广东坚士制锁有限公司 一种插芯门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021Y1 (ko) 레버 작동 방향의 선택이 가능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US6209931B1 (en) Multi-point door locking system
KR200475874Y1 (ko)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KR101480508B1 (ko) 도어락 모티스
JP2003184396A (ja) 車両ドアラッチ装置
KR101822760B1 (ko) 푸시풀 도어락
KR100855307B1 (ko)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
KR200452304Y1 (ko) 고정후크가 마련된 도어록 장치
JPH08226263A (ja) カードキーを用いる施錠装置
KR101891785B1 (ko) 데드볼트의 잼현상을 방지하는 도어록 모티스
EP0021820A1 (en) Lock
KR102260668B1 (ko)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
KR200402198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데드볼트 제어장치
KR100630945B1 (ko) 디지털 도어록의 모티스 장치 및 도어 시스템
JP2005146844A (ja) 多点ロック
JP7165013B2 (ja) 建具及び建具用の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KR100786338B1 (ko) 전자도어락의 백셋
KR200393226Y1 (ko) 모티스 록 장치
KR101433092B1 (ko) 헤드락킹 도어락
KR100571700B1 (ko)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
KR100763820B1 (ko) 디지털 도어록용 모티스록
KR101891784B1 (ko) 래치볼트가 임의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록 모티스
KR20200099948A (ko) 래치볼트 자동 인입형 도어락 모티스
KR200378846Y1 (ko) 도어록의 모티스
KR20200111596A (ko) 래치볼트 자동 해정식 도어락 모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