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959A -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 - Google Patents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99959A KR20200099959A KR1020190164851A KR20190164851A KR20200099959A KR 20200099959 A KR20200099959 A KR 20200099959A KR 1020190164851 A KR1020190164851 A KR 1020190164851A KR 20190164851 A KR20190164851 A KR 20190164851A KR 20200099959 A KR20200099959 A KR 202000999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tch
- lever
- latch bolt
- bolt
- rot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07—Securing, deadlocking or "dogg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05B2047/0013—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more than one motor for the same function, e.g. for redundancy or increased powe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4—C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래치볼트가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해정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를 조작하지 않아도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를 해정시켜 도어를 간편하게 개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래치볼트가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해정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를 조작하지 않아도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를 해정시켜 도어를 간편하게 개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 모티스는 레버 등의 회전수단에 의하여 도어의 측면으로 돌출 및 인입되는 래치볼트를 포함한다. 래치볼트는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즉, 닫힘의 기능만 수행)이며, 잠금 수단은 아니다. 따라서 노브(knob) 또는 그립(grip)에 의해 잠금 및 해제되는 데드볼트를 설치하여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에 의한 잠금 구조를 갖는 도어락 모티스(Mortise)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도어의 외부에서는 키 입력 버튼을 누르거나 반도체 칩이 내장된 안전키를 이용하고, 도어의 내부에서는 버튼을 누르면 모터의 동력으로 데드볼트를 해제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 모티스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 모티스는 사용자가 도어 잠금을 잊더라도, 도어가 닫힌 후 모터의 동력을 통해 자동으로 데드볼트를 잠금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다. 물론 디지털 도어락 모티스도 열쇠를 삽입하여 데드볼트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도어락 모티스는 사용자가 열쇠를 소지하지 않았더라도, 키 입력을 통해 잠금을 해제할 수 있고, 또한 도어가 닫히면 자동으로 잠기어 안전하고 편리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그 수요는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종래의 도어락 모티스들은 도어를 개방할 때 모터의 작동에 의해 데드볼트를 해정 한 후(집안 내부에서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버튼을 누르는 방식으로 모터를 작동시키고, 외부에서는 키 입력 버튼을 누르거나 안전키를 이용하여 모터를 작동시킴) 별도로 손잡이를 조작하여 래치볼트를 해정하고 도어를 개방하는 방식으로 작동되었으나, 이러한 방식은 도어를 개방하는 것이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어락 모티스에 관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111560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래치볼트가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해정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를 조작하지 않아도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를 해정시켜 도어를 간편하게 개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는 바디프론트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되어 도어가 스스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폐쇄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마련되며, 돌출부가 형성된 래치볼트;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거나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회전제한부와 외력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제한부를 회전시키는 가압부가 형성된 래치레버; 상기 래치레버의 상기 가압부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된 종동기어; 및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기어에 전달하기 위한 제2구동기어가 형성된 제2기어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2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2구동기어 및 상기 종동기어가 회전을 하여 상기 가압돌출부 상기 래치레버 상기 가압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래치레버의 상기 회전제한부가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허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압부에는 스프링이 형성되며, 상기 제2모터가 역회전하여 상기 종동기어의 상기 가압돌출부가 상기 래치레버의 상기 가압부와 이격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가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래치레버의 상기 회전제한부가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동기어의 일측에는 캠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캠의 양단에는 상기 캠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제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는 바디프론트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되어 도어가 스스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폐쇄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래치볼트; 상기 바디프론트에서 인출 및 인입되어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기 위해 마련되며,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으로 직선 이동하는 슬라이더가 일체로 형성된 데드볼트; 푸쉬풀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동시에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제1핸들블록; 및 제3핸들블록;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래치레버; 상기 제3핸들블록과 맞닿아 회전하여 상기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와 상기 래치레버를 회전시키는 패닉레버; 및 중앙에 형성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좌우에 형성된 돌출부 및 걸림턱이 각각 서로 반대로 상하 이동하도록 형성된 견인바;를 포함하며, 상기 푸쉬풀 손잡이가 작동되면 상기 제3핸들블록이 회전하면서 상기 패닉레버를 회전시키고, 상기 패닉레버가 상기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바디프론트에 인입시킨 후 상기 래치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3핸들블록의 일측에 록킹수단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록킹수단이 상기 견인바의 걸림턱에 걸림으로써 상기 패닉레버의 회전을 제한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 허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락 모티스는, 열쇠의 회전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패닉레버를 회전시키는 제2핸들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락 모티스는, 상기 바디프론트에서 인입 및 인출됨으로써 도어의 닫힘 및 열림 상태를 감지하며, 상기 견인바의 돌출부를 수평 방향으로 밀어 하강시키는 가압돌기가 형성된 서브래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견인바의 돌출부를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견인바의 걸림턱을 상승시켜 상기 걸림턱과 상기 록킹수단의 걸림이 풀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는 바디프론트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되어 도어가 스스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폐쇄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마련되며, 돌출부가 형성된 래치볼트; 상기 바디프론트에서 인출 및 인입되어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기 위해 마련되며,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으로 직선 이동하는 슬라이더가 일체로 형성된 데드볼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거나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래치레버; 상기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와 상기 래치레버를 회전시키는 패닉레버; 상기 패닉레버를 회전시키는 제1핸들블록;, 제2핸들블록; 및 제3핸들블록; 중앙에 형성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좌우에 형성된 돌출부 및 걸림턱이 각각 서로 반대로 상하 이동하도록 형성된 견인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2핸들블록 또는 상기 제3핸들블록이 회전하면서 상기 패닉레버를 회전시키고, 상기 패닉레버가 상기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바디프론트에 인입시킨 후 상기 래치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래치레버는,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거나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회전제한부; 및 외력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제한부가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탈하거나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도록 하는 가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치볼트가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해정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를 조작하지 않아도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를 해정시켜 도어를 간편하게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내부에서 푸쉬풀 손잡이를 조작하거나 외부에서 열쇠를 삽입하여 돌리면 제3핸들블록 및 제2핸들블록이 패닉레버를 회전시키고, 패닉레버가 회전하면서 제1 및 제2데드볼트견인레버와 래치레버를 회전시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를 해정시키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 또는 열쇠를 통해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를 바로 해정시킬 수 있어 도어를 빠르게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외부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에서 래치레버가 회전하여 래치볼트의 회전을 제한 및 허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에서 제1핸들블록, 제2핸들블록 및 제3핸들블록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에서 모터에 의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의 잠금 해제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에서 푸쉬풀 손잡이의 조작을 통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의 잠금 해제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에서 열쇠를 이용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의 잠금 해제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에서 래치레버가 회전하여 래치볼트의 회전을 제한 및 허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에서 제1핸들블록, 제2핸들블록 및 제3핸들블록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에서 모터에 의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의 잠금 해제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에서 푸쉬풀 손잡이의 조작을 통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의 잠금 해제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에서 열쇠를 이용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의 잠금 해제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외부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부분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에서 래치레버가 회전하여 래치볼트의 회전을 제한 및 허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에서 제1핸들블록, 제2핸들블록 및 제3핸들블록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에서 모터에 의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의 잠금 해제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에서 푸쉬풀 손잡이의 조작을 통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의 잠금 해제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에서 열쇠를 이용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의 잠금 해제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는 케이스(10), 바디프론트(20), 래치볼트(100), 제1 및 제2기어박스(220, 140), 데드볼트(200), 서브래치(300), 제1 내지 제3핸들블록(910, 920, 930) 및 PCB(330)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도어락 모티스의 각 구성들을 보호하며, 도어에 장착된다. 또한, 케이스(10)의 실외측으로는 실외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 열쇠를 삽입할 수 있는 열쇠구멍, 래치볼트(100) 및 데드볼트(200)를 해제시키기 위한 키입력부 또는 카드접촉부가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스(10)의 실내측으로는 실내에서 사용자가 래치볼트(100) 및 데드볼트(200)를 해제시키기 위한 푸시풀 손잡이(미도시)가 마련되며, 이러한 푸시풀 손잡이(미도시)를 밀거나 당기는 힘을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변환회전축(미도시)이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되어 푸시풀 손잡이(미도시)를 밀거나 당기면 변환회전축(미도시)에서 미는 힘을 회전력으로 변환시킴으로써 후술할 제1핸들블록(910) 및 제3핸들블록(930)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변환회전축(미도시)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바디프론트(20)는 케이스(10)의 측면, 즉 스트라이커(미도시)에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래치볼트(100), 데드볼트(200) 및 서브래치(300)가 드나들 수 있는 인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래치볼트(100)는 도어가 스스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폐쇄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마련되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될 때 도어틀에 닿는 것과 동시에 래치볼트(100)가 직선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래치볼트(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에 형성된 스프링(130)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양측면 일측에 바디프론트(20)의 내측면과 맞닿아 래치볼트(100)가 바디프론트(20)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110)과 래치레버(700)의 회전제한부(720)와 맞닿아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제한하는 돌출부(120)가 형성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레버(700)의 가압부(730)에 형성된 스프링(740)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부(730)가 밀리면서 래치레버(700)가 회전축(701)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레버(700)의 회전제한부(720)가 프레임(150)의 홈(151)을 통해 인입되어 회전제한부(720)의 하단면이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의 상단면과 맞닿게 되면 래치볼트(100)의 회전이 제한되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해 래치레버(700)의 가압부(730)가 스프링(740)을 가압하면서 래치레버(700)가 회전축(701)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레버(700)의 회전제한부(720)가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로부터 이탈하게 되면 래치볼트(100)의 회전이 허용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래치레버(700)의 회전제한부(720)의 상단면과 하단면 사이에 보강재를 형성하여 회전제한부(720)가 반복 사용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구체적으로, 회전제한부(720)의 상단면과 하단면 사이가 빈 공간으로 형성될 경우 회전제한부(720)가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에 의해 지속적으로 힘을 받아 변형이 생겨 휘거나 심할 경우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회전제한부(720)의 상단면과 하단면 사이에 보강재를 형성함으로써 회전제한부(720)의 강성을 향상시켜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에 의해 지속적으로 힘을 받아도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래치레버(700)의 가압부(730)는 후술할 제2모터(141) 및 제2구동기어(142)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기어(143)에 일체로 형성된 가압돌출부(146)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을 하며, 이에 따라 가압돌출부(146)의 회전에 의해 래치레버(700)의 가압부(73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래치레버(700)가 회전축(701)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래치레버(700)의 회전제한부(720)가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로부터 이탈하여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데드볼트(200)는 바디프론트(20)의 인입공을 통해 인출 및 인입됨으로써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는 구성으로, 데드볼트(200)의 후면에는 외력 또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를 통해 전후방으로 직선 이동하여 데드볼트(200)를 바디프론트(20)에서 인입 및 인출시키는 슬라이더(20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는 끝단이 슬라이더(201)에 형성된 장공(202)에 인입되며,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는 후술할 패닉레버(400)와 맞닿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술할 제1모터(22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0, 211)가 도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의 끝단이 슬라이더(201)의 장공(202)을 따라 상단 또는 하단으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더(201)를 전방으로 밀거나 후방으로 잡아당겨 데드볼트(200)를 인출 또는 인입시킨다. 또한, 후술할 패닉레버(400)가 사용자의 푸쉬풀 손잡이(미도시)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제1핸들블록(910) 및 제3핸들블록(930) 또는 열쇠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제2핸들블록(920)과 맞닿아 회전하면 패닉레버(400)와 맞닿아 있는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가 회전하면서 동시에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가 회전하여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의 끝단이 슬라이더(201)의 장공(202)을 따라 하단으로 이동하여 데드볼트(200)를 인입시킨다. 데드볼트(200)의 인입 및 인출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의 일측에는 토션스프링(230)이 결합되며, 상기 토션스프링(230)은 통상적인 스프링과 같이 압축 시 탄성력이 작용하며, 이에 따라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가 회전하는 초기에는 토션스프링(230)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토션스프링(230)을 압축하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가 탄성력에 의해 서서히 회전함에 따라 데드볼트(200)가 서서히 인입되다가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가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게 되면 토션스프링(230)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즉, 토션스프링(230)이 인장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토션스프링(230)이 즉시 인장되면서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도 그에 맞춰 급격하게 회전하면서 데드볼트(200)가 즉시 인입되게 된다. 즉, 데드볼트(200)가 사용자의 푸쉬풀 손잡이(미도시) 조작 또는 열쇠의 조작에 의해 인입될 때에는 초기에는 서서히 인입되다 일정거리 만큼 인입된 이후에는 즉시 데드볼트(200)의 전체면적이 바디프론트(20)의 인입공을 통해 인입되는 것이다.
서브래치(300)는 바디프론트(20)에서 인입 및 인출됨으로써 도어의 닫힘 및 열림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어틀에는 서브래치(300)가 인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도어가 닫히면 서브래치(300)는 바디프론트(20)에 인입된 상태가 되며, 도어가 열리면 후면에 형성된 스프링(301)의 탄성력에 의해 바디프론트(20)에서 인출된다. 또한, 서브래치(300)의 측면 일측에는 후술할 견인바(600)의 돌출부(602)를 가압하여 누름으로써 견인바(600)의 걸림턱(601)을 들어올리는 가압돌기(302)가 형성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데드볼트(200)와 서브래치(300) 사이에는 도어의 열림 및 닫힘 상태를 확인하여 자동으로 제1구동기어(222) 및 제2구동기어(142)를 구동시킴으로써 데드볼트(200) 및 래치볼트(100)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즉, PCB(800)에 열림 및 닫힘 감지센서(810, 820)와 서브래치 감지센서(830)가 구비되고 슬라이더(201) 및 서브래치(300)에는 각각 감지부(203, 303)가 형성되어 슬라이더(201)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데드볼트(200)가 인출되면 감지부(203)가 닫힘 감지센서(820) 상에 위치하게 되고 이를 닫힘 감지센서(820)에서 감지하여 데드볼트(200)가 인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슬라이더(201)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데드볼트(200)가 인입되면 감지부(203)가 열림 감지센서(810) 상에 위치하게 되고 이를 열림 감지센서(810)에서 감지하여 데드볼트(200)가 인입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서브래치(300)가 인입되어 감지부(303)가 서브래치 감지센서(830)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면 서브래치 감지센서(830)에서 도어가 닫힌 것으로 판단하고, 서브래치(300)가 인출되어 감지부(303)가 서브래치 감지센서(830)와 맞닿게 되면 서브래치 감지센서(830)에서 도어가 열린 것으로 판단한다.
제1 및 제2기어박스(220, 140)에는 각각 제1 및 제2모터(221, 141)와 제1 및 제2구동기어(222, 142)가 구비되며, 제1 및 제2모터(221, 14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및 제2구동기어(222, 142)에는 각각 데드볼트 견인기어(213) 및 가압돌출부(146)가 일체로 형성된 종동기어(143)가 맞물려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모터(221)의 구동에 의해 제1구동기어(222) 및 데드볼트 견인기어(213)가 회전을 하게 되면 데드볼트 견인기어(213)와 일체로 형성된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0, 211)가 함께 회전하여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의 끝단이 슬라이더(201)의 장공(202)에서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201) 및 슬라이더(201)와 일체로 형성된 데드볼트(200)를 바디프론트(20)에서 인입 및 인출시키게 된다.
또한, 제2모터(141)의 구동에 의해 제2구동기어(142) 및 종동기어(143)가 회전을 하게 되면 종동기어(143)와 일체로 형성된 가압돌출부(146)가 함께 회전하여 래치레버(700)의 가압부(730)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래치레버(700)를 회전축(70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래치레버(700)의 회전제한부(720)가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도록 하여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허용한다. 이때, 종동기어(143)에는 캠(144)이 일체로 형성되고, 캠(144)의 양단에는 제한부(145)가 서로 일정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각각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한부(145)가 캠(144)의 회전 반경을 제한함으로써 종동기어(143) 및 가압돌출부(146)의 회전 반경을 제한한다.
제1 내지 제3핸들블록(910, 920, 9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핸들블록(910)과 제3핸들블록(930)이 결합핀(940)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어 동시에 회전하고 제1핸들블록(910)과 제3핸들블록(930)의 결합 사이로 제2핸들블록(920)이 끼어있는 형태이며, 제2핸들블록(920)에는 1핸들블록(910) 및 제3핸들블록(930)이 회전할 때 제2핸들블록(920)과 저촉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홈(922)이 형성되고, 제3핸들블록(930)에는 록킹수단(932)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핸들블록(910, 920, 930)은 실외측과 가까운 위치부터 제1핸들블록(910), 제2핸들블록(920), 제3핸들블록(930)의 순서로 동심원상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2핸들블록(920)에는 사용자가 열쇠를 사용할 경우 열쇠와 연결되는 실외변환회전축이 결합되는 다각형 모양의 제2결합홀(921)이 형성되어 있고, 제3핸들블록(930)에는 실내변환회전축이 결합되는 다각형 모양의 제3결합홀(9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핸들블록(910)에는 제3결합홀(931)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갖고 아무것도 연결 되지 않는 제1결합홀(9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내변환회전축은 푸시풀방식의 동작을 위해 도어락 모티스의 푸쉬풀 손잡이를 누르는 힘이나 당기는 힘을 제3핸들블록(930)의 회전력으로 변환시켜 제3핸들블록(930)과 일체로 결합된 제1핸들블록(910)과 함께 회전시키는 부품이며, 상기 실외변환회전축은 열쇠와 연결되어 열쇠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부품이다.
실외변환회전축은 제2결합홀(921)에 안착 결합되고, 실내변환회전축은 제3결합홀(931)에 안착 결합되며, 열쇠는 실외변환회전축에 연결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열쇠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실외변환회전축과, 실외변환회전축이 결합된 제2핸들블록(920)만 회전시키게 되며, 푸쉬풀 손잡이(미도시)를 밀거나 당기면 실내변환회전축과, 실내변환회전축이 결합된 제3핸들블록(930) 및 제3핸들블록(930)과 일체로 결합된 제1핸들블록(910)을 함께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실내에서 푸쉬풀 손잡이(미도시)를 밀거나 당겨 실내변환회전축을 회전시키면 제2핸들블록(920)은 고정된 상태로 제3핸들블록(930)이 회전되는데, 이때 제3핸들블록(930)과 제1핸들블록(910)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함께 회전하게 되며, 제3핸들블록(930)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맞닿아 있는 패닉레버(400)을 회전시키고, 제3핸들블록(930)에 의해 회전되는 패닉레버(400)가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 맞닿아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를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 동시에 회전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가 동시에 회전하여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의 끝단이 슬라이더(201)의 장공(202)을 따라 하단으로 이동함으로써 데드볼트(200)를 바디프론트(20)에 인입시키고, 이후 패닉레버(400)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서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과 맞닿아 래치레버(700)를 회전축(70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회전제한부(720)를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허용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닉레버(400)는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는 맞닿아 있고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과는 일정거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데드볼트(200)의 인입이 완료된 후에 패닉레버(400)와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이 접촉을 시작하여 래치볼트(100)의 해정이 이루어지며, 패닉레버(400)와 래치레버(700)에는 각각 탄성스프링(410, 740)이 형성되어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패닉레버(400)와 래치레버(700)가 다시 원위치 되도록 한다.
또한, 제3핸들블록(930)이 회전함에 따라 제3핸들블록(930)에 일체로 형성된 록킹수단(932)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견인바(600)의 걸림턱(601)의 도면상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바(600)는 시소와 같이 중앙의 힌지축(604)을 중심으로 좌우의 돌출부(602) 및 걸림턱(601)이 각각 서로 반대로 상하 이동하고(즉, 돌출부(602)가 상승하면 걸림턱(601)은 하강하고, 돌출부(602)가 하강하면 걸림턱(601)은 상승함), 돌출부(602)의 하단에는 스프링(603)이 형성되어 있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돌출부(602)는 항상 상승한 상태로 유지되고 걸림턱(601)은 하강한 상태로 유지되며, 견인바(600)의 걸림턱(601)은 도면상 우측은 완만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면상 좌측은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걸림턱(601)이 하강한 상태에서도 록킹수단(510)은 걸림턱(601)의 도면상 우측에서 좌측으로는 이동이 가능하지만 걸림턱(601)의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는 이동이 불가능하며, 걸림턱(601)이 상승해야만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푸쉬풀 손잡이(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제3핸들블록(930)이 회전하여 록킹수단(932)이 견인바(600)의 걸림턱(601)의 도면상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 상태에서는 스프링(410)의 탄성력에 의해 패닉레버(400)가 제3핸들블록(930)을 밀더라도 록킹수단(932)이 걸림턱(601)의 좌측에 걸려 넘어가지 못하는 록킹 상태가 되며, 이러한 록킹 상태에서는 걸림턱(601)의 좌측에 걸려있는 록킹수단(932)에 의해 록킹수단(932)과 일체로 형성된 제3핸들블록(930), 패닉레버(400), 패닉레버(400)에 맞닿아 있는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 및 래치레버(700)의 회전이 모두 제한되어 데드볼트(200)의 인입상태와 래치볼트(100)의 해정 상태가 지속된다.
이후, 서브래치(300)가 인출되면 서브래치(300)의 가압돌기(302)가 견인바(600)의 돌출부(602)를 하단으로 가압하여 하강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반대편의 걸림턱(601)이 상승하여 록킹수단(932)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면서 제3핸들블록(930)이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스프링(410)의 탄성력에 의해 패닉레버(400)가 회전하면서 제3핸들블록(930)과 맞닿아 제3핸들블록(930)을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록킹수단(932)이 걸림턱(601)의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넘어가게 된다.
또한, 패닉레버(400)가 스프링(410)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위치 됨에 따라 패닉레버(400)와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가 서로 이격되어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가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제1모터(221)의 구동에 의해 데드볼트(200)를 인출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고, 패닉레버(400)와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이 서로 이격되면서 래치레버(700)가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래치레버(700)의 가압부(730)에 형성된 스프링(740)의 탄성력에 의해 래치레버(700)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레버(700)의 회전제한부(720)가 프레임(150)의 측면 홈(151)을 통해 인입되어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를 가압함으로써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제한한다.
한편, 사용자가 실외에서 열쇠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제1핸들블록(910) 및 제3핸들블록(930)은 고정된 상태로 실외변환회전축이 결합된 제2핸들블록(205)만 열쇠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열쇠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제2핸들블록(920)이 도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열쇠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에 따라 제2핸들블록(92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패닉레버(4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실외에서 열쇠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제1핸들블록(910) 및 제3핸들블록(930)은 고정된 상태로 제2핸들블록(920)만 도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맞닿아 있는 패닉레버(400)을 회전시키고, 제2핸들블록(920)에 의해 회전되는 패닉레버(400)가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 맞닿아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를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 동시에 회전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가 동시에 회전하여 슬라이더(201)의 장공(202)을 따라 하단으로 이동함으로써 데드볼트(200)를 바디프론트(20)에 인입시키고, 이후 패닉레버(400)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서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과 맞닿아 래치레버(700)를 회전축(70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회전제한부(720)를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허용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닉레버(400)는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는 맞닿아 있고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과는 일정거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데드볼트(200)의 인입이 완료된 후에 패닉레버(400)와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이 접촉을 시작하여 래치볼트(100)의 해정이 이루어지며, 패닉레버(400)와 래치레버(700)에는 각각 탄성스프링(410, 740)이 형성되어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패닉레버(400)와 래치레버(700)가 다시 원위치 되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가 열쇠를 다시 원위치로 회전시키면 제2핸들블록(920)도 동시에 회전하여 원위치로 돌아오게 되면서 패닉레버(400)와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410)의 탄성력에 의해 패닉레버(400)도 다시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된다.
또한, 패닉레버(400)가 스프링(410)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위치 됨에 따라 패닉레버(400)와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가 서로 이격되어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가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제1모터(221)의 구동에 의해 데드볼트(200)를 인출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고, 패닉레버(400)와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이 서로 이격되면서 래치레버(700)가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래치레버(700)의 가압부(730)에 형성된 스프링(740)의 탄성력에 의해 래치레버(700)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레버(700)의 회전제한부(720)가 프레임(150)의 측면 홈(151)을 통해 인입되어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를 가압함으로써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제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는 이하 동작과정에 대한 설명을 통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실외에서 키입력부, 카드접촉부를 통해 도어를 개방할 때의 도어락 모티스의 동작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닫혀 데드볼트가(200)가 인출됨으로써 잠금 상태에 있고 래치볼트(100)의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실외에서 도어를 열기 위해 키입력부를 통해 번호를 입력하거나 카드접촉부에 카드를 접촉시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1모터(221)가 구동되어 제1구동기어(222) 및 데드볼트 견인기어(213)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데드볼트 견인기어(213)와 일체로 형성된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0, 211)가 함께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의 끝단이 슬라이더(201)의 장공(202)에서 하단으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201) 및 이와 일체로 형성된 데드볼트(200)를 바디프론트(20)에 인입시킴으로써 데드볼트(200)가 잠금 해제된다.
데드볼트(200)가 인입됨에 따라 데드볼트(200)의 감지부(203)가 열림감지센서(810) 상에 위치하여 열림감지센서(810)에서 데드볼트(200)가 잠금 해제 된 것을 감지하게 되면, 제2모터(141)가 구동되어 제2구동기어(142) 및 종동기어(143)가 회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종동기어(143)와 일체로 형성된 가압돌출부(146)가 함께 회전하여 래치레버(700)의 가압부(730)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래치레버(700)를 회전축(701)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래치레버(700)의 회전제한부(720)가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로부터 이탈하여 가압을 해제함으로써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허용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실외에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잡아당기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당기는 힘으로 인해 도어의 스트라이커(미도시)가 래치볼트(100)를 밀어주어 회전이 가능해진 래치볼트(1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된다.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어 사용자의 당기는 힘이 제거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스프링(130, 30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래치볼트(100)와 서브래치(300)가 바디프론트(20)에서 인출되고 이에 따라 서브래치(300)의 감지부(303)가 서브래치 감지센서(830)와 맞닿게 되면서 서브래치 감지센서(830)에서 도어가 열린 것을 감지하게 되면 먼저 제2모터(141)가 역회전하여 제2구동기어(142) 및 종동기어(143)를 역회전시킴으로써 가압돌출부(146)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원위치 시키고, 이에 따라 가압돌출부(146)에 의해 래치레버(700)의 가압부(730)에 가해지던 힘이 제거되어 스프링(7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압부(730)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래치레버(700)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제한부(720)가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를 가압하여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이후, 도어가 다시 닫히게 되면 래치볼트(100)는 도어를 개방할 때와 반대로 경사면에 힘이 가해진다. 즉, 도어의 스트라이커와 래치볼트(100)의 경사면이 부딪히면서 래치볼트(100)에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미는 힘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스프링(130)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래치볼트(100)가 회전 없이 직선으로 케이스(10) 내부에 진입하게 된다.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면 스프링(130)의 힘에 의해 다시 도어틀의 홈에 래치볼트(100)가 돌출된다.
또한, 서브래치(300)가 바디프론트(20)에 인입되고 이에 따라 서브래치(300)의 감지부(303)가 서브래치 감지센서(830)에서 떨어져 이격되면서 서브래치 감지센서(830)에서 도어가 닫힌 것을 감지하게 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1모터(221)가 구동되어 제1구동기어(222) 및 데드볼트 견인기어(213)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데드볼트 견인기어(213)와 일체로 형성된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0, 211)가 함께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의 끝단이 슬라이더(201)의 장공(202)에서 상단으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201) 및 이와 일체로 형성된 데드볼트(200)를 바디프론트(20)에서 인출시킴으로써 도어가 잠긴 상태가 된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실내에서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 푸쉬풀 손잡이(미도시)를 밀거나 당길 때 도어락 모티스가 동작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닫힘으로써 데드볼트가(200)가 인출되어 잠금 상태에 있고 래치볼트(100)의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실내에서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 도어의 푸쉬풀 손잡이(미도시)를 밀거나 당기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핸들블록(930)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맞닿아 있는 패닉레버(400)을 회전시키고, 제3핸들블록(930)에 의해 회전되는 패닉레버(400)가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 맞닿아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를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 동시에 회전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가 동시에 회전하여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의 끝단이 슬라이더(201)의 장공(202)을 따라 하단으로 이동함으로써 데드볼트(200)를 바디프론트(20)에 인입시키고, 이후 패닉레버(400)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서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과 맞닿아 래치레버(700)를 회전축(701)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제한부(720)를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허용한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닉레버(400)는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는 맞닿아 있고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과는 일정거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데드볼트(200)의 인입이 완료된 후에 패닉레버(400)와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이 접촉을 시작하여 래치볼트(100)의 해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3핸들블록(930)이 회전함에 따라 제3핸들블록(930)에 일체로 형성된 록킹수단(932)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견인바(600)의 걸림턱(601)의 도면상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록킹수단(932)이 견인바(600)의 걸림턱(601)의 도면상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 상태에서는 스프링(410)의 탄성력에 의해 패닉레버(400)가 제3핸들블록(930)을 밀더라도 록킹수단(932)이 걸림턱(601)의 좌측에 걸려 넘어가지 못하는 록킹 상태가 되며, 이러한 록킹 상태에서는 걸림턱(601)의 좌측에 걸려있는 록킹수단(932)에 의해 록킹수단(932)과 일체로 형성된 제3핸들블록(930), 패닉레버(400), 패닉레버(400)에 맞닿아 있는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 및 래치레버(700)의 회전이 모두 제한되어 데드볼트(200)의 인입상태와 래치볼트(100)의 해정 상태가 지속되며, 이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미는 힘으로 도어의 스트라이커(미도시)가 래치볼트(100)를 밀어주어 회전이 가능해진 래치볼트(1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된다.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30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서브래치(300)가 바디프론트(20)에서 인출되면서 서브래치(300)의 가압돌기(302)가 견인바(600)의 돌출부(602)를 수평방향으로 밀어서 하강시킴으로써 반대편의 걸림턱(601)이 상승하여 록킹수단(932)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면서 제3핸들블록(930)이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스프링(410)의 탄성력에 의해 패닉레버(400)가 회전하면서 제3핸들블록(930)과 맞닿아 제3핸들블록(930)을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록킹수단(932)이 걸림턱(601)의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넘어가게 된다.
또한, 패닉레버(400)가 스프링(410)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위치 됨에 따라 패닉레버(400)와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가 서로 이격되어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가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제1모터(221)의 구동에 의해 데드볼트(200)를 인출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고, 패닉레버(400)와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이 서로 이격되면서 래치레버(700)가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래치레버(700)의 가압부(730)에 형성된 스프링(740)의 탄성력에 의해 래치레버(700)가 회전축(701)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레버(700)의 회전제한부(720)가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를 가압함으로써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제한한다.
이후, 도어가 다시 닫히게 되면 래치볼트(100)는 도어를 개방할 때와 반대로 경사면에 힘이 가해진다. 즉, 도어의 스트라이커와 래치볼트(100)의 경사면이 부딪히면서 래치볼트(100)에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미는 힘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스프링(130)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래치볼트(100)가 회전 없이 직선으로 케이스(10) 내부에 진입하게 된다.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면 스프링(130)의 힘에 의해 다시 도어틀의 홈에 래치볼트(100)가 돌출된다.
또한, 서브래치(300)가 바디프론트(20)에 인입되고 이에 따라 서브래치(300)의 감지부(303)가 서브래치 감지센서(830)에서 떨어져 이격되면서 서브래치 감지센서(830)에서 도어가 닫힌 것을 감지하게 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1모터(221)가 구동되어 제1구동기어(222) 및 데드볼트 견인기어(213)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데드볼트 견인기어(213)와 일체로 형성된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0, 211)가 함께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의 끝단이 슬라이더(201)의 장공(202)에서 상단으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201) 및 이와 일체로 형성된 데드볼트(200)를 바디프론트(20)에서 인출시킴으로써 도어가 잠긴 상태가 된다.
이하에서는 도 16 내지 도 20을 참고하여 실내에서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실외에서 열쇠를 삽입하여 회전시킬 때 도어락 모티스가 동작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닫힘으로써 데드볼트가(200)가 인출되어 잠금 상태에 있고 래치볼트(100)의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외에서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 열쇠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핸들블록(920)이 사용자가 열쇠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도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맞닿아 있는 패닉레버(400)을 회전시키고, 제2핸들블록(920)에 의해 회전되는 패닉레버(400)가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 맞닿아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를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 동시에 회전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가 동시에 회전하여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의 끝단이 슬라이더(201)의 장공(202)을 따라 하단으로 이동함으로써 데드볼트(200)를 바디프론트(20)에 인입시키고, 이후 패닉레버(400)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서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과 맞닿아 래치레버(700)를 회전축(701)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제한부(720)를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허용한다. 이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닉레버(400)는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는 맞닿아 있고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과는 일정거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데드볼트(200)의 인입이 완료된 후에 패닉레버(400)와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이 접촉을 시작하여 래치볼트(100)의 해정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문을 완전히 개방할 때까지 열쇠를 회전시킨 상태로 있기 때문에 제2핸들블록(920)도 회전된 상태로 고정되어 패닉레버(400) 및 패닉레버(400)에 맞닿아 있는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 래치레버(700)의 회전을 모두 제한하여 데드볼트(200)의 인입상태와 래치볼트(100)의 해정 상태가 지속되도록 하며, 이후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미는 힘으로 도어의 스트라이커(미도시)가 래치볼트(100)를 밀어주어 회전이 가능해진 래치볼트(1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된다.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어 사용자가 열쇠를 다시 원위치로 회전시키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핸들블록(920)도 동시에 회전하여 원위치 되면서 제2핸들블록(920)과 패닉레버(400)가 서로 이격되어 스프링(410)의 탄성력에 의해 패닉레버(400)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위치 됨에 따라 패닉레버(400)와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가 서로 이격되어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가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제1모터(221)의 구동에 의해 데드볼트(200)를 인출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고, 패닉레버(400)와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이 서로 이격되면서 래치레버(700)가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래치레버(700)의 가압부(730)에 형성된 스프링(740)의 탄성력에 의해 래치레버(700)가 회전축(701)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레버(700)의 회전제한부(720)가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를 가압함으로써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제한한다.
이후, 도어가 다시 닫히게 되면 래치볼트(100)는 도어를 개방할 때와 반대로 경사면에 힘이 가해진다. 즉, 도어의 스트라이커와 래치볼트(100)의 경사면이 부딪히면서 래치볼트(100)에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미는 힘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스프링(130)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래치볼트(100)가 회전 없이 직선으로 케이스(10) 내부에 진입하게 된다.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면 스프링(130)의 힘에 의해 다시 도어틀의 홈에 래치볼트(100)가 돌출된다.
또한, 서브래치(300)가 바디프론트(20)에 인입되고 이에 따라 서브래치(300)의 감지부(303)가 서브래치 감지센서(830)에서 떨어져 이격되면서 서브래치 감지센서(830)에서 도어가 닫힌 것을 감지하게 되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1모터(221)가 구동되어 제1구동기어(222) 및 데드볼트 견인기어(213)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데드볼트 견인기어(213)와 일체로 형성된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0, 211)가 함께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의 끝단이 슬라이더(201)의 장공(202)에서 상단으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201) 및 이와 일체로 형성된 데드볼트(200)를 바디프론트(20)에서 인출시킴으로써 도어가 잠긴 상태가 된다.
한편,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 2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되,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는 케이스(10), 바디프론트(20), 래치볼트(100), 제1 및 제2기어박스(220, 140), 데드볼트(200), 보조데드볼트(500), 서브래치(300), 제1 내지 제3핸들블록(910, 920, 930) 및 PCB(330)를 포함하며, 케이스(10), 바디프론트(20), 래치볼트(100), 제1 및 제2기어박스(220, 140) 및 PCB(33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데드볼트(200)는 바디프론트(20)의 인입공을 통해 인출 및 인입됨으로써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는 구성으로, 데드볼트(200)의 후면에는 외력 또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데드볼트 견인레버(210)를 통해 전후방으로 직선 이동하여 데드볼트(200)를 바디프론트(20)에서 인입 및 인출시키는 슬라이더(20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데드볼트 견인레버(210)는 슬라이더(201)에 형성된 슬라이더 홈(204)에 인입되며, 데드볼트 견인레버(210)는 패닉레버(400)와 맞닿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모터(22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데드볼트 견인레버(210)가 도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데드볼트 견인레버(210)가 슬라이더(201)의 슬라이더 홈(204)을 따라 이동하면서 슬라이더 홈(204)의 내측면과 맞닿아 슬라이더(201)를 전방으로 밀거나 후방으로 잡아당겨 데드볼트(200)를 인출 또는 인입시킨다. 또한, 패닉레버(400)가 사용자의 푸쉬풀 손잡이(미도시)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제1핸들블록(910) 및 제3핸들블록(930) 또는 열쇠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제2핸들블록(920)과 맞닿아 회전하면 패닉레버(400)와 맞닿아 있는 데드볼트 견인레버(210)가 회전하여 슬라이더(201)의 슬라이더 홈(204)을 따라 이동하여 데드볼트(200)를 인입시킨다.
제1 내지 제3핸들블록(910, 920, 930)은 제1핸들블록(910)과 제3핸들블록(930)이 일체로 결합되어 동시에 회전하고 제1핸들블록(910)과 제3핸들블록(930)의 결합 사이로 제2핸들블록(920)이 끼어있는 형태이며, 제2핸들블록(920)과 제3핸들블록(930)의 일측에는 양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의 양방향으로 회전하여 패닉레버(4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실내에서 푸쉬풀 손잡이(미도시)를 밀거나 당기면 제2핸들블록(920)은 고정된 상태로 제3핸들블록(930)이 회전되는데, 이때 제3핸들블록(930)과 제1핸들블록(910)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함께 회전하게 되며, 제3핸들블록(930)이 도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맞닿아 있는 패닉레버(400)을 회전시키고, 제3핸들블록(930)에 의해 회전되는 패닉레버(400)가 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 맞닿아 데드볼트 견인레버(210)를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데드볼트 견인레버(210)가 슬라이더(201)의 슬라이더 홈(204)을 따라 이동하여 슬라이더 홈(204)의 도면상 우측 내벽과 맞닿음으로써 데드볼트(200)를 바디프론트(20)에 인입시키고, 이후 패닉레버(400)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서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과 맞닿아 래치레버(700)를 회전축(70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회전제한부(720)를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허용한다.
이후, 패닉레버(400)가 스프링(410)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위치 됨에 따라 패닉레버(400)와 데드볼트 견인레버(210)가 서로 이격되어 데드볼트 견인레버(210)가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제1모터(221)의 구동에 의해 데드볼트(200)를 인출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고, 패닉레버(400)와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이 서로 이격되면서 래치레버(700)가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래치레버(700)의 가압부(730)에 형성된 스프링(740)의 탄성력에 의해 래치레버(700)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레버(700)의 회전제한부(720)가 프레임(150)의 측면 홈(151)을 통해 인입되어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를 가압함으로써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제한한다.
한편, 사용자가 실외에서 열쇠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제1핸들블록(910) 및 제3핸들블록(930)은 고정된 상태로 제2핸들블록(205)만 열쇠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실외에서 열쇠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제1핸들블록(910) 및 제3핸들블록(930)은 고정된 상태로 제2핸들블록(920)만 도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맞닿아 있는 패닉레버(400)을 회전시키고, 제2핸들블록(920)에 의해 회전되는 패닉레버(400)가 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 맞닿아 데드볼트 견인레버(210)를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데드볼트 견인레버(210)가 회전하여 슬라이더(201)의 슬라이더 홈(204)을 따라 하여 슬라이더 홈(204)의 우측 내벽과 맞닿음으로써 데드볼트(200)를 바디프론트(20)에 인입시키고, 이후 패닉레버(400)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서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과 맞닿아 래치레버(700)를 회전축(70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회전제한부(720)를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허용한다.
이후, 사용자가 열쇠를 다시 원위치로 회전시키면 제2핸들블록(920)도 동시에 회전하여 원위치로 돌아오게 되면서 패닉레버(400)와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410)의 탄성력에 의해 패닉레버(400)도 다시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된다.
또한, 패닉레버(400)가 스프링(410)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위치 됨에 따라 패닉레버(400)와 데드볼트 견인레버(210)가 서로 이격되어 데드볼트 견인레버(210)가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제1모터(221)의 구동에 의해 데드볼트(200)를 인출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고, 패닉레버(400)와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이 서로 이격되면서 래치레버(700)가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래치레버(700)의 가압부(730)에 형성된 스프링(740)의 탄성력에 의해 래치레버(700)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레버(700)의 회전제한부(720)가 프레임(150)의 측면 홈(151)을 통해 인입되어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를 가압함으로써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제한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에는 사용자가 실내에서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보조데드볼트(500)가 추가로 형성되며, 이러한 보조데드볼트(500)는 사용자가 실내에서 잠금장치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블록(52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진퇴블록(510)을 후방 또는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바디프론트(20)에서 인입 또는 인출된다. 이때, 회전블록(520)의 일측에는 토션스프링(530)이 결합되며, 상기 토션스프링(530)은 통상적인 스프링과 같이 압축 시 탄성력이 작용하며, 이에 따라 회전블록(520)이 회전하는 초기에는 토션스프링(530)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토션스프링(530)을 압축하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블록(520)이 탄성력에 의해 서서히 회전함에 따라 보조데드볼트(500)가 서서히 인입되다가 회전블록(520)이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게 되면 토션스프링(530)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즉, 토션스프링(530)이 인장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토션스프링(530)이 즉시 인장되면서 회전블록(520)도 그에 맞춰 급격하게 회전하면서 보조데드볼트(500)가 즉시 인입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는 사용자가 내부에서 푸쉬풀 손잡이를 조작하거나 외부에서 열쇠를 삽입하여 돌리면 제3핸들블록 및 제2핸들블록이 패닉레버를 회전시키고, 패닉레버가 회전하면서 제1 및 제2데드볼트견인레버와 래치레버를 회전시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를 해정시키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 또는 열쇠를 통해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를 바로 해정시킬 수 있어 도어를 빠르게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래치볼트가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해정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를 조작하지 않아도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를 해정시켜 도어를 간편하게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케이스
20 : 바디프론트
100 : 래치볼트
110 : 걸림턱
120 : 돌출부
130 : 스프링
140 : 제2기어박스
141 : 제2모터
142 : 제2구동기어
143 : 종동기어
144 : 캠
145 : 제한부
150 : 프레임
151 : 홈
200 : 데드볼트
201 : 슬라이더
202 : 장공
203 : 감지부
210 :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
211 :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
213 : 데드볼트 견인기어
220 : 제2기어박스
221 : 제1모터
222 : 제1구동기어
300 : 서브래치
301 : 스프링
302 : 가압돌기
303 : 감지부
400 : 패닉레버
410 : 스프링
600 : 견인바
601 : 걸림턱
602 : 돌출부
603 : 스프링
604 : 힌지축
700 : 래치레버
701 : 회전축
710 : 하단걸림턱
720 : 회전제한부
730 : 가압부
740 : 스프링
800 : PCB
810 : 열림감지센서
820 : 닫힘감지센서
830 : 서브래치 감지센서
910 : 제1핸들블록
911 : 제1결합홀
920 : 제2핸들블록
921 : 제2결합홀
922 : 가이드홈
930 : 제3핸들블록
931 : 제3결합홀
932 : 록킹수단
<다른 실시예>
210 : 데드볼트 견인레버
204 : 슬라이더 홈
500 : 보조데드볼트
510 : 진퇴블록
520 : 회전블록
530 : 토션스프링
20 : 바디프론트
100 : 래치볼트
110 : 걸림턱
120 : 돌출부
130 : 스프링
140 : 제2기어박스
141 : 제2모터
142 : 제2구동기어
143 : 종동기어
144 : 캠
145 : 제한부
150 : 프레임
151 : 홈
200 : 데드볼트
201 : 슬라이더
202 : 장공
203 : 감지부
210 :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
211 :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
213 : 데드볼트 견인기어
220 : 제2기어박스
221 : 제1모터
222 : 제1구동기어
300 : 서브래치
301 : 스프링
302 : 가압돌기
303 : 감지부
400 : 패닉레버
410 : 스프링
600 : 견인바
601 : 걸림턱
602 : 돌출부
603 : 스프링
604 : 힌지축
700 : 래치레버
701 : 회전축
710 : 하단걸림턱
720 : 회전제한부
730 : 가압부
740 : 스프링
800 : PCB
810 : 열림감지센서
820 : 닫힘감지센서
830 : 서브래치 감지센서
910 : 제1핸들블록
911 : 제1결합홀
920 : 제2핸들블록
921 : 제2결합홀
922 : 가이드홈
930 : 제3핸들블록
931 : 제3결합홀
932 : 록킹수단
<다른 실시예>
210 : 데드볼트 견인레버
204 : 슬라이더 홈
500 : 보조데드볼트
510 : 진퇴블록
520 : 회전블록
530 : 토션스프링
Claims (9)
- 바디프론트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되어 도어가 스스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폐쇄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마련되며, 돌출부가 형성된 래치볼트;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거나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회전제한부와 외력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제한부를 회전시키는 가압부가 형성된 래치레버;
상기 래치레버의 상기 가압부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된 종동기어; 및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기어에 전달하기 위한 제2구동기어가 형성된 제2기어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2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2구동기어 및 상기 종동기어가 회전을 하여 상기 가압돌출부 상기 래치레버 상기 가압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래치레버의 상기 회전제한부가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허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는 스프링이 형성되며,
상기 제2모터가 역회전하여 상기 종동기어의 상기 가압돌출부가 상기 래치레버의 상기 가압부와 이격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가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래치레버의 상기 회전제한부가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의 일측에는 캠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캠의 양단에는 상기 캠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제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
- 바디프론트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되어 도어가 스스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폐쇄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래치볼트;
상기 바디프론트에서 인출 및 인입되어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기 위해 마련되며,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으로 직선 이동하는 슬라이더가 일체로 형성된 데드볼트;
푸쉬풀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동시에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제1핸들블록; 및 제3핸들블록;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래치레버;
상기 제3핸들블록과 맞닿아 회전하여 상기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와 상기 래치레버를 회전시키는 패닉레버; 및
중앙에 형성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좌우에 형성된 돌출부 및 걸림턱이 각각 서로 반대로 상하 이동하도록 형성된 견인바;를 포함하며,
상기 푸쉬풀 손잡이가 작동되면 상기 제3핸들블록이 회전하면서 상기 패닉레버를 회전시키고, 상기 패닉레버가 상기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바디프론트에 인입시킨 후 상기 래치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핸들블록의 일측에 록킹수단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록킹수단이 상기 견인바의 걸림턱에 걸림으로써 상기 패닉레버의 회전을 제한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 허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모티스는,
열쇠의 회전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패닉레버를 회전시키는 제2핸들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모티스는,
상기 바디프론트에서 인입 및 인출됨으로써 도어의 닫힘 및 열림 상태를 감지하며, 상기 견인바의 돌출부를 수평 방향으로 밀어 하강시키는 가압돌기가 형성된 서브래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견인바의 돌출부를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견인바의 걸림턱을 상승시켜 상기 걸림턱과 상기 록킹수단의 걸림이 풀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
- 바디프론트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되어 도어가 스스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폐쇄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마련되며, 돌출부가 형성된 래치볼트;
상기 바디프론트에서 인출 및 인입되어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기 위해 마련되며,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으로 직선 이동하는 슬라이더가 일체로 형성된 데드볼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거나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래치레버;
상기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와 상기 래치레버를 회전시키는 패닉레버;
상기 패닉레버를 회전시키는 제1핸들블록;, 제2핸들블록; 및 제3핸들블록;
중앙에 형성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좌우에 형성된 돌출부 및 걸림턱이 각각 서로 반대로 상하 이동하도록 형성된 견인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2핸들블록 또는 상기 제3핸들블록이 회전하면서 상기 패닉레버를 회전시키고, 상기 패닉레버가 상기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바디프론트에 인입시킨 후 상기 래치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레버는,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거나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회전제한부; 및
외력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제한부가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탈하거나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도록 하는 가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2010076802.6A CN111577016B (zh) | 2019-02-15 | 2020-01-23 | 碰簧销自动解锁型门锁插芯 |
TW110116541A TWI764710B (zh) | 2019-03-19 | 2020-03-16 | 碰簧銷自動解鎖型門鎖插芯 |
TW109108571A TWI743708B (zh) | 2019-03-19 | 2020-03-16 | 碰簧銷自動解鎖型門鎖插芯 |
KR1020210023264A KR102313116B1 (ko) | 2019-02-15 | 2021-02-22 |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0018100 | 2019-02-15 | ||
KR1020190018100 | 2019-02-15 | ||
KR1020190030875 | 2019-03-19 | ||
KR20190030875 | 2019-03-19 | ||
KR1020190084336A KR20200111596A (ko) | 2019-03-19 | 2019-07-12 | 래치볼트 자동 해정식 도어락 모티스 |
KR1020190084333A KR20200099948A (ko) | 2019-02-15 | 2019-07-12 | 래치볼트 자동 인입형 도어락 모티스 |
KR1020190084336 | 2019-07-12 | ||
KR1020190084333 | 2019-07-12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3264A Division KR102313116B1 (ko) | 2019-02-15 | 2021-02-22 |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9959A true KR20200099959A (ko) | 2020-08-25 |
KR102260668B1 KR102260668B1 (ko) | 2021-06-04 |
Family
ID=722928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4851A KR102260668B1 (ko) | 2019-02-15 | 2019-12-11 |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 |
KR1020210023264A KR102313116B1 (ko) | 2019-02-15 | 2021-02-22 |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3264A KR102313116B1 (ko) | 2019-02-15 | 2021-02-22 |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26066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9598B1 (ko) | 2021-04-19 | 2022-09-29 | 에이치디씨랩스 주식회사 | 수동으로 잠금해제가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 |
KR102456722B1 (ko) * | 2021-07-21 | 2022-10-18 | 주식회사 라오나크 | 래치 볼트 이중 잠김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1785B1 (ko) * | 2017-12-20 | 2018-08-24 | (주)이노인스트루먼트 | 데드볼트의 잼현상을 방지하는 도어록 모티스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078504B2 (ja) * | 2018-09-27 | 2022-05-31 | 美和ロック株式会社 | 施解錠装置 |
-
2019
- 2019-12-11 KR KR1020190164851A patent/KR10226066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2-22 KR KR1020210023264A patent/KR10231311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1785B1 (ko) * | 2017-12-20 | 2018-08-24 | (주)이노인스트루먼트 | 데드볼트의 잼현상을 방지하는 도어록 모티스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9598B1 (ko) | 2021-04-19 | 2022-09-29 | 에이치디씨랩스 주식회사 | 수동으로 잠금해제가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 |
KR102456722B1 (ko) * | 2021-07-21 | 2022-10-18 | 주식회사 라오나크 | 래치 볼트 이중 잠김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60668B1 (ko) | 2021-06-04 |
KR102313116B1 (ko) | 2021-10-15 |
KR20210074239A (ko) | 2021-06-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387031B (en) | Multi-point locking system | |
KR102313116B1 (ko) |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 | |
KR101873396B1 (ko) | 양방향 해정 도어락 모티스 | |
KR101710986B1 (ko) | 후크걸림구조 도어락 모티스 | |
KR200464167Y1 (ko) | 디지털 도어록 | |
KR20200111596A (ko) | 래치볼트 자동 해정식 도어락 모티스 | |
KR20200099948A (ko) | 래치볼트 자동 인입형 도어락 모티스 | |
CN109236041B (zh) | 锁舌结构、自动锁装置及工作方法 | |
KR200458730Y1 (ko) | 오링 내장형 동력 전달수단을 구비한 패닉 기능을 갖는 도어록 | |
CN111577016B (zh) | 碰簧销自动解锁型门锁插芯 | |
KR100630945B1 (ko) | 디지털 도어록의 모티스 장치 및 도어 시스템 | |
CN210685639U (zh) | 双舌自弹锁闭锁体 | |
TWI743708B (zh) | 碰簧銷自動解鎖型門鎖插芯 | |
KR100855307B1 (ko) |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 | |
KR101673493B1 (ko) | 양방향으로 잠금해제가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 | |
CN114135169B (zh) | 一种锁具及箱包 | |
CN211008160U (zh) | 锁体下置式抽屉型手动保险柜 | |
KR200393226Y1 (ko) | 모티스 록 장치 | |
KR101891784B1 (ko) | 래치볼트가 임의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록 모티스 | |
AU6667400A (en) | Improvements in electric strikes | |
KR101993260B1 (ko) | 래치회동식 도어락 모티스 | |
CN221627929U (zh) | 一种双开密码锁 | |
KR200378846Y1 (ko) | 도어록의 모티스 | |
JP2004353378A (ja) | 戸先錠解除機構付き開口部装置 | |
CN109386186B (zh) | 门闩转动式门锁插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