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7642B1 - 데드볼트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모티스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데드볼트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모티스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642B1
KR100907642B1 KR1020090028110A KR20090028110A KR100907642B1 KR 100907642 B1 KR100907642 B1 KR 100907642B1 KR 1020090028110 A KR1020090028110 A KR 1020090028110A KR 20090028110 A KR20090028110 A KR 20090028110A KR 100907642 B1 KR100907642 B1 KR 100907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ad bolt
bolt
latch bolt
hous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옥
Original Assignee
이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옥 filed Critical 이상옥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 조작시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가 함께 후퇴 언록킹되어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고, 핸들조작과 상관없이 문이 닫힐 경우에는 래치볼트의 진퇴동작에 의하여 데드볼트가 자동으로 격발 록킹되는 구조를 갖는 모티스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드볼트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모티스 잠금장치는 출입공이 형성되고 도어에 일측에 고정되는 노출체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내장체와, 내장체와 연결되고 경사면과 걸림면을 갖고 상기 하우징 노출체의 출입공을 드나드는 진퇴체와, 진퇴체가 노출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제1탄성부재와, 후크를 포함하는 래치볼트;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내장부와, 내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노출체의 출입공을 드나드는 진퇴부와, 진퇴부가 노출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데드볼트; 도어 내외면에 노출 장착되는 핸들; 상기 핸들과 연결되어 선회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축설되고, 각각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를 위한 제1 및 제2 작동부와, 상기 후크를 위한 언후킹부를 갖는 선회체를 포함하는 언록킹어셈블리; 상기 언록킹어셈블리의 제2작동부에 의하여 후퇴된 상기 데드볼트를 일시 정지시키는 정류체; 및 상기 언록킹어셈블리와 무관하게 진퇴되는 상기 래치볼트의 동작시 상기 후크에 의하여 동작되어 상기 정류체에 의하여 정지된 상기 데드볼트를 전진 록킹시키는 격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모티스, 래치볼트, 데드볼트, 자동록킹, 격발, 트리거, 해머, 기계식

Description

데드볼트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모티스 잠금장치{MORTISE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핸들 조작시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가 함께 후퇴 언록킹되어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고, 핸들조작과 상관없이 문이 닫힐 경우에는 래치볼트의 진퇴동작에 의하여 데드볼트가 자동으로 격발 록킹되는 구조를 갖는 모티스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드볼트를 위한 '기계식' 격발수단을 움직이도록 래치볼트에 구비된 후크가 핸들 조작시에는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언후킹부를 갖는 언록킹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있어
전원이 불필요하여 통상적으로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는 '전자식' 잠금장치의 배터리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동작신뢰성이 탁월하여 조립 및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고, 오작동의 문제가 없어 높은 품질을 갖고 잔고장으로 인한 빈번한 수리 문제를 해결하여 상품성이 뛰어난 모티스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틀에 고정되는 도어 힌지측 반대쪽에 구비되고 문틀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어 도어를 록킹하는 역할을 하는 모티스 잠금장치는 래치볼트와 함께 데드볼트를 갖는 형태의 것이 메인 잠금장치로 활용되고 있다.
종래 주식회사 케이코하이텍의 특허등록 제0399168호(2003.09.09) [도어록킹장치] 및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의 특허등록 제0728658호(2007.06.08) [이중 풀림 기능을 갖는 모티스 락]이 제시되어 있으나,
구성 부품수가 많고 그만큼 동작이 복잡하여 조립성 및 오작동 관련 품질면에서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또 (주)나이락의 특허등록 제0855307호(2008.08.25)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이 제시되어 있는데,
도어의 개방을 위하여 핸들 조작시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가 함께 후퇴 언록킹하고, 이후 사용자가 핸들을 놓을 경우, 탄성장치(통상 유압 속도조절 장치를 갖는 도어클로우저)의 작용으로 도어가 강제로 닫히게 되는데
이때 언록킹되어 있던 데드볼트가 문틀의 홈에 위치하는 래치볼트의 전진 동작과 연동되어 자동으로 록킹되는 기술에 대한 명확한 제시가 없고,
또 래치볼트의 전진과 동시에 데드볼트가 전진되는 경우 데드볼트가 문틀 홈에 삽입되기 전에 돌출되어 문틀과의 마찰 및 소음 발생을 일으키게 된다.
나아가 (주)엔담의 제0849524호(2008.07.24)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및 특허등록 제0856743호(2008.08.29)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에서는 도어의 닫힘 상태 감지를 위한 체크볼트의 수납시 연동되어 데드볼트가 자동으로 전진되어 문틀의 홈에 안착되도록 하는 스톱 브레이커를 제시하고 있으나 체크볼트가 불필요한 잠금장치에서는 무용한 기술이어서 범용성 제공과 관련하여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핸들 조작시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가 함께 후퇴 언록킹되어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고, 핸들조작과 상관없이 문이 닫힐 경우에는 래치볼트의 진퇴동작에 의하여 데드볼트가 자동으로 격발 록킹되는 구조를 가지며, 특히 데드볼트를 위한 '기계식' 격발수단을 움직이도록 래치볼트에 구비된 후크가 핸들 조작시에는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언후킹부를 갖는 언록킹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있어 전자식 방식에 비하여 전원이 불필요하여 통상적으로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는 전자식 잠금장치의 배터리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메인 잠금장치에 있어서 필수적인 래치볼트와 데드볼트의 연동 동작을 위한 구성요소에 후크와 격발수단, 그리고 언후킹부를 구성하여 범용성을 구현하고 무엇보다도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동작신뢰성이 탁월하여 조립 및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고, 오작동의 문제가 없어 높은 품질을 갖고 잔고장으로 인한 빈번한 수리 문제를 해결하여 상품성이 뛰어난 데드 볼트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모티스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래치볼트의 후크가 상기 언록킹어셈블리의 언후킹부와 접촉하는 들림돌기를 갖는 형태로 구성하여 동작신뢰성을 확보하고, 상기 격발수단은 상기 후크와 연계되는 걸림부 및 타격부를 갖는 트리거 및 상기 트리거의 타격부에 의하여 움직여 상기 데드볼트를 전진시키도록 축설된 해머를 포함하는 형태로 하여 오동작을 방지함과 아울러 제한된 하우징 내에 모든 부품이 내장되면서도 데드볼트 자동록킹을 위한 격발에 필요한 충분한 힘을 발휘하면서도 조밀한(compact) 구성을 갖고, 아울러 상기 언록킹어셈블리의 제2작동부에 의하여 후퇴된 상기 데드볼트를 일시 정지시키는 정류체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정류체는 상기 데드볼트와 상시 접촉하고 축설 선회되도록 하고, 상기 언록킹어셈블리는 선회체의 제2작동부와 결합되는 피작용부와, 상기 정류체와 접촉하는 작용부를 갖고 축설된 작동체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된 모티스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도어에 장착된 상태 그대로 래치볼트의 경사면 역전이 가능하도록 걸림해제수단이 하우징의 노출체 측에 구비된 모티스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잠금장치는
출입공이 형성되고 도어에 일측에 고정되는 노출체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내장체와, 내장체와 연결되고 경사면과 걸림면을 갖고 상기 하우징 노출체의 출입공을 드나드는 진퇴체와, 진퇴체가 노출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제1탄성부재와, 후크를 포함하는 래치볼트;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내장부와, 내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노출체의 출입공을 드나드는 진퇴부와, 진퇴부가 노출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데드볼트;
도어 내외면에 노출 장착되는 핸들;
상기 핸들과 연결되어 선회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축설되고,
각각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를 위한 제1 및 제2 작동부와, 상기 후크를 위한 언후킹부를 갖는 선회체를 포함하는 언록킹어셈블리;
상기 언록킹어셈블리의 제2작동부에 의하여 후퇴된 상기 데드볼트를 일시 정지시키는 정류체; 및
상기 언록킹어셈블리와 무관하게 진퇴되는 상기 래치볼트의 동작시 상기 후크에 의하여 동작되어 상기 정류체에 의하여 정지된 상기 데드볼트를 전진 록킹시키는 격발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잠금장치에서 상기 래치볼트의 후크는 상기 내장체에 축설되며, 상기 격발수단과 걸리는 방향으로 탄성을 발휘하는 스프링을 갖고,
상기 래치볼트의 후크는 상기 언록킹어셈블리의 언후킹부와 접촉하는 들림돌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잠금장치에서 상기 격발수단은 상기 후크와 연계되는 걸림부 및 타격부를 갖는 트리거를 포함하고,
상기 격발수단은 상기 트리거의 타격부에 의하여 움직여 상기 데드볼트를 전진시키도록 축설된 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류체는 상기 데드볼트와 상시 접촉하고 축설 선회되며, 상기 언록킹어셈블리는 선회체의 제2작동부와 결합되는 피작용부와, 상기 정류체와 접촉하는 작용부를 갖고 축설된 작동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드볼트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모티스 잠금장치는 핸들조작과 상관없이 문이 닫힐 경우에는 래치볼트의 진퇴동작에 의하여 데드볼트가 자동으로 격발 록킹되는 구조를 가지며, 특히 데드볼트를 위한 '기계식' 격발수단을 움직이도록 래치볼트에 구비된 후크가 핸들 조작시에는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언후킹부를 갖는 언록킹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있어 전자식 방식에 비하여 전원이 불필요하여 통상적으로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는 전자식 잠금장치의 배터리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메인 잠금장치에 있어서 필수적인 래치볼트와 데드볼트의 연동 동작을 위한 구성요소에 후크와 격발수단, 그리고 언후킹부를 구성하여 범용성을 구현하고 무엇보다도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동작신뢰성이 탁월하여 조립 및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고, 오작동의 문제가 없어 높은 품질을 갖고 잔고장으로 인한 빈번한 수리 문제를 해결하여 상품성이 뛰어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데드볼트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모티스 잠금장치는 상기 래치볼트의 후크가 상기 언록킹어셈블리의 언후킹부와 접촉하는 들림돌기를 갖는 형태로 구성하여 동작신뢰성을 확보하고, 상기 격발수단은 상기 후크와 연계되는 걸림부 및 타격부를 갖는 트리거 및 상기 트리거의 타격부에 의하여 움직여 상기 데드볼트를 전진시키도록 축설된 해머를 포함하는 형태로 하여 오동작을 방지함과 아울러 제한된 하우징 내에 모든 부품이 내장되면서도 데드볼트 자동록킹을 위한 격발에 필요한 충분한 힘을 발휘하면서도 조밀한(compact) 형태로 수납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잠금장치는 장착된 상태 그대로 역전이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모티스 잠금장치는 걸림해제수단이 하우징의 노출체 측에 구비되어 있어 숙련자 뿐 아니라 숙련되지 않은 설치 작업자나 일반인의 경우에도 모티스 잠금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래치볼트의 설치 방향 오류를 해소할 수 있어 편리하고 작업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잠금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a 및 도 6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래치볼트(20)의 진퇴체(23)의 경사면(23B)쪽을 정면으로 하며, 경사면은 실 내측, 즉 도어 내측을 향하게 되며,
진퇴체(23)의 걸림면(23C)쪽을 배면으로 하고, 걸림면은 실외측, 즉 도어 외측을 향하여 배열되어 있다.
또 도어가 고정되는 문틀의 홈(장붓구멍)에 결합되는 래치볼트(20) 진퇴체(23) 쪽을 외측 또는 전방으로 하고 그 반대쪽을 내측 또는 후방으로 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래치볼트(20), 데드볼트(40), 체크볼트(47) 등의 작동 구성요소는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하여 변형 후 복원되는데, 이러한 탄성부재는 대개의 경우 구분 없이 공통적으로 참조부호 'S'로 지칭하며(도 4a 내지 도 4e에서는 탄성부재, 특히 코일스프링(S)이 해당 구성요소의 동작(예: 데드볼트(40)의 진퇴)에 따라 수축 팽창하는 모습이 편의상 생략되고 상시 팽창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아울러 선회 운동을 하는 구성요소를 위한 고정축은 역시 공통적으로 참조부호 'A'로 지칭한다.
참고로 대부분의 도면에서는 모티스 잠금장치는 좌수형태로 장착되는 구조(도어 패널이 문틀에 좌측에 구비된 힌지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는 구조)(래치볼트(20)의 경사면(23B) 방향에 의하여 좌우수 형태가 정해진다)로 도시되어 있다.
또 도 1a 내지 도 4e는 데드볼트(40) 자동 록킹 구조를 중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군이며,
도 5 내지 도 9b 장착된 상태 그대로 경사면(23B)의 역전이 가능한 래치볼트(20)를 중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군으로,
두 도면군의 주된 차이점은 도어의 닫힘 상태 감지를 위한 체크볼트(47)가 구비되어 있는가(전자) 없는가(후자)이고,
또 각 도면에서는 편의상 각 구성요소에 대한 모든 참조부호를 나타내지 않고 필요한 도면 참조부호만을 나타내었다.
먼저, 도 1a, 도 1b, 도 4a,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잠금장치는 하우징(10) 내측, 즉 도어 패널에 수납되는 매립체(15) 내부에는 하우징(10) 노출체(11)의 상하 출입공(11B)(11A)(도 6 참조)을 드나드는 데드볼트(40) 및 래치볼트(20)(특히 진퇴체(23))가 구비되어 있다.
또 도 1a 및 도 2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 매립체(15) 배면은 커버(17)에 의하여 덮이고, 상기 커버(17)는 내면에 다양한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어 각 구성요소의 고정 및 원활한 선회운동 및 진퇴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래치볼트(20)는 핸들(H)(도 4a 및 도 5 참조)(해당 도면에서는 편의상 핸들(H)이 수직 배열되어 있으나, 통상 수평 배열되는 것이 일반적)이 축설 연결된 언록킹어셈블리(50)의 제1작동부(51A)가 시계방향으로 선회 후퇴하면서
제1작동부와 암수 결함된 래치볼트(20)의 내장체(21)가 후퇴하고, 이에 따라 진퇴체(23)도 후퇴하여 문의 개방이 가능하며,
핸들(H)을 놓으면 래치볼트(20)의 전진 복원을 위한 제1탄성부재(S)(또는 핸들만을 위한 별도의 비틀림코일스프링(미(未)지시됨) 도입 가능)의 힘에 의하여 핸들 및 래치볼트가 원상 복귀되며, 래치볼트는 다시 문틀의 홈에 삽입된다.
상기 래치볼트(20)의 진퇴체(23)는 경사면(23B)이 정면, 즉 실내측을 향하여 배열되어 있어 핸들(H)을 조작하지 않아도
도어를 강제로 닫는 탄성장치(통상 유압 속도조절 장치를 갖는 도어클로우저)에 의하여 열린 문이 완전히 닫힐 수 있다.
따라서 래치볼트(20) 진퇴체(23) 경사면(23B)의 방향은 모티스 잠금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상태에서 실내측을 향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도면에서 상기 래치볼트(20)의 내장체(21)에는 상기 핸들(H)과 연계된 제1작동부(51A)의 구속을 받지 않고 후퇴가능하도록 슬라이드홈(21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모티스 잠금장치의 도어 장착시 상기 노출체(11)의 상하 브라켓(13)에 형성된 고정공(13a)을 통하여 나사못를 박아 고정하는 형태가 보편화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데드볼트(40)는 핸들(H)(도 4a 및 도 5 참조)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하우징(10) 매립체(15) 내로 후퇴 수납되어 문틀의 홈과 분리되므로 언록킹 동작을 한다.
또 이후에 이하에서 상술하는 바와 같이 핸들 동작과 무관하게 도어를 강제로 닫는 탄성장치(통상 유압 속도조절 장치를 갖는 도어클로우저)에 의하여 도어가 닫힐 경우 래치볼트(20)의 진퇴체(23)가 문틀과 접촉하면서 후퇴한 후 다시 제1탄성부재(S)에 의하여 전진하여 문틀의 해당 홈(장붓구멍)에 삽임됨에 따라
격발수단(70)에 의하여 정류체(60)에 의하여 유지되던 언록킹상태(진퇴부(43)가 하우징 매립체(15)에 수납된 상태)가 해제되어 데드볼트(40)의 진퇴 부(43)가 전진하여 문틀의 홈에 삽입되어 다시 록킹상태로 복귀되는 '기계식' 자동 록킹 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1a, 도 1b, 도 5 및 도 6에서,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잠금장치는 도어패널에 수납 내장되는 매립체(15)와 데드볼트(40) 및 래치볼트(20)의 진퇴를 위한 상하 출입공(11B)(11A)을 갖는 노출체(11)를 포함하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상기 래치볼트(20)는 상기 하우징(10) 내, 즉 매립체(15)에 위치하는 내장체(21)와, 내장체와 연결되고 경사면(23B) 및 걸림면(23C)을 갖고(도 3b의 [다] 참조) 상기 하우징 노출체의 출입공을 드나드는 진퇴체(23), 그리고 진퇴체가 노출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제1탄성부재(S)와, 후크(27)를 포함한다.
상기 래치볼트(20)의 후크(27)는 도 3b의 [가](정면도), [나](배면도), [다](평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내장체(21) 배면에서 나사공(A')에 볼트에 의하여 축(A) 결합되어 선회 운동이 가능하고,
도 3b, 도 1c 및 도 2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격발수단(70)과 걸리는 방향으로 탄성을 발휘하는 스프링(S)을 갖고,
격발수단(70)을 이루는 트리거(71)의 걸림부(71A)와의 원활한 후킹 및 언후킹 동작을 위하여 실질적으로 후단부가 갈고리 기능을 하며, 상부쪽으로는 트임부(27a)를 이루는 구조이이며,
후크(27)의 안정된 선회운동을 위하여 상기 내장체(21) 후면에는 고정축(A)과 떨어진 쪽에 만곡진 돌기로 이루어진 받침부(21C)(도 3b [나]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후크(27)는 상기 언록킹어셈블리(50)(도 1b 참조)의 언후킹부(51C)와 접촉하는 들림돌기(27A)를 가져서
핸들(H) 선회에 의한 도어 개방 동작시에는 격발수단(70)이 동작되지 않도록 언후킹부(51C)에 의하여 돌림돌기(27A)가 접촉하면서 후크(27)가 하강하여 격발수단(70)을 이루는 트리거(71) 걸림부(71A)와의 후킹 동작을 방해하게 된다.
이하에서 도 5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는 바와 같이, 도 3b에서는 래치볼트(20)의 내장체(21)와 진퇴체(23)는 상호 결합부(21A)(23A)를 통하여 선회가 가능하여 상기 진퇴체(23)의 경사면(23B) 역전이 가능한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a 내지 도 1c와, 도 2a(배면쪽에서 바라 본, 하우징 생략도면) 및 도 2b(정면쪽에서 바라 본, 하우징 생략(커버(17) 제외)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데드볼트(40)는 상기 하우징(10) 내, 즉 매립체(15)에 위치하는 내장부(41)와, 내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노출체(11)의 출입공(11B)(도 6 참조)을 드나드는 진퇴부(43)와, 진퇴부가 노출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제2탄성부재(S)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제2탄성부재(S)는 상기 데드볼트(40)의 중공부(41a)(도 1c 참조)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그 후단부는 하우징 매립체(15) 내면에 형성된 돌기(미(未)지칭됨)에 끼워져 고정되고,
그 전단부는 중공부(41a)의 전방 면을 지지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를 조금더 확장하여 표현하면 상기 제2탄성부재(S)의 일단은 하우징(10)에 결합되고, 타단은 데드볼트(40)에 결합되는 형태로 배열된다.
도 1b 내지 도 2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데드볼트(40)의 내장부(21)는
상기 언록킹어셈블리(50)의 제2작동부(51B)에 의하여 연동 후퇴된 상기 데드볼트(40)를 일시 정지시키는 정류체(60)와 결합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a 및 도 2b와, 도 4a [가], 도 4b [가], 도 4d [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데드볼트(40)의 체결부(45) 전후단에는 데드볼트의 록킹(진퇴부(43) 전진) 및 언록킹(진퇴부 후퇴)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모서리부(45B, 도 4d [가] 참조)(45A, 도 4b [가] 참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정류체(60)는 체결부(45)에 대응 결합되는 체결부(61)를 갖는데, 특히 상기 모서리부(45A)(45B)에 대응되는 모서리를 갖는 마름모꼴 형상의 정류돌기(61a)(도 2a 및 도 4b [가] 참조)를 갖는다.
또 상기 정류체(60) 및 상기 데드볼트(40)의 양 체결부(61)(45)는 상호 상시 접촉하며,
상기 정류체(60)는 축설 선회되는데, 특히 도어 내측에서 강제 잠금을 위하여 결합된 레버(미(未)도시됨) 등에 의하여 데드볼트의 강제 록킹-언록킹 동작을 하는 기능을 위한 중공(65)을 중심으로 선회운동이 가능하고,
데드볼트(40)의 완전 록킹-언록킹 위치의 상태는 정류체(60)의 돌기(63)(도 1c, 도 2a, 도 4a [가], 도 4b [나])를 가압하는 스프링(S)에 의하여 고정되는데,
그 고정력은 특히 데드볼트의 전후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주로 저항한다.
도어의 닫힘 상태 감지를 위한 체크볼트(47)(실내외측으로 모두 경사부 형성됨)는 역시 도 1c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S)에 의하여 탄지되고, 도어 닫힘시 문틀면에 의하여 가압 후퇴되며,
이에 따라 그 내장부 후단에 위치한 택트스위치(미(未)도시됨)의 접속으로 감지가 이루어져 공회전수단(55)(도 1b 참조)을 이루는 모터(55A)의 제어 등을 위하여 마이컴에서의 일련의 프로세스가 진행되며, 이는 특히 전자식 잠금장치(일명 '디지털 도어락') 구성을 위한 공지의 필수 부품에 해당한다.
도 1b 내지 도 2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핸들(H)(도 4a [가] 참조)과 결합되어 래치볼트(20) 및 데드볼트(40)의 작동을 위한 언록킹어셈블리(50)는 선회체(51)를 포함하며, 상기 선회체에는 제1 및 제2 작동부(51A)(51B) 및 언후킹부(51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작동부(51A)는 상기 래치볼트(20)의 슬라이드홈(21B) 후단부와 접촉하여 래치볼트의 후진을 강제하고(상기 래치볼트(20) 내장체(21) 형성된 슬라이드홈(21B)은 상기 핸들(H)과 연계된 제1작동부(51A)의 구속을 받지 않고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장홈 형태이다),
상기 제2작동부(51A)는 상기 데드볼트(40)를 후퇴시키는데, 직접적으로 데드볼트(40)와 결합된 형태가 아니라 컴팩트한 구조와 자동 격발 록킹구조, 그리고 록킹-언록킹 상태 임시 정지(정류) 등의 구현을 위하여 별도의 작동체(57) 및 정류체(60)를 거쳐 데드볼트를 후진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작동부(51A)는 도 4a [가] 및 [나]의 동작상태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핸들(H)의 선회에 따라 선회체(51)를 따라 홈 형상의 제2작동부(51B)가 변위되는 경우 고정축(A)을 중심으로 작동체(57)의 피작용부(57A)를 가압하여 작동체가 선회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작동체의 작용부(57B)가 상기 정류체(60)의 작용면(61A)을 가압하여 역시 정류체(60)를 선회시키고(중공(65)을 축으로),
상기 대응 체결부(61) 정류돌기(61a)의 작용으로 상기 데드볼트(40) 내장부(41)의 체결부(45)(양 체결부(61)(45)는 상시 접촉 상태)를 밀어
데드볼트(40)가 전방 모서리부(45B)에 결합된 정류돌기(61a) 모서리면으로 인한 록킹 정류 상태에서 벗어나
정류체(60) 돌기(63) 일면을 가압하고 있던 스프링(S)의 탄성을 이기고 변위되면서
결국 데드볼트(40)는 후퇴 언록킹 상태에 정류되고
이때 상기 정류체(60) 정류돌기(61a)의 모서리면은 상기 데드볼트(40) 후방 모서리부(45A)와 결합되며,
상기 정류체의 돌기(63)의 타면은 다시 스프링(S)에 의하여 가압되어 정류된 다.
다음으로 도 3a, 도 2a 및 도 2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핸들의 결합을 위한 연결축(80)이 상기 언록킹어셈블리(50)를 이루는 선회체(51)의 중공에 결합되는데,
상기 연결축(80)은 도어 외측 핸들과 결합되는 외축(81)과 도어 내측 핸들과 결합되는 내측(83)을 갖고,
상기 내외축(83)(81)의 결합과 상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선회 보장을 위한 슬리브(83A)와 연장바(83B)는 볼트(B2)에 의하여 결합 고정되며,
상기 외축(81)은 슬리브(83A)에 내장되는 부위에 형성된 환형 이탈방지홈(81a)에 결합되어 이탈방지와 외축의 제자리 원운동을 보장하는 볼트(B1)에 의하여 고정된다([가]와 [나] 사이에 위치한 배면도에서의 "A-A" 선을 따라 절개한 [나] 도면 참고).
상기 외축(81)의 슬리브(83A) 인접 부분은 상기 선회체(51)의 내측회전체(53) 사각 중공에 결합되며,
상기 슬리브(83A)의 외축(81) 인접 부분인 단면적 확장부(83a)(외축에 비하여 단면적이 크다는 의미)는 상기 선회체(51) 내측 중공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어 외부에서는 모티스 잠금장치가 록킹상태에 있을 때 외측 핸들을 동작시켜도 걸림 없이 무단 선회되어 모티스 잠금장치의 하우징 내부 부품을 구성하기 위하여 공회전 구조를 도입하기 위한 것이다.
즉 언록킹어셈블리(50)의 공회전수단(55)과 관련하여 잠금장치 마이컴의 신호에 따라 모터(55A)가 선회되어 나선체(55a)의 하단에 스프링(55C) 일단부가 위치하면, 중간 축핀(A)(도 2 참조)을 중심으로 탄성이 발휘되어 상기 선회체(51) 몸체에 박혀 있는 록커(55B)(상기 스프링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있음)가 인출되어
외측 핸들(H)의 동작에 따라 선회되는 연결축(80)의 외축(81)의 회전력은 내측회전체(53)까지는 회전시키지만, 이 힘은 선회체(51)까지 전달되지 않는다.
한편 잠금장치 마이컴의 신호(예: 전자식 잠금장치의 번호 입력부에서 입력된 비밀번호가 저장된 기준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발생되는 개방 동작 신호)에 따라 다시 모터(51A)가 반대로 선회되면 나선체(55a)의 상단에 스프링(55C) 일단부가 위치하고 다시 축핀(A)을 중심으로 탄성이 발휘되어 스프링의 타단부에 힘이 작용하여 록커(55B)가 선회체(51)에 인입되어 내측회전체(53)와 선회체(51)의 연동이 가능해 지고
이에 따라 외측핸들의 동작으로 외축(81) 및 내측회전체(53)가 선회하면 선회체(51) 역시 동작되어 래치볼트(20) 및 데드볼트(40)가 언록킹 위치로 후퇴하게 되어 도어 개방이 가능하다.
이에 비하여 내측 핸들은 연결축의 내축(83)의 슬리브(83A)(도 2b 및 도 3a 참조) 확장부(83a)를 통하여 상기 선회체(51)의 사각 중공과 상시 접촉하므로 언제든지 도어 개방이 가능(단, 별도의 잠금수단에 의하여 잠기는 모델에서는 그 잠금수단이 록킹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예외임)하다.
이어서 도 1b 내지 도 2b 및 도 4c 내지 도 4e를 참조하여 격발수단(70)을 설명하면, 핸들의 동작으로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선회체(51)에 구비된 언후킹부(51C)가 후크(27)의 들림돌기(27A)를 가압하여 후크를 하강시켜
상기 선회체(51)와 동축상에 배열되어 선회가능한 트리거(71)의 걸림부(71A)와 후크(27)가 걸려 결합되지 않도록 하고
제1작동부(51A)의 작용으로 래치볼트(20)가 후퇴하고,
또 제2작동부(51B), 작동체(57) 및 정류체(60)의 동작에 의하여 래치볼트(40)가 후퇴되어 각각 언록킹 상태에 위치하므로 도어 개방이 가능하다.
이어 다시 핸들을 놓게 되면 핸들은 탄성부재, 특히 래치볼트(20)를 위한 제1탄성부재(S)에 의하여 복원되고
래치볼트(20)의 진퇴체(23) 역시 제1탄성부재(S)에 의하여 전진되며
통상적으로 도어클로우저에 의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는 과정에서 래치볼트(20)가 문틀과 접촉하면서
다시 진퇴체(23)가 후퇴하면
상기 후크(27)는 선회체(51), 특히 언후킹부(51C)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래치볼트 내장체(21)의 후진에 따라 같이 움직여 후크(27)는 트리거(71)의 걸림부(71A) 후방에 위치하고
이어 래치볼트 진퇴체(23)가 문틀의 홈에 위치하게 되면 다시 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후크(27)는 후단 갈고리 부위가 트리거(71)의 걸림부(71A)와 결합 되어 끌어 전진시키고
트리거(71)는 선회체(51)를 중심으로 선회되면서 그 타격부(71B)가 해머(73) 일단부를 가격하고, 해머는 고정축(A)을 중심으로 선회되어 타단부가 정류체(60)의 작용면(61A)을 가격하여
돌기(63)를 누르고 있던 스프링(S)의 힘을 이기면서 정류체(60)가 선회되고 각 체결부(61)(45)의 정류돌기(61a) 및 모서리부(45A)가 분리되면서
다시 제2탄성부재(S)의 탄성이 미치게 되어 데드볼트(40)가 전진 록킹 상태로 변화될 수 있고
이때 데드볼트(40)는 이미 문틀의 해당 홈과 정확하게 일치되므로 문틀을 쓸고 지나가면서 소음 및 마찰 마모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데드볼트(40)의 자동록킹시 상기 정류체(60)의 정류돌기(61a)와 데드볼트(40) 체결부(45)의 모서리부(45B)는 다시 결합되어 정류체(60)의 돌기(63)를 가압하는 스프링(S)과 함께 작용하여 임의로 데드볼트가 후퇴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언록킹어셈블리(50)와 무관하게 진퇴되는 상기 래치볼트(20)의 동작시 상기 후크(27)에 의하여 동작되어 상기 정류체(60)에 의하여 정지된 상기 데드볼트(40)를 전진 록킹시키는 격발수단(70)은
상기 후크(27)와 연계되는 걸림부(71A) 및 타격부(71B)를 갖는 트리거(71) 및
상기 트리거의 타격부(71B)에 의하여 움직여 상기 데드볼트(40)를 전진시키도록 축설된 해머(73)를 포함한다.
이어 도 4a 내지 도 4e를 참고하여 데드볼트(40)의 자동록킹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4a 내지 도 4e에서는 편의상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의 진퇴와 무관하게 체크볼트는 진퇴되지 않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a의 [가] 및 [나]와 같이 핸들(H)을 선회시키면, 그 힘이 연결축(80)(내외측(83)(81)과 관련된 공회전수단(55)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에 전달되어
이어 선회체(5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작동부(51A)는 래치볼트(20)를 후퇴시키고
제2작동부(51A)는 작동체(57) 및 정류체(60)를 차례로 연동시켜 데드볼트(40)를 후퇴시켜 각각 언록킹 상태가 되어 도어의 개방이 가능해 진다.
이때 래치볼트의 후크(27)는 도 4a의 [나] 및 도 4b의 [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선회체(51)의 언후킹부(51C)가 들림돌기(27A)를 가압함에 따라 하강하여 격발수단(70)의 트리거(71) 걸림부(71A)와 후킹동작을 하지 않게 된다.
이후 핸들(H)을 놓게 되면 도 4b [나]에서와 같이, 래치볼트(20)를 위한 제1탄성부재(S)의 힘에 의하여 래치볼트(20)가 전진하게 되고,
핸들(H) 또한 선회체(51)의 제1작동부(51A)가 래치볼트(20)의 내장체(21) 슬라이드홈(21B)와 연동되므로 원상 복귀하게 된다.
그러나 데드볼트(40)는 도 4b [가]에서와 같이, 정류체(60)의 정류돌기(61A)가 데드볼트 체결부(45)의 후방 모서리부(45A)에 결합되고, 스프링(S)이 정류 체(60)의 돌기(63)를 가압하므로
데드볼트를 위한 스프링(S)의 탄성에도 불구하고 전진하지 못하고 언록킹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도어클로우저에 의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는 과정에서 도 4c의 [가] 및 [나]와 같이, 래치볼트(20)가 문틀과 접촉하면서 진퇴체(23)가 후퇴하면 상기 후크(27)는 선회체(51)의 언후킹부(51C)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래치볼트 내장체(21)의 후진에 따라 같이 움직여 후크(27)는 트리거(71)의 걸림부(71A)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 도어가 완전히 닫히면 도 4d의 [가] 및 [나]와 같이, 래치볼트 진퇴체(23)가 문틀의 홈에 위치하게 되어 다시 전진하고
이에 따라 후크(27)는 후단 갈고리 부위가 트리거(71)의 걸림부(71A)와 결합되어 끌어 전진시키고
트리거(71)는 선회체(51)를 중심으로 선회되면서 그 타격부(71B)가 해머(73) 일단부를 가격하고,
상기 해머는 고정축(A)을 중심으로 선회되어 타단부가 정류체(60)의 작용면(61A)을 가격한다.
이때 상기 정류체(60)의 돌기(63)를 누르고 있던 스프링(S)의 힘을 이기면서 정류체(60)가 선회되고, 동시에 각 체결부(61)(45)의 정류돌기(61a) 및 모서리부(45A)가 분리되면서
다시 제2탄성부재(S)의 탄성이 미치게 되어 데드볼트(40)는 도 4e와 같이, 전진 록킹 상태로 변화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데드볼트(40)는 이미 문틀의 해당 홈과 정확하게 일치되므로 문틀을 쓸고 지나가면서 소음 및 마찰 마모가 발생될 염려가 없다.
아울러 데드볼트(40)의 자동록킹 완료시 상기 정류체(60)의 정류돌기(61a)와 데드볼트(40) 체결부(45)의 모서리부(45B)(도 4d [가] 참조)는 다시 결합되어 정류체(60)의 돌기(63)를 가압하는 스프링(S)과 함께 작용하여 임의로 데드볼트가 후퇴되지 않도록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잠금장치는 도어에 장착된 상태에서 래치볼트의 경사면 역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걸림해제수단이 하우징의 노출체 측에 구비되어 있어 장착작업 편리성 및 오류 수정기능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킨 기술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이와 관련된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중복되는 설명이지만 편의상 상기(想起)하고자 다시 기술하면, 상기 래치볼트(20)는 하우징(10)의 매립체(15)에 수용되는 내장체(21)와 하우징(10) 노출체(11)의 출입공(11A) 외부에 위치한 진퇴체(23)를 갖고, 상기 진퇴체는 경사면(23B) 및 걸림면(23C)을 갖는다.
상기 내장체(21)의 결합부(21A)와 상기 진퇴체(23)의 대응결합부(23A)는 도면에서는 상호 선회 가능하도록 각각
걸림돌기(21a) 및 끼움부(21B)와 요홈부(23a)를 갖는 형태이지만
이러한 회동형 결합부 구조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대안적으로 실용신안등록 제0342364호(2004년02월06일)의 공보 도 7에 도시된 형태나 실용신안등록 제0382712호(2005년04월15일)의 공보 도 7에 도시된 결합형태일 수 있고, 이 경우 볼트에 의한 고정 없이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는 형태 또한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10) 노출체(11)의 출입공(11A) 외측으로 상기 래치볼트(20)의 진퇴체(23)가 노출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제1탄성부재(S)는 상기 하우징의 매립체(15)에 내장되어 있고,
도면에서는 통상적인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다양한 소재(합성 엘라스토머 또는 금속 등)와 형상의 탄성부재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이를 조금더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상기 제1탄성부재(S)의 일단은 하우징(10)에 결합되고, 타단은 래치볼트(20)에 결합되는 형태에 해당한다.
상기 래치볼트(20)의 각 결합부(21A)(23A)가 임의로 변위되어 진퇴체(23) 경사면(23B) 방향이 변화되어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각 결합부(21A)(23A)는 구속수단에 머무르는 것이 바람직하데,
상기 구속수단은 각 결합부(21A)(23A)가 상호 선회되는 형태이므로 결국 진퇴체(23)의 선회를 방해하는 형태여야 하며,
각 결합부(21A)(23A)가 상기 구속수단에 의하여 제한되도록 머물게 하는 역할은 스토퍼(30)가 수행하게 된다.
통상적인 모티스 잠금장치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별도의 구성요소(부품)의 도입 없이 상기 구속수단(R)은 하우징(10) 노 출체(11)의 출입공(11A) 주변 플렌지(11a)(도 6 참조)가 기능하도록 되어 있는데(선회방지를 위하여 진퇴체(23) 및 출입공(11B)의 단면 형상은 비원형 형상, 특히 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회피를 위한 임의의 구속수단 역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래치볼트(20) 내장체(21)의 결합부(21A)에서 끼움부(21b)는 진퇴체(23)의 대응결합부(23A) 요홈부(23a) 후방 헤드(미지시됨)에 비하여 전후 폭이 더 커서 각 결합부(21A)(23B)의 상호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진퇴체(23)의 요홈부(23a)는 상기 내장체(21)의 걸림돌기(21a)에 의하여 이탈이 방지되고 선회 운동 또한 가능하다.
상기 래치볼트(20)는 진퇴체(23)의 돌출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걸림체(25)를 갖는데, 도면에서는 상기 걸림체가 진퇴체(23)에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고 상승 돌출되어 있는 형태이지만
이러한 걸림체의 형성 위치 및 형상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걸림체(25)에 의한 진퇴체(23)의 돌출 정도를 제한은 결국 래치볼트 진퇴체의 경사면 역전을 방해하는 구속수단 위치에 상기 래치볼트(20)의 각 결합부(21A)(23A)가 머물러 제한된다는 의미와 일맥상통하며,
이러한 기능은 스토퍼(30), 특히 상기 래치볼트의 걸림체(25)에 대응되는 대응걸림체(31)가 수행한다.
상기 래치볼트의 걸림체(25)의 형상 및 형성 위치가 바뀌면 상기 스토퍼의 대응걸림체(31) 역시 변화되어야 한다.
상기 스토퍼(30)의 대응걸림체(31)는 상기 래치볼트(20)의 걸림체(25)에 결합되어 제1탄성부재(S)의 탄성에 의한 진퇴체(23)의 하우징(10) 출입공(11A) 외측 전진을 방해한다.
이러한 상태는 상기 래치볼트 및 상기 스토퍼의 각 걸림체가 풀리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의 노출체(11) 측에 구비된 걸림해제수단(F)에 의하여 언록킹되는데,
상기 걸림해제수단(F)은 상기 하우징 노출체(11)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까지 연결되는 통공(11C)을 포함한다.
이러한 걸림해제수단(F), 결국 통공(11C)으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잠금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상태에서 래치볼트(20) 진퇴체(23)의 경사면(23B) 역전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스토퍼(30), 결국 대응걸림체(31)는 스프링(S)이 구비되어 있어 외력을 가하지 않을 경우 일정하게 세팅된 자세로 스토퍼가 복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무엇보다도 상기 스프링(S)은 상기 대응걸림체(31)가 상기 래치볼트(20)의 걸림체(25)에 걸리도록 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발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래치볼트 진퇴체 경사면(23B)의 방향전환 후 진퇴체(23)를 가압 후퇴시켜
노출체(11) 출입공(11A) 주변 플렌지(11a), 결국 구속수단(R)에 래치볼 트(20)의 각 결합부(21A)(23A)가 다수 수용 제한되도록 할 경우
상기 스프링(S)에 의하여 스토퍼(30)의 대응걸림체(31)가 복귀되어 양 걸림체(31)(25)가 다시 도킹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점은 래치볼트 진퇴체 경사면(23B) 방향전환이 모티스 잠금장치 분해 해체 없이 설치상태 그대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본 발명의 기능과 함께
경사면(23B) 역전후 래치볼트의 평상시 기능으로의 복원을 위한 조작 편리성에의 획기적 증대를 가능하게 하여
본 발명과 종래기술을 근본적으로 차별화시키는 양대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또 5 내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30)는 상기 래치볼트(20)의 진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선회되는 회동축(33)을 구비하고 있으며,
스프링(S)은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형상 및 소재(합성 엘라스토머 또는 금속 등)의 것이 도입될 수 있다.
상기 걸림해제수단(F)을 이루는 통공(11C)에 막대(F1)를 투입하여 스토퍼(30)를 가압할 경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동축(33)을 중심으로 하여 스프링(S)을 변형시키면서 선회하여
양 걸림체(31)(23)가 상호 풀려 래체볼트(20) 진퇴체(23), 결국 각 결합부(21A)(23A)가 구속수단(R)인 플렌지(11a)에서 벗어나
진퇴체(23) 경사면(23B)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상태로 변화되도록 하는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동축(33)과 어긋난 위치 상기 걸림해제수단(F)과 연계되는 누름부(35)를 가져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래치볼트(20) 및 스토퍼(30)의 각 걸림체(25)(31) 언록킹이 작은 힘에 의해서도 가능하도록 한다.
또 상기 통공(11C)은 상기 하우징 노출체(11)에 상시 설치된 버튼이 구비된 형태가 아니어서
스토퍼(30)가 정상적인 모티스 잠금장치 작동 중에 풀려
래치볼트 경사면(23B)이 역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한 번 정상적으로 설치되면 오작동이 발생될 문제가 없어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해제수단(F)을 이루는 막대(F1)를 하우징(10) 노출체(11) 통공(11C)에 끼워 스토퍼(30)의 누름부(35)를 가압하면 회동축(33)을 중심으로 스프링(S)을 변형하면서 스토퍼가 선회되고
이에 따라 대응걸림체(31)가 래치볼트(20) 걸림체(25)에서 벗어나 풀리게 되며,
최종적으로는 래치볼트(20)가 제1탄성부재(S)의 탄성에 의하여 전진하여
출입공(11A) 외측에 래치볼트(20)의 각 결합부(21A)(23A)가 노출되고
진퇴체(23)의 경사면(23B) 역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래치볼트(20)의 각 결합부(21A)(23A)가 노출 정도는 진퇴체(23)의 경사면(23B) 역전이 가능한 임의의 노출 정도이면 충분하다.
또 상기 스토퍼(30)의 누름부(35)는 홈 형태로 되어 있어 막대(F1)는 후방 가압 직선운동을 하고 스토퍼(30)은 회동축(33)을 중심으로 원운동을 함에도
최종적인 양 걸림체((25)(31)의 언록킹 풀림까지 미끄러짐 등의 실패 없이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걸림해제 동작 후에는 도 9b에서와 같이, 돌출된 래치볼트(20) 걸림체(25)의 일면이 스토퍼(30)의 대응 걸림체(31) 일면과 접촉하여
스프링(S)의 복원력에도 스토퍼(30)가 원위치 되는 것을 막게 된다.
진퇴체 경사면(23B) 역전후 다시 진퇴체(23)를 가압하면 내장체(21)와 함께 후퇴하면서
스토퍼(30)의 대응 걸림체(31) 일면에서 래치볼트(20) 걸림체(25)의 일면이 벗어나면서
다시 도 8a 및 도 8b의 상태와 같이, 래치볼트(20) 걸림체(25)의 타면이 스토퍼(30)의 대응 걸림체(31) 타면이 상호 엇물리는 형태로 접촉할 수 있도록
스프링(S)의 탄성이 발휘될 수 있어 스토퍼(30)가 선회하여 원위치 되고
이에 따라 다시 래치볼트(20)의 양 결합부(21A)(23A)는 구속수단(R), 즉 하우징 노출체 출입공(11A)의 플렌지(11a)에 의하여 구속되어
임의 역전이 방지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특히 전자식 잠금장치(통상 '디지털 도어락'으로도 지칭) 등에서의 전동 조작 구성 및 동작과정 등을 비롯한 통상의 모티스 잠금장치 관련 공지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모티스 잠금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잠금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잠금장치의 내부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래치볼트와 데드볼트 관련 구동 구성요소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핸들을 잠금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축에 대한 도면.
도 3b는 래치볼트와 후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잠금장치의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의 동작과 관련된 일련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잠금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한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잠금장치에서 래치볼트 관련 구성(진퇴체의 경사면쪽(실내측)에서 관찰)을 중심으로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잠금장치에서 래치볼트 관련 구성(진퇴체의 걸림면쪽(실외측)에서 관찰)을 중심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걸림해제수단을 구성하는 막대를 사용하여 조작하기 전의 래치볼트 관련 구성을 보인 정면도 및 평면도.
도 9a 및 도 9b는 걸림해제수단을 구성하는 막대를 사용하여 조작한 후의 래치볼트 관련 구성을 보인 정면도 및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11: 노출체
11A,11B: 출입공 11a: 플렌지
11C: 통공 13: 브라켓
13a: 고정공 15: 매립체
20: 래치볼트 21: 내장체
21A: 결합부 21B: 슬라이드홈
23: 진퇴체 23A: 대응결합부
23B: 경사면 23C: 걸림면
25: 걸림체 S: 탄성부재
27: 후크 27A: 들림돌기
30: 스토퍼 31: 대응걸림체
33: 회동축 35: 누름부
40: 데드볼트 41: 내장부
43: 진퇴부 45: 체결부
45A,45B: 모서리부 50: 언록킹어셈블리
51: 선회체 51A,51B: 제1 및 제2 작동부
51C: 언후킹부 53: 내측회전체
55: 공회전수단 55A: 모터
55B: 록커 55C: 스프링
57: 작동체 57A,57B: 피작용부 및 작용부
60: 정류체 61: 대응체결부
63: 돌기 65: 중공
70: 결발수단 71: 트리거
71A: 걸림부 73: 해머
F: 걸림해제수단 F1: 막대
H: 핸들 H1: 제1작동부

Claims (6)

  1. 출입공(11A)(11B)이 형성되고 도어에 일측에 고정되는 노출체(11)를 포함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 내에 위치하는 내장체(21)와, 내장체와 연결되고 경사면(23B)과 걸림면(23C)을 갖고 상기 하우징 노출체(11)의 출입공(11A)을 드나드는 진퇴체(23)와, 진퇴체가 노출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제1탄성부재(S)와, 후크(27)를 포함하는 래치볼트(20);
    상기 하우징(10) 내에 위치하는 내장부(41)와, 내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노출체(11)의 출입공(11B)을 드나드는 진퇴부(43)와, 진퇴부가 노출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제2탄성부재(S)를 포함하는 데드볼트(40);
    도어 내외면에 노출 장착되는 핸들(H);
    상기 핸들과 연결되어 선회되도록 상기 하우징(10)에 축설되고,
    래치볼트(20)와 결합되는 제1작동부(51A), 데드볼트(40)를 위한 제2작동부(51B)와, 상기 후크(27)를 위한 언후킹부(51C)를 갖는 선회체(51)를 포함하는 언록킹어셈블리(50);
    상기 언록킹어셈블리의 제2작동부(51B)에 의하여 후퇴된 상기 데드볼트(40)를 일시 정지시키는 정류체(60); 및
    상기 언록킹어셈블리와 무관하게 진퇴되는 상기 래치볼트(20)의 동작시 상기 후크(27)에 의하여 동작되어 상기 정류체(60)에 의하여 정지된 상기 데드볼트(40)를 전진 록킹시키는 격발수단(7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래치볼트(20)의 후크(27)는 상기 내장체(21)에 축설되며, 상기 격발수단(70)과 걸리는 방향으로 탄성을 발휘하는 스프링(S)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재(S)는 각각 일단이 하우징(10)에 결합되고, 타단이 래치볼트(20)와 데드볼트(40)에 결합되고,
    상기 정류체(60)는 상기 데드볼트(40)와 상시 접촉하고 축설 선회되며,
    상기 언록킹어셈블리(50)는 선회체(51)의 제2작동부(51B)와 결합되는 피작용부(57A)와, 상기 정류체(60)와 접촉하는 작용부(57B)를 갖는 작동체(57)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드볼트(40)는 데드볼트의 록킹 및 언록킹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모서리부(45A)(45B)가 전후단에 형성된 체결부(45)를 갖고,
    상기 정류체(60)는 상기 체결부(45)의 모서리부(45A)(45B)에 대응되는 모서리를 갖는 마름모꼴 형상의 정류돌기(61a)가 형성된 대응 체결부(61)를 가져,
    상기 정류체(60) 및 상기 데드볼트(40)의 양 체결부(61)(45)는 상호 상시 접촉하며,
    상기 데드볼트(40)의 완전 록킹-언록킹 위치의 상태는 정류체(60)의 돌기(63)를 가압하는 스프링(S)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기 격발수단(70)은 상기 후크(27)와 연계되는 걸림부(71A) 및 타격부(71B)를 갖는 트리거(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드볼트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모티스 잠금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20)의 후크(27)는 상기 언록킹어셈블리(50)의 언후킹부(51C)와 접촉하는 들림돌기(27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드볼트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모티스 잠금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수단(70)은 상기 트리거(71)의 타격부(71B)에 의하여 움직여 상기 데드볼트(40)를 전진시키도록 축설된 해머(73)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데드볼트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모티스 잠금장치.
  6. 삭제
KR1020090028110A 2008-09-02 2009-04-01 데드볼트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모티스 잠금장치 KR1009076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1935 2008-09-02
KR2020080011935 2008-09-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7642B1 true KR100907642B1 (ko) 2009-07-14

Family

ID=413375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906A KR100907641B1 (ko) 2008-09-02 2009-03-18 장착된 상태 그대로 역전이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모티스 잠금장치
KR1020090028110A KR100907642B1 (ko) 2008-09-02 2009-04-01 데드볼트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모티스 잠금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906A KR100907641B1 (ko) 2008-09-02 2009-03-18 장착된 상태 그대로 역전이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모티스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90764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590B1 (ko) 2010-04-13 2012-01-17 박지순 도어록 장치
KR200459876Y1 (ko) 2010-02-24 2012-04-26 주식회사 아이레보 걸쇠 자동 돌출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KR101598961B1 (ko) * 2015-02-02 2016-03-02 (주)혜강씨큐리티 설치가 용이한 범용 디지털 도어록용 모티스락
KR101878462B1 (ko) * 2017-12-20 2018-07-13 (주)이노인스트루먼트 모티스용 래치를 구비한 모티스
KR101895216B1 (ko) 2017-06-16 2018-09-10 (주)주영메카트로닉스 도어록용 모티스
KR102380471B1 (ko) 2021-03-12 2022-03-29 주식회사 라오나크 래치 볼트 자동 잠김 장치
KR102453941B1 (ko) 2021-08-04 2022-10-11 주식회사 라오나크 래치 볼트 자동 해정 장치
KR102456722B1 (ko) 2021-07-21 2022-10-18 주식회사 라오나크 래치 볼트 이중 잠김 장치
KR20230058563A (ko) 2021-10-24 2023-05-03 주식회사 라오나크 모티스 안티 패닉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151B1 (ko) 2022-03-07 2024-02-08 최용조 래치볼트의 방향전환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KR102634596B1 (ko) 2022-03-07 2024-02-08 전진찬 래치볼트의 방향전환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505Y1 (ko) 2003-05-12 2003-08-09 금강산업 주식회사 도어록 잠금장치
KR200352026Y1 (ko) 2004-03-04 2004-06-02 주식회사 T4 모티스 록킹 장치
KR20050110731A (ko) * 2004-05-19 2005-11-23 박지순 도어록 장치
KR100855307B1 (ko) 2007-09-20 2008-08-29 (주)나이락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3684A (en) 1991-05-17 1992-06-23 Yeh Ming Tien Door lock with invertable bolt
JP3905941B2 (ja) 1996-12-26 2007-04-18 株式会社久力製作所 ラッチ錠
KR19980065803A (ko) * 1997-01-15 1998-10-15 홍동표 록킹부의 방향 교환이 용이한 도어의 언록킹 장치
KR101094669B1 (ko) * 2003-09-08 2011-12-20 남정호 도어 자물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505Y1 (ko) 2003-05-12 2003-08-09 금강산업 주식회사 도어록 잠금장치
KR200352026Y1 (ko) 2004-03-04 2004-06-02 주식회사 T4 모티스 록킹 장치
KR20050110731A (ko) * 2004-05-19 2005-11-23 박지순 도어록 장치
KR100855307B1 (ko) 2007-09-20 2008-08-29 (주)나이락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876Y1 (ko) 2010-02-24 2012-04-26 주식회사 아이레보 걸쇠 자동 돌출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KR101105590B1 (ko) 2010-04-13 2012-01-17 박지순 도어록 장치
KR101598961B1 (ko) * 2015-02-02 2016-03-02 (주)혜강씨큐리티 설치가 용이한 범용 디지털 도어록용 모티스락
KR101895216B1 (ko) 2017-06-16 2018-09-10 (주)주영메카트로닉스 도어록용 모티스
KR101878462B1 (ko) * 2017-12-20 2018-07-13 (주)이노인스트루먼트 모티스용 래치를 구비한 모티스
KR102380471B1 (ko) 2021-03-12 2022-03-29 주식회사 라오나크 래치 볼트 자동 잠김 장치
KR102456722B1 (ko) 2021-07-21 2022-10-18 주식회사 라오나크 래치 볼트 이중 잠김 장치
KR102453941B1 (ko) 2021-08-04 2022-10-11 주식회사 라오나크 래치 볼트 자동 해정 장치
KR20230058563A (ko) 2021-10-24 2023-05-03 주식회사 라오나크 모티스 안티 패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7641B1 (ko) 2009-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642B1 (ko) 데드볼트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모티스 잠금장치
KR100656273B1 (ko) 이중 잠금 기능을 갖는 모티스 락
JP4538001B2 (ja) ドアー錠におけるラッチ・ボルトの錠掛けのガイド構造
KR101207041B1 (ko) 후크형 도어록
CA2103310A1 (en) Latching apparatus for double doors
JP4368128B2 (ja) 引き戸用鎌錠
KR20070068640A (ko)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
KR101598958B1 (ko)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CN108729766B (zh) 具有逃生功能的插锁手柄轴连接结构
JP4426477B2 (ja) 開放支援機構付き鎌錠および建具
KR101383289B1 (ko)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KR20160016112A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EP1669525A1 (en) Mortised lock with automatic locking of the dead-bolt
KR100699557B1 (ko) 선박 휠하우스의 슬라이드식 도어용 도어록의 잠금장치
TWM511535U (zh) 雙重聯動鎖
JP2004353378A (ja) 戸先錠解除機構付き開口部装置
JP5007553B2 (ja) 防水扉装置
JP4221136B2 (ja) 引戸用鎌錠のストライク
KR20190066437A (ko) 스윙형 래치볼트가 구비된 모티스 조립체
KR102618779B1 (ko) 도어용 비상 개방장치
JP7179361B2 (ja)
US11781346B2 (en) Latch structure
CN211622937U (zh) 一种锁具的斜舌翻转机构
JP4414073B2 (ja) 扉錠
JP2006283492A (ja) 開き戸の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