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471B1 - 래치 볼트 자동 잠김 장치 - Google Patents

래치 볼트 자동 잠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471B1
KR102380471B1 KR1020210033009A KR20210033009A KR102380471B1 KR 102380471 B1 KR102380471 B1 KR 102380471B1 KR 1020210033009 A KR1020210033009 A KR 1020210033009A KR 20210033009 A KR20210033009 A KR 20210033009A KR 102380471 B1 KR102380471 B1 KR 102380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bolt
door
stopper
bolt
pow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오나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오나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오나크
Priority to KR1020210033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래치 볼트 자동 잠김 장치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래치 볼트 자동 잠김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도어오픈감지센서와 도어클로즈감지센서가 위치한 도어락 하우징; 그 상단 일지점에 구속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락 하우징 내부 일지점에 위치하여 문틀 일측에 형성된 스트라이커를 향해 래치볼트 스프링에 의해 전후진될 수 있고 그 전방이 소정 각도로 회전하는 래치볼트; 상기 래치볼트에 형성된 구속돌기 측으로 끼움결합될 수 있는 구속홈이 형성되고 그 일단에 스토퍼래치볼트 스프링이 결합된 래치볼트스토퍼; 상기 도어락 하우징 내부 일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스트라이커의 일 지점과의 접촉에 의해 전후진이 이루어지고 그 일단에 엣지볼트 스프링이 결합된 엣지볼트와 상기 엣지볼트의 전진신호를 감지하는 열림감지스위치; 사용자의 도어 오픈 인증 신호, 상기 도어오픈감지센서와 도어클로즈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된 신호, 및 상기 열림감지스위치에 의해 센싱된 신호를 감지하고 그 일측에 평기어가 형성된 파워모듈; 상기 스토퍼래치볼트와 상기 파워모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파워모듈에 형성된 평기어와 치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래치볼트의 일측면과의 접촉을 통해 상기 스토퍼래치볼트가 소정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구속돌기와 상기 구속홈이 끼움결합되도록 수행하는 회전돌기와, 상기 도어오픈감지센서와 도어클로즈감지센서를 감지하는 센서감지리브가 형성된 기어섬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래치 볼트 자동 잠김 장치{A auto-locking device of latch bolt}
본 발명은 래치 볼트 자동 잠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 또는 사무실과 같은 장소의 출입문에는 인가되지 않은 외부인이 건물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록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록장치는 대부분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해지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방범 및 보안을 목적으로 출입자를 통제하는 전자식 또는 디지털식 도어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디지털식 도어록은 도어를 열었다가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도어가 잠겨짐으로 별도의 잠금조작을 할 필요가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열림에서 잠김까지의 일정 시간이 불가피하게 필요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도어를 닫은 직후 바로 외부에서 침입자가 도어를 열 경우 데드볼트가 잠김 상태로 가지 않았다면 침입이 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KR 10-0907642(2009.07.07 등록)
종래 보조키용 도어락의 경우 데드볼트를 잠김 볼트로 적용하고 있어서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데드볼트는 바디 안쪽으로 들어간 상태로 있다가 문을 닫으면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데드볼트가 돌출되어 잠김 상태가 된다.
이때, 열림에서 잠김까지의 일정 시간이 불가피하게 필요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도어를 닫은 직후 바로 외부에서 침입자가 도어를 열 경우 데드볼트가 잠김 상태로 가지 않았다면 침입이 가능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이다.
래치 볼트 자동 잠김 장치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래치 볼트 자동 잠김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도어오픈감지센서와 도어클로즈감지센서가 위치한 도어락 하우징; 그 상단 일지점에 구속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락 하우징 내부 일지점에 위치하여 문틀 일측에 형성된 스트라이커를 향해 래치볼트 스프링에 의해 전후진될 수 있고 그 전방이 소정 각도로 회전하는 래치볼트; 상기 래치볼트에 형성된 구속돌기 측으로 끼움결합될 수 있는 구속홈이 형성되고 그 일단에 스토퍼래치볼트 스프링이 결합된 래치볼트스토퍼; 상기 도어락 하우징 내부 일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스트라이커의 일 지점과의 접촉에 의해 전후진이 이루어지고 그 일단에 엣지볼트 스프링이 결합된 엣지볼트와 상기 엣지볼트의 전진신호를 감지하는 열림감지스위치; 사용자의 도어 오픈 인증 신호, 상기 도어오픈감지센서와 도어클로즈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된 신호, 및 상기 열림감지스위치에 의해 센싱된 신호를 감지하고 그 일측에 평기어가 형성된 파워모듈; 상기 스토퍼래치볼트와 상기 파워모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파워모듈에 형성된 평기어와 치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래치볼트의 일측면과의 접촉을 통해 상기 스토퍼래치볼트가 소정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구속돌기와 상기 구속홈이 끼움결합되도록 수행하는 회전돌기와, 상기 도어오픈감지센서와 도어클로즈감지센서를 감지하는 센서감지리브가 형성된 기어섬턴;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다면 사용자의 보안과 안전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도어가 닫힘과 동시에 바로 잠김이 되도록 래치볼트를 잠김 볼트로 적용되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항상 래치볼트가 잠김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도어를 닫는 순간 래치볼트의 잠김 상태가 유지하게 되어 외부에서 닫힌 다음 바로 문을 열려고 해도 열 수 없도록 되어 외부 침입에 대해 보안성과 안전성이 극대화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외측 기준 우수형 타입의 설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결합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래치볼트(200)의 단면도,
도 4는 엣지볼트(400)가 스트라이커의 프레임 일부에 의해 눌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래치볼트스토퍼(300)와 래치볼트(200)가 락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과 도 7은 실외측 인증시 래치볼트(200)와 래치볼트스토퍼(300)와의 언락킹(unlocking)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기어섬턴(600)의 사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도 6과 도 7과 연동되어 실외측 인증시 도어가 오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래치볼트(200)와 래치볼트스토퍼(300)와의 락킹상태(구속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 내지 도 19 역시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 내지 도 22 역시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이 이른바 'Inswing door' 타입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인 래치 볼트 자동 잠김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실외측 기준 우수형 타입의 설치 사시도이고,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볼트(200)가 스트라이커 내부에 인입되어 고정된 상태이고, 그 하방에 엣지볼트(400)가 스트라이커를 이루는 프레임과 면접촉된 상태로 눌려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래치볼트(200)가 종래의 데드볼트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도어가 오픈되고 클로즈 되는 과정에서 도어가 오픈되는 과정 중에 래치볼트(200)와 이하 후술할 래치볼트스토퍼(300)가 구속홈(310)과 구속돌기(210)를 매개로 서로 고정되어 래치볼트(200)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도어가 닫히는 즉시 래치볼트(200)에 의해 도어가 즉시 오픈되지 않아 그 보안성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결합 사시도이다.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도어오픈감지센서(110)와 도어클로즈감지센서(120)가 위치한 도어락 하우징(100)이 개시된다.(도 6과 도 7참조)
해당 하우징(100)은 일종의 도어락 장치의 본체이며, 그 내부에 이하 설명할 구성들이 배치된다.
도어오픈감지센서(110)와 도어클로즈감지센서(120)는 이하 후술할 기어섬턴(600)에 형성된 센서감지리브(630)를 통해 현재 도어의 오픈 여부를 감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래치볼트스토퍼(300)의 회전에 의해 래치볼트(200)와의 결합에 의한 고정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미도면부호인 브라켓래치볼트는 래치볼트가 위치할 수 있는 브라켓이며, 가이드래치볼트는 래치볼트 후방에서 스프링래치볼트와의 연결부분에 설치되며, 커버래치볼트는 래치볼트를 측면에서 감싸는 부재이다.
한편, 그 상단 일지점에 구속돌기(210)가 형성되고(도 12 참조), 도어락 하우징(100) 내부 일지점에 위치하여 도어 일측에 형성된 스트라이커(10)를 향해 래치볼트 스프링(220)에 의해 전후진될 수 있고 그 전방이 소정 각도로 회전하는 래치볼트(200)가 개시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래치볼트(200)와 래치볼트스토퍼(300)와의 락킹상태(구속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속돌기(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으로 이루어진 3개의 구속돌기바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심에 위치하는 구속돌기바로 해당 구속돌기바의 형상과 대응되는 구속홈(310)이 끼워지면서 래치볼트(200)와 래치볼트스토퍼(300)와의 락킹상태가 이루어진다.
래치볼트 스프링(220)은 그 압축력에 의해 래치볼트(200)가 전진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며, 이하 후술하겠지만, 해당 구조에 의해 도어가 오픈되는 과정에서 래치볼트(200)가 스트라이커로부터 완전히 구속이 해제되는 경우 래치볼트(200)가 전진함과 동시에 래치볼트(200)의 전방이 회전되어 래치볼트스토퍼(300)와의 락킹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도어가 클로즈된 상태에서는 래치볼트(200)에 의해 더 이상 도어가 오픈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도 5는 래치볼트스토퍼(300)와 래치볼트(200)가 락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5 및 도 12를 참조하면, 래치볼트(200)에 형성된 구속돌기(210) 측으로 끼움결합에 의해 래치볼트(200)의 구속을 제어할 수 있는 구속홈(310)이 형성되고 그 일단에 스토퍼래치볼트 스프링(320)이 결합된 래치볼트스토퍼(300)가 개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내부 일지점에 결합된 스토퍼래치볼트 스프링(320)에 연결되고, 그 전방에는 기 설명한 구속돌기(210) 측으로 회전하여 구속돌기(210)에 의해 끼워질 수 있는 구속홈(310)이 형성되어 있다.
해당 구속돌기(210)와 구속홈(310)에 의해 이른바 락킹되는 경우 래치볼트(200)의 전방은 더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락 하우징(100) 내부 일지점에 위치하여 스트라이커(10)의 일 지점과의 접촉에 의해 전후진이 이루어지고 그 일단에 엣지볼트 스프링(420)이 결합된 엣지볼트(400)와 엣지볼트(400)의 전진신호를 감지하는 열림감지스위치(410)가 개시된다.
도어가 오픈되면서 스트라이커(10)의 일 지점과 접촉 상태(눌린 상태)에서 해제된 엣지볼트 스프링(420)에 의해 엣지볼트(40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이에 연결된 열람감지플레이트(640)가 열림감지스위치(410)를 누르게 되면서 엣지볼트(400)의 전진신호를 감지하게 된다.(엣지볼트(400)의 전진신호를 감지한다는 것은 결국 도어가 오픈된다는 신호를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후술하겠지만, 열림감지스위치(410)는 파워모듈(500)과 연동되어 해당 열람감지스위치에 의해 센싱된 신호가 파워모듈(500)에 전달되어 작동하게 된다.( 이 경우 파워모듈(500)에 설치된 평기어(510)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그에 따라 기어섬턴(60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해당 작동 과정을 이하 후술한다.)
그 다음으로, 사용자의 도어 오픈 인증 신호, 도어오픈감지센서(110)와 도어클로즈감지센서(120)에 의해 센싱된 신호, 및 열림감지스위치(410)에 의해 센싱된 신호를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감지하고 그 일측에 평기어(510)가 형성된 파워모듈(500)이 개시된다.
파워모듈(500)에 결합된 평기어(510)는 그 주변에 위치한 기어섬턴(600)에 형성된 나사산(610)과 치결합되어 파워모듈(500)의 작동에 따라 기어섬턴(600)이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기어섬턴(6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볼트스토퍼(300)와 파워모듈(500) 사이에 위치한다.
기 설명한 바와 같이 파워모듈(500)에 형성된 평기어(510)와 치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610)이 형성되고 래치볼트스토퍼(300)의 일측면과의 접촉을 통해 래치볼트스토퍼(300)가 소정 각도로 회전하여 구속돌기(210)를 향해 구속홈(310)이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도록 수행하는 회전돌기(620)와 도어오픈감지센서(110)와 도어클로즈감지센서(120)를 감지하는 센서감지리브(630)가 형성되어 있다.
기 설명한 바와 같이 도 6과 도 7은 실외측 인증시 래치볼트(200)와 래치볼트스토퍼(300)와의 언락킹(unlocking)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도 6과 도 7과 연동되어 실외측 인증시 도어가 오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해당 도면을 참조로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외측에서 사용자가 인증 수단을 통해 정상적으로 인증이 되면 그 인증에 따른 전기적 신호가 내부 회로기판을 통해 파워모듈(500)이 구동된다.
파워모듈(500)에 설치된 평기어(510)가 회전하는데, 이에 치결합된 기어섬턴(600)이 CCW(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그 회전각도가 설정된 제2각도(60o)까지 회전이 되면 도어오픈감지센서(110)에 의해 상기 센서감지리브(630)를 센싱하여 상기 파워모듈(500)의 작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파워모듈(500)에 형성된 평기어(510)의 회전에 의한 회전력이 이에 치결합된 기어텀버튼의 나사산(610)에 전달되어 설정된 제1각도(30o)만큼 회전시, 기어텀버튼에 형성된 회전돌기(620)가 래치볼트스토퍼(300)의 일측면과의 접촉을 통해 구속돌기(210)에 끼어진 구속홈(310)이 해제되어 래치볼트스토퍼(300)가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볼트스토퍼(300)가 회전될 수 있는 상태라는 것은 래치볼트(200)의 락킹이 풀리면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상태임을 의미하며, 이 상태에서 도어를 오픈방향으로 충분히 당기게 되면 래치볼트(200)의 전방이 회전하면서 도어가 오픈되는 것이다.
다시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로 엣지볼트(400)와의 연동에 의한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 되어 오픈되고 스트라이커(10)에 면접촉에 의해 눌려있던 엣지볼트(400)가 이탈되면서 전방으로 이동 돌출된다.
이후 엣지볼트(400)가 돌출되면서 열림감지플레이트에 의해 열림감지스위치(410)를 누르게 되면 그 신호가 파워모듈(500)로 전달되고, 파워모듈(500)에 형성된 평기어(510)가 CCW(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기어섬턴(600)이 CW(시계) 방향으로 회전 된다.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다가 도어클로즈감지센서(120)에 센서감지리브(630)가 감지되면 그 신호가 파워모듈(500)에 전달되어 회전을 멈추게된다.
도어클로즈감지센서(120)에 센서감지리브(630)가 감지된다는 의미는 래치볼트스토퍼(300)가 래치볼트(200)를 향해 회전하고 구속돌기(210)와 구속홈(310)을 매개로 락킹 상태가 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즉, 사용자의 도어 오픈 인증 신호에 의해 도어가 오픈 도중 스트라이커(10)의 일지점에 접촉하고 있는 엣지볼트(400)가 접촉상태에서 벗어나 전방으로 돌출되되, 엣지볼트(400)의 전방 이동시 열림감지스위치(410)에 의한 신호 센싱으로 파워모듈(500)이 작동되고, 파워모듈(500)의 작동에 의해 도어클로즈감지센서(120)에 의해 센서감지리브(630)를 센싱시 파워모듈(500)의 작동이 정지됨과 동시에 래치볼트스토퍼(300)에 형성된 구속홈(310)이 래치볼트(200)에 형성된 구속돌기(21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태로 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7 내지 도 19 역시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어의 오픈 도중 래치볼트(200)가 스트라이커와의 구속이 해제되는 경우 래치볼트 스프링(220)에 의해 래치볼트(200)가 전진하여 구속돌기(210)와 구속홈(310)의 매개로 래치볼트(200)와 래치볼트스토퍼(300)가 구속 상태로 되어 래치볼트(200)의 회전이 제한되어 락킹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어섬턴(600)의 센서감지리브(630)가 도어클로즈감지센서(120)에 감지되어 멈춘 상태에서는 래치볼트스토퍼(300)가 락킹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도어가 완전히 오픈이 되지 않아 스트라이커에 래치볼트(200)가 회전된 상태에서 걸쳐 있는 상태에서는 래치볼트(200)의 전방이 소정 각도로 회전되어 구속돌기(210)의 방향과 래치볼트스토퍼(300)에 형성된 구속홈(310)과의 결합될 수 있는 위치가 맞지 않기에 락킹 상태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 후, 래치볼트(200)가 스트라이커와의 간섭되는 구간을 완전히 벗어나게 되면 래치볼트 스프링(220)의 압축력에 의해 래치볼트(200)는 돌출되면서 구속돌기(210) 역시 구속홈(310)과 락킹될 수 있도록 위치하게 된다.
이에 래치볼트스토퍼(300)가 회전하면서 구속돌기(210)와 구속홈(310)을 매개로 래치볼트(200)와의 락킹이 이루어져 더 이상 래치볼트(200)가 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래치볼트(200)에 외력을 가해도 회전이 되지 않게 되며, 그 의미는 도어가 오픈된 뒤 닫히게 되면 즉시 래치볼트(200)에 의해 도어가 오픈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도 20 내지 도 22 역시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완전히 오픈된 뒤에 다시 도어를 닫게 되면 래치볼트(200)의 빗면 구간이 스트라이커(10)에 접촉이 되면서 도어락 하우징(100) 내부로 자연스럽게 들어가게 된다.
이때 래치볼트(200)와 래치볼트스토퍼(300)와의 락킹 상태는 유지가 되면서 안쪽으로 들어가게 되는바, 래치볼트(200) 자체의 회전이 제한된다.
이로 인해 도어가 닫힌 직 후 바로 실외측에서 도어를 열려고 해도 래치볼트(200)는 락킹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에 강제로 문을 열 수 없게 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22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른바 'Outswing type'에 적용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다만, 도 2에 개시된 'Cover latch bolt' 부품을 분리해서 이른바 'Outswing door'는 물론이고 'Inswing door' 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즉, 'Inswing door type' 의 경우 'Cover latch bolt' 를 분해 후 래치볼트 방향을 반대로 조립하고 다시 'Cover latch bolt' 를 재조립함으로써 'Inswing door type' 에도 본 발명이 쉽게 대응이 가능하다.
해당 구조 역시 기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작동 관계로 도어를 완전히 OPEN 한 후에 다시 도어를 닫게 되면 래치볼트의 빗면 구간이 스트라이커에 접촉이 되면서 하우징 안쪽으로 자연스럽게 들어가게 된다.
이때 래치볼트의 락킹 상태는 유지가 되면서 안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로 인해 도어가 닫힌 직 후 바로 실외측에서 문을 열려고 해도 래치볼트는 락킹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에 강제로 도어를 열 수 없게 된다.
100 : 하우징 200 : 래치볼트
300 : 래치볼트스토퍼 400 : 엣지볼트
500 : 파워모듈 600 : 기어섬턴

Claims (4)

  1. 래치 볼트 자동 잠김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도어오픈감지센서와 도어클로즈감지센서가 위치한 도어락 하우징;
    그 상단 일지점에 구속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락 하우징 내부 일지점에 위치하여 문틀 일측에 형성된 스트라이커를 향해 래치볼트 스프링에 의해 전후진될 수 있고 그 전방이 소정 각도로 회전하는 래치볼트;
    상기 래치볼트에 형성된 구속돌기 측으로 끼움결합될 수 있는 구속홈이 형성되고 그 일단에 스토퍼래치볼트 스프링이 결합된 래치볼트스토퍼;
    상기 도어락 하우징 내부 일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스트라이커의 일 지점과의 접촉에 의해 전후진이 이루어지고 그 일단에 엣지볼트 스프링이 결합된 엣지볼트와 상기 엣지볼트의 전진신호를 감지하는 열림감지스위치;
    사용자의 도어 오픈 인증 신호, 상기 도어오픈감지센서와 도어클로즈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된 신호, 및 상기 열림감지스위치에 의해 센싱된 신호를 감지하고 그 일측에 평기어가 형성된 파워모듈;
    상기 스토퍼래치볼트와 상기 파워모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파워모듈에 형성된 평기어와 치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래치볼트의 일측면과의 접촉을 통해 상기 스토퍼래치볼트가 소정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구속돌기와 상기 구속홈이 끼움결합되도록 수행하는 회전돌기와,
    상기 도어오픈감지센서와 도어클로즈감지센서를 감지하는 센서감지리브가 형성된 기어섬턴;을 포함하는, 래치 볼트 자동 잠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의 도어 오픈 인증 신호가 상기 파워모듈에 전송시,
    상기 파워모듈에 형성된 상기 평기어의 회전에 의한 회전력이 이에 치결합된 상기 기어섬턴의 나사산에 전달되어 설정된 제1각도만큼 회전시, 상기 기어섬턴에 형성된 상기 회전돌기가 상기 래치볼트스토퍼의 일측면과의 접촉을 통해 상기 구속돌기에 끼어진 상기 구속홈이 해제되어 상기 래치볼트스토퍼가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어섬턴이 상기 제1각도를 넘어 설정된 제2각도만큼 회전시 상기 도어오픈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센서감지리브를 센싱하여 상기 파워모듈의 작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볼트 자동 잠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사용자의 도어 오픈 인증 신호에 의해 상기 도어가 오픈 도중 상기 스트라이커의 일지점에 접촉하고 있는 상기 엣지볼트가 접촉상태에서 벗어나 전방으로 돌출되되,
    상기 엣지볼트의 전방 이동시 상기 열림감지스위치에 의한 신호 센싱으로 상기 파워모듈이 작동되고, 상기 파워모듈의 작동에 의해 상기 도어클로즈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센서감지리브를 센싱시 상기 파워모듈의 작동이 정지됨과 동시에 상기 래치볼트스토퍼에 형성된 구속홈이 상기 래치볼트에 형성된 구속돌기 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볼트 자동 잠김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오픈 도중 상기 래치볼트가 상기 스트라이커와의 구속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래치볼트스프링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가 전진하여 상기 구속돌기와 상기 구속홈의 매개로 상기 래치볼트와 상기 래치볼트스토퍼가 구속 상태로 되어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이 제한되어 락킹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볼트 자동 잠김 장치.
KR1020210033009A 2021-03-12 2021-03-12 래치 볼트 자동 잠김 장치 KR102380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009A KR102380471B1 (ko) 2021-03-12 2021-03-12 래치 볼트 자동 잠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009A KR102380471B1 (ko) 2021-03-12 2021-03-12 래치 볼트 자동 잠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471B1 true KR102380471B1 (ko) 2022-03-29

Family

ID=80997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009A KR102380471B1 (ko) 2021-03-12 2021-03-12 래치 볼트 자동 잠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4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642B1 (ko) 2008-09-02 2009-07-14 이상옥 데드볼트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모티스 잠금장치
KR20140125554A (ko) * 2013-04-19 2014-10-29 주식회사 아이레보 래치볼트의 고정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642B1 (ko) 2008-09-02 2009-07-14 이상옥 데드볼트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모티스 잠금장치
KR20140125554A (ko) * 2013-04-19 2014-10-29 주식회사 아이레보 래치볼트의 고정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3312B2 (en) Wireless control of security system with key-operated key fob
US11643845B2 (en) Locking assembly with spring mechanism
US10907381B2 (en) Electronic door lock with a monitoring unit
US10760302B2 (en) Dead bolt lock system and method of retracting a dead bolt
KR100825446B1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KR101986613B1 (ko) 슬라이딩 도어용 도어락장치
KR102380471B1 (ko) 래치 볼트 자동 잠김 장치
US20180106073A1 (en) Key monitoring door lock, door lock ke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456722B1 (ko) 래치 볼트 이중 잠김 장치
KR102453941B1 (ko) 래치 볼트 자동 해정 장치
EP1951975A2 (en) Improved locking system
KR200224925Y1 (ko) 자동잠금기능과 침입탐지 경보기능을 가진 도어잠금장치
KR100263981B1 (ko) 도어 잠금 장치
KR100996111B1 (ko) 도어록 장치의 제어시스템
KR102463903B1 (ko) 스마트 안전고리 장치
KR100994344B1 (ko) 도어록 장치
KR102268726B1 (ko) 손잡이 엄폐구조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KR101958314B1 (ko) 패닉 기능을 구비한 출입문 제어 장치
KR100543957B1 (ko) 문 잠금장치
JP2004250955A (ja) 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引戸の施解錠装置
KR102425260B1 (ko) 데드볼트식 도어락
KR102053952B1 (ko) 도어 파손에 의한 개방을 방지하는 도어락 장치
KR20090010394U (ko) 이중잠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KR20090002550A (ko) 방범 고리가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JP3081857U (ja) ドア開錠警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