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903B1 - 스마트 안전고리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안전고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903B1
KR102463903B1 KR1020200129913A KR20200129913A KR102463903B1 KR 102463903 B1 KR102463903 B1 KR 102463903B1 KR 1020200129913 A KR1020200129913 A KR 1020200129913A KR 20200129913 A KR20200129913 A KR 20200129913A KR 102463903 B1 KR102463903 B1 KR 102463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lock
detection sensor
motor
guid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6809A (ko
Inventor
김승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오나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오나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오나크
Priority to KR1020200129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903B1/ko
Publication of KR20220046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2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045Hinges for the movable b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05Y2400/32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absolute posit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스마트 안전고리 장치가 개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현관문 주변에 위치한 걸쇠부(10)와 락/언락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암락(400)의 전후진 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모터(200)가 내장된 본체(100)로 이루어진 스마트 안전고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200)의 작동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 외부에 위치한 작동버튼(300); 상기 작동버튼(300)에 의해 상기 모터(20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210); 상기 암락(400)이 회전결합될 수 있도록 핀암락(520)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피니언기어(210)와 치결합될 수 있는 랙기어(230)가 형성된 가이드암락(500);을 포함하되, 상기 작동버튼(300)에 의해 상기 암락(400)이 상기 걸쇠부(10)를 향해 전진시 상기 암락(400)에 형성된 레일부(410)를 따라 상기 걸쇠부(10)에 형성된 스트라이크돌기(20)가 인입되어 락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안전고리 장치{SMART SAFETY HOOK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 안전고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라, 기타 주택이나 건물의 현관 현관문에 부착되어 방범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주 도어락 장치 외에도 보조적으로 안전고리가 설치된다.
기존의 안전고리는, 외부인을 확인하거나 간단한 물건을 주고받을 용도 또는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쓰이며, 이때, 완전히 개방되지 않고 손바닥 한 뼘 정도가 방범상태를 유지한 채 개방되어 쓰이고 있다.
종래의 현관문 안전고리 장치는, 현관문 프레임(문틀)에 설치되는 안전고리, 현관문에 설치되고 현관문이 닫힌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걸쇠고정부에 체결 및 체결 해제되는 안전고리 작동을 포함하게 된다.
즉, 현관문이 닫힌 상태에서 작동부는, 회전하여 걸쇠고정부에 체결되어 약간의 개방구간을 제공하거나 또는 체결 해제되어 문이 완전히 개방되게 작동할 수 있다.
걸쇠고정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작동부는 구비된 힌지브라켓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작동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동부는 걸쇠고정부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체결구에 걸림 돌기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부가 걸쇠고정부에 체결되어 현관문을 열었을 경우, 현관문은 작동바의 길이만큼의 개방구간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종래의 현관문 안전고리 장치는, 외부인의 방문 시 안전을 위하여, 걸림돌기가 작동바에 삽입된 상태로 현관문을 열게 되는 경우 걸림돌기가 작동바의 말단까지 이동됨으로써, 외부의 안전을 확인하고 다시 문을 닫은후 작동바를 회전시켜 체결돌기의 체결을 해제시킨 후에 현관문을 다시 열수 있다.
그러나, 기존 안전고리의 경우 방문객을 확인하고자 할 때 수동으로 조작을 한 후 도어를 일정 거리만큼 오픈하여 방문객을 확인해야 하고, 잠금 해정도 수동으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왔으며, 내부에서 안전고리가 잠기는 경우 신원이 확인되는 외부 사람이 내부로 들어오고자 하는 경우 내부 사람이 잠이 드는 경우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는 등의 여러 문제가 발생하였다.
KR 20-2003-0034077 (2003.10.30)
본 발명은 기존 안전고리의 경우 방문객을 확인하고자 할 때 수동으로 조작을 한 후 도어를 일정 거리만큼 오픈하여 방문객을 확인해야 하고, 잠금 해정도 수동으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탈피하여 모든 과정을 자동으로 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스마트 안전고리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스마트 안전고리 장치가 개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현관문 주변에 위치한 걸쇠부(10)와 락/언락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암락(400)의 전후진 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모터(200)가 내장된 본체(100)로 이루어진 스마트 안전고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200)의 작동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 외부에 위치한 작동버튼(300); 상기 작동버튼(300)에 의해 상기 모터(20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210); 상기 암락(400)이 회전결합될 수 있도록 핀암락(520)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피니언기어(210)와 치결합될 수 있는 랙기어(230)가 형성된 가이드암락(500);을 포함하되, 상기 작동버튼(300)에 의해 상기 암락(400)이 상기 걸쇠부(10)를 향해 전진시 상기 암락(400)에 형성된 레일부(410)를 따라 상기 걸쇠부(10)에 형성된 스트라이크돌기(20)가 인입되어 락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다면 현관 보조 안전 잠금 장치인 안전고리를 전자식으로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고, 더 나아가 기존 안전고리의 수동 조작을 수동과 자동 모두 사용할 수 있게끔 함으로써 보안성과 편리성을 극대화하는 등의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현관문에 설치된 구성도,
도 3은 작동버튼(300)에 의해 이하 설명할 암락(400)이 스트라이크돌기(20)에 인입되어 락된 상태,
도 4는 도 3의 내부 결합 구조도이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내부 구조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암락(400)과 가이드암락(500)으로 이루어진 이른바 암락(400)구조에 대한 도면,
도 9는 작동 상태의 도면,
도 10은 스마트폰(800)에 설치된 앱(900) 화면의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인 스마트 안전고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현관문에 설치된 구성도, 도 3은 작동버튼(300)에 의해 이하 설명할 암락(400)이 스트라이크돌기(20)에 인입되어 락된 상태, 도 4는 도 3의 내부 결합 구조도이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현관문 주변에 위치한 걸쇠부(10)와 락/언락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암락(400)의 전후진 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모터(200)가 내장된 본체(100)로 이루어진 스마트 안전고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터(200)의 작동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본체(100) 외부에 위치한 작동버튼(300)이 개시된다.
이 작동버튼(300)에 의해 이하 설명할 암락(400)이 PCB모듈(700)과 모터(200)에 의해 걸쇠부(10) 측에 대해 자동으로 전진 및 후진이 이루어져 종래 수동으로 안전고리를 이용하여 잠금 장치를 하였던 기술을 대체하게 된다.
더 나아가 작동버튼(300)에 의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스마트폰(800)에 해당 모터(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앱(900)이 설치되어 외부에서라도 간단하게 스마트폰(800)의 작동으로 해당 안전고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으로 피니언기어(210)가 개시된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버튼(300)에 의해 신호는 PCB모듈(700)을 거쳐 피니언기어(210)에 작동 신호가 전달되고, 도면상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내부의 회전축에 의해 피니언기어(210)가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암락(400)과 가이드암락(500)으로 이루어진 이른바 암락(400)구조가 도 7과 도 8에 개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암락(400)이 회전결합될 수 있도록 핀암락(520)을 매개로 연결되고 피니언기어(210)와 치결합될 수 있는 랙기어(230)가 형성된 가이드암락(500)이 개시된다.
즉, 작동버튼(300)에 의해 모터(200)가 회전하면 그 회전력이 피니언기어(210)에 전달되고, 피니언기어(210)와 치결합될 수 있는 복수개의 나사산으로 형성된 랙기어(230)에 의해 가이드암락(500)이 전후진되고, 이에 연결된 암락(400)이 걸쇠부(10)에 대해 전후진되면서 안전고리의 락과 언락의 기능이 이루어진다.
암락(400)에 형성된 레일부(410)를 따라 걸쇠부(10)에 형성된 스트라이크돌기(20)가 인입되어 락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암락(400)의 양 측면에 소정 길이의 레일부(4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레일부(410) 내부로 스트라이크돌기(20)가 인입되어 안전고리의 기능이 수행되어 외부에서 현관문을 강제로 열더라도 레일부(410)의 길이만큼 스트라이크돌기(20)가 이동되고 더 이상 현관문이 열리지 않는 락 기능이 구현된다.
다시 도 5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암락(500)의 일측에는 감지센서돌기(510)가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랙기어(230)가 형성된 부분의 일측에는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감지센서돌기(510)가 위치한다.
해당 감지센서돌기(510)에 의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센서가 포토감지센서인 경우 포토감지센서에 의해 발광되는 빛을 막아 현재 암락(400)이 어떤 위치 어떤 상태인지의 신호가 PCB모듈(700)에 전달되어 모터(200)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체(100) 내부에는 감지센서돌기(510)에 의해 암락(400)에 연결된 가이드암락(500)의 이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오픈감지센서(610)와 클로즈감지센서(620)가 결합된 센서장착부(600)가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PCB모듈(700)에 인접하고 있으며, 감지센서돌기(510)가 이 오픈감지센서(610)와 클로즈감지센서(620)를 통과하면서 현재 가이드암락(500)의 이동상태를 알 수 있게된다.
오픈감지센서(610)와 클로즈감지센서(6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내부로 감지센서돌기(510)가 통과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에 감지센서돌기(510)가 위치함에 따라 그 신호가 PCB모듈(700)에 전달되어 모터(200)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게 된다.
작동버튼(300)에 의해 오픈감지센서(610)에 위치한 감지센서돌기(510)가 가이드암락(500)의 이동으로 클로즈감지센서(620)에 위치하는 경우 모터(200)의 작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외부에 사람이 왔을 때, 데드볼트는 해정되지만, 외부의 사람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해당 작동버튼(300)을 누르는 경우 처음 오픈감지센서(610)에 위치하 감지센서돌기(510)가 가이드암락(500)의 이동으로 클로즈감지센서(620)에 이동하게 되고, 그와 동시에 암락(400)에 형성된 레일부(410)에 스트라이크돌기(20)가 인입된 채 락 과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계속적으로 모터(200)가 작동하게 되면 과부하가 생기는바 해당 감지센서돌기(510)가 클로즈감지센서(620)에 다다르는 경우 모터(200)의 작동이 정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내부에 있는 사람은 현관문을 연채 외부의 사람을 확인할 수 있고, 외부 사람이 강제로 현관문을 열더라도 레일부(410)와 스트라이크돌기(20)에 의해 현관문이 열리지 않게 하는 것이다.
한편, 작동버튼(300)의 재버튼에 의해 가이드암락(500)의 이동으로 감지센서돌기(510)가 오픈감지센서(610)에 위치하는 경우 모터(200)의 작동을 재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외부 사람의 신원이 확인되면 재차 작동버튼(300)을 누르게 되면 암락(400)이 후진하게 되고, 그에 따라 감지센서돌기(510)가 오픈감지센서(610)에 위치하게 되면 후진시키도록 작동되는 모터(200)의 작동을 정지시켜 역시 과부하를 방지하게 된다.
이 경우 현관문을 열어 외부 사람이 내부로 들어올 수 있게 한다.
한편, 센서장착부(600)에는 전기적 신호를 모터(200)측으로 전송할 수 있는 기 설명한 별도의 PCB모듈(7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암락(400)과 가이드암락(500)은 핀암락(520)을 매개로 회전 결합되되, 암락(400)이 원위치 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암(530)이 핀암락(520)에 결합되고, 스프링암(530)에 결합력을 제공하는 별도의 링(540)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크돌기에 암락(400)의 레일부(410)가 맞닿은 상태에서 현관문(도어)를 오픈하면 도어의 오픈되는 각도에 따라 최대 90o까지 펴지게 되는데, 스프링암락이 구비되어 있어서 도어를 닫는 위치에 따라 원 위치로 복원하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한편, 기 설명한 바와 같이 오픈감지센서(610)와 클로즈감지센서(620)는 포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반드시 포토센서에만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모터(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기능의 센서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사용자의 스마트폰(800)에는 모터(200)의 작동을 송수신할 수 있는 별도의 앱(900)이 설치되며, 앱(900) 실행시 모터(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오픈버튼(910)이 표시되되, 오픈버튼(910)의 클릭으로 외부에서 상기 암락(4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외부에서 간단하게 스마트폰(800)을 이용하여 내부에 클로즈 상태로 되어 있는 안전고리를 내부 사람의 도움없이 도어를 오픈할 수 있게 된다.
100 : 본체 200 : 모터
300 : 작동버튼 400 : 암락
500 : 가이드암락 600 : 센서장착부
700 : PCB모듈 800 : 스마트폰
900 : 앱

Claims (4)

  1. 내부에 현관문 주변에 위치한 걸쇠부(10)와 락/언락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암락(400)의 전후진 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모터(200)가 내장된 본체(100)로 이루어진 스마트 안전고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200)의 작동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 외부에 위치한 작동버튼(300);
    상기 작동버튼(300)에 의해 상기 모터(20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210);
    상기 암락(400)이 회전결합될 수 있도록 핀암락(520)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피니언기어(210)와 치결합될 수 있는 랙기어(230)가 형성된 가이드암락(500);을 포함하되,
    상기 작동버튼(300)에 의해 상기 암락(400)이 상기 걸쇠부(10)를 향해 전진시 상기 암락(400)에 형성된 레일부(410)를 따라 상기 걸쇠부(10)에 형성된 스트라이크돌기(20)가 인입되어 락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이드암락(500)의 일측에는 감지센서돌기(510)가 위치하고,
    상기 본체(100) 내부에는 상기 감지센서돌기(510)에 의해 상기 암락(400)에 연결된 가이드암락(500)의 이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오픈감지센서(610)와 클로즈감지센서(620)가 결합된 센서장착부(600)가 위치하되,
    상기 작동버튼(300)에 의해 오픈감지센서(610)에 위치한 감지센서돌기(510)가 상기 가이드암락(500)의 이동으로 상기 클로즈감지센서(620)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모터(200)의 작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작동버튼(300)의 재버튼에 의해 상기 가이드암락(500)의 이동으로 상기 감지센서돌기(510)가 상기 오픈감지센서(610)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모터(200)의 작동을 재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센서장착부(600)에는 전기적 신호를 상기 모터(200)측으로 전송할 수 있는 별도의 PCB모듈(7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암락(400)과 상기 가이드암락(500)은 핀암락(520)을 매개로 회전 결합되되, 상기 핀암락(520)이 원위치 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암(530)이 상기 핀암락(520)에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암(530)에 결합력을 제공하는 별도의 링(540)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오픈감지센서(610)와 상기 클로즈감지센서(620)는 포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사용자의 스마트폰(800)에는 상기 모터(200)의 작동을 송수신할 수 있는 별도의 앱(900)이 설치되며, 상기 앱(900) 실행시 상기 모터(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오픈버튼(910)이 표시되되, 상기 오픈버튼(910)의 클릭으로 외부에서 상기 암락(4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고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29913A 2020-10-08 2020-10-08 스마트 안전고리 장치 KR102463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913A KR102463903B1 (ko) 2020-10-08 2020-10-08 스마트 안전고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913A KR102463903B1 (ko) 2020-10-08 2020-10-08 스마트 안전고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809A KR20220046809A (ko) 2022-04-15
KR102463903B1 true KR102463903B1 (ko) 2022-11-03

Family

ID=81211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913A KR102463903B1 (ko) 2020-10-08 2020-10-08 스마트 안전고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9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14887A (ja) * 2015-06-30 2017-01-19 リョービ株式会社 ドアガード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2413A (ko) * 2008-12-22 2010-07-01 이지행 안전고리가 결합 된 전자 도어락
KR20130001065U (ko) * 2012-12-07 2013-02-14 노장현 무선통신을 이용한 도어록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14887A (ja) * 2015-06-30 2017-01-19 リョービ株式会社 ドアガ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809A (ko) 202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6039A (en) Electronic safety-lock
KR101744888B1 (ko) 창문의 잠금장치
JP6020748B1 (ja) 扉用虹彩認証装置、及び虹彩認証システム
GB2494229A (en) A fastening device with remote monitoring
KR101793629B1 (ko) 안전 방충망 잠금장치
KR102463903B1 (ko) 스마트 안전고리 장치
KR101986613B1 (ko) 슬라이딩 도어용 도어락장치
KR101787667B1 (ko) 안전 방충망 잠금장치
CN108204176A (zh) 一种利用保险旋钮实现快速反锁的锁体及方法
JP2020059996A (ja) 電気錠制御システム
JP4487458B2 (ja) 住宅用ドア自動開閉システム
KR102256928B1 (ko)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안전관리 시스템
KR101524775B1 (ko) 다중 래치 통합 배치형 멀티 록 장치 및 설치 방향 선택장치
KR102523037B1 (ko)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JP3285849B2 (ja) ドアのオートロック装置
JP2002168014A (ja) ドアロック遠隔操作装置
KR102380471B1 (ko) 래치 볼트 자동 잠김 장치
KR102053952B1 (ko) 도어 파손에 의한 개방을 방지하는 도어락 장치
KR100378314B1 (ko) 출입문의 잠금 장치
KR20160146416A (ko) 창문의 잠금장치
KR102453941B1 (ko) 래치 볼트 자동 해정 장치
KR101990693B1 (ko) 방범 방충망용 잠금장치
KR102456722B1 (ko) 래치 볼트 이중 잠김 장치
KR102380172B1 (ko)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
KR102626311B1 (ko)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연동 창호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