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726B1 - 손잡이 엄폐구조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손잡이 엄폐구조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726B1
KR102268726B1 KR1020200167493A KR20200167493A KR102268726B1 KR 102268726 B1 KR102268726 B1 KR 102268726B1 KR 1020200167493 A KR1020200167493 A KR 1020200167493A KR 20200167493 A KR20200167493 A KR 20200167493A KR 102268726 B1 KR102268726 B1 KR 102268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andle
housing
door body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수현
최가빈
김수연
Original Assignee
하수현
최가빈
김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수현, 최가빈, 김수연 filed Critical 하수현
Priority to KR1020200167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7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3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84Handles or knobs with displays, signs, labels pictur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 E05B2001/0023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being movable into a non-operating position, e.g. foldable towards the mounting plane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본체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도어의 잠금상태를 조절하는 개폐모듈에 있어서, 상기 도어본체에 삽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제1회전축을 가지며 전후방향을 따라 회전하고, 회전상태에 따라 상기 도어본체 내부에 수납되거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일측에서 선택적으로 돌출되며 상기 도어본체의 회전을 방지하여 잠금상태를 조절하는 잠금유닛,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손잡이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별도의 해제정보를 수신하여 선택적으로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잠금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제어유닛과 연동하여 상기 잠금유닛의 해제 시 상기 손잡이를 회전시켜 상기 도어본체의 전방으로 돌출시키거나, 또는 상기 손잡이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수납시키는 연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본체가 닫히는 경우 상기 손잡이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수납되고, 이와 연동하여 상기 잠금유닛이 상기 도어본체를 잠금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모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손잡이 엄폐구조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Open/close module with cover structure and door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손잡이 엄폐구조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잠금 시 손잡이가 도어본체 내부로 수납되어 개방을 방지하는 손잡이 엄폐구조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외를 출입하도록 안내하는 출입문의 양측에는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이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도어락이 설치된다. 이러한 도어락에는 불특정인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키실린더가 설치되고, 특정 키에 의해서만 회전되도록 구성된 기계식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키와 키실린더로 이루어진 고전적인 기계식 도어락은 키 휴대의 불편성, 분실의 위험성, 조작상의 번거로움 등의 문제로 인하여 최근에는 전자식 도어락 혹은 디지털 도어락이 개시된 바 있다.
예컨대, 전자식 도어락 혹은 디지털 도어락은 키실린더와 맞물리는 키 대신 비밀번호나 반도체 칩, 스마트카드, 지문이나 홍체 등의 생체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도어락 시스템을 말한다. 이들은 입력된 정보를 내부에 저장된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되어 있는데 통상적으로 솔레노이드나 전동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데드볼트가 전후진되면서 잠금과 해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6366호(2008. 06. 09 공고)는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주택이나 상가 혹은 보안이 요구되는 장소에서 접촉없이 휴대하는 것만으로도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개선된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기본적으로 손잡이를 통해 센싱을 하는 것으로, 도어의 잠금장치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은 경우 외부의 침입자가 문을 열고 들어올 수 있는 등의 한계가 있다.
특히 사용자가 이미 집에 들어온 상황에서 손잡이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경우 외부로부터 침입이 용이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도어본체의 잠금상태에서 손잡이를 내부에 수납하고, 해제 시 외부로 도출되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의도하지 않게 도어본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손잡이 엄폐구조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손잡이 엄폐구조의 개폐모듈은 도어본체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도어의 잠금상태를 조절하는 것으로써 상기 도어본체에 삽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제1회전축을 가지며 전후방향을 따라 회전하고, 회전상태에 따라 상기 도어본체 내부에 수납되거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일측에서 선택적으로 돌출되며 상기 도어본체의 회전을 방지하여 잠금상태를 조절하는 잠금유닛,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손잡이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별도의 해제정보를 수신하여 선택적으로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잠금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제어유닛과 연동하여 상기 잠금유닛의 동작에 따라 이와 연동하여 상기 손잡이를 회전시켜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돌출시키거나, 또는 상기 손잡이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수납시키는 연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본체가 닫히는 경우 상기 손잡이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수납되고, 이와 연동하여 상기 잠금유닛이 상기 도어본체를 잠금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일부가 상기 도어본체의 전면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입력하는 상기 해제정보를 전달 받아 상기 도어본체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도어본체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잠금유닛과 상기 손잡이를 구동시켜 잠금상태로 제어하도록 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유닛은 상기 제1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연동부, 상기 제1연동부와 별도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잠금유닛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연동부 및 상기 제1연동부 및 상기 제2연동부와 동시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과 연동해 동시에 동작하여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손잡이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2연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과 연동하되, 기 설정된 시간 간격을 가지고 동작하여 상기 잠금유닛의 슬라이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제1기어 및 상기 제2기어와 동축상에서 회전하며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만 톱니가 형성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동부는 상기 제1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제1기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3기어 및 길게 형성되어 일측에 상기 제3기어가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는 제1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동부는 제2기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4기어 및 복수 수 개의 기어로 구성되어 상기 제4기어와 연동하며 상기 잠금유닛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전달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도어장치는 여닫이 형태로 동작하는 도어본체 및 상기 도어본체에 삽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제1회전축을 가지며 전후방향을 따라 회전하고, 회전상태에 따라 상기 도어본체 내부에 수납되거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일측에서 선택적으로 돌출되며 상기 도어본체의 회전을 방지하여 잠금상태를 조절하는 잠금유닛,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손잡이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별도의 해제정보를 수신하여 선택적으로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잠금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제어유닛과 연동하여 상기 잠금유닛의 해제 시 상기 손잡이를 회전시켜 상기 도어본체의 전방으로 돌출시키거나, 또는 상기 손잡이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수납시키는 연동유닛을 포함하는 잠금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본체가 닫히는 경우 상기 손잡이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수납되고, 이와 연동하여 상기 잠금유닛이 상기 도어본체를 잠금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손잡이 엄폐구조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엄폐구조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장치는 도어본체에 수납되어 연동유닛에 의해 손잡이와 잠금유닛이 연동하며, 상기 도어본체의 잠금상태 또는 해제상태에 따라 상기 손잡이가 내부로 수납되거나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본체의 잠금상태에서 손잡이가 수납되어 사용자가 그립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의도하지 않은 개폐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엄폐구조의 개폐모듈을 포함하는 도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도어장치에서 개폐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개폐모듈에서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A영역에서 상기 연동유닛에 의해 잠금유닛이 시간차를 가지며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장치가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엄폐구조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의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엄폐구조의 개폐모듈을 포함하는 도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도어장치에서 개폐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개폐모듈에서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A영역에서 상기 연동유닛에 의해 잠금유닛이 시간차를 가지며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장치가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200) 엄폐구조의 개폐모듈은 일반적인 도어락과 유사한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
어 있으나, 도어본체(10)의 잠금상태에서 손잡이(200)가 수납되어 사용자가 그립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의도하지 않은 개폐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일반적인 도어본체(10)에 본 발명에 따른 개폐모듈이 수납되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200) 엄폐구조의 개폐모듈은 크게 하우징(100), 손잡이(200), 잠금유닛(300), 제어유닛(400) 및 연동유닛(50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00)에 상기 손잡이(200)가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본체(10) 내부에 매립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본체(10)에서 상기 잠금유닛(300)이 돌출됨으로써 상기 도어본체(10)의 개폐에 대한 잠금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일반적인 외형을 이루며, 전체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어 내부에 삽입 고정된다. 이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본체(100)의 전방으로 노출되며, 전면에 상기 손잡이(20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00)은 사각 형태의 외형을 이루며, 내부에 상기 잠금유닛(300), 상기 제어유닛(400) 및 상기 연동유닛(500)을 수용하고, 전방에 수납공간(120)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200)가 전방에서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에는 별도의 터치패드(110) 및 NFC등 별도의 수단을 통해 상기 도어본체(10)의 해제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00)은 전면의 상부에 상기 터치패드(11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해제정보인 비밀번호나, NFC를 이용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터치패드(110)의 하부에는 상기 수납공간(120)이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120)에는 상기 손잡이(200)가 제1회전축(L1)을 가지며 회전하여 선택적으로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도어본체(10) 내부에 안착되며 전면이 도어본체(10)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손잡이(200)가 전방에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하우징(100)은 후술하는 상기 잠금유닛(300)을 내부에 수용하며 선택적으로 외부로 돌출 시켜 상기 도어본체(10)가 잠금상태가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손잡이(200)는 상기 하우징(100)에서 제1회전축(L1)을 가지며 전후방향을 따라 회전하고, 회전상태에 따라 상기 도어본체(10) 내부에서 수납되거나 외부로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200)는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제1회전축(L1)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100)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200)는 상기 수납공간(12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부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수납공간(12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도어본체(10)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제어유닛(400)에 의해 상기 도어본체(1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손잡이(200)가 하부로 회전하여 상기 도어본체(10) 외부로 노출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00)를 이용하여 도어본체(10)를 개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200)는 사각 기둥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하측 끝단부가 상기 제1회전축(L1)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수납공간(120)에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잠금유닛(300)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슬라이딩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잠금유닛(300)은 길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고, 일부가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도어본체(10)를 잠금상태로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유닛(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에서 횡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도어본체(10)의 측면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본체(10)가 닫힘 상태에서 상기 잠금유닛(300)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상기 도어본체(10)가 잠금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제어유닛(400)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서 상기 손잡이(200)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별도의 해제정보를 수신하여 선택적으로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유닛(400)은 일반적인 PCB형태를 이루며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되고 전기적 신호를 전달 받아 후술하는 상기 연동유닛(500)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잠금유닛(300)의 개폐를 조절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손잡이(200)를 회전시켜 전방으로의 노출 여부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400)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서 일부가 상기 도어본체(10)의 전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해제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상술한 상기 터치패드(110)와 연동하여 상기 해제정보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해제정보가 올바르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유닛(400)은 상기 잠금유닛(300) 및 상기 손잡이(200)를 동작시키지 않고 잠금상태를 유지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어유닛(400)은 별도의 감지부(410)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410)를 통해 상기 도어본체(10)의 닫힘 여부를 감지하고, 닫힘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손잡이(200)를 구동시켜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수납시킴과 동시에 상기 잠금유닛(300)을 돌출시켜 상기 도어본체(10)를 잠금상태로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부(410)는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며, 상기 도어본체(10)가 닫힘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감지부(410)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유닛(400)으로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부(410)는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상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도어본체(10)가 닫히는 경우 문틀에 의해 눌려지며 압축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도어본체(10)의 닫힘 여부를 감지한다. 그러나 이와 달리 단순히 물리적 구성이 아닌 광학센서나 전기적 신호를 이용한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도어본체(10)의 닫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유닛(400)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서 상기 감지부(410)를 통해 도어본체(10)의 닫힘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연동유닛(500)을 통해 상기 손잡이(200)와 상기 잠금유닛(300)의 돌출상태를 조절한다.
한편, 상기 연동유닛(500)은 상기 제어유닛(400)과 연동하여 상기 잠금유닛(300)과 상기 손잡이(200)의 구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잠금유닛(300)의 동작에 따라 이와 연동하여 상기 손잡이(200)를 회전시켜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으로 돌출시키거나, 또는 상기 손잡이(200)를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수납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동유닛(500)은 제1연동부(520), 제2연동부(530) 및 구동부(510)를 포함하며, 각각이 상기 구동부(510)의 동작에 의해 연동하여 상기 손잡이(200) 및 상기 잠금유닛(300)을 동작시킨다.
상기 제1연동부(520)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서 회전하는 제1회전축(L1)과 연동하여 회전하며, 상기 제2연동부(530)는 상기 제1연동부(520)와 별도로 이격 배치되어 별도의 제2회전축(L2)을 가지며 독립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잠금유닛(300)의 슬라이딩을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510)는 상기 제1연동부(520) 및 상기 제2연동부(530)와 동시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유닛(400)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동부(510)는, 구동모터(512), 제1기어(514) 및 제2기어(516)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512)는 일반적인 소형 모터로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되며 별도의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400)과 연동하여 회전여부 및 회전방향이 조절됨으로써 상기 손잡이(200) 및 상기 잠금유닛(300)을 제어한다.
상기 제1기어(514)는 상기 구동모터(512)와 연결된 일반적인 기어로써 후술하는 상기 제1연동부(52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512)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2기어(516)는 상기 제1기어(514)와 함께 별도의 기어로 구성되어 함께 회전하며 후술하는 제2연동부(530)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한다.
즉, 상기 제1기어(514)와 상기 제2기어(516)는 각각 상기 구동모터(512)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며, 독립적으로 제1연동부(520) 및 제2연동부(530)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기어(514)는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일반적인 기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제2기어(516)는 둘레를 따라 톱니가 일부 구간에만 형성되어 상기 제2연동부(530)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510)가 동작하여 상기 제1기어(514)와 상기 제2기어(516)를 동시에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제1연동부(520)는 상기 구동부(510)와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연동부(530)는 구동부(510)와 연동하되 제2기어(516)의 둘레를 따라 톱니가 형성되지 않은 만큼 시간 간격을 가지고 회전한다.
상기 제1연동부(520)는 상기 제1회전축(L1)을 가지며, 상기 제1기어(514)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3기어(522) 및 길게 형성되어 일측에 상기 제3기어(522)가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200)가 연결되는 제1샤프트(52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연동부(5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상기 제3기어(522)를 통해 상기 제1기어(514)와 연동하며, 상기 구동부(510)의 동력을 상기 제1샤프트(524)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제1샤프트(524)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서 제1회전축(L1)을 가지며 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일측에 상기 제3기어(522)가 배치되고, 타측에 상기 손잡이(200)가 배치되다. 이때, 상기 손잡이(200)는 상기 제1샤프트(524)와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1샤프트(524)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샤프트(524)는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가 상기 수납공간(1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손잡이(200)와 고정 결합되며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연동부(530)는 상기 제1연동부(520)와 별도로 상기 구동부(510)와 연동하여 상기 잠금유닛(300)을 동작시키는 구성으로, 제2기어(516)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4기어(532) 및 복수 개의 기어로 구성되어 제4기어(532)와 연동해 잠금유닛(300)을 슬라이딩시키는 전달기어(53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4기어(532)는 일반적인 원형 기어로서, 제2회전축(L2)을 가지고 회전하며 상기 제2기어(516)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2기어(516)는 둘레를 따라 일부 구간에만 톱니가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제4기어(532)는 모두 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제2기어(516)의 회전 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회전한다.
도 4를 살펴보면, 상기 제2기어(516)에서 톱니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제4기어(532)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510)가 동작하더라도 상기 제2연동부(530)는 동작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 제2기어(516)가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여 톱니가 형성된 부분이 상기 제4기어(532)에 접촉하는 경우, 이후의 회전부터 함께 연동하여 회전한다.
즉, 상기 제2기어(516)는 상기 구동모터(512)에 의해 지속적으로 회전하더라도, 회전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4기어(532)와 접촉하여 일부 구간에서만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전달기어(534)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로 구성되어 상기 제4기어(532)의 회전 시 함께 회전하며 회전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잠금유닛(300)이 슬라이딩 하도록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달기어(534)는 복수 개의 베벨기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잠금유닛(300)의 타측에 피니언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전달기어(534)의 동작에 따라 슬라이딩 상태를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달기어(534)는 베벨기어를 포함하여 회전축을 교차시키며 회전방향을 변경해 상기 잠금유닛(300)의 동작을 조절하였으며, 이와 달리 웜기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동유닛(500)은 상기 구동부(510), 상기 제1연동부(520) 및 상기 제2연동부(530)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510)의 동작 시 각각 상기 제1연동부(520)와 상기 제2연동부(530)에 의해 상기 손잡이(200)와 상기 잠금유닛(300)이 동작하며, 상기 제1연동부(520)와 달리 상기 제2연동부(530)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을 가지고 동작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어본체(10)가 닫히면서 잠금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제4기어(532)와 상기 제2기어(516)가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510)가 동작하여 상기 제1기어(514)와 상기 제2기어(516)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기어(514)와 연동한 상기 제1구동부(510)가 동작하여 구동모터(512)의 동작과 동시에 상기 손잡이(200)부가 회전하여 상기 수납공간(120) 내부로 수납된다.
그러나, 상기 제2기어(516)와 상기 제4기어(532)는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기어(516)가 회전하고, 일정 각도 회전 후 상기 제2기어(516)가 상기 제4기어(532)와 접촉하여 상기 잠금유닛(300)을 슬라이딩시켜 도어본체(10)를 잠금상태로 전환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512)는 잠금상태 또는 해제상태로 전환 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기어(514)와 상기 제2기어(516)가 한 바퀴 회전하는 것을 기준으로 각각 상태가 조절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기어(516)는 잠금상태의 전환 시 한 바퀴 회전하되 전반부 180도에서 상기 제4기어(532)와 접촉하지 않은 채 회전하고 후반부 180도에서는 접촉하여 회전 함으로써, 상기 제2기어(516)가 180도 회전하는 동안의 시간 간격을 가지며 상기 손잡이(200)와 상기 잠금유닛(300)의 동작 시 시간차이를 가진다.
한편, 상기 도어본체(10)가 잠금상태에서 해제되는 경우, 상기 도어본체(10)의 잠금상태 전환 시 상기 제4기어(532)와 상기 제2기어(516)가 접촉한 상태로 멈추었기 때문에 이와 반대로 상기 구동모터(512)가 동작하여 상기 제3기어(522)와 상기 제4기어(532)를 동시에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본체(10)의 잠금상태 해제 시 상기 손잡이(200)의 노출과 동시에 상기 잠금유닛(300)의 슬라이딩이 동시에 일어나며, 이후 상기 제2기어(516)와 상기 제4기어(532)가 분리 되더라도 상기 구동모터(512)가 지속적으로 동작하여 상기 제2기어(516)가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512)는 상기 도어본체(10)의 잠금 또는 해제 시 상기 제1기어(514) 및 상기 제2기어(516)가 1바퀴만큼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본체(10)의 잠금해제 시 상기 손잡이(200)와 상기 잠금유닛(300)이 동시에 동작하고, 잠금 시 상기 손잡이(200)가 먼저 동작한 후 상기 잠금유닛(300)이 후반부에 이어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동유닛(500)은, 상기 도어본체(10)가 닫히는 경우 상기 제어유닛(400)에 의해 상기 구동부(510)가 동작하고 이와 함께 상기 손잡이(200)가 회전하여 상기 수납공간(120) 내부로 수납되고, 상기 손잡이(200)가 수납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후 상기 잠금유닛(300)이 슬라이딩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도어본체(10)를 잠금상태로 전환시킨다.
이는 상술한 상기 제2기어(516)가 둘레를 따라 일정 영역에만 톱니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기어(514)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2기어(516)는 톱니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의해 상기 제4기어(532)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일정 각도 회전한 이후 상기 제4기어(532)가 회전하여 상기 잠금유닛(300)을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200) 엄폐구조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장치는 도어본체(10)에 수납되어 연동유닛(500)에 의해 손잡이(200)와 잠금유닛(300)이 연동하며, 상기 도어본체(10)의 잠금상태 또는 해제상태에 따라 상기 손잡이(200)가 내부로 수납되거나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도어본체
100: 하우징
110: 터치패드
120: 수납공간
200: 손잡이
300: 잠금유닛
400: 제어유닛
410: 감지부
500: 연동유닛
510: 구동부
520: 제1연동부
520: 제2연동부

Claims (7)

  1. 도어본체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도어의 잠금상태를 조절하는 개폐모듈에 있어서,
    상기 도어본체에 삽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제1회전축을 가지며 전후방향을 따라 회전하고, 회전상태에 따라 상기 도어본체 내부에 수납되거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일측에서 선택적으로 돌출되며 상기 도어본체의 회전을 방지하여 잠금상태를 조절하는 잠금유닛;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손잡이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별도의 해제정보를 수신하여 선택적으로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잠금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제어유닛과 연동하여 상기 잠금유닛의 동작에 따라 이와 연동하여 상기 손잡이를 회전시켜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돌출시키거나, 또는 상기 손잡이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수납시키는 연동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본체가 닫히는 경우 상기 손잡이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수납되고, 이와 연동하여 상기 잠금유닛이 상기 도어본체를 잠금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일부가 상기 도어본체의 전면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입력하는 상기 해제정보를 전달 받아 상기 도어본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도어본체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잠금유닛과 상기 손잡이를 구동시켜 잠금상태로 제어하도록 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동유닛은,
    상기 제1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연동부, 상기 제1연동부와 별도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잠금유닛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연동부 및 상기 제1연동부 및 상기 제2연동부와 동시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하고,,
    상기 제1연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과 연동해 동시에 동작하여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손잡이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2연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과 연동하되, 기 설정된 시간 간격을 가지고 동작하여 상기 잠금유닛의 슬라이딩을 조절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제1기어 및 상기 제1기어와 동축상에서 회전하며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만 톱니가 형성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동부는 상기 제1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제1기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3기어 및 길게 형성되어 일측에 상기 제3기어가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는 제1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동부는 상기 제2기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4기어 및 복수 수 개의 기어로 구성되어 상기 제4기어와 연동하며 상기 잠금유닛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전달기어를 포함하는 손잡이 엄폐구조의 개폐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여닫이 형태로 동작하는 도어본체; 및
    상기 도어본체에 삽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제1회전축을 가지며 전후방향을 따라 회전하고, 회전상태에 따라 상기 도어본체 내부에 수납되거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일측에서 선택적으로 돌출되며 상기 도어본체의 회전을 방지하여 잠금상태를 조절하는 잠금유닛,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손잡이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별도의 해제정보를 수신하여 선택적으로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잠금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제어유닛과 연동하여 상기 잠금유닛의 해제 시 상기 손잡이를 회전시켜 상기 도어본체의 전방으로 돌출시키거나, 또는 상기 손잡이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수납시키는 연동유닛을 포함하는 잠금모듈; 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본체가 닫히는 경우 상기 손잡이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수납되고, 이와 연동하여 상기 잠금유닛이 상기 도어본체를 잠금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장치.
KR1020200167493A 2020-12-03 2020-12-03 손잡이 엄폐구조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KR102268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493A KR102268726B1 (ko) 2020-12-03 2020-12-03 손잡이 엄폐구조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493A KR102268726B1 (ko) 2020-12-03 2020-12-03 손잡이 엄폐구조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8726B1 true KR102268726B1 (ko) 2021-06-24

Family

ID=76606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493A KR102268726B1 (ko) 2020-12-03 2020-12-03 손잡이 엄폐구조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87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8759A (ko) * 2012-08-03 2014-02-13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 손잡이 구조
CN204850702U (zh) * 2015-08-25 2015-12-09 浪潮软件集团有限公司 一种隐藏式门把手
KR20160050635A (ko) * 2014-10-30 2016-05-11 주식회사 동양매직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방장치
CN110499963A (zh) * 2019-08-12 2019-11-26 鲍文胜 一种结构改良的智能锁
CN209837917U (zh) * 2019-03-28 2019-12-24 无锡风易达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隐藏式门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8759A (ko) * 2012-08-03 2014-02-13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 손잡이 구조
KR20160050635A (ko) * 2014-10-30 2016-05-11 주식회사 동양매직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방장치
CN204850702U (zh) * 2015-08-25 2015-12-09 浪潮软件集团有限公司 一种隐藏式门把手
CN209837917U (zh) * 2019-03-28 2019-12-24 无锡风易达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隐藏式门锁
CN110499963A (zh) * 2019-08-12 2019-11-26 鲍文胜 一种结构改良的智能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8299B2 (en) Digital entrance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20040014351A (ko) 잠금 장치
JPH06229155A (ja) セキュリティロック機構
CN101331288B (zh) 锁舌联锁装置的成套门锁
JP2007319536A (ja) 遊技機
KR102268726B1 (ko) 손잡이 엄폐구조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KR100763885B1 (ko) 도어록 장치
KR200352026Y1 (ko) 모티스 록킹 장치
JP4487458B2 (ja) 住宅用ドア自動開閉システム
KR200212695Y1 (ko) 전자 도어락
KR100214222B1 (ko) 키패드 및 카드 겸용 금고 개폐 시스템과 장치
KR101810489B1 (ko)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200311370Y1 (ko) 전자식 도어록에 적용되는 전동 모티스 록킹 장치
KR101826692B1 (ko) 디지털 도어 록 장치
KR102380471B1 (ko) 래치 볼트 자동 잠김 장치
KR200448138Y1 (ko) 이중잠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KR100465408B1 (ko) 리모콘식 도어 록킹장치
KR20110048400A (ko) 도어록 장치
KR100996477B1 (ko) 도어록 장치
KR20020068641A (ko) 자동 시정형 모티스 잠금 시스템
KR200407876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KR102463903B1 (ko) 스마트 안전고리 장치
KR100562053B1 (ko) 보조 자물쇠 개폐장치
KR20120050648A (ko) 도어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KR20150080226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